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828B1 -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 Google Patents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828B1
KR101775828B1 KR1020160057998A KR20160057998A KR101775828B1 KR 101775828 B1 KR101775828 B1 KR 101775828B1 KR 1020160057998 A KR1020160057998 A KR 1020160057998A KR 20160057998 A KR20160057998 A KR 20160057998A KR 101775828 B1 KR101775828 B1 KR 101775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band
type coupler
antenna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지상
최준성
원주선
남상욱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5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8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06Microstrip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01Q9/045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eed lin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having an H-type coupler utilizing a characteristic mode. The antenna can be intuitively designed by using current as a coupler specialized for a band-type structure. The antenna also can promote an increase in communication channels and improvement in performance of beamforming or the like by easily realizing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by using the characteristic mode. The antenna comprises: a ground substrate; a band having the H-type coupler for a feeding unit; and a pad formed to adjust a frequency in the middle of the H-type coupler or to match impedance.

Description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having an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a characteristic mode,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having an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a characteristic mode.

특성 모드는 임의의 전기적 구조체가 있을 때 특정 주파수 f에 대해 구조체 표면에 생길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류 분포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 모드는 외부의 전원(source)과는 별개로 존재하며, 구조체 외부에서 인가(excite)한 전원과 그 전기적 형태가 가장 유사한 모드가 전체 모드들 중에서 가장 강하게 방사(radiation)된다. The characteristic mode refers to any type of current distribution that can occur on the structure surface for a particular frequency f when there is an arbitrary electrical structure. This characteristic mode exists independently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mode most similar to the electric form of the excitation power source outside the structure is most strongly radiated in all the modes.

모드의 번호는 특정 주파수 f에 대해 공진(resonant)을 잘 할수록 낮은 번호로 정렬되며, 각각의 모드가 생성하는 전기장은 서로 직교하기 때문에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설계기법이다.The mode numbers are arranged in a lower number as the resonance is better for a certain frequency f, and the electric fields generated by the respective mode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ey are useful for creating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It is an antenna design technique.

이러한 구조체의 특성 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 급전 구조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대부분 복잡한 전기장(field)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실제 설계시 구조를 반영하기 힘들고 직관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Various feed structures for using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structure have been proposed, but most of them have complex field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icult to reflect the structure in actual design and are not intuitive.

1.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36816호(2003년 12월 24일)(발명의 명칭: H-슬롯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1.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6816 (December 24, 2003) (entitled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H-slot)

1. 최원준외, "WiBro 중계기용 Bazooka 발룬이 내장된 H형 슬롯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전자공학회논문지 - TC 제45권 제1호 통권 제367호 (2008년 1월) pp.78-84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통권132호 (2008년 5월) pp.515-5221. Choi, Won-Jun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H-shaped Slot Antenna with Bazooka Balun for WiBro Repeat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Vol. 45, No. 1, January 2008, pp.78-84 The Journal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v.19, no. 5, vol. 132 (May 2008) pp.515-522 2. 박기동, "2.4GHz ISM 대역용 변형된 H형 슬롯 개구결합 원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7권 제3호 109p ~ 114p, 2012년2. Park, Kee-Dong, "Modified H-slot open-coupled circularly polarized microstrip antennas for 2.4GHz ISM band"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7 (3), 109p ~ 114p, 2012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복잡한 전기장(field) 특성 대신 전류 특성을 이용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having an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a characteristic mode using a current characteristic instead of a complicated electric field characteristic .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설계시 구조를 반영하기 용이하고 직관적인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having an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an intuitive characteristic mode which is easy to reflect a structure in actual design.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복잡한 전기장(field) 특성 대신 전류 특성을 이용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having a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a characteristic mode using a current characteristic instead of a complicated electric field characteristic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상기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는,In the antenna having the H-type coupler,

그라운드 기판(201);A ground substrate 201;

특성모드와의 유사성(correlation) 조정하여 원하는 모드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그라운드 기판(201)의 일측 평면상에 적층되며 급전부(230)를 위한 H형 커플러(220)를 갖는 밴드(210);A band 210 having an H-type coupler 220 stacked on one side of the ground substrate 201 for applying a desired mode by adjusting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mode and having a H-type coupler 220 for the feed unit 230;

상기 H형 커플러의 중간에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형성되는 패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a pad 24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type coupler for adjusting a frequency or for impedance matching.

여기서, 상기 H형 커플러(220)는 상기 밴드(210)에 개구면(221,222)이 형성되는 슬롯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type coupler 220 may have a slot shape in which the openings 221 and 222 are formed in the band 210.

또한, 상기 밴드는 평면 혹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nd may be plane or curved.

또한, 상기 모드는 상기 H형 커플러의 급전 신호 위상을 조절하여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와의 유사성 조정하여 원하는 모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mode, a desired mode i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phase of the feed signal of the H-type coupler to adjust the similarity with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band structure.

또한, 상기 모드는 상기 H형 구조 커플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와의 유사성 조정하여 원하는 모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in the mode, a desired mode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type structure coupler and adjusting the similarity with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band structure.

또한, 상기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패드(240)에 상용소자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mmon element may be coupled to the pad 240 to adjust the frequency.

또한, 상기 주파수의 대역은 상기 H형 커플러의 슬롯 길이를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frequency band may be formed by adjusting the slot length of the H type coupler.

또한, 상기 H형 커플러(220)의 위치는 변경되어 모드 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position of the H-type coupler 220 may be changed to generate the mode 2.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그라운드 기판(201); 특성모드와의 유사성(correlation) 조정하여 원하는 모드를 인가하고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그라운드 기판(201)의 일측 평면상에 적층되며 급전부(230)를 위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H형 커플러(220)를 갖는 밴드(210); 상기 H형 커플러의 중간에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형성되는 패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nd substrate 201; And is stacked on one side plane of the ground substrate 201 to form a desired multi-input multi output (MIMO) system by adjusting the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 mode, A band 210 having a plurality of H-shaped couplers 220 disposed therein; And a pad 24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type coupler for frequency adjustment or impedance matching. The H-shaped coupler may be provided with a H-shaped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mode.

본 발명에 따르면, 밴드형 구조에 특화된 커플러로서 전류를 이용하기 때문에 직관적인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intuitive design is possible because current is used as a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lik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특성모드를 이용하여 손쉽게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통신채널 증대, 빔-포밍 등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multi-input multi-output (MIMO) system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a characteristic mode,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communication channel increase and beam-formin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밴드 구조가 평면이 아니고 휘어진 곡면 형태에서도 잘 동작할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Further, as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structure can operate well even in a bent curved surface shape, not a flat surface, because it is a structure for controlling current, which is applicable to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band.

도 1은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체의 특성모드 중 공진하는 모드인 모드 1, 2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형 커플러 구조를 갖는 안테나(2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200)의 H형 커플러 구조가 생성하는 전류분포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에 존재하는 모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 1이 가진 방사패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형 커플러 구조를 적용하여 방사패턴을 생성한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 2가 가진 방사패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형 커플러 구조를 2개 적용하여 방사패턴을 생성한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와 도 6에서 적용한 H형 커플러 구조를 전부 사용하여 밴드형 구조 위에 MIMO 시스템을 구현하여 모드1과 2의 패턴을 생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modes 1 and 2, which are resonance modes, of characteristic modes of a general band-like structure.
2 is a plan view of an antenna 200 having an H-type coupl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urrent distribu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H-type coupler structure of the antenna 200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mode form existing in a general band structure.
FIG. 5 is a view comparing a radiation pattern of a characteristic mode 1 of a general band-type structure and a radiation pattern by applying an H-type coupl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comparing a radiation pattern with a characteristic mode 2 of a general band-type structure and a radiation pattern by applying two H-type coupl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pattern of modes 1 and 2 by implementing a MIMO system on a band-like structure using all of the H-type coupler structures applied in FIGS. 5 and 6.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ntenna having an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a band structure utilizing a characteristic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체의 특성모드 중 공진하는 모드인 모드 1(110), 모드 2(120)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모드(110) 및 제 2 모드(120)들은 밴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하게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distribution of mode 1 (110) and mode 2 (120), which are resonance modes, of characteristic modes of a general band structure.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mode 110 and the second mode 120 are strongly generated along the edge of the band.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밴드형 구조에 특성모드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모드들이 밴드 가장자리를 따라 생성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모드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안된 급전구조(coupling structure)이다.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haracteristic mode technique to a narrow band-lik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one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se where most modes are generated along a band edge, It is the proposed coupling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형 커플러 구조를 갖는 안테나(200)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한 H형 커플러 구조이다. 부연하면, 안테나(200)는 그라운드 기판(201)상에 H형 커플러(220)가 형성되는 밴드(210)가 배치된다. 이 H형 커플러(220)의 중간에는 패드(240)가 구성되다. H형 커플러(220)는 2개의 긴 제 1 및 제 2 슬롯(221,222), 상기 제 1 및 2 슬롯(221,222)의 중간을 횡으로 연결하는 제 3 슬롯(223)으로 형성된다.2 is a plan view of an antenna 200 having an H-type coupl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FIG. 2 shows a H-type coupler structure prop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ntenna 200 has a band 210 on which a H-type coupler 220 is formed on a ground substrate 201. A pad 24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 type coupler 220. The H type coupler 220 is formed of two long first and second slots 221 and 222 and a third slot 223 connecting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slots 221 and 222 in a transverse direction.

도 2에 도시된 안테나(200)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의 모드와 그 전기적 형태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해당 구조를 이용하면 밴드 표면에 존재하는 모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H형 커플러(220)의 중간을 가로질러 급전(feeding)하는 특성이 있는데 중간에 패드(240)를 두어 상용소자(lumped element)인 커패시터나 인덕터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연하면, 급전을 위한 급전부(230)가 구성된다.Since the antenna 200 shown in FIG. 2 has substantially the same electrical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general band-shaped structure shown in FIG. 1, a mode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band can be effectively used by using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feeding across the middle of the H-type coupler 220 shown in FIG. 2, and a pad 240 is placed in the middle to adjust the frequency by using a capacitor or an inductor, which is a lumped element. Or impedance matching. In other words, a feeding part 230 for feeding is constituted.

일반적으로, 특성모드는 임의의 전기적 구조체가 있을 때 특정 주파수 f 에 대해 구조체 표면에 생길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류분포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모드는 외부의 전원(source)과는 별개로 존재하며, 구조체 외부에서 인가(excite)한 전원과 그 전기적 형태가 가장 유사한 모드가 전체 모드들 중에서 가장 강하게 방사(radiation)된다.In general, the characteristic mode refers to any type of current distribution that can occur on a structure surface for a particular frequency f when there is an arbitrary electrical structure. This characteristic mode exists independently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mode most similar to the electric form of the excitation power source outside the structure is most strongly radiated in all the modes.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200)의 H형 커플러 구조가 생성하는 전류분포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류분포를 H형 커플러 구조의 좌우 외곽으로 생성하기 위해 해당 구조의 중심에 돌출된 급전부(230)로 이 급전부(230)는 - 입력부(310)와 + 입력부(320)로 구성된다. 이들 - 입력부(310)와 + 입력부(320)에 각각 +(입력신호)과 -(입력신호와 위상 180도 지연된 신호)를 급전한다. 급전부(230)의 패드(240)는 상용소자 등을 이용하여 임피던스 매칭할 수 있다.FIG. 3 is a view showing a current distribution pattern generated by the H-type coupler structure of the antenna 200 shown in FIG. 3, in order to generate the current distribution to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H-type coupler structure, the feeding part 230 protrudes to the center of the structure, and the feeding part 230 includes an input part 310 and a + input part 320 ). (Input signal) and - (a signal delayed 180 degrees in phase with the input signal) to the input-input unit 310 and the + input unit 320, respectively. The pad 240 of the power feeder 230 may be impedance-matched using a commercial device or the like.

도 4는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에 존재하는 모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형 커플러 구조의 급전부에 +와 ??로 서로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여기시키면 해당 구조는 H형 커플러 구조의 바깥부분을 따라 전류가 생성된다. 이는 가장자리를 따라 분포하는 밴드구조의 특성 모드와 일치하여 공진 모드를 여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밴드 자체를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구조체가 좀 더 간결(compact)해지면서도 통신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G. 4 is a view showing a mode form existing in a general band structure. Referring to FIG. 4, when a signal having a phase opposite to that of + and ?? is excited to the feeding part of the H type coupler structure, a current is generated along the outer part of the H type coupler structure. This allows excitation of the resonanc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band structure distributed along the edge. This means that the band itself can be used as an antenna,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structure can be made more compact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can be achieved.

도 5는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 1이 가진 방사패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형 커플러 구조를 적용하여 방사패턴을 생성한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H형 커플러 구조를 이용했을 때, 밴드형 구조의 모드 1의 방사패턴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방사패턴이 생성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밴드형 구조가 가진 공진모드를 효과적으로 인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G. 5 is a view comparing a radiation pattern of a characteristic mode 1 of a general band-type structure and a radiation pattern by applying an H-type coupl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when a H type coupler structure is used, it can be seen that a radiation pattern almost identical to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mode 1 of the band structure is generated. This effectively applies the resonance mode of the band structure .

도 6은 일반적인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 2가 가진 방사패턴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형 커플러 구조를 2개 적용하여 방사패턴을 생성한 것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H형 커플러 구조의 위치를 조정하면 모드 2를 생성할 수 있다.FIG. 6 is a diagram comparing a radiation pattern with a characteristic mode 2 of a general band-type structure and a radiation pattern by applying two H-type couple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mode 2 can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 type coupler structure.

도 7은 도 5와 도 6에서 적용한 H형 커플러 구조를 전부 사용하여 밴드형 구조 위에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을 구현하여 모드1과 2의 패턴을 생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응용하면 손쉽게 MIMO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전기장은 서로 직교하므로 간섭이 없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 pattern of modes 1 and 2 by implementing a multi-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on a band-like structure using all of the H-type coupler structures applied in FIG. 5 and FIG. Referring to FIG. 7, as shown in FIG. 6, a MIMO system can be easily configured by applying it. In this case, the respective electric field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ere is no interference.

200: 안테나
201: 그라운드 기판
210: 밴드
220: H형 커플러
221,222: 개구면
230: 급전부
240: 패드
310: - 입력부
320: + 입력부
200: antenna
201: Ground substrate
210: Band
220: H type coupler
221, 222:
230: Feeding part
240: Pad
310: - input
320: + input section

Claims (9)

그라운드 기판(201);
원하는 특성모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특성 모드와 유사한 모드를 생성해주는 상기 그라운드 기판(201)의 일측 평면상에 적층되며 급전부(230)를 위한 H형 커플러(220)를 갖는 밴드(210);
상기 H형 커플러의 중간에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형성되는 패드(240);를 포함하며,
상기 H형 커플러(220)는 상기 밴드(210)에 개구면(221,222)이 형성되는 슬롯 형상이고,
상기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상기 패드(240)에 상용소자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A ground substrate 201;
A band 210 stacked on one side of the ground substrate 201 for generating a mod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mode to generate a desired characteristic mode and having an H type coupler 220 for the feed part 230;
And a pad 24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type coupler for adjusting a frequency or for impedance matching,
The H-type coupler 220 has a slot shape in which opening surfaces 221 and 222 are formed in the band 210,
And a common element is coupled to the pad 240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r for impedance matching. The antenna having the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the band structur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평면 혹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band is planar or curved. ≪ RTI ID = 0.0 > 1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상기 H형 커플러의 급전 신호 위상을 조절하여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와 유사한 모드로 조정하여 원하는 모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ype coupler is adjusted to a mod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band-type structure, and a desired mode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phase of the feed signal of the H-type coupl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상기 H형 커플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밴드형 구조의 특성모드와 유사한 모드로 조정하여 원하는 모드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e is adjusted to a mod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mode of the band type structur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 type coupler, so that a desired mode is genera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의 대역은 상기 H형 커플러의 슬롯 형상 길이를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and of the frequency is adjusted by adjusting a slot shape length of the H type coup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형 커플러(220)의 위치는 변경되어 모드 2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osition of the H-type coupler 220 is changed to generate a mode 2. The H-shaped coupler according to claim 1,
그라운드 기판(201);
원하는 특성모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특성 모드와 유사한 모드를 생성해주며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그라운드 기판(201)의 일측 평면상에 적층되며 급전부(230)를 위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H형 커플러(220)를 갖는 밴드(210);
상기 H형 커플러의 중간에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형성되는 패드(240);를 포함하며,
상기 H형 커플러(220)는 상기 밴드(210)에 개구면(221,222)이 형성되는 슬롯 형상이고,
상기 주파수를 조정하거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상기 패드(240)에 상용소자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 모드를 활용한 밴드 구조에 특화된 H형 커플러를 갖는 안테나.
A ground substrate 201;
And generates a mod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 mode in order to generate a desired characteristic mode and is stacked on one side plane of the ground substrate 201 to form a multi input multiple output (MIMO) A band 210 having a plurality of H-shaped couplers 220 disposed at intervals;
And a pad 240 formed in the middle of the H-type coupler for adjusting a frequency or for impedance matching,
The H-type coupler 220 has a slot shape in which opening surfaces 221 and 222 are formed in the band 210,
And a common element is coupled to the pad 240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r for impedance matching. The antenna having the H-type coupler specialized in the band structur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mode.
KR1020160057998A 2016-05-12 2016-05-12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KR1017758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98A KR101775828B1 (en) 2016-05-12 2016-05-12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98A KR101775828B1 (en) 2016-05-12 2016-05-12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828B1 true KR101775828B1 (en) 2017-09-11

Family

ID=5992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998A KR101775828B1 (en) 2016-05-12 2016-05-12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82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0762A (en) * 2006-08-30 2008-03-13 Yokowo Co Ltd Feeding structure of antenn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0762A (en) * 2006-08-30 2008-03-13 Yokowo Co Ltd Feeding structure of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9963B2 (en) Antenna system
US10270170B2 (en) Compound loop antenna system with isolation frequency agility
US9496614B2 (en) Antenna system using capacitively coupled compound loop antennas with antenna isolation provision
JP4131976B2 (en) Compact ultra-wideband antenna with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9077081B2 (en) Multi-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118975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in a waveguide-based spatial power combiner
US20110298666A1 (en) Mimo antenna having parasitic elements
US8674881B2 (en) Antenna apparatus
US5442367A (en) Printed antenna with strip and slot radiators
WO2013015264A1 (en) Antenna apparatus
US9509062B2 (en) Alford loop antennas with parasitic elements
US10651548B2 (en) Substrate antenna
US20150155636A1 (en) Dual antenna system
KR101675790B1 (en) Quasi yagi antenna and broad-direction circular polarization generating antenna by using quasi yagi antenna
Dardeer et al. 2× 2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rray for RF energy harvesting in IoT system
KR101775828B1 (en) Antenna having H type coupler specialized for band structure using Characteristic Mode
CN108417984B (en) Balanced dipole unit and broadband omnidirectional collinear array antenna
US20190199138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patch antenna
Chouhan et al. Dual band compact antenna with series of hexagonal cut and coupling structure for isolation enhancement
KR102415784B1 (en) A microstrip antenna an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ar signal with the antenna
JP5858844B2 (en) Antenna device
JP2022532392A (en) Dual polarization antenna with shift series feeding
Rifi et al. Switched beam smart antenna based on a planar 4x4 butler matrix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t 5.8 GHz
US9793614B1 (en) Miniature patch antenna
Dardeer et al. 2× 2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array with equal phases for RF energy harvesting in Io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