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045B1 -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045B1
KR101777045B1 KR1020160035975A KR20160035975A KR101777045B1 KR 101777045 B1 KR101777045 B1 KR 101777045B1 KR 1020160035975 A KR1020160035975 A KR 1020160035975A KR 20160035975 A KR20160035975 A KR 20160035975A KR 101777045 B1 KR101777045 B1 KR 10177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wer pipe
emitting means
rechargeable battery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전인재
오대승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102016003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낮에는 채광창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하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타면에 설치된 제 1발광수단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거 내부에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 외부에서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을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일면에 설치된 제 2발광수단을 통해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을 물론, 평소 하수관거의 내부 상황을 무선으로 실시간 중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A Management System Of Sewage Box For A Blind Board}
본 발명은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낮에는 채광창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하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타면에 설치된 제 1발광수단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거 내부에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 외부에서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을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일면에 설치된 제 2발광수단을 통해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을 물론, 평소 하수관거의 내부 상황을 무선으로 실시간 중계할 수 있도록 한 가림막판이 설치된 하수관거의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빗물만을 배출하거나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같은 오수 및 오염물질이 많은 하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하수관거는 통상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악취가 하수관거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은 하천변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에게 악취를 풍기게 되는 건강을 해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종래의 하수관거는 하천변과 만나는 말단부에 개방된 상태로 그대로 노출되는 바, 도심자연형 하천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특허등록 제1548478호)"가 선행 등록된 바 있다.
가림막장치가 설치된 하수관거는 밀폐됨에 따라 유해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하수관거의 내부에 잔존하여 하수관거 내부를 준설하거나 가림막장치를 보수할 경우 유출되는 유해가스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수관거용 가림막장치는 하수관거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가림막장치의 작동이 안되면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장시간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84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대낮에는 채광창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하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타면에 설치된 제 1발광수단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하수관거의 내부 상황을 무선으로 실시간 중계할 수 있도록 한 가림막판이 설치된 하수관거의 점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하수관거 내부에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 외부에서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을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일면에 설치된 제 2발광수단을 통해 야간 가로등의 겸할 수 있는 가림막판이 설치된 하수관거의 점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악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거의 노출단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림막판에 있어서, 태양광이 하수관거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점검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채광창;과, 야간 가림막판에 형성된 점검창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도록 최상단 가림막판 중 어느 하나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1발광수단;과,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상단 가림막판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2발광수단;과,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가림막판 타면에 결합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와, 상기 하수관거의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수관거의 상단 벽면에 결합되는 영상획득부; 및 하수관거의 외부에 설치된 지주대에 고정된 충전지가 내장된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주대는 충전지를 자가 충전할 수 있도록 솔라셀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반의 외부에는 유해가스 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해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어반의 내부에는 영상획득부의 영상을 중앙통제실로 전송할 수 있도록 송신모듈과, 중앙통제실의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모듈과, 충전지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부와, 제 1,2발광수단을 수동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어반의 내부에는 전력감지부를 통해 충전지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충전지의 전력이 40% 이내 일 경우, 야간 조도센서에 의해 점등되여 가로등의 기능을 하는 제 2발광수단을 강제 소등시켜 충전지의 전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채광창은 가림막판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타공된 타원 또는 직사각 형태이며 태양광을 하수관거의 내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오목렌즈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2발광수단은 고휘도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의 가림막판의 면상에 직접 결합시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판을 배제하고, 가림막판으로 직접 열을 전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은 채광창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하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타면에 설치된 제 1발광수단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어 가림막판을 오픈시키지 않고 손쉽게 하수관거 내부를 검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관거 내부에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 외부에서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으로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일면에 설치된 제 2발광수단을 통해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소 하수관거의 내부 상황을 무선으로 실시간 중계할 수 있어 하수관거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가림막판의 작동이 불능되면 빠른 시간에 이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낮에는 채광창으로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하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타면에 설치된 제 1발광수단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거 내부에 유해가스가 발생될 경우 외부에서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을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야간에는 가림막판의 일면에 설치된 제 2발광수단을 통해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을 물론, 평소 하수관거의 내부 상황을 무선으로 실시간 중계할 수 있도록 한 가림막판이 설치된 하수관거의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100)은 채광창(12)과, 제 1,2,3발광수단(20,30,78)과, 유해가스 감지센서(40)와, 영상획득부(50)와, 제어반(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발광수단(20,30,78)은 전력소모가 작은 LED로 구성된다.
상기 채광창(12)은 하수관거(300)의 노출단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림막판(10)에 설치되는 점검창(11)을 통해 하수관거(300) 내부를 검침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조사하는 기능한다.
이러한 상기 채광창(12)은 점검창(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성인데, 이러한 상기 채광창(12)은 가림막판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타공된 타원 또는 직사각 형태이며 태양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오목렌즈(12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관리자가 가림막판(10)을 인위적으로 들어올리지 않고, 채광창(12)으로 대낮 조사되는 태양광을 하수관거(300)의 내부로 확산시켜 점검창(11)으로 하수관거(300)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점검창(11)에는 악취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아크릴판이 결합되고, 덮개판(111)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판(111)에는 접점센서(112)가 결합되어 덮개판(111)을 오픈하면 접점센서(112)가 접점되어 제 1발광수단(20)이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성이며, 후술되는 조도센서(72)의 신호에 따라 대낮에는 접점센서(112)가 접점된다 하더라도 제 1발광수단(20)이 점등되지 않고 소등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발광수단(20)은 야간 가림막판(10)에 형성된 점검창(11)으로 하수관거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도록 최상단 가림막판(10) 중 어느 하나의 타면에 결합되는 구성인데, 이러한 상기 제 1발광수단(20)은 후술되는 컨트롤러(77)에 의해 수동으로 점멸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발광수단(30)은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상단 가림막판(1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 2발광수단(30)은 조도센서(72)에 의해 자동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컨트롤러(77)에 의해 수동으로 점멸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2발광수단(20,30)은 고휘도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의 가림막판(10)의 면상에 직접 결합시켜 발열을 냉각하기 위한 방열판을 배제하고, 가림막판(10)으로 직접 열을 전도될 수 있도록 하여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40)는 상기 하수관거(3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가림막판(10)의 타면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40)는 하수관거(300) 내부에 쌓인 협잡물이나 가림막판(10)을 유지보수 할 경우, 하수관거(300) 내부의 유해가스로부터 관리자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하수관거(300)의 내부 상황 영상을 획득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수관거(300)의 상단 벽면에 영상획득부(50)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영상획득부(50)는 캠 또는 CCTV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반(70)은 하수관거(3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지주대(80)에 결합되고, 상기 지주대(80)에는 솔라셀(81)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반(70)의 외부에는 조도센서(72)와 유해가스 감지센서(40)의 감지에 의해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78)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솔라셀(81)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71)와, 영상획득부(50)의 영상을 중앙통제실(200)로 전송하는 송신모듈(74)과, 중앙통제실(200)의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모듈(75)과, 충전지(71)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부(73)와, 제 1,2발광수단(20,30)을 수동제어하는 컨트롤러(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반(70)의 내부에는 제어부(76)가 구비되어, 수신모듈(75)의 신호에 따라 영상획득부(50)의 영상을 송신모듈(74)을 통해 중앙통제실(20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6)는 전력감지부(73)를 통해 충전지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충전지의 전력이 40% 이내 일 경우, 야간 조도센서(72)에 의해 점등되어 가로등의 기능을 하는 제 2발광수단(30)을 강제 소등시켜 충전지의 전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6)는 유해가스 감지센서(40)에 의해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제 3발광수단(78)을 점등시켜 관리자가 하수관거(300)의 내부에서 발생된 유해가스로부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해가스 감지센서(40)는 항시적으로 가동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가 컨트롤러(77)에 구비된 작동버튼(771)으로 수동 제어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수관거(300)의 내부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중앙통제실(200)에서 신호를 송신하면, 제어반(70)의 수신모듈(75)은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76)로 하여금 제 1발광수단(20)과, 영상획득부(50)를 가동시켜 하수관거(300) 내부영상을 촬영한다.
이 때 촬영된 영상정보는 송신모듈(74)을 통해 중앙통제실(200)로 실시간 중계된다.
하수관거(300)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준설이 필요한 경우, 중앙통제실에서 관리자로 하여금 하수관거(300)의 검침을 유도한다.
관리자는 해당 하수관거(300)를 검침할 경우, 대낮에는 채광창(12)으로 확산되어 조사되는 태양광을 기반으로 점검창(11)을 통해 하수관거(300)의 내부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태양광이 약한 대낮이거나 야간일 경우, 접점센서(112)의 접점 또는 제어반(70)의 컨트롤러(77)를 수동조작하여 제 1발광수단(20)을 점등시킨 후 하수관거(300)의 내부를 눈으로 식별하여 검침할 수 있다.
이 때 점검창(11)으로 이물질을 식별하거나 가림막판(10)의 손상이 발생될 경우, 컨트롤러(77)를 수동조작하여 유해가스 감지센서(40)를 가동시킨다.
여기서 유해가스 감지센서(40)로부터 유해가스가 감지되면 제 3발광수단(78)이 점등하게 되고, 관리자는 가림막판(10)를 강제로 개방시키거나 방폭환기팬으로 외부 공기와 환기되도록 한다.
시간이 지난 후 제 3발광수단(78)을 소등되면 관리자는 하수관거(300)의 내부를 준설하거나 손상된 가림막판(10)을 유지보수한다.
아울러 평소 제 2발광수단(30)은 조도센서(72)에 의해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야간에는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발광수단(30)은 충전지(7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데, 여기서 제어부(76)는 전력감지부(73)를 통해 충전지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충전지(71)의 전력이 40% 이내 일 경우, 제 2발광수단(30)을 강제 소등시켜 충전지(71)의 전력을 보호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가림막판 11: 점검창 111: 덮개판
112: 접점센서 12: 채광창
121: 오목렌즈
20: 제 1발광수단
30: 제 2발광수단
40: 유해가스 감지센서
50: 영상획득부
70: 제어반 71: 충전지 72: 조도센서
73: 전력감지부 74: 송신모듈
75: 수신모듈 76: 제어부
77: 컨트롤러 771: 작동버튼
78: 제 3발광수단
80: 지주대 81: 솔라셀
100: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200: 중앙통제실
300: 하수관거

Claims (5)

  1. 악취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거(300)의 노출단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가림막판(10)에 있어서,
    태양광이 하수관거(300)의 내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막판(10)에 형성된 점검창(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채광창(12)과, 야간에 상기 점검창(11)을 통하여 하수관거(300)의 내부를 검침할 수 있도록 최상단 가림막판(10) 중 어느 하나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1발광수단(20)과, 야간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최상단 가림막판(1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2발광수단(30)과, 상기 하수관거(3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가림막판 타면에 결합되는 유해가스 감지센서(40)와, 상기 하수관거(300)의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수관거(300)의 상단 벽면에 결합되는 영상획득부(50)와, 하수관거(300)의 외부에 설치된 지주대(80)에 고정된 충전지(71)가 내장된 제어반(7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주대(80)는 충전지(71)를 자가 충전할 수 있도록 솔라셀(81)이 장착되고,
    상기 제어반(70)의 외부에는 유해가스 감지센서(40)의 감지에 의해 점등되는 제 3발광수단(78)가 부착되며,
    상기 제어반(70)의 내부에는 영상획득부(50)의 영상을 중앙통제실(200)로 전송하는 송신모듈(74)과, 중앙통제실(200)의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모듈(75)과, 충전지(71)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전력감지부(73)와, 제 1,2발광수단(20,30)을 수동제어하는 컨트롤러(7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70)의 내부에는
    상기 전력감지부(73)를 통해 충전지(71)의 전력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충전지의 전력이 40% 이내 일 경우, 야간 조도센서(72)에 의해 점등되어 가로등의 기능을 하는 제 2발광수단(30)을 강제 소등시켜 충전지의 전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창(12)은 가림막판(1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타공된 타원 또는 직사각 형태이며, 태양광을 하수관거(300)의 내부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오목렌즈(121)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발광수단(20,30)은 고휘도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의 가림막판(10)의 면상에 직접 결합시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판을 배제하고, 가림막판(10)으로 직접 열을 전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KR1020160035975A 2016-03-25 2016-03-25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KR10177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75A KR101777045B1 (ko) 2016-03-25 2016-03-25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75A KR101777045B1 (ko) 2016-03-25 2016-03-25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045B1 true KR101777045B1 (ko) 2017-09-08

Family

ID=5992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75A KR101777045B1 (ko) 2016-03-25 2016-03-25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0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5148A (zh) * 2018-11-26 2019-02-15 南智(重庆)能源技术有限公司 天然气管道及场站工艺装置安全隐患识别的智能诊断方法
KR101986943B1 (ko) 2018-04-23 2019-06-07 김현숙 스프레이식 악취제거장치를 구비한 하수관거용 가림막
KR20230077880A (ko) 2021-11-26 2023-06-02 전상훈 가림막 연계형 하수관거용 악취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68B1 (ko) * 2007-11-27 2008-06-10 (주)웹솔루스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하수관거 유지관리방법 및 그기능을 탑재한 하수관거 유지관리시스템
KR100850307B1 (ko) * 2008-06-13 2008-08-04 에스씨종합건설(주) 하수관거 유지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99706B1 (ko) * 2013-05-07 2013-08-28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관거 자산관리 시스템
JP5313829B2 (ja) * 2009-10-02 2013-10-09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下水道施設の覆蓋集合体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968B1 (ko) * 2007-11-27 2008-06-10 (주)웹솔루스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하수관거 유지관리방법 및 그기능을 탑재한 하수관거 유지관리시스템
KR100850307B1 (ko) * 2008-06-13 2008-08-04 에스씨종합건설(주) 하수관거 유지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JP5313829B2 (ja) * 2009-10-02 2013-10-09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下水道施設の覆蓋集合体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299706B1 (ko) * 2013-05-07 2013-08-28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하수관거 자산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43B1 (ko) 2018-04-23 2019-06-07 김현숙 스프레이식 악취제거장치를 구비한 하수관거용 가림막
CN109345148A (zh) * 2018-11-26 2019-02-15 南智(重庆)能源技术有限公司 天然气管道及场站工艺装置安全隐患识别的智能诊断方法
KR20230077880A (ko) 2021-11-26 2023-06-02 전상훈 가림막 연계형 하수관거용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045B1 (ko) 가림막판용 하수관거의 관리시스템
KR101638502B1 (ko) 터널 내외의 휘도분석을 통한 터널 출입구 부분의 밝기 조절장치
US99908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gress and monitoring system
US96268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gress and monitoring system
KR101459528B1 (ko) 가로등을 이용한 영상감시 방범 시스템
KR101183359B1 (ko)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102060812B1 (ko) 무선 점멸기 및 고장 감시기가 내장된 스마트 led 등기구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JP2016177952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制御装置
KR102124963B1 (ko) IoT 및 5G LoRa 통신 기반의 스마트 등기구 유지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60348B1 (ko) 터널용 소화전함
KR101590071B1 (ko)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
KR20140096899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led 도로 표지판 관리 시스템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AU2011100078A4 (en) Lighting system
CN204137001U (zh) 轨道车辆的车顶观察窗及轨道车辆
CN209525730U (zh) 一种自动生成逃生路线的系统
KR10241596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전표시 고보조명
JP2010160975A (ja) 屋内照明装置
CN210247239U (zh) 一种用于智慧路灯分散照明用的控制装置
KR101011452B1 (ko) 자동 점멸 가로등
KR100920067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KR101416341B1 (ko) 터널 조명등 관리시스템
KR102181478B1 (ko) 방범시설 위치표시장치
CN206260108U (zh) 一种新型道路夜间指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