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579B1 -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 Google Patents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579B1
KR101779579B1 KR1020150181482A KR20150181482A KR101779579B1 KR 101779579 B1 KR101779579 B1 KR 101779579B1 KR 1020150181482 A KR1020150181482 A KR 1020150181482A KR 20150181482 A KR20150181482 A KR 20150181482A KR 101779579 B1 KR101779579 B1 KR 10177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pur
open stub
transmission line
micro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062A (ko
Inventor
김철영
이현승
김재선
오현명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57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9Galvanic coupling between Input/Outp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수직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오픈 스터브,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와 기설정된 간격(G1)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 2 오픈 스터브,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일측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개방된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스퍼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스퍼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일단은 'L' 형상의 슬롯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소정의 간격(S1, S2)으로 각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대역저지 필터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저지 대역폭을 가짐과 동시에 억압값에 대해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으며, 소형화 및 단순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Microstrip Band-Stop Filter Using Open Stub and Spurline}
본 발명은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서로 다른 주파수를 혼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인접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서비스들끼리 종종 혼선이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하나의 서비스의 주파수를 송출할 때에는 다른 서비스의 주파수를 저지함으로써, 이들 간의 혼선을 줄일 수 있는 대역저지 필터를 적용하고 있다.
종래의 대역저지 필터는 마이크로스트립만으로 설계되는 오픈된 병렬 스터브(Open Parallel Stub)를 형성하는 형태의 대역저지 필터가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여파기는 저지 대역폭이 매우 작다는 단점이 있었다.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0-004266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오픈 스터브를 간격으로 이격시켜 병렬로 여러 개를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넓히지 못할 뿐 아니라, 대역폭과 억압값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의 대역폭을 넓게 향상시키면서도 중심주파수, 대역폭과 억압값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혼합한 복합적인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수직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오픈 스터브,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와 기설정된 간격(G1)을 두고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 2 오픈 스터브,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일측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개방된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스퍼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스퍼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일단은 'L' 형상의 슬롯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소정의 간격(S1, S2)으로 각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를 이용한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은,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의 수직방향으로 대응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위치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 사이에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가 위치한다.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는, 상기 제 1 스퍼라인 혹은 상기 제 2 스퍼라인 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길이(L3, L4)의 감소 혹은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의 간격(S1, S2)이 감소된다.
이러한 스퍼라인을 가지는 오픈 스터브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트립 대역저지 필터는,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 간의 간격(G1)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의 길이(L1, L2)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길이(L3, L4)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 간의 간격(S1, S2)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퍼라인의 선폭(W1),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선폭(W3) 및 상기 두 스퍼라인 사이에 위치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선폭(W2)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상기 제 1 스퍼라인의 간격(S3) 혹은 상기 제 2 스퍼라인 간의 간격(S4)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정도(X)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중심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제 2 오픈 스터브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오픈 스터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제 2 스퍼라인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스퍼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대역저지 필터에 비해 크기가 축소될 뿐만 아니라, 저지 대역폭의 억제 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대역저지 필터의 대역폭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대역저지 필터에 비해 대역폭을 현저하게 넓히면서도 스커트 특성이 악화되지 않고, 두 개의 오픈 스터브 끝단의 갭을 조정하여 억압값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픈 스터브 두 개의 길이를 서로 조절하여 중심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대역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의 설계 변수의 변경에 따른 실시예 및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된 도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제 1 오픈 스터브(120) 및 제 2 오픈 스터브(130)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는 임의의 특성 임피던스(예를 들어, 50Ω, 100Ω 등)를 가지도록 소정의 선폭으로 마련되며, RF(Radio Frequency) 신호가 입력 단자(In)로 입력되어 출력 단자(Out)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대역저지 필터(100)는 일실시예로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외에 동축 전송선로 등에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대역저지 필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BSF, Band Stop Filter)로서 동작하게 된다.
제 1 오픈 스터브(120)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수직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 2 오픈 스터브(130)는 제 1 오픈 스터브(110)과 미리 설정된 간격(L5)을 두고, 끝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및 제 2 오픈 스터브(120, 130) 끝단의 서로 대향하여 소정 간격(G1)만큼 이격된 영역에서 제 1 및 제 2 오픈 스터브(120, 130)의 커플링(coupling)이 발생하여 커패시터 성분이 생기게 된다.
즉, 제 1 오픈 스터브(120) 및 제 2 오픈 스터브(130) 간의 간격(G1)을 조절하여 커패시터 성분을 변화시킴으로써,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의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제 1 오픈 스터브(120) 및 제 2 오픈 스터브(130)의 길이(L1, L2)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오픈 스터브를 구현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을 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로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오픈 스터브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퍼라인을 구현하여 대역폭을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퍼라인이 배열될 수 있다.
스퍼라인이 배치되는 경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선폭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출력 특성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두 개의 스퍼라인(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이 구현된 대역저지 필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퍼라인(111)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형성되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일측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제 2 스퍼라인(112)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형성되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타측에 위치하고, 제 1 스퍼라인(111)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스터브의 일단은 각각 '└' 형, '┌' 형의 슬롯에 의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로부터 소정의 간격(S1, S2)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한 슬롯에 의해 개방되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와 커플링된다.
또한,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 사이에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일단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대칭 구조를 가짐.)로 마련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은, 제 1 오픈 스터브(120) 및 제 2 오픈 스터브(130)의 수직방향으로 대응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위치상에 형성(즉, L5 내에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가 형성됨을 의미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하기에 따라서 설계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선폭(W2)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폭(W3)과 각 슬롯의 폭(S3, S4, 제 1 스퍼라인(111) 혹은 제 2 스퍼라인(112)과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간의 간격을 의미함.)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가 대역저지 필터로서 동작하기 위해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길이(L3, L4)는 λg / 4(λg는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파장을 의미함)가 바람직한데, 대역저지 필터의 설계에 따라서 각종 설계변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는 제 1 스퍼라인(111) 혹은 상기 제 2 스퍼라인(112) 측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돌출부(113)가 연장된 만큼,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길이(L3, L4)의 감소 혹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와의 간격(S1, S2)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13)가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제 1 오픈 스터브(120) 측에 형성되고 있으나, 제 2 오픈 스터브(130) 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는 돌출부(113)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스퍼라인(111)과 제 2 스퍼라인(112)의 길이(L3, L4) 혹은 각각의 슬롯의 간격(S1, S2)을 감소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 저지 대역폭 확장 및 중심주파수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비대칭 이중 스퍼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오픈 스터브를 구현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을 저지하는 대역저지 필터로 동작하게 된다.
즉, RF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선로에 상기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소형화 및 단순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각종 실시예의 기준이 되는 도 1의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의 설계변수(G1, L1 ~ L5, S1 ~ S4, W1 ~ W3 및 X1)는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설계값에 따르며, 상기한 기준 대비 설계변수의 변경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계 변수 설계 값
G1 : 제 1 오픈 스터브 및 제 2 오픈 스터브 간의 간격 0.4 mm
L1 : 제 1 오픈 스터브의 길이 6.50 mm
L2 : 제 2 오픈 스터브의 길이 6.50 mm
L3 : 제 1 스퍼라인의 길이 9.66 mm
L4 : 제 2 스퍼라인의 길이 9.66 mm
L5 : 제 1 및 제 2 스퍼라인이 형성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 10.00 mm
S1 : 제 1 스퍼라인 및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간의 길이방향 간격 0.34 mm
S2 : 제 2 스퍼라인 및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간의 길이방향 간격 0.34 mm
S3 : 제 1 스퍼라인 및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간의 수직방향 간격 0.34 mm
S4 : 제 2 스퍼라인 및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간의 수직방향 간격 0.34 mm
W1 : 제 1 스퍼라인의 선폭 0.34 mm
W2 :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선폭 0.34 mm
W3 : 제 2 스퍼라인의 선폭 0.34 mm
X1 : 돌출부의 돌출정도 0 mm
상기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는 CST Microwave studio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결과로서 S-파라미터가 이용되어 설명된다.
S-파라미터는 주파수에 따른 입력 전압파와 출력 전압파의 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dB(데시벨)가 단위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시뮬레이션 결과는 모두 CST Microwave studio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결과이다.
(2)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
각 시뮬레이션 결과의 푸른색 선의 S-파라미터는 기준인 도 1의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100)의 S-파라미터(이하, 기준으로 칭함)이며, 붉은 선은 설계 변수의 변화에 따른 실시예의 S-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 오픈 스터브(120) 및 제 2 오픈 스터브(130) 간의 간격(G1)을 감소시키는 경우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대비 저지 대역폭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 1 오픈 스터브(120)의 길이(L1) 혹은 제 2 오픈 스터브(130)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경우이며, 이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저지 대역폭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 1 스퍼라인(111)의 길이(L3)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길이(L4)를 감소시키는 경우이며, 도 9,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지 대역폭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 스퍼라인(111)과 제 2 스퍼라인(112) 사이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선폭(W2)을 감소시키고, 제 1 스퍼라인(111)의 선폭(W1) 혹은 제 2 스퍼라인(112)의 선폭(W3)을 증가시킨 경우이며,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 스퍼라인(111)과 제 2 스퍼라인(112) 사이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선폭(W2)을 감소시키고, 제 1 스퍼라인(111)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슬롯의 수직방향 간격(S3, S4)을 증가시킨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의 실시예들의 S-파라미터는 모두 억압값과 중심주파수를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저지 대역폭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 오픈 스터브(120) 및 제 2 오픈 스터브(130)의 수직방향에 대응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부(113)가 형성된 경우이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비해 저지 대역폭이 넓어지고, 중심 주파수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4의 경우, 제 1 스퍼라인(111)의 개방방향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개방방향이 동일한 본 발명의 실시예(도 25의 붉은 선)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방향이 상이한 실시예(도 25의 푸른 선)를 비교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제 1 스퍼라인(111)의 개방방향 및 제 2 스퍼라인(112)의 개방방향이 동일한 경우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방향이 상이한 경우보다 더 넓은 저지 대역폭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스터브를 이용한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110) 상에 동일한 개구방향을 갖는 이중 스퍼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오픈 스터브를 구현함으로서, 종래의 대역저지 필터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저지 대역폭을 가짐과 동시에 억압값에 대해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으며, 소형화 및 단순화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110 :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111 : 제 1 스퍼라인 112 : 제 2 스퍼라인
113 : 돌출부
120 : 제 1 오픈 스터브
130 : 제 2 오픈 스터브

Claims (13)

  1.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로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수직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 1 오픈 스터브;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와 상호 대향하게 위치하는 제 2 오픈 스터브 ―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의 끝단은 기설정된 간격(G1)을 두고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의 끝단과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와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 간에는 상기 간격(G1)만큼 이격된 영역에서 커플링이 발생함 ―;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일측에 위치하여 일 방향으로 개방된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는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스퍼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스퍼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일단은 'L' 형상의 슬롯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소정의 간격(S1, S2)으로 각각 이격되고,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와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는 각각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은,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의 수직방향으로 대응하는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 사이에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는,
    상기 제 1 스퍼라인 혹은 상기 제 2 스퍼라인 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길이(L3, L4)의 감소 혹은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의 간격(S1, S2)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 간의 간격(G1)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상기 제 2 오픈 스터브의 길이(L1, L2)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길이(L3, L4)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상기 제 2 스퍼라인 간의 간격(S1, S2)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억압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퍼라인의 선폭(W1), 상기 제 2 스퍼라인의 선폭(W3) 및 상기 두 스퍼라인 사이에 위치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의 선폭(W2)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와 상기 제 1 스퍼라인의 간격(S3) 혹은 상기 제 2 스퍼라인 간의 간격(S4)을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정도(X)를 조절하여 저지 대역폭 및 중심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픈 스터브 및 제 2 오픈 스터브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오픈 스터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퍼라인 및 제 2 스퍼라인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스퍼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KR1020150181482A 2015-12-18 2015-12-18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KR10177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82A KR101779579B1 (ko) 2015-12-18 2015-12-18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82A KR101779579B1 (ko) 2015-12-18 2015-12-18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062A KR20170073062A (ko) 2017-06-28
KR101779579B1 true KR101779579B1 (ko) 2017-09-18

Family

ID=5928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482A KR101779579B1 (ko) 2015-12-18 2015-12-18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3527A (zh) * 2020-03-05 2020-07-28 东北大学秦皇岛分校 基于不等长十字形谐振器的双频带带通滤波器及设计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8398B (zh) * 2018-12-21 2021-03-30 南京邮电大学 具有宽阻带和高选择性的紧凑型带通滤波器
CN113540714B (zh) * 2021-06-30 2022-06-14 西南电子技术研究所(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横向信号干扰的宽带滤波器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i Ke외 3인, "Microstrip Bandstop Filter Using Open Stub and Spurline", IEEE 2011년.*
Majeed A. S. Alkanhal, "Compact Bandstop Filters with Extended Upper Passbands", Hindawi Publishing Corporation Active and Passive Electronic Components, 2008년.*
Streszczenie. W, "Miniaturization of bandstop filter using double spurlines and double stubs", PRZEGLĄD ELEKTROTECHNICZNY (Electrical Review), ISSN 0033-2097, 2012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3527A (zh) * 2020-03-05 2020-07-28 东北大学秦皇岛分校 基于不等长十字形谐振器的双频带带通滤波器及设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062A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941311C1 (de) Bandfilter
DE102008020597B4 (de) Schaltungsanordnung
KR100517488B1 (ko) 개구면을 이용한 개방 루프 공진 필터
KR101779579B1 (ko) 오픈 스터브 및 스퍼라인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US9899716B1 (en) Waveguide E-plane filter
DE10234737A1 (de) Oberflächenwellenduplexer und Kommunikationsvorrichtung
KR20150112179A (ko) 차단성능 향상을 위해 접지 스터브를 사용한 도파관 대역통과필터
US11145945B2 (en) Dielectric filter
CN109273807A (zh) 一种新型的高性能宽带四功分滤波器
EP1388206B1 (de) Filteranordnung fuer symmetrische und unsymmetrische leitungssysteme
EP3258535A1 (en) Resonant unit and filter comprising a defected ground structure
KR101474607B1 (ko) 오픈 스터브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대역저지 필터
KR20200060844A (ko) 프론트 엔드 모듈
US942687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circuit protection structure
US20160336633A1 (en) Micro bandpass filter
CN104009271B (zh) 一种基于级联四个谐振器的平面带通滤波器
KR100541068B1 (ko) 유전체필터를 갖춘 중계기
CN108281738A (zh) 基于平行耦合线首尾级联的全波长耦合双环形滤波器
CN210015936U (zh) 一种多层宽边耦合结构的双宽带带通滤波器
CN104795612A (zh) 基于缺陷微带结构的三陷波超宽带滤波器
KR101619173B1 (ko) 가변도파기가 구비된 방향성커플러
KR101364770B1 (ko) 이중 급전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이중모드 대역 통과 필터
CN105789775A (zh) 基于双模阶梯阻抗存根谐振器的超宽带双频带通滤波器
CN104362415B (zh) 一种基于双平面缺陷结构的小型化宽阻带低通滤波器
CN204205005U (zh) 一种基于双平面缺陷结构的小型化宽阻带低通滤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