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31B1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Google Patents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1531B1 KR101781531B1 KR1020160079431A KR20160079431A KR101781531B1 KR 101781531 B1 KR101781531 B1 KR 101781531B1 KR 1020160079431 A KR1020160079431 A KR 1020160079431A KR 20160079431 A KR20160079431 A KR 20160079431A KR 101781531 B1 KR101781531 B1 KR 101781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member
- locking
- lever
- housing
-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05B77/265—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hand actuated, e.g. by a lever at the edge of the d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allowing simultaneous actu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elements and a handle, e.g.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an unlocking and an unlatch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05B81/21—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with means preventing or detecting pinching of objects or body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2잠금부재에는 잠금해제부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연동부가 형성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second lock member is provided with a lock releasing interlocking portion for rotating or moving the lock releas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sub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1 sub-locking member and the unlocking portion are not interlocked with each other.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는 도어의 내외부 핸들 조작으로 이루어지고,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은 무선리모콘 또는 개인식별카드(PLC: Personal Identification Card), 도어키의 조작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도어의 개폐 그리고 도어의 잠금 및 해제 메카니즘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에서 이루어진다.Normally, opening and closing of an automobile door is performed by manipul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oor, and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door are performed by operation of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a personal identification card (PLC: Personal Identification Card) The opening and closing and door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s are made in the door latch assembly.
일반적인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레버 구조를 보면, 도어키의 조작에 의하여 잠금 또는 잠금해제위치로 동작하는 레버가 있고, 또한 차량의 실내에서 도어트림의 상단부에 설치된 안전노브의 조작에 의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 운동하는 레버가 있으며, 리모콘의 조작으로 잠금 및 잠금해제 위치로 회동하는 레버 등이 있다.The lever structure of a general door latch assembly has a lever that operates in a locked or unlocked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a door key and also has a locking and unlocking movement by the operation of a safety knob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trim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a lever that rotates to the lock and unlock positions by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한편, 차량의 외부에서 잠금상태로 있는 도어를 강제로 열고자 할 경우, 별도의 강제해제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각종 레버를 잠금 해제위치로 전환시켜 이루어지는 차량의 도난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door that is locked in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to be forcibly opened, theft of the vehicle frequently occurs by switching the various levers to the unlock position by using a separate force canceling mechanism.
이에,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다 보안성이 뛰어난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development of a door latch assembly having more excellent security to prevent vehicle theft is required.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76058호에는 중앙집중식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를 시키는 회동레버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데드락 레버를 추가로 구비하여, 도어내외측 핸들을 통해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76058 discloses a door lock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deadlock lever that prevents a pivoting lever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central locking device from operating, Is shown.
별도의 데드락 레버 및 데드락 레버 구동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며, 도어내측 핸들을 통해서는 열리지 않으며, 도어외측 핸들을 통해서는 열리는 차일드락 기능은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A separate deadlock lever and a deadlock lever driving device must be provided to complicate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and the door lock function is not opened through the door inner handle and the childproof lock function is not provided through the door outer hand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구조로 차량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차일드락 기능도 갖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oor latch system which can effectively prevent vehicle theft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lso has a child lock func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와, 제1레버에 의해 이동되는 제1서브 로킹부재와, 제2레버(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는 제2서브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만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2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분리하는 제1잠금부재와,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분리하는 제2잠금부재와,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가 이동되면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켜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연동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housing, a latch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 main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latch, A sub-locking member including a locking member and a second sub-locking member which is moved by a second lever (not shown), and a sub-locking member which moves the sub-locking member such that the main locking member and the sub- A first locking member for moving the connecting mean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ub-locking members from the main locking member; and a second locking member for moving the first sub- And a lock releasing portion for releasing the lock by moving the first lock member when the first sub-locking member is moved, The second lock member is provided with a lock releasing interlocking portion for rotating or moving the lock releas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sub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or the first sub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not interlocked .
상기 잠금해제 연동부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unlocking inter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unlocking portion.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누르는 잠금해제부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lock releasing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second lock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the first sub-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lock releasing portion press portion for pressing the lock releasing portion.
상기 제1잠금부재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2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데드락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When the deadlock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ock members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1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에는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1레버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and the butt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lever.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에는 상기 제1레버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lever may be connected to a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2레버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를 연결하는 도어레버연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도어레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latch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door lever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ever and the sub locking member, and the door lever connecting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에는 전선인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and a wire withdraw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And a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wherein the cable can be drawn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며, 제1레버 및 제2레버(미도시)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잠금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버를 잡아당겨도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2잠금부재와, 상기 제1잠금부재 및 상기 제2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거나 이동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 및 상기 제2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잠금부재에 대해 상기 구동 레버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housing, a latch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and a latch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evers (not shown) A first locking member which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which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even if the second lever (not shown) is pulled out, and a second locking member which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 second 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even when the door is pulled out,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And a drive lever for moving the first lock member and the second lock member, wherein the second lock member is provided with a drive lever for moving the drive lever relative to the second lock member To is characterized in that additional flow space is formed.
상기 제1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held in a moved position after being moved when a first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n,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imary external force, As shown in FIG.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drive lever may be rotated by the motor.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구동 레버가 걸리는 레버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gear further includes a gear rotated through the motor, and the gear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drive lever.
상기 구동 레버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에 접촉되는 제1잠금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에 접촉되는 제2잠금부재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1잠금부재 또는 상기 제2잠금부재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drive lever is formed with a first lock member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ock member and a second lock member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ck member and the first lock member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lock member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locking member or the second lock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in a sliding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door l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제2잠금부재에는 잠금해제부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연동부가 형성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지 않도록 하여, 잠금해제부를 통해 제1레버를 이용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제1잠금부재와 제2잠금부재를 모두 작동시킬 경우에는 제1레버 및 제2레버(미도시) 모두를 통해서 잠금을 해제할 수 없게 되어 단순한 구조로 차량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1레버를 통해서는 열리지 않고 제2레버(미도시)를 통해서는 열리도록 할 수도 있다.The second lock member is provided with a lock releasing interlocking portion for rotating or moving the lock releas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sub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interlocked or the first sub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not interlocke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release the lock with the use of the first lever through the lock releas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o operate both the first lock member and the second lock member through both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It is not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stolen with a simple structure and to open the second lever (not shown) without opening through the first lever.
상기 잠금해제 연동부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구조를 더욱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잠금해제부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The lock releasing interlock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unlocking portion,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further simplified and the unlocking portion can be smoothly moved.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에는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1레버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의 인지도가 더욱 향상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잠글 수 있게 된다.The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button, and the button is disposed close to the first lever so that the user is more awar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ock the door.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에는 상기 제1레버가 연결되어, 제1레버를 통해 도어를 잠글 수 있게 되어 도어 외부구조가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The first lever is connected to the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so that the door can be locked through the first lever, so that the outer structure of the door can be further simplified.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2레버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를 연결하는 도어레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에는 전선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부재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로 인출되어, 도어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유리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상하 폭이 감소되어 도어의 폭이 작은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lat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the door lever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ever and the sub-locking member is disposed at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wire drawing portion is form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is drawn out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 as to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glass installed on the door and lifted up and down. Further,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apparatus are reduc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oor having a small door width.
제2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잠금부재에 대해 구동 레버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부가 형성되어,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두개의 잠금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치도 컴팩트해진다.The second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low space portion for allowing the driving lever to flow with respect to the second locking member, so that the two locking members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through one driving portion, so that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apparatus is made compact .
상기 제1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장치를 더욱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held in a moved position after being moved when a first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n,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imary external force,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kept more compact.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장치의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drive lever is rotated by the motor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device and to keep the device compact.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구동 레버가 걸리는 레버 걸림부가 형성되어, 키나 레버를 통해 잠금을 해제할 때 모터를 같이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잠금 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And a gear rotatable through the motor. The gear is provided with a lever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drive lever, so that when the lock is released through the key or the lever, the motor is not rotated together, have.
상기 구동 레버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에 접촉되는 제1잠금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에 접촉되는 제2잠금부재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1잠금부재 또는 상기 제2잠금부재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rein the drive lever is formed with a first lock member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ock member and a second lock member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ck member and the first lock member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lock member contact portion The first locking member or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spaced apart in a sliding direction so that the apparatus can be kept co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2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3하우징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래치 및 제1복귀스프링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 로킹부재 및 회동부재 스프링의 정면 사시도(위) 및 메인 로킹부재의 배면 사시도(아래).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걸림레버부 및 제2복귀스프링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정면도.(제2하우징 및 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서브 로킹부재 및 도어레버연결부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에서 제3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잠금부재와 제1구동부와 키 커넥트와 잠금해제부의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키 커넥트와 제2기어의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이 차량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잠금부재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구동부 정면 사시도(위) 및 배면 사시도(아래).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배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메인기어 분리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닫힘 동작의 네번째 단계를 도시한 정면도(하우징 생략).
도 2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 시 부분 평면도(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를 통한 도어 잠김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위)와 키 커넥트를 통한 도어 잠김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중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동작시 걸림레버부가 제1돌기 안내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시 부분 평면도(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를 통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위)와 키 커넥트를 통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중간)와 부분 단면도(아래).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도어 잠김 해제시 걸림레버부가 서브 로킹부재에 걸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메인 로킹부재 생략).
도 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레버를 이용한 도어 잠김 해제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잠금부재를 통해 도어 잠금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잠금부재를 통해 도어 잠금시 부분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잠금부재를 통해 도어 잠금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2잠금부재를 통해 도어 잠금 해제시 부분 평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첫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두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 동작의 세번째 단계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평상시에 도어레버를 잡아당길 때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정면도(제2하우징 생략)
도 4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배면 사시도(제3하우징 생략)
도 4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정면도.(제2하우징 생략)
도 4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배면도.(제3하우징 생략)
도 4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구동부 부분 평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이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 상태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분리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잠금부재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배면도.(제3하우징 생략)
도 5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배면 사시도.(제3하우징 및 메인기어 생략)
도 5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해제 상태를 보이는 배면도.(제3하우징 및 메인기어 생략)
도 5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상태 및 제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해제 상태를 보이는 배면도.(제3하우징 및 메인기어 생략)
도 5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해제 상태 및 제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상태를 보이는 배면도.(제3하우징 및 메인기어 생략)
도 5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상태를 보이는 배면도.(제3하우징 및 메인기어 생략)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econd housing removed;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op)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ottom) of a first housing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op)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ottom) of a second housing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op)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ottom) of a third housing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tch and a first return spring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op) of the main locking member and the pivot member spring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ottom) of the main locking member.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lever portion and the second return spring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using and the main locking member are omitted)
1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elow) of the sub-locking member and the door lever connection por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view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hird housing removed;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elow) of the first locking member, the first driving portion, the key connector, and the unlocking por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of a key connector and a second gear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vehicle door.
17 is a front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ock memb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upper)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econd) of the second driving unit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gea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gear disassembly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ront view (housing is omitted) showing the first step of a door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ront view (housing is omitted) showing the second step of the door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ront view (housing is omitted) showing a third step of the door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front view (housing is omitted) showing the fourth step of the door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artial plan view (upper)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lower) of a door unlocking stat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artial plan view (top) showing the door locking operation through the first driving por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ial plan view (middle) showing the door locking operation through the key connector Partial cross section (below).
2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lever portion is moved rearward by the first projection guide portion in the door 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artial plan view (top) and a partial sectional view (bottom) in a door locking stat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door unlocking operation through the first driving part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door unlocking operation through the keyconnect ) And partial cross-section (below).
3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a main locking member is omitte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lever part is engaged with the sub locking member when the vehicle door latch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ocked.
3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step of the door unlocking operation using the first lev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tep of the door unlocking operation using the first lev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step of the door unlocking operation using the first lev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front view showing a door locked state through a second locking memb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partial plan view of a door lock state through a second locking memb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6 is a front view showing a door unlocked state through a second locking memb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partial plan view of the door unlocking state through the second locking memb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first step of a door opening operation in a motor failur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second step of a door opening operation in a motor failur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third step of a door opening operation in a motor failur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pulled out of the door lever.
42 is a front view (second housing is omitted)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rear perspective view (third housing is omitted)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front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housing is omitted)
46 is a rear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rd housing is omitted)
47 is a partial plan view of a first driving portion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ide door of a vehicle. FIG.
4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locking member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2 is a rear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rd housing is omitted)
5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housing and the main gear are omitted)
FIG. 54 is a rear view showing a door unlocked st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ock members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housing and the main gear are omitted); FIG.
55 is a rear view showing a door locked state through a first locking member and a door unlocked state through a second locking member of a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6 is a rear view showing the door lock state through the first lock member and the door lock state through the second lock member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rd housing and main gear omitted )
57 is a rear view showing a door locked st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ock members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housing and the main gear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하우징(1100)과, 상기 하우징(1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200)와, 상기 래치(1200)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제1레버(10)에 의해 이동되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레버(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는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를 포함하는 서브 로킹부재(140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만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2서브 로킹부재(1400a, 1400b)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를 분리하는 제1잠금부재(1500)와,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를 분리하는 제2잠금부재(1700)와,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이동되면 상기 제1잠금부재(1500)를 이동시켜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부(156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1700)에는 상기 잠금해제부(1560)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연동부(1770)가 형성되어,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상기 잠금해제부(1560)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상기 잠금해제부(1560)가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41, the vehicle
<하우징><Hous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은 하우징(1100)에서 제2하우징(1130)쪽을 의미하며, 후방은 제3하우징(1150) 쪽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좌측 및 우측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후면에 형성된 부재의 위치를 설명할 때의 좌측 및 우측도 부재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 the front means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은 제1하우징(1110)과,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130)과, 제1하우징(1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1150)을 포함한다.2, the
제1하우징(1110)의 후면 둘레와 제3하우징(1150)의 전면 둘레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제1,2구동부(1650, 1600)가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A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0)의 상부 및 전방에는 차체에 연결된 스트라이커(1101)가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이 형성된다.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4, a
따라서,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은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에 형성된다.Therefore,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10)은 블럭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제1하우징(1110)은 전면에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가 안착되는 래치안착홈(1111)과, 이하 서술되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안착되는 닫음부재안착홈(1112)이 형성된다. The
제1하우징(1110)은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되어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의 제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The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부품 조립이 용이하다. 래치안착홈(1111)의 전방은 조립시 제2하우징(1130)에 의해 덮인다.The front portion of the
래치안착홈(1111)의 상부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과 연통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나아가,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스프링삽입홈(1113)이 형성된다.Further, a
스프링삽입홈(1113)은 래치안착홈(1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 스프링삽입홈(1113)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삽입홈(1113)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복귀스프링(1250)이 삽입되어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이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제1하우징(1110)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이하 서술되는 제6센서(1910)가 삽입되는 제6센서삽입공(112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6센서삽입공(1129)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 하부에 배치된다.The
제1하우징(1110)에는 스프링삽입홈(1113) 및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측에 걸림부가이드홈(111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걸림부가이드홈(1115)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ngaging
닫음부재안착홈(1112)은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하우징(1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closure
닫음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The closing
닫음부재안착홈(1112)은 래치안착홈(1111)보다 후방으로 깊게 형성된다.The closure
제1하우징(1110)의 닫음부재안착홈(1112)에서 서브 로킹부재(1400)가 안착되는 부분의 후방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닫음부재안착홈(1112)에서 후방이 개방된 부분에는 이하 서술할 제1돌기 안내부(1507) 및 제2돌기 안내부(1720)가 삽입된다.The rear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닫음부재안착홈(1112)의 좌측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로드가이드홈(1116)이 형성된다. A
로드가이드홈(1116)은 래치안착홈(1111)의 하부에 배치되며,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The
제1하우징(1110)의 전방에는 닫음부재안착홈(1112) 및 로드가이드홈(1116)에 연통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이 형성된다.A first sensing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은 닫음부재안착홈(1112)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The first sensing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은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sensing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우측에는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은 닫음부재안착홈(1112)의 우측에 배치되며, 닫음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 제1스프링안착홈(1117), 제2스프링안착홈(1119)의 우측에는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연통된다.A first
제1스프링안착홈(1117)과 제2스프링안착홈(1119) 사이에 잠금해제부(1560)가 삽입되는 잠금해제부 삽입공(1118)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잠금해제부 삽입공(1118)은 닫음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된다.An unlocking
제1하우징(1110) 중간 및 상부에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 또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되도록 범퍼부재(1360)가 각각 삽입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이 형성된다. A bumper
중간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에 연통된다.The bumper
상부에 배치되는 범퍼부재삽입홈(1123)은 전방이 개방되고, 우측부는 래치안착홈(1111)에 연통된다.The bumper
중간에 배치되는 범퍼부재(1360)는 스트라이커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에 삽입될 때 제1하우징(1110)과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e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제2하우징(1130)의 하부의 수평부분 또는 수직부분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돌출부(1103)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출부(1103)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의 가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이 용이해진다.A plurality of
나아가,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제2하우징(1130)의 가조립돌기가 삽입되는 가조립돌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Furth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우측 하부에는 잠금해제부 축 안착홈(1125)이 형성된다. 잠금해제부 축 안착홈(1125)은 잠금해제부 삽입공(1118)에 연통된다.An unlocking portion
잠금해제부 축 안착홈(1125)에는 후술할 잠금해제부 축(1561)이 삽입된다. An unlocking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는 키 커넥트설치부(1127)가 상하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key
제1하우징(11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기어(1630)의 삽입공(1636)에 끼워지는 메인기어축(111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메인기어축(1114) 둘레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장치를 경량화하는 동시에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A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잠금부재(1500)가 안착되는 제1잠금부재 안착홈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잠금부재 안착홈은 닫음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잠금부재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A first locking member receiving groove on which a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제2잠금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잠금부재 안착홈은 닫음부재안착홈(1112)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잠금부재 안착홈의 좌측은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2잠금부재 안착홈은 상기 제1잠금부재 안착홈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잠금부재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A second locking memb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우측에 이하 서술되는 감속기어가 안착되는 감속기어 안착홈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는 상기 감속기어 안착홈의 우측에 모터(1610)의 전방이 안착되는 제1모터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모터안착홈은 상기 감속기어 안착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우측 후면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 안착홈의 하부에 이하 서술되는 PCB(1900)의 전방이 끼워지는 제1피씨비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피씨비삽입홈은 제1감지부재삽입홈(1128)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는 모터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안착홈은 상기 제1잠금부재 안착홈의 하부에 배치된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제1하우징(1110) 후면에는 제5센서(1911)가 안착되는 제5센서안착홈(1106)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5센서안착홈(1106)으로 인해 조립시에 제5센서(191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a fifth
제5센서안착홈(1106)은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외측에 배치된다.The fifth
나아가, 제1하우징(1110)에는 PCB(1900)와 센서(제5센서(1911) 및 제6센서(1910)) 및 이하 서술되는 구동부(모터(1610))를 연결하는 전선이 인서트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선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Further, a wire connecting the
상기 전선은 센서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부분 및 PCB(1900)와 연결되는 부분이 제1하우징(1110)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및 상기 구동부를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각 부재의 안착홈에 끼워넣기만 하면 센서 또는 상기 구동부 또는 PCB(1900)가 상기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더욱 용이해진다.The electric wire is formed so th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driving unit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130)은 두개로 분할되어 구비된다. 분할된 제2하우징(1130)은 각각 판부재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제2하우징(113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금속 제2하우징(1130a)과,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을 포함한다. The
이와 같이 제2하우징(1130)은 위치별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내구성은 유지하는 동시에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the
금속 제2하우징(1130a)은 장치의 좌측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은 장치의 우측 하부에 배치된다.The metal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래치 및 회동부재 등이 설치된다. The metal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래치회동축(123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와 제2돌출부(1136)는 금속 제2하우징(1130a)의 후면 다른 부분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The metal
제1돌출부(1135)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1200)의 전면 및 회동부재(1370)의 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립시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동시에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와 제2하우징(1130)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2하우징(113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돌출부(1135)는 사람인(人)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1135)는 래치(1200) 및 회동부재(137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The
제2돌출부(1136)는 상기 축삽입공 둘레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래치(1200)의 전면에 접촉된다.The
또한, 이하 서술되는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도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제3하우징(1150)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메인 기어)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나아가, 제2하우징(1130)의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리벳으로 구비되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 회동축(1380),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이 삽입되는 리벳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는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이 걸린다.The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의 금속 제2하우징(1130a)에는 도어(1)에 볼팅체결할 수 있도록 설치공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은 제1하우징(1110) 및 제2하우징(1130)의 좌측 상하부와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의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나아가, 금속 제2하우징(1130a)의 후면에는 상기 설치공을 둘러싸도록 설치공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 돌출부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는 상기 설치공 돌출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홈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are formed in the
이러한 상기 설치공 및 상기 설치공 돌출부으로 인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vehicle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금속 제2하우징(1130a)에 걸쳐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에 대응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다.A cutou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제2하우징(1130)의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의 우측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제1하우징(1110)의 우측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재(113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하우징(1100)에서 도어레버연결부(1800)를 지지하는 부분의 강도가 보강된다. 수직지지부재(1138)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지지부재(1138)로 인해 충격시에도 제1하우징(11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A
금속 제2하우징(1130a) 및 플라스틱 제2하우징(1130b)는 제1하우징(1110)의 전면에 복수 개의 볼트(1133) 등을 통해 설치된다. The metal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115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통의 형상이다. 제3하우징(1150)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제3하우징(1150)의 내부에는 PCB(1900)의 후방이 끼워지는 제2피씨비삽입홈(1154)이 형성된다. 제3하우징(1150)에는 모터(1610)의 후방이 안착되는 제2모터안착홈(1151)이 형성된다. In the
제1하우징(1110) 및 제3하우징(1150)의 내벽에는 PCB(1900)의 양측을 지지하는 피씨비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피씨비 지지부에는 PCB(1900)의 양측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은 제1피씨비삽입홈 및 제2피씨비삽입홈(115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PCB(1900)의 상하부와 제1하우징(1110) 및 제3하우징(1150)에서 PCB(1900)의 상하부와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피씨비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에 배선 연결을 위한 납땜 등이 배치될 수 있어서, PCB(1900)를 더욱 용이하게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On the inner walls of the
제3하우징(1150)의 좌측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55)가 형성된다.On the left rear surface of the
제3하우징(1150)의 후면에는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PCB(1900)는 제1피씨비삽입홈과 제2피씨비삽입홈(1154)에 끼워져서 하우징(1100)에 설치된다. PCB(1900)는 하우징(1100) 내부의 하부에 수평하게 배치된다.The
PCB(19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설치할 때에 PCB(1900) 같은 전자제품이 차량의 상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어서, PCB(190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PCB(1900)에는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가 설치된다.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는 자석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비된다.A
제3센서(1905)와 제4센서(1907)는 좌우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배치된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3센서(1905)는 제4센서(1907)의 좌측에 배치된다.The
제2센서(1903)는 메인 로킹부재(1300)에 형성된 제1감지부(135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1)의 열림과 닫힘에 관여하는 센서이다.The
제3센서(1905)와 제4센서(1907)는 제1잠금부재(1500)에 형성된 제2감지부(152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도어(1)의 잠금과 잠금해제에 관여하는 센서이다. The
또한, PCB(1900)에는 제5센서(1911)와 제6센서(1910)가 연결된다. 제5센서(1911)와 제6센서(1910)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제5센서(1911)는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5센서(1911)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에 근접하게 배치된다.The
제5센서(1911)는 메인기어(1630)가 다시 원위치(기본위치)로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The
제6센서(1910)는 래치(1200)가 스트라이커(1101)에 의해 눌려서 회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6센서(1910)는 센서누름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제6센서삽입공(1129)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6센서(191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래치(120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서 제6센서(1910)를 누르게 된다. 래치(1200)의 후면에 접촉되는 상기 센서누름부재의 전면은 하부로 향할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래치(1200)가 회전될 때 원활하게 상기 센서누름부재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제2센서(1903), 제3센서(1905), 제4센서(1907), 제5센서(1911), 제6센서(19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이하 서술되는 제1,2구동부(1650, 16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Th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키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제1,2구동부(1650, 160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key of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first and
<래치><Latch>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는 래치안착홈(1111)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래치(1200)는 제2하우징(1130)에 설치되는 래치회동축(1230)을 통해 제1하우징(1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래치(1200)의 외주면에는 로킹홈(1201)이 형성된다.A locking
로킹홈(1201)은 전후로 관통되고, 외측 단부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locking
이러한 로킹홈(1201)으로 인해 래치(1200)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1371)가 걸리는 제2로킹 걸림부(1201a)가 형성된다.Due to the
로킹홈(1201)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진다.The locking
로킹홈(1201)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제1면(1203)과, 제1면(1203)의 좌측단에서 연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면(1205)과, 제2면(1205)의 좌측단에서 연장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3면(1207)에 의해 둘러싸인다.The locking
제1면(1203)은 제2로킹 걸림부(1201a)의 상면을 형성한다.The
래치(1200)에는 스트라이커(1101)가 걸리는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가 형성된다.The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는 로킹홈(1201)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된 후 빠지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The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는 제1면(1203)이 형성된 면(로킹부(1371)가 걸리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The
스트라이커 걸림돌기(1204)에서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될 때 마주하는 면 및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으로부터 빠져나갈 때 마주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트라이커(1101)가 로킹홈(1201)에 원활하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The surface facing the
래치(1200)에는 로킹홈(1201)의 하부에 보조로킹홈(1202)이 형성된다. 보조로킹홈(1202)은 로킹홈(1201)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로킹홈(1201)보다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도어 닫음시, 로킹부(1371)는 보조로킹홈(1202)에 1차로 삽입되고, 로킹홈(1201)에 2차로 삽입된다.In the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1371)가 보조로킹홈(1202)에 삽입될 때부터 로킹부(1371)가 로킹홈(1201)에 삽입될 때까지의 스트라이커(1101)의 상하이동거리(d)가 12mm이상 되도록, 로킹홈(1201)과 보조로킹홈(120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이로 인해, 기존 스트라이커(1101)의 이동거리인 7mm보다 이동거리가 길어져서 탑승자가 더욱 용이하게 도어(1)가 모터(161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고 있는 과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끼임방지 여유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안전성이 더욱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moving distance of the existing
한편, 이러한 보조로킹홈(1202)으로 인해 래치(1200)에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1371)가 걸리는 제1로킹 걸림부(1202a)가 형성된다.The
나아가, 래치(1200)는 탄성커버(1206)에 의해 둘러싸인다. 탄성커버(1206)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래치(1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탄성커버(1206)는 로킹부(1371)에 걸리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탄성커버(1206)는 제1로킹 걸림부(1202a)와 제2로킹 걸림부(1201a)를 제외한 래치(1200)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싼다.Further, the
래치(1200) 외주면에는 스프링끼움부(1213)가 형성된다. A spring-fitted portion 121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 형상이나 구멍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끼움부(1213)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pring fitting portion 1213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r a hol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fitting portion 1213 is formed in a groove shape.
래치(1200)에는 좌측 외주면에 돌기(1215)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돌기(1215)는 걸림부가이드홈(1115)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래치(1200)의 도어 닫힘시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을 따라 로킹홈(1201), 보조로킹홈(1202), 스프링끼움부(1213), 돌기(12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The locking
로킹해제시 래치(1200)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1250)이 구비된다.The
제1복귀스프링(1250)의 일단 및 타단에는 절곡된 각도가 90도 이상인 제1,2절곡부(1252,1253)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1252)는 상부를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고, 제2절곡부(1253)는 전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다.First and
제1복귀스프링(1250) 제1절곡부(1252)는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에 걸리고, 코일부는 래치회동축에 감겨지고, 제2절곡부(1253)는 래치(1200)의 스프링끼움부(1213)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제1복귀스프링(1250)에 제1,2절곡부(1252,1253)가 형성되어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The first
따라서, 래치(1200)가 회전할 때, 제1복귀스프링(1250)의 타단은 래치(1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us, when the
<메인 로킹부재>≪ Main locking member &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닫음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메인 로킹부재(1300)는 하우징(1100)에서 래치(1200)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상에 설치된다.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걸림부 누름부(1330)와, 제1감지부재(1350)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킹부재(1300)는 몸체(1310)와, 수평바(1340)와, 걸림부 누름부(1330)와 제1감지부재(1350)가 일체로 형성된다.8, the
나아가, 메인 로킹부재(1300)는 래치(1200)에 의해 회동하여 메인 로킹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키는 회동부재(1370)를 더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회동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슬라이딩되는 메인 로킹부재에 래치에 걸리는 로킹부가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몸체(1310)는 회동부재(1370)의 일부분이 끼워지는 회동부재삽입홈(1317)이 형성된다. The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는 일정 각도 내에서 메인 로킹부재(130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The pivoting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부재(1370)가 상기 래치(1200)에 의해 눌려서 삽입돌기(1373)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메인 로킹부재(1300)는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삽입돌기(1373)보다 좌우폭이 크게 형성된다. 즉,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삽입돌기(1373)보다 회동부재(1370)의 회동방향으로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그러나, 메인 로킹부재(1300)가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회동부재(1370)도 연동되어 우측으로 회전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pivoting
이로 인해, 회동부재(1370)가 래치(1200)에 의해 우측으로 눌리더라도 메인 로킹부재(1300)는 이동되지 않아서, 도어(1)가 닫힐 때 걸림부 누름부(1330)가 걸림부(1631)를 누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를 통해 차량의 사이드 도어(1)를 닫을 때 오작동 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pivoting
회동부재삽입홈(1317)은 전방은 제2하우징(1130)의 설치로 폐쇄된다.The pivot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은 회동부재삽입홈(1317)의 폭이 상부로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좌측면에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걸리게 된다.The left side surface of the pivoting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우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된다.The right side surface forming the pivot
회동부재삽입홈(1317)을 형성하는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defining the pivot
회동부재(1370)는 제1하우징(1110)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동축(1380)에 의해 제2하우징(1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회동부재(1370)는 하우징(1100)에서 메인 로킹부재(1300)와 동일한 면상에 배치된다.The pivoting
회동축(1380)은 회동부재(137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The
회동축(1380)은 리벳으로 구비되어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다.The
회동부재(1370)는 회동축(138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The
또한, 회동부재(1370)를 복귀시키는 회동부재 스프링(139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회동부재 스프링(1390)도 제1복귀스프링(1250)과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양 끝단에 절곡된 각도가 90도 이상인 제1,2절곡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회동부재 스프링(1390)의 일단은 제2하우징(1130)에 리벳팅된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회동부재(1370)의 우측에 걸려서 연결된다. 회동부재 스프링(1390)의 중간 부분은 회동축(1380)에 끼워진다.One end of the
회동부재 스프링(1390)은 회동부재(1370)에 힘을 가해 반시계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을 경우, 회동부재(137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회동부재(1370)는 로킹부(1371)와 삽입돌기(1373)로 이루어진다.The
로킹부(1371)는 회동부재(1370)의 좌측 하부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locking
로킹부(1371)는 래치(1200)의 위치를 구속(로킹)하는 역할을 하여, 도어(1)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locking
로킹부(1371)의 하부에는 도어(1) 닫힘시 래치(1200)의 끝단 일부(제1면(1203))가 삽입되는 래치삽입홈(1372)이 형성된다. 상기 래치삽입홈(1372)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로킹부(1371)와 삽입돌기(1373)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래치삽입홈(1372)으로 인해 도어(1) 닫음시 래치(1200)가 회동부재(1370)에 로킹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A latch insertion groove 1372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로킹부(1371)의 하면 우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1373)가 형성된다.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locking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 위치한다. 즉, 회동부재(1370)의 적어도 일부(삽입돌기)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는 메인 로킹부재(13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연동되어 회전된다.The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 위치하여, 래치(1200)의 회동에 의해 회동부재(1370)가 메인 로킹부재(1300)를 슬라이딩시킬 경우,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회동부재삽입홈(1317) 내에서 이탈하지 않는다.The
삽입돌기(1373)는 회동부재(1370)의 회동에 따라 메인 로킹부재(13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회동부재(1370)에도 전술한 래치(1200)와 같이 탄성커버(1206)가 구비된다.The pivoting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206)는 로킹부(1371)와 회동부재 스프링(1390)이 걸리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206)는 삽입돌기(137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삽입돌기(1373)와 메인 로킹부재(130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206)가 흡수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회동부재(1370)에는 탄성부재 삽입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삽입공에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206)가 삽입되어 회동부재(1370)의 탄성커버(1206)가 회동부재(1370)에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The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1하우징(1110)에 설치되어 회동부재(1370)를 통해 래치(1200)를 로킹시킨다.The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레버부(1450)가 안착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이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레버 안착홈(1314)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On the left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또한, 몸체(1310)의 좌측 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레버축(1470)이 끼워지는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는 막히도록 형성되어, 조립시 걸림레버축(1470)이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에 상부에서 끼워진다. 걸림레버축 삽입공(1316)은 상하부에 배치되는 걸림레버 안착홈(131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Further, a latch lever
몸체(1310)의 후면 좌측에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안착되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이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은 상하부에 배치된 걸림레버 안착홈(1314) 사이에 배치된다.A second return
몸체(1310)의 좌측 후면 중간에는 이격돌기(1312)가 형성된다.In the middle of the left rear surface of the
이격돌기(1312)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의 중간에 배치되어, 제2복귀스프링(1460)의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를 이격시킨다.The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서브 로킹부재(1400)가 삽입되는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이 형성된다.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으로 인해 서브 로킹부재(1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될 수 있다.A sub-locking
몸체(1310)의 우측의 상하부에는 서브 로킹부재 가이드홈(1315a)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서브 로킹부재 가이드홈(1315a)은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의 전방에 배치되며,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에 연통된다.At the upper and lower right portions of the
또한, 몸체(1310)의 우측 후면에는 걸림돌기(1455)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삽입공(1319)이 형성된다. 걸림돌기 삽입공(1319)은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에 연통된다.A locking
이와 같이 몸체(1310)가 형성되어,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컴팩트해질 수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1)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us, the
수평바(1340)는 몸체(1310)의 좌측 하부에서 좌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수평바(1340)는 로드가이드홈(1116)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의 슬라이딩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The
걸림부 누름부(1330)는 수평바(13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바(1340) 좌측 끝단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걸림부 누름부(1330)는 원호형상으로 굴곡진 바형상으로 형성된다.The engaging
걸림부 누름부(1330)는 래치(1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래치(1200)가 회동될 때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The latching
나아가, 걸림부 누름부(1330) 및 수평바(1340)의 전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부에 리브(1331)가 형성되어, 경량화할 수 있는 동시에 강성도 유지할 수 있다.Further,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engaging
또한, 걸림부 누름부(1330)에는 이하 서술되는 걸림부(1631)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걸림부(1631)가 눌리지 않도록 회피굴곡부(1332)가 형성된다.The escape
걸림부(1631)의 상기 기본위치는 도어(1)가 열리도록 래치(1200)가 회전될 때 래치(1200)의 돌기(1215)가 걸림부(1631)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위치이다.The basic position of the latching
걸림부(1631)의 상기 기본위치는 제5센서(1911)의 위치에 대응된다.The basic position of the latching
회피굴곡부(1332)는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 사용자가 도어(1)를 열기 위해 도어레버를 잡아당길 때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걸림부(1631)가 눌리지 않도록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 누름부(1330)는 걸림부(1631)를 누를 필요가 없는 평상시에 걸림부(1631)가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눌리지 않아서 평상시에 메인 로킹부재(1300)를 이동시키는(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나아가, 걸림부 누름부(1330)에는 회피굴곡부(1332)의 전면을 덮는 연결부(133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1332a)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된다.Further, a
수평바(1340)의 우측단 하부에는 제1감지부재(1350)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다.A
제1감지부재(1350)의 하면에는 자석과 같은 제1감지부(1351)가 설치된다.A
제1감지부(1351)는 PCB(1900) 상의 제1감지부(135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센서(1903)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아서 모터(1610)를 제어한다.The
<연결수단><Connection Means>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기(1455)가 형성되는 걸림레버부(1450)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길 때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1400)만 이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는 힘을 메인 로킹부재(1300)에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 역할을 한다.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 locking
메인 로킹부재(1300)의 몸체(1310)의 후면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걸림레버부(1450)가 서브 로킹부재(1400)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레버부(1450)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걸림레버부(1450b)를 포함한다.9, the engaging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455)가 형성된다.The first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좌측 끝단에 걸림레버축(1470)이 관통되는 구멍(145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rst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몸체(13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걸림레버축(1470)을 통해 몸체(13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first
이하 서술되는 제1잠금부재(1500)나 제2잠금부재(1700)와 같은 잠금부재에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레버부(1450)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안내부가 상기 돌기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1450)의 이동(회동)이 이루진다.The locking member such as the
상기 돌기는 로킹돌기(1457)와 차일드 돌기(1453)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안내부는 이하 서술되는 제1돌기 안내부(1507)와 제2돌기 안내부(1720)를 포함한다.The protrusion includes a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우측에 로킹돌기(1457)가 형성된다. 로킹돌기(1457)는 제1잠금부재(1500)와 제1,2걸림레버부(1450a, 1450b) 간의 연동을 위해 형성된다.The first
로킹돌기(1457)는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를 포함한다.The locking
제1걸림레버부(1450a)에 형성된 제1로킹돌기(1457a)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걸림레버부(1450b)에 형성된 제2로킹돌기(1457b)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는 후술할 제1잠금부재(1500)에 형성된 경사면(1511)의 안내를 받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회동 되도록 한다.The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우측 상부에는 차일드 돌기(1453)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일드 돌기(145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차일드 돌기(1453)는 로킹돌기(1457)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A
차일드 돌기(1453)는 후술할 제2잠금부재(1700)와 제1걸림레버부(1450a) 간의 연동을 위해 형성된다.The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복귀스프링(1460)이 설치된다. The first and second
제2복귀스프링(1460)은 제1,2스프링부(1460a, 1460b)와,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를 연결하는 스프링연결부(1465)를 포함한다.The
제1스프링부(1460a)는 제2스프링부(1460b)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코일형상의 코일부(1461)와 직선형상의 자유단부를 각각 포함한다.The first and
코일부(1461)는 걸림레버축(1470)에 끼워져서 위치가 고정된다. 코일부(1461)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하부와 제2걸림레버부(1450b)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The
코일부(1461) 및 스프링연결부(1465)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에 안착된다.The
제1,2스프링부(1460a, 1460b)의 자유단부는 후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1462)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절곡부(1463)와, 전방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1464)를 포함한다.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제3절곡부(1464)는 제1,2로킹돌기(1457a, 1457b)에 각각 걸리게 되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각각 연결된다.The first and
스프링연결부(1465)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스프링연결부(1465)는 각각의 코일부(1461)에서 상기 자유단부의 반대편 끝단에 연결된다. A
스프링연결부(1465)는 제2복귀스프링 안착홈(1318)에 안착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각각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제1,2스프링부(1460a, 146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공정이 용이해진다.The
이와 같이, 제1,2스프링부(1460a, 1460b)는 일단은 제1,2걸림레버부(1450a, 1450b)에 걸리고, 타단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지지된다.The first and
이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에 힘을 가해 회동시켜서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돌기(1455)는 원상태로 복귀(전방으로 이동)된다.The first
즉,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복원력은 전방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That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서브 로킹부재><Sublocking member>
메인 로킹부재(1300)의 우측 후방에는 서브 로킹부재(1400)가 배치된다.A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서브 로킹부재 삽입홈(1315)에 삽입된다. 따라서,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서브 로킹부재(1400)는 메인 로킹부재(1300)와 마찬가지로 제1하우징(1110)에 형성된 닫음부재안착홈(11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서브 로킹부재(1400)는 상기 제1레버(10)에 의해 이동되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상기 제2레버(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는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를 포함한다. The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좌측 상하부 모서리가 라운드처리 되어 메인 로킹부재(1300)에 대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first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로킹부재(1400)에는 도어레버연결부(1800)가 직접 연결되어, 서브 로킹부재(1400)는 상기 제1,2레버(10)에 의해 이동된다. 이와 다르게, 서브 로킹부재(1400)와 도어레버연결부(1800) 사이에 다른 부재가 구비되어, 서브 로킹부재(1400)와 도어레버연결부(1800)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10 and 11, the door
도어레버연결부(1800)는 도어(1) 내측에 배치되는 제1레버(10)와 연결되는 제1레버연결부(1800a) 및 도어(1) 외측에 배치되는 제2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제2레버연결부(1800b)를 포함한다. 제1레버연결부(1800a) 및 제2레버연결부(1800b)는 와이어로 구비된다. 제1레버연결부(1800a) 및 제2레버연결부(1800b)의 끝단에는 제1,2걸림부재(1801a, 1801b)가 형성된다.The door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first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에는 제1레버연결부(1800a)가 연결된다.A first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1로킹부재 가이드돌기(1404a)와, 제1스프링 끼움돌기(1402a)와, 제1걸림턱(1405a)과,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를 포함한다.The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과, 제2로킹부재 가이드돌기(1404b)와, 제2스프링 끼움돌기(1402b)와, 제2걸림턱(1405b)을 포함한다.The second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은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에는 제1,2걸림부재(1801a, 1801b)가 각각 안착된다.The first engaging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은 상하로 긴 원통형상의 제1,2걸림부재(1801a, 1801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겨도 제1,2걸림부재(1801a, 1801b)가 서브 로킹부재(1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first engaging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과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에 위치한 제1,2걸림부재(1801a, 1801b)는 메인 로킹부재(1300)의 몸체(1310)에 의해 전방 측으로 이탈하지 않는다.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의 우측단에는 제1레버연결부(1800a)가 인출되는 제1인출공(1403a)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1인출공(1403a)은 제1걸림부재(180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레버연결부(1800a)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걸림부재(1801a)가 제1인출공(1403a)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The
따라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제1레버연결부(1800a)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상기 제1레버(10)를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Thus, the first
제2걸림부재안착홈(1401b)의 우측단에는 제2레버연결부(1800b)가 인출되는 제2인출공(1403b)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제2인출공(1403b)은 제2걸림부재(1801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2레버연결부(1800b)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2걸림부재(1801b)가 제2인출공(1403b)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A
따라서,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제2레버연결부(1800b)를 우측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제1,2서브 로킹부재(1400a, 1400b)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제1,2로킹부재 가이드돌기(1404a, 1404b)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로킹부재 가이드돌기(1404a, 1404b)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2로킹부재 가이드돌기(1404a, 1404b)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2로킹부재 가이드돌기(1404a, 1404b)는 서브 로킹부재 가이드홈(1315a)에 삽입되어 가이드된다.First and second locking
제1레버연결부(1800a)에는 제1걸림부재(1801a)에 근접하게 제1스프링(1803a)이 끼워진다.The first
제1,2서브 로킹부재(1400a, 1400b)의 우측단에 제1,2인출공(1403a, 1403b)의 상하부에 제1,2스프링 끼움돌기(1402a, 1402b)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스프링 끼움돌기(1402a, 1402b)에는 제1,2스프링(1803a, 1803b)의 좌측단이 끼워진다.First and second
제1스프링(1803a)은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 사이에 배치된다. 제1스프링(1803a)은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제1스프링(1803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제2레버연결부(1800b)에는 제2스프링(1803b)이 끼워진다.The second
제2스프링(1803b)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우측단과 제1하우징(1110)의 제2스프링안착홈(1119)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스프링(1803b)은 외부힘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제2서브 로킹부재(1400b)를 외부힘이 제거되었을 때 제2스프링(1803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서브 로킹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는 걸림턱(1405)이 형성된다. 걸림턱(1405)은 제1걸림턱(1405a)과 제2걸림턱(1405b)을 포함한다.The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후방 측에는 제1걸림턱(1405a)이 형성되고,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후방 측에는 제2걸림턱(1405b)이 형성된다.A first stopping
제1걸림턱(1405a)과 제2걸림턱(1405b)은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좌측 후방이 우측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제1,2걸림턱(1405a, 1405b)은 우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돌기(1455)가 걸린 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제1걸림턱(1405a)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고, 제2걸림턱(1405b)에는 제2걸림레버부(1450b)의 걸림돌기(1455)가 걸리거나 이탈할 수 있다.The first
제1걸림턱(1405a)에 제1걸림레버부(1450a)가 걸려 있고, 제2걸림턱(1405b)에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걸려 있는 상태일 때,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는 우측으로 함께 슬라이딩 된다.When the first engaging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해제 상태이다.That is, this state is the
반대로 제1걸림턱(1405a)에서 제1걸림레버부(1450a)가 이탈되어 있고, 제2걸림턱(1405b)에서 제2걸림레버부(1450b)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일 때,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를 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는 제자리에 있고, 서브 로킹부재(1400)만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Conversely, when the first engaging
즉, 이러한 상태는 도어(1) 잠금 상태이다.That is, this state is the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에는 우측면 하부에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동시에 좌우로 슬라이딩 된다.The first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는 수평한 판으로 구비되며, 전면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전면보다 돌출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는 제1하우징(1110)의 제1스프링안착홈(1117)과 제2스프링안착홈(1119) 사이에 위치한다. The unlocking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는 후술할 잠금해제부(1560)의 제1걸림부(1563)와 서로 접촉하여, 잠금해제부(1560)를 누른다. 따라서, 잠금해제부(1560)는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에 의해 회동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부><Lock release part>
잠금해제부(1560)는 중심부에 잠금해제부 축(1561)이 관통되는 축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The unlocking
잠금해제부 축(1561)은 잠금해제부 축 안착홈(1125)에 안착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부(1560)는 잠금해제부 삽입공(1118)에 삽입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부(1560)는 제1하우징(1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부(1560)의 전방에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에 의해 눌리는(걸리는) 제1걸림부(156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1잠금부재(1500)에 걸리는 제2걸림부(15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부(1560)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이동되면 이하 서술되는 제1잠금부재(1500)를 이동시켜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 즉, 평상시에 잠금해제부(1560)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1잠금부재(1500)를 연동시켜서, 제1레버(1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A first engaging
제1걸림부(1563)로부터 잠금해제부 축(1561)까지의 길이는 제2걸림부(1562)로부터 잠금해제부 축(1561)까지의 길이보다 짧다.The length from the
이와 같이, 제1걸림부(1563)와 상기 제2걸림부(1562)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잠금해제부(1560)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힘을 전달한다.As such, the first engaging
제1걸림부(1563)와 상기 제2걸림부(1562)의 끝단의 모서리는 라운드처리 된다. The edges of the first engaging
이와 같은 잠금해제부(1560)로 인해 구조가 단순한 동시에 도어(1)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레버(10)를 한번 잡아당기면 도어(1)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제1레버(10)를 한번 더 잡아당기면 도어(1)가 열리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제1잠금부재><First Locking Member>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재(1500)는 상기 연결수단의 걸림레버부(1450)의 걸림돌기(1455)를 후방으로 이동(회동)시켜서, 상기 제1,2서브 로킹부재(1400a, 1400b)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를 분리한다.13, the
제1잠금부재(15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The
제1잠금부재(15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제1잠금부재(1500)에는 잠금 걸림부(1502), 케이블연결부(1501), 제2감지부재(1519), 제1돌기 안내부(1507), 잠금해제부 접촉부(1515)가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서대로 형성된다.The
제1잠금부재(1500)의 좌측 하단에는 잠금 걸림부(150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수평단면형상이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으로 형성된다. 잠금 걸림부(1502)는 하부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돌기로 형성된다.At the lower left end of the
본 실시예는 제1잠금부재(150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650)를 더 포함한다. 제1구동부(1650)는 제1잠금부재(1500)를 구동시킨다.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본 실시예는 래치(1200)를 회동시키고 제2잠금부재(17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600)와 제1잠금부재(15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650)가 별도로 구비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제1구동부(1650)는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면 하부에 설치된다.The
제1구동부(1650)는 제1잠금부재(1500)의 좌측 하부에 배치된다.The
제1구동부(1650)는 모터(1651)와, 모터(1651)에 연결되는 제1기어(1652)와, 제1기어(1652)에 연동되는 제2기어(1653)를 포함한다. The
모터(165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1)의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axis of the
제1구동부(1650)의 모터(1651)는 제2구동부(1600)의 모터(1610)보다 소형으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제1구동부(1650)의 모터(1651)가 고장나더라도 제1기어(1652) 및 제2기어(1653)의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1651) 고장시나 차량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때 사용자가 키 등을 통해 제1잠금부재(15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The
모터(1651)는 제1하우징(1110)의 좌측 후방 하부에 형성된 잠금모터 안착홈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잠금모터 안착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The
모터(1651)는 제1기어(1652) 및 제2기어(1653)의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모터(1651)가 침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제1기어(1652)는 웜으로 구비되고, 제2기어(1653)는 웜기어로 구비된다. The
따라서, 제1구동부(1650)와 제1잠금부재(1500)는 웜과 웜기어를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구성을 단순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감속비를 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제1기어(165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The
제1기어(1652)는 모터(1651)의 축에 연결된다.The
제2기어(1653)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The shaft of the
제2기어(165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기어이(1654)가 형성된다.The
제2기어(1653)는 제1기어(1652)에 치합된다.The
제2기어(1653)는 키 커넥트설치부(1127)에 설치된다.The
제2기어(1653)의 중심에는 키 커넥트(1550)가 관통되는 커넥트 관통공(165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A through
제2기어(1653)의 상면에는 잠금 걸림부(1502)가 걸리는 회전 걸림부(1656)가 1개 형성된다. 회전 걸림부(1656)는 수평단면형상이 원인 원통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회전 걸림부(1656)를 통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시켜서, 모터(1651)가 작동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회전 걸림부가 일정 각도 회전된 후)에 회전 걸림부(1656)는 잠금 걸림부(1502)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걸림부(1656)는 적정 토크로 잠금 걸림부(1502)를 밀수 있게 된다. 이와 다르게, 모터(1651)가 작동 된 후 바로 회전 걸림부(1656)가 잠금 걸림부(1502)를 밀게 되면 적정 토크가 나오지 않게 되어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로 인해, 제1구동부(1650)의 모터(1651)가 작동함에 따라 제1잠금부재(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Accordingly, as the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하우징(1100)의 제1하우징(1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홈이 형성되는 키 커넥트(1550)를 더 포함한다.The vehicle
키 커넥트(1550)는 십자형의 상기 키삽입홈이 형성된 헤드(1551)와, 상기 헤드(15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판에서 일부분이 잘려나간 키 커넥트 절개부(1555)를 가지는 날개부(1553)로 이루어진다.The
헤드(1551)는 키 커넥트(1550)의 하부에 형성된다.A
헤드(155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헤드(1551)는 커넥트 관통공(1655)에 삽입되어 제2기어(165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헤드(1551)의 하부 외주면에는 방수링(1558)이 끼워져서 키 커넥트(1550)와 제2기어(1653)의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방수링(1558)은 제2기어(1653)의 하부에 배치되어, 키 커넥트설치부(1127)에 안착된다. 방수링(1558)의 후방에는 제1하우징(1110)과 제3하우징(11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수링(1558)으로 인해 모터(1651)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The
날개부(1553)는 키 커넥트(1550)의 상부에 형성되며, 헤드(1551)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날개부(1553)의 외경은 커넥트 관통공(1655)의 직경보다는 크고, 제2기어(1653)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날개부(1553)는 상기 회전 걸림부(1656)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날개부(1553)에서 절개된 면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surface cut at the
키 커넥트 절개부(1555)의 중심각은 180도보다 작다.The central angle of the
키 커넥트 절개부(1555)는 깊이가 날개부(1553)의 상하 높이보다 깊게 형성된다.The
잠금 걸림부(1502)는 키 커넥트 절개부(1555) 내에 위치한다.The
따라서, 날개부(1553)에는 키 커넥트 절개부(1555)로 인해 양측에 잠금 걸림부(1502)가 걸리는 두개의 키 걸림부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상기 키 걸림부는 제1 키 걸림부(1554)와 제2 키 걸림부(1552)를 포함한다.The key catching portion includes a first
이러한 상기 키 걸림부로 인해, 키 커넥트(155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잠금부재(15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Due to the key catch, the
이와 같이, 키 커넥트(1550)의 헤드(1551)를 차량에 장착된 열쇠모듈과 연동하여 회전시키면 날개부(1553)도 회전되어 제1구동부(165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제1잠금부재(150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If the
즉, 키 커넥트(1550)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제1잠금부재(1500)가 직선운동한다That i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따라서, 키 커넥트(1550)를 이용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using the
또한, 키 커넥트(1550)는 제2기어(1653) 내부에 배치되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키 커넥트(1550)나 모터(1651)가 고장날 경우 또는 겨울철에 차량 부품이 얼었을 때 각각 별도로 작동될 수 있어서 제1잠금부재(150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제1,2키 걸림부(1554, 1552)의 하부에는 경사면(1556)이 형성된다.An
경사면(1556)은 제1,2키 걸림부(1554, 1552)의 상하두께가 끝단을 향할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2키 걸림부(1554, 1552)가 형성되어, 키 커넥트(1550)가 회전할 때 다른 부재에 걸리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구동성이 더욱 개선된다.The
케이블연결부(1501)는 제1잠금부재(1500)의 좌측단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케이블연결부(1501)는 제1잠금부재(1500)의 후면에 형성된다. 케이블연결부(1501)에는 케이블(1810)의 일단이 설치된다. 케이블(1810)은 제1하우징(1110)의 좌측으로 인출된다. 이러한 케이블(1810)은 제1잠금부재(150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제1잠금부재(15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1810)과 제1잠금부재(1500)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케이블(1810)과 제1잠금부재(1500) 사이에 다른 부재가 구비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케이블연결부(1501)에는 케이블(1810)의 제1걸림부재(1801a)가 안착되는 제1걸림부재안착홈(140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잠금부재(1500)에 케이블(1810)을 조립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The
케이블(1810)의 제1걸림부재도 상하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latching member of the
케이블(1810)의 타단에는 도어(1)의 내측에 있는 상기 제1레버(10)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810)은 사용자가 상기 제1레버(10)를 사용자의 반대쪽으로 밀 때 눌리도록 상기 제1레버(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레버(10)를 누르면 케이블(1810)이 눌리게 되고, 이로 인해 제1잠금부재(1500)가 우측(잠금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1)가 잠기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케이블(1810)과 제1레버(10)의 연결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91658호, 제10-1144106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레버(10)를 통해 도어(1)를 잠금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this way, the
전술한 바와 다르게, 케이블(1810)의 타단에는 버튼(20)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버튼(20)을 누르게 되면 케이블(1810)이 눌리게 되고, 이로 인해 제1잠금부재(1500)가 우측(잠금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1)가 잠기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버튼(20)은 제1레버(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버튼(20)을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버튼(20)은 도어(1)의 창과 제1레버(10) 사이에 배치된다.The
제1잠금부재(1500)에는 잠금 걸림부(1502)의 우측 하부에 수평가이드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가이드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모터(1651)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제1잠금부재(1500)에는 상기 수평가이드의 우측 하부에 제2감지부재(1519)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감지부재(1519)는 하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The
제2감지부재(1519)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의 하면에 자석과 같은 제2감지부(1521)가 설치되어 있다.The
제2감지부(1521)는 PCB(1900) 상의 제2감지부(15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3센서(1905) 및 제4센서(1907)에 의해 감지된다. 이러한 제3센서(1905) 및 제4센서(1907)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차량의 알림 장치에 전달되어 운전자는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알 수 있다.The
제1잠금부재(1500)에는 제2감지부재(1519)의 우측에 제1돌기 안내부(1507)가 형성된다.The
제1돌기 안내부(1507)는 제1잠금부재(1500)의 우측 전면에 전방(걸림레버부(145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rst
제1돌기 안내부(1507)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된 후 끝단이 다시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돌기 안내부(1507)와 제1잠금부재(1500)의 전면 사이에는 로킹돌기(1457)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509)이 형성된다. 삽입공간(1509)은 상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The
제1돌기 안내부(1507)의 내측면(로킹돌기(1457)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1511)이 형성되어, 삽입공간(1509)의 전후 간격은 좌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돌기 안내부(1507)가 로킹돌기(1457)를 원활하게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An
제1돌기 안내부(1507)의 상부는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제1로킹돌기(1457a)를 안내하고, 제1돌기 안내부(1507)의 하부는 제2걸림레버부(1450b)의 제2로킹돌기(1457b)를 안내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제1돌기 안내부(1507)가 로킹돌기(1457)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함에 따라 걸림레버부(1450)의 회동이 이루어진다. 제1잠금부재(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 걸리면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가 함께 슬라이딩(도어 잠금 해제) 되고, 제1잠금부재(15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림레버부(1450)가 걸림턱(1405)에서 이탈하면 서브 로킹부재(1400)만 슬라이딩(도어 잠금) 된다.As the
상세하게는,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가 제1돌기 안내부(1507)에 의해 삽입공간(1509)에 배치될 경우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과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제2걸림턱(1405b)에서 이탈한 상태로써 도어(1)가 잠금 상태이다.When the
제1로킹돌기(1457a)와 제2로킹돌기(1457b)가 삽입공간(1509)으로부터 이탈할 경우에는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가 각각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과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의 제2걸림턱(1405b)에 걸린 상태로써 도어(1)가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When the
이와 같이 제1돌기 안내부(1507)는 제1잠금부재(1500)의 좌우 슬라이딩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 및 제2걸림레버부(1450b)를 회동시켜 도어(1)를 잠금 상태로 만들거나 도어(1)를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The
제1잠금부재(1500)와 상기 하우징(1100)의 제1하우징(1110) 중 하나에는 스토퍼돌기(1107)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스토퍼돌기(1107)가 삽입되는 스토퍼장공(1571)이 형성된다.A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돌기(1107)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토퍼장공(1571)은 제1잠금부재(1500)의 우측에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제1잠금부재(1500)의 우측 하부에는 스토퍼장공(157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토퍼장공(1571)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A
스토퍼장공(1571)의 양측 상하폭은 중심부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스토퍼장공(1571)의 중심부에는 잘록부(1576)가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stopper
스토퍼장공(1571)과 스토퍼돌기(1107)로 인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1잠금부재(1500)는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해 제1잠금부재(1500)가 오작동되는 것이 방지된다.Due to the
또한, 제1잠금부재(1500)에는 스토퍼장공(1571)의 잘록부(157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슬릿(1578)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578)으로 인해 스토퍼돌기(1107)가 스토퍼장공(1571)의 잘록부(1576)를 통과할 때 원활하게 제1잠금부재(1500)가 탄성변형될 수 있다.The
제1잠금부재(1500)는 우측단 상부에 제2걸림부(1562)가 접촉되는 잠금해제부 접촉부(1515)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해제부 접촉부(1515)는 상부 및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제1잠금부재(1500)에는 잠금해제부(1560)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판이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제2잠금부재><Second Locking Member>
제2잠금부재(1700)는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회동)시켜서,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1300)를 분리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하우징(110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제2잠금부재 안착홈에 안착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이하 서술되는 제2구동부(16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잠금부재(1500)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제1잠금부재(1500)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좌측에 걸림부(1631)에 걸리는 구동부 걸림돌기(1710)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중간부분 후방에 제3감지부재(1740)가 형성된다. 제3감지부재(1740)는 구동부 걸림돌기(1710)의 우측에 배치된다.The
제3감지부재(1740)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바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단에 제3감지부(1741)가 설치된다. 제3감지부(1741)는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CB(1900)에는 제3감지부(1741)를 감지하는 제7센서(1904)와, 제8센서(1902)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7센서(1904)와, 제8센서(1902)는 제1레버(10) 잠금 해제상태인지, 제1레버(10) 잠금 상태인지 감지한다. 이러한 신호는 차량 ECU 등에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제1레버(10) 잠금(차일드 로킹) 여부를 점등 등을 통해 알린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제3감지부재(1740)의 우측 전면에 제2돌기 안내부(1720)가 형성된다.The
제2돌기 안내부(1720)는 전방(제1걸림레버부(1450a)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second
제2돌기 안내부(172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후에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2돌기 안내부(1720)와 제2잠금부재(1700)의 전면 사이에는 차일드 돌기(1453)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은 상부는 막히고, 하부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제2돌기 안내부(1720)의 수평단면형상은 제1돌기 안내부(1507)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제2돌기 안내부(1720)의 내측면(차일드 돌기(1453)와 접촉하는 면)에는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되어,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며 내구성도 향상된다.An inclined surface (not show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rojection guide portion 1720 (the surface that contacts the child protrusion 1453),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mproving durability.
제2돌기 안내부(1720)가 차일드 돌기(1453)를 안내함에 따라 상기 걸림레버부(1450)의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이동(회동)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잠금부재(1700)가 이동될 때 상기 제2잠금부재(1700)에 상기 외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잠금부재 스프링(1760)과, 상기 하우징(1100)과 상기 제2잠금부재(1700)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와,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1790)를 가이드하며 걸림홈(1786)이 형성된 캠부(17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외력은 이하 서술되는 제2구동부(1600)의 메인기어(1630)에 의해 형성되어, 하나의 제2구동부(1600)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1)를 닫을 수 있고, 자동으로 제1레버(10) 잠금할 수 있다.The external force may be formed by the
제2잠금부재(1700)는 메인기어(1630)에 의해 우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된다.The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The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하우징(1100)에 고정설치되는 캠커버(1730)와 제2잠금부재(1700) 사이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1700)의 우측 후면에는 제1스프링끼움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끼움부에는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좌측이 끼워지는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On the right rear surface of the
캠커버(1730)의 내측에는 좌우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우측이 안착되는 제2스프링안착홈(1119)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안착홈(1119)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안착홈(1119)에는 제1스프링끼움부도 안착되어 상기 제2스프링안착홈(1119)은 상기 제1스프링끼움부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On the inside of the
따라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우측단이 캠커버(1730) 즉 제1하우징(1110)에 지지되고, 좌측단이 제2잠금부재(1700)에 지지된다.Thus, the right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1790)는 상기 제2잠금부재(17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부(1780)는 상기 하우징(1100)의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캠커버(1730)의 내측 전방에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로킹 가이드부재는 하우징에 형성되고, 캠부는 제2잠금부재(17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로킹 가이드부재(1790)는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잠금부재(1700)의 우측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cking
제2잠금부재(1700)의 우측 전방에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가 안착 및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유동홈(1751)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유동홈(1751)은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A guide
로킹 가이드부재(1790)에는 상기 캠부(1780)에 의해 가이드되는 캠가이드부(1793)와,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가압부(1794)가 형성된다.The locking
캠가이드부(179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로킹 가이드부재(1790)가 제2잠금부재(1700)에 설치되었을 때, 캠가이드부(1793)는 인접한 제2잠금부재(1700)의 다른 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The
로킹 가이드부재(1790)에서 캠가이드부(1793)에 근접한 부분은 캠가이드부(1793)로 향할수록 상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The portion of the locking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좌측 후방에는 힌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 hinge is form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locking
제2잠금부재(1700)에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힌지가 관통되는 힌지구멍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은 우측은 굴곡지고, 좌측은 평평하여 반달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은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힌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구멍이 반달모양으로 형성되더라도 제2잠금부재(1700)에 대해 로킹 가이드부재(179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The
이로인해, 로킹 가이드부재(1790)는 제2잠금부재(17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힌지구멍 전방은 가이드부재유동홈(1751)에 연통된다. 상기 힌지구멍 후방은 상기 제1스프링끼움부에 형성된 구멍에 연통된다.As a result, the locking
스프링가압부(1794)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힌지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가압부(1794)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좌측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부품수가 감소하고 구조도 단순해진다.The
스프링가압부(1794)의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가압부(1794)에는 상기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을 받는 면의 반대면에 제1평탄부(1794a)가 형성된다. 스프링가압부(1794)에서 제1평탄부(1794a)와 굴곡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The
상기 제2잠금부재(1700)에는 상기 제1평탄부(1794a)와 마주보는 제2평탄부(1752)가 형성된다.The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스프링가압부(1794)는 제2잠금부재(1700)의 제2평탄부(1752)와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좌측단 사이에 배치된다. The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좌측단은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스프링가압부(1794)와 제2평탄부(1752)에 지지된다. 따라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은 제2잠금부재(1700) 뿐만 아니라 로킹 가이드부재(1790)에도 전달된다.The left end of the
또한, 상기 캠가이드부(1793)의 수평 중심과 상기 스프링가압부(1794)의 수평 중심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캠가이드부(1793)의 중심은 상기 스프링가압부(1794)의 중심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The horizontal center of the
따라서, 외력이 없어지면 잠금부재 스프링(1760)에 의해 제1평탄부(1794a)와 제2평탄부(1752)는 맞닿게 되어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캠가이드부(1793)은 상부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2잠금부재(1700)가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다.The first
캠커버(1730)에는 상기 제2잠금부재(1700) 및 상기 로킹 가이드부재(179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173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딩홈(1731)은 좌측은 개방되고 우측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홈(1731)은 상기 제2스프링안착홈(1119)에 연통된다. 따라서, 제2잠금부재(1700)의 우측은 캠커버(1730)에 삽입된다.The
이로 인해, 캠커버(1730)는 잠금부재 스프링(1760)과 로킹 가이드부재(1790)와 제2잠금부재(1700)를 둘러싸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모듈화될 수 있어서 조립성이 더욱 개선된다.This allows the
제2잠금부재(1700)의 우측 상부 및 하부에는 조립후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커버(17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조립후크가 삽입되는 조립후크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후크체결공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잠금부재(1700)와 캠커버(1730)의 조립상태는 유지하되, 제2잠금부재(1700)는 캠커버(173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Assembly hooks are formed on the upper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이러한, 상기 조립후크 및 상기 조립후크체결공으로 인해, 모듈화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Such an assembly hook and the assembly hook fastener can facilitate modularization.
캠커버(1730)의 전면에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형성된 캠커버 결합홈에 끼워지는 캠커버 결합돌기(17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A cam
캠커버 결합돌기(1732)는 캠부(1780)의 좌측에 배치된다.The cam
캠커버 결합돌기(1732)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캠커버 결합돌기(1732)는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캠커버 결합돌기(1732)로 인해, 캠커버(1730)의 체결력이 더욱 커져서 캠커버(1730)의 조립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The cam
상기 캠부(1780)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캠부(1780)는 슬라이딩홈(173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The
캠부(1780)는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제1경사면(1781)과, 제1경사면(1781)의 하단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2경사면(1782)과, 제2경사면(1782)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좌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3경사면(1783)과, 제3경사면(1783)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좌측으로 오목하게 원호형상으로 굴곡져서 걸림홈(1786)을 형성하는 제1굴곡부와, 상기 제1굴곡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4경사면과, 상기 제4경사면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좌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굴곡부(1787)에 의해 형성된다. 제2굴곡부(1787)는 제1경사면(1781)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캠부(1780)가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캠가이드부(1793)가 걸림홈(1786)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제1경사면(1781)과 제2경사면(1782)과 제3경사면(1783)과 상기 제1굴곡부와 상기 제4경사면과 제2굴곡부(1787)는 캠커버(1730)의 내벽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캠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캠부(1780)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와 제2잠금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first
제1경사면(1781)과 제2경사면(1782)과 제3경사면(1783)은 하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4경사면과 제2굴곡부(1787)는 상부경로를 형성한다.The first
캠부(1780)는 제3경사면(1783)과 제1굴곡부와 제4경사면과 제2굴곡부(1787)에 의해 형성된 부분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캠커버(1730)를 사출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제2잠금부재(1700)에는 상기 잠금해제부(1560)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연동부(177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해제 연동부(1770)는 잠금해제부(1560)를 잠금해제부 축(156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The
제2잠금부재(1700)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잠금해제부(1560)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잠금해제부(1560)가 연동되지 않도록 한다.The
잠금해제 연동부(1770)는 제2잠금부재(1700)의 우측 하부에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 연동부(1770)는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 연동부(1770)는 캠커버(173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 연동부(1770)는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해제부 접촉부(1515)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평상시(제1레버(10) 잠금이 아닐 경우)에 잠금해제부(1560)의 제2걸림부(1562)의 상부는 잠금해제 연동부(1770)에 접촉되고, 하부는 제1잠금부재(1500)에 접촉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 연동부(177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unlocking
잠금해제 연동부(1770)의 하부에는 잠금해제부(156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771)이 형성된다.A
가이드홈(1771)은 전방과 하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가이드홈(1771)은 굴곡지게 형성된 굴곡가이드면(1773)과,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직선가이드면(1774)에 의해 형성된다.The
직선가이드면(1774)은 잠금해제부 축(1561) 부위에 접촉되어 잠금해제부(1560)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1560)는 직선가이드면(1774)에 걸려서 회동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e
이와 같이 잠금해제부(1560)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면 제1걸림부(1563)가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도 제1걸림부(1563)가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에 걸리지 않게 된다. 즉, 연동해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unlocking
굴곡가이드면(1773)은 직선가이드면(1774)의 우측에 배치된다.The bending
굴곡가이드면(1773)의 우측 끝단은 직선가이드면(1774)보다 전방에 배치된다.The right end of the bending
굴곡가이드면(1773)에는 제2걸림부(1562)가 접촉된다. 굴곡가이드면(1773)은 연동해제된 잠금해제부(1560)를 연동 상태가 되도록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굴곡가이드면(1773)은 잠금해제부(1560)를 회동시켜서 제1걸림부(1563)가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또한, 잠금해제부(1560)가 연동 상태에 있을 때 굴곡가이드면(1773)이 제2걸림부(1562)를 둘러싸서 잠금해제부(1560)가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역할을 한다.Further, when the unlocking
잠금해제 연동부(1770)의 상면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돌기로 인해 제2잠금부재(1700)와 제1하우징(1110)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제2잠금부재(1700)가 더욱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locking interlocking
<제2구동부>≪ Second driving part >
본 실시예는 래치(1200)를 회동시키거나 제2잠금부재(17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600)를 더 포함한다. 즉, 제2구동부(1600)는 제2잠금부재(1700)를 구동시킨다.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1600)는 모터(1610)와, 모터(16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1620)와, 감속기어(162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1630)를 포함한다.18, the
제2구동부(1600)는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제3하우징(1150)의 전면에 설치된다.The
제2구동부(1600)는 하우징(1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설치할 때 제2구동부(1600)는 스트라이커삽입홈(1105)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트라이커삽입홈(1105)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모터(161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모터(1610)는 PCB(19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 모터(1610)의 축(1611)과 하우징(1100)의 전면 사이의 각이 0도(수평) 이거나 원하는 각도(경사)가 되도록 모터(1610)는 배치될 수 있다.The
모터(1610)의 축(1611)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The
모터(1610)의 축(1611)에는 제1웜(1613)이 설치되어 있다.A
감속기어(1620)는 제1웜(1613)에 치합되는 제1웜기어(1621)와, 상기 제1웜기어(1621)에 설치되는 제2웜(1622)을 포함한다.The
감속기어(1620)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웜기어(1621)는 제2웜(1622) 상부에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제1웜기어(1621)와 제2웜(1622)의 최대 외경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The
따라서, 모터(1610)가 작동하면 제1웜(1613)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1613)이 회전함에 따라 제1웜기어(1621)이 회전되고, 제1웜기어(1621)이 회전되면 제1웜기어(1621)에 일체로 형성된 제2웜(1622)도 회전하게 되고, 제2웜(1622)이 회전함에 따라 메인기어(1630)가 회전된다.Accordingly, when the
감속기어(1620)의 축은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에는 감속기어(1620)의 축이 끼워지는 축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shaft of the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감속기어(16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The reduction
제1하우징(1110)의 후면 및 제3하우징(1150) 전면에는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삽입되는 지지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감속기어(1620)가 하우징(11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A support plat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eduction gear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관통공은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의 후방에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이 형성되어,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은 지지판 삽입홈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을 용이하게 하우징(1100)에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감속기어축 지지판(1623)의 체결력이 더욱 향상된다.The reduction
이와 같은 감속기어(1620)를 구비할 경우, 모터(1610)의 속도가 대폭 감속되어 모터(1610)를 통한 도어(1) 닫힘시 부드럽게 구동이 되고 구동 토크도 확보된다. 또한, 도어(1) 닫힘시 속도가 감소되어 신체나 옷이 도어(1)에 끼는 안전사고 발생 시에 비상으로 도어(1)를 열 수 있다.When such a
메인기어(1630)는 제2웜기어로 구비되며, 모터(1610)의 구동력을 감속기어(1620)를 거쳐 전달 받는다.The
메인기어(1630)의 중심부에는 메인기어축(1114)이 삽입되는 삽입공(1636)이 형성되어, 메인기어(163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기어축(11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A center hole of the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기어(1630)는 외주면의 일부에 기어 이(1638)가 형성된 기어부(1632)와 상기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에 기어 이(1638)가 형성되지 않는 비기어부(1643)가 형성된다.19 and 20, the
기어부(1632)는 메인기어(1630)의 우측 일부에만 형성된다.The
비기어부(1643)는 기어부(1632)가 아닌 메인기어(1630)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다. 비기어부(1643)는 밋밋하거나 굴곡지게 형성된다.The
즉, 메인기어(1630)는 기어 이(1638)가 모든 둘레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기어(1630)의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전후 두께를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기어부(1632)는 비기어부(1643)보다 전후방향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부(163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한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도어(1)에 설치될 때 후면 중간 부분은 도어(1) 창문이 내려올 때 도어(1) 창문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어(1) 창문은 내려올 때 수직하게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경사지게 아래로 내려온다. 이로 인해, 도어(1) 창문이 내려올 때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면 좌측 중간 부분이 도어(1) 창문과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후면 좌측 중간 부분이 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면 내려오는 도어(1) 창문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후방 좌측에 배치되는 메인기어(1630)의 기어 이(1638)가 우측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되어, 기어 이(1638)는 두껍게 하여 내구성은 유지하면서 메인기어(1630)의 좌측 중간 부분의 두께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도어(1)에 장착시 도어(1) 창문과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메인기어(1630)에는 래치(1200)를 회전시키는 걸림부(1631)가 형성된다. 걸림부(1631)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걸림부(1631)는 메인기어(1630)에 고정되는 고정부(1649)와, 고정부(1649)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The engaging
고정부(1649)는 메인기어(163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xing
고정부(1649)는 속이 비고,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1649)의 좌우측에는 슬라이딩 가이드장공(1649a)이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649a)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649a)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fixing
상기 슬라이딩부는 머리부(1631a)와, 머리부(1631a) 후방에 형성되는 내통부(1631b)를 포함한다.The sliding portion includes a
머리부(1631a)는 전면 좌측에 경사면(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면(미도시)으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가 머리부(1631a)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The
머리부(1631a)의 외측단은 래치(12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 누름부(1330)로 머리부(1631a)를 누르더라도 회전되는 래치(1200)와 걸림부 누름부(1330)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outer end of the
내통부(1631b)는 고정부(1649) 내부에 삽입된다.The
내통부(1631b)의 후방 외주면 양측에는 외통 걸림돌기(1631c)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통 걸림돌기(1631c)는 가이드장공(1649a)에 삽입된다.On both sides of the re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내통부(1631b)는 속이 비고,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내통부(1631b)와 고정부(1649) 사이에는 걸림부(1631)의 상기 슬라이딩부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걸림부 리턴스프링(1648)이 배치된다.Between the
리턴스프링(1648)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리턴스프링(1648)의 전단은 내통부(1631b)에 삽입된다.The
이러한, 걸림부(1631)로 인해, 제2구동부(1600)를 통해 도어(1)를 닫는 중 이나 닫고 난 다음에 제2구동부(1600)가 고장나더라도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열수 있게 된다.Even if the
걸림부(1631)는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도어(1)를 닫을 때, 도어(1)를 완전히 닫지 않더라도 도어(1)가 어느 정도 닫히면 모터(1610)의 구동력에 의해 래치(120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래치(1200)를 회동부재(1370) 및 메인 로킹부재(1300)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atching
또한, 메인기어(1630)의 외주면에는 제5센서(1911)에 의해 감지되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가 구비된다.A first main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는 걸림부(1631)의 고정부(1649)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다. The first main
한편, 제1하우징(1110)의 후면과 메인기어(1630)의 전면 사이에 제2잠금부재(1700)가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부(1631)에는 제2잠금부재(1700)의 구동부 걸림돌기(1710)가 걸린다. 이와 같은 걸림부(1631)를 통해 제2구동부(1600)는 제2잠금부재(1700)를 이동시킨다.A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제2잠금부재(1700)의 후방에 배치되어 메인기어(1630)가 회전될 때 제2잠금부재(1700)에 걸리지 않게 된다.The second main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first main
더욱 상세하게는,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보다 우측에 배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main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상기 메인기어(163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main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메인기어(1630)의 비기어부에 형성된다.The first main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는 중심부로 향할 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5센서(1911)를 원활하게 누를 수 있다.The first main
래치(1200)를 이용한 도어(1)의 열림 및 닫힘과 제2잠금부재(1700)를 이용한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는 하나의 제2구동부(1600)에 의해서 가능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도어(1) 잠금 상태에서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는 도중에 도어 잠금 해제를 실행하여도 기능의 엉킴(잼/JAM) 없이 잠금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The vehicle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is explained in the following order.
잠금 상태에 있는 도어(1)의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긴다.The
이때, 걸림레버부(1450)는 서브 로킹부재(140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잡아당긴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를 따라 서브 로킹부재(1400)가 메인 로킹부재(1300)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메인 로킹부재(130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ngaging
이런 동작을 실행하는 중에 키나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실행하면 걸림레버부(1450)가 서브 로킹부재(1400)에 연결되기 위해 전방으로 회동한다.When the lock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key or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during this operation, the
하지만, 도어레버(미도시)를 당기고 있는 상태에서 걸림레버부(1450)가 회동하기 때문에 메인 로킹부재(1300)와 이격되어 있던 서브 로킹부재(1400)에는 걸림레버부(1450)가 연결되지 않고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걸림레버부(1450)가 들어가게 된다.However, since the locking
이때, 당기고 있던 도어레버(미도시)를 놓게 되면 서브 로킹부재(1400)가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메인 로킹부재(13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lever (not shown) being pulled is released, the
걸림레버부(1450) 내측으로 서브 로킹부재(1400)가 들어와서 걸림레버부(1450)가 서브 로킹부재(1400)에 체결완료된다.The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PCB(1900)에 설치된 센서들은 룸램프(미도시), 계기판(미도시)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는 도어(1)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Sensors installed on the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도어 닫힘><Door closed>
도 21 내지 도 24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1)가 닫히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21 to 24 show a process in which the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 상태의 도어(1)를 사용자가 닫으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눌러서 래치(1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21, when the user closes the
래치(12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되다가 제6센서(1910)를 누르게 되고,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가 보조로킹홈(1202)에 삽입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6센서(1910)의 신호를 받아서 제2구동부(1600)의 모터(1610)를 작동시켜서 걸림부(16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걸림부(1631)에 래치(1200)의 돌기(1215)가 걸려서 래치(1200)도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이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래치(1200)의 외주면(보조로킹홈과 로킹홈 사이)은 회동부재(1370)의 로킹부(1371)를 밀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7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회동부재삽입홈(1317)에는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우측으로 도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회동부재(13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메인 로킹부재(1300)는 우측으로 밀려나지 않고 원위치를 유지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between the auxiliary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groove) of the rotated
이어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에 의해 걸림부(1631)가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 닫힘 위치까지 가면, 로킹부(1371)가 회동부재 스프링(139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홈(1201)에 삽입되고, 제2메인기어 감지부(1633)가 상기 제5센서(1911)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5센서(191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모터(16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가 제5센서(1911)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메인기어(1630)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1649b)가 제5센서(1911)를 누르면 모터(1610)의 작동을 멈춘다.24, when the locking
따라서, 메인기어(1630)는 기본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1630)가 도어(1) 닫힘이나 도어(1) 잠금 작동 후에는 기본위치로 복귀되어 운전자가 수동으로도 도어(1) 잠금 및 도어(1) 닫힘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은, 1개의 센서를 통해서 래치(1200)를 도어(1)닫힘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메인기어(1630)를 기본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만약 모터(1610)를 작동시켜 도어(1)를 닫고 있는 도중 도어(1)와 차체 사이에 유아의 손가락이나 옷이 끼는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제1레버(10) 또는 제2레버(미도시)를 당기면 우측으로 이동한 제1감지부(1351)를 제2센서(1903)가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모터(1610)를 역회전시켜 걸림부(1631)를 기본위치로 보내 도어(1)가 열릴 수 있게 한다.If an emergency such as the infant's finger or clothes is stuck between the
<제1잠금부재를 통한 도어(1) 잠금><Locking of the
도 25 내지 도 27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1)가 잠기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25 to 27 show the process of locking the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1)가 키/리모컨/잠금버튼/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25, when the
제1구동부(1650)의 모터(1651)를 통한 도어(1) 잠금이 입력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51)가 작동하여 제2기어(16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lock of the
제2기어(165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걸림부(1656)가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제1잠금부재(1500)를 슬라이딩시킨다.When the
이때, 제1잠금부재(1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의 로킹돌기(1457)는 제1돌기 안내부(1507)의 경사면(1511)을 타고 삽입공간(1509)에 삽입되어 걸림돌기(1455)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서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상태가 되어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26, the first
회전 걸림부(1656)는 제1잠금부재(1500)의 제2감지부(1521)를 제4센서(1907)에서 감지할 때까지 제1잠금부재(1500)를 밀고,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도어(1)를 키를 통해 잠금하려면, 키를 차량의 키삽입홈에 넣어서 키 커넥트(1550)를 회전시킨다.In order to lock the
키 커넥트(15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키 걸림부(1554)가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제1잠금부재(1500)를 슬라이딩시킨다.When the
이때, 제1잠금부재(1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서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제어부가 제4센서(1907)에서 신호를 전달받으면 잠금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키를 반대로 돌린 후에 키를 빼낸다. 이를 통해 키 커넥트(155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제1잠금부재 잠금해제><First Locking Member Unlocking>
도 28 및 도 30에는 차량의 사이드에 있는 도어(1)가 잠금해제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28 and 30 show a process in which the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인 도어(1)가 키/리모컨/레버 잠금버튼/차량 속도 임계값에 의한 설정 등으로 인해 잠금 해제 상태가 되는 작동을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28, the operation in which the locked
제1구동부(1650)의 모터(1651)를 통한 도어(1)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51)가 작동하여 제2기어(165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unlocking of the
제2기어(16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걸림부(1656)가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제1잠금부재(1500)를 슬라이딩시킨다.When the
이때, 제1잠금부재(1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제1돌기 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어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면 메인 로킹부재(1300)에 힘이 전달된다.At this time, the
제2회전 걸림부(1657)는 제1잠금부재(1500)의 제2감지부(1521)를 제3센서(1905)에서 감지할 때까지 제1잠금부재(1500)를 밀고,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second rotation latching portion 1657 pushes the
도어(1)를 키를 통해 잠금해제하려면, 키를 차량의 키삽입홈에 넣어서 키 커넥트(1550)를 회전시킨다.In order to unlock the
키 커넥트(15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키 걸림부(1552)가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 걸림부(1502)를 밀어서 제1잠금부재(1500)를 슬라이딩시킨다.When the
이때, 제1잠금부재(1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제어부가 제3센서(1905)에서 신호를 전달받으면 잠금해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키를 반대로 돌린 후에 키를 빼낸다. 이를 통해 키 커넥트(155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제1레버를 이용한 제1잠금부재 잠금해제>≪ Unlocking the first lock member using the first lever >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잠금 상태일 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10)를 한번 잡아당기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As shown in Fig. 31, when the
이때,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동시에 잠금해제부(1560)의 제1걸림부(1563)를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잠금해제부(1560)의 제2걸림부(1562)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걸림부(1562)는 제1잠금부재(150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At this time, the unlocking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재(150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걸림레버부(1450a)와 제2걸림레버부(1450b)는 제1돌기 안내부(1507)의 삽입공간(1509)에서 빠져나오고 제2복귀스프링(1460)에 의해 걸림돌기(145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455)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제2서브 로킹부재(1400b)에 각각 걸리게 된다. 이로인해, 도어(1)가 잠금 해제된다.The first
이때, 제1레버(10)를 다시 한번 잡아당기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함께 메인 로킹부재(13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메인 로킹부재(13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 회동부재(1370)의 삽입돌기(1373)가 메인 로킹부재(1300)에 걸려서, 회동부재(137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회동부재(1370)가 회전되게 되면 로킹부(1371)가 로킹홈(120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차량의 사이드 도어(1)는 열릴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제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Door locking through second locking member >
운전자가 제2잠금부재(1700)를 이용한 내측 도어 잠금을 버튼 등을 통해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2구동부(1600)의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모터(1610)가 작동되면 메인기어(1630)도 회전한다.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부(1631)에 구동부 걸림돌기(1710)가 걸려서, 제2잠금부재(170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메인기어(1630)가 제2잠금부재(170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When the driver inputs the inner door lock using the
이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에 1차로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부재 스프링(1760)은 수축되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1780)의 제1경사면(1781)에 있던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캠가이드부(1793)는 상기 하부경로로 이동되어 걸림홈(1786)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2잠금부재(1700)는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을 받게 되어 제2잠금부재(1700)의 위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즉, 제2잠금부재(1700)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차일드 돌기(1453)가 제2돌기 안내부(1720)에 걸려서 후방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에서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분리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함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된다.35, the
한편, 모터(1610)는 제3감지부(1741)를 제8센서(1902)에서 감지할 때까지 작동된다. Meanwhile, the
이와 같이 제2구동부(1600)를 통해 자동으로 제2잠금부재(1700)를 통한 잠금한 후에는 모터(1610)는 반대로 회전하여 기본위치로 이동한다. 메인기어(1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잠금부재(1700)에는 걸리지 않는다.After the
또한, 이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해제 연동부(1770)도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직선가이드면(1774)이 잠금해제부(1560)의 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부(1560)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한 상태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부(1563)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우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에 제1걸림부(1563)가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잠금부재(1700)를 통해 도어 잠금하게 되면 제1레버(10)를 통한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해제가 되지 않는다.Further, when the
제2잠금부재(1700)의 도어 잠금이 완료되면, 굴곡가이드면(1773)의 우측끝단은 제2걸림부(1562)의 우측에 배치된다.When the door lock of the
<제2잠금부재 잠금 해제>≪ Second lock member unlocking >
운전자가 제2잠금부재(1700)의 잠금 해제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받아서, 제2구동부(1600)의 모터(1610)를 작동시킨다. 모터(1610)가 작동되면 도어 잠금할 때와 동일하게 메인기어(163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상태에 있다가 잠금 해제 상태로 하기 위해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메인기어(1630)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킨 후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기본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When the driver inputs the unlocking of the
메인기어(1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걸림부(1631)에 구동부 걸림돌기(1710)가 걸려서, 제2잠금부재(1700)도 약간 우측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메인기어(1630)가 제2잠금부재(170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에 2차로 외력이 가해지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캠가이드부(1793)는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으로 향하게 되어 걸림홈(1786)에서 빠져나온다.When the
이후 메인기어(16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잠금부재(1700)는 메인기어(1630)에도 걸리지 않아서 좌측방향으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만 받게 된다. 따라서, 잠금부재 스프링(17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2잠금부재(1700)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When the
제2잠금부재(1700)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로킹 가이드부재(1790)는 상기 상부 경로로 이동되어 캠부(1780)의 좌측으로 복귀된다.The locking
이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기 안내부(1720)에서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차일드 돌기(1453)는 빠져나와서, 제1걸림레버부(1450a)의 우측은 제2복귀스프링(146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제1걸림레버부(1450a)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제1걸림턱(1405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연결되어,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와 메인 로킹부재(1300)는 함께 슬라이딩한다.When the
한편, 제3감지부(1741)가 제7센서(1904)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2잠금부재(1700)가 잠금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잠금부재(1700)는 1차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하부 경로로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끝단이 이동되어 걸림홈(1786)에 걸리고, 2차 외력을 가했을 때 로킹 가이드부재(1790)의 끝단이 걸림홈(1786)에서 빠져나와 상기 상부 경로로 이동한다.The
이로 인해, 제2잠금부재(1700)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된다.Therefore, when the
따라서,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을 단순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제2잠금부재(1700)를 래치(1200)와 동일한 메인기어(1630)에 의해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메인기어(1630)가 상기 래치(1200)를 회전시킬 때 제2잠금부재(1700)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even if the
또한, 이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잠금해제 연동부(1770)도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직선가이드면(1774)과 잠금해제부(1560)의 후면의 접촉이 해제된다. 또한, 굴곡가이드면(1773)의 우측끝단에 잠금해제부(1560)의 제2걸림부(1562)의 상부가 걸려서, 잠금해제부(1560)는 회전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부(1560)의 제1걸림부(1563)는 제1서브 로킹부재(1400a)의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의 우측에 배치된다. Further, when the
이로 인해, 제1잠금부재(1500)가 잠금상태에 있고, 제1서브 로킹부재(1400a)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잠금해제부 누름부(1407)에 제1걸림부(1563)가 걸리게 되어, 잠금해제부(1560)가 회전됨으로써 제2걸림부(1562)의 하부가 잠금해제부 접촉부(1515)에 접촉되어 제1잠금부재(1500)를 좌측으로 밀어주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따라서, 제2잠금부재(1700)의 도어 잠금 해제하면 제1레버(10)를 통한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 해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door lock of the
제2잠금부재(1700)의 도어 잠금 해제가 완료되면, 제2걸림부(1562)의 상부는 굴곡가이드면(1773)에 둘러싸여 형성된 가이드홈(1771) 내부에 배치된다. When the door lock of the
<도어 데드락><Door Deadlock>
차 키나 리모컨 등을 통해 데드락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잠금부재(1500)와 제2잠금부재(1700)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도어(1) 잠금을 한다.When a deadlock is inputted through a car key or a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ler locks the
상기 제어부는 제1구동부(1650)를 작동시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잠금부재(1500)를 통한 도어(1) 잠금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구동부(1600)를 작동시켜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잠금부재(1700)를 통한 도어(1) 잠금을 한다.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잠금부재(1700)를 작동시키면 잠금해제부(1560)를 통한 제1레버(10)와 제1잠금부재(1500)의 연동이 되지 않게 되어 제1레버(10)를 통해서 도어(1) 열림이 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또한, 제1잠금부재(1500)가 작동되면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통해서도 도어(1) 열림이 되지 않는다.Further, when the
이와 같이, 제1레버(10)를 통해서도 도어(1) 열림이 안되고, 차량 외부에 있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통해서도 도어(1) 열림이 안된다.Thus, the
따라서, 사람이 창문을 깨고 침입해도 도어(1)를 열수 없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person breaks the window and intrudes, the
상기 제어부는 만약 데드락 이전에 이미 제1잠금부재(1500) 또는 제2잠금부재(1700)가 이미 작동중인 상태라면 미작동 중인 잠금부재만 작동시킨다.If the
또한, 전기적으로 제1잠금부재(1500) 또는 제2잠금부재(1700)의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차 키나 리모컨으로부터 잠금해제 신호를 받지 않으면 센서를 통해 잠금 해제된 제1잠금부재(1500) 또는 제2잠금부재(1700)를 데드락 상태로 복귀시킨다.In addition, even if the
즉, 차 키나 리모컨으로부터 잠금해제 신호를 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데드락을 해제시킨다. That is, when receiving the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key or the remote control,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deadlock.
또한, 상기 제어부는 데드락을 해제 시킬 때, 데드락 입력 이전에 제2잠금부재(1700)의 잠금이 작동된 상태였다면, 제2잠금부재(1700)의 잠금은 유지시키고 제1잠금부재(1500)의 잠금만 해제한다. 별도의 지시 없이도 차일드 락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deadlock is released,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lock of the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데드락이 입력되면, 차 키나 리모컨이나 차에 설치된 알림장치를 통해 알려서,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림을 통해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 사람이 없는지 다시 한번 더 확인할 수 있어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deadlock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can inform the user through the not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ar key, the remote control, or the ca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notification, the user can check once again whether there is a person inside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persons.
<모터 고장시 도어 열림><Door open when motor breakdown>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10)를 통해 도어(1)를 자동으로 닫기 위해 걸림부(1631)가 상기 도어(1) 닫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나 이동 중 또는 기본위치로 복귀중에 모터(1610)가 고장이 날 수 있다.38, when the engaging
이러한 경우에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킹부재(13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 누름부(133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In this case, when the
이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는 걸림부(1631)의 머리부(1631a)를 누르게 된다. 머리부(1631a)가 눌리게 되면 머리부(1631a)는 래치(1200)의 돌기(1215)보다 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부(1631)와 래치(1200)의 걸림이 해제된다. As a result, the latching
이후,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를 잡아당기게 되면 스트라이커(1101)가 래치(1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1)는 열리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40, when the user pulls the
이와 같이 제2구동부(1600)를 통해 도어(1)를 닫는 중이나 닫은 후에 제2구동부(1600)가 고장나더라도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게 되면 수동으로 도어(1)를 열수 있게 된다.If the
사용자가 제1레버(10) 또는 상기 제2레버(미도시)를 놓게 되면 걸림부(1631)는 리턴스프링(1648)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된다.When the user places the
한편,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걸림부(1631)가 기본위치에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1)를 열거나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도어레버를 잡아당기더라도 회피굴곡부(1332)로 인해 걸림부 누름부(1330)에 의해 걸림부(1631)는 눌리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시에 메인 로킹부재(1300)를 이동시키는(슬라이딩시키는) 작동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1, when the user normally opens the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조립방법>≪ Assembly method of vehicle door latch system >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of assembling the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부재들(제2잠금부재(1700) 등)을 설치한다. 이어서 제3하우징(1150)을 제1하우징(1110)의 후면에 볼트나 리벳을 통해 결합 및 체결한다.(
제1하우징(1110) 전면에 메인 로킹부재(1300)와, 서브 로킹부재(1400)등을 설치한다. 제2하우징(1130)의 후면에 래치(1200)와 제1복귀스프링(1250)과 회동부재(1370)와 회동부재 스프링(1390)이 래치회동축(1230)과 제1복귀스프링걸림축(1251)과 회동축(1380)과 회동스프링걸림축(1391)에 의해 설치된다. 이어서, 제1하우징(1110)과 제2하우징(1130)을 볼트나 리벳을 통해 서로 결합 및 체결시켜서 조립될 수 있다.A
이와 같은 조립공정을 통해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5)의 조립 공정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메인기어(2630)에 래치(2200)에 걸리는 걸림부가 배제되어 있어서,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제조단가가 저렴해진다.As shown in Figs. 42 and 43, in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의 제1하우징(2110)의 전면에 래치(22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래치(2200)는 메인 로킹부재(2300)에 구비된 회동부재(2370)에 의해 로킹된다. The
회동부재(2370)는 제1하우징(2110)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 로킹부재(2300)는 제1하우징(211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메인 로킹부재(2300)의 후방에는 서브 로킹부재(미도시)가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A sub locking membe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제1하우징(2110)의 후면에는 제1잠금부재(250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잠금부재(270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잠금부재(2500)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2650), 제2잠금부재(2700)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2600)가 설치된다.A
제1잠금부재(2500)는 제1잠금 걸림부(2502), 케이블연결부(2501), 제2잠금 걸림부(2502a), 제2감지부재(2519), 제1돌기 안내부, 잠금해제부 접촉부(2515)가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서대로 일체로 형성된다.The
제1잠금부재(25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좌우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된다.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제1잠금 걸림부(2502)는 제1잠금부재(2500)의 우측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키커넥트(미도시)의 제1 키 걸림부와 제2 키 걸림부에 걸린다. 상기 키커넥트는 제1하우징(2110)의 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키커넥트는 제1잠금 걸림부(2502)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키커넥트의 형상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케이블연결부(2501)는 제1잠금 걸림부(2502)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 걸림부(2502a)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제2잠금 걸림부(2502a)는 제1잠금 걸림부(2502)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second
제2감지부재(2519)는 후방으로 돌출된 수직한 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제2감지부재(2519)는 제2잠금 걸림부(2502a)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And the
제2감지부재(2519)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 센서로 구비되는 제4센서(2907)를 눌러서 도어가 제1잠금부재(2500)에 의해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제4센서(2907)는 제3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된다.The
상기 제1돌기 안내부는 제1잠금부재(2500)의 전방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protrusion guid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잠금해제부 접촉부(2515)는 제1잠금부재(2500)의 우측 끝단에 형성된다.The unlocking
제1구동부(2650)는 제1잠금부재(250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다.The
제1구동부(2650)는 제1하우징(2110)의 후면에 설치된다.The
제1구동부(2650)는 모터(2651)와, 모터(2651)에 연결되는 제1기어(2652)와, 제1기어(2652)에 연동되는 제2기어(2653)를 포함한다. The
모터(2651)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된다.The
제1기어(2652)는 모터(2651)의 축에 설치되며, 웜으로 구비된다.The
제2기어(2653)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웜기어로 구비된다.The
제2기어(2653)의 후면에는 제1회전 걸림부(2656)와, 제1회전 걸림부(2656)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회전 걸림부(2657)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회전 걸림부(2656)와 제2회전 걸림부(2657)는 제2기어(2653)의 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A first
제1회전 걸림부(2656)와 제2회전 걸림부(2657) 사이에는 제2잠금 걸림부(2502a)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2기어(2653)가 회전하면, 제1회전 걸림부(2656) 또는 제2회전 걸림부(2657)에 제2잠금 걸림부(2502a)가 걸리게 되어, 제1잠금부재(25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잠금부재(2500)를 통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된다. 제2기어(2653)는 제1잠금부재(2500)를 이동시킨 후에 원위치로 복귀된다.A second
제2잠금부재(2700)는 좌우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제2잠금부재(2700)는 제1잠금부재(250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2700)는 구동부 걸림돌기(2710), 제2돌기 안내부(미도시), 잠금해제 연동부(2770)가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일체로 형성된다.The
구동부 걸림돌기(2710)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구동부 걸림돌기(2710)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The driving
구동부 걸림돌기(2710)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 센서로 구비되는 제8센서(2902)를 눌러서, 눌러서 도어가 제2잠금부재(2700)에 의해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제8센서(2902)는 제3하우징의 전방에 설치된다.The driving
상기 제2돌기 안내부는 제2잠금부재(2700)의 전방에 형성된다. And the second projection guide is formed in front of the
잠금해제 연동부(2770)는 제2잠금부재(2700)의 우측 하부에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잠금해제 연동부(2770)는 잠금해제부(2560)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잠금해제 연동부(2770)와 잠금해제부 접촉부(2515) 사이에 잠금해제부(2560)가 배치된다.The unlocking
제1잠금부재(2500)와 제2잠금부재(270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토퍼돌기와 스토퍼장공을 통해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The
제2구동부(2600)는 제2잠금부재(2700)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다.The
제2구동부(2600)는 모터(2610)와, 모터(2610)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2613)와, 기어(2613)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2630)를 포함한다.The
모터(261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하우징(2110)의 우측 후면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모터(2651, 2610)가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모터(2651, 2610)가 침수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기어(2613)는 모터(2610)의 축에 설치되며, 웜으로 구비된다.The
메인기어(2630)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웜기어로 구비된다.The
메인기어(2630)의 후면에는 제1걸림부(2631)와 제2걸림부(2634)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A first engaging
제1걸림부(2631)와 제2걸림부(2634)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first
제1걸림부(2631)와 제2걸림부(2634) 사이에는 구동부 걸림돌기(2710)의 상부가 배치된다.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따라서, 메인기어(2630)가 회전하면, 제1걸림부(2631) 또는 제2걸림부(2634)에 구동부 걸림돌기(2710)의 상부가 걸리게 되어, 제2잠금부재(270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잠금부재(2700)를 통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된다. 메인기어(2630)는 제2잠금부재(2700)를 이동시킨 후에 기본위치로 복귀된다.Therefore, when the
나아가, 제6센서(2910)가 상기 제3하우징에 설치된다. 제6센서(2910)는 리미트 스위치 등으로 구비되고, 래치(2200)가 도어 닫음 상태에 있을 때 눌리게 된다. 즉, 제6센서(2910)는 도어의 닫힘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6센서(29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사용자에게 도어의 닫힘 여부를 알린다.Further, a
===================<본 발명의 제3실시예>======================================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
도 44 내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의 래치(3200)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2레버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를 연결하는 도어레버연결부(3800)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에는 전선인출부(3159)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부재(3500)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3810)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4 to 48, the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320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3110)의 전방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5, the
메인 로킹부재(3300)는 회동부재(3370)가 구비되고, 상기 서브 로킹부재는 메인 로킹부재(33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메인 로킹부재(3300) 및 회동부재(3370)는 제1하우징(311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상기 서브 로킹부재도 제1하우징(311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sub-locking member is also disposed in front of the
상기 제1,2레버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를 연결하는 도어레버연결부(3800)의 제1,2레버연결부(3800a, 3800b)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31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의 우측으로 인출된다.The first and second
상기 서브 로킹부재 및 도어레버연결부(3800)는 회동부재(3370)의 로킹부보다 상부에 배치된다.The sub-locking member and the door
또한, 제1레버연결부(3800a)는 와이어를 둘러싸는 가이드튜브에 의해 후방으로 가이드된다.Further, the first
이와 같이 상기 서브 로킹부재 및 도어레버연결부(3800)가 배치되어, 장치의 상하 폭이 종래에 비해 대폭 감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1)의 폭이 작은 도어(1)에도 적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ub-locking member and the door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3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3하우징(3150)의 우측 후방 상부에는 전선인출부(3159)가 형성된다.44, a wire lead-
전선인출부(3159)를 통해서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나 센서와 같은 전자부품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된다.A wire connected to an electronic part such as a motor or a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is drawn out through the wire lead-out
제1잠금부재(350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잠금부재(3500)를 이동시키는 케이블(3810)은 제3하우징(3150)의 좌측 후방 상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3810)이 후방으로 인출되어 도어 래치 시스템을 도어(1)에 설치할 때 케이블(3810)이 꺽이는 것이 방지되고 조립성이 개선된다.The
제3하우징(3150)의 좌측 후방 상부에는 케이블 인출부(315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 cable lead-
케이블 인출부(3158)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조립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구멍을 막는 커버(3157)가 구비된다. 커버(3157)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방수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립구멍을 통해 이하 서술되는 케이블 설치부(3659)에 케이블(381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cable lead-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110)의 후면에는 제1잠금부재(3500)와, 제2잠금부재(3700)와, 제1잠금부재(3500)를 작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제2잠금부재(3700)를 작동시키는 제2구동부(3600)와, 제1잠금부재(3500)를 슬라이딩시키는 키 커넥트(3550)가 구비된다.46, a
제1잠금부재(3500)는 제1하우징(3110)의 후면 중간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The
제1잠금부재(3500)는 좌측에 제1잠금 걸림부(3502)가 형성되고, 제1잠금 걸림부(3502)의 우측에 제2잠금 걸림부(3502a)가 형성된다.The
제1잠금 걸림부(3502)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잠금 걸림부(3502a)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제1잠금 걸림부(3502)는 키 커넥트(3550)의 키 커넥트 절개부에 삽입되어 제1,2 키 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이다.The first
제2잠금 걸림부(3502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회전걸림부(3656)가 삽입되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전후방향 및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제2잠금 걸림부(3502a)는 상기 제1구동부의 제2기어(3653)의 회전걸림부(3656)에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회전걸림부(3656)는 제1잠금부재(35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The second
제1잠금부재(3500)의 우측에는 제1돌기 안내부와 잠금해제부 접촉부가 형성된다.On the right side of the
키 커넥트(3550)는 제1하우징(3110)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고, 키삽입홈은 하우징의 하부를 통해 노출된다.The
키 커넥트(3550)는 제1잠금 걸림부(3502)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상기 제1구동부는 제1하우징(3110)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고, 제1잠금부재(35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first driving unit is dispos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상기 제1구동부는 모터(3651)와, 모터(3651)에 연결되는 제1기어(3652)와, 제1기어(3652)에 연동되는 제2기어(3653)를 포함한다. 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모터(3651)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The axis of the
제1기어(3652)는 제2기어(3653)의 전방에 배치되며, 웜으로 구비된다.The
제1기어(3652)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The
제2기어(3653)는 웜기어로 구비되며, 제1하우징(3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기어 가이드(3119)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기어 가이드(3119)로 인해 제2기어(3653)는 별도의 축이 없어도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The
제2기어(3653)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 케이블 설치부(3659)가 형성되고, 하부에 회전걸림부(3656)가 형성된다.The shaft of the
케이블 설치부(3659)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케이블(3810)의 걸림부재가 끼워지는 걸림부재 끼움홈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케이블 설치부(3659)는 회전걸림부(3656)보다 후방에 배치된다.The
또한, 제2기어(3653)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둘레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둘레 돌출부는 케이블 설치부(3659) 및 회전걸림부(3656)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2기어(3653)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둘레 돌출부는 기어 가이드(3119)에 가이드된다.The
이러한 도어 래치 시스템은 사용자가 케이블(3810)을 누르게 되면 제2기어(36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회전걸림부(3656)도 회전하게 되어, 회전걸림부(3656)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잠금부재(350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1)는 제1잠금부재(3500)에 의해 잠기게 된다.In this door latch system, when the user presses the
제2잠금부재(3700)는 제1잠금부재(3500)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3700)는 구동부 걸림돌기, 제2돌기 안내부, 잠금해제 연동부가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일체로 형성된다.The
제2잠금부재(3700)는 상기 제1구동부의 모터(3651)의 우측에 배치된다.The
제2구동부(3600)는 제2잠금부재(37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잠금부재(3500)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제2구동부(3600)는 모터(3610)와, 모터(3610)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3613)와, 기어(3613)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3630)를 포함한다.The
모터(361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2구동부(3600)의 모터(3651, 3610)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axis of the
기어(3613)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웜으로 구비된다.The
메인기어(3630)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웜기어로 구비된다.The
메인기어(3630)는 제1잠금부재(3500)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3700)의 우측과 제1잠금부재(3500)의 우측 사이에는 잠금해제부가 배치된다.An unlock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right side of the
이러한 본 실시예의 도어 래치 시스템은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후면에 전면이 설치되고, 우측이 도어(1)의 상부를 향하고, 좌측이 도어(1)의 하부를 향하고, 후면이 도어(1)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어(1)에 설치된 도어 래치 시스템의 제1,2레버연결부(1800a, 1800b) 및 케이블(3810) 및 전선은 도어(1)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도어(1)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유리(30)와 간섭이 방지된다.48, the door latch system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front surface on the rea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vehicle door latch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will be omitted.
도 49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4200)와, 상기 래치(4200)를 로킹시키며, 제1레버 및 제2레버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레버를 잡아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잠금부재(4500)와,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버를 잡아당겨도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2잠금부재(4700)와, 상기 제1잠금부재(4500) 및 상기 제2잠금부재(47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6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4600)는 모터(4610)와, 상기 모터(4610)에 의해 회전되거나 이동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4500) 및 상기 제2잠금부재(4700)를 이동시키는 구동 레버(465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4700)에는 상기 제2잠금부재(4700)에 대해 상기 구동 레버(4650)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부(47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49 to 57, the door latch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4110)과, 제1하우징(4110)의 전방을 덮는 제2하우징(4130)과, 제1하우징(4110)의 후방을 덮는 제3하우징(4150)을 포함한다.The housing includes a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 중간에는 전선인출부(4159)가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부재(4500)에 연결된 케이블(4810)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 우측으로 인출된다.A cable draw-in
제3하우징(4150)에는 케이블(4810)이 인출되는 케이블 인출부(4158)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래치(4200)는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41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도어 닫힘 상태에 있을 때 래치(4200)는 제6센서(4910)를 눌러서 사용자는 도어의 닫힘 여부를 알 수 있다.When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the
상기 도어 닫음 부재도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411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oor closing member is also slid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도어 닫음 부재는 래치(4200)를 로킹시키며, 제1레버 및 제2레버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된다.The door closing member locks the
상기 도어 닫음 부재는 메인 로킹부재(4300)와, 메인 로킹부재(4300)에 걸림레버부(4450)와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서브 로킹부재(4400)를 포함한다.The door closing member includes a
메인 로킹부재(4300)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래치(4200)를 로킹시킨다.The
서브 로킹부재(4400)는 두개가 구비되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각각의 서브 로킹부재(4400)에는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레버와 연결되는 제1레버연결부(4800a) 및 도어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연결부(4800b)가 연결된다.The
제1레버연결부(4800a) 및 제2레버연결부(4800b)는 상기 하우징의 우측 상부로 인출되며, 제1레버연결부(4800a)는 후방으로 안내된다.The first
제1잠금부재(4500)는 상기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버 또는 상기 제2레버를 잡아당겨도 상기 도어 닫음 부재의 메인 로킹부재(4300)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The
제1잠금부재(4500)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The
제1잠금부재(4500)와 제2잠금부재(4700)와 구동부(4600)는 스트라이커삽입홈(4105)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전후 폭을 더욱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The
제1잠금부재(4500)의 전방에는 걸림레버부(4450)의 로킹돌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제1돌기 안내부(4507)가 형성되어, 상기 제1레버 또는 상기 제2레버를 잡아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 이러한 제1잠금부재(4500) 및 제2잠금부재(4700)가 잠금하는 과정은 제1실시예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first
제1잠금부재(4500)에는 제2감지부재(4519), 제2잠금 걸림부(4502a), 제3잠금 걸림부(4502b), 상기 제1돌기 안내부(4507), 케이블 연결부(4501), 제1잠금 걸림부(4502), 잠금해제부 접촉부(4515)가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서대로 형성된다.The
제2감지부재(4519)는 제1잠금부재(4500)의 좌측 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감지부재(4519)의 양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는 제3센서(4905) 및 제4센서(4907)에 의해 원활하게 감지된다.The
제3센서(4905) 및 제4센서(4907)는 제2감지부재(4519)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하우징(4150)에 설치된다.The
제2잠금 걸림부(4502a) 및 제3잠금 걸림부(4502b)는 수직하게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3잠금 걸림부(4502b)는 제2잠금 걸림부(4502a)의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하 서술되는 구동 레버(4650)의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는 제2잠금 걸림부(4502a)와 제3잠금 걸림부(450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은 후방 및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는 제1잠금부재(45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제1잠금부재(4500)는 구동 레버(4650)의 양측과 접촉된다.As such, the
케이블 연결부(4501)는 제1잠금부재(4500)의 후면의 우측 상단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케이블 연결부(4501)에는 케이블(4810)이 설치된 케이블 설치부(4811)가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이 좌측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케이블(4810)을 누르면, 케이블(4810) 및 케이블 설치부(4811)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케이블 설치부 가이드(412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케이블 설치부(4811)는 상기 장공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잠금부재(4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잠금부재(4500)는 케이블(4810)을 통해 잠금상태로 이동된다.The
상기 잠금해제부 접촉부(4515)는 제1잠금부재(4500)의 전면의 우측 상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해제부 접촉부(4515)에는 잠금해제부(4560)의 후단이 삽입 및 가이드되는 잠금해제부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해제부 삽입홈은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레버를 한번 잡아당기게 되면 제1잠금부재(4500)의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The unlocking
제1잠금부재(4500)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토퍼장공과 상기 스토퍼장공에 삽입되는 스토퍼돌기에 의해서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장공은 케이블 연결부(4501)의 하부에 배치된다.The
제1잠금 걸림부(4502)는 제1잠금부재(4500)의 우측 하단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제1잠금 걸림부(4502)는 상기 스토퍼 장공 하부에 배치된다.The
제1잠금 걸림부(4502)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키 커넥트(4550)의 키 커넥트의 절개부에 삽입된다. 키 커넥트(4550)는 상기 하우징의 우측 하부에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4700)는 상기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버를 잡아당겨도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The
제2잠금부재(4700)는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The
제2잠금부재(4700)는 제1감금부재(45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상기 제1잠금부재(4500)와 상기 제2잠금부재(4700) 중 적어도 하나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잠금부재(4700)가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잠금부재도 제2잠금부재(4700)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잠금부재(4700)는 구동 레버(4650)의 일측과 접촉된다. 이와 다르게, 제2잠금부재도 제1잠금부재와 같이 구동 레버의 양측과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제2잠금부재(4700)가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은 제1실시예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제2잠금부재(4700)에는 캠커버(4730), 제3감지부재(4740), 구동부 걸림돌기(4710), 제2돌기 안내부가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The
캠커버(4730)는 제2잠금부재(4700)의 좌측에 배치된다.The
로킹 가이드부재는 제2잠금부재(4700)의 좌측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cking guide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eft front side of the
캠커버(4730)의 우측에 제3감지부재(4740)가 형성된다. 제3감지부재(4740)는 제2잠금부재(4700)의 후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3감지부재(4740)를 감지하는 제8센서(4902)는 제3하우징(4150)에 설치된다. 제8센서(4902)는 제2잠금부재(4700)를 통한 잠금 상태 여부를 감지한다. 제3감지부재(4740)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며, 제3감지부재(474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감지부재(4740)는 제2잠금부재(4700)의 후방에 배치된다.A
구동부 걸림돌기(4710)는 제2잠금부재(47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구동부 걸림돌기(4710)는 제3감지부재(4740)의 하부에 배치된다. The driving
상기 제2돌기 안내부는 제2잠금부재(4700)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second projection guid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제2잠금부재(4700)의 중간 하부에는 제2잠금부재(4700)에 대해 구동 레버(4650)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부(4711)가 형성된다. 유동공간부(4711)는 구동부 걸림돌기(4710)의 우측에 배치된다. 유동공간부(4711)는 후방과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공간부(4711)로 인해 제2잠금부재(4700)에 대해 구동 레버(4650)가 이동되더라도 제2잠금부재(4700)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A
유동공간부(4711)는 제2잠금 걸림부(4502a)과 제3잠금 걸림부(4502b) 사이 간격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즉, 제1잠금부재(4500)에 대한 구동 레버(4650)의 스트로크는 제2잠금부재(4700)에 대한 구동 레버(4650)의 스트로크보다 작다.The
구동부(4600)는 상기 제1잠금부재(4500) 및 상기 제2잠금부재(470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다.The
구동부(4600)는 제1잠금부재(45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1하우징(4110)의 후면에 설치된다.The
상기 구동부(4600)는 모터(4610)와, 모터(4610)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4613)와, 기어(4613)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메인기어(4630)와, 모터(4610)에 의해 회전되거나 이동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4500) 및 상기 제2잠금부재(4700)를 이동시키는 구동 레버(4650)를 포함한다.The
모터(4610)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모터(4610)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axis of the
기어(4613)는 축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웜으로 구비된다.The
메인기어(4630)는 축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웜기어로 구비된다.The
제1잠금부재(4500)의 하단에는 메인기어(4630)의 축이 삽입되는 축삽입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메인기어(4630)의 전면에는 구동 레버(4650)를 이동시키는 레버 걸림부(4639)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A
구동 레버(4650)는 메인기어(4630)의 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구동 레버는 하우징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구동 레버(4650)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4500)에 접촉되는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와, 상기 제2잠금부재(4700)에 접촉되는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가 형성된다.The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와,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lock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는 구동 레버(4650)의 중간부분에 배치되며,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는 구동 레버(4650)의 끝단에 배치된다.The first lock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는 구동 레버(4650)의 회전 중심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는 구동 레버(4650)의 회전 중심의 우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와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는 제1,2잠금부재(4500, 4700)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와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는 좌우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된다.The first lock
이하에서는, 제1,2잠금부재(4500, 4700)를 통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through the first and
<제1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및 제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 door lock through first lock member and door lock through second lock member >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이 해제된 상태(기본 상태)에서 제1잠금부재(4500)를 통한 도어 잠금 및 제2잠금부재(4700)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가 입력되면, 구동부(4600)의 모터(4610)가 작동된다.54, when the door lock through the
모터(4610)의 작동으로 인해 메인기어(4630)가 회전된다. 회전되는 메인기어(4630)의 레버 걸림부(4639)에 구동 레버(4650)가 걸려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구동 레버(46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메인기어(4630)가 회전된 후에 메인기어(4630)는 원위치(레버 걸림부의 높이가 최저인 상태)로 복귀된다. The operation of the
구동 레버(4650)의 회전에 따라 제3잠금 걸림부(4502b)가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에 걸려서 제1잠금부재(4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는 유동공간부(4711)의 우측 개방부를 통해 유동공간부(4711)로부터 빠져나온다. 따라서, 제1잠금부재(4500)는 우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제2잠금부재(4700)의 위치는 도어 잠금 해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The
<제1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 및 제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Door Unlocking via First Locking Member and Door Locking via Second Locking Member>
제1잠금부재(4500)를 통한 도어 잠금 해제 및 제2잠금부재(4700)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구동부(4600)의 모터(4610)가 작동된다.When the door unlocking through the
모터(4610)의 작동으로 인해 메인기어(4630)가 회전된다. 회전되는 메인기어(4630)의 레버 걸림부(4639)에 구동 레버(4650)가 걸려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구동 레버(46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operation of the
구동 레버(4650)의 회전에 따라 제2잠금 걸림부(4502a)가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에 걸려서 제1잠금부재(4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 걸림돌기(4710)가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에 걸려서 제2잠금부재(4700)는 좌측으로 눌러진다. 이로 인해 제2잠금부재(47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재(4700)는 도어 잠금 위치에 있게 된다. The
또한, 제2잠금부재(4700)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구동부 걸림돌기(4710)가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를 우측으로 밀어서 구동 레버(4650)는 기본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제1잠금부재(4500)는 도어 잠금 해제 위치에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제1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및 제2잠금부재를 통한 도어 잠금>≪ door lock through first lock member and door lock through second lock member >
제1잠금부재(4500)를 통한 도어 잠금 및 제2잠금부재(4700)를 통한 도어 잠금이 입력되면, 구동부(4600)의 모터(4610)가 작동된다.When the door lock through the
모터(4610)의 작동으로 인해 메인기어(4630)가 회전된다. 회전되는 메인기어(4630)의 레버 걸림부(4639)에 구동 레버(4650)가 걸려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구동 레버(46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operation of the
구동 레버(4650)의 회전에 따라 제2잠금 걸림부(4502a)가 제1잠금부재 접촉부(4651)에 걸려서 제1잠금부재(45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 걸림돌기(4710)가 제2잠금부재 접촉부(4652)에 걸려서 제2잠금부재(4700)는 좌측으로 눌러진다. 이로 인해 제2잠금부재(47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재(4700)는 도어 잠금 위치에 있게 된다. The
이어서, 메인기어(4630)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구동 레버(46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잠금부재(450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잠금부재(4500)도 도어 잠금 위치에 있게 된다.T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사이드 도어 래치는 하나의 구동부(4600)를 통해 제1,2잠금부재(4500, 4700)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부품수가 감소되고 장치도 컴팩트해진다.As such, the vehicle side door la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dependently operate the first a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 : 하우징
1200 : 래치
1300 : 메인 로킹부재
1400 : 서브 로킹부재
1450 : 걸림레버부
1500 : 제1잠금부재
1560 : 잠금해제부
1600 : 제2구동부
1700 : 제2잠금부재
1770 : 잠금해제 연동부
1800 : 도어레버연결부
1900 : PCB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100: Housing
1200: latch
1300: Main locking member
1400: Sub-
1450:
1500: first locking member
1560:
1600:
1700: second locking member
1770:
1800: Door lever connection
1900: PCB
Claims (14)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는 메인 로킹부재;
제1레버에 의해 이동되는 제1서브 로킹부재와, 제2레버에 의해 이동되는 제2서브 로킹부재를 포함하는 서브 로킹부재;
상기 메인 로킹부재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서브 로킹부재만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2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분리하는 제1잠금부재;
상기 연결수단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메인 로킹부재를 분리하는 제2잠금부재;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가 이동되면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켜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는 잠금해제 연동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와 상기 잠금해제부가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housing;
A latch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 main locking member for locking the latch;
A sub-locking member including a first sub-locking member which is moved by a first lever and a second sub-locking member which is moved by a second lever;
A connecting means for allowing the main locking member and the sub locking member to move together or to move only the sub locking member;
A first locking member moving the connecting means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sub-locking members and the main locking member;
A second locking member moving the connecting means to separate the first sub-locking member and the main locking member;
And an unlocking portion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to release the locking when the first sub-locking member is moved,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lock releasing interlocking portion for rotating or moving the lock releas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sub 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or that the first sub locking member and the lock releasing portion are interlocked The door latch system comprising:
상기 잠금해제 연동부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k releasing interlocking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unlocking portion.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서브 로킹부재에는 상기 잠금해제부를 누르는 잠금해제부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ck releasing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sub-locking member is formed with an unlocking portion depressing portion for depressing the unlocking portion.
상기 제1잠금부재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제1,2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데드락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a second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second locking memb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units,
And when the deadlock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에는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1레버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button,
Wherein the button is disposed proximate to the first lever.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에는 상기 제1레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first lever is connected to a cable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2레버와 상기 서브 로킹부재를 연결하는 도어레버연결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도어레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atch being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door lever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evers and the sub-locking member,
And the door lever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at a front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에는 전선인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atch being disposed in front of the housing,
And a wire withdrawing portion is form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제1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cable for moving said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cable is drawn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상기 래치를 로킹시키며, 제1레버 및 제2레버에 연결되는 도어 닫음 부재;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레버를 잡아당겨도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1잠금부재;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레버를 잡아당겨도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제2잠금부재;
상기 제1잠금부재 및 상기 제2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거나 이동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 및 상기 제2잠금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에는 상기 제2잠금부재에 대해 상기 구동 레버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동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housing;
A latch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 door closing member which locks the latch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A first lock member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opened even when the second lever is pulled out;
A second lock member slid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second lock member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even when the first lever is pulled out;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Wherein the drive unit includes a motor and a drive lever that is rotated or moved by the motor to move the first lock member and the second lock member,
Wherein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formed with a fluid space portion for allowing the driving lever to flow with respect to the second locking member.
상기 제1잠금부재와 상기 제2잠금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1차 외력을 가하면 이동된 후에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고, 이어서 2차 외력을 상기 1차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held in a moved position after being moved when a first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n, when the second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imary external force,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And the drive lever is rotated by the motor.
상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구동 레버가 걸리는 레버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gear rotated through the motor,
Wherein the gear is formed with a lever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drive lever.
상기 구동 레버에는 상기 제1잠금부재에 접촉되는 제1잠금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에 접촉되는 제2잠금부재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잠금부재 접촉부와 상기 제2잠금부재 접촉부는 상기 제1잠금부재 또는 상기 제2잠금부재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drive lever is formed with a first lock member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first lock member and a second lock member contact portion that contacts the second lock member,
Wherein the first lock member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lock member contact portion ar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 member or the second lock member is sli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431A KR101781531B1 (en) | 2016-06-24 | 2016-06-24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PCT/KR2017/005932 WO2017222214A1 (en) | 2016-06-24 | 2017-06-08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431A KR101781531B1 (en) | 2016-06-24 | 2016-06-24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1531B1 true KR101781531B1 (en) | 2017-09-27 |
Family
ID=6003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9431A KR101781531B1 (en) | 2016-06-24 | 2016-06-24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1531B1 (en) |
WO (1) | WO2017222214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84906U1 (en) * | 2018-02-08 | 2018-11-14 | Алексей Валериевич Хорьков | Vehicle sliding door lock drive |
WO2022002239A1 (en) * | 2020-07-03 | 2022-01-06 | 青岛天辰佳创汽车配件有限公司 | Automobile door lock and automobi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308624A1 (en) | 2009-06-04 | 2010-12-09 | Juga Douglas L | Rotary lock providing positive latching indicia |
JP5170303B2 (en) | 2009-03-24 | 2013-03-2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Vehicle door lock device |
KR101581579B1 (en) | 2014-10-07 | 2016-01-11 | 평화정공 주식회사 | Tail gate latch for vehicl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214B1 (en) * | 2014-03-14 | 2015-12-14 | 주식회사 우보테크 | Latch system for door |
KR101808547B1 (en) * | 2015-06-26 | 2017-12-13 | 주식회사 우보테크 | Latch system for door |
-
2016
- 2016-06-24 KR KR1020160079431A patent/KR10178153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6-08 WO PCT/KR2017/005932 patent/WO201722221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70303B2 (en) | 2009-03-24 | 2013-03-2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Vehicle door lock device |
US20100308624A1 (en) | 2009-06-04 | 2010-12-09 | Juga Douglas L | Rotary lock providing positive latching indicia |
KR101581579B1 (en) | 2014-10-07 | 2016-01-11 | 평화정공 주식회사 | Tail gate latch for veh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222214A1 (en) | 2017-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8548B1 (en)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
KR101808547B1 (en) | Latch system for door | |
KR101821243B1 (en)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
KR101972508B1 (en)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
KR102363862B1 (en) | E-Latch for Vehicle Door with Safety Device | |
JP6343401B2 (en) | Door latch system | |
KR101577214B1 (en) | Latch system for door | |
US20210086699A1 (en)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
KR102059334B1 (en) | Electronic Opening and Closing Integrated Apparatus for Vehicle Door | |
KR102059335B1 (en) | Vehicle Door Handl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781531B1 (en)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
KR101995346B1 (en) | Vehicle door ratch system | |
KR101971149B1 (en) | Latch system for door | |
CN114096731B (en) | Electronic lock latch for vehicle door | |
JP6975698B2 (en) | Vehicle sliding door device | |
KR20180105047A (en) | Vehicle door ratch system | |
KR20170134291A (en)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
KR20170135783A (en) | Latch system for door | |
KR102122714B1 (en) | E-Latch for Vehicle Door with Emergency Release | |
KR101633470B1 (en) | Latch system for door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