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301B1 - 토크앵글센서 - Google Patents

토크앵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301B1
KR101778301B1 KR1020100131191A KR20100131191A KR101778301B1 KR 101778301 B1 KR101778301 B1 KR 101778301B1 KR 1020100131191 A KR1020100131191 A KR 1020100131191A KR 20100131191 A KR20100131191 A KR 20100131191A KR 101778301 B1 KR101778301 B1 KR 101778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angle sensor
disposed
sub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869A (ko
Inventor
우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3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1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0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0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 G01L3/109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comprises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indicating involving measuring phase difference of two signals or pulse tra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센서를 구성하는 서브기어에 장착되는 마그넷 간의 간섭을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토크앵글 센서에 관한 것으로, 조향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로서, 로터 및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측에 결합하는 링 형상의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며 수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기어, 상기 서브기어에 결합되고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기어 마그넷 및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크를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브기어 마그넷간에 자계간섭을 차폐할 수 있어 앵글센서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토크앵글센서{TORQUE ANGLE SENSOR}
본 발명은 토크앵글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앵글센서를 구성하는 서브기어에 장착되는 마그넷 간의 간섭을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토크앵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별도의 동력으로 보조하는 조향장치가 사용된다. 기존에는 이와 같은 보조 조향장치를 유압을 이용한 장치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동력의 손실이 적고 정확성이 우수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reeing System}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조향장치(EPS)는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토크앵글센서(Torque Angle Sensor)는 조향축에 가해지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조향축의 회전각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토크앵글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토크앵글센서는 상부로부터 상부케이스(10), 로터(50) 및 스테이터(60), 미들케이스(20), 메인기어(41), 제1서브기어(42) 및 제2서브기어(43), PCB(40) 그리고 하부케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미들케이스(20)를 기준으로 상측에서는 토크센서부의 센싱역할을 하게 되는 로터(50)와 스테이터(60)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앵글센서부 역할을 하는 기어(41, 42, 43)가 배치된다.
토크센서의 경우 로터(50)의 외주면을 따라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그 외주면에 마그네트의 극성에 대응하는 돌출편을 가진 스테이터가 배치됨으로써 상호 회전량의 차이에 따라 자기량을 검출하여 입력축과 출력축의 토크를 검출하여 전자 제어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앵글센서의 경우 운전자가 조향휠을 회전함에 따라 조향축에 부착된 메인기어(41)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각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메인기어(41)에 치합된 서브기어(42, 43)들에 부착된 마그네트(44, 45)의 자기장과 회전방향을 홀 센서(Hall IC)가 인식하여 신호를 전자제어장치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토크앵글센서는 로터(50)에 결합된 마그넷과 서브기어들에 부착된 마그넷(44, 45) 간의 자계간섭이 존재하여 토크센서부와 앵글센서부 간의 배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자계간섭은 토크 및 앵글을 센싱하는 데 있어서 양자 모두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제1마그넷(44)과 제2마그넷(45)의 하측에 배치되는 PCB(40)의 부위에는 홀센서가 각각 배치되어 회전량 및 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제1마그넷(44)과 제2마그넷(45) 사이의 자계 간섭은 고려되지 않고 있었으며, 실제적으로도 인접하여 배치되는 마그넷 간의 자계 간섭으로 인해 앵글센서로서의 측정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앵글 센서부를 이루는 마그넷에 자계를 차폐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서브기어 마그넷 간의 상호간의 자계간섭을 방지하고, 나아가 서브기어 마그넷과 로터의 마그넷 간의 자계간섭을 방지하여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토크앵글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조향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로서, 로터 및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측에 결합하는 링 형상의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며 수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기어, 상기 서브기어에 결합되고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기어 마그넷 및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크를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브기어 마그넷간에 자계간섭을 차폐할 수 있어 앵글센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상기 요크는 상기 서브기어의 상면에 결합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브기어에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상기 서브기어의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위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요크는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위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계차폐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상기 요크의 내면은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계차폐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결합하는 미들케이스 및 상기 미들케이스의 하측에 결합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미들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토크센서부, 상기 미들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마그넷이 결합된 복수의 서브기어가 배치되는 앵글센서부 및 상기 서브기어에 배치된 마그넷 간의 자계간섭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마그넷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요크를 포함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마그넷간의 자계간섭을 차폐할 수 있어 앵글센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상기 요크는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자계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들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는 토크앵글센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요크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는, 제1마그넷과 제2마그넷에 각각 자계차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서브기어 마그넷 간의 자계간섭과, 서브기어 마그넷과 로터 마그넷 간의 자계간섭을 동시에 차폐할 수 있으므로, 조향 토크 및 앵글 센싱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계차폐수단이 배치된 토크센서부와 앵글센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자계차폐수단이 배치된 토크앵글센서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부와 앵글센서부를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토크앵글센서의 토크센서부를 이루는 로터는 입력축의 조향 입력을 받도록 연결되고, 스테이터는 출력축과 연결된다.
상기 입력축은 운전자의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출력축은 차량의 전륜과 연결되어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토크센서부는 로터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마그넷(510)과 스테이터(도 3의 600)의 형성되고 상기 로터마그넷(510)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로터마그넷(510)의 상대회전에 따라 자계를 감지하는 티쓰(610)로 구성된다.
또한, 앵글센서부는 상기 스테이터와 함께 회전하는 링 형상의 메인기어 및 상기 메인기어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기어에 결합된 마그넷(440, 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넷(510, 440, 450)들의 자계변화는 PCB(400)에 연결된 자기소자(Hall IC)들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마그넷(5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 사이의 자계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소정 이격거리의 확보가 필요하나, 서브기어들간의 치합관계들로 인해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간의 자계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는 어려움이 존재하고,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간에 자계차폐가 가능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앵글센서부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크앵글센서는, 서브기어에 결합되는 마그넷의 상면 및 측면에 배치되어 자계간섭을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서브기어와 결합하는 제1마그넷(440)의 상면 및 측면으로는 제1요크(460)가 배치되고, 제2서브기어와 결합하는 제2마그넷(450)의 상면 및 측면으로는 제2요크(470)가 배치된다.
상기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은 대략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이며, 상기 제1요크(460) 및 제2요크(470)는 각각의 서브기어 마그넷(440, 450)의 상면 및 외주측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요크(460, 470)은 하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을 기초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요크가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앵글센서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는 상부케이스(100), 미들케이스(200) 및 하부케이스(300)가 상부로부터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100), 미들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300)는 상호간에 결합하여 내부에 토크나 앵글을 센싱할 수 있는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케이스(100)의 바로 하측에는 로터(500)와 스테이터(600)가 배치된다. 상기 로터(500)는 입력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데, 그 외주면에는 로터마그넷(510)이 배치된다.
또한, 스테이터(600)는 출력축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며 로터(500)의 외주면에 배치된 마그네트의 자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마그네트를 대향하여 소정의 티쓰(610)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의 부하의 차이에 따라 토션바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로터(500)와 스테이터(600) 사이의 회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자기력의 변화로 감지되어 인쇄회로기판(400)에 연결된 홀 소자(Hall IC)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홀 소자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즉,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홀 소자가 감지한 신호와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토크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터(600)의 하측에는 회전각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메인기어(410)와 서브기어(420)가 배치된다. 상기 메인기어(410)는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는데, 서브기어(420)는 메인기어(410)와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갖고 있으며 상호간에 치합되는 이빨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기어(420)는 효과적인 회전량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개가 배치되나 경우에 따라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기어가 제1서브기어와 제2서브기어로 구성되며, 도 3의 측단면도에서는 제1서브기어(420)만이 도시되어있다.
제1서브기어와 제2서브기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이 결합되는데, 상기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을 하측에서 마주보는 PCB(400)의 부위에는 홀 소자들이 배치되어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 구성들의 하측에는 하부케이스(300)가 배치되는데, 상기 구성들을 지지하면서 상부케이스(100)와 측면에서 결합함으로써 토크앵글센서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요크는 제1서브기어(420)를 예로 하여 설명되며, 이러한 개념은 제2서브기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420)의 하측에는 원반 형상의 제1마그넷(440)이 압입되거나 본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마그넷(440)의 상측으로는 제1요크(460)가 배치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제1요크(460)는 제1서브기어(4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자계의 효과적인 차폐를 위해 상기 제1마그넷(440)의 상면 및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요크(460)는 바람직하게는 자성체인 금속재질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요크(460)는 제1서브기어(4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예가 도시되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요크(460)는 미들케이스(200)의 저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요크(460) 및 제2요크(470)는 상기 제1마그넷(440)과 제2마그넷(450)의 상면과 외주측을 대부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자계차폐를 위해 바람직하다. 다만, 외주측의 일부만을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기어(420)의 제1마그넷(440)이 배치되는 부위는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요크(46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마그넷(440)이 배치되어 돌출된 부위의 외주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서브기어 마그넷(440, 450)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의 자계를 차폐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의 요크(460, 470)가 배치됨에 따라 서브기어 마그넷 간의 자계간섭을 차폐할 수 있어 앵글센서부의 작동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요크가 서브기어 마그넷의 상면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로터마그넷(510)과의 자계간섭을 차폐하는 효과도 있게 되어, 토크센서부와 앵글센서부가 종래보다 더욱 인접하여 배치될 수가 있으므로, 토크앵글센서의 공간적인 이점이 더욱 향상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토크앵글센서를 설명하였지만, 메인기어와 서브기어가 축의 회전을 자계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앵글센서에도 적용 가능하며, 서브기어가 2개이상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한 요크의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상부케이스 200...미들케이스
300...하부케이스 400...PCB
410...메인기어 420...제1서브기어
440...제1마그넷 450...제2마그넷
460...제1요크 470...제2요크
500...로터 510...마그넷
600...스테이터 610...티쓰

Claims (7)

  1. 조향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로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마그넷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마그넷의 외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로터마그넷의 상대회전에 따라 자계를 감지하는 티쓰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하측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에 치합되는 복수의 서브기어;
    상기 서브기어에 결합되고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기어 마그넷; 및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서브기어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기어의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위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요크는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위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 간의 자계간섭 및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과 상기 로터마그넷과의 자계간섭을 차폐하는 토크앵글센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내면은 상기 서브기어 마그넷의 상면 및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토크앵글센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미들케이스 및 상기 미들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넷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미들케이스의 저면에 결합되는 토크앵글센서.

KR1020100131191A 2010-12-21 2010-12-21 토크앵글센서 KR101778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91A KR101778301B1 (ko) 2010-12-21 2010-12-21 토크앵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91A KR101778301B1 (ko) 2010-12-21 2010-12-21 토크앵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869A KR20120069869A (ko) 2012-06-29
KR101778301B1 true KR101778301B1 (ko) 2017-09-26

Family

ID=4668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191A KR101778301B1 (ko) 2010-12-21 2010-12-21 토크앵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313B1 (ko) * 2013-09-27 2020-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인덱스 센서
KR102055800B1 (ko) * 2013-09-27 2019-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센서
KR102107155B1 (ko) * 2013-12-26 2020-05-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 앵글 센서
KR102105643B1 (ko) * 2014-08-29 2020-04-2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토크 센서 장치
KR102224460B1 (ko) * 2014-11-11 2021-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앵글센서
KR101730547B1 (ko) * 2015-11-04 2017-04-27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토크 앵글 센서모듈
KR102534522B1 (ko) * 2016-11-08 2023-05-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102178637B1 (ko) * 2020-01-14 2020-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토크앵글센서
KR20220022314A (ko) * 2020-08-18 2022-02-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0388B2 (en) 2011-12-16 2014-08-12 Denso Corporation Torque sens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0388B2 (en) 2011-12-16 2014-08-12 Denso Corporation Torque sens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869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301B1 (ko) 토크앵글센서
EP2664906B1 (en) Torque angle sensor
US9400290B2 (en) Torque index sensor
KR101681778B1 (ko) 토크앵글센서
US20140283623A1 (en) Torque Sensor For Measuring Torsion Of Steering Column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090097378A (ko)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WO2013140864A1 (ja) トルクセンサ
KR101637597B1 (ko) 자계차폐구조를 가진 토크 인덱스 센서
KR101884229B1 (ko) 토크센서
KR101829057B1 (ko) 앵글센서
KR102452164B1 (ko) 센서 조립체
KR101730547B1 (ko) 토크 앵글 센서모듈
US20130249538A1 (en) Rotation angle and torque detection device
CN103528601A (zh) 一种非接触复合式扭矩和角度位置传感器
CN107532955B (zh) 扭矩传感器模块、转向角传感装置及定子制造方法
KR101257583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101640945B1 (ko) 조향각 센싱 장치
KR101787912B1 (ko) 센싱 조립체
KR20120133404A (ko) 토크앵글센서
KR102050724B1 (ko) 토크 앵글 센서용 기판 및 이를 갖는 토크 앵글 센서
JP5852484B2 (ja) トルクセンサ
KR101829055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KR101859768B1 (ko) 토크 인덱스 서브 앵글 센서
KR20150018282A (ko) 토크앵글센서
KR20130044417A (ko) 토크 인덱스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