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110B1 -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Google Patents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0110B1 KR101780110B1 KR1020150113256A KR20150113256A KR101780110B1 KR 101780110 B1 KR101780110 B1 KR 101780110B1 KR 1020150113256 A KR1020150113256 A KR 1020150113256A KR 20150113256 A KR20150113256 A KR 20150113256A KR 101780110 B1 KR101780110 B1 KR 101780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sticker
- delete delete
- packaging
- packag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 B65D17/16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 B65D2101/0007—
-
- B65D2101/00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6—Arrangements on packages concerning bar-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가 상기 개봉확인스티커에 형성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주병, 캔, 컵라면용기, 팩, 봉지, 비닐포장재 등과 같은 다양한 포장재에 적용할 수 있고, 포장재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봉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별의 신뢰성을 높임과 아울러, 포장재로서의 사용 편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그 적용이 용이하고, 개봉 여부의 판별이 직관적이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진위여부를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주병, 캔, 컵라면용기, 팩, 봉지, 비닐포장재 등과 같은 다양한 포장재에 적용할 수 있고, 포장재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봉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별의 신뢰성을 높임과 아울러, 포장재로서의 사용 편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그 적용이 용이하고, 개봉 여부의 판별이 직관적이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진위여부를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포장을 위하여 다양한 포장재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포장재를 소비자가 원하지 않게 타인이 개방할 경우, 상품을 모조품으로 교체하거나, 상품에 이물질 등을 혼입함으로써, 소비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도록 하거나, 소비자에게 위해를 가하게 되는 문제들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24012호의 "개봉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용기"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나사부로 열고 닫는 뚜껑과 각종 식료품 등을 담는 본체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개봉을 위한 개봉홈과 걸림턱이 형성된 개봉띠가 개봉을 위한 홈 사이에 여러 개의 연결편으로 지지가 되도록 하부 한 부분에 일체 형성된 뚜껑과; 상기 뚜껑을 닫을 때 개봉띠에 형성된 걸림턱을 안내하는 경사 안내부와 상기 뚜껑을 열 때 개봉띠를 탈락시키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된 제 1 개봉띠 제거 돌기와 상기 뚜껑이 열고 닫힐 수 있는 두께만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 2 개봉띠 제거 돌기가 용기의 본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의 한 부분에 지지편과 함께 일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용기에 한정됨으로써 다양한 포장재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포장재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봉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하는데 한계를 가지며, 구조적인 복잡함으로 인해 그 적용이 용이하지 못하고, 개봉 여부 판별이 직관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포장재에 적용할 수 있고, 포장재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봉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그 적용이 용이하고, 개봉 여부의 판별이 직관적이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그 진위여부를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품의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가 상기 개봉확인스티커에 형성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절취가이드부는, 상기 개봉부위에서 개봉되는 라인을 따라, 천공된 점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물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봉확인스티커는, 홀로그램, 엠보싱잠상 및 제 1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표시부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봉확인스티커 상에 상기 상품의 이력 또는 진위여부를 단말기를 통해서 조회함으로써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위변조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변조조회부는, QR 코드, 바코드, 히든 QR코드, 히든 바코드, DNA 바코드, DNA, 스마트기기인식용보안패턴 및 제 2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인쇄 또는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표시부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병의 마개를 포함하도록 감싸는 밀봉재의 절취선이 형성되는 부위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캔의 상면에 꼭지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부와 그 주변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개봉확인스티커는, 상기 꼭지가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컵라면 포장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라면 포장용기의 상단에 부착되는 덮개가 개방되는 부위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개봉확인스티커는, 상기 덮개의 돌출부가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팩의 상단에 접철에 의해 밀봉되도록 접합되는 접합부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팩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마개와 그 주변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봉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봉지에서 절단에 의해 개봉되는 부위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팩에서 빨대를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그 주변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상품이 수용되는 내측포장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파단되어 개봉될 수 있는 부위나 분할되어 경계를 이루어 개봉될 수 있는 부위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와의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동일확인스티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에 의하면, 양주병, 캔, 컵라면용기, 팩, 봉지, 비닐포장재 등과 같은 다양한 포장재에 적용할 수 있고, 포장재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봉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별의 신뢰성을 높임과 아울러, 포장재로서의 사용 편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그 적용이 용이하고, 개봉 여부의 판별이 직관적이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진위여부를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는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1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12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121)가 개봉확인스티커(120)에 형성된다.
절취가이드부(121)는 개봉부위에서 개봉되는 라인을 따라, 본 실시례에서처럼 천공된 점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다른 예들로서, 천공된 선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물결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봉확인스티커(120)는 접착물질, 접착층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개방부위에 부착될 수 있고, 예컨대 홀로그램, 엠보싱잠상 및 제 1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표시부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엠보싱잠상은 잠상인쇄물로서, 요철판에 의해 인쇄된 화선이 형성되고, 형성된 화선에 의해 잠상인쇄물에 잠상이 표현된다. 즉, 잠상인쇄물은 요철 화선의 각도와 주변 화선의 각도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잠상 효과가 나타난다. 엠보싱잠상은 다른 예로는, 인쇄가 가능한 종이 위에 옵셋 인쇄 방법 또는 스크린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규칙적인 선들이 표현된다. 그 후, 규칙적인 선들 위에, 동일한 간격의 선들을 가지고 있는 인쇄면에 잉크가 적용되지 않는 요철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다. 그러면, 잠상인쇄물에 잠상이 형성된다. 선들에는 요철 구조들이 형성되고, 요철 구조들 각각의 화선 단면의 각도는 변화될 수 있다. 요철된 선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잠상인쇄물이 상하로 기울어지면 잠상인쇄물의 잠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엠보싱잠상에 의해 기울이는 간편한 동작만으로 상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잠상은 스티커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거시 쉽게 파손되도록 칼집 등과 같은 절개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법한 제거로 인한 육안 확인을 쉽게 하도록 할 수 있다.
개봉확인스티커(120) 상에는 상품의 이력 또는 진위여부를 단말기를 통해서 조회함으로써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위변조조회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위변조조회부(130)는 QR 코드, 바코드, 히든 QR코드, 히든 바코드, DNA 바코드, DNA, 스마트기기인식용보안패턴 및 제 2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인쇄 또는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표시부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나 저장 데이터를 통해서 위변조조회부(130)의 리딩에 의해 획득하는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데이터끼리 매칭시킴으로써 진위여부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을 통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에 의해 외부 시스템에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나 저장 데이터를 통해서 위변조회부(130)의 리딩에 의해 획득하는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데이터끼리 매칭시킴으로써 진위여부를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을 통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위변조조회부(130)를 리딩시 이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위변조조회부(130)의 리딩을 위한 리더기로서, 카메라 또는 그 밖에 리더기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카메라의 제어 및 데이터 획득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든 QR코드나 히든 바코드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코드화된 패턴을 포함하되, 코드화된 패턴이 확대없이 리더기나 스마트기기 등에 의해 검출 가능한 기준 크기 보다 1배 이하 축소 배율의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물질에 의해 형성되고, 리더기나 스마트기기 또는 그 밖에 별도의 전용 인식기기에 마련되는 검출 장치를 통해 코드화된 패턴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화상으로 출력하거나 디코딩하여, 해당 식별정보가 추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코드화된 패턴이 형성된 후 그 위에 하드코팅이나, 수지계, 플라스틱류 등의 재질을 이용한 투명 또는 유색 프라이머 등의 표면처리 방법으로 형성되는 차폐막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물질은 특정 파장의 전자기파에 반응하는 특정파장 반응물질, 전자기파에 편광성을 부여할 수 있는 편광물질 또는 자기장에 반응할수 있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정파장 반응물질은 예컨대, 적외선을 흡수 또는 반사시키는 물질,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그보다 긴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넓은 의미의 형광물질, 상대적으로 긴 파장의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그보다 짧은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안티스토크스(anti-Stock's) 물질 등으로서 특정한 파장 대역(일정 대역 범위)의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그와 같은 파장대역의 전자기파는 물론이고 그 보다 짧거나 긴 파장 대역의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모든 물질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에 편광성을 부여할 수 있는 편광물질은 액정(Liquid Crystal)과 같이 임의의 전자기파에 편광성을 부여하여 편광된 전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는 자성물질은 상자성, 강자성, 반자성, 반강자성 등의 자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자기장 중에 위치할 때 자화하는 성질을 갖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코드화된 패턴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으나, 특정한 조명 조건하에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거나, 특정한 검출 장치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검출 장치는 상기의 코드화된 패턴으로 전자기파를 조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광원과, 코드화된 패턴으로부터 방출되는 특정 파장 대역의 전자기파를 반사시키거나 투과시키기 위한 밴드패스필터, 코드화된 패턴으로부터 방출되는 편광된 전자기파를 흡수, 반사, 또는 투과시키기 위한 편광필터, 및 코드화된 패턴으로부터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의 밴드패스 필터 또는 상기의 편광필터에서 나오는 상을 1배 이상 확대된 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학계와, 광학계에 의해 결상되는 영상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코드화된 패턴은 확대없이 리더기 등에 의해 검출 가능한 기준 크기 보다 1배 이하의 배율로 축소되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특정 파장의 전자기파에 반응하는 형광물질, 전자기파에 편광성을 부여할 수 있는 편광물질 또는 자기장에 반응할 수 있는 자성물질로 형성됨으로써 검출 장치는 상기의 코드화된 패턴에 대해 이미지 센서를 통해 광학계에 의해 결상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를 검출하거나 자기센서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여, 코드화된 패턴의 확대된 영상을 화상으로 출력하거나 디코딩하여 해당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포장재(110)는 양주나 와인과 같은 주류 등이 포장되는 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병의 마개(111)를 포함하도록 감싸는 밀봉재(112)의 절취선(113)이 형성되는 개방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120)가 부착될 수 있고, 개봉확인스티커(120)에 절취가이드부(121)가 절취선(113)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개봉확인스티커(120) 상에 위변조조회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2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와 마찬가지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2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22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221)가 개봉확인스티커(220)에 형성되며, 개봉확인스티커(220) 상에 위변조조회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220) 및 위변조조회부(2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의 개봉확인스티커(120)와 위변조조회부(130)와 구체적인 부착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재(210)는 음료나 식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캔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캔의 상면(211)에 꼭지(213)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부(212)와 그 주변에 개봉확인스티커(22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220)는 꼭지(213)가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2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3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와 마찬가지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3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32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321)가 개봉확인스티커(320)에 형성되며, 개봉확인스티커(320) 상에 위변조조회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320) 및 위변조조회부(3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의 개봉확인스티커(120)와 위변조조회부(130)와 구체적인 부착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재(310)는 컵라면 포장용기로 이루어지고, 컵라면 포장용기의 상단에 부착되는 덮개(311)가 개방되는 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320)가 부착될 수 있다. 개봉확인스티커(320)는 덮개(311)의 돌출부(312)가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3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4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와 마찬가지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4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420,44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421,441)가 개봉확인스티커(420,440)에 형성되며, 개봉확인스티커(420,440) 상에 위변조조회부(430,45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420,440) 및 위변조조회부(430,45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의 개봉확인스티커(120)와 위변조조회부(130)와 구체적인 부착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재(410)는 우유나, 쥬스 등의 음료가 포장되는 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팩의 상단에 접철에 의해 밀봉되도록 접합되는 접합부(411)에 개봉확인스티커(420)가 부착될 수 있으며, 팩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마개(412)와 그 주변에 개봉확인스티커(440)가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5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와 마찬가지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5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52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521)가 개봉확인스티커(520)에 형성되며, 개봉확인스티커(520) 상에 위변조조회부(5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520) 및 위변조조회부(5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의 개봉확인스티커(120)와 위변조조회부(130)와 구체적인 부착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재(510)는 과자, 식품 등이 포장되는 봉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봉지에서 절단에 의해 개봉되는 부위(512)에 개봉확인스티커(52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재(510)에서 개봉되는 부위(512)는 외측에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절단가이드(511)에 의해 개봉되는 라인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6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와 마찬가지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6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62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621,622)가 개봉확인스티커(620)에 형성되며, 개봉확인스티커(620) 상에 위변조조회부(6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620) 및 위변조조회부(6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의 개봉확인스티커(120)와 위변조조회부(130)와 구체적인 부착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재(610)는 우유나 쥬스 등과 같은 음료가 포장되는 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팩에서 빨대를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611)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612)와 그 주변에 개봉확인스티커(620)가 부착될 수 있다. 절취가이드부(621,622)는 개페부재(612)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팩의 접힘부(613) 경계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610)는 개봉확인스티커(620)와의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확인스티커(640)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이전이 모든 실시례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7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와 마찬가지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710)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720,740)가 부착되고,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721)가 개봉확인스티커(7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봉확인스티커(720,740) 상에 위변조조회부(730,75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봉확인스티커(720,740) 및 위변조조회부(730,75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100)의 개봉확인스티커(120)와 위변조조회부(130)와 구체적인 부착위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장재(710)는 상품이 수용되는 내측포장재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파단되어 개봉될 수 있는 부위나 분할되어 경계를 이루어 개봉될 수 있는 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720,74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포장재는 본 실시례에서는 담배갑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담배뿐만 아니라, 각종 식료품 또는 각종 생활용품 또는 카드 등과 같은 오락용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박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포장재(710)에 의해 외측이 포장된다.
포장재(710)는 예컨대 비닐포장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포장방식이 포장박스의 구조,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포장재(710)에서 파단되어 개봉될 수 있는 부위에는 제 1 개봉확인스티커(720)가 부착되되, 이러한 제 1 개봉확인스티커(720)는 파단 예정인 부위를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710)에서 분할되어 서로 만나거나 접하게 됨으로써 경계를 이루어 개봉될 수 있는 부위에는 제 2 개봉확인스티커(74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710)는 개봉확인스티커(720,740)와의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확인스티커(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에 따르면, 양주병, 캔, 컵라면용기, 팩, 봉지, 비닐포장재 등과 같은 다양한 포장재에 적용할 수 있고, 포장재의 구조적인 특성과 개봉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별의 신뢰성을 높임과 아울러, 포장재로서의 사용 편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인 단순함으로 인해 그 적용이 용이하고, 개봉 여부의 판별이 직관적이어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상품의 진위여부를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310,410,510,610,710 : 포장재
111 : 마개
112 : 밀봉재
113 : 절취선
120,220,320,420,440,520,620,720,740 : 개봉확인스티커
121,221,321,421,441,521,621,622,721 : 절취가이드부
130,230,330,430,450,530,630,730,750 : 위변조조회부
211 : 상면
212 : 개방부
213 : 꼭지
222,322 : 개구
311 : 덮개
312 : 돌출부
411 : 접합부
412 : 마개
511 : 절단가이드
512 : 개방되는 부위
611 : 홀
612 : 개폐부재
613 : 접힘부
111 : 마개
112 : 밀봉재
113 : 절취선
120,220,320,420,440,520,620,720,740 : 개봉확인스티커
121,221,321,421,441,521,621,622,721 : 절취가이드부
130,230,330,430,450,530,630,730,750 : 위변조조회부
211 : 상면
212 : 개방부
213 : 꼭지
222,322 : 개구
311 : 덮개
312 : 돌출부
411 : 접합부
412 : 마개
511 : 절단가이드
512 : 개방되는 부위
611 : 홀
612 : 개폐부재
613 : 접힘부
Claims (16)
- 상품의 포장구조로서,
상품이 포장되는 포장재의 개봉부위에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개봉부위의 개봉시, 절단을 가이드하는 절취가이드부가 상기 개봉확인스티커에 형성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우유나 쥬스 등과 같은 음료가 포장되는 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팩에서 빨대를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그 주변에 상기 개봉확인스티커가 부착되고,
상기 절취가이드부는 개페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팩의 접힘부 경계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장재에는 개봉확인스티커와의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동일확인스티커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취가이드부는,
상기 개봉부위에서 개봉되는 라인을 따라, 천공된 점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천공된 선이 물결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스티커는,
홀로그램, 엠보싱잠상 및 제 1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표시부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봉확인스티커 상에 상기 상품의 이력 또는 진위여부를 단말기를 통해서 조회함으로써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위변조조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조회부는,
QR 코드, 바코드, 히든 QR코드, 히든 바코드, DNA 바코드, DNA, 스마트기기인식용보안패턴 및 제 2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인쇄 또는 스티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표시부는,
미리 정해진 문자, 숫자 및 도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256A KR101780110B1 (ko) | 2015-08-11 | 2015-08-11 |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3256A KR101780110B1 (ko) | 2015-08-11 | 2015-08-11 |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188A KR20170019188A (ko) | 2017-02-21 |
KR101780110B1 true KR101780110B1 (ko) | 2017-09-20 |
Family
ID=5831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3256A KR101780110B1 (ko) | 2015-08-11 | 2015-08-11 |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01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4229B1 (ko) * | 2023-04-11 | 2023-10-05 | 엔비에스티(주) | 위변조 방지수단을 구비한 음료 병 및 캡 어셈블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2393A (ja) * | 2003-10-07 | 2005-04-28 | Hisashi Tanaka | インスタントカップ食品容器 |
KR100606212B1 (ko) * | 2003-01-23 | 2006-08-02 | 서동길 | 위조방지용 병마개의 밀봉방법 및 그 병마개의 밀봉구조 |
JP2009298464A (ja) * | 2008-06-17 | 2009-12-24 | Iwata Label Co Ltd | 開封ラベル付き包装袋および包装袋の開封ラベル |
-
2015
- 2015-08-11 KR KR1020150113256A patent/KR1017801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6212B1 (ko) * | 2003-01-23 | 2006-08-02 | 서동길 | 위조방지용 병마개의 밀봉방법 및 그 병마개의 밀봉구조 |
JP2005112393A (ja) * | 2003-10-07 | 2005-04-28 | Hisashi Tanaka | インスタントカップ食品容器 |
JP2009298464A (ja) * | 2008-06-17 | 2009-12-24 | Iwata Label Co Ltd | 開封ラベル付き包装袋および包装袋の開封ラベ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9188A (ko) | 2017-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72366B2 (en) | Seal method and system for packages | |
US20160009468A1 (en) | Overcapping de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 |
US201701327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ng and determining an integrity status of an outer packaging | |
EP3009967A1 (en) | Nfc/rfid mechanism with multiple valid states for detecting an open container | |
US11000063B2 (en) | Packaging with an information encoding pattern | |
WO2003046842A1 (en) | Tamper evident container | |
ES2924057T3 (es) | Empaque de productos antifalsificación y antidesviación | |
EP3558841B1 (en) | Anti-counterfeit container | |
US20170323588A1 (en) | Device For Recognizing The Authenticity Of A Packaged Product To Be Sold | |
KR101780110B1 (ko) | 개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포장구조 | |
UA81363C2 (en) | Storage unit with identifying marking | |
TWM487485U (zh) | 一種無線射頻防偽標籤結構 | |
KR101714171B1 (ko) | 상품의 위변조 및 불법 교체 방지용 포장케이스 | |
TWI241540B (en) | Remote identification counterfeit-proof device | |
US11254472B2 (en) | Smart capsules | |
GB2506429A (en) | Window arrangement for a packaged product | |
KR101728247B1 (ko) | 불법 교체 및 위변조 방지 케이스 | |
TWI533228B (zh) | A radio frequency anti - counterfeit label structure | |
TWM555050U (zh) | 真空包裝防偽結構 | |
CN206615549U (zh) | 防伪包装结构及采用该防伪包装结构的防伪包装体 | |
RU74897U1 (ru) |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 |
TWM455924U (zh) | 可雙重查驗之無線射頻識別電子標籤 | |
NZ749646A (en) | Smart capsu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