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065B1 -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 Google Patents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065B1
KR101779065B1 KR1020150186531A KR20150186531A KR101779065B1 KR 101779065 B1 KR101779065 B1 KR 101779065B1 KR 1020150186531 A KR1020150186531 A KR 1020150186531A KR 20150186531 A KR20150186531 A KR 20150186531A KR 101779065 B1 KR101779065 B1 KR 10177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lunar
shape
uni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369A (ko
Inventor
정병호
김지원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DRAILWAY OR LIKE TIME OR FARE TABLES; PERPETUAL CALENDARS
    • G09D3/00Perpetual calendars
    • G09D3/12Perpetual calendars electr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FT-LCD나 AMOLED등의 전자적인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며, 음력 날짜에 따른 달 형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태음력표시장치로 달의 삭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달의 형상을 통해 음력 표현의 가독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TFT-LCD나 AMOLED등의 전자적인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음력 날짜에 따른 달 형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태음력표시장치로 달의 삭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달의 형상을 통해 음력 표현의 가독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밀물과 썰물의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높은 가독성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Electronic Lunar Calendar device Provided Moon shape}
본 발명은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TFT-LCD나 AMOLED등의 전자적인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며, 음력 날짜에 따른 달 형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태음력표시장치로서 달의 삭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달의 형상을 통해 음력 표현의 가독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달은 지구의 위성(衛星)으로 햇빛을 반사하여 밤에 밝은 빛을 낸다.
표면에 많은 분화구가 있으며 대기는 없고 공전 주기는 27.32일, 반지름은 1,738km이다.
월구(月球)라고도 불리는 달에 관해서 가장 두드러진 사실은 달이 삭망(朔望)의 현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달은 스스로 빛을 발하지 않으므로 태양의 빛이 닿는 부분만 반사하여 빛나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태양, 달, 지구 세 천체의 상대위치에 따라 달의 빛나는 부분의 형태가 달라져 보이는 것이다.
달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돌면서 햇빛에 반사되어 눈에 보이는 부분이 달 력 1, 2일경에는 달이 거의 보이지 않다가 3일경에는 서쪽 하늘에 초승달이 보이다가 사라진다.
음력 7, 8일경에는 남쪽 하늘에 상현달이 나타나며 15일이 되면 동쪽 하늘에서 보름달이 떠오른다.
이후로는 달이 점점 기울며 음력 22일경이 되면 하현달이 되어 나타난다.
달은 더욱 작아져서 음력 28일경이 되면 그믐달로 변하며 30일이 되면 달은 보이지 않는다.
전등이 없던 고대에는 달밤은 생활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에게 조수의 간만은 그들의 생업인 어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였다.
그래서, 달의 삭망을 주기로 하여 날을 헤아리는 일이 시작되었으며 이것을 태음력(太陰曆)이라 한다.
오늘날에도 회교국가에서는 종교상의 의식을 결정하기 위해 태음력을 사용하고 있다.
달이 삭망하는 1개월, 즉 1삭망월을 12번 거듭해도 정확히 1년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1삭망월을 더 넣어 연초(年初)가 가능한 한 같은 계절에 시작되도록 한 달력이 고안되었으며, 이것이 태음 태양력이다.
그러다가 나중에는 달의 삭망을 무시하고, 1개월의 길이를 적당히 정해서 연초가 항상 같은 절기에 시작되도록 한 달력이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달이 뜨는 순서는 초승달-상현달-보름달-하현달-그믐달 순서이며 초승달은 음력 3~4일경 저녁에 서쪽 하늘에 낮게 뜨는 눈썹모양의 달로 북분구에서는 오른쪽, 남반구에서는 왼쪽 부분이 눈썹으로 보인다.
상현달은 음력 8~9일경 한낮에 떠서 자정 가까울 무렵 서쪽 하늘에 보이는 반달로 북반구에서는 오른쪽이 반이, 남반구에서는 왼쪽 반이 보인다.
보름달은 음력 15~16일경 일몰무렵에 떠서 일출무렵에 지는 동그란 모양의 달로 자정무렵에 분반구에서는 남쪽하늘, 남반구에서는 북쪽하늘에서 보인다.
하현달은 음력 22~23일경 자정무렵에 떠서 이른 아침에 남쪽 하늘에서 보이고 정오무렵에 서쪽하늘에서 지는 반달로 북반구에서는 왼쪽 반이, 남반구에서는 오른쪽 반이 보이는 형태이다.
그믐달은 음력 27~28일 경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눈썹 모양의 달로 북반구에서는 왼쪽, 남반구에서는 오른쪽 부분이 눈썹형태로 보인다.
즉, 태양과 달이 지구를 끌어당기는 인력과 지구의 자전과 공전으로 생긴 원심력이 지표면의 바닷물을 한쪽으로 몰아 해수면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밀물과 썰물은 지구와 가까운 달의 영향이 가장 크며 달을 마주보는 쪽이 달의 인력에 의해 밀물이 되면 대칭되는 지구의 반대쪽은 지구의 원심력이 작용하여 밀물이 된다.
밀물로 해수면이 가장 높은 때를 '만조', 썰물로 해수면이 가장 낮은 때를 '간조'라고 하며, 만조와 간조의 차이를 '조차'라고 한다.
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보름(음력 15일경)과 거의 보이지 않는 그믐(음력 1일경)에는 태양과 달, 지구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놓이는데, 이때는 인력과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해 조차가 매우 커진다.
이 시기를 '사리'라고 하며, 해안에서 바닷물이 가장 높이 차올랐다가 가장 멀리까지 빠져나가게 된다.
반대로 달이 반쪽만 보이는 상현(음력 8일경)과 하현(음력 23일경)에는 태양과 지구, 달이 직각을 이루어 인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조차가 가장 작다. 이 시기를 '조금'이라고 하며, 바닷물이 들어왔다 빠지는 폭이 작아 갯벌이 드러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이렇듯 밀물과 썰물은 하루에 두 번 정도 일어나는데, 이렇게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때를 물때라고 하며 물때는 해수면의 높이를 인식할 수 있어 바닷가의 조수간만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달력 디스플레이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 20-2000-002008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TFT-LCD나 AMOLED등의 전자적인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음력 날짜에 따른 달 형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태음력표시장치로 달의 삭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밀물과 썰물의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높은 가독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는,
달형상베이스(101)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달형상부(102)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캘린더베이스(105)와;
상기 캘린더베이스에 형성되며, 해당 년,월,일이 표시되는 날짜표시부(103)와;
상기 날짜표시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과거 월로 설정하기 위한 과거월변환표시부(107)와;
상기 날짜표시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래 월로 설정하기 위한 미래월변환표시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달형상부(102)는,
내측에 설치 구성되어 전면으로 빛을 제공하기 위한 엘이디조명부(201)와;
상기 엘이디조명부에 의해 발광된 빛을 확산시켜 고르게 빛을 전면에 조사시키기 위한 달형상백플레이트(202)와;
상기 달형상백플레이트의 전면에 달형상 이미지를 부착하고 있는 달형상이미지부(203)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의 어느 일측에 부채 형태로 달의 형상을 삭망으로 표현하기 위한 부채형가림막부(204)와;
상기 부채형가림막부에 연결되어 매일 변화하는 달형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구 그림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엘이디조명부의 빛을 가려주도록 좌우 이동되는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205)와;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206)와;
달형상의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달형상이미지부의 전면 부위에 설치 구성되는 입체제공용볼록렌즈부(207)와;
상기 날짜 표시부에 표시되는 날짜의 변경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동작 명령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달형상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는,
TFT-LCD나 AMOLED등의 전자적인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음력 날짜에 따른 달 형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태음력표시장치로 달의 삭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달의 형상을 통해 음력 표현의 가독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밀물과 썰물의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높은 가독성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의 전면 구성도이며, 보름달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의 하현달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반달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의 상단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보름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가림막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하현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가림막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반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가림막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의 전면 구성도이며, 보름달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의 하현달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반달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는,
달형상베이스(101)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달형상부(102)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캘린더베이스(105)와;
상기 캘린더베이스에 형성되며, 해당 년,월,일이 표시되는 날짜표시부(103)와;
상기 날짜표시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과거 월로 설정하기 위한 과거월변환표시부(107)와;
상기 날짜표시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래 월로 설정하기 위한 미래월변환표시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달형상베이스(101)에는 달형상부(102)가 포함되어 구성되게 된다.
이때, 달형상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캘린더베이스(105)를 구성하게 되며, 달형상베이스의 하측에 캘린더베이스(105)를 구성하게 된다.
즉, 달형상으로 표시를 하고 캘린더를 동시에 제공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때, 상기 날짜표시부(103)를 캘린더베이스에 형성하게 되며, 해당 년,월,일이 표시하게 된다.
또한, 날짜표시부의 어느 일측에 과거월변환표시부(107)를 구성하게 되며,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게 되면 과거 월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날짜표시부의 타측에 미래월변환표시부(104)를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래 월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날짜표시부에는 월을 표시하기 위한 월표시영역(106)이 구성되어 있으며, 월뿐만 아니라, 년도까지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경우에는 하현달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반달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날짜별로 달 형상을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달 형상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밀물과 썰물은 하루에 두 번 정도 일어나는데, 이렇게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때를 물때라고 하며, 물때는 해수면의 높이를 인식할 수 있어 바닷가의 조수간만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달력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의 상단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보름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가림막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하현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가림막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반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가림막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달형상부(102)는,
내측에 설치 구성되어 전면으로 빛을 제공하기 위한 엘이디조명부(201)와;
상기 엘이디조명부에 의해 발광된 빛을 확산시켜 고르게 빛을 전면에 조사시키기 위한 달형상백플레이트(202)와;
상기 달형상백플레이트의 전면에 달형상 이미지를 부착하고 있는 달형상이미지부(203)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의 어느 일측에 부채 형태로 달의 형상을 삭망으로 표현하기 위한 부채형가림막부(204)와;
상기 부채형가림막부에 연결되어 매일 변화하는 달형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구 그림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엘이디조명부의 빛을 가려주도록 좌우 이동되는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205)와;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206)와;
달형상의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달형상이미지부의 전면 부위에 설치 구성되는 입체제공용볼록렌즈부(207)와;
상기 날짜 표시부에 표시되는 날짜의 변경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동작 명령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가림막을 설치하여 엑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지구그림자를 표현하는 형식으로 달의 삭망 형상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달의 형상에 대해 TFT-LCD나 AMOLED등 천연 칼라 LCD디스플레이를 제공하게 되면, 이를 통해 달의 형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매우 자연스럽게 그래픽처리할 수 있으며 음력날짜 표시영역도 같은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음력 캘린더의 날짜에 다른 달의 형상변화의 표현은 24절기의 표현과 함께 활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절기를 나타내는 장치로도 함께 전자달력을 활용할 수 있다.
24절기의 표현은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절기(이십사절기, 24절기)는 한국, 중국 등지에서 태양년(太陽年)을 태양의 황경(黃經)에 따라 24등분하여 계절을 자세히 나눈 것으로 절후(節候), 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점을 기점으로 황도를 움직인 각도로,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표와 같이 15°간격으로 24절기를 구분한다.
절기와 절기 사이는 대략 15일 간격이며, 양력 날짜는 거의 같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지므로 가끔 윤달을 넣어 계절과 맞추고 있다.
24절기는 절(節)과 중(中)으로 분류되는데, 입춘 등 홀수번째 절기는 절, 우수 등 짝수번째 절기는 중이 된다.
사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四立)의 날에서 시작된다.
상기한 날짜 데이터를 제어부의 이피롬이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날짜별 달 형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달 형상별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가림막을 이동시켜 달 형상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엘이디조명부(201)는 달형상부의 내측에 설치 구성되어 전면으로 빛을 제공하게 되는데, LED, OLED, FL등으로 빛을 발하는 발광부로서, LCD백라이트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달형상백플레이트(202)는 엘이디조명부에 의해 발광된 빛을 확산시켜 고르게 빛을 전면에 조사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확산판으로서, 점광원으로부터 빛을 확산시켜 고르게 빛을 전면에 조사시켜 달 형상을 고른 빛으로 비춰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달형상이미지부(203)는 달형상백플레이트의 전면에 달형상 이미지를 부착하고 있게 되는데, 달 형상의 이미지가 새겨진 플라스틱 패널,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된 달 형상의 그림으로 백플레이트의 빛이 투영되어 달형상을 투과하여 전면에서 볼 때 달의 형상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플라스틱 종류의 고분자 화합물을 소재로 한 음각을 통해 달 형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채형가림막부(204)는 달형상베이스의 어느 일측에 부채 형태로 달의 형상을 삭망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되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205)는 부채형가림막부에 연결되어 매일 변화하는 달형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구 그림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엘이디조명부의 빛을 가려주도록 좌우 이동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부(206)는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모터나 전동장치로 리니어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모터부의 제어는 제어부에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체제공용볼록렌즈부(207)는 달형상의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달형상이미지부의 전면 부위에 설치 구성되게 되는데, 원근감을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인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날짜 표시부에 표시되는 날짜의 변경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동작 명령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메모리에 저장된 날짜 데이터를 참조하여 모터부의 회전 rpm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은 달의 삭망에 따라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가 동작하면서 달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태를 갖는 구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고, 구조적으로는 부채를 접었다 펴는 형태의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를 통해 달의 삭망에 따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보름달 형상, 도 5는 하현달 형상, 도 6은 반달 형상시의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의 동작에 따라 부채형가림막부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날짜표시부(103)에, 양력과 음력을 함께 표시하되, 달의 형상을 음력에 맞추어 표현하여 음력에 따라 달의 형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달형상부(102)는, 달 형상을 음력에 따라 동기화되어 있어 달의 삭망의 형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TFT-LCD나 AMOLED등의 전자적인 화면을 이용하여 표현하여 전자 디스플레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음력 날짜에 따른 달 형상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태음력표시장치로 달의 삭망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달의 형상을 통해 음력 표현의 가독성과 인테리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밀물과 썰물의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높은 가독성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달형상베이스
102: 달형상부
103 : 날짜표시부
104 : 미래월변환표시부
105 : 캘린더베이스
107 : 과거월변환표시부

Claims (6)

  1. 삭제
  2. 전자 음력 달력장치에 있어서,
    달형상베이스(101)와,
    내측에 설치 구성되어 전면으로 빛을 제공하기 위한 엘이디조명부(201)와;
    상기 엘이디조명부에 의해 발광된 빛을 확산시켜 고르게 빛을 전면에 조사시키기 위한 달형상백플레이트(202)와;
    상기 달형상백플레이트의 전면에 달형상 이미지를 부착하고 있는 달형상이미지부(203)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의 어느 일측에 부채 형태로 달의 형상을 삭망으로 표현하기 위한 부채형가림막부(204)와;
    상기 부채형가림막부에 연결되어 매일 변화하는 달형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구 그림자 역할을 수행하도록 엘이디조명부의 빛을 가려주도록 좌우 이동되는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205)와;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부채제어형액추에이터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부(206)와;
    달형상의 입체감을 주기 위하여 상기 달형상이미지부의 전면 부위에 설치 구성되는 입체제공용볼록렌즈부(207)와;
    날짜표시부에 표시되는 날짜의 변경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동작 명령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달형상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달형상부(102)와,
    상기 달형상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캘린더베이스(105)와,
    상기 캘린더베이스에 형성되며, 해당 년,월,일이 표시되는 날짜표시부(103)와,
    상기 날짜표시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과거 월로 설정하기 위한 과거월변환표시부(107)와,
    상기 날짜표시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래 월로 설정하기 위한 미래월변환표시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표시부(103)에,
    양력과 음력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표시부(103)는,
    달의 형상을 음력에 맞추어 표현하여 음력에 따라 달의 형상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달형상부(102)는,
    달 형상을 음력에 따라 동기화되어 있어 달의 삭망의 형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날짜별 달 형상 정보를 메모리에서 제공받아 달 형상별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부채형가림막부(204)를 이동시켜 달 형상을 표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KR1020150186531A 2015-12-24 2015-12-24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KR10177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31A KR101779065B1 (ko) 2015-12-24 2015-12-24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31A KR101779065B1 (ko) 2015-12-24 2015-12-24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69A KR20170076369A (ko) 2017-07-04
KR101779065B1 true KR101779065B1 (ko) 2017-09-18

Family

ID=5935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531A KR101779065B1 (ko) 2015-12-24 2015-12-24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0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02B1 (ko) * 2018-08-21 2019-11-12 박도준 달의 위상 변화를 표시하는 다이어리
KR20200072943A (ko) * 2018-12-13 2020-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24 절기력 전자달력 장치
KR102220111B1 (ko) 2019-08-28 2021-02-24 허창용 스마트 기능을 구비한 캘린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646Y1 (ko) 2000-03-25 2000-08-16 윤석희 월면 표시 장치
KR200287882Y1 (ko) * 2002-06-04 2002-09-09 정병호 날씨정보가 기재된 달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646Y1 (ko) 2000-03-25 2000-08-16 윤석희 월면 표시 장치
KR200287882Y1 (ko) * 2002-06-04 2002-09-09 정병호 날씨정보가 기재된 달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02B1 (ko) * 2018-08-21 2019-11-12 박도준 달의 위상 변화를 표시하는 다이어리
KR20200072943A (ko) * 2018-12-13 2020-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24 절기력 전자달력 장치
KR102169151B1 (ko) 2018-12-13 2020-10-22 대한민국 24 절기력 전자달력 장치
KR102220111B1 (ko) 2019-08-28 2021-02-24 허창용 스마트 기능을 구비한 캘린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69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065B1 (ko) 달 형상을 제공하는 전자 음력 달력장치
FR3024898A1 (fr) Dispositif permettant a la fois d'eclairer et d'apporter une sensation de vue sur l'exterieur dans des locaux aveugles
Górczewska Some aspects of architectural lighting of historical buildings
US20080278960A1 (en) Illuminating structure
André et al. Daylighting by optical fiber
Melendo et al. Nineteen Thirties Architecture for Tropical Countries: Le Corbusier′ s Brise–Soleil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Rio de Janeiro
CN2906799Y (zh) 实时、实地模拟太阳光照地球仪
Garnert On the cultural history of Nordic light and lighting
CN207962537U (zh) 一种用于自然光照明系统的采光罩
Walker Plasticity at Ronchamp: the interrelationship of form and light and its plastic manifestation
CN214172129U (zh) 一种用于古建筑廊桥的照明装置
CN218986211U (zh) 一种互动式灯光雕塑
CN2606418Y (zh) 地球生物钟实验装置
NL2027483B1 (en) Device for displaying progression of a day within a day-night cycle
CN209199465U (zh) 一种壁挂式动态地图
US20060291333A1 (en) Real time earth clock
CN215834132U (zh) 一种自然规律式多功能地球仪
AU2011101081A4 (en) Solar Array Sign
CN214275443U (zh) 一种工厂照明节能装置
Gunzburg 8 Time pursued by a bear
Jennings Specular Reflection from the Great Pyramid at Giza
Oh et al. Basic Research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 Shelf Applying Curvature
McCurdy Orbital Oddities: Mercurial Meanderings
Cooney et al. PATHWAYS TO THE COSMOS—THE ALIGNMENT OF MEGALITHIC TOMBS IN IRELAND AND ATLANTIC EUROPE
Zubkova et al. The Influence of light on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