KR101784407B1 -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407B1
KR101784407B1 KR1020150162814A KR20150162814A KR101784407B1 KR 101784407 B1 KR101784407 B1 KR 101784407B1 KR 1020150162814 A KR1020150162814 A KR 1020150162814A KR 20150162814 A KR20150162814 A KR 20150162814A KR 101784407 B1 KR101784407 B1 KR 10178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input unit
power input
optical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773A (ko
Inventor
이동석
옥기정
장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2J2007/0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 모뎀 안정화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광 모뎀 안정화 장치는 광 모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직류 전원 입력부; 제어부 판넬을 통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분기선과 연결되는 교류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 제어함 내부의 축전지와 연결되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APPARATUS FOR STABILIZING A POWER SOURCE OF OPTICAL MODEM}
본 발명은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통신장치인 광 모뎀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기 위한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의 주체가 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통신장치 그리고 주장치로 구성된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와 통신장치인 광 모뎀은 제어부 판넬 내부에 분리된 별도의 기기로 설치, 운영된다.
현재, 통신장치인 광 모뎀은 배전자동화 단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은 제어부 판넬 및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를 거쳐 광 모뎀에 공급된다. 따라서, 전원 공급 경로 중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광 모뎀은 전원을 공급 받지 못하게 되어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재폐기(recloser)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고장 전류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 때 재폐기가 동작하는 구간 동안에는 외부전원도 차단되기 때문에 광 모뎀에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된다.
따라서, 광 모뎀의 데이터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만 현재 전원 공급 체계하에서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원 공급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자동 절체를 통하여 광 모뎀에 연속적인 전원 공급을 지원하여 줄 수 있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광 모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직류 전원 입력부; 제어부 판넬을 통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분기선과 연결되는 교류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 제어함 내부의 축전지와 연결되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와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절체하기 위한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한 경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면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면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는 전원 공급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자동 절체를 통하여 전원 공급이 끊기지 않게 함으로써 광 모뎀이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연결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회로 블록도,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는 외부전원,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 광 모뎀(400)에 연결되어 있다.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로부터 24V의 직류 전원을, 외부전원의 분기선으롭터 220V의 교류전원을 입력으로 받고, 광 모뎀(400)으로 24V의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또한,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100)는 비상전원으로 사용되는 축전지(500)에 연결되어 24V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하여 광 모뎀(400)에 전력 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 축전지(500) 전력을 광 모뎀(400)으로 공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구성 블록도 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 교류 전원 입력부(121), 교류-직류 변환부(122),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 출력부(140), 제어부(150) 및 발광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직류 전원 입력부(110)는 배전 자동화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 공급선에 연결된다. 직류 전원 입력부(110)는 예를 들면, 24V의 직류 전원을 입력으로 받는다.
교류 전원 입력부(12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선에 연결된다. 교류 전원 입력부(120)는 예를 들면, 220V의 교류 전원을 입력으로 받는다.
교류-직류 변환부(122)는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광 모뎀에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킨다. 교류-직류 변환부(122)는 예를 들면, 220V의 교류 전원을 입력으로 받고, 24V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는 제어함 내부의 축전지와 연결되어 24V의 직류 전원을 입력으로 받는다.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 교류 전원 입력부(121) 및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원을 기 설정 전압과 비교하여 기 설정 전압 이상으로 유지되는 전원 입력부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광 모뎀으로 공급한다. 이 때,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된 전압은 교류-직류 변환부(122)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압값이 기 설정 전압의 비교 대상이 된다.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와 교류 전원 입력부(121) 및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원을 절체하기 위한 반도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먼저,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광 모뎀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과 기 설정 전압을 주기적으로 비교하고,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여 광 모뎀에 출력한다.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이 되면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압을 기 설정 전압과 비교한다. 제어부(150)는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에 출력한다. 이 때 광 모뎀으로 출력되는 전압은 교류-직류 변환부(122)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 전압을 의미한다.
제어부(150)는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이 되면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압을 기 설정 전압과 비교한다.
제어부(150)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150)로 입력되는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축전지 전원 입력부(150)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제어부(150)는 축전지가 과방전 된 상태인 경우에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라 하더라도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광 모뎀에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제어부(150)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한 경우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될 때까지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전력을 차단한다.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압과 교류 전원 입력부(121)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으로 떨어지고,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의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 광 모뎀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제어부(150)는 출력부(14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교류 전원 입력부(121)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또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121)의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라 하더라고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는 한 광 모뎀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제어부(150)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면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면 교류 전원 입력부(121)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광 모뎀으로 출력한다.
즉, 제어부(150)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 교류 전원 입력부(121),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구성되는 순차적인 전원 공급 체계에 있어서, 하위 전원 공급 체계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상위 전원 공급 체계의 전원 공급 조건이 회복되면 상위 전원 공급 체계를 통하여 전원 공급을 수행하도록 절체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어부(150)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미만이 되어 광 모뎀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 경우에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기 전까지는 광 모뎀으로 전원 공급을 수행하지 않는다.
발광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발광부(160)는 예를 들면 3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3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광 모뎀 안정화 장치(100)의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원이 광 모뎀으로 인가되는 경우와 교류 전원 입력부(121)의 전원이 광 모뎀으로 인가되는 경우,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의 전원이 광 모뎀으로 인가되는 경우를 각각 상이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는 3개의 비교기(171, 172, 173), 2개의 반도체 스위치(151, 152) 및 디지털 논리 연산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는 3개의 발광 다이오드(161, 162, 1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비교기(171)는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과 기 설정 전압을 비교하고,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제1반도체 스위치(151)는 제1비교기(17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원이 출력부(140)로 인가된다. 이때, 제1발광 다이오드(161)는 턴 온 상태가 된다.
직류 전원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이 되면 제1반도체 스위치(151)는 제2발광 다이오드(162)측으로 턴 온되고, 교류 전원 입력부(121)의 전원이 출력부(140)로 인가된다.
직류 전원 입력부(110)의 전압과 교류 전원 입력부(121)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이고,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의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제2반도체 스위치(152)가 제3다이오드(163) 측으로 턴 온되고, 축전지 전원 입력부(130)의 전압이 출력부(140)로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광 모뎀 안정화 장치
110: 직류 전원 입력부
121: 교류 전원 입력부
122: 교류-직류 변환부
130: 축전지 전원 입력부
140: 출력부
150: 제어부
160: 발광부
200: 제어부 판넬
300: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
400: 광모뎀

Claims (7)

  1. 광 모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는 직류 전원 입력부;
    제어부 판넬을 통하여 상기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로 입력되는 외부 전원의 분기선과 연결되는 교류 전원 입력부;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부;
    제어함 내부의 축전지와 연결되는 축전지 전원 입력부; 및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과 기 설정 전압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 또는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과 기 설정 전압을 비교하는 제2비교기,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과 과방전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3비교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원을 출력부로 인가하는 제1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1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턴 온 동작하는 제1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반도체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일 때 상기 제1반도체 스위치의 절체 동작에 따라 턴 온되는 제2발광 다이오드,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과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기 설정 전압 미만이고,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의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제2비교기 및 상기 제3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의 전압을 상기 출력부로 인가하는 제2반도체 스위치; 상기 제2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턴 온되는 제3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과방전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한 경우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면 상기 직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기 설정 전압 이상이 되면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광 모뎀으로 출력하는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7. 삭제
KR1020150162814A 2015-11-19 2015-11-19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KR10178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814A KR101784407B1 (ko) 2015-11-19 2015-11-19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814A KR101784407B1 (ko) 2015-11-19 2015-11-19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773A KR20170058773A (ko) 2017-05-29
KR101784407B1 true KR101784407B1 (ko) 2017-10-11

Family

ID=5905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814A KR101784407B1 (ko) 2015-11-19 2015-11-19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400B1 (ko) * 2019-10-10 2021-05-31 한국전력공사 Das 통신모뎀의 전원공급 시스템
KR102360886B1 (ko) * 2020-04-23 2022-02-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자동화시스템의 통신장치를 위한 전력조정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3840A (ja) * 2007-07-26 2009-02-12 Ntt Facilities Inc 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515474B1 (ko) * 2013-11-08 2015-05-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자동 전원 절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3840A (ja) * 2007-07-26 2009-02-12 Ntt Facilities Inc 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515474B1 (ko) * 2013-11-08 2015-05-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자동 전원 절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773A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3561B2 (en) Power suppl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A2531365C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at least one load consumer
US9223394B2 (en) Rack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CN110994689A (zh) 并网切换至离网的方法、系统及储能变流器
US8692480B2 (en) Power supply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unit
JP6478470B2 (ja) 出力制御装置
EP3176896A2 (en) Power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KR101784407B1 (ko) 광 모뎀 전원 안정화 장치
US20210328454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US20140101463A1 (en) Current Distribution System, Current Distribution Method, and Computer System Thereof
US11831167B2 (en) Persistent Dc circuit breaker
US11016465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f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KR20200134976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의 릴레이 제어 장치
US2014035406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 method thereof
KR101515474B1 (ko) 자동 전원 절체 장치
US8237309B2 (en) Arrangement having parallel-connected DC power supply units
US20120313687A1 (en) Connection apparatus
KR101818969B1 (ko) 그리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핫 스왑 장치
US20160322824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hvdc controller
US20140265586A1 (en) Implementation of fire safety shutdown for solar panels with high reliability
EP3451581B1 (en) Switching device
US7793123B2 (en) Redundant power supply system
KR20180096090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CN110112699B (zh) 一种电源瞬断后芯片重新上电的方法及系统
US10855084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for power system inter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