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602B1 - 치과용 믹싱 팁 - Google Patents

치과용 믹싱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602B1
KR101780602B1 KR1020160172196A KR20160172196A KR101780602B1 KR 101780602 B1 KR101780602 B1 KR 101780602B1 KR 1020160172196 A KR1020160172196 A KR 1020160172196A KR 20160172196 A KR20160172196 A KR 20160172196A KR 101780602 B1 KR101780602 B1 KR 10178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mixing
curing agent
impression material
mix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석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02B1/ko
Priority to PCT/KR2017/014862 priority patent/WO20181110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5Devices for the manual mixing of small quantities of materials, e.g. trays for mixing dental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01F7/0029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인 인상재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시켜 압출되도록 하는 믹싱 팁 중 베인부재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재료의 이동속도 변화시키거나, 믹싱튜브와 베인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믹싱공간이 확장 및 축소로 구간마다 재료의 조밀도를 다르게 하여, 연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해 인상재와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과정에 수축, 이완 작용이 더해져 믹싱효율이 향상되는 치과용 믹싱 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믹싱 팁{Dental mixing tip}
본 발명은 재료인 인상재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치과용 믹싱 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인부재를 이루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공간의 조밀에 의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에 수축/이완 작용을 더하거나,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내부에서 상기 인상재와 경화제가 연동운동하게 하여, 상기 인상재와 경화제의 믹싱효율을 향상시키는 치과용 믹싱 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상재(印象材, impression materials)는 치과 치료를 하기 위해 치열 및 지대(支台)의 형을 찍어내는 재료로서, 탄성인상재와 비탄성인상재로 구분된다. 탄성인상재로는 아르긴산콜로이드, 티오콜, 라바베이스, 실리콘라바베이스 등이 있고, 비탄성인상재로는 모델링컴파운드, 아연화유지놀 등이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된다.
상기 인상재는 경화제와 통상 한 쌍의 카트리지에 각각 저장된 상태에서 믹싱 팁에 의해 혼합되어 분출된다. 공개특허 제10-2015-0078712호(2015.07.08.)를 참조하면, 인상재와 경화재가 각각 저장되는 한 쌍의 실린더로 이루어진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 결합되어 실린더에 각각 저장된 인상재와 경화재가 동시에 배출되면서 혼합되도록 하는 믹싱 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믹싱팁은 상기 카트리지의 소켓에 연결용 커넥터가 결합되며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는 믹싱부재가 연결용 커넥터와 일체로 결합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의 믹싱부재를 수용하도록 입구측은 넓고 출구측이 좁게 다단으로 형성되어 연결용 커넥터에 안착되는 믹싱튜브와, 상기 믹싱튜브를 수용하여 연결용 커넥터와 결합 고정되며 결합용 날개부가 카트리지의 믹싱 팁 결합단부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상기 믹싱 팁은 인상재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믹싱스크류를 그대로 통과하여 인상재와 경화제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혼합효율이 떨어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믹싱 팁은 인상재 및 경화제의 혼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길이를 길게 하였으나, 이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믹싱 팁에 잔류하여 버려지는 재료도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베인부재를 이루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공간의 조밀에 의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에 수축/이완 작용이 더해져,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믹싱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되도록 하거나, 또는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내부의 공간크기를 구간마다 상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믹싱튜브를 이동하는 인상재 및 경화제가 연동운동을 모사하여,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믹싱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됨은 물론, 믹싱 팁의 길이단축이 가능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믹싱팁에 잔류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용 믹싱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인상재 및 경화제가 각각 저장된 카트리지를 배면에 결합하는 커넥터부와, 중공을 갖는 관체로 상기 커넥터부 전면에 배치되고, 인상재와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및 상기 믹싱튜브 중공 내부에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튜브 내부에서 인상재 및 경화제를 혼합시키면서 이송하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으로 이루어지는 베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인부재는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서로 길이를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인부재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 비율은 4:6, 3:7, 2:8, 1:9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인부재는 복수 개의 개체로 분리구성하고, 복수 개를 일렬로 연결할 시,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 비율 중 상대적으로 큰 길이 비율은 큰 길이 비율끼리 작은 길이 비율은 작은 길이 비율끼리 서로 맞대어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인부재의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그 전단 및 후단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인부재의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서로 교번으로 연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단면이 '+'형으로 상기 커넥터부의 전면 중심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개별개체로 구비된 상기 베인부재 각각의 중심에는 연결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중심에는 '+'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인부재가 연결축부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면서 상기 믹싱튜브 내부에 일렬로 수용되어 믹싱 팁을 이룬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베인부재 중 어느 하나의 베인부재에는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공회전(idle)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압출 압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인상재 및 경화제가 각각 저장된 카트리지를 배면에 결합하는 커넥터부와, 중공을 갖는 관체로 상기 커넥터부 전면에 배치되고, 인상재와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및 상기 믹싱튜브 중공 내부에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튜브 내부에서 인상재 및 경화제를 혼합시키면서 이송하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으로 이루어지는 베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튜브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큰 확장공간과,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작은 수축공간을 교번으로 형성하여, 중공을 따라 서로 혼합되면서 이동하는 인상재와 경화제가 연동운동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믹싱튜브의 확장공간에 배치된 베인부재에는 제1베인 및 제2베인 중 어느 하나의 베인만 형성하고, 상기 수축공간에 배치된 베인부재에는 다른 하나의 베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베인부재를 이루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공간의 조밀에 의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에 수축/이완 작용이 더해져,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믹싱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되므로, 믹싱 팁의 전체 길이단축이 가능하여 장치의 소형화는 물론, 믹싱팁에 잔류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내부의 공간크기가 구간마다 달라짐에 따라 상기 믹싱튜브를 이동하는 인상재 및 경화제가 연동운동을 모사하며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믹싱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됨은 물론, 믹싱 팁의 길이단축이 가능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믹싱팁에 잔류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인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치과용 믹싱 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인부재를 개체로 분리구성한 치과용 믹싱 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인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 후단을 경사지게 형성한 베인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부재를 연결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믹싱공간에 선택적으로 베인부재가 내장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의 다른 연결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베인부재를 이루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공간의 조밀에 의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에 수축/이완 작용을 더하거나,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내부에서 상기 인상재와 경화제가 연동운동하게 하여, 상기 인상재와 경화제의 믹싱효율이 향상되는 치과용 믹싱 팁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커넥터부(10), 베인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10)는 원통형으로 전면측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배면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1,2)의 전단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부(10)의 배면에는 수직 또는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결합홀(1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11)을 통해 인상재 카트리지(1)와, 경화제 카트리지(2)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결합홀(11)은 상기 커넥터부(10)의 배면 측에서 전면 측으로 연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1,2)에서 각각 압출되는 인상재 및 경화제가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 측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에는 베인부재(20)가 구비되는데, 전방을 향해 압출되는 인상재 및 경화제가 베인부재(20)의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 혼합되면서 전방으로 압출된다. 상기 베인부재의 제2베인(32)의 일단은 인접하는 베인부재의 제1베인(31)의 타단과 수직하게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베인부재(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기 커넥터부(10) 전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믹싱 팁을 이룬다.상기 베인부재는 사출성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믹싱 팁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믹싱 팁은 상기 커넥터부(10)에 믹싱튜브(40)만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베인부재(20)의 제1,2베인(31)은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어, 압출되는 인상재 및 경화제를 나선상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인부재의 제2베인(32)의 일단은 인접하는 베인부재의 제1베인(31)의 타단과 수직하게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인부재를 따라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는 혼합되며 이동된다.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재는 이동하는 구간에 따라 길이방향의 속도가 변화하며 서로 혼합하게 되어 혼합효율이 증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인부재를 개체로 분리구성한 치과용 믹싱 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인부재(20)는 각각 개별개체로 복수 개를 구비하고, 개별개체로 구비된 상기 베인부재(20)는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10) 전면에 일렬로 조립되어 믹싱 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인을 180°나사 선상(트위스트)으로 꼬아 형성하는데,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은 상기 베인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인부재(20)의 전체길이를 기준하여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의 길이 비율을 선택적으로 4:6, 3:7, 2:8, 1:9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측에 배치되는 제1베인(31)과 후방 측에 배치되는 제2베인(32)의 길이 비율을 다르게 형성한 것은 상기 전방 측의 비율이 높을수록 저항이 낮고, 전방측의 비율이 낮을수록 저항이 높은데, 상기 베인부재(20)의 전체길이를 기준하여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의 길이 비율을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공간의 조밀에 의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에 수축/이완 작용이 더해져, 믹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은 어느 하나의 비율에 한정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연결할 수도 있으며, 베인부재(20)의 갯수 또한, 믹싱튜브(40)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변경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의 전, 후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베인은 후단의 회전운동을 전단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높은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인부재(20)는 복수 개가 상기 커넥터부(10) 전방에 일렬로 조립될 시,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이 서로 교번한 위치로 순차적으로 연속조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 후방의 베인 비율이 다른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을 일렬로 연결할 시에는, 제1,2베인 중 길이가 작은 베인이, 인접하는 베인부재의 제1,2베인 중 길이가 작은 베인과 서로 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인부재(20)는 전체길이를 기준하여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의 길이 비율이 3:7인 것을 구비하고, 연속으로 연결되는 다른 베인부재(20)는 전체길이를 기준하여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의 길이 비율이 8:2인 것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상재와 경화재가 제1,2베인을 따라 1회전하며 이동하는 거리가 상이하게 되어 구간마다 길이방향의 수축정도가 상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인상재와 경화재의 혼합율을 향상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믹싱 팁은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 중심에는 단면이 '+'형인 샤프트(12)가 전방을 향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두개의 결합공(11)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샤프트(12)의 끝단이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에 나사결합으로 결합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12)가 나사결합으로 상기 커넥터부(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12)의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믹싱 팁에는 중공의 믹싱튜브(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공의 믹싱튜브(40)는 후단을 통해 상기 샤프트(12)가 삽입되면서, 상기 믹싱튜브(40)의 그 후단이 상기 커넥터부(10)에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믹싱튜브(40)의 중심에는 샤프트(12)가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10) 전방으로 압출되는 인상재 및 경화제는 상기 샤프트(12)를 축으로 믹싱튜브(40)에 안내되어 전방으로 압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믹싱튜브(40)를 분리 구성하는 것으로 기재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커넥터부(10)의 전면에서 샤프트(12)를 내장한 체, 일체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별개체로 구비된 복수 개의 베인부재(20) 각각의 중심에는 연결축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축부(22)의 중심에는 '+'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인부재(20) 각각은 상기 연결축부(22)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12)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2)에 끼워져 조립된 베인부재(20)는 회전이 단속된 상태로, 상기 믹싱튜브(40) 내부에 복수 개가 사용자의 조립 조합에 의해 일렬로 수용되어 믹싱 팁을 이루고, 상기 샤프트(12) 최전단에는 고정구(41)가 결합되어, 상기 베인부재(20)가 샤프트(1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샤프트(12)의 양단이 수평선상으로 고정되도록 해, 상기 샤프트(12)가 어느 한 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베인부재(20)는 상기 커넥터부(10) 전방에 일렬로 조립될 시, 복수 개의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이 교번으로 배치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샤프트의 단면을 '+'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적용하여 상기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가 샤프트(12)에 끼워질 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베인(31) 또는 제2베인(32)의 베인 각도를 가변하여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믹싱 팁은 복수 개의 베인부재(2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샤프트(12)를 축으로 공회전(idle)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압출 압력에 의해 베인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상기 샤프트(12)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인부재(20)을 공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베인부재(20)의 연결축부(22)에 '+'의 홀이 형성된 베어링(23)이 구비되어, 상기 베인부재(20)가 상기 샤프트(12)를 축으로 공회전(idle)한다.
이때 상기 베인부재(20)들 사이에는 부싱 또는 와셔가 배치되어, 상기 베인부재(20)의 연결축부(22)와 인접하는 다른 베인부재(20)의 연결축부(22)간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인부재(20)은 연결축부(22)에 구비된 베어링에 의해 전방으로 압출되는 인상재 및 경화제와의 마찰에 의해 상기 샤프트(12)를 축으로 회전하여, 압출 압력에 따른 저항력이 감소하여 믹싱 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재료의 이동속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믹싱공간 조밀도에 변화를 주어 믹싱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데, 상기 베인부재(20)를 일렬로 연결한 상태로 내장하고, 확장공간(42)과 수축공간(43)을 형성한 믹싱튜브(40)를 제공한다.
상기 믹싱튜브(40)는 중공을 갖는 관체로 그 내부 중공은 상기 베인부재(20) 로 이루어진 믹싱 팁에 의해 압출되면서 서로 혼합되는 인상재와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믹싱튜브(40)는 서로 혼합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인상재와 경화제가 압출되면서 연동운동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큰 확장공간(42)과,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작은 수축공간(43)을 교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동운동은 소화기에서 음식물이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근운동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믹싱튜브(40) 역시, 확장공간(42)과 수축공간(43)을 교번으로 형성하여, 상기 믹싱튜브(40)를 통해 압출되는 인상재와 경화제가 이동하면서 연동운동에 의해 서로 섞이도록 한다.
이때 상기 믹싱튜브(40)의 확장공간에는 제1베인(31) 및 제2베인(32) 중 어느 하나를 배치하고, 수축공간에는 다른 하나를 배치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믹싱튜브(40)의 확장공간(42)에만 베인부재(2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믹싱튜브(40)를 확장공간(42) 및 수축공간(43) 구간별로 분리하여 구성하여,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믹싱튜브(40)를 확장공간(42) 및 수축공간(43)는 베인부재(20)를 일체로 모듈화하여, 선택적인 조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믹싱 팁은 인상재 및 경화제가 혼합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구간을 최소화하여 종래보다 혼합효율이 상승되고, 연속 반복되는 혼합 또는 이송으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함은 물론, 베인부재를 이루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인상재 및 경화제가 이동하는 공간의 조밀에 의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에 수축/이완 작용이 더해져,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믹싱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되므로, 믹싱 팁의 전체 길이단축이 가능하여 장치의 소형화는 물론, 믹싱팁에 잔류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조립순서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다양한 조합의 믹싱 팁을 제공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베인부재 중 선택적으로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해, 인상재 및 경화제의 압출 저항은 낮아지면서, 혼합 효율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인상재 카트리지 2: 경화제 카트리지
10: 커넥터부 11: 결합공
12: 샤프트 20: 베인부재
22: 연결축부 23: 베어링
31: 제1베인 32: 제2베인
40: 믹싱튜브 41: 고정구

Claims (8)

  1. 인상재 및 경화제가 각각 저장된 카트리지를 배면에 결합하는 커넥터부;
    중공을 갖는 관체로 상기 커넥터부 전면에 배치되고, 인상재와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및
    상기 믹싱튜브 중공 내부에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튜브 내부에서 인상재 및 경화제를 혼합시키면서 이송하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으로 이루어지는 베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부재의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의 길이 비율은 4:6, 3:7, 2:8, 1:9 중 어느 하나의 비율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부재의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그 전단 및 후단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부재의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서로 교번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5.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면이 '+'형으로 상기 커넥터부의 전면 중심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개별개체로 구비된 상기 베인부재 각각의 중심에는 연결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중심에는 '+'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인부재가 연결축부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면서 상기 믹싱튜브 내부에 일렬로 수용되어 믹싱 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팁.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베인부재 중 어느 하나의 베인부재에는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공회전(idle)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인상재 및 경화제의 압출 압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7. 인상재 및 경화제가 각각 저장된 카트리지를 배면에 결합하는 커넥터부;
    중공을 갖는 관체로 상기 커넥터부 전면에 배치되고, 인상재와 경화제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믹싱튜브; 및
    상기 믹싱튜브 중공 내부에 복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믹싱튜브 내부에서 인상재 및 경화제를 혼합시키면서 이송하는 제1베인 및 제2베인으로 이루어지는 베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튜브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큰 확장공간과,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이 작은 수축공간을 교번으로 형성하여, 중공을 따라 서로 혼합되면서 이동하는 인상재와 경화제가 연동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믹싱튜브의 확장공간에 배치된 베인부재에는 제1베인 및 제2베인 중 어느 하나의 베인만 형성하고, 상기 수축공간에 배치된 베인부재에는 다른 하나의 베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믹싱 팁.
KR1020160172196A 2016-12-16 2016-12-16 치과용 믹싱 팁 KR10178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196A KR101780602B1 (ko) 2016-12-16 2016-12-16 치과용 믹싱 팁
PCT/KR2017/014862 WO2018111041A1 (ko) 2016-12-16 2017-12-15 치과용 믹싱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196A KR101780602B1 (ko) 2016-12-16 2016-12-16 치과용 믹싱 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602B1 true KR101780602B1 (ko) 2017-09-20

Family

ID=6003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196A KR101780602B1 (ko) 2016-12-16 2016-12-16 치과용 믹싱 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0602B1 (ko)
WO (1) WO201811104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41A1 (ko) * 2016-12-16 2018-06-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믹싱 팁
KR102016849B1 (ko) * 2018-03-27 2019-08-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KR102018458B1 (ko) * 2018-03-27 2019-09-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WO2019190136A1 (ko) * 2018-03-27 2019-10-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KR20210034980A (ko) 2019-09-23 2021-03-31 윤석훈 인상재 카트리지용 믹싱팁
KR20210153309A (ko) * 2020-06-10 2021-12-17 문형주 일체형 치과용 인상재 도포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인상재 도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314B1 (en) 1999-10-12 2002-05-28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Double-barreled syringe with detachable locking mixing tip
US6398761B1 (en) 2001-01-19 2002-06-04 Ultradent Products, Inc. Double syringe barrels with ported delivery ends
KR101685323B1 (ko) 2016-01-26 2016-1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믹싱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7789A1 (de) * 2003-08-14 2005-09-15 3M Espe Ag Einzeldosisspritze für ein mehrkomponentiges Material
KR200382603Y1 (ko) * 2005-02-02 2005-04-22 김철홍 떡 반죽용 이송스크류
KR101091062B1 (ko) * 2011-07-04 2011-12-08 (주) 세일덴텍 자동형 치과인상재 혼합 믹싱팁
KR20150078712A (ko) * 2013-12-31 2015-07-08 김인자 치과 치료용 인상재의 믹싱팁 구조
KR101780602B1 (ko) * 2016-12-16 2017-09-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믹싱 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314B1 (en) 1999-10-12 2002-05-28 Discus Dental Impressions, Inc. Double-barreled syringe with detachable locking mixing tip
US6398761B1 (en) 2001-01-19 2002-06-04 Ultradent Products, Inc. Double syringe barrels with ported delivery ends
KR101685323B1 (ko) 2016-01-26 2016-1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믹싱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41A1 (ko) * 2016-12-16 2018-06-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믹싱 팁
KR102016849B1 (ko) * 2018-03-27 2019-08-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KR102018458B1 (ko) * 2018-03-27 2019-09-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WO2019190136A1 (ko) * 2018-03-27 2019-10-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KR20210034980A (ko) 2019-09-23 2021-03-31 윤석훈 인상재 카트리지용 믹싱팁
KR20210153309A (ko) * 2020-06-10 2021-12-17 문형주 일체형 치과용 인상재 도포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인상재 도포장치
KR102426102B1 (ko) * 2020-06-10 2022-07-27 문형주 일체형 치과용 인상재 도포팁 및 이를 포함하는 인상재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1041A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602B1 (ko) 치과용 믹싱 팁
CN103906562B (zh) 静态混合器的可重构混合导流体及制造静态混合器的方法
KR101685323B1 (ko) 치과용 믹싱팁
US20070212662A1 (en) Brushhead Stem With Core Channels For Dispensing Fluids
RU201114385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стержнем поршня
US20220008835A1 (en) Posable wire connector for building blocks
CN111185348B (zh) 一种气压胶枪
KR101732632B1 (ko) 장난감 블록
CN110248569A (zh) 包括螺线形段的模制刷毛刷
KR102018458B1 (ko)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KR102016849B1 (ko)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JP2006522680A5 (ko)
RU143095U1 (ru) Толкатель для шприца
JP6384838B2 (ja) 薬剤カートリッジ用プランジャ
JP2008149051A (ja) 玩具用変位構造体
ATE460265T1 (de) Kalibrierplatte für ein extrusionswerkzeug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profilen
WO2019190136A1 (ko) 치과용 인상재 믹싱 팁
CN108591161B (zh) 一种可调节齿轮齿条摆动液压缸
CN201418469Y (zh) 化妆笔
KR200481560Y1 (ko) 천연솔이 장착된 헤어브러시
EP3135360A1 (en) Toy construction set
CN216355268U (zh) 一种杆件的快捷装配机构
EP1362190A1 (en) A fixing plug
JP2023097093A (ja) 塗布具
US20050152768A1 (en) Fixing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