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399B1 -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 Google Patents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399B1
KR101784399B1 KR1020170019664A KR20170019664A KR101784399B1 KR 101784399 B1 KR101784399 B1 KR 101784399B1 KR 1020170019664 A KR1020170019664 A KR 1020170019664A KR 20170019664 A KR20170019664 A KR 20170019664A KR 101784399 B1 KR101784399 B1 KR 10178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mera
layer
flo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주)씨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프로 filed Critical (주)씨프로
Priority to KR102017001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3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내장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검출한 대기압과 온도, 가속도와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한 영상과 함께 획득한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IP 카메라; 및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RTSP 방식으로 변환된 촬영된 영상과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 영상과 층 데이터를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층 구분을 위해 미리 설정된 건물의 최하층 및 최고층의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따르면, 영상을 촬영하는데 있어 층 표시패널을 가리거나 층 표시패널의 고정이나 층이 표시되지 않는 것에 상관없이 층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촬영영역에 층 표시패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므로 촬영영역의 사각지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내에 설치되는 IP 카메라가 독립적으로 층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승강기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카메라 외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 시간도 짧아지게 되는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층 구분을 위해 축적된 딥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처음 IP 카메라를 승강기 내에 설치할 때, 건물에 대한 모든 층의 정보, 층의 개수, 층별 높이, 승강기 속도 등을 입력할 필요 없이 건물의 최하층과 최상층의 정보만을 입력하도록 하는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is install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elevator. The atmospheric pressure, temperature and acceleration detected from the built- An IP camera which acquires information on the travel floor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ppermost layer, converts the travel floo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cquired with the photographed image into an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method, and transmits the RTSP;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converted from the IP camera by the RTSP method and the traveling floo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loor data on a screen, displaying the lowest and highest floor information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client for transmitting to an IP camera.
According to the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floor display panel is fixed or the floor is not displayed or the floor is not display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area,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the floor display panel in the photographing area, so that the blind spot of the photographing area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P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can independently recognize the layer,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device other than the camera without affecting other elevator systems,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travel floor information using the accumulated deep running data for layer classification, so that when the IP camera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for the first time, information of all layers to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only the information of the lowest floor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without inputting the height, the elevator speed, and the like.

Description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본 발명은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IP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에서 나온 3축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승강기의 출발부터 도착까지의 시간을 구한 후,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층 이동시 걸리는 시간을 이동한 층 개수로 분류하고 평균화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축적한 딥 러닝 데이터와 비교하고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여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한 영상과 함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승강기 운행 정보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gravity acceleration using accelerations of three axes originating from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 an IP camera, After calcula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from the start to the arrival of the elevator by using the acceleration, the algorithm for classifying and avera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taken for the layer moving to the number of moved layers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for comparing driving room information of an elevator with an image of an inside of the elevator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client so that elevator driving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에는 승강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는 여러 가지 형태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례로 승강기가 갑자기 멈춤에 따라 사람이 갇히거나, 혼자 탄 사람을 노리는 강도나 여성을 노리는 성추행 사건 등이 빈번해 지고 있다. 이에 방범의 목적이나 범죄자의 사후 추적을 위해, 또는 사건 사고 발생 시의 승강기의 내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CCTV가 설치되고 있으며, CCTV를 설치하여 촬영된 영상은 경비실이나 관리실 등으로 전송되어 그 곳에서 관리되고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buildings. Such an elevator may cause various types of accidents. For example, an elevator suddenly stops, a person is trapped, or a person who intends for a person to be alone, or a sexual harassment case aiming at a woman is frequent. CCTV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rime prevention, the follow-up of criminals, or to ascertain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vator when an incident occurs. The CCTV image is transmitted to the guard room or the management room Managed and monitored.

그러나 승강기에서 사고가 발생됐을 때, 사고가 일어난 승강기의 층수를 알아낼 필요가 있으나, 촬영된 영상만보고 층수를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사고가 끝나고 영상을 다시 돌려보면서 몇 층인지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승강기 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카메라의 경우, 촬영영역이 층 표시패널 부분까지 촬영하도록 설치되고 있어 영상을 보면 몇 층인지 알 수가 있지만 이 방식의 경우 표시패널의 층수 부분이 뚜렷하지 않아 눈으로 구별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when an accident occurs in an elevator,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number of elevators in which an accident occur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number of floors based on only the captured images, and it is also difficult to analyze the floors . In the conventional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the photographing area is provided so as to photograph the floor display panel p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how many layers are seen from the image. However, in this method, the number of layers of the display panel is not clear, There was a problem that inconvenience was followed.

또한, 종래의 승강기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카메라의 경우에도 카메라의 영상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층 표시패널의 값을 수치화 하여 카메라의 영상에 몇 층인지 표시해 주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렇게 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층 표시패널 부분까지 카메라가 촬영하게 되면서 카메라의 바로 아래 부분에 사각지대가 만들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층 표시패널을 가리게 된다면 층을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승강기의 경우에는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에 층 운행정보를 함께 출력하고자 하는 층 운행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승강기의 층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3798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76781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404453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Further, even in the case of other camera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elevator, the technology of displaying the number of layers on the image of the camera by using the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of the camera to digitize the value of the layer display panel is used. However, , A camera is taken up to the floor display panel, and a blind spo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mera. If the floor display panel is covered, the layer may not be know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there is a problem that a device for measuring layer driving information for outputting floor driv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images of the photographed camera needs to be installed separately. As an apparatus for measuring layer information of an elevato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23798,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76781, 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04453 ar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s.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승강기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에 승강기의 층 위치를 표출하기 위해 층 표시패널이 보이게 촬영해 사각지대가 생기는 것, 대기압 및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지만 외부에 다른 추가 장치를 설치해 층을 인식하는 것, 카메라를 구동하기 전 엘리베이터 및 건물 층 정보를 모두 입력해야 하는 것에 관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in which a layer display panel is photographed so as to display a layer position of an elevator on an image taken by a camera of a conventional elevator,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which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having to input both the elevator and building floor information before driving the camera, recognizing the floor by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but installing other additional devices at the outsid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 sens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an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s,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으로서,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내장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검출한 대기압과 온도, 가속도와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한 영상과 함께 획득한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IP 카메라; 및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floor of the elevator is acquired based on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temperature, and the acceleration detected from the built-in sensor and the information of the lowest floor and the highest floor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An IP camera for converting the obtained transport laye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into an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format and transmitting the same; And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RTSP 방식으로 변환된 촬영된 영상과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 영상과 층 데이터를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층 구분을 위해 미리 설정된 건물의 최하층 및 최고층의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IP camera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converted from the IP camera and the traveling floo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loor data on a screen, displays the lowest layer and the highest layer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client for transmitting to a camera.

바람직하게는, 상기 IP 카메라는,Preferably, the IP camera further comprises:

상기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카메라 영상 수신부;A camera image receiving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captured inside the elevator into a digital image;

대기압과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압/온도 센서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대기압/온도 센서와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센서 데이터 중 측정 온도를 이용하여 측정 대기압의 보정을 수행하고, 측정 가속도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설치 기울기에 따른 중력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로 측정한 승강기의 운행 방향 및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구하는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센서 처리부;And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n acceleration, wherein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and the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are used, the measurement atmospheric pressure is corrected using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mong the sensor data detected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 sensor processing unit for calculating an operation direction of the elevator measured by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clination of the camera using the acceleration,

상기 센서 처리부의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이동 층수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이용하여 층 데이터를 구하며, 미리 저장된 대기압과 비교하여 층 데이터를 보정 처리하는 딥 러닝 처리부;A depth learning unit for classifying the time taken for the layer movement of the sensor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ing layers, calculating layer data using the number of moving layers, and correcting the layer data by comparing the time with the previously stored atmospheric pressure;

상기 딥 러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층 데이터를 OSD(On Screen Display) 위치 및 OSD 문자로 설정한 OSD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OSD 처리부;An OSD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OSD setting data in which layer data output from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is set as an OSD (On Screen Display) position and an OSD character;

상기 카메라 영상 수신부의 디지털 영상과 상기 OSD 처리부의 OSD 설정 데이터를 중첩하고 OSD 영상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OSD 영상 생성부;An OSD imag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OSD image by superimposing the digital image of the camera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OSD setting data of the OSD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OSD image;

상기 딥 러닝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분석된 층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와, 상기 OSD 영상 생성부로부터 받은 OSD 영상을 RTSP 메타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여 전송하는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 및An RTSP metadata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analyzed layer data and sensor data received from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and the OSD image received from the OSD image generation unit into RTSP metadata and transmitting the RTSP metadata; And

상기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로부터 전송받은 변환된 RTSP 메타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And an RTSP meta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RTSP metadata received from the RTSP metadata generator to the clien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처리부는,More preferably, the sensor processing unit includes:

상기 대기압/온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측정 온도를 이용하여 측정 대기압을 보정하여 보정 대기압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 대기압을 층별 대기압 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And the correction atmospheric pressure is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measured atmospheric pressure using the measured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처리부는,Still more preferably, the sensor processing unit includes: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3축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운행 방향 및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The gravity acceleration can be calculated using the accelerations of the three axes dete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taken to move the layer can be measured using the calculated gravity acceler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딥 러닝 처리부는,Preferably, the deep-learning processing unit includes:

상기 센서 처리부로부터 산출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이동한 층수에 따라 분류 및 저장하여 층 구분을 위한 딥 러닝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the deep learning data for layer classification by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ime data obtained during the layer movement calculated from the sensor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mov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딥 러닝 처리부는,More preferably, the deep-

상기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한 딥 러닝 데이터의 축적된 정보와, 상기 센서 처리부에서 새로 만들어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했는지를 산출하여 이동 후의 도착 층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alculate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by comparing the accumulated information of the deep learning data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layer moving time data with the time data of the newly created layer moving in the sensor processing unit, have.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딥 러닝 처리부는,Still more preferably, the deep-

상기 층 이동시 변화한 기압을 구하여 미리 저장된 층별 기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하였는지 구한 후, 상기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와 다시 비교하여 같은 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층 데이터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The layer data may be corrected in such a manner as to determine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by comparing the atmospheric pressure with the previously stored layered atmospheric pressure data and then comparing the same with the time data at the time of layer transfer to determine the s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라이언트는,Advantageously, the client comprises:

카메라 설정 및 승강기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의 딥 러닝 처리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부; 및A user setting unit for setting camera settings and information of the lowest layer and the highest layer of the elevator and transmitting the set information to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of the IP camera; And

상기 IP 카메라의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수신된 RTSP 메타 데이터를 분류하여 화면에 영상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를 표출하는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되,And an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for classifying the RTSP metadata received from the RTSP metadata transmitting unit of the IP camera and displaying image data and sensor data on a screen,

상기 클라이언트는,The client includes:

사용자 환경 설정부 및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웹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 mobile client having a user environment setting unit and a video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and a web clien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따르면,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IP 카메라를 구비하되, IP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에서 나온 3축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승강기의 출발부터 도착까지의 시간을 구한 후,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층 이동시 걸리는 시간을 이동한 층 개수로 분류하고 평균화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축적한 딥 러닝 데이터와 비교하여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고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한 영상과 함께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승강기 운행 정보가 인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하는데 있어 층 표시패널을 가리거나 층 표시패널의 고정이나 층이 표시되지 않는 것에 상관없이 층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촬영영역에 층 표시패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되므로 촬영영역의 사각지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P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and capturing an image is provided. In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alculate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using the calculated gravitational acceleration to determin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from the departure to the arrival of the elevator and then classifi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taken to move the floor to the number of moved floors The algorithm of the averaging algorithm is applied to compare the accumulated running data with the accumulated deep running data to acquire the operating laye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nd transmit the image of the inside of the elevator to the client so that the elevator driving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e floor display panel is covered or the floor display panel is fixed or the floor Sinc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a layer, regardless of whether that is not visible and do not need to include this layer display panel on the recording region through can allow the blind spot of the recording area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내에 설치되는 IP 카메라가 독립적으로 층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승강기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카메라 외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 시간도 짧아지게 되는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P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can independently recognize the layer,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device other than the camera without affecting other elevator systems,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shorten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층 구분을 위해 축적된 딥 러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처음 IP 카메라를 승강기 내에 설치할 때, 건물에 대한 모든 층의 정보, 층의 개수, 층별 높이, 승강기 속도 등을 입력할 필요 없이 건물의 최하층과 최상층의 정보만을 입력하도록 하는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travel floor information using the accumulated deep running data for layer classification, so that when the IP camera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for the first time, information of all layers to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inputting only the information of the lowest floor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without inputting the height, the elevator speed,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의 개념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운행 시, 승강기의 운행방향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의 중력 가속도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1층 이동, 2층 이동, 5층 이동시에 출력되는 중력 가속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가 여러 층을 이동했을 시에 그 층 이동수에 따라 걸린 시간을 분류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대기압의 데이터를 보정한 결과의 보정 대기압의 데이터를 분류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적용되는 IP 카메라의 딥 러닝 처리부에서 층 이동 시간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data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whe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is raised or lower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which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4 is a graph showing gravitational acceleration output during one-layer, two-layer, and five-layer movements of an elevator to which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rawing.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classifying a time taken depending on the number of layers when an elevator to which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oves several layers drawing.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data obtained by correcting the data of the atmospheric pressure us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vator to which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lassifying and storing layer movement time in a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of an IP camera applied to a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의 개념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은, IP 카메라(100), 및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ceptual structure of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 lift camera used. 1 and 2,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P camera 100 and a client 200 Lt; / RTI >

IP 카메라(100)는,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내장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검출한 대기압과 온도, 가속도와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한 영상과 함께 획득한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방식으로 변환하여 후술하게 될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는 카메라 장치의 구성이다. 이러한 IP 카메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카메라 영상 수신부(110)와, 대기압과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압/온도 센서(121)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22)를 구비하며, 대기압/온도 센서(121)와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검출된 센서 데이터 중 측정 온도를 이용하여 측정 대기압의 보정을 수행하고, 측정 가속도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설치 기울기에 따른 중력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에 의한 운행 방향 및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구하는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센서 처리부(120)와, 센서 처리부(120)의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이동 층수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이용하여 층 데이터를 구하며, 미리 저장된 대기압과 비교하여 층 데이터를 보정 처리하는 딥 러닝 처리부(130)와, 딥 러닝 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층 데이터를 OSD(On Screen Display) 위치 및 OSD 문자로 설정한 OSD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OSD 처리부(140)와, 카메라 영상 수신부(110)의 디지털 영상과 OSD 처리부(140)의 OSD 설정 데이터를 중첩하고 OSD 영상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OSD 영상 생성부(150)와, 딥 러닝 처리부(130)로부터 전송받은 분석된 층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와, OSD 영상 생성부(150)로부터 받은 OSD 영상을 RTSP 메타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여 전송하는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160), 및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160)로부터 전송받은 변환된 RTSP 메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는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IP camera 100 is install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elevator and acquires the operating floo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on the basis of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temperature, the acceleration detected from the built-in sensor, and the information of the lowest floor and the highest floor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And converts the travel floo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cquired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into a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method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lien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2, the IP camera 100 includes a camera image receiving unit 110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photographed inside the elevator into a digital image, an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for measuring atmospheric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122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and performs correction of the measurement atmospheric pressure using the measurement temperature among the sensor data detected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2, A sensor processing unit 120 for performing an arithmetic operation to obtain a driving direction and a time taken to move the floor due to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gravitational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amera, A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for classifying the layer data, calculating layer data using the data, and comparing the layer data with the previously stored atmospheric pressure, An OSD processing unit 140 for transmitting OSD setting data in which the layer data output from the OSD processing unit 130 is set as an OSD (On Screen Display) position and an OSD character, a digital image of the camera image receiving unit 110, An OSD image generation unit 150 for superimposing the OSD setting data of the OSD setting data on the OSD image data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SD image to the OSD setting data received from the OSD image generating unit 150, An RTSP metadata generation unit 160 that converts the OSD image into RTSP metadata and transmits the RTSP metadata to the client 200 and an RTSP metadata transmission unit 160 that transmits the converted RTSP metadata received from the RTSP metadata generation unit 160 to the client 200 (170). ≪ / RTI >

여기서, 가속도 센서(122)는 승강기의 층을 인식하기 위해 IP 카메라(100) 내부에 장착되며, IP 카메라(100)에 설치된 위치의 3축에 관한 가속도 데이터를 센서 처리부(120)로 출력하게 되고, 센서 처리부(120)에서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고 승강기의 이동시 중력 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승강기의 운행 방향, 승강기의 운행 시 걸린 시간을 구하게 된다. 일반적인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축의 개수가 3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 축들은 각각 x, y, z 축으로 나뉘고, 여기서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축을 골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3개의 축을 사용하면 3축 가속도 센서가 되고, 2개의 축을 사용하면 2축 가속도 센서 그리고 1개의 축을 사용하면 1축 가속도 센서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데 있어, 승강기의 경우에는 상하 수직 운동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1축 가속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카메라의 움직임과, 카메라의 설치 방향에 따라 가속도 센서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3축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3축 가속도센서를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센서(122)를 IP 카메라(100)의 내부에 장착하고, 카메라를 승강기의 방향에 상관없이 설치 시, 승강기의 수직이동에 따른 가속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측정한 3축의 가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를 측정한 후 중력 가속도가 수직으로 이동했을 시만 승강기가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acceleration sensor 122 is installed inside the IP camera 100 to recognize the layer of the elevator, and outputs the acceleration data about the three axes of the position provided in the IP camera 100 to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measures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measures a change in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when the elevator is moved to calculat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taken to operate the elevator. In a typical acceleration sensor, the number of axes for measuring acceleration is divided into three axes, which are divided into x, y, and z axes, respectively. In this case, if three axes are used, it become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f two axes are used, a two-axis acceleration sensor and one axis can be used as a one-axis acceleration sensor. In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ne-axis acceleration sensor because the elevator uses only the up-and-down vertical motion. However, since the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mera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amera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ll three ax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celeration sensor 122 is installed inside the IP camera 100 and the camera is install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elevator,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used so that the acceleration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 The gravity acceleration is measured using the measured acceleration data of the three axes, and the elevator is operated only when the gravity acceleration has moved vertically.

즉, 센서 처리부(120)는 대기압/온도 센서(121)로부터 검출된 측정 온도의 경우 측정 대기압을 보정하여 보정 대기압을 산출하고, 보정 대기압을 층별 대기압 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처리부(120)는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검출된 3축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운행 방향 및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may calculate the corrected atmospheric pressure by correcting the measured atmospheric pressure in the case of the measured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and store the corrected atmospheric pressure as the atmospheric pressure data for each layer.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may calculate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using the accelerations of the three axes dete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122, and measur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taken to move the layer using the calculated gravitational acceleration.

또한, 딥 러닝 처리부(130)는 센서 처리부(120)로부터 산출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이동한 층수에 따라 분류 및 저장하여 층 구분을 위한 딥 러닝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딥 러닝 처리부(130)는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한 딥 러닝 데이터의 축적된 정보와, 센서 처리부(120)에서 새로 만들어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했는지를 산출하여 이동 후의 도착 층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ep learning processor 130 may accumulate deep learning data for layer classification by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ime data calculated during the layer movement calculated from the sensor processor 1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moved. Also, the deep learning processor 130 compares the accumulated information of the deep learning data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layer moving time data with the time data of the newly created layer moving in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to determine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And the arrival layer data after the movement can be obtained.

또한, 딥 러닝 처리부(130)는 층 이동시 변화한 기압을 구하여 미리 저장된 층별 기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하였는지 구한 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와 다시 비교하여 같은 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층 데이터를 보정 처리할 수 있다.
The depth learning processor 130 obtains the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changed at the time of layer movement and compares the atmospheric pressure with the stored atmospheric pressure data stored in advance to determine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Then, the depth learning processor 130 compares the time data Correc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이러한 딥 러닝 처리부(130)는 기존의 층 표시장치에 필요한 가속도 센서의 동작방향, 승강기의 기준층, 각 층별 층고 높이, 승강기의 이동속도 등과 같은 초기 입력정보를 최대한 줄이고, 이러한 정보들을 딥 러닝을 통해서 얻기 위한 처리부로써, 최소한의 딥 러닝에 필요한 정보를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최상층과 최하층의 정보를 수신하여 최상층과 최하층을 설정하고 있다. 즉,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의 정보를 설정하지 않으면 딥 러닝 하여 10개의 층을 구분하였다고 하더라도, 1층에서 10층까지인지 또는 지하 3층에서 7층까지 인지를 구분하기가 어려울 수가 있다. 즉, 딥 러닝 처리부(130)는 센서 처리부(120)로부터 연산되어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받아 저장하는 것을 기초로 하며, 이동한 층수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데이터를 축적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한 층수에 따라 분류를 하는 이유는, 방향성에 상관없이 매번 층 이동을 할 때 생겨나는 데이터이고, 승강기의 속도 또한 크게 변화가 없어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가 층수에 따라 비슷하게 나오게 되므로, 센서 처리부(120)에서 새로 만들어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와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했는지 확인 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이동 후의 층 데이터를 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deep learning processor 130 minimizes the initial input information such as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 reference height of the elevator, the elevation height of each floor, the moving speed of the elevator, and the like,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are set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from the client 200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minimum depth running. In other words, if the top and bottom layers of the building are not set up, even if 10 layers are divided by deep running,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layers from the 1st floor to the 10th floor or from the 3rd floor to the 7th floor. That is,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classifies and stores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moved, and stores data based on the time data receiv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layer calculated from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Here, the reason for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moved is data generated when layer movement is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ality, and the speed of the elevator does not greatly change. Time data during layer movement is similar to the number of layers, It is possible to check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by comparing with the time data of the newly created layer in the processing unit 120, so that the layer data after the movement can be obtained.

또한, 딥 러닝 처리부(130)는 시작 층에서 도착 층으로 몇 층을 이동했는지가 구해지면 그 이동한 층만큼의 기압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구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층별 기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하였는지 구한 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로 구한 층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으로 층 데이터를 보정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hen the depth learning processor 130 determines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from the start layer to the arrival layer, the depth learning processor 130 determines how much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moved layer has changed and compares it with the previously stored atmospheric pressure data, The layer data is compared with the layer data obtained by the time data taken at the time of layer transfer, so that the layer data can be corrected and the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또한, OSD 처리부(140)는 딥 러닝 처리부(130)에서 출력하는 층 데이터를 바탕으로 OSD 문자, 화면의 출력위치, 및 문자의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SD processing unit 140 can set the OSD character, the output position of the screen, and the size of the character based on the layer data output from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클라이언트(200)는, IP 카메라(100)로부터 RTSP 방식으로 변환된 촬영된 영상과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 영상과 층 데이터를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층 구분을 위해 미리 설정된 건물의 최하층 및 최고층의 정보를 IP 카메라(100)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을 위한 단말 구성이다. 이러한 클라이언트(200)는 카메라 설정 및 승강기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를 IP 카메라(100)의 딥 러닝 처리부(130)로 전송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부(203)와, IP 카메라(100)의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170)로부터 수신된 RTSP 메타 데이터를 분류하여 화면에 영상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를 표출하는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200)는 IP 카메라(100)와 접속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 환경 설정부(203) 및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204)를 구비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201)와 웹 클라이언트(202)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200)는 IP 카메라(100)에서 전송되는 RTSP 메타 데이터의 OSD 영상과 센서데이터, 및 연산 데이터를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204)의 원격 영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 환경 설정부(203)에서는 IP 카메라(100)의 딥 러닝 처리부(130)에 데이터 누적의 범위를 위해 최상층, 최하층과 같은 환경 설정을 하고, 그 설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The client 200 receives the photographed image converted from the IP camera 100 by the RTSP method and the travel floo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loor data on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lowest layer and the highest layer to the IP camera 100. FIG. The client 200 includes a user environment setting unit 203 for setting camera settings and information of the lowest and highest layers of the elevator and transmitting the set information to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of the IP camera 100, And an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204 for classifying the RTSP metadata received from the RTSP metadata transmitting unit 17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isplaying image data and sensor data on the screen. The client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lient 201 and the web client 202 having the user environment setting unit 203 and the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204 according to a method connected to the IP camera 100 Respectively. That is, the client 200 can monitor the OSD image, the sensor data, and the calculation data of the RTSP metadata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as a remote image of the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204, Unit 203 performs environment setting such as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for the range of data accumulation in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of the IP camera 100 and transmits the set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운행 시, 승강기의 운행방향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의 중력 가속도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1층 이동, 2층 이동, 5층 이동시에 출력되는 중력 가속도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승강기가 운행했을 시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검출되는 3축의 가속도를 중력 가속도로 연산 후 승강기의 운행방향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승강기가 1층 이동, 2층 이동, 5층 이동시에 출력되는 중력 가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은 가속도 센서(122)만을 이용해서 승강기의 운행 방향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하강 시에는 중력 가속도가 낮아졌다가 높아지고, 상승 시에는 중력 가속도가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가 어느 방향으로 운행하는지를 중력 가속도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승강기가 여러 층을 이동했을 시 가속도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1층을 이동 했을 시 그래프와, 2층을 이동 했을 시의 그래프의 차이를 보면, 중력 가속도가 하강하고 상승하는 부분에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부분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5층을 한 번에 이동한 그래프를 보면 등가속도 운동을 하는 부분이 길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의 x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음으로 여러 층을 이동했을 시 그 층 이동수에 비례해서 시간이 늘어난다고 할 수 있다. 즉, 층 이동 시간에 따라 몇 층을 이동했는지 알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서 층 이동 시간을 분류해 저장하고 승강기의 운행 시 걸리는 시간을 비교하여 층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FIG. 3 is a graph showing data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whe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is raised or lower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which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output from one-layer, two-layer, and five-layer movements of the elevator in which the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graph. 3 is a graph showing data whe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is raised or lowered after calculating acceleration of three axes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22 when the elevator is operated by gravity acceleration, Gravity acceleration output at the time of one-layer movement, two-layer movement, and five-layer movement is shown in a graph. That is, FIG. 3 is a graph for explaining that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elevator can be determined using only the acceleration sensor 122. It is seen that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lowered at the time of descent and is increased,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increased and decreased at the time of ascending. . Therefo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or travels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FIG. 4 is a graph for explaining a change in acceleration when the elevator moves in several layers. As shown in FIG. 4, when the graph of the first floor moves and the graph of the second floor moves, And the part where the equivalent speed motion is generated in the rising part can be seen. It can be seen from the graph that the 5th floor is moved at once that the part that performs the equivalent speed motion is longer. Here, since the x-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ime, it can be said that when moving several layers, the tim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layer move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know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according to the layer moving time, and accordingly, the layer moving time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and the layer can be recognized by comparing the time taken for the driving of the elevato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가 여러 층을 이동했을 시에 그 층 이동수에 따라 걸린 시간을 분류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5는 승강기가 여러 층을 이동했을 시 그 층 이동수에 따라 걸린 시간을 분류한 그래프로서, 중력 가속도의 그래프를 보면 승강기가 움직였을 시 그래프의 최대 상승과 최대 하강 값이 거의 일정한 것을 볼 수가 있다.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승강기가 상승 시에는 중력 가속도가 일정 값 이상이 증가하면 출발했다고 가정하여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고, 중력 가속도가 일정 값 이하를 감소하면 도착했다고 가정하여 시간 측정을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하강 시에는 상승 시와 반대로 측정을 하게 된다. 이렇게 시간측정을 하게 되면 층 이동 시간 그래프가 나오게 되는데 층 이동수에 따라 시간이 차이가 나 몇 층을 이동했는지 알 수가 있다.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a time classifying a time taken depending on the number of layers when an elevator to which a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oves several layers FIG. That is, FIG. 5 is a graph that classifies the time taken depending on the number of layer movements when the elevator moves on several layers. In the graph of gravity acceleration, it is seen that the maximum rise and the maximum fall values of the graph are almost constant when the lift is moved have. On the basis of this, when the elevator ascends, the time starts to be measur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cceleration of the gravity starts to increase when the acceleration exceeds a certain value, and the time measurement is terminated assuming that the gravity acceleration has arrived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In the case of falling,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in reverse to the rising time. When the time is measured, the layer movement time graph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know how many layers have moved due to the number of layer movement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이 적용된 승강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대기압의 데이터를 보정한 결과의 보정 대기압의 데이터를 분류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대기압의 데이터를 보정해서 나온 대기압의 데이터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중력 가속도 그래프의 경우에는 승강기의 운행방향과, 층 및 층수 구분을 하기위해서는 직접 연산하고 비교해야 구별을 할 수 있지만, 도 6의 대기압 그래프의 경우에는 운행방향의 경우 그래프만 봐도 알 수 있고, 층 및 층수 구분의 경우에도 일정한 간격으로 층이 구분되기 때문에 쉽게 연산 없이 비교하여 구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층수를 구하는 경우에는 시간에 따라 대기압의 값이 바뀌기 때문에 가속도를 이용해 나온 층 데이터와 대기압으로 구한 층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data obtained by correcting the data of the atmospheric pressure us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vator to which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6 is a graph showing atmospheric pressure data obtained by correcting the atmospheric pressure data using a temperature sensor. In the case of the gravity acceleration graph of FIG. 5,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number of layers and the number of floors can be directly calculated and compar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atmospheric pressure graph of FIG. 6, In the case of the layer and the number of layers, since the layers are separated at regular intervals, they can be easily compared without calculation. However, in the case of obtaining the number of layers based on the atmospheric pressure, since the value of the atmospheric pressure changes with time, the layer data obtained by using the acceleration and the layer data obtained by the atmospheric pressure are compared and us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적용되는 IP 카메라의 딥 러닝 처리부에서 층 이동 시간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딥 러닝 처리부(130)에서 층 이동 시간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리스트의 경우, 클라이언트(200)의 사용자 환경 설정부(203)에서 IP 카메라(100)의 딥 러닝 처리부(130)로 전송한 최상층과 최하층 정보에 의해 개수를 정하고 미리 생성해 층 이동시 걸리는 시간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력 가속도를 이용해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이 생성된 후 저장할 리스트가 비어 있는지 확인(S300)을 하게 된다. 이때, 리스트가 비어있다면 해당 리스트에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삽입(S310)하고, 해당 리스트에 무언가 채워져 있다면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이 해당리스트에 들어있는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의 최소시간의 -1보다 크거나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의 최대시간의 +1보다 작은지 비교(S320)를 하게 된다. 이때, 비교(S320)의 결과로, 해당 리스트에 분류되어있는 층 이동시 걸린 시간과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이 같은 층수 이동을 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기 위함이고, 이 범위 안에 포함된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은 해당 리스트의 층 이동시 걸린 평균 시간의 -2보다 크고 층 이동시 걸린 평균 시간의 +2보다 작은지 다시 비교(S330)하게 된다. 이때, 비교(S330)의 경우,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이 해당 범위 안에 들어가면 리스트에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삽입(S340)한다. 또한, 리스트에 데이터를 삽입(S310, S340)한 후 리스트의 데이터가 1개 이상인지 비교(S350)후 층 이동시 걸린 최소시간에 리스트의 최솟값, 층 이동시 걸린 최대시간에 리스트의 최댓값, 층 이동시 걸린 평균시간에 리스트의 평균값을 넣어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이 포함된 값으로 갱신(S360) 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비교(S320)에서 해당 범위에 포함되지 못했을 시 이전 층 이동시 걸린 시간과 생성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의 차가 -1.5보다 크고 1.5보다 작은지 비교(S370)하고, 이 범위에 포함이 되면 현재 리스트는 새로운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이 들어갈 리스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의 리스트로 이동(S380)하며, 리스트가 비어있는지 비교(S300)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각 비교(S330, S350, S370)의 해당범위에 포함되지 않을시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가 리스트에 저장하기에 올바르지 않은 데이터로 인식하고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새로 받아 반복적으로 저장 처리하게 된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lassifying and storing layer movement time in a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of an IP camera applied to a laye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7 shows a flow of a process of classifying and storing layer movement time in the deep-learning processing unit 130. FIG. In the case of the list, the number is determined by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environment setting unit 203 of the client 200 to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of the IP camera 100, So that it can be stored. After the time taken to move the layer using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is generated, it is checked whether the list to be stored is empty (S300). If the list is empty, the time taken to move the layer created in the list is inserted (S310). If the list is filled with something, the time taken to move the created layer is set to -1, which is the minimum time (S320), whic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of the maximum time of the time taken to move the floor. At this tim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320), it is checked whether the time taken for the layer movement classified in the corresponding list and the time taken for the generated layer movement are the same number of layer movements. The hanging time is again compared (S330) whether it is larger than -2 of the average time of the layer movement in the list and smaller than +2 of the average time of the floor movement.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comparison (S330), if the time taken to move the generated layer falls within the applicable range, a time for moving the layer is inserted in the list (S340). In addition, after inserting data into the list (S310, S3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more than one data in the list (S350),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list in the minimum time of the layer shift, the maximum value of the list in the maximum time of the layer shift, The average value of the list is added to the average time, and the updated time is updated to a value including the time taken to move the created layer (S360). If it is not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range in step S3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aken to move the previous layer and the time taken to move the created layer is greater than -1.5 and smaller than 1.5 (S370)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list in which the time taken for moving the new layer is to be moved, and it is moved to the next list (S380), and the comparison is made whether the list is empty (S300). If it is not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range of the comparison (S330, S350, S370), the time data on the floor movement is recognized as invalid data to be stored in the list, and the time taken for the floor movement is newly received and stored repeated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에 따르면, 승강기 내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IP 카메라를 구비하되, 승강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대기압 및 가속도 센서를 내장하여 카메라 내부에서 층 운행 정보를 구분하여 별도의 층 측정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P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and capturing an image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in which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are incorporated so that floor driving information is separated from inside a camera and a separate floor measuring device is not install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100: IP 카메라
110: 카메라 영상 수신부
120: 센서 처리부
121: 대기압/온도 센서
122: 가속도 센서
130: 딥 러닝 처리부
140: OSD 처리부
150: OSD 영상 생성부
160: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
170: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
200: 클라이언트
201: 모바일 클라이언트
202: 웹 클라이언트
203: 사용자 환경 설정부
204: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
100: IP camera
110: camera image receiving unit
120: Sensor processor
121: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2: Accelerometer
130: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40: OSD processing section
150: OSD image generating unit
160: RTSP meta data generation unit
170: RTSP metadata transmission unit
200: Client
201: Mobile client
202: Web client
203: User environment setting section
204: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Claims (8)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으로서,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내장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검출한 대기압과 온도, 가속도와 상기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한 영상과 함께 획득한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IP 카메라(100); 및
상기 IP 카메라(100)로부터 RTSP 방식으로 변환된 촬영된 영상과 승강기의 운행 층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 영상과 층 데이터를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층 구분을 위해 미리 설정된 건물의 최하층 및 최고층의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100)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IP 카메라(100)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를 촬영한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카메라 영상 수신부(110);
대기압과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압/온도 센서(121)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22)를 구비하며, 상기 대기압/온도 센서(121)와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검출된 센서 데이터 중 측정 온도를 이용하여 측정 대기압의 보정을 수행하고, 측정 가속도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설치 기울기에 따른 중력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로 측정한 승강기의 운행 방향 및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구하는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센서 처리부(120);
상기 센서 처리부(120)의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이동 층수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이용하여 층 데이터를 구하며, 미리 저장된 대기압과 비교하여 층 데이터를 보정 처리하는 딥 러닝 처리부(130);
상기 딥 러닝 처리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층 데이터를 OSD(On Screen Display) 위치 및 OSD 문자로 설정한 OSD 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OSD 처리부(140);
상기 카메라 영상 수신부(110)의 디지털 영상과 상기 OSD 처리부(140)의 OSD 설정 데이터를 중첩하고 OSD 영상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OSD 영상 생성부(150);
상기 딥 러닝 처리부(130)로부터 전송받은 분석된 층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와, 상기 OSD 영상 생성부(150)로부터 받은 OSD 영상을 RTSP 메타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여 전송하는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160); 및
상기 RTSP 메타 데이터 생성부(160)로부터 전송받은 변환된 RTSP 메타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는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an elevator camera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floor of the elevator is acquired based on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temperature, and the acceleration detected from the built-in sensor and the information of the lowest floor and the highest floor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An IP camera 100 for converting the obtained transport laye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into an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method and transmitting the transport layer information; And
The photographed image converted from the IP camera 100 and the operating layer information of the elevator are receiv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layer dat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 lowest layer and the highest layer information To the IP camera (100), wherein the client (200)
The IP camera (100)
A camera image receiving unit 110 for converting an analog image captured inside the elevator into a digital image;
Temperature sensor 121 and an acceleration sensor 122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2.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measures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temperature, And a sensor processing unit 120 for performing an arithmetic process of calculat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a time taken to move the floor measured by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clination of the camera using the measurement acceleration );
A deep processing unit 130 for classifying the time taken for the layer movement of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ing layers, calculating the layer data using the number of moving layers, and correcting the layer data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atmospheric pressure;
An OSD processing unit 140 for transmitting OSD setting data in which layer data outputted from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is set as an OSD (On Screen Display) position and an OSD character;
An OSD image generation unit 150 for superimposing the digital image of the camera image receiving unit 110 and the OSD setting data of the OSD processing unit 140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SD image;
An RTSP metadata generation unit 160 for converting the analyzed layer data and sensor data received from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and the OSD image received from the OSD image generation unit 150 into RTSP metadata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RTSP metadata; And
And an RTSP metadata transmitting unit 170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RTSP metadata received from the RTSP metadata generating unit 160 to the client 200.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처리부(120)는,
상기 대기압/온도 센서(121)로부터 검출된 측정 온도를 이용하여 측정 대기압을 보정하여 보정 대기압을 산출하고, 상기 보정 대기압을 층별 대기압 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the atmospheric pressure / temperature sensor 121,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처리부(120)는,
상기 가속도 센서(122)로부터 검출된 3축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중력 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운행 방향 및 층 이동시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Wherein the gravity acceleration is calculated using the accelerations of the three axes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22),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and the time taken to move the layer are measured using the calculated gravity acceleration A layered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elevator camera using.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딥 러닝 처리부(130)는,
상기 센서 처리부(120)로부터 산출된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이동한 층수에 따라 분류 및 저장하여 층 구분을 위한 딥 러닝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deep learning processor (13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ep of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ime data taken at the time of layer movement calculated from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ed layers accumulates the deep learning data Information-aware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딥 러닝 처리부(130)는,
상기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한 딥 러닝 데이터의 축적된 정보와, 상기 센서 처리부(120)에서 새로 만들어진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했는지를 산출하여 이동 후의 도착 층 데이터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deep-learning processor (130)
The accumulated information of the deep running data classified by storing the time data of the layer movement is compared with the time data of the newly created layer moved by the sensor processing unit 120 to calculate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Wherein the flo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acceleration sens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딥 러닝 처리부(130)는,
상기 층 이동시 변화한 기압을 구하여 미리 저장된 층별 기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몇 층을 이동하였는지 구한 후, 상기 층 이동시 걸린 시간 데이터와 다시 비교하여 같은 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층 데이터를 보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deep-learning processor (130)
The layer data is corrected by calculating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he layer movement and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layered atmospheric pressure data to determine how many layers have been moved and then comparing the time data with the time data at the time of layer movement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카메라 설정 및 승강기의 최하층과 최고층의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100)의 딥 러닝 처리부(130)로 전송하는 사용자 환경 설정부(203); 및
상기 IP 카메라(100)의 RTSP 메타 데이터 전송부(170)로부터 수신된 RTSP 메타 데이터를 분류하여 화면에 영상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를 표출하는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204)를 포함하되,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 환경 설정부(203) 및 영상 표출 및 데이터 처리부(204)를 구비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201)와 웹 클라이언트(20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카메라의 층 운행정보 인지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lient (200)
A user setting unit 203 for setting camera settings and information of the lowest layer and the highest layer of the elevator and transmitting the set information to the deep learning processing unit 130 of the IP camera 100; And
And an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204 for classifying the RTSP metadata received from the RTSP metadata transmitting unit 170 of the IP camera 100 and displaying image data and sensor data on the screen,
The client (200)
The mobile client 201 and the web client 202 including the user environment setting unit 203 and the image display and data processing unit 204 are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camera us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acceleration sensor. Driv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KR1020170019664A 2017-02-13 2017-02-13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KR101784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64A KR101784399B1 (en) 2017-02-13 2017-02-13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64A KR101784399B1 (en) 2017-02-13 2017-02-13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399B1 true KR101784399B1 (en) 2017-10-17

Family

ID=6029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664A KR101784399B1 (en) 2017-02-13 2017-02-13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39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2199B2 (en) 2019-03-28 2020-11-03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fusion of acceleration sensor and air pressure sensor information to estimate elevator floor level and position
KR102422018B1 (en) * 2021-02-08 2022-07-15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s for to Reduce Accumulated Error of Elevator Travel Distance through Moving Average Filter
KR20220101447A (en) 2021-01-11 2022-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floor recognition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geomagnetic field
KR20220111437A (en) * 2021-02-02 2022-08-0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s of calculating for elevator travel distance through acceleration sensor
CN117735352A (en) * 2024-01-26 2024-03-22 广州励心物联科技有限公司 Elevator running direction judging method, system and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53B1 (en) * 2013-05-24 2014-06-10 씨아이즈주식회사 Elevator floor indicator for CCTV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53B1 (en) * 2013-05-24 2014-06-10 씨아이즈주식회사 Elevator floor indicator for CCTV camer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22199B2 (en) 2019-03-28 2020-11-03 Otis Elevator Company Sensor fusion of acceleration sensor and air pressure sensor information to estimate elevator floor level and position
KR20220101447A (en) 2021-01-11 2022-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floor recognition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geomagnetic field
KR20220111437A (en) * 2021-02-02 2022-08-0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s of calculating for elevator travel distance through acceleration sensor
KR102455746B1 (en) 2021-02-02 2022-10-17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s of calculating for elevator travel distance through acceleration sensor
KR102422018B1 (en) * 2021-02-08 2022-07-15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s for to Reduce Accumulated Error of Elevator Travel Distance through Moving Average Filter
CN117735352A (en) * 2024-01-26 2024-03-22 广州励心物联科技有限公司 Elevator running direction judging method, system and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399B1 (en) A floor operating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of elevator camera using atmospheric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
JP6845307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02348102B (en) Roof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043430A (en) Method and system for observation
JP2014028667A (en) Escalator monitoring system
JP44300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rveillance camera, and image surveillance system
US20130293721A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4687058B2 (en) Suspicious person judgment device
JP2010283432A (en) Frame rate controller, and imaging apparatus
JP4266179B2 (en) Inspection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 in elevator car
JP2011093514A (en) Safety device for platform door
JP2005263421A5 (en)
JP669917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TWI471825B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of a roof
KR101874639B1 (en) CCTV camera device for elevators using motion sensor
KR100930528B1 (en) Measuring device for putter speed and putter including the same and measuring method for putter speed
KR20160025224A (en) Device And System For Elevator Abnormal Operation Detection
KR1021071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Event by Using Pan-Tilt-Zoom Camera
JP2006211696A (en) Object detecting method and object detecting system
JP6514729B2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position estimation method, and position estimation program
JPWO2020075251A1 (en) Inspection equipment and inspection system with the function of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elevator hoistway
JP5653093B2 (en) Railway vehicle door safety confirmation device
JP5138554B2 (en) Elevating state monitoring system, elevating stat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JP2008225803A (en) Monitoring area setting apparatus
KR100897914B1 (en) Stereo vision based monitoring system in railway sta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