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47B1 -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47B1
KR101778147B1 KR1020150122719A KR20150122719A KR101778147B1 KR 101778147 B1 KR101778147 B1 KR 101778147B1 KR 1020150122719 A KR1020150122719 A KR 1020150122719A KR 20150122719 A KR20150122719 A KR 20150122719A KR 101778147 B1 KR101778147 B1 KR 101778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nipple
press
central axis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774A (ko
Inventor
이도윤
김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하이테크
이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하이테크, 이도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12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14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 B21K1/16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parts of pipe or hose coup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 금구에 압착 고정되는 니플의 찌그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접속 금구에 연결되는 호스와 튜브를 유동하는 동작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는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Fitting, Connecting structure of hose and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접속 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튜브와 호스를 연결하는 접속 금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에서 동작 유체의 공급과 회수를 위해 튜브와 호스를 연결할 때, 소위 '피팅' 이라 불리는 접속 금구를 사용한다.
이러한 접속 금구에는 호스에서 유입되는 동작 유체를 튜브로 내보내는 니플이 설치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니플을 접속 금구의 몸체에 용접하여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니플을 접속 금구의 몸체에 용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용접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열로 인해 니플의 경도가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어, 니플의 함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니플에 끼워지는 호스의 고정력을 약화시키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틈새로 인해 누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의 경우, 그 비용이 비싸 제조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작업 시간도 오래 걸려 제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니플을 접속 금구의 몸체에 압착시켜 고정 설치하는 제조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벙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76795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한다) 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접속 금구 제조 방법은 펀치로 가압하여 소켓과 니플튜브를 지닌 고압호스용 접속금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단에 헤드를 지닌 상기 펀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소켓의 내부에 제1단턱과 제2단턱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니플튜브의 플랜지에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니플튜브의 플랜지를 소켓의 제1단턱과 제2단턱 사이에 밀착한 상태로 펀치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니플튜브의 플랜지를 상기 소켓의 제1단턱과 제2단턱 사이에 밀착한 상태로 상기 펀치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펀치가 상기 제1단턱의 수직면에 충돌하면서 재료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의 요홈상에 재료가 유동하여 제1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의 헤드에 의하여 상기 플랜지의 측면에 제2물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니플튜브가 상기 소켓에 고정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접속 금구 제조 방법으로 접속 금구를 제조하게 되면, 펀치가 제1단턱의 수직면에 충돌하여 재료의 유동을 발생시켜 제1물림부와 제2물림부를 형성할 때, 니플튜브의 측면 방향으로 상기 재료의 유동이 몰리게 되어, 니플튜브가 찌르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찌그러진 니플튜브를 갖는 접속 금구는 고압호스에서 접속 금구의 니플튜브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67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접속 금구의 니플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접속 금구에 연결되는 호스와 튜브를 유동하는 동작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는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접속 금구는 제1중공을 갖는 제1내면이 형성된 몸체와,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제1내면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니플을 포함하는 접속 금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내면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1단턱; 상기 제1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2단턱; 및 상기 제2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플랜지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경사진 제2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1.2 내지 1.8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경사진 제1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4 내지 6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 금구의 재질은 탄소강(carbon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소강은 AISI 100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특징에 따른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은 제1중공을 갖는 제1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면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예비단턱과, 상기 예비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단턱을 갖는 몸체를 준비하는 몸체 준비 단계; 외주면을 갖고, 상기 외주면에서 단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장되어 하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갖는 제1프레스를 준비하는 제1프레스 준비 단계;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니플을 상기 안착단턱에 안착시키는 니플 안착 단계; 및 상기 제1프레스를 상기 제1중공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1프레스 가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스의 하강에 따라 상기 예비단턱이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확장 흐름되어 상기 몸체에 제1단턱과 제2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제2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플랜지가 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니플 안착 단계에 있어서, 외주면을 갖고, 단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제2프레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프레스의 상기 가압부로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니플을 상기 안착단턱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턱의 상면이 상기 제1경사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단턱의 상면이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은 상기 제1프레스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1.2도 내지 1.8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은 상기 제1프레스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4 내지 6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경사면의 수평방향 길이는 상기 예비단턱의 단부에서 상기 니플의 측면까지의 이격 거리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프레스를 이용하여, 몸체에 니플을 압착시켜 고정설치함으로써, 용접으로 니플을 고정 설치하는 종래의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접속 금구와 달리, 열에 의해 니플의 경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스에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몸체의 예비단턱을 가압하여, 상기 니플을 상기 몸체에 압착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속 금구와 달리, 상기 니플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접속 금구에 연결되는 호스와 튜브로 흐르게 되는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니플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의 제1프레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의 제2프레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는 도 6d의 'X'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6h의 'Y'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니플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의 제1프레스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의 제2프레스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제조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는 도 6d의 'X'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h의 'Y'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몸체(100)와 니플(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제1중공(111)을 갖는 제1내면(110)과, 제1내면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예비단턱(113)과, 예비단턱(113)의 하부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단턱(115)과, 제2중공(131)을 갖는 제2내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의 외부 양측에는 각각 날개(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날개(170)는 그 단면이 곡선인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몸체(100)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내면(110)은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는 제1중공(111)을 갖는다.
제1중공(111)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중공(111)에는 호스(미도시)가 삽입되며, 이 경우, 상기 호스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제1중공(111)의 지름, 즉, 제1내면(110)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상기 호스의 외경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단턱(113)은 제1중공(1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내면(110)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중공(111)에 삽입되는 상기 호스가 제1중공(111)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내면(110)과 예비단턱(113) 사이에 제1경사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단턱(115)은 예비단턱(11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예비단턱(113)의 하부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안착단턱(115)의 상부는 예비단턱(113)에서 연장되고, 안착단턱(115)의 하부는 제2중공(131)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즉, 안착단턱(115)을 이루는 면은 제3내면(150)이고, 제3내면(150)은 제3중공(151)을 갖으며, 제3중공(151)은 제1중공(111)과 제2중공(131)을 연통시킨다.
제2내면(130)은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는 제2중공(131)을 갖는다.
제2중공(131)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몸체(100)의 하부를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중공(131)에는 튜브(미도시)가 삽입되며, 이 경우, 상기 호스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제2중공(131)의 지름, 즉, 제2내면(130)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상기 튜브의 외경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튜브가 제2중공(131)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제2중공(131)을 이루는 제2내면(130)에 제1나선홈(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나선홈(133)에 상기 튜브에 형성된 나선돌기(미도시)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튜브가 제2중공(13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에 니플(200)이 설치될 때, 니플(200)의 관통공(210)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제2내면(130)의 상부에 제2경사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200)은 니플(20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10)과, 니플(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통공(210)은 니플(200)이 몸체(100)에 설치될 때, 관통공(210)의 상부는 상기 호스와 연통되고, 관통공(210)의 하부는 몸체(100)의 제2중공(131)과 연통됨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튜브에 유체가 유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플랜지(230)는 니플(200)의 하부에 니플(200)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를 제조하는 접속 금구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접속 금구 제조 장치는 몸체(100)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플레이트(310)와,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하는 제1프레스(400) 및 제2프레스(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는 플레이트(310)와, 플레이트(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바(330)와, 고정바(330)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샤프트(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310)의 상면 중앙에는 삽입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311)에는 몸체(100)의 하부가 삽입되고, 몸체(100)의 날개(170)가 플레이트(310) 상면에 접함으로써, 몸체(100)가 플레이트(310)에 지지된다.
고정바(330)는 플레이트(310)의 일측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고정바(330)의 일측에는 샤프트(350)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350)가 상기 샤프트 삽입홈에 삽입되어,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고정바(330)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플레이트(310)의 삽입홈(311)에 삽입된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바(330)의 타측에는 몸체(100)를 고정시키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홈은 몸체(100)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바(330)가 샤프트(350)를 중심으로 플레이트(310)에 지지된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고정홈에 몸체(100)가 끼워짐으로써, 몸체(100)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스(400)는 제1프레스 몸체(410)와, 제1프레스 몸체(4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가압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프레스 몸체(410)는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1프레스 몸체(410)의 상부에는 제1프레스(400)가 고정부재(300)에 고정된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제1프레스(400)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제1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스 몸체(410)의 내부에는 지지볼트(411)와, 지지볼트(411)에 연결되는 스프링(413)과, 스프링(413)에 연결되는 피스톤(415)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볼트(411)는 제1프레스 몸체(410) 내부에 형성된 제4중공(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41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지지볼트(411)는 상기 제4중공에 형성된 제2나선홈(412)에 끼워지도록 나선의 돌기를 갖을 수 있다.
피스톤(415)은 일단이 지지볼트(411)에 연결된 스프링(413)과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제1관통홀(431)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접속 금구(10)를 제조할 때, 제1프레스(400)가 몸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하강할 때, 피스톤(415)의 타단이 니플(200)의 상부에 접하여 가압함으로써, 니플(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피스톤(415)에 스프링(41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프레스(400)가 계속 하강하여 피스톤(415)이 상기 제4중공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되더라도, 스프링(413)의 탄성에 의해 니플(200)을 계속 가압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제1가압부(430)는 제1프레스 몸체(410)의 하부, 즉,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가압부(430)는 외주면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가압부(430)의 중앙에는 니플(200)이 삽입되고, 상기 제4중공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431)이 형성된다.
또한, 제1프레스(400)가 고정부재(300)에 고정된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하여,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을 용이하게 가압하기 위해, 제1가압부(430)의 상, 하 길이는 몸체(100)의 제1중공(11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압부(430)의 단부에는 외주면에서 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433)과, 제1경사면에서 연장되어 하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435)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433)은 제1가압부(430)의 외주면의 하부에서 제1프레스(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가압부(430)의 단부 방향, 즉,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형상의 제1경사면(433)은 제2경사면(435)이 고정부재(300)에 고정된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을 가압하여, 후술할 제1단턱(113a)과 제2단턱(113b)을 형성한 후에, 제2단턱(113b)에 접하게 된다.
이 경우, 하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433)은 제1프레스(400)의 중심축(C3)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4도 내지 6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도 4에 도시된 제1경사면(433)의 기울기(α)는 4도 내지 6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경사면(435)은 제1경사면(433)에서 제1프레스(4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가압부(430)의 단부 방향, 즉,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형상의 제2경사면(435)은 제1프레스(400)가 하강할 때, 고정부재(300)에 고정된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을 가압함으로써, 제1단턱(113a)과 제2단턱(113b)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하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435)은 제1프레스(400)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1.2도 내지 1.8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도 4에 도시된 제2경사면(435)의 기울기(β)는 1.2도 내지 1.8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경사면(435)이 예비단턱(113)을 가압하여 제1단턱(113a)과 제2단턱(113b)을 형성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경사면(435)의 수평방향 길이는,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의 단부에서 몸체(100)의 안착단턱(115)에 안착되는 니플(200)의 측면까지의 이격거리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스(500)는 제2프레스 몸체(510)와, 제2프레스 몸체(5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2가압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프레스 몸체(5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제2프레스 몸체(510)의 상부에는 제2프레스(500)가 고정부재(300)에 고정된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제2프레스(500)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제2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압부(530)는 제2프레스 몸체(510)의 하부, 즉,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가압부(530)는 외주면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2가압부(530)의 중앙에는 니플(200)이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홀(531)이 형성된다.
또한, 제2프레스(500)가 고정부재(300)에 고정된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하여, 몸체(100)에 안착된 니플(200)의 플랜지(230)를 용이하게 가압하기 위해, 제2가압부(530)의 상, 하 길이는 몸체(100)의 제1중공(11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부(530)의 단부에는 외주면에서 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3경사면(533)과, 제3경사면(533)에서 연장되어 하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35)가 형성된다.
제3경사면(533)은 제2가압부(530)의 외주면 하부에서 제2프레스(5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가압부(530)의 단부 방향, 즉,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돌출부(535)는 제3경사면(533)에서 연장되어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100)의 안착단턱(115)에 안착된 니플(200)의 플랜지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전술한 접속 금구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접속 금구(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의 제조 방법은 몸체(100)에 니플(200)을 삽입시키는 니플(200) 삽입 단계와, 니플(200)이 안착된 몸체(100)를 고정부재(300)에 고정하는 몸체(100) 고정 단계와, 제2프레스(500)가 니플(200)의 플랜지를 가압하여 니플(200)을 안착단턱(115)에 안착시키는 니플(200) 안착 단계와, 제1프레스(400)가 예비단턱을 가압하여 니플(200)의 플랜지(230)가 몸체(100)에 압착 고정되는 제1프레스(400) 가압 단계를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200) 삽입 단계는 먼저, 니플(200)의 하부, 즉, 플랜지(230)가 형성된 방향이 제1중공(111)을 향하도록 니플(200)을 제3중공(151)에 삽입한다.
이 경우, 니플(200)은 제1중공(111)의 중심축(C1)과 니플(200)의 중심축(C2)이 일치하도록 제3중공(151)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니플(200)이 제3중공(151)에 삽입되면, 니플(200)의 플랜지(230)는 제1단턱(113a)에 접하면서, 제3중공(151)으로 들어가게 되며, 플랜지(230)의 하면이 안착단턱(115)의 상면과 약간 이격되게 놓여지게 된다.
전술한 니플(200) 삽입단계를 실행한 후에, 몸체(100) 고정 단계를 실행하게 된다.
먼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200)이 삽입된 몸체(100)를 고정부재(300)의 플레이트(310)의 삽입홈(311)에 삽입한다.
이 경우, 몸체(100)의 하부가 삽입홈(311)에 삽입되며, 몸체(100)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170)가 플레이트(310) 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몸체(100)는 삽입홈(311)에 일부 삽입되게 된다.
몸체(100)의 하부가 삽입홈(311)에 삽입되면, 고정부재(300)의 고정바(330)를 샤프트(350)를 중심으로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정바(330)가 몸체(100)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된 고정바(330)의 고정홈(미도시)에 몸체(100)가 끼워져서 고정되게 된다.
전술한 몸체(100) 고정 단계를 실행한 후에, 니플(200)의 플랜지(230)를 몸체(100)의 안착단턱(115)에 완전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제2프레스(500)를 하강시켜 플랜지(230)를 가압하는 니플(200) 안착단계를 실행하게 된다.
먼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미도시)가 제2프레스(500)를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2프레스(500)가 하강함에 따라 제2프레스(500)의 제2관통홀(531)로 니플(200)의 상부가 삽입되며, 제2프레스(500)가 어느 정도 하강하게 되면 제2가압부(53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535)가 니플(200)의 플랜지(230) 상면에 닿아 플랜지(230)를 가압하게 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플랜지(230)는 그 하면이 안착단턱(115)의 상면에 닿을 때까지 제2가압부(530)의 돌출부(535)에 의해 가압되며, 플랜지(230)의 하면이 안착단턱(115)의 상면에 닿음으로써 니플(200)이 안착단턱(115)에 안착하게 된다.
이 경우, 돌출부(535)의 두께는 플랜지(230)의 용이한 안착을 위하여, 예비단턱(113)의 단부에서 니플(200)의 측면까지의 이격거리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플(200)의 중심축(도 2의 C2)은 몸체(100)의 정중앙 즉, 제1중공(111)의 중심축(도 1의 C1)과 일치하도록, 안착단턱(115)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플(200)의 플랜지(230)가 안착단턱(115)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제2프레스(500)가 상승된다.
전술한 니플(200) 안착 단계를 실행한 후에, 니플(200)을 몸체(10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제1프레스(400) 가압 단계를 실행한다.
먼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미도시)가 제1프레스(400)를 몸체(100)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제1프레스(400)가 하강함에 따라 제1프레스(400)의 제1관통홀(도 4의 431)로 니플(200)의 상부가 삽입되며, 피스톤(415)의 타단이 니플(200)의 상부에 접하여 가압함으로써, 니플(200)을 고정시킨다.
또한, 제1프레스(400)가 어느 정도 하강하게 되면 제1가압부(430)의 제2경사면(435)이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의 상면에 닿아 예비단턱(113)을 가압하게 된다.
예비단턱(113)이 제2경사면(435)에 의해 가압되면,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단턱(113)의 단부가 몸체(100)의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확장되게 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예비단턱(113)이 가압됨에 따라,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단턱(113) 단부가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확장되어 니플(200)의 측면에 닿게 되고, 상기 예비단턱(113)의 단부는 니플(200)의 플랜지(230)와 아치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제1프레스(400)가 더 하강하게 되면, 도 6f 및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단턱(113)의 단부는 제2경사면(43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아치 형태의 공간은 점차 좁아지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1프레스(400)가 더 하강하게 되면,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치 형태의 공간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고, 예비단턱(113)은 몸체(100)의 제1내면(110)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1단턱(113a)과, 제1단턱(113a)의 하부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2단턱(113b)으로 변하게 된다.
즉, 제1프레스(400)가 하강함에 따라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은 제2경사면(435)에 의해 함몰되어, 제1단턱(113a)과 제2단턱(113b)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프레스(400)의 가압에 의해 예비단턱(113)이 제1단턱(113a)과 제2단턱(113b)으로 변한 후에, 제1프레스(400)의 제1가압부(430)의 제1경사면(433)은 제1경사부(117)와 제1단턱(113a)의 상면에 접하여 제1단턱(113a)을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제1, 2경사면(433, 435)의 기울기로 인해, 예비단턱(113)의 단부의 확장 흐름이 경사를 가지면서 유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2단턱(113b)이 니플(200)의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며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사면(435)이 기울기(β)를 가지고 예비단턱(113)에 접하여 예비단턱(113)을 가압함으로써, 예비단턱(113)에 힘(F1)이 가해지게 되면, 제2경사면(435)과 예비단턱(113)의 상면이 접하는 면에 가해지는 분력(f1)의 방향은 수직방향이 아닌 기울기를 갖는 사선방향이 된다.
이로 인해, 예비단턱(113)의 확장 흐름은 수평방향이 아닌 기울기를 갖는 사선 방향(A1, A2)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예비단턱(113)이 제2단턱(113b)을 형성할 때, 제2단턱(113b)의 단부가 니플(200)의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확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니플(200)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면(433)이 기울기(α)를 가지고 제1경사부(117)에 접하여, 제1경사부(117)를 가압함으로써, 제1경사부(117)에 힘(F2)이 가해지게 되면, 제1경사면(433)과 제1경사부(117)가 접하는 면에 가해지는 분력(f2)의 방향은 수직 방향이 아닌 기울기를 갖는 사선 방향이 된다.
이로 인해, 제1경사부(117)의 확장 흐름은 수평 방향이 아닌 기울기를 갖는 사선 방향(B1, B2)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제1경사면(433)이 제1경사부(117)를 가압한 후에, 제1경사면(433)이 제1단턱(113a)에 접하여 제1단턱(113a)을 가압할 경우에도, 제1경사부(117)를 가압할 때와 마찬가지로 제1단턱(113a)의 확장 흐름은 수평 방향이 아닌 기울기를 갖는 사선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1단턱(113a)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2단턱(113b)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제2단턱(113b)의 단턱이 니플(200)의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니플(200)이 찌그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프레스(400)의 하강이 끝나게 되면, 니플(200)의 플랜지(230)는 제2단턱(113b)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단턱(113b)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압착부(도 10의 115a)에 압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제2단턱(113b)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착부(115a)에 니플(200)의 플랜지(230)가 압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니플(200)이 몸체(100)에 완전하게 고정 설치된 접속 금구(10)가 제조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제1프레스(400) 가압 단계가 실행한 후에,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미도시)가 제1프레스(400)를 상승시켜 접속 금구(10)의 제조가 끝나게 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속 금구(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설치되는 니플(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제1중공(111)을 갖는 제1내면(110)과, 제1내면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1단턱(113a)과, 제1단턱(113a)의 하부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2단턱(113b)과, 제2단턱(113b) 하부에 형성되는 압착부(115a)와, 제2중공(131)을 갖는 제2내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내면(110)은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는 제1중공(111)을 갖는다.
제1중공(111)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중공(111)에는 호스(미도시)가 삽입되며, 이 경우, 상기 호스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제1중공(111)의 지름, 즉, 제1내면(110)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상기 호스의 외경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턱(113a)은 제1중공(1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내면(110)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단턱(113a)의 상면은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향 경사진 제1단턱(113a)은 전술한 제1프레스(400)의 제1경사면(433)의 가압으로 인해, 제1단턱(113a)의 상면이 제1중공(111)의 중심축(C1)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4도 내지 6도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상기 호스가 제1중공(111)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내면(110)과 제1단턱(113a)의 사이에 제1경사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단턱(113b)은 제1단턱(113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단턱(113a)의 하부에서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2단턱(113b)의 상면은 제1중공(111)의 중심축(C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향 경사진 제2단턱(113b)은 전술한 제1프레스(400)의 제2경사면(435)의 가압으로 인해, 제2단턱(113b)의 상면이 제1중공(111)의 중심축(C1)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1.2도 내지 1.8도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
압착부(115a)는 제2단턱(113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2단턱(113b)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압착부(115a)에는 니플(200)의 플랜지(230)가 압착되어 고정된다.
제2내면(130)은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100)의 상부를 개방하는 제2중공(131)을 갖는다.
제2중공(131)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몸체(100)의 하부를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중공(131)에는 튜브(미도시)가 삽입되며, 이 경우, 상기 튜브가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 제2중공(131)의 지름, 즉, 제2내면(130)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상기 튜브의 외경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기 튜브가 제2중공(131)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제2중공(131)을 이루는 제2내면(130)에 제1나선홈(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나선홈(133)에 상기 튜브에 형성된 나선돌기(미도시)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튜브가 제2중공(13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니플(200)의 관통공(210)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제2내면(130)의 상부에 제2경사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니플(200)은 니플(20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210)과, 니플(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플랜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통공(210)은 제2중공(131)과 연통되며, 제1중공(111)에 삽입되는 상기 호스를 유동하는 유체를 제2중공(131)으로 유입시키는 유로 역할을 한다.
플랜지(230)는 니플(200)의 하부에 니플(200)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니플(200)은 몸체(100)의 압착부(115a)에 플랜지(230)가 압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몸체(100)에 설치되며, 이 경우, 몸체(100)의 정중앙 즉, 제1중공(111)의 중심축(C1)과 니플(200)의 중심축(도 2의 C2)이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접속 금구(10)의 재질은 탄소강(carbon stee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탄소강 중 AISI(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1006 인 것이 바람직하다.
AISI 1006은 탄소(C) 함량이 0.080%인 탄소강으로써, 종래의 접속 금구에 많이 사용되는 C3C (탄소 함량이 0.02% ~ 0.06%인 탄소강, European Steel and Alloy Grades) 보다 탄소 함량이 높은 탄소강이다. 따라서 AISI 1006으로 접속 금구(10)의 재질을 구성하게 되면, 종래의 C3C로 이루어진 접속 금구보다 접속 금구(10)의 강도가 강해지므로, 호스와 튜브를 유동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접속 금구(10) 자체의 파손 또한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접속 금구(10)를 AISI 1006 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높은 강도로 인해 제1프레스(400)로 니플(200)을 가압할 때,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의 확장 흐름이 잘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프레스들과 달리,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면(435)이 예비단턱(113)을 가압하게 되므로, 제2경사면(435)의 기울기에 의해 예비단턱(113)의 확장 흐름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강도가 높은 AISI 1006로 접속 금구의 재질을 구성하게 되더라도, 예비단턱(113)이 제1단턱(113a)과 제2단턱(113b)으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경사면(435)을 갖는 제1프레스(400)로 몸체(100)의 예비단턱(113)을 가압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금구(10)의 제조 방법에 의해 종래의 C3C 로 이루어진 접속 금구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AISI 1006 재질의 접속 금구(1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접속 금구 100: 몸체
110: 제1내면 111: 제1중공
113: 예비단턱 113a: 제1단턱
113b: 제2단턱 115: 안착단턱
115a: 압착부 117: 제1경사부
130: 제2내면 131: 제2중공
133: 제1나선홈 135: 제2경사부
150: 제3내면 151: 제3중공
170: 날개 200: 니플
210: 관통공 230: 플랜지
300: 고정부재 310: 플레이트
311: 삽입홈 330: 고정바
350: 샤프트 400: 제1프레스
410: 제1프레스 몸체 411: 지지볼트
412: 제2나선홈 413: 스프링
415: 피스톤 430: 제1가압부
431: 제1관통홀 433: 제1경사면
435: 제2경사면 500: 제2프레스
510: 제2프레스 몸체 530: 제2가압부
531: 제2관통홀 533: 제3경사면
535: 돌출부

Claims (12)

  1. 제1중공을 갖는 제1내면이 형성된 몸체와,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제1내면의 하부측에 고정되는 니플을 포함하는 접속 금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내면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1단턱; 상기 제1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제2단턱; 및 상기 제2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플랜지를 압착 고정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턱의 상면과, 상기 제2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1단턱의 확장 흐름은 기울기를 갖는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2단턱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주므로 상기 제2단턱의 단부가 상기 니플의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돌출되어 상기 니플이 찌그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의 관통공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튜브가 삽입되는 제2중공을 갖는 제2내면의 상부에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경사진 제2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1.2 내지 1.8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경사진 제1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4 내지 6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금구의 재질은 탄소강(carbon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강은 AISI 10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
  7. 제1중공을 갖는 제1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면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턱진 예비단턱과, 상기 예비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단턱을 갖는 몸체를 준비하는 몸체 준비 단계;
    외주면을 갖고, 상기 외주면에서 단부방향으로 경사진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장되어 하향으로 경사진 제2경사면을 갖는 제1프레스를 준비하는 제1프레스 준비 단계;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니플을 상기 안착단턱에 안착시키는 니플 안착 단계; 및
    상기 제1프레스를 상기 제1중공 내부로 하강시키는 제1프레스 가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스의 하강에 따라 상기 예비단턱이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확장 흐름되어 상기 몸체에 제1단턱과 제2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턱의 상면은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면서 상기 제2단턱의 하부에서 상기 플랜지가 압착 고정되며,
    상기 제2경사면이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예비단턱에 접하여 상기 예비단턱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예비단턱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제2경사면과 상기 예비단턱의 상면이 접하는 면에 가해지는 분력의 방향은 기울기를 갖는 사선방향이 되어, 상기 예비단턱의 확장 흐름이 기울기를 갖는 사선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2단턱이 상기 니플의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니플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 안착 단계에 있어서,
    외주면을 갖고, 단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제2프레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프레스의 상기 가압부로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여 상기 니플을 상기 안착단턱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턱의 상면이 상기 제1경사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단턱의 상면이 상기 제1중공의 중심축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은 상기 제1프레스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1.2도 내지 1.8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은 상기 제1프레스의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축을 기준으로 4 내지 6도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의 수평방향 길이는 상기 예비단턱의 단부에서 상기 니플의 측면까지의 이격 거리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금구의 제조 방법.
KR1020150122719A 2015-08-31 2015-08-31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19A KR101778147B1 (ko) 2015-08-31 2015-08-31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19A KR101778147B1 (ko) 2015-08-31 2015-08-31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74A KR20170025774A (ko) 2017-03-08
KR101778147B1 true KR101778147B1 (ko) 2017-09-13

Family

ID=5840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719A KR101778147B1 (ko) 2015-08-31 2015-08-31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527Y2 (ja) * 1990-10-23 1996-10-30 株式会社フジユニバンス 座ぐり穴付き軸の鍛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795B1 (ko) 2014-01-13 2014-12-31 삼금공업(주) 고압호스용 접속금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527Y2 (ja) * 1990-10-23 1996-10-30 株式会社フジユニバンス 座ぐり穴付き軸の鍛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74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7223B (zh) 压力开关
JP3927952B2 (ja) セルフピアシング部品、取付方法及びダイ部材
US20010023603A1 (en) Sheet-metal formed with spaced projec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1691126B1 (en) Sealing mechanism for tubular body
US20170259325A1 (en) Method of attaching a functional element to a sheet metal part
BR102014023080B1 (pt) Molas de gás para equipamento de formação
AU650480B2 (en) Projection welding
CN101994737A (zh) 功能元件、将功能元件引入金属片部件的方法及零件总成
US6994486B1 (en) Functional element and panel assembly
KR101778147B1 (ko) 접속 금구 및 그 제조 방법
JP4852599B2 (ja) 圧力流体用フランジ連結
US7731467B2 (en) Bolt element having a shaft part and a spherical head, component assembly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bolt element
KR101714242B1 (ko) 리브너트 용접용 전극유닛
JP2010071313A (ja) かしめねじ及びかしめねじ接合構造
KR102083095B1 (ko) 분배기용 파이프 제조장치
KR102130218B1 (ko) 분배기용 파이프의 제조 방법
KR101095954B1 (ko) 유체 분배용 분기관의 제조장치
JP3670266B2 (ja) 高圧成形法を用いて変形可能な金属部品に機能要素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部品組立体および金型
US7581300B2 (en) Method for the attachment of a functional element
EP2009341B1 (en) Method for obtaining a sealing junction for a rigid pipe intended to convey fluid under pressure
KR100621965B1 (ko) 코킹에 의한 플레이트들의 결합 방법 및 장치
JP2009202193A (ja) 2部材の結合方法
KR101416190B1 (ko) 의자용 칼럼 유니트
CN217800084U (zh) 一种轴承紧固装置
JP5822872B2 (ja) 配管端末構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