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686B1 -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686B1
KR101777686B1 KR1020160099439A KR20160099439A KR101777686B1 KR 101777686 B1 KR101777686 B1 KR 101777686B1 KR 1020160099439 A KR1020160099439 A KR 1020160099439A KR 20160099439 A KR20160099439 A KR 20160099439A KR 101777686 B1 KR101777686 B1 KR 10177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shift
frequency
mai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민
박금준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686B1/ko
Priority to PCT/KR2016/008721 priority patent/WO20180260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28/0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한 채널 시프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 탑재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해 채널을 시프트할 때 무선통신 모듈들의 시프트 타겟 채널을 조정해줌으로써 내부적으로 동일 채널로 시프트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시프트를 신속하게 완료하고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shif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of hybrid terminal device avoiding local-confli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한 채널 시프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 탑재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해 채널을 시프트할 때 무선통신 모듈들의 시프트 타겟 채널을 조정해줌으로써 내부적으로 동일 채널로 시프트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시프트를 신속하게 완료하고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랜(예: 와이파이) 통신은 2.4 GHz와 5 GHz 대역을 사용하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은 2.4 GHz 대역을 사용하며 지그비(Zigbee) 통신은 2.4 GHz, 868 MHz, 915 MHz 대역을 사용한다.
여기서, 2.4 GHz 대역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으로서 무선랜, 지그비, 블루투스가 모두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IoT 기술에서는 IoT 센서들이 블루투스와 지그비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기 때문에 IoT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일정 공간에 다수의 IoT 센서들이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이들 IoT 센서들이 ISM 대역인 2.4 GHz 대역을 조화롭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무실과 가정에 무선랜 액세스포인트(AP)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공기관의 무선랜 AP도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결과로 무선랜 통신이 2.4 GHz 대역에 발생시키는 무선 트래픽도 상당하다.
이처럼 2.4 GHz 대역은 무선랜, 지그비, 블루투스가 모두 활용하고 있어 이들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들 간의 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간섭 현상은 ISM 밴드의 속성상 처음부터 예견된 것으로서, 무선통신 장치는 이러한 간섭 현상을 감지하면 주파수 시프트를 통해 이를 해소하는데. 이를 동작을 다이나믹 주파수 시프트(Dynamic Frequency Shift; DFS)라고 한다.
종래기술의 다이나믹 주파수 시프트에서는 간섭 현상을 감지한 무선통신 장치가 당초 사용하려던 채널이 아니라 다른 새로운 채널로 자신의 무선통신 주파수를 이동한다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 그 새로운 채널이 무선통신에 적합하면 그 채널을 활용하고, 만일 그 채널에서도 간섭 현상이 발생하면 다시 다른 채널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무선통신에 적합한 채널을 찾을 때까지 반복한다.
아직까지는 ISM 밴드의 혼잡도가 인내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에 이러한 주파수 시프트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운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멀지않은 장래에 스마트 홈 시대 또는 스마트 오피스 시대가 도래하면 좁은 공간에 다수의 IoT 센서와 여러 개의 무선랜 AP가 밀집하여 존재하는 환경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종래기술의 방식으로는 주파수 시프트가 비효율적으로 동작할 것이며, 그로 인해 무선통신 장치들이 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그에 따라, 이러한 상황에서는 여러 무선통신 기술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간섭을 해소하는 주파수 시프프 동작을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02397호 "무선 통신 채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107553호 "무선 통신 채널 품질 유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012619호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채널 운용 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46280호 "무선 통신 채널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한 채널 시프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 탑재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해 채널을 시프트할 때 무선통신 모듈들의 시프트 타겟 채널을 조정해줌으로써 내부적으로 동일 채널로 시프트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시프트를 신속하게 완료하고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프로세서와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한 무선통신 채널의 시프트를 내부 충돌을 회피하면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메인 프로세서와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 간에 채널 시프트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b)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각자 무선통신 채널을 설정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c) 메인 프로세서가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에 의한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수집하는 단계; (d)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특정의 무선통신 모듈(이하, '제 x 무선통신 모듈'이라 함)이 채널간섭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e) 제 x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채널간섭을 해소하기 위한 채널 시프트에 적용할 넥스트 타겟 채널을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고려하여 내부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메인 프로세서의 허락을 받아 설정하는 단계; (f) 제 x 무선통신 모듈이 넥스트 타겟 채널로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 (g) 메인 프로세서가 넥스트 타겟 채널을 반영하여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은, 단계 (f)와 단계 (g) 사이에 수행되는, (h) 제 x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시프트 이후에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주파수 충돌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i) 단계 (h)의 체크 결과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주파수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e)로 진행하여 넥스트 타겟 채널을 재설정하여 채널 시프트를 재시도하는 단계; (j) 단계 (h)의 체크 결과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주파수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g)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계 (e)는, (e-1)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채널간섭 해소를 위한 넥스트 후보 채널을 해당 무선통신 기술의 대역폭 내에서 다른 주파수의 채널로 선정하는 단계; (e-2)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넥스트 후보 채널을 메인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단계; (e-3) 메인 프로세서가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과 비교하여 넥스트 후보 채널의 내부 충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e-4) 메인 프로세서가 넥스트 후보 채널의 내부 충돌 체크 결과를 제 x 무선통신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 (e-5) 단계 (e-3)의 체크 결과 넥스트 후보 채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채널간섭 해소를 위한 넥스트 후보 채널을 재선정하고 단계 (e-2)로 진행하는 단계; (e-7) 단계 (e-3)의 체크 결과 넥스트 후보 채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주파수 내부 충돌이 회피된 넥스트 후보 채널을 넥스트 타겟 채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c)에서 메인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에 의한 공용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 탑재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채널 간섭을 해소하기 위한 채널 시프트를 수행할 때 내부 충돌을 회피할 수 있어 채널 시프트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통신 모듈이 데이터 송수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2.4 GHz 대역에서 무선랜의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2.4 GHz 대역에서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의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의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넥스트 타겟 채널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는 메인 프로세서(110) 및 주파수 대역을 공용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들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이 효과적으로 채널 시프트를 달성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제어기(121, 131, 141)와 메인 프로세서(110)가 수행하는 제어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이때, 채널 시프트는 채널 호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이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 및 IoT 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모듈이 복합적으로 탑재되는 IP 셋톱박스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에서 제 1 무선통신 모듈(120)은 무선랜(Wi-Fi) 모듈이고 제 2 무선통신 모듈(130)은 블루투스 모듈이며 제 3 무선통신 모듈(140)은 지그비 모듈인 경우를 예로 들어 기술한다.
즉, 제 1 무선통신 모듈(120)에 의한 무선랜 통신의 주파수 대역은 2.4 GHz 대역(13 채널)과 5 GHz 대역(14 채널)이고, 제 2 무선통신 모듈(130)에 의한 블루투스 통신의 주파수 대역은 2.4 GHZ(79 채널) 대역이고, 제 3 무선통신 모듈(140)에 의한 지그비 통의 주파수 대역은 2.4 GHz 대역(16 채널)과 915 MHz 대역(10 채널, 미국)과 868 MHz 대역(1 채널, 유럽)을 들 수 있다.
여기서, 2.4 GHz 대역은 ISM 대역으로서 무선랜, 지그비, 블루투스가 공통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IoT 기술에서는 IoT 센서들이 블루투스와 지그비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기 때문에 IoT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일정 공간에 블루투스 장치와 지그비 장치들이 다수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집과 사무실과 대중 공간 등에 무선랜 AP가 이미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갯수는 더욱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따라, 이들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 장치들이 공용 주파수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가 탑재하고 있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을 제어하여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복합 무선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과 메인 프로세서(110) 간에 제어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이 수행하는 채널 시프트 동작을 메인 프로세서(110)가 실질적으로 통제한다.
[도 2]는 2.4 GHz 대역에서 무선랜의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무선통신 모듈(120)은 2.4 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5 MHz 대역폭을 갖는 명목상의 13개 채널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제 1 무선통신 모듈(120)이 특정의 무선랜 채널(예: CH05)을 중심 채널로 사용한다고 하면, 그 중심 채널을 포함하는 일정 넓이의 대역폭(예: 20 MHz)을 사용하여 무선랜 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2.4 GHz 대역에서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의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는 제 1 무선통신 모듈(120)이 무선랜 통신을 수행할 때 5 MHz 대역폭을 갖는 명목상의 13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동작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는 제 2 무선통신 모듈(130)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때 1 MHz 대역폭을 갖는 명목상의 79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동작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c)는 제 3 무선통신 모듈(140)이 지그비 통신을 수행할 때 5 MHz 대역폭을 갖는 명목상의 16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동작함을 나타낸 것이다.
결국,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이 각자 무선랜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면 주파수 충돌로 인한 채널 간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채널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무선통신에서 비트에러율(bit-error-rate)이 증가하거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해당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무선통신 모듈은 자신에게 채널간섭이 발생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채널 시프트를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의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10) :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가 정상 동작을 시작하면 메인 프로세서(110)와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 간에 제어 채널을 설정한다. 실제로는 메인 프로세서(110)와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 제어기(121, 131, 141) 간에 제어 채널이 설정된다. 제어 채널은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의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를 메인 프로세서(110)가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120) :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가 정상 동작하기 위하여 이들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은 각자 무선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 채널을 설정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단계 (S130) : 메인 프로세서(110)는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의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수집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 프로세서(110)는 외부 무선통신 환경의 전체적인 주파수 사용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없고,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의 주파수 사용 정보, 즉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프로세서(110)는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에 의한 공용 주파수 대역(예: 2.4 GHz 대역)에서의 주파수 사용 정보를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으로 수집한다.
단계 (S140) :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 중에서 특정의 무선통신 모듈(이하, '제 x 무선통신 모듈'이라 함)이 채널간섭 이벤트를 감지한다.
설명의 편이를 위해 제 x 무선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무선통신 모듈(130)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은 무선통신 과정에서 에러 상황, 예컨대 비트에러율이 증가하거나 신호대잡음비가 감소하는 현상을 검출하며, 그에 따라 채널간섭 이벤트를 감지하게 된다.
단계 (S150) : 이처럼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에서 채널간섭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을 제어하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채널간섭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채널 시프트를 준비한다.
개념적으로 '채널 시프트'는 해당 무선통신 기술의 대역폭 내에서 다른 주파수의 채널로 이동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그 이동할 다음 채널(이하, '넥스트 타겟 채널'이라 함)을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인 프로세서(110)의 허락을 받아 설정한다.
이 과정에서 메인 프로세서(110)와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는 단계 (S110)에서 설정하였던 제어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110)는 특정의 채널 주파수를 넥스트 타겟 채널로서 허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계 (S130)에서 수집하였던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메인 프로세서(110)는 채널 시프트 과정에서 주파수 내부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메인 프로세서(110)의 허락을 받아 넥스트 타겟 채널을 결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단계 (S160) : 이처럼 넥스트 타겟 채널이 설정되면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은 해당 넥스트 타겟 채널로 시프트를 수행한다. 특정의 무선통신 모듈에서 채널 시프트를 처리하는 기술은 공지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시하지 않는다.
단계 (S170, S180) :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은 채널 시프트 이후에 해당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주파수 충돌(채널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통신 장치들, 예컨대 무선랜 AP나 IoT 센서들이 해당 넥스트 타겟 채널을 이미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면 채널 시프트를 수행하더라도 주파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도 주파수 충돌 문제가 여전히 감지된다면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은 다시한번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기 위해서 단계 (S150)으로 이동하여 위의 동작을 반복한다.
반대로,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주파수 충돌 문제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은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무선통신을 정상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처럼 단계 (S180)에서 주파수 충돌 문제가 감지되지 않아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이 무선통신을 정상 수행하게 되는 이러한 넥스트 타겟 채널을 '최종 넥스트 채널'이라고 부른다.
단계 (S180) :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은 채널 간섭이 발생한 특정의 주파수 채널로부터 무선통신 환경이 양호한 다른 주파수 채널, 즉 최종 넥스트 채널로 이동하였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에 대한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최종 넥스트 채널을 반영하여 업데이트한다. 이는 그 이후에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에서 다시 채널 시프트를 수행해야 할 때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채널간섭 해소를 위한 넥스트 타겟 채널을 메인 프로세서(110)의 허락을 받아 설정하는 과정의 바람직한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51) : 단계 (S140)에서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에 채널간섭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 x 무선통신 모듈(130)의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채널간섭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채널 시프트를 수행할 만한 채널을 해당 무선통신 기술의 대역폭 내에서 현재와는 상이한 주파수의 채널(이하, '넥스트 후보 채널'이라 함)로 선정한다. 이때,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넥스트 후보 채널을 선정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52) :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는 그 선정된 넥스트 후보 채널을 앞서 단계 (S110)에서 설정하였던 제어 채널을 통하여 메인 프로세서(110)로 제공한다.
단계 (S153 ~ S155) : 메인 프로세서(110)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채널 시프트를 수행하려고 한다고 알려온 넥스트 후보 채널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과 비교하며, 이를 통해 넥스트 후보 채널이 내부 충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메인 프로세서(110)는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이 현재 어떠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으로 관리하고 있다.
만일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채널 시프트를 수행하려는 넥스트 후보 채널이 다른 무선통신 모듈(예: 140)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와 겹친다면,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그 넥스트 후보 채널로 시프트를 하더라도 단계 (S180)에서의 주파수 충돌에 의해 다시한번 다른 채널로 채널 시프트를 반복해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그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110)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가 채널 시프트를 수행하려고 하는 넥스트 후보 채널을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과 비교함으로써 주파수의 내부 충돌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 결과를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로 제공한다.
단계 (S156) : 주파수 내부 충돌이 발생하는 것으로 통보를 받는 경우에는 현재의 넥스트 후보 채널은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는 채널간섭 해소를 위한 넥스트 후보 채널을 재선정하고, 단계 (S152)로 진행하여 그 재선정된 넥스트 후보 채널에 대해 주파수 내부 충돌을 체크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단계 (S157) : 주파수 내부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통보를 받는 경우에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131)는 해당 주파수 내부 충돌이 회피된 넥스트 후보 채널을 넥스트 타겟 채널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단계 (S160)에서 사용할 넥스트 후보 채널을 단계 (S151) 내지 단계 (S157)을 통해 주파수 내부 충돌을 회피하도록 선정함으로써 단계 (S180)에서 주파수 충돌로 인해 단계 (S150)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감소하게 되어 채널 시프트가 종래에 비해 효율적으로 달성된다.
이처럼 무선통신의 채널 시프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하이브리드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120, 130, 140)이 종래기술에 비해 훨씬 원활하게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ROM, RAM, CD-ROM, NAS, 자기테이프, 하드디스크, 웹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토리지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100 : 하이브리드 단말장치
110 : 메인 프로세서
120, 130, 140 : 무선통신 모듈
121. 131, 141 : 무선통신 제어기

Claims (5)

  1. 메인 프로세서와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상기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간섭 해소를 위한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를 하이브리드 단말장치 내부 충돌을 미리 회피하면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 간에 채널 시프트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이 각자 무선통신 채널을 설정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공용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에 의한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복수 개의 무선통신 모듈 중에서 특정의 무선통신 모듈(이하, '제 x 무선통신 모듈'이라 함)이 채널간섭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e) 상기 제 x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고려하여 내부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의 허락을 받아 내부 충돌이 회피된 넥스트 타겟 채널을 채널 시프트를 위해 설정하는 단계;
    (f) 상기 제 x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채널간섭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넥스트 타겟 채널로 채널 시프트를 수행하는 단계;
    (g) 제 x 무선통신 모듈이 상기 단계 (f)의 채널 시프트 이후에 상기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외부의 다른 무선통신 장치들과 주파수 충돌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h) 상기 단계 (g)의 주파수 충돌 체크 결과 상기 넥스트 타겟 채널에서 외부의 다른 무선통신 장치들과 주파수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e)로 진행하여 상기 넥스트 타겟 채널을 재설정하여 채널 시프트를 재시도하는 단계;
    (i)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넥스트 타겟 채널을 반영하여 상기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e)는,
    (e-1) 상기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채널간섭 해소를 위한 넥스트 후보 채널을 해당 대역폭 내에서 다른 주파수 채널로 선정하는 단계;
    (e-2) 상기 제 x 무선통신 제어기가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한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을 상기 메인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단계;
    (e-3)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주파수 로컬 사용현황과 비교하여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의 내부 충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e-4)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제어 채널을 통한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의 내부 충돌 체크 결과를 상기 제 x 무선통신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
    (e-5) 상기 제 x 무선통신 제어기는 상기 내부 충돌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면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을 재선정하고 상기 단계 (e-2)로 진행하는 단계;
    (e-6) 상기 제 x 무선통신 제어기는 상기 내부 충돌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에서 내부 충돌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 채널 시프트에서의 내부 충돌이 미리 회피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넥스트 후보 채널을 상기 넥스트 타겟 채널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컴퓨터에 청구항 1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99439A 2016-08-04 2016-08-04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KR10177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39A KR101777686B1 (ko) 2016-08-04 2016-08-04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PCT/KR2016/008721 WO2018026040A1 (ko) 2016-08-04 2016-08-09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39A KR101777686B1 (ko) 2016-08-04 2016-08-04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686B1 true KR101777686B1 (ko) 2017-09-12

Family

ID=5992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39A KR101777686B1 (ko) 2016-08-04 2016-08-04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7686B1 (ko)
WO (1) WO20180260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734A2 (ko) 2011-02-10 2012-08-1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9280A1 (en) * 2006-12-29 2008-07-03 Motorola, Inc. Event handling within multi-modal short range wireless networks
KR101853854B1 (ko) * 2011-05-03 2018-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채널할당 방법
KR101361693B1 (ko) * 2012-04-03 2014-02-11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 통신망의 이용요건을 변경하면서 복수 이종망(異種網)들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734A2 (ko) 2011-02-10 2012-08-16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내 공존 간섭을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040A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612B2 (en) Enhanced carrier sensing for multi-channel operation
TWI494007B (zh) 無線網路中連接性回復之方法與裝置(二)
TWI520540B (zh) 通信方法及通信系統
US9603152B2 (en) Wireless network channel allocation method for interference avoidance
JP5687771B2 (ja) 干渉のある場合の動的帯域幅制御
WO2012086472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18015285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N111373788B (zh) 用于选择无线通信的主要信道的方法
JP2007532040A (ja) アドホック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リソース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無線局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1769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gnitive radio mesh network based on geolocation database
CN107995686B (zh) 无线局域网信道分配方法、装置及系统
TW201820905A (zh) 於無線通訊系統中共享未授權頻譜的傳輸裝置、傳輸方法及傳輸系統
JP5778623B2 (ja) 無線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KR101777686B1 (ko) 하이브리드 단말장치에서 내부 충돌 회피형 무선통신 채널 시프트 제어 방법
JP2018133657A (ja) 無線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39125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method
KR101458299B1 (ko) 은닉 노드 문제 및 노출 노드 문제를 해결한 다중 셀 와이파이 운용 및 와이파이 오프로딩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7974A (ko) 채널 변경 방법 및 장치
JP6101221B2 (ja) 複数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
JP748659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割当
WO2016114695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in multiple technology environment
JP20235396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を制御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