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806B1 -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806B1
KR101776806B1 KR1020160059297A KR20160059297A KR101776806B1 KR 101776806 B1 KR101776806 B1 KR 101776806B1 KR 1020160059297 A KR1020160059297 A KR 1020160059297A KR 20160059297 A KR20160059297 A KR 20160059297A KR 101776806 B1 KR101776806 B1 KR 10177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user
important
search
key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식
강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플러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플러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플러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05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06F17/3086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06F17/30011
    • G06F17/306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식하는 인식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하는 키워드 수신부,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중요 키워드와 상기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를 매핑시키는 정보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중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중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문서나 웹페이지에서 질의 대상 키워드의 세부 분야를 파악하여 원하는 검색결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CONTEXT BASED KEYWORD SEARCH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고객 관심 영역내의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문서나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에서 질의 대상 키워드를 지정하고, 해당 키워드의 세부 분야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빠르게 팽창해 가고 있다. 4개월이 지나면 인터넷상에는 현재보다 두 배나 많은 새로운 사이트들이 생겨나고 있는 데, 이는 기업체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들도 자신들의 홍보를 위하여 홈페이지를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예술, 문학, 학술, 의학, 오락, 스포츠, 정치, 과학, 기술, 산업, 경제 등 많은 분야에 걸쳐 제공되는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 자신의 관심있는 분야, 예컨대 대중적인 연예 문화 콘텐츠 관련 기사나 웹사이트에서부터 시사나 전문 기술 등 보다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는 기사나 웹사이트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정보 및 경로를 통해 관심 분야의 정보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터넷 서핑시 디스플레이 되는 웹사이트를 보면 웹사이트마다 일정 문맥의 성향 및 특정 관련 주제 정보를 갖고 있음에도 현재의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포털사이트의 검색이나 툴바에 사용자가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여 검색하지 않고 열려 있는 웹페이지의 연관된 웹 검색을 하기에는 사용자의 판단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어 방대한 웹사이트 및 기사들 사이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관심 분야 검색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검색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질의어 또는 검색어를 알고 있어야만 하고 해당하는 웹페이지가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검색 질의어를 생각하지 못해서 몇 번의 반복속에 목적과 가장 근접한 사이트에 도달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뉴스를 보면서 관련된 웹 정보를 더 필요로 할 때 현재 열려있는 웹페이지에서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에서 검색을 하게 될지는 사용자의 판단에만 의존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만족하는 검색 결과값까지의 도달되는 과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키워드 설정 및 조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고객의 관심 영역 내, 예컨대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문서나 웹페이지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맞춤형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9857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57951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문서나 웹페이지에서 질의 대상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 및 해당 문서나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맥 또는 관련 키워드의 세부 분야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웹 사이트 등에서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미리 필터링하여 제공받을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다 단계의 검색을 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색 시간을 절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키워드를 설정 및 조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식하는 인식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하는 키워드 수신부;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중요 키워드와 상기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를 매핑시키는 정보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중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중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은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요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는 키워드 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키워드는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의 클릭 또는 드래그 동작, 또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를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조합부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세부 키워드는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가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세부 키워드 각각에 연관된 상기 중요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하는 키워드 수신 단계; 상기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중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중요 키워드 추출 단계; 및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단계를 포함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식 단계는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은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중요 키워드 추출 단계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된 검색 결과를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세부 키워드는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복수의 세부 키워드가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세부 키워드 각각에 연관된 상기 중요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문서나 웹페이지에서 질의 대상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 및 해당 문서나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맥 또는 관련 키워드의 세부 분야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웹 사이트 등에서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미리 필터링하여 제공받을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다 단계의 검색을 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색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키워드를 설정 및 조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관심 영역내의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인식부(110), 키워드 수신부(120), 처리부(130) 및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30)는 중요 키워드 추출부(131), 키워드 조합부(132), 검색부(133) 및 검색결과 제공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110)는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즉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치와 연결된 모니터 화면 상에 열려 디스플레이되는 문서,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인식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 등을 경유하여 각종 웹 페이지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의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웹페이지나 웹브라우저의 경우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기사, 뉴스, 문서 등을 의미하고, 문서의 경우 인터넷이 아닌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된 일반 문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인식하는 웹페이지는 뉴스 기사페이지, 개별 블로그 페이지, 일반 웹페이지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문서나 웹페이지 내에 관심이 있거나, 더 알고 싶은 키워드를 지정하면 키워드 수신부(120)가 해당 지정 키워드를 수신한다. 키워드 수신부(120)는 사용자의 마우스의 클릭 또는 선택 및 드래그 동작에 기초하여 지정되는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 등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등을 통해 해당 키워드를 선택하거나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키워드 지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키워드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버튼을 클릭하거나, 특정 키워드의 선택 및 드래그 동작 등을 통해 키워드를 지정하면 웹사이트 검색 시에 간편하게 원하는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 키워드는 추가로 검색버튼이 생성되거나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또는 드래그 시 추가적인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키워드를 지정하기 위해 음성 인식 등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정 키워드를 말하면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키워드를 인식하고, 키워드 수신부(120)에서 음성 인식 과정을 통해 해당 키워드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키워드는 2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해당 화면에서 사용자가 2개 이상의 키워드를 지정하는 경우, 이 복수의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을 진행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고, 새로운 검색 결과는 사용자 지정 키워드의 개수가 많을수록 보다 좁은 범위의 검색을 정교하게 수행가능할 것이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중요 키워드와 이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들을 매핑시키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된 중요 키워드 및 복수의 세부 키워드는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형태소 분석과 소스코드를 분석하여 단어 또는 문맥을 인식하고, 인식된 단어 또는 문맥을 중복횟수에 따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세부 키워드가 각각 연관성이 있는 상이한 중요 키워드에 대해 중복적으로 매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중요 키워드들에 대해 미리 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예컨대, 현재 검색 상위에 있거나, 오랫동안 상위 검색어를 차지하고 있거나, 검색 노출이 성장하는 키워드들에 기초하여 중요 키워드 또는 세부 키워드를 지정하고, 중요 키워드와 관련 세부 키워드 정보들을 매핑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의 중요 키워드가 '한류'일 때, 복수의 세부 키워드는 이 중요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K-푸드', 'K-POP', '한국 드라마', '한국 아이돌 그룹'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는 명사만으로 예시되었지만, 연관성이 높은 동사, 형용사도 세부 키워드로 지정될 수 있다. 다만, 동사, 형용사의 경우 중요 키워드와의 매칭 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범위 및 용량이 더욱 광범위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130)의 구성요소인 중요 키워드 추출부(131)는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에 저장된 세부 키워드 및 관련 중요 키워드의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 키워드를 자동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문서 또는 웹페이지 상에 포함된 텍스트 내용으로부터 단어 및 문맥 정보를 추출하고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하여 웹페이지를 대표할 수 있는 최적의 키워드들을 결정하고, 이를 세부 키워드 등으로 활용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매핑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추가 키워드 입력 없이 중요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내용 기반 또는 문맥 기반을 이용한 키워드 추출 방법이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 기반 분류를 이용한 키워드 추출 방법은 웹페이지와의 전체 내용 및 문맥을 고려하여 내용적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처리부(130)의 구성요소인 키워드 조합부(132)는 중요 키워드 추출부(131)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워드 조합부(132)는 사용자 키워드 및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중요 키워드와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의 검색결과를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된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 및 추출된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처리부(130)의 구성요소인 검색부(133)에서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웹페이지 검색은 인터넷 상에서 종래에 사용하는 검색 브라우저 및 검색 DB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처리부(130)의 구성요소인 검색결과 제공부(134)는 검색부(133)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중요도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 결과 배치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검색결과 제공부(134)는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들의 우선선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해당 검색 결과와 사용자 키워드 및 중요 키워드와의 연관성 관련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새롭게 검색된 검색 결과와 중복되는 키워드 개수 및 관련성에 기초할 수 있고, 또한, 현재 검색 결과의 검색 빈도 순위에 기초하여 검색 빈도가 높은 검색 결과를 상위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결과는 화면상에 표시되거나 별도의 검색결과 페이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의하면, 예컨대, 중국주식 관련 기사를 보다가 '상하이'라는 키워드를 사용자가 지정하면 상하이에 대한 경제상황, 상해조합지수 정보 등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여행 관련 기사를 보다가 '상하이'라는 키워드를 지정하면 상하이 전문여행사 정보나 상하이의 여행지 정보, 맛집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문서나 웹페이지에서 질의 대상 키워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 및 해당 문서나 웹페이지에 포함된 문맥 또는 관련 키워드의 세부 분야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관심을 두고 보고 있는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인식한다(단계 210). 이때, 인식하는 웹페이지는 뉴스 기사페이지, 개별 블로그 페이지, 일반 웹페이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가 아닌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문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한다(단계 220). 사용자 키워드는 사용자의 지정 동작, 예컨대 마우스 드래그, 클릭, 음성 입력 등의 동작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키워드 지정 동작에 의해 추가 검색을 진행할지 여부, 추가 키워드 입력 여부, 검색 범위 설정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메뉴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웹페이지 등의 내용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이와 같은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이 아닌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어에 기초한 일반 검색을 원하는 경우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의 제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 및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에 대한 간단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웹페이지 내용 인식 단계(단계 210)가 사용자 키워드 수신 단계(단계 220)에 우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단계 220이 단계 210을 우선하여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시스템 부하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 단계 210이 단계 220보다 먼저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키워드를 수신 후 빠르게 키워드 추출 및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시스템 부하가 문제가 되는 경우 특정 고객이 검색키워드를 선정한 경우에만 인식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단계 220이 단계 21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 후 인식작업을 수행하므로 검색결과 제공까지의 시간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에서 인식된 내용에 기초하여 중요 키워드를 추출한다(단계 230). 이때 중요 키워드 추출은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에 기저장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웹페이지의 내용과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통해 추출하며, 각각의 세부 키워드에 대해서 미리 분류된 연관된 중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 및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한다(단계 240). 이와 같은 키워드 조합은 사용자 키워드 및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 자신이 지정한 키워드 외에도,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웹페이지와 관련된 키워드들이 추가로 자동 선택되어 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어 추가 선택 없이 사용자가 관심 있어하는, 즉 현재 웹페이지와 관련된 특정 분야와 연관성이 높은 검색 결과를 효과적으로 제공 가능하다.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 및 추출된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한다(단계 250). 이와 같은 추출된 중요 키워드와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의 검색결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와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보다 간편하게 정교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제공한다(단계 260). 여기서, 가중치는 해당 검색 결과와 사용자 키워드 및 중요 키워드와의 연관성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관심 있어할 만한 검색 결과를 상위에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 및 기준을 통해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심 영역내의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 사용자가 특정한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에서 특정 분야에 대한 검색결과를 받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 키워드 지정 및 검색을 위한 키워드 조합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웹페이지(10)는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갖고 보고 있는 화면에 나타난 기사나 뉴스 등의 문서일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가 아닌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문서 등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키워드 지정에 따라 새로운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문맥을 파악할 웹페이지(10)로부터 세부 키워드들을 추출 및 분류하고,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의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각 세부 키워드와 연관된 중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는 미리 구축된 중요 키워드(321)와 세부 키워드(322)가 매핑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웹페이지(10)와 관련하여 추출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웹페이지(10)와 관련된 세부 키워드(322)와 각 세부 키워드(322)가 연관된 중요 키워드(321)가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중요 키워드 및 복수의 세부 키워드는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하이'를 사용자 키워드(310)로 지정하여 추가 검색을 진행하면, 웹페지이의 내용 및 문맥에 근거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140)의 정보에 기초하여 'K-푸드(320a)', '피자(320b)', '레스토랑(320c)'이 세부 키워드(322)로 추출하고, 각각 연관된 중요 키워드(321)로서 '한류', '식음', '명소' 등으로 분류되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키워드(322) 중 하나인 '레스토랑(320c)'은 연관된 중요 키워드(321)로서 '식음'과 '명소'가 중복되어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키워드(310)는 하나로 예시되었지만, 2개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가 지정되는 경우 더욱 좁은 범위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지정된 사용자 키워드와 추출 선택된 중요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검색어의 조합 결과(20)를 보면, 복수의 키워드들의 조합으로 특정되어 있으며, 이들 조합 결과(20)에 기초하여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조합 결과(20)는 해당 사용자 키워드(21)로서 '상하이'를 검색어로 지정하고, 해당 중요 키워드(22)로서 '한류', '식음', '명소'를 or 조건으로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 키워드(21) 및 해당 중요 키워드(22)를 and 조건으로 검색식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키워드 및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위의 예에서 '상하이의 한류', '상하이의 식음', '상하이의 명소'를 검색 키워드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검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진행된 검색은 미리 결정된 가중치 등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높은 부분이 상위에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미리 필터링하여 받을 수 있으므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다단계의 검색을 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키워드를 새로 조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인식부 120 키워드 수신부
130 처리부 131 중요 키워드 추출부
132 키워드 조합부 133 검색부
134 검색결과 제공부 140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
320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321 중요 키워드
322 세부 키워드
10 웹페이지 20 조합 결과
21 해당 사용자 키워드 22 해당 중요 키워드

Claims (14)

  1.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하는 키워드 수신부;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중요 키워드와 상기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를 매핑시키는 정보를 저장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중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중요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
    를 포함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은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요 키워드 추출부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는 키워드 조합부를 더 포함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키워드는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의 클릭 또는 드래그 동작, 또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를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제공하기 위한 검색결과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조합부는 상기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세부 키워드는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시스템.
  8.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인식하는 인식 단계;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키워드를 수신하는 키워드 수신 단계;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가 결정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중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중요 키워드 추출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요 키워드 추출 단계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중요 키워드와 연관된 복수의 세부 키워드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내용은 웹페이지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사용자 키워드를 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검색 결과를 미리 결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키워드 및 상기 중요 키워드 사이의 문맥에 기초하여 키워드 조합을 수행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요 키워드 및 상기 세부 키워드는 명사, 동사, 형용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KR1020160059297A 2016-05-16 2016-05-16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177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297A KR101776806B1 (ko) 2016-05-16 2016-05-16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297A KR101776806B1 (ko) 2016-05-16 2016-05-16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806B1 true KR101776806B1 (ko) 2017-09-08

Family

ID=5992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297A KR101776806B1 (ko) 2016-05-16 2016-05-16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4153A (zh) * 2020-11-10 2021-02-12 中数通信息有限公司 一种基于干扰特征的关键词识别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1979A (ja) * 2010-04-02 2011-11-04 Qinghua Univ 検索支援システム、検索支援方法及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1979A (ja) * 2010-04-02 2011-11-04 Qinghua Univ 検索支援システム、検索支援方法及び検索支援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4153A (zh) * 2020-11-10 2021-02-12 中数通信息有限公司 一种基于干扰特征的关键词识别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9623B (zh) 涉及因特网搜索的方法和设备
WO2020140360A1 (zh) 基于剪贴板进行信息推送的方法、系统及终端设备
US85274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structure for related information browsing
US20080086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lating the results of a computer network text search with relevant multimedia files
KR101873873B1 (ko) 속성 정보 분석을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장치 및 검색방법
CN107016020A (zh) 利用垂直建议辅助搜索请求的系统和方法
US20110307432A1 (en) Relevance for name segment searches
KR101103766B1 (ko)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취향정보를 수집하는 단말기기, 그 방법 및 기록매체
CN102063453A (zh) 一种用于基于用户的需求进行搜索的方法和设备
JP2003208434A (ja) 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検索方法
CN101639857A (zh) 构建知识问答分享平台的方法、装置及系统
KR20080024712A (ko)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를 이용한 모바일 정보 검색 방법,분류 방법 및 정보 검색 시스템
KR100434902B1 (ko) 지식 기반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20090119283A1 (en)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and Enhancing Electronic File Searching
CN105511783A (zh) 一种搜索方法及移动终端
CN104008180A (zh) 结构化数据与图片的关联方法与关联装置
WO2007046445A1 (ja) 検索装置及び検索方法
CN108205545B (zh) 一种为用户提供推荐信息的方法与设备
CN103927339A (zh) 知识重组系统和知识重组方法
KR20070082075A (ko) 질의어 및 콘텐츠 분류 기반 템플릿을 이용한 검색결과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776806B1 (ko) 문맥기반 키워드 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6568284B1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KR101223987B1 (ko) 동적 온톨로지를 이용한 관련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62215B1 (ko) 확장정보 기능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111679B1 (ko)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