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68B1 -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 Google Patents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68B1
KR101782568B1 KR1020170054498A KR20170054498A KR101782568B1 KR 101782568 B1 KR101782568 B1 KR 101782568B1 KR 1020170054498 A KR1020170054498 A KR 1020170054498A KR 20170054498 A KR20170054498 A KR 20170054498A KR 101782568 B1 KR101782568 B1 KR 10178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switchboard
valu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이
Priority to KR102017005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afety control system of a distribution board equipped with a safety key which controls a distribution board operation by determining a state of opening a door for a work or unintentional key motion and/or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a control device configured in the distribution board and/or a control device configured in a control center when the distribution board and the control center are network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distribution board can control to block a power by detecting the key motion or the door open when the power is applied. Also, the control center can control to block the power by a remote area control based on a key flow value transmitted from the distribution board and/or a value of the door open.

Description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ontrol system for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safety key,

본 발명은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ontrol system for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활선 상태인 배전반에 대한 안전 대책으로는 충전 표시등 및 전기위험 표지판 등으로 경고를 하는 기술과, 잠금장치 및 보호망 등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게 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어 있다.As safety measures for live switchboards, there have been developed technologies to warn such as charging indicators and electrical hazard signs, and to prevent easy access by means of locks and protective nets.

또한, 활선상태 검전봉으로 점검을 하고, 접지장치로 접지한 후에 작업에 임하도록 하고 있으며, 일부 배전반은 전원 차단 후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등으로 안전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In addition, it is checked by live wire check rods, grounded by a grounding device, and then put into operation. Some switchboards are prepared for safety accidents by adopting a structure that can open the door after shutting off the power.

그런데 이러한 안전 대책들이 실행된다 하더라도 원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1차 모선은 활선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위험하다는 점에서 안전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Bus-tie반 또는 Incoming반은 원천적으로 공급측 차단기를 오프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안전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However, even if these safety measures are implemented, if the power is not shut off at the source, the primary bus is maintained in a live state, which is dangerous. Especially, Bus-tie or Incoming class can cause very dangerous situation if the supply side circuit breaker is not turned off. Therefore, more reliable safety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구체적인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0733612호가 있다.A specific prior ar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3612.

이 등록기술은,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전자기장에 의해 배전반 도어에 설치된 표시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배전반 내부의 통전 유무상태를 알려줌은 물론, 배전반 내부의 이상 발생으로 그 배전반 내부를 점검 또는 수리하고자 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위에서 언급된 안전 경보 장치 기술의 하나일 뿐, 보다 근본적인 안전 사고 방지 기술이라고 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This registration technology relates to a safety alarm device for an electric distribution panel, which detects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side a switchboard and informs the operator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ergization inside the switchboard through a display means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door by the sensed electromagnetic fiel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 worker when an inside of the switchboard is inspected or repaired due to an abnormality inside the switchboard, but it is only one of the above-mentioned safety alarm devices, There were a lot of things missing.

한국특허등록 제10-073361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36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배전반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선 상태에서는 주전원 차단기의 키홀더에 투입되어 있는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bove-mentioned switchboar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preventing a key inserted in a key- And to provide a switchboard with a safety ke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압 검출기 및 검전봉이 불필요하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al switchboard equipped with a safety key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a voltage detector and a detection lea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전원을 차단시 주전원 차단기로부터 키를 인출하여 다른 배전반 보호망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배전반 보호망의 개방 상태에서는 주전원 차단기의 투입을 할 수 없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board with a safety key that allows a key to be pulled out from a main power source breaker when the main power is shut off to enable the other switchboard protection network to be open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도어의 개방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control system for a switchboard, which is equipped with a safety key that allows the operator to recognize the open state of the door from the outside when the power to the switchboard is cut of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관리자가 위험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switchgear with a safety key which prevents a dangerous approach by the manager by sensing that the door is opened by unintentionally moving the key in a state where power is applied to the switchgear And to provide a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전원 공급 및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주전원 배전반에 구성된 키홀더;A key holder provided in the main power distribution panel so as to be able to supply and withdraw the main power supply key and the key for opening the switchboard door;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키홀더로부터의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키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 동작 제어부;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ar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key input to the key holder so that the key can not be drawn out from the key holder and the key is drawn out when the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key to the key holder,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are operated to close the doors, and when the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An actuated actuating member; And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함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한다. And a locking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door of the main power source switchboard and other switchboards by locking or releasing the operation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의 개수는 주 전원 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key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main power sourc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단일 모선 배열 또는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board is formed of a single bus line arrangement or a single bus line arrangement having a bus ti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모선 배열시 부하개폐기(LBS)에 주전원 공급 및 다른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power supply for the load switch (LBS) and a key for opening the other switchboard door are configured in a single bus arrange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스 타이(Bus Tie)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시 부스 타이, 메인 1(Main 1), 메인 2(Main 2)에 각각 주전원 공급 및 다른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 power supply to the booth tie, main 1 and main 2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with the bus tie, Key is constitu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ain 1, Main 2에 구성되는 각각의 키는 구조가 상이하도록 하고, Feeder 1은 Main 1과 Bus tie의 키만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Bus tie는 Main 1과 Main 2의 키를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Bus riser, feeder 2는 Bus tie와 Main 2의 키만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key constituted in the Main 1 and Main 2 has a different structure, and the Feeder 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put only the keys of Main 1 and Bus tie, 1 and Main 2, and the bus riser and the feeder 2 are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bus tie and the key of Main 2 can be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배전반 도어는 볼팅 구조로서 볼팅이 해제되어도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키를 투입해야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switchgear door is a bolting structure, and even if the bolting is released, a key withdrawn from the main power source switchboard must be inserted to be ope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전원 공급 및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주전원 차단기에 구성된 키홀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 switch comprising: a key holder configured to supply a main power to a main power source breaker so that a door opening key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키홀더로부터의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키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 동작 제어부;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ar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key input to the key holder so that the key can not be drawn out from the key holder and the key is drawn out when the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key to the key holder,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are operated to close the doors, and when the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An actuated actuating member; And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함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And a locking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doors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distribution boards as the operating member is locked or released,

상기 배전반과 관제센터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배전반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관제센터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대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배전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oor open state or unintentional key movement for working on the switchboard through a control device configured in the control panel and / or a control center in the control panel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panel and the control center are networked through a wired /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is controlled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door is ope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전반은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board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를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도 도어 개방에 따른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unintentional key movement and / or opening of the door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is being applied to the switchboard, and to recognize the door opening state for the operation on the basis thereof,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center so as to share the det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A / C boar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상기 배전반의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oor open state or an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or a door open value for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to a control center;

상기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키가 움직이는가를 감지하는 키센서;A key sensor for sensing whether a key is moving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board;

상기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센서; A door open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board;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or open state or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a door open value for an oper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so as to enable the user to confirm it;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If the door open state or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for the job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f the key is moved or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An alarm unit;

상기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emory for storing a door open state for the operation and an unintentional key flow and / or a door open valu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전반은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board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가 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power cutoff unit for shutting off the power when the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key is moved or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센서는 자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sensor is a magnet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제센터는 Furth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전반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A door opening state for an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switchboard, a flow value of the unintended key and / or an opening value of the door, and to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board on the basis there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be turned off;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A receiver for receiving a door open state for an operation transferred from the switchboard, a flow value of an unintended key and / or an open value of a door;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에서 처리된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배전반 쪽으로 송신하는 송신부;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hutting off power to the switchboard to the switchboard based on a flow value of an unintended key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nd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and / or an open value of the door;

상기 배전반의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 An operation unit operable to remotely control the switchbo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hutoff is required when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of the switchboard exceed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or open state for a job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and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a door open valu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이어서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및If the key is moved or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due to the door open state for unprocess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alarm is released so that the door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 alarm unit; And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memory for storing a door open state for unprocessed work, a key flow value and / or a door open value.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따르면, 활선 상태에서는 주전원 차단기의 키홀더에 투입되어 있는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여 다른 배전반의 보호망을 개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감전 사고 등 안전 사고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witchboard with the safety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serted into the keyhole of the main power interrupter can not be drawn out in the live state, making it impossible to open the protection net of the other switchboar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accident .

또한, 전압 검출기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종래 전압 검출기의 동작 불량으로 인한 사용자의 착각 등에 따른 혼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onfiguration such as a voltage detector is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crosstalk or the like due to a user's illusion caused by a malfunction of the conventional voltage detector.

또한, 검전봉이 불필요하므로, 종래 검전봉 사용 중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더구나 인접한 배전반이 활선 상태일 경우에는 검전봉을 사용하더라도 만족스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바, 본 발명은 검전봉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detection probe is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that is erroneously determined due to the occurrence of defects during the use of a conventional probe rod, and in the case where an adjacent switchboard is in a live state, a satisfactory effect can not be expected even if the probe probe is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 of a probe bar, so that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주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를 인출하여 다른 배전반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배전반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는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를 인출할 수 없도록 하여 보다 확실한 안전 사고 방지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Also, even if the main power source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draw out the key from the main power source switchboard to enable the other switchboard door to be opened, and to release the key from the main power source switchboard in the open state of the other switchboard door.

또한,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특정 배전반에 관련된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전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fety control system of the switchboard with the safety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from outside that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s performed in a state that the power to the switchboard is cut off and the door is opened. So that the power can be manag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the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여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감전사고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afety control system of the switchboard with the safety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switchboard, the key is unintentionally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수반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참고로 하는 도면일 뿐, 도면에 도시된데로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기본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주전원 차단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주전원 공급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단일 모선 배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도.
도 6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관제센터 제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 동작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basic conceptual diagra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upplying a main power to an A / D board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ngle mother line arrangement view of a switchboar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ngle motherboard arrangement diagram with a booth tie of an ASSEMBLY with a securi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mechanical structural view for implementing Fig. 4, showing a door front portion; Fig.
Fig. 7 is a mechanical structural view for implementing Fig. 4, showing a rear portion of a door; Fig.
Fig. 8 is a mechanical structural view for implementing Fig. 5, showing a door front portion; Fig.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control syste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panel of a switchboard of a safety control system of a switchboar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piping center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control syste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of a safety control operation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동사 "포함한다" 및 그것의 활용형은 청구항 또는 설명에 나열되지 않은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앞에 복수 표현이 없는 것은 그러한 구성요소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의 사용은 어떠한 순서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들은 명칭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The verb "comprises" and its utility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elements or steps not listed in a claim or description. The absence of multiple representations in front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 plurality of such elements. The use of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ird do not represent any sequence. These terms should be construed as names.

이하,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witchboard with the security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관련된 여러 가지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논의하기 위해 제시된 것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relating to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nd these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discuss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도어는 실질적으로 배전반 구성요소마다 구성되어 있는 후면 판넬의 커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커버를 개방하여야만 예를들어, 고장난 배전반을 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후 이를 모두 도어라고 칭하기로 한다.The doo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ver of the rear panel which is constituted substantially for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switchboard. The cover is required to be opened, for example, to repair a broken switchboard. .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주전원 배전반은, 주전원 배전반은 물론 다른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 배전반으로서, 주전원 공급을 위한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키홀더가 구성된 배전반을 의미하며, 그 이외 다른 배전반들은 주전원 공급을 위한 키의 인출 또는 투입용 키홀더가 구성되지 않고 록킹장치만 구성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distribution board that supplies power to not only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but also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s and means a switchboard in which a key holder is configured to enable input or withdrawal of a key for main power supply, It is understood that the key holder for drawing out or inputting the key for supplying the main power is not constituted but composed only of the locking device.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다른 배전반이란, 주전원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배전반으로서,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일 수 있다. Other switchboard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witchboards that can be operated only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power switchboard, for example, a broken switchboard.

본 발명에서 주전원 배전반과 다른 배전반 도어에는 모두 록킹장치가 구성되며, 이들 록킹장치는 주전원 베전반에 대한 전원 공급 또는 차단에 따라 동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doors are constituted by a locking apparatus, which ar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supply or cutoff of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키 투입에 의해 주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록킹장치가 완전히 록킹되어 그 상태에서는 키 인출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배전반,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의 전원이 차단되면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 인출이 가능함으로써 그 인출된 키를 가지고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 도어를 개방하여 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power source can be supplied by key input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panel,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device is completely locked and the key can not be drawn out in this state, so that the door of the other distribution panel, for example, And when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distribution board are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and the key can be drawn out from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Thus, for example, the broken switchboard door can be opened and repaired with the drawn key.

본 발명은, 단일 모선 배열 및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도록 하고, 부스 타입의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두 개의 키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th a single bus arrangement and a single bus arrangement with bus tie. One key may be used for a single bus arrangement, and two keys may be used for a single bus arrangement of a bus type.

본 발명은, 단일 모선 배열일 경우에는 LBS(부하개폐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의 록킹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됨으로써 고장난 배전반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ingle bus arrangement, the locking state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maintained or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LBS (load switch), thereby controll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failed power distribution board door.

본 발명에서, 단일 모선 배열일 경우에는 LBS 배전반을 제외한 다른 배전반의 도어에는 주전원 투입을 위한 키 투입 또는 인출용 키홀더를 구성하지 않고 단순 도어 개방용 키홀더 및 록킹장치만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ingle bus arrangement, only doors for the door panels other than the LBS switchboard can be constituted by a key holder for opening the door and a locking device for opening the door without constituting a key-in or key-out key for inputting the main power.

본 발명에서, 다른 배전반들의 도어가 볼팅 구조인 경우 볼트를 해체하더라도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키를 이용하여야만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oors of other distribution boards are of a bolting structure, even if the bolts are disassembled, they can be opened only by using the keys drawn from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에서,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일 경우에는 차단기 본체의 테스트 위치에서 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활선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주전원 배전반에 반드시 키가 투입되어야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활선 상태에서는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를 인출할 수 없도록 구성하여 다른 배전반,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ingle bus arrangement having a bus tie, the key can be drawn out from the test position of the breaker main body, and the key must be inserted into the main power source switchboard in order to be in a live line state. In addition, in the live state, the key can not be drawn out from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open the door of another distribution board, for example, a broken power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키와 연결되어 록킹장치에 대한 록킹 또는 해제를 위해 작동되는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주전원 배전반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부재는 키에 연결된 구성으로 키의 회전에 의해 록킹장치에 대해 작동되며, 이 작동부재에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배전반 동작 제어부를 동작시켜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제어란 전원제어를 의미한다. 주전원이 차단되면 록킹장치에 록킹되어 있던 작동부재를 후퇴시켜 주전원 배전반의 록킹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그 키를 인출하여 고장난 배전반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다시 키를 투입하면 작동부재가 작동되어 주전원 배전반이 록킹되면서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공급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ituted such that a member operabl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in connection with the key is constituted, and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can be operated by the operating member. The operation member is operat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device by the rotation of the key in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the key, and the operation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distribution board can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distribution board operation control unit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solenoid or the like. Here, operation control means power control. When the main power source is interrupted, the operating member which is locked in the locking device is retract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thereby releasing the key to enable the failed power distribution board door to be opened. When the key is again inserted in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ly power and operate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while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lock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기본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돈 배전반의 전원 차단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전원 공급시 동작 흐름도이다.1 is a basic conceptual diagra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board when a safety key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supply operation of an A / D board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전원 배전반(200)의 키홀더에 대한 키(100)의 투입에 따라 작동부재(300)가 작동되어 록킹장치(400)에 록킹됨으로써 키(100)의 인출이 불가능하여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 공급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다른 배전반에 대한 전원도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이들 배전반들의 동작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는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따라서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 10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200, the operation member 300 is operated to be locked to the locking device 400, It is possible to make the door of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such as the failed power distribution board impossible to open and to allow power supply and operation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distribution board operation control unit 500. Since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other switchboards, the operation of these switchboards becomes possible. In this state, the key 100 can not be drawn out from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so that it is impossible to open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door such as the broken distribution boar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차단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여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2, when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the operation member 30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device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board operation control unit 500, so that the key 100 can be taken out, The switchgear door can be open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배전반(200)의 키홀더에 키(100)를 투입하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에 록킹되어 주전원 배전반(200)이 완전히 폐쇄되고,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 배전반(200)에 대한 주전원 공급 및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3, when the key 10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200, the operation member 300 is locked to the locking device 400 so that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200 is completely closed, The main power supply and operation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200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배전반의 단일 모선 배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배전반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도이다.FIG. 4 is a single motherboard arrangement view of a safety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ngle motherboard arrangement diagram with a booth tie of a safety switch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부하개폐기(LBS), 계기용 변성기(PT),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메인(MAIN), 피더 1(Feeder 1), 피더 2(Feeder 2)가 PT 배전반을 중심으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in the single busbar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ad switch (LBS), a meter transformer (PT), a transformer for a meter (MOF), a main MAIN, a feeder 1, Feeder 2) is configured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PT switchboard.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배전반으로서 LBS에 키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한 키홀더(150)가 구성되며, 따라서 LBS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록킹장치(400)가 해제되면서 LBS 배전반으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는 다른 배전반들의 록킹 상태도 해제된 상태이다. 4,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holder 150 capable of inputting and extracting keys to and from the LBS is constituted as a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s shown in FIG. 4. Thus, when the power to the LBS is cut off, The locking device 400 is released and the key 100 can be taken out of the LBS switchboard and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such as the broken switchboard can be opened. This state is a state where the other switchboards are also unlocked.

또한, 주전원 배전반인 LBS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키홀더(150)에 키(100)를 투입하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에 록킹되고,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LBS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다른 배전반들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의 키(100) 인출이 불가능하다. When the key 10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 150, the operation member 300 is locked to the locking device 400 and the switchboard operation controller 500 Th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LBS and th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ther switchboards to operate. In this state, the key 100 can not be taken out from the key holder 150 of the LBS switchboard.

이와 같이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에 대한 키(100)의 투입에 따라 록킹장치(400)가 록킹되고, 다른 배전반인 PT, MOF, MAIN, Feeder 1 및 Feeder 2도 활선 상태가 된다. The locking device 400 is lock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key 100 to the key holder 150 of the LBS switchboard and the other switchboards PT, MOF, MAIN, Feeder 1 and Feeder 2 are also in a live state.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LBS 배전반을 제외한 PT, MOF, MAIN, Feeder 1, Feeder 2의 모선부 도어에는 LBS 배전반과는 달리 주전원 공급을 위한 키의 투입 또는 인출용 키홀더가 구성되지 않고 록킹장치만 구성된다. 이들 구성들에 대한 각각의 도어는 LBS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시 록킹장치(400)가 모두 동시에 해제되어 LBS 배전반으로부터 키의 인출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Unlike the LBS switchboard,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LBS switchboard, there is no key holder for input or withdrawal of keys for the main power supply to the bus door of PT, MOF, MAIN, Feeder 1 and Feeder 2 except for the LBS switchboard . Each door for these arrangements can be opened by allowing the locking devices 400 to be simultaneously released at the time of power down to the LBS switchboard so that the key can be withdrawn from the LBS switchboard.

LBS 배전반은 전원측, 즉 배전반 고압개폐기(RMU) 또는 옥외 가대에 설치된 LBS를 오프한 후 위에 언급된 바와 동일한 원리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BS switchboard is configured to open the LBS on the power side, ie, the switchgear high voltage switchgear (RMU) or outdoor mount, and on the same principle as mentioned above.

한편,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볼팅 구조인 경우, 볼트를 풀더라도 상기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인출된 키(100)를 이용해야만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떠한 경우라도 활선 상태에서는 키(100)를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인출할 수 없으므로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is a bolting structure, the door can be opened by using the key 100 drawn from the key holder 150 of the LBS switchboard even if the bolt is released. That is, in any case, since the key 100 can not be taken out from the keyhole 150 of the LBS switchboard in the live state, it is impossible to open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such as a broken switchboard.

도 6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 mechanical structural view for implementing Fig. 4,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Fig. 7 is a mechanical structural view for implementing Fig. 4,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하나의 키(100)로서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주전원 배전반인 LBS 배전반의 동작이 차단된 경우,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의 걸쇄(410)로부터 해제되어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해지고, 인출된 키를 가지고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고장난 배전반을 포함한 다른 배전반들도 록킹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인출된 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an be opened and operated by one of the other switchboards such as a failed switchboard 100 as a single key 100. For example, The operation member 300 is released from the strut 410 of the locking device 400 by the control of the switchboard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operation of the key 100 of the LBS switchboard from the key holder 150 of the LBS switchboard It becomes possible to open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such as the switchboard which is broken with the drawn key. At this time, the other switchboards including the failed switchboard are also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using the pulled-out key.

LBS 배전반을 다시 동작시키기 위해서 키(100)를 키홀더(150)에 투입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다시 LBS 배전반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고,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의 걸쇄(410)에 걸려 LBS 배전반이 완전히 폐쇄됨은 물론, 다른 배전반들의 도어도 록킹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When the key 100 is inserted into the keyhole 150 to operate the LBS switchboard agai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LBS switchboard again under the control of the switchboard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operation member 300 is operated by the locking device 400 ), The LBS switchboard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doors of the other switchboards are also locked. Therefore, in this state, the key 100 can not be drawn out from the key holder 150 of the LBS switchboard.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타이(Bus tie)를 가진 단일 모선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메인(Main) 및 부스 타이(Bus tie) 배전반내의 차단기 스케레톤(skeleton)에 단일 모선과 같은 구조의 1구용 키가 구성된다. Next, when arranged in a single bus line with a bus tie as shown in FIG. 5, a single bus line is connected to a breaker skeleton in the Main and Bus tie switchboards The key for the structure of the structure is construc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메인 1(Main 1), 피더 1(Feeder 1), 버스 타이(Bus Tie), 버스 라이저(Bus Rizer), 피더 2(Feeder 2), 메인 2(Main 2)가 모두 공통적으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with the booth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1, the feeder 1, the bus tie, the bus riser, the feeder 2, 2, and Main 2 are all commonly supplied with power or shut off.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in 1, Bus Tie, Main 2 배전반에 각각 키홀더가 구성되며, Main 1, Bus Tie, Main 2 배전반들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키홀더(150)(160)에 키를 투입하면 Main 1, Bus Tie, Main 2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모두 차단되면서 모든 도어 록킹장치가 해제되어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이들 배전반으로부터 키 인출도 가능하다. 즉 주전원 배전반으로서 Main 1, Bus Tie, Main 2에 키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한 키홀더(150)(160)가 구성되며, 따라서 Main 1, Bus Tie, Main 2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록킹장치(400)가 해제되면서 Main 1, Bus Tie, Main 2의 키홀더(150)(160)으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인출된 키를 가지고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5,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having the bus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holder is formed in each of Main 1, Bus Tie, and Main 2 switchboards, and power is disconnected from Main 1, Bus Tie, and Main 2 switchboards When the keys are put in the key holders 150 and 160, all the power to the main 1, bus tie, main 2 switchboard and other switchboards are cut off, and all the door locking devices are released and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can be opened At the same time, key withdrawal from these switchboards is also possible. That is, as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s, key holders 150 and 160 capable of inputting and withdrawing keys to Main 1, Bus Tie, and Main 2 are configured. Thus, when power to Main 1, Bus Tie, The locking device 400 is relea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and the keys 100 can be taken out from the key holders 150 and 160 of the Main 1, Bus Tie and Main 2,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s of other switchboards.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Feeder 1, Bus tie, Bus riser는 키를 2 개 투입해야만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having the booth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er 1, the bus tie, and the bus riser are configur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only by inputting two keys.

상기 Main 1, Main 2 각각의 키 구조는 상이하도록 구성되며, Feeder 1은 Main 1과 Bus tie의 키만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Bus tie는 Main 1 과 Main 2 의 키를 투입할 있도록 구성된다. The key structures of the Main 1 and the Main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eeder 1 is configured to input only the keys of Main 1 and Bus tie, and the Bus tie is configured to input the keys of Main 1 and Main 2.

동일한 원리로 Bus riser, feeder 2는 Bus tie와 Main 2의 키만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same principle, the bus riser and feeder 2 are configured so that only the bus tie and the key of Main 2 can be input.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Main 1의 모선부 도어는 Main 1의 공급차단기 스케레톤(Skeleton), Main 2의 모선부 도어는 Main 2의 공급차단기 스케레톤에 있는 키를 이용하여 전원 차단 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e single bus arrangement with the bus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sbar door of Main 1 is the supply breaker skeleton of Main 1 and the busbar door of Main 2 is the key of the supply breaker skeleton of Main 2 And the door can be opened after the power is shut off.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두 개의 키로서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주전원 배전반인 Main 1 및 Bus Tie에 대한 전원이 차단된 경우,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의 걸쇄(410)로부터 해제되어 키홀더(150)(160)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여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single bus arrangement with the booth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power can be suppli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s two keys. For example, in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s Main 1 and Bus Tie The operation member 300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410 of the locking device 400 by the control of the switchboard operation control unit 500 and the key 100 is released from the key holder 150 This makes it possible to open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such as a broken switchboard.

주전원 배전반인 Main 1 및 Bus Tie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키홀더(150)(160)에 키(100)를 투입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이 Main 1 및 Bus Tie에 공급되고, 작동부재(300)는 록킹장치(400)의 걸쇄(410)에 걸려 주전원 베전반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키홀더(150)(160)로부터의 키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When the key 10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ders 150 and 160 to supply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s Main 1 and Bus Tie to operate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s, The operating member 300 is caught by the strut 410 of the locking device 400 and the keypad 150 and 160 can not be taken out from the key holder 150 while maintaining the entirety of the main power source veneer completely closed do.

다음에,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afety control syste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관제센터 제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control syste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panel of a safety control syste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trol center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control system of an ASSEMBL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afety control operation of an ASSY equipped with a safety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제어시스템은, 배전반(1)과 관제센터(2)가 유무선 인터넷망(N)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배전반(1)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관제센터(2)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도어의 개방에 따른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의도하지 않은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차단 또는 도어 폐쇄 등 적절하게 조치하게 된다.9, the safet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the control panel and / or the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switchboard 1 in a state in which the switchboard 1 and the control center 2 are networked via the wired / The control unit configured in the center 2 recogniz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or judges whether the door is open or not by unintentional movement of the door, .

배전반(1)에는 도어가 개방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가 자체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관제센터(2) 역시 상기 배전반(1)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원격지 제어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control panel 1 can be controlled by itself, for example, by recognizing a situation where a door is opened and a work is performed, or by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power is applied or by moving the key. The control center 2 also recognizes the work situation of the operator transferred from the switchboard 1 to the outside or controls the remote control of the switchboard based on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It is possible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한편, 상기 관제센터(2)는 원격지에 구성된 서버일 수 있고, 관리자의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또한 관제센터(2)와 스마트폰이 무선 인터넷망으로 네트워킹되어 관제센터(2)로부터 감지값이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배전반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enter 2 may be a server configured at a remote location, or may be a manager's smartphone. In addition, the control center 2 and the smart phone may be networked wit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so that the sensing value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from the control center 2, thereby allowing the manag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anytime and anywher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은, 제어부(11), 수신부(12), 송신부(13), 키센서(14), 도어센서(15), 촬영부(16), 표시부(17), 경보부(18), 전원차단부(19) 및 메모리(20)로 구성된다.10, the control panel 11 of the safety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receiving unit 12, a transmitting unit 13, a key sensor 14, a door sensor 15, a photographing unit 16 A display unit 17, an alarm unit 18, a power cutoff unit 19, and a memory 20.

제어부(11)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키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 및/또는 도어 폐쇄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2)도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1 recognizes the situation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opening the door by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board being shut off or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unintentional key movement and /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power to the switchboard and / or to close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center 2 controls to share the detection value.

수신부(12)는, 상기 관제센터(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예를 들어, 전원차단 등)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The receiving unit 12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for example, power-off, etc.)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2.

송신부(13)는, 배전반에 대한 작업으로 인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관제센터(2)로 송신하는 것이다.The transmitting unit 13 transmits the door open state or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due to the operation on the switchboard to the control center 2.

키센서(14)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키가 움직이는가를 감지하는 것이다. 키센서(14)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키홀더의 움직임을 감지할 것이고, 배전반 외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키의 움직임을 감지할 것이다. The key sensor 14 senses whether the key is moving in a state where power is being applied to the switchboard. The key sensor 14 may be provided anywhere inside or outside the switchboard. When installed inside the switchboard, for example, it will detect the movement of the key holder, and when installed outside the switchboard, it will detect the movement of the key.

도어센서(15)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어센서(15)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The door sensor 15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where power is being applied to the switchboard. The door sensor 15 may be installed anywhere inside or outside the switchboard.

상기 센서(14)(15)는 예를 들어, 자석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즉 도어에 부착된 자석센서를 이용하여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을 감지하되,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의 개방을 판단하면 될 것이다. 이때, 키의 움직임은 도어가 개방될 정도의 움직임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 기준값을 설정함은 물론이다. The sensors 14 and 15 may be, for example, a magnet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That is, the magnet sensor attached to the door can be used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key and / or the door opening. Further,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used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key and / or the door opening, and compare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key and / or the door opening. In this ca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reference value is se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key can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촬영부(16)는 배전반에 대한 작업을 위해 도어가 개방되었거나 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촬영하는 것이다. 촬영부(16)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에도, 키의 움직임은 도어가 개방될 정도의 움직임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 기준값을 설정함은 물론이다.The photographing section 16 photograph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unintentionally moved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is being applied for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or the door is opened. The photographing section 16 may be installed anywhere inside or outside the switchboard. 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reference value is se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key can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 or not.

표시부(17)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배전반에 대한 작업 상황(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17)는 감지값을 표시하는 대신에, 키의 유동 및/또는 도어의 개방을 미리 약속된 단어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door open state) or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of the switchboard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1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Instead of displaying the sensed value, the display unit 17 may display the flow of the key and / or the opening of the door in advance with a promised word or symbol.

경보부(18)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작업에 따른 도어 개방 상태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방출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것이다.The alarm unit 18 emits an alarm sound so that the door ope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1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r when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if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 the alarm is emitt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전원차단부(19)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The power cut-off unit 19 cuts off the power when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key is moved or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

메모리(18)는, 상기 작업에 따른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것이다.The memory 18 stores the door opening value and the unintended key flow and / or the door opening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제센터(2)는, 제어부(21), 수신부(22), 송신부(23), 조작부(24), 표시부(25), 경보부(26) 및 메모리(27)로 구성된다.11, the control cent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21, a reception unit 22, a transmission unit 23, an operation unit 24, a display unit 25, an alarm unit 26, and a memory 27 ).

제어부(21)는, 상기 배전반의 송신부(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의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 등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21 processes the door open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transferr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13 of the switchboard,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Or to control operations such as power off to the switchboard.

수신부(22)는,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수신하는 것이다.The receiving unit 22 receives the door opening value for the work transferred from the switchboard,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송신부(23)는, 상기 수신부(22)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 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배전반 쪽으로 송신하는 것이다.The transmitting unit 23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board based on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2 and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1, Lt; / RTI >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결과는,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이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에 필요한 범위내인지를 판단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관제센터(2)는 배전반의 전원차단을 위한 기준값을 메모리(27)에 저장 관리하게 된다.The result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1 i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flow value of the key and / or the open value of the door are within a range required for power shutdown of the switchboard. To this end, the control center 2 stores and manages a reference value for shutting off the power distribution board in the memory 27.

조작부(24)는, 상기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구성이다. 조작부(24)에 의한 조작신호는 제어부(21)에서 처리되고, 제어부(21)에서는 조작부(24)에 의한 조작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배전반을 원격 제어한다.The operation unit 24 is a configuration that is operated to remotely control the switchbo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exceed the reference value and power supply cut-off is necessary.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24 i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1 and the control unit 21 remotely controls the switchboard so that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by the operation unit 24 is performed.

표시부(25)는,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도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The display unit 25 externally displays the door open state and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for the work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1 and / or the door open valu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경보부(26)는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것이다.When the unlock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unlocked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if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 the alarm is emitt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메모리(27)는,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것이다.The memory 27 stores the door opening value and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and / or the door opening value for the work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1.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에 따른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인지시킴으로써 배전반에 대한 작업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은 도어 개방에 대해서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등, 감전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board by recognizing the door ope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unintentional movement of the key or the door open state in real tim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accident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switchboard.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 및 그 안전 제어시스템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An embodiment of a switchboard with a safety key and its safety control system has been described.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illustrate some of the many concrete embodiments that illustrate the principles described herein. Thus, us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adily implement many different arrangements within the scope def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키 150 : 키홀더
200 : 주전원 배전반 300 : 작동부재
400 : 록킹장치 500 : 배전반 동작 제어부
100: key 150: key holder
200: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300: Operation member
400: Locking device 500: Switchboard operation controller

Claims (5)

주전원 공급 및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주전원 차단기에 구성된 키홀더;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가 록킹되어 키홀더로부터의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의 록킹이 해제되어 다른 배전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키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 동작 제어부;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가 록킹되어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의 록킹이 해제되어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함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과 관제센터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배전반에 구성된 제어장치 또는 관제센터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대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의 움직임 또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배전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
A key holder provided on the main power circuit breaker so as to enable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key for opening the switchboard door to be inserted or withdrawn;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distribution boar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key to the key holder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is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so that the key can not be drawn out from the key holder, To release the locking of the operation member to release the key for opening the other switchgear door;
The operation member is locked by the lock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key to the keyhole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panel and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doors of the other distribution panel are closed so that the power to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is cut off An operation member which is unlocked by the locking device and is operated so as to open the door of the other switchboard; And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operating member so that the doors of the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the other power distribution board can be opened or clo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above-mentioned switchboard and control center are networked through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 control device configured in the switchboard or a control device configured in the control center may be used to detect a door open state or an unintentional key movement for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And the power is shut off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움직임 또는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를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도 도어 개방에 따른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배전반의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을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키가 움직이는가를 감지하는 키센서;
상기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이어서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상기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boar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 or unintentional key movement or whether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where the power is applied to the switchboar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center so as to share a sensing value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A / C boar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oor open state or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or a door open value for operation of the switchboard to a control center;
A key sensor for sensing whether a key is moving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board;
A doo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boar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or open state or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or a door open value for a job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An alarm unit for emitting an alarm so that the door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if the door is opened or the key flow value or the door open value for the oper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a memory for storing a door open state for the operation and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or a door open valu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가 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ower shutoff unit for shutting off the power when the key flow value or the door open valu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key is moved or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Safety control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센서는 자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oor sensor is a magnetic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배전반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를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에서 처리된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배전반 쪽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배전반의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또는 도어의 개방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enter
A door opening state for an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of the switchboard, a flow value of an unintended key or an opening value of the door, and recognizes the door opening state for the operation on the switchboard based on th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to be cut off;
A receiver for receiving a door open state for an operation transmitted from the switchboard, a flow value of an unintended key or an open value of a doo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hutting off power to the switchboard to the switchboard based on an unintended key flow value or an open value of the door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processed by the controller;
An operation unit that is operated to remotely control the switchbo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nintended key flow value of the switchboard or the open value of the door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and power shutoff is require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oor open state for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and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or a door open valu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door open stat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or the door open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key is moved or the door is determined to be opened, the alarm is emitted so that the door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larm section; And
And a memory for storing a door open state for a job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and an unintentional key flow value or a door open value.

KR1020170054498A 2017-04-27 2017-04-27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KR101782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498A KR101782568B1 (en) 2017-04-27 2017-04-27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498A KR101782568B1 (en) 2017-04-27 2017-04-27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68B1 true KR101782568B1 (en) 2017-09-28

Family

ID=6003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498A KR101782568B1 (en) 2017-04-27 2017-04-27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6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856A (en) * 2005-03-16 2006-09-28 Hiroo Nonoshita System for totally controlling electricity by ke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856A (en) * 2005-03-16 2006-09-28 Hiroo Nonoshita System for totally controlling electricity by 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544B1 (en) Switchgear with safety device
KR101167979B1 (en) A safe switch-gear built-in an automatic compulsory power cut work induction function
US2923928A (en) mclaughlin
US20080078658A1 (en) Safety switch
KR101088807B1 (en) Switchboard door lock
EP4002391A1 (en) Remote shutdown station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for putting same into use
CN103136828B (en) Safety door centralized control system
CN107078475A (en) Air insulation Medium Voltage Switchgear and the probe system for air insulation Medium Voltage Switchgear
CN103672148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ain steam isolation valve of nuclear power plant
KR101379501B1 (en) Safe locking equipment of distribution panel using rfid
CN201466474U (en) Novel grounding switch operating blocking mechanism for metalclad withdraw switchgear
KR101782568B1 (en) Safety control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KR101018865B1 (en) Detecting control device
KR102043441B1 (en) IoT-based Smart Distribution Panelboard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US20170141549A1 (en) Electrical Switchgear Manual Safety System and Mechanisms
KR101782571B1 (en) Safety and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KR101764628B1 (en)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JP2017108511A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program, and monitoring system
CN204082213U (en) The system of prevention colliery livewire work and gas explosion
CN103107037B (en) The blocking mechanism of looped network cabinet and looped network cabinet
CN102194585A (en)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protector earthing, and electric protector
CN1053327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ive working and gas explosion in coal mine
CN105405190A (en) Electric displaying locking device for electric switch cabinet
KR101055336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witchboard
KR20050012909A (en) Transformer having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