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263B1 -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263B1
KR101783263B1 KR1020150179075A KR20150179075A KR101783263B1 KR 101783263 B1 KR101783263 B1 KR 101783263B1 KR 1020150179075 A KR1020150179075 A KR 1020150179075A KR 20150179075 A KR20150179075 A KR 20150179075A KR 101783263 B1 KR101783263 B1 KR 101783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lid
sensing
information
digit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114A (ko
Inventor
원윤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2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5Indicating that frequency of pulses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by making use of non-linear or digital elements (indicating that pulse width is above or below a certain lim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26Measuring noise figure; Measuring signal-to-noise rati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의 개폐가 가능한 뚜껑, 상기 뚜껑과 맞닿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석, 상기 뚜껑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감긴 코일 및 상기 뚜껑이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PRODUCT USAGE}
본 발명은 뚜껑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 기술은 여러가지 응용 기술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개념적으로는 ‘지능화된 사물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 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로 정의되고 있다.
즉, IoT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인터넷을 매개로 주위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서로 정보를 생성, 수집, 공유, 활용하는 초연결 사물 인터넷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 등에게는 제품 생산 및 마케팅 활동을 위해 소비자의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언제, 어디서 소비자들이 제품을 사용하는지에 관한 소비자의 활동을 알 수 있다면, 기업 등은 제품의 생산량을 조절하거나 한정된 마케팅 자원을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
Io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IoT 시스템에 의해 소비자들의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IoT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플랫폼(Platform), 네트워크(Network) 및 사물(Thing)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에 기반을 둔 산업, 개인 및 공공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기술이다.
플랫폼은 서비스 프레임워크(service framework) 및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간의 활용 정보를 지원하는 기반 플랫폼에 관한 기반 기술이다.
네트워크는 서비스와 디바이스 간의 효과적인 실시간 연결을 지원하는 통신 기술이다. 그리고 사물은 관련된 서비스를 센싱 또는 액츄에이팅하는 디바이스 기술이다.
이와 같이 IoT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IoT 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한정된 자원을 집중 투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언제, 어디서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제품 사용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기업 등이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1782호(발명의 명칭: 사물의 식별코드를 이용한 사물과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는 등록자 단말기로부터의 등록 요청 신호를 받아 등록하고자 하는 사물에 식별코드를 부여해주는 등록서버; 상기 등록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데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식별코드와의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식별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등록한 등록자 단말기와 정보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 시켜주는 중앙제어서버;를 포함하는 사물과의 통신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뚜껑 및 본체로 형성된 제품의 용기에 포함된 자석 및 코일을 이용하여 제품 사용을 감지할 수 있는 제품 사용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의 개폐가 가능한 뚜껑, 상기 뚜껑과 맞닿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석, 상기 뚜껑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감긴 코일 및 상기 뚜껑이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또는 뚜껑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품 사용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기 설정된 범위와 반대되는 극성에 해당하는 감지 신호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링된 감지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뚜껑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뚜껑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에 따라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제품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제품의 종류, 제품의 시리얼 넘버, 제품의 개폐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량 정보,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의 내부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시스템(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중계기(10, 20),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 서버(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제품 사용 감지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UNB(Ultra Narrow-Band),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는 본체(110)와 뚜껑(120)으로 구성된 용기 형태로서, 자석(115) 및 코일(125)을 포함한다.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는 뚜껑(120)이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코일(1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뚜껑(120)의 열림 동작 또는 닫힘 동작을 감지하며, 이와 같은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로부터 제품의 종류, 제품의 시리얼 넘버 및 제품의 개폐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지역별 사용량 정보, 시간별 사용량 정보, 제품별 사용량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서버(200)에 의해 분석된 제품의 지역별 사용량 정보, 시간별 사용량 정보, 제품별 사용량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3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즉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의 내부 회로(13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는 본체(110), 뚜껑(120), 자석(115), 코일(125) 및 내부회로(130)에 포함된 감지부(131)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120)은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110)와의 개폐가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는 본체(110)와 뚜껑(120)을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110)와 뚜껑(120)은 직육면체,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본체(110)와 뚜껑(120)은 나선형 타입의 결합부를 통해 뚜껑(120)이 개폐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밖에 걸림턱에 의해 개폐되는 형상 등 뚜껑(120)이 개폐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120)에는 측면 둘레를 따라 코일(125)이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은 코일(125)은 뚜껑(12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감겨있을 수 있으며, 이때 코일(125)은 둘레를 따라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120)과 맞닿는 본체(110)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115)이 배치되어 있다.
내부회로(130)에 포함된 감지부(131)는 뚜껑(120)이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코일(1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즉,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Flemming’s Right Hand Rule)에 따라 뚜껑(120)이 열리거나 닫히는 순간에 코일(125)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2의 (a)는 뚜껑(120)이 열리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뚜껑(120)이 위쪽으로 열림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2의 (b)는 뚜껑(120)이 닫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뚜껑(120)이 아래쪽으로 닫힘에 따라 왼쪽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감지부(131)는 이와 같이 코일(1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신호는 기전력(EMF)일 수 있으며, 그밖에 감지 신호는 뚜껑(12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의 본체(110) 또는 뚜껑(120)은 감지부(131)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내부 회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 회로(130)는 상기 설명한 감지부(131) 외에 통신모듈(133), 메모리(135) 및 프로세서(137)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통신모듈(133)은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모듈(133)은 유선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모듈은 전력선 통신 장치, 전화선 통신 장치, 케이블 홈(MoCA), 이더넷(Ethernet), IEEE1294, 통합 유선 홈 네트워크 및 RS-485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5)에는 제품 사용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135)에는 능동 소음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135)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35)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5)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7)는 메모리(13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프로세서(137)는 감지부(131)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기 설정된 범위와 반대되는 극성에 해당하는 감지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된 감지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프레임 포맷은 아래 표 1과 같이 제품 ID 필드(Product ID), 시리얼 넘버 필드(Serial Number) 및 개폐(open/close)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Unit: byte)
2 8 1
Product ID Serial Number Open=1/Close=0
이때, 프로세서(137)는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뚜껑(12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뚜껑(120)이 열리는 경우의 감지 신호(P1)는 양의 방향(Positive direction)으로 상승하다가 음의 방향(Negative direction)으로 급격히 하강한 후 0으로 수렴하게 된다. 프로세서(137)는 감지 신호(P1)의 노이즈를 제거한 뒤, 기 설정된 범위(a)와 반대되는 극성에 해당하는 감지 신호를 필터링한다. 즉, 프로세서(137)는 양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감지 신호에 대해서만 추출하고, 음의 방향의 감지 신호는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또한, 프로세서(137)는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a, a’) 내인 경우에만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a, a’)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뚜껑(120)이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7)는 감지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됨에 따라 전류가 제 1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뚜껑(120)이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류가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뚜껑(120)이 닫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제 1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대응하는 감지신호(P1)로 뚜껑(120)이 열리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대응하는 감지신호(P2)로 뚜껑(120)이 닫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7)는 통신모듈(133)을 통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133)은 UNB(Ultra Narrow-Band)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UNB 네트워크는 매우 좁은 스펙트럼 대역을 통해 무선 단말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UNB 네트워크는 ISM 밴드 및 스타형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적은 양의 데이터를 매우 적은 전력으로도 상당히 먼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다.
UNB 네트워크는 최대 12바이트의 데이터를 매 10초 간격의 데이터 버스트(data burst)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장치는 중계기(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데이터는 하나의 중계기(10)만이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중계기가 수신할 수 있다.
중계기(10)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조화하고 백엔드 서버(Backend server)로 전송한다. 그 후 백엔드 서버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 중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제거하고,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 서버로 전송한다.
한편, 백엔드 서버와 분석 서버는 각각 독립적인 서버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하나의 서버(200)로 구현되어 서버 컴퓨터에 서버 프로그램(server program)으로 탑재되어 서비스될 수 있다.
통신모듈(133)은 UNB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10)로 디지털 신호를 복수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중계기(10)로부터 복수 개의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서버(200)는 가장 센 신호 강도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제품 사용 감지 장치(100)에서 전송한 디지털 신호가 복수의 중계기(10)에 의해 수신되어, 복수 개의 디지털 신호가 서버(200)에 전송되더라도 가장 센 신호 강도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만을 추출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값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품의 종류, 제품의 시리얼 넘버 및 제품의 개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서버(200)가 수신함에 따라, 서버(200)는 제품의 종류, 제품의 시리얼 넘버 및 제품의 개폐 정보를 저장하고, 표 2와 같이 제품의 종류(Product ID), 제품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계기의 위치(Base Station ID), 중계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Date, Time)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Unit: byte)
2 8 2 8 4
Product ID Serial Number Base Station ID Date Time
그리고 서버(200)는 저장된 각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별 사용량 정보,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300)는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제품별 사용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역별 제품 사용량은 각 지역별로 제품의 사용량을 숫자와 원의 크기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품별 사용량 정보는 각 원의 색깔을 제품별로 달리 하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300)는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12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에 따라 코일(125)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제품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제품의 종류, 제품의 시리얼 넘버, 제품의 개폐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량 정보,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품 사용 감지 시스템 10, 20: 중계기
100: 제품 사용 감지 장치 110: 본체
115: 자석 120: 뚜껑
125: 코일 130: 내부회로
131: 감지회로 133: 통신모듈
135: 메모리 137: 프로세서
200: 서버 300: 디바이스

Claims (8)

  1.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제품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와의 개폐가 가능한 뚜껑,
    상기 뚜껑과 맞닿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내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자석,
    상기 뚜껑의 측면 둘레를 따라 감긴 코일 및
    상기 뚜껑이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또는 뚜껑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품 사용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뚜껑의 열림 또는 닫힘시의 감지 신호에 대하여 기 설정된 범위와 반대되는 극성에 해당하는 감지 신호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링된 감지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뚜껑이 완전히 열림 또는 닫힘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된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감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뚜껑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됨에 따라, 상기 전류가 제 1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뚜껑이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가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뚜껑이 닫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되,
    상기 통신모듈은 UNB(Ultra Narrow-Band)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UNB 네트워크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로 상기 디지털 신호를 복수회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복수개의 디지털 신호 중 가장 센 신호 강도를 가지는 디지털 신호를 추출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제품의 종류, 상기 제품의 시리얼 넘버 및 상기 제품의 개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품의 종류, 상기 제품의 시리얼 넘버 및 상기 제품의 개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된 각 정보에 기초하여 제품별 사용량 정보,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를 분석하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 상기 분석된 제품별 사용량 정보,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공받은 제품별 사용량 정보, 지역별 제품 사용량 정보 및 시간별 제품 사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제품 사용 감지 장치.
KR1020150179075A 2015-12-15 2015-12-15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KR101783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75A KR101783263B1 (ko) 2015-12-15 2015-12-15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75A KR101783263B1 (ko) 2015-12-15 2015-12-15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14A KR20170071114A (ko) 2017-06-23
KR101783263B1 true KR101783263B1 (ko) 2017-10-23

Family

ID=5928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075A KR101783263B1 (ko) 2015-12-15 2015-12-15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2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7610A1 (en) * 2005-03-08 2010-03-18 Applied Research Associates, Inc. Ultra-Narrow Bandwidth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Link
WO2015069916A1 (en) * 2013-11-07 2015-05-14 Thermos L.L.C. System for managing fluid container cont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7610A1 (en) * 2005-03-08 2010-03-18 Applied Research Associates, Inc. Ultra-Narrow Bandwidth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Link
WO2015069916A1 (en) * 2013-11-07 2015-05-14 Thermos L.L.C. System for managing fluid container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14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dhari et al. LPWAN technologies: Emerg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s, requirements, and design considerations
US11086946B2 (en) Determining available storage capacity of a vehicle
JP6744934B2 (ja) 電磁波の伝送媒体における条件を検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829772B1 (ko) 안전한 무선 충전 스테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S2653341T3 (es) Procedimientos y aparatos para mejorar la activación de NFC y los mecanismos de notificación de intercambio de datos
ES2687763T3 (es) Procedimientos y aparatos para mejorar la gestión de conexiones lógicas de NFC
ES2663414T3 (es) Procedimientos y aparatos para mejorar los mecanismos de actualización de parámetros de configuración del intercambio de datos de NFC
Ben Arbia et al. Enhanced IoT-based end-to-end emergency and disaster relief system
CN104105224B (zh) 用于连接电子装置中的短程通信的方法和电子装置
US11825315B2 (en) Mobile device and infrastructure systems
KR101599664B1 (ko) 머신 간(m2m) 장치 및 3gpp와 etsi m2m 연동을 위한 방법
Andersson Short range low power wireless devices and Internet of Things (IoT)
EP3619924A1 (en) Privacy-preserving location based services
Noor-A-Rahim et al. Wireless communications for smart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IoT: Existing technologies, 5G and beyond
KR101783263B1 (ko) 제품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
Tyrrell et al. Use cases, enablers and requirements for evolved femtocells
Dunko et al. A reference guide to the internet of things
Yang et al. Qid: Robust mobile device recognition via a multi-coil qi-wireless charging system
KR101728330B1 (ko) 무선통신기반 객체위치 추정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3236180A1 (en) Cell selection of a passive device
US20230378807A1 (en) Device triggering backscatter communications
US20230403697A1 (en) Management of uplink transmissions and wireless energy transfer signals
US2024007284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Separate Advertisement Streams in a Single Beacon Device
CN208190931U (zh) 一种数据采集器和客户数据采集系统
Kim et al. Multi-device to multi-device (MD2MD) content-centric networking based on multi-RA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