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469B1 -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469B1
KR101777469B1 KR1020150151175A KR20150151175A KR101777469B1 KR 101777469 B1 KR101777469 B1 KR 101777469B1 KR 1020150151175 A KR1020150151175 A KR 1020150151175A KR 20150151175 A KR20150151175 A KR 20150151175A KR 101777469 B1 KR101777469 B1 KR 101777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urce
power
load
charge amou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098A (ko
Inventor
최연호
김윤구
권오석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5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4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2001/1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내 제2 전원으로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 POW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 내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다중 전원 중 시스템의 모드에 적합한 전원을 선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원 중 하나의 전원을 주전원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원을 보조전원(예비전원)으로 설정한다.
이때, 시스템은 주전원으로 설정된 전원에 고장(또는, 파워를 공급할 수 없는 상태)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파워 공급원으로서 주전원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전원으로 설정된 전원이 고장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보조전원은 대기 시간만 길어질 뿐, 파워 공급원으로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은 복수의 전원 중 주전원으로 설정된 전원만을 집중하여 사용 함에 따라, 복수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 적합한 전원을 선정하고, 시스템 내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이용되던 전원을, 상기 선정된 전원으로 전환 함으로써, 다중 전원 내 전원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용하여, 다중 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모드와 함께, 시스템 내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다중 전원 중에서 전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전원을 통해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환경에 보다 적합한 전원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내 제2 전원으로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방법은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내 제2 전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 적합한 전원을 선정하고, 시스템 내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이용되던 전원을, 상기 선정된 전원으로 전환 함으로써, 다중 전원 내 전원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용하여, 다중 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의 모드와 함께, 시스템 내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다중 전원 중에서 전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전원을 통해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환경에 보다 적합한 전원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부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확인하는 시스템의 모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확인하는 부하의 상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예컨대, 산업용 장비, 이동 로봇, 이동 장치) 내부에 포함되어, 다중 전원(또는, 하이브리드 전원)을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100)는 확인부(101), 결정부(103) 및 프로세서(105)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부(101)는 다중 전원이 갖는 총 전하량과 모드별 필요 전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전원은 상이한 종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연료전지 전원(방전용), 리튬-폴리머 배터리 전원(충방전용), 태양광 전원(수집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01)는 다중 전원 내 전원 각각이 갖는 전하량을 합하여, 상기 총 전하량을 계산하고, 총 전하량과 모드별 필요 전하량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모드로서, 예컨대, '충분(strong)', '보통(normal)' 및 '부족(weak)', '차단(cutoff)'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확인부(101)는 다중 전원 내 각 전원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에 대응하는 각 전원의 상태를 고려하여,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확인부(101)는 다중 전원 내 제1 전원의 상태가 '보통(normal)' 단계이고, 다중 전원 내 제2 전원의 상태가 '충분(strong)' 단계일 경우, 시스템의 모드로서, '충분(strong)' 단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설명의 편의상,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확인부(101)는 시스템 내 부하(예컨대, 모터 드라이버, 로봇 컨트롤러 등)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고, '고부하', '저부하', '대기' 및 '차단' 단계 중 상기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는 단계를, 상기 부하의 상태로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확인부(101)는 설정된 주기 마다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정부(103)는 확인부(101)에 의해 확인된,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5)는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제1 전원으로 상기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05)는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내 제2 전원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제2 전원으로 상기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다중 전원 내 전원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용하여, 다중 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105)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많을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선정하여, 상기 제2 전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5)는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이, '800'에서 '100'으로 다운 됨에 따라, 시스템의 모드가 '충분(strong)' 단계에서, '보통(normal)' 단계로 변경된 경우, '보통(normal)' 단계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600'으로서,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100' 보다 많으면, 제1 전원의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5)는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600') 이상의 전하량 즉, '700'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선정하여, 상기 제2 전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5)는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이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에서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을 차감한 결과값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선정하여, 상기 제1 전원과 함께 상기 파워 공급원으로서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프로세서(105)는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이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중 전원 내 모든 전원을 슬리핑(sleeping)하고, 상기 부하로 파워 공급을 중지 함으로써, 시스템을 무리하게 구동시키지 않도록 하여, 예기치 않은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원에 대한 유지 여부 판단시, 프로세서(105)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적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전원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하량을 갖는, 상기 다중 전원 내 임의 전원이 있는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파워 공급원으로서의 제1 전원을, 상기 임의 전원으로 변경 함으로써, 하나의 전원만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전원을 사용하여, 다중 전원 내 각 전원을 비교적 균등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전원의 유지 여부 판단시, 프로세서(105)는 시스템 내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 함으로써, 시스템의 환경에 보다 적합한 전원을 선정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5)는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제1 전원의 유지가 가능할 경우(예컨대,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적음)에도, 부하의 상태가 '고부하'일 경우, 다중 전원 내 각 전원이 갖는 전하량 중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이 최고가 아니면, 제1 전원의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중 전원 중 최고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선정하여, 파워 공급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전원 제어 장치(200)는 전원부(201), 센서부(203) 및 스위칭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200)는 시스템의 모드,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외부의 상태 서버와 상위 시스템 각각 통신하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01)는 시스템에 연관된 다중 전원으로서, 예컨대, 연료전지 전원, 리튬-폴리머 배터리 전원, 태양광 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3)는 다중 전원 내 각 전원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거나, 또는 각 부하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칭부(205)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정된 전원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스위칭된 전원을 통해, 시스템 내 부하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센서부(203)의 측정 결과를 고려하여, 전압의 상태(또는, 시스템의 모드) 또는 부하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다중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센서부(203)를 통해, 직접 측정된 전원 및 부하에 대한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의 상태 또는 부하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상태 서버로부터 전압의 상태 또는 부하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200)는 전압의 상태(또는, 시스템의 모드) 또는 부하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파워의 공급, 수요 조건에 따라 스위치 동작 또는 충전 동작을 통해 전원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현재의 전원, 부하, 조합 상태, 시스템의 모드 등의 정보를 외부의 상위 시스템으로 전달 함으로써, 상기 상위 시스템에서, 상기 시스템에서의 전원 관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다중 전원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를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원 관리 상태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다중 전원 내 전원 각각에 대해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전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예컨대, 전원에 관한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통해, 상기 전원의 상태로서, '충분(strong)', '보통(normal)', '부족(weak)' 및 '차단(cutoff)'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전원에 관한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이용시, 상이한 상태 간에 히스테리시스 밴드 부분(301)을 두어 잦은 상태 변화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조건으로 전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부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 내 부하(예컨대, 모터 드라이버, 로봇 컨트롤러 등)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부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예컨대, 부하에 관한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통해, 상기 부하의 상태로서, '고부하', '저부하', '대기' 및 '차단'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부하에 관한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이용시, 상이한 상태 간에 히스테리시스 밴드 부분(401)을 두어 잦은 상태 변화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조건으로 부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확인하는 시스템의 모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제1 전원(예컨대, 연료전지 전원)의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와 제2 전원(예컨대, 리튬-폴리머 배터리 전원)의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를 조합하여, 시스템의 모드가 분류될 수 있는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제1 전원의 상태가 4단계로 분류되고, 제2 전원의 상태가 4단계로 분류되는 경우, 시스템의 모드가 분류될 수 있는 단계를 16(4*4)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설정된 단계의 개수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단계를 그룹화하여, 분류될 수 있는 시스템의 모드를 단순화할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로서 분류되는 16개의 단계(0 내지 15 단계)를 단순화하여, 최종 4개의 단계(예컨대, '충분(strong)', '보통(normal)', '부족(weak)' 및 '차단(cutoff))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충분(strong)' 단계는 예컨대, 모터가 급격한 운전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보통(normal)' 단계는, 모터가 소프트(soft) 운전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충분(strong)' 단계는 모터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컨트롤러(controller)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차단(cutoff) 단계는 모터와 컨트롤러 모두 전원을 차단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제1 전원의 상태 및 제2 전원의 상태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제1 전원의 상태가 '보통(normal)' 단계이고, 제2 전원의 상태가 '충분(strong)' 단계일 경우, 일차적으로 시스템의 모드를 '1' 단계로 확인한 후, 이차적으로 단순화된 4개의 단계 중에서 상기 '1' 단계에 매칭(matching)되는 '충분(strong)' 단계를, 시스템의 모드로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 확인하는 부하의 상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 내 부하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부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여, 예컨대, 부하의 상태로서, 모터가 하드(hard)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모터가 급격한 가감속 운전 중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여, 부하의 상태로서, 모터가 소프트(soft)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모터가 소프트하게 구동 중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모터가 차단(cutoff)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모터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컨트롤러(controller)에 전원을 공급 중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여, 부하의 상태로서, 모터와 제어기가 차단(cutoff)된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모터와 컨트롤러 모두 전원을 차단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와 모터(motor)의 상태에 따라, 다중 전원 중 하나의 전원을 선정하고, 모터로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상기 선정된 전원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와 태양 전지(Solar cell) 상태에 따라, 다중 전원 중 하나의 전원을 선정하고, 컨트롤러(controller)로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상기 선정된 전원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와 태양 전지(Solar cell) 상태에 따라, 다중 전원 중 하나의 전원을 선정하고, 충전기로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상기 선정된 전원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전원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다중 전원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다중 전원이 갖는 총 전하량과 모드별 필요 전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01에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전원으로 상기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한다.
단계 803에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많을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선정하여, 상기 제2 전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이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에서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을 차감한 결과값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선정하여, 상기 제1 전원과 함께 상기 파워 공급원으로서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이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중 전원 내 모든 전원을 슬리핑(sleeping)하고, 상기 부하로 파워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한편,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적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전원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하량을 갖는, 상기 다중 전원 내 임의 전원이 있는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 내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시스템 내 부하(예컨대, 모터 드라이버, 로봇 컨트롤러 등)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고, '고부하', '저부하', '대기' 및 '차단' 단계 중 상기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는 단계를, 상기 부하의 상태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단계 805에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파워 공급원으로서, 제1 전원의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단계 807에서,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내 제2 전원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2 전원으로 상기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한다.
단계 805에서,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파워 공급원으로서, 제1 전원의 유지가 가능할 경우, 단계 809에서, 계속해서 제1 전원으로 상기 부하에 파워를 공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 적합한 전원을 선정하고, 시스템 내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이용되던 전원을, 상기 선정된 전원으로 전환 함으로써, 다중 전원 내 전원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이용하여, 다중 전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스템의 모드와 함께, 시스템 내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다중 전원 중에서 전원을 선정하고, 선정된 전원을 통해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환경에 보다 적합한 전원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다중 전원 제어 장치 101: 확인부
103: 결정부 105: 프로세서

Claims (16)

  1.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제2 전원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제2 전원으로 변경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제2 전원이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에서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을 차감한 결과값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선정하여, 상기 제1 전원과 함께 상기 파워 공급원으로서 추가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다중 전원이 갖는 총 전하량과 모드별 필요 전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하는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많을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제2 전원을 선정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적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전원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하량을 갖는, 상기 다중 전원 내 임의 전원이 있는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의 전원을 상기 제2 전원으로서 선정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전원 제어 장치는,
    상기 부하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고, '고부하', '저부하', '대기' 및 '차단' 단계 중 상기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는 단계를, 상기 부하의 상태로서 확인하는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는
    다중 전원 제어 장치.
  9. 시스템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내 부하로 파워를 공급하는 제1 전원을, 다중 전원 중에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제2 전원을 선정하고, 상기 제1 전원을, 상기 제2 전원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제2 전원이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최저 필요 전하량에서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을 차감한 결과값 이상의 전하량을 갖는 전원을,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선정하여, 상기 제1 전원과 함께 상기 파워 공급원으로서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전원이 갖는 총 전하량과 모드별 필요 전하량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스템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많아,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다중 전원 중에서 상기 제2 전원을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시스템의 모드에서의 최저 필요 전하량이, 상기 제1 전원이 갖는 전하량 보다 적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전원 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하량을 갖는, 상기 다중 전원 내 임의 전원이 있는 경우, 상기 유지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 전원을 상기 제2 전원으로서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대한 전류를 측정하고, '고부하', '저부하', '대기' 및 '차단' 단계 중 상기 측정된 전류에 대응하는 단계를, 상기 부하의 상태로서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부하의 상태를 더 고려하여, 상기 부하로의 파워 공급원으로서 상기 제1 전원을 유지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전원 제어 방법.
KR1020150151175A 2015-10-29 2015-10-29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77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175A KR101777469B1 (ko) 2015-10-29 2015-10-29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175A KR101777469B1 (ko) 2015-10-29 2015-10-29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98A KR20170050098A (ko) 2017-05-11
KR101777469B1 true KR101777469B1 (ko) 2017-09-11

Family

ID=5874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175A KR101777469B1 (ko) 2015-10-29 2015-10-29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4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659A (ja) * 2007-12-25 2009-07-16 Toyota Motor Corp 電源供給装置、電源供給方法、及び移動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659A (ja) * 2007-12-25 2009-07-16 Toyota Motor Corp 電源供給装置、電源供給方法、及び移動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09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2217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upply of power to a motor vehicle having an automated driving function
EP3370996B1 (en) Hybrid battery control system architecture
KR102052241B1 (ko) 밸런싱 배터리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34810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protection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KR20160043838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57046A (ko) 배터리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2021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nergy storage system
KR20180058085A (ko)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55631A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60014280A (ko) 이종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CN111516551A (zh) 一种电池管理系统功能安全监控方法、装置及车辆
WO2020028454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530221B1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87494A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218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ate of safety plug
KR101777469B1 (ko) 다중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49306A (ko) 하이브리드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70475B1 (ko) 기능안전을 고려한 차량용 배터리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9094489B (zh) 用于运行车载电网的方法
WO201702905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mean time to failure of an electrical device
KR101878405B1 (ko) 점검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70051070A (ko) Bms의 fet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698707A (zh) 用于监测电池装置的运行变量的方法和装置
CN117157873A (zh) 马达驱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