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727B1 -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727B1
KR101777727B1 KR1020170005875A KR20170005875A KR101777727B1 KR 101777727 B1 KR101777727 B1 KR 101777727B1 KR 1020170005875 A KR1020170005875 A KR 1020170005875A KR 20170005875 A KR20170005875 A KR 20170005875A KR 101777727 B1 KR101777727 B1 KR 10177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owel
dispenser
user
cleaning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이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이커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이커머스
Priority to KR102017000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25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휴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역에 비치된 다수 개의 종이타월 디스펜서(Dispenser)를 IoT(Internet of Things)기반으로 모니터링하고, 각 디스펜서의 종이타월 사용량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종이타월 디스펜서에 대하여, 일정기간동안 수집된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펜서에 구비된 종이타월의 교체시기를 예측하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공중화장실의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중화장실 관리분야, 공중화장실용 소모품 및 디스펜서 관리분야, 특히 공중화장실의 세면대에 비치된 종이타월의 이용 및 관리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Automatic emission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of paper towel for public toile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가 휴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역에 비치된 다수 개의 종이타월 디스펜서(Dispenser)를 IoT(Internet of Things)기반으로 모니터링하고, 각 디스펜서의 종이타월 사용량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종이타월 디스펜서에 대하여, 일정기간동안 수집된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펜서에 구비된 종이타월의 교체시기를 예측하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공중화장실의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은 다양한 소모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디스펜서(Dispenser)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구획된 부스의 내부에는 화장지가 내장된 디스펜서가 구비되어 있고, 화장실 일측에 형성된 세면대에는 손세정제가 저장된 디스펜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는 세척한 손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종이타월이 저장된 디스펜서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디스펜서들의 내부에 저장된 소모품들은, 관리자가 사용량을 확인하여 필요시 보충해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디스펜서들의 소모품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일정시간마다 해당 디스펜서가 설치된 지역까지 이동하여, 각 디스펜서들을 일일이 확인하고, 교체가 필요한 디스펜서에 대해 해당 소모품을 교체해 왔다.
이로 인해, 관리자가 관리할 디스펜서의 개수가 상당하거나, 비치된 지역이 넓은 경우에는 원활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는 해당 디스펜서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특1999-0057011호 '절약형 두루마리 휴지 공급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566호 '두루마리 화장지 정량 공급장치'는 화장지(휴지)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기술로서, 화장지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진 디스펜서와 관련된 기술들은, 디스펜서 자체의 기능 등을 개선하는 기술들이 대부분이며, 관리자가 복수 개의 디스펜서들을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특1999-0057011호 '절약형 두루마리 휴지 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1566호 '두루마리 화장지 정량 공급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관리자가 휴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역에 비치된 다수 개의 종이타월 디스펜서를 IoT(Internet of Things)기반으로 모니터링하고, 각 디스펜서의 종이타월 사용량을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의 종이타월 디스펜서에 대하여, 일정기간동안 수집된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펜서에 구비된 종이타월의 교체시기를 예측하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공중화장실의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하여, 적정량의 종이타월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종이타월의 배출기능을 비접촉식으로 제공할 경우, 화장실의 청소나 다른 사용자의 이동, 기타 불필요한 행동 등으로 인해, 불필요한 종이타월이 배출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종이타월의 사용이 요구되는 상황을 판단하고, 해당 디스펜서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 또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함으로써, 평상시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의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종이타월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는,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며, 수전용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전송하는 자동수전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손세정제를 배출하며, 세정용 트리거신호를 전송하는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및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트리거신호를 수신하면,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Paper towel)을 배출하는 종이타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수전모듈, 세정용 디스펜서 및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동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사용자의 손이 상하“‡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손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좌우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감지센서의 감지횟수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시키고, 상기 좌우감지센서의 감지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절단하거나 또는 종이타월의 배출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트리거신호의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종이타월이 배출된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감소시키며, 동작회수가 '0'이 되면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내부에 구성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는 잔여량감지부; 및 상기 잔여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사용자단말기 및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수전모듈 및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는데 사용되는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면,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의 동작회수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 또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하며, 내부에 저장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종이타월 디스펜서; 및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에서 전송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로부터 수신된 종이타월의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사용량에 대한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종이타월의 사용량에 대한 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교체시점을 확인하면, 해당 교체일정에 대한 시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로부터 수신된 종이타월의 잔여량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량이 긴급교체량의 최대값보다 적은 경우, 종이타월의 긴급교체요청을 시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복수의 구역에 비치된 다수 개의 디스펜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공중화장실에 비치된 소모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기반으로 디스펜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는 자신이 휴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각 디스펜서의 종이타월 사용량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각각의 종이타월 디스펜서에 대하여, 일정기간동안 수집된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펜서에 구비된 종이타월의 교체시기를 예측하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공중화장실의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비접촉식으로 감지하여 적정량의 종이타월을 쉽게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디스펜서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 또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함으로써, 평상시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화장실의 세면대에 구비된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여부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사용이 요구되는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펜서의 동작모드를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종이타월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의지가 없는 상태에서의 종이타월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공중화장실 관리분야, 공중화장실용 소모품 및 디스펜서 관리분야, 특히 공중화장실의 세면대에 비치된 종이타월의 이용 및 관리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종이타월 디스펜서(Dispenser)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종이타월 디스펜서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103' 및 'S104'를 수행하기 위한 종이타월 디스펜서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를 이용한 종이타월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A)는 자동수전모듈(110),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120) 및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를 포함한다.
자동수전모듈(110)은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며,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에 수전용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전송하는 것으로, 사용자 손의 접근여부를 확인하는 센서 및 자동으로 동작되는 수전레버 또는 벨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수전모듈(110)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자동수전모듈(110), 세정용 디스펜서(120) 및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공중화장실에 비치된 각종 디스펜서 및 설비 등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될 사용자단말기와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세정용 디스펜서(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손세정제를 배출하며, 세정용 트리거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자동수전모듈(110)과 연동하여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정용 디스펜서(120)의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의 동작은, 하기에 설명될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와 동일 내지 유사함은 물론이다.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평상시 슬립모드(Sleep mode)로 대기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동수전모듈(110) 및 세정용 디스펜서(1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트리거신호를 수신하면,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한다.
그리고,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액티브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한다.
다시 말해, 자동수전모듈(110) 또는 세정용 디스펜서(120)는 사용자가 손을 씻고 있음이 감지하면 수전용 트리거신호 또는 세정용 트리거신호를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수전용 트리거신호 또는 세정용 트리거신호 중 어느 하나가 수신된 경우에 한하여, 동작이 가능한 액티브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청소 등의 이유로 누군가의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자동수전모듈(110)이나 세정용 디스펜서(120)가 동작되지 않으면 종이타월을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종이타월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수전모듈(110), 세정용 디스펜서(120) 및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돠록 구성하여, 각 구성의 추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종이타월 디스펜서(Dispenser)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트리거신호 수신부(210), 동작모드 전환부(220), 동작제어부(230), 인체감지부(240), 종이타월배출부(250), 잔여량감지부(260) 및 데이터통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신호 수신부(21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동수전모듈(110) 또는 세정용 디스펜서(120)로부터 전송된 트리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작모드 전환부(220)는,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동작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액티브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할 수 있으며, 트리거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수전용 트리거신호 또는 세정용 트리거신호가 수신되면, 동작제어부(230), 인체감지부(240), 세정제배출부(250), 잔여량감지부(260) 및 데이터통신부(27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동작제어부(230)는 수신된 트리거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동작 및 기능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인체감지부(240)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종류 및 종이타월의 배출을 위한 동작제어 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에, 동작제어부(230)는 인체감지부(24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에 대한 접근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여 종이타월배출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종이타월배출부(250)는 동작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종이타월을 배출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감지부(240)에서 사용자의 손이 접근됨을 감지하면, 이에 대응하여 일정량의 종이타월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잔여랑감지부(260)는 내부에 저장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는 것으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종류 및 동작제어 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인체감지부(240)와 동일 내지 유사한 이유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데이터통신부(270)는 잔여량감지부(260)에서 감지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하기에 설명될 사용자단말기 및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oT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종이타월 디스펜서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나타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트리거신호 수신부(210)를 통해 자동수전모듈(110) 또는 세정용 디스펜서(120)의 동작에 따른 트리거신호가 수신되면(S101), 동작모드를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02).
이후, 사용자 손의 접근 및 움직임이 감지되면(S103), 사용자의 손움직임에 따라 적정량의 종이타월을 배출할 수 있다(S104). 이때, 동작제어부(230)는 종이타월의 1회 배출량 및 사용자당 최대배출량 등을 제한하여, 사용자에 의해 종이타월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비치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를 이용하지 않고, 자신이 휴대한 별도의 종이타월이나 손수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06).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단계 'S103' 및 'S104'를 수행하기 위한 종이타월 디스펜서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체감지부(240)는 사용자의 손이 상하“‡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감지센서(241)와, 사용자의 손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좌우감지센서(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동작제어부(230)는, 상하감지센서(241)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상하방향으로 왕복함을 감지하면, 왕복횟수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감지센서(241)는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좌우감지센서(242)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면, 동작제어부(230)는 종이타월을 커팅하거나 배출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감지센서(242)는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정면 또는 하부면에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는 사용자의 손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종이타월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공중화장실의 구조, 자동수전모듈(110), 세정용 디스펜서(120) 및 종이타월 티스펜서(200)의 비치개수 등에 대응하여 하나의 종이타월 디스펜서(200)가 둘 이상의 자동수전모듈(110) 또는 세정용 디스펜서(120)가 하나의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자동수전모듈(110)이나 세정용 디스펜서(120)가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므로, 모든 사용자가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이용을 완료한 후에,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를 슬립모드로 전환해야 한다.
이에,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동작제어부(230)는, 복수 개의 자동수전모듈(110) 또는 세정용 디스펜서(120)로부터 수신된 트리거신호의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종이타월이 배출된 횟수만큼 동작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각각의 자동수전모듈(110) 또는 세정용 디스펜서(120)의 사용여부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종이타월이 배출된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작제어부(230)는 수전용 트리거신호 또는 세정용 트리거신호에 의해 증가된 동작회수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종이타월이 배출된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감소시키며, 동작회수가 '0'이 되면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중화장실용 화장지 관리 시스템(S)은, 도 1에 나타난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A)와 더불어, 관리자가 휴대하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300)는 IoT기반으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에서 전송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특정 세정용 디스펜서(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세정용 디스펜서(200)에 구비되는 종이타월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가 관리해야 할 디스펜서의 종류 및 개수가 과도한 경우, 여러 명의 관리자가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시 하나의 구역에 대하여 둘 이상의 관리자가 시간별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둘 이상의 관리자가 특정 지역에 비치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를 관리하게 될 경우, 각 관리자가 휴대한 사용자단말기(300)는 해당 지역의 디스펜서들을 모두 관리하는 관리서버(400)와 연동하면서, 각각의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관리서버(400)는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이 휴대한 모든 사용자단말기(300)와 연동하면서, 해당 지역에 비치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화장지의 교체가 필요한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에 대한 정보를, 종이타월를 교체할 시점에 근무하는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도 5를 이용한 종이타월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기(300)는 종이타월 디스펜서(200)의 사용량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교체시점을 예측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단말기(300)는 종이타월 디스펜서(200)로부터 수신된 종이타월의 잔여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1).
사용자단말기(300)는, 수신된 잔여량이 긴급교체량의 최대값보다 적은 경우(S112), 종이타월의 긴급교체요청을 시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S113). 예를 들어, 긴급교체량의 최대값은 누적된 사용자의 1회 사용량 중 최대값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잔여량이 긴급교체량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S112), 다시 말해 충분한 양의 종이타월이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단말기(300)는 일정기간동안 누적된 종이타월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종이타월 사용량에 대한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4).
그리고, 사용자단말기(300)는 종이타월 사용량에 대한 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교체시점을 예측 및 확인할 수 있으며(S115), 이를 통해 해당 종이타월 디스펜서(300)에 구비된 종이타월의 교체일정에 대한 시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이타월의 교체시점 예측 및 알림은 사용자단말기(300)와 연동되는 관리서버(400)에서 처리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단말기(300)는 세정용 디스펜서(200)로부터 전송된 잔여량 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110 : 자동수전모듈 120 :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200 : 종이타월 디스펜서
210 : 트리거신호수신부 220 : 동작모드전환부
230 : 동작제어부 240 : 인체감지부
241 : 상하감지센서 242 : 좌우감지센서
250 : 종이타월배출부
260 : 잔여량감지부 270 : 데이터통신부
300 : 사용자단말기
400 : 관리서버

Claims (10)

  1.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며, 수전용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전송하는 자동수전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손세정제를 배출하며, 세정용 트리거신호를 전송하는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및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트리거신호를 수신하면,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Paper towel)을 배출하는 종이타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동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하며,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사용자의 손이 상하“‡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손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좌우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감지센서의 감지횟수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시키고, 상기 좌우감지센서의 감지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절단하거나 또는 종이타월의 배출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2. 사용자의 손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며, 수전용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전송하는 자동수전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손세정제를 배출하며, 세정용 트리거신호를 전송하는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및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트리거신호를 수신하면,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Paper towel)을 배출하는 종이타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수전모듈, 세정용 디스펜서 및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트리거신호의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종이타월이 배출된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감소시키며, 동작회수가 '0'이 되면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내부에 구성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는 잔여량감지부; 및
    상기 잔여량감지부에서 감지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사용자단말기 및 관리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4.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수전모듈 및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는데 사용되는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면,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의 동작회수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 또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하며, 내부에 저장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종이타월 디스펜서; 및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에서 전송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손동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하며,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사용자의 손이 상하“‡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감지센서; 및
    사용자의 손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는 좌우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감지센서의 감지횟수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시키고, 상기 좌우감지센서의 감지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절단하거나 또는 종이타월의 배출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
  5. 사용자의 손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수전모듈 및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는데 사용되는 세정용 디스펜서(Dispenser)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면,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의 동작회수에 대응하여 동작모드를 슬립모드(Sleep mode) 또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종이타월을 배출하며, 내부에 저장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종이타월 디스펜서; 및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에서 전송된 종이타월의 잔여량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수전모듈, 세정용 디스펜서 및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두 개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는,
    상기 자동수전모듈 및 세정용 디스펜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트리거신호의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종이타월이 배출된 회수만큼 동작회수를 감소시키며, 동작회수가 '0'이 되면 동작모드를 액티브모드에서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로부터 수신된 종이타월의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사용량에 대한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종이타월의 사용량에 대한 패턴정보에 기초하여 종이타월의 교체시점을 확인하면, 해당 교체일정에 대한 시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종이타월 디스펜서로부터 수신된 종이타월의 잔여량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잔여량이 긴급교체량의 최대값보다 적은 경우, 종이타월의 긴급교체요청을 시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05875A 2017-01-13 2017-01-13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10177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75A KR101777727B1 (ko) 2017-01-13 2017-01-13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75A KR101777727B1 (ko) 2017-01-13 2017-01-13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727B1 true KR101777727B1 (ko) 2017-09-12

Family

ID=5992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875A KR101777727B1 (ko) 2017-01-13 2017-01-13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429B (zh) * 2019-01-30 2024-04-02 厦门麻花科技有限公司 自动出纸系统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639B2 (ja) * 1995-06-07 2006-03-01 スローン バルブ カンパニー 洗浄装置及び操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1639B2 (ja) * 1995-06-07 2006-03-01 スローン バルブ カンパニー 洗浄装置及び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429B (zh) * 2019-01-30 2024-04-02 厦门麻花科技有限公司 自动出纸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702B1 (ko) 공중화장실용 화장지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RU2441566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листовых изделий
US11108865B1 (en) Battery powered end point device for IoT applications
KR101801219B1 (ko) 공중화장실용 손세정제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EP3080759B1 (en) Method of determining resource usage information for a facility, data collection device, data collection system and data collection method
CA3037628C (en) Universal dispenser monitor
KR20100105466A (ko) 무선으로 전력공급되는 디스펜서 시스템
JP2014530070A (ja) ハンズフリーディスペンサ用の消費電力管理方法
WO2019020977A1 (en) INTEGRATED HAND WASH SYSTEM
KR101777727B1 (ko) 공중화장실용 종이타월 자동배출장치 및 관리 시스템
EP3267378A1 (en) Distributed system for resource management for hand hygiene units
KR102594304B1 (ko) 분배 시스템
CN112106083A (zh) 洗手间维护自动化系统
US11605247B2 (en) Generating people counts based on dispenser usage
EP3515268B1 (en) Dispenser and dispens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JP7389403B2 (ja) 紙巻き器及びトイレ管理システム
WO2021149294A1 (ja) 管理システム、検知装置、推定装置、及び目皿
EP4074232A1 (en) Dispenser
JP7365578B2 (ja) 紙巻き器及びトイレ管理システム
EP4212073A2 (en) Bathroom modular device, bathroom managing system, and bathroom managing method
JP4792661B2 (ja) 自動吐出装置
KR20160037441A (ko) 수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51829A1 (zh) 清洁过程中断调整方法、基站、清洁排污系统及存储介质
JP2023010379A (ja)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送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NZ750812B2 (en) Dispenser and dispens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