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549B1 -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549B1
KR101774549B1 KR1020160081042A KR20160081042A KR101774549B1 KR 101774549 B1 KR101774549 B1 KR 101774549B1 KR 1020160081042 A KR1020160081042 A KR 1020160081042A KR 20160081042 A KR20160081042 A KR 20160081042A KR 101774549 B1 KR101774549 B1 KR 10177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hand
feature
points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진
안영샘
이연홍
이한별
주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팀엘리시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팀엘리시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팀엘리시움
Priority to KR102016008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5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2Devices for locating such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G06K9/0038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Hand-related biometrics; Hand pos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cognizing an acupuncture point, a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and provides a device for recognizing an acupuncture point, a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wherein the device for recognizing an acupuncture point compris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hand, and a control unit which derives a contour point from a hand image of the hand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detects a first feature point which is a fingertip point of the hand from the derived contour point, a second feature point which is a point between the fingers of the hand, third feature points which are both end points of the wrist wrinkle of the hand, and fourth feature points which are both side points of the finger of the hand,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eature points.

Description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cognizing a drooping point, a method for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은 경혈점 인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의 이미지로부터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a hand of acupress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hand of acupressure from an image of a hand, a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수지침 또는 고려수지침은 1971년경 유태우에 의하여 연구, 발표된 민간요법으로서 수지침을 연구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고려수지요법학회는 전국 160개 지부를 통하여 전국에 걸쳐 수지침을 통한 의료봉사활동을 하고 있으며, 수지침시술은 누구나 쉽게 배워 스스로를 진단하여 자신의 손에 시술할 수 있어 우리 사회에 민간요법으로서 광범위하게 행하여지고 있다. 현재까지 "수지침으로 인한 부작용 내지 위험발생 가능성은 명백하게 입증되지 않고 있는 반면 민간요법으로서의 효력은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수지침은 손의 경혈점을 찾아 그 부분을 침으로 자극하거나, 침을 꽂는 것으로 정확한 경혈점의 위치를 아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The Korean Society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which is a group of people studying sujcheonggi as a folk remedy studied and published by Yoo Tae Woo around 1971, It is widely practiced as a folk medicine in our society because anyone can easily learn the procedure and diagnose himself and practice it in his own hands. Until now, the possibility of side effects or risks due to hydronephrosis has not been clearly proven, while the efficacy as a folk remedy has been universally acknowledged.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acupoint by stimulating the part of the hand with acupuncture points or by putting a needle.

특허공개 제2012-0083583호 체형에 따른 경혈점 위치 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혈점 자극기기Patent Publication No. 2012-0083583 Method of Tracking Acupoint Points According to Human Body Types and Acupuncture Stim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전문가가 손쉽게 손에 있는 경혈점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allowing a non-specialist to easily recognize the acupoint at the hand, a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는 손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손을 촬영한 손 이미지로부터 윤곽점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윤곽점으로부터 상기 손의 손가락 끝 점인 제1 특징점, 상기 손의 손가락 사이 점인 제2 특징점, 상기 손의 손목 주름의 양끝 점인 제3 특징점 및 상기 손의 손가락 양측점인 제4 특징점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특징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acupoint,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hand; a camera unit for deriving contour points from a hand image of the hand, A second feature point being a point between the fingers of the hand, a third feature point being both ends of the wrist fold of the hand, and a fourth feature point being both sides of the finger of the hand are detected from the derived contour point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eature point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는 손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손을 촬영한 손 이미지로부터 윤곽점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윤곽점으로부터 손 이미지 내의 소정 위치를 제1 특징점, 제2 특징점, 제3 특징점 및 제4 특징점을 포함하는 특징점들을 특정하고, 상기 특징점들 및 상기 특징점들 중 2 이상의 특징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acupoint,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hand; a camera unit for deriving contour points from a hand image of the hand, A feature point including a first feature point, a second feature point, a third feature point, and a fourth feature point is determined as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and image from the derived contour point,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eature points and two or more of the feature points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acupressure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 이미지로부터 피부 영역과 배경 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피부 영역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픽셀을 윤곽점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specifies a skin region and a background region from the hand image and derives a pixel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pecified skin region as a contour poi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윤곽점을 모두 포함하면서 최대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을 구하고,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중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꼭지점을 상기 제1 특징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ler obtains a polygon having a maximum area including all of the contour points and detects a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rtices of the polygon as the first feature poi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특징점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특징점과 상기 2개의 제1 특징점 사이의 윤곽점을 모두 포함하면서 면적이 최대인 다각형을 구하고, 상기 면적인 최대인 다격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 특징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 unit obtains a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including both contour points between two neighboring first feature points and the first feature points of the first feature points, And selects one of the first feature point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영역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피부 영역을 가로지는 수평선의 길이를 순차로 측정하여 길이의 변화율이 소정값 미만이 유지되는 소정의 구간을 구하고, 상기 소정의 구간 내에서 피부 영역의 폭을 구하여 피부 영역의 폭이 가장 좁은 위치를 손목 주름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손목 주름에서 양 끝 점을 제3 특징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ntroller sequentially measures the length of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skin reg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kin region to obta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length is kept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skin area is the narrowest is determined as the wrinkles of the wrist, and both end points of the determined wrist wrinkles are detected as the third feature point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손을 촬영한 손 이미지의 피부 영역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픽셀을 윤곽점으로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윤곽점으로부터 상기 손의 손가락 끝 점인 제1 특징점, 상기 손의 손가락 사이 점인 제2 특징점, 상기 손의 손목 주름의 양끝 점인 제3 특징점 및 상기 손의 손가락 양측점인 제4 특징점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특징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n acupressure point, comprising: deriving, as a contour point, a pixel located at an outermost portion of a skin region of a hand image of a hand; Detecting a fourth feature point that is a point on the fingertip of the hand, a second feature point that is a point between the fingers of the hand, a third feature point that is both ends of the wrist fold of the hand, and both sides of the finger of the hand from the contour point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eature point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손을 촬영한 손 이미지의 피부 영역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픽셀을 윤곽점으로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윤곽점으로부터 손 이미지 내의 소정 위치를 제1 특징점, 제2 특징점, 제3 특징점 및 제4 특징점을 포함하는 특징점들을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특징점들 및 상기 특징점들 중 2 이상의 특징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n acupressure point, comprising: deriving, as a contour point, a pixel located at an outermost portion of a skin region of a hand image of a hand; Determining a feature point including a first feature point, a second feature point, a third feature point, and a fourth feature poin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and image from a contour point that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or more of the feature points and the feature points;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n application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n acupressure poi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본 발명에 따르면, 한의사가 아닌 일반 사람이 손에 있는 경혈점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hat enables a general person other than a Chinese medicine doctor to easily recognize the acupoint at the han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acupressur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17 are examples of a screen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n particular,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본 발명은 한의학에서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경혈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다양한 특징점들을 추출 혹은 특정하고, 이러한 특징점들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경혈점을 검출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경혈점을 찾기 위해 손의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할 것이며, 따라서 전술한 특징점 및 경혈점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픽셀(Pixel)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점"은 경혈점 혹은 특징점과 같이 "XX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 "점"은 디지털 이미지, 혹은 어느 하나의 디지털 이미지의 특정 영역 내의 픽셀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XX점"을 '인식'하거나, '검출'하거나, '특정'하거나, '도출'한다는 것의 의미는 해당하는 이미지에서의 해당 점의 픽셀 좌표를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점의 픽셀 좌표와 함께 해당 점의 명칭, 기능 및 작용이 해당 점과 같이 매핑되어 저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인식되거나, 검출되거나, 특정되거나, 도출된 점은 해당 점의 기능 및 작용에 따라 저장매체로부터 지속적으로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전술한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저장매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부가 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used for treatment in Oriental medicin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xtracts or specifies various feature points, and detects acupoints according to predetermined rule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will use a digital image of a hand to find a point of acupressure, and thus the above-described feature points and acupoints can basically be one pixel. The term "point" us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XX point" The term " dot "refers to a digital image, or a pixel within a specific area of either digital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ing of "recognizing", "detecting", "specifying" or "deriving" the "point XX" means that the pixe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 in the corresponding image are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means that the name, function and action of the point along with the pixel coordinates of the point are mapped and stored as the corresponding point. Accordingly, the points recognized, detected, specified, or derived can be continuously invoked from the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act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s, and can be used. A storage medium such as the above-mentioned memory, storage, or the like can be a storage unit described below.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이하, '사용자 장치'로 칭함: 100)는 카메라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storage unit 140, 150).

카메라부(1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카메라부(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외선 발광 모듈(IR light), 깊이 이미지 센서 및 컬러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컬러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CCD(Charged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발광 모듈은 픽셀 단위로 적외선을 발산한다. 깊이 이미지 센서는 적외선 발광 모듈이 픽셀 단위로 발산한 적외선을 입력받아, 적외선이 피사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거리(혹은 깊이로 표현되기도 함)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피사체의 각 픽셀에 대해 3차원 좌표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110)의 적외선 발광 모듈(IR light), 깊이 이미지 센서 및 컬러 이미지 센서의 대표적인 예로, 키넥트 센서(Kinect sensor)를 예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디지털 수열로 변환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10 is for capturing an image, particularly for capturing an action of a user. Although not shown, the camera unit 110 includ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module (IR light), a depth image sensor, and a color image sensor. The color image sensor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and converts the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The color image sensor can be implemented based on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The infrared light emitting module emits infrared rays in pixel units. The depth image sensor receives the infrared rays emitted by the infrared light emitting module in pixel units, and measures the distance (or depth) that the infrared ray reflects from the objec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can deriv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each pixel of the su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module (IR light), the depth image sensor, and the color image sensor of the camera unit 110 may be a Kinect sensor. The camera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camera unit 110 may convert an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into a digital sequence and output the digital sequence to the controller 150.

입력부(120)는 사용자 장치(100)의 각 종 기능,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특수키,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의 기능은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13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20 receives a user's key operation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perations, and the like of the user device 100, generates an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The input unit 120 may illustrate a special key, a keypad, a keyboard, a mouse, a trackball,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key,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nd a direction key for power on / off. The function of the input unit 120 may be performed in the display unit 130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may be omitted if the display unit 130 can perform all functions only have.

표시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사용자 장치(10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2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0 may receive data for screen display from the control unit 150 and display the received data on a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can visually provide menus, data,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other information of the user apparatus 100 to the user.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formed by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unit 120 may be performed instead.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저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스토리지, 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의 부팅(booting) 및 운영(operation)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various kinds of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apparatus 100, applications, and various kind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user apparatus 100. 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storage unit, a memory unit,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and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100 and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kind of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can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제어부(15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user device 100 and may perform a data processing function of processing the data. The controller 15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a GPU (Graphic Processing Unit), or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충전용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 혹은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디지털 음원 재생을 위한 MP3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us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edium inserting unit for inserting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to store data, a connection terminal for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igital device, , And a charging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units having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an audio processing unit for inputting 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hrough a microphone and a speaker, or an MP3 module for reproducing a digital sound source. Although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the digital device, the u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unit of the same level as the above-mentioned uni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사용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acupuncture point using the above-described user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acupressur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17 are examples of a screen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부(120) 혹은 표시부(130)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150)는 S110 단계에서 카메라부(110)를 통해 경혈점을 찾고자 하는 대상의 손을 촬영하여 손을 포함하는 이미지(이하, '손 이미지'로 축약)를 얻는다. 여기서, 손 이미지는 손과 그 주변 배경을 포함한다. 2, in response to a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0 or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 unit 150 photographs the hand of a target to be searched for the myocardial point through the camera unit 110 in step S110, (Hereinafter abbreviated as "hand image"). Here, the hand image includes the hand and its surrounding background.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S120 단계에서 손을 포함하는 이미지로부터 피부 영역과 배경 영역을 특정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의 (a)는 손 이미지를 나타내며, 이러한 손 이미지로부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영역만을 검출하여 피부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피부 영역이 특정되면 나머지 영역은 모두 배경 영역으로 특정한다. 보다 상세히 S120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어부(150)가 앞서 얻은 손 이미지는 하나의 프레임이며, 손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RGB 좌표계를 사용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손 이미지의 모든 픽셀의 픽셀값을 RGB 좌표계에서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HSV 좌표계로 변환시킨다. Next, the controller 150 specifies the skin region and the background region from the image including the hand in step S120.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3 (a) shows a hand image. From the hand image, as shown in FIG. 3 (b), only the skin region can be detected to specify the skin region. When the skin region is specified, all remaining regions are specified as background regions. In more detail, in step S120, the hand image obtained by the controller 150 is one frame, and the hand image basically uses the RGB coordinate system. First, the controller 150 converts the pixel values of all the pixels of the hand image into the HSV coordinate system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in the RGB coordinate system.

Figure 112016062566679-pat00001
Figure 112016062566679-pat00001

HSV 좌표계는 RGB 좌표계를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Value)의 형태로 변형시킨 것으로 색상은 빨강에서 보라색까지 0~360 범위로 구성된다. 채도는 각 색상의 진하기 정도를 0~100의 범위로 표현한 형태로 0에 가까울수록 무채색에서 100에 가까울수록 진해진다. 명도는 색상의 밝기를 0~100의 범위로 표현한 형태로 0을 검정으로 하여 100의 흰색에 이르기까지의 밝기 정도를 나타낸다. HSV 좌표계를 사용하면 영상에서 원하는 색만을 검출 할 수 있는데 단일 색이 아닌 범위 안에 포함되는 색을 검색해 주기 때문에 조도 및 노이즈 환경에서도 높은 검출율을 나타낸다. 또한 모든 사람은 공통적으로 붉은색 계열의 색을 포함하기 때문에 황인, 백인, 흑인의 피부색에 상관없이 피부를 검출 할 수 있어 RGB 좌표계보다 피부 영역 검출에 유리하다. 따라서 RGB 좌표계에서 HSV 좌표계로부터 변환된 손 이미지를 통해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색, 즉, HSV 좌표계에서 피부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HSV 값을 이용하여 손 이미지에서 피부 영역인 손 영역을 특정한다. The HSV coordinate system transforms the RGB coordinate system into Hue, Saturation, and Value, and the color ranges from 0 to 360 from red to purple. Saturation is a form in which the degree of intensity of each color is expressed in the range of 0 to 100, and the closer to 0, the darker the closer to 100 from achromatic. Brightness is a form in which the brightness of a color is expressed in a range of 0 to 100, and 0 is a blackness, and indicates the degree of brightness from 100 to white. Using the HSV coordinate system, only the desired color can be detected in the image. Since it searches for colors included in a range other than a single color, it shows a high detection rate even in the illuminance and noise environments. In addition, since all people commonly include red color, it is possible to detect skin regardless of skin color of yellow, white and black, which is advantageous for detecting skin area than RGB coordinate system.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a hand region, which is a skin region, in the hand image by using a preset HSV value for detecting a skin region in a predetermined color, i.e., an HSV coordinate system, through the hand image transformed from the HSV coordinate system in the RGB coordinate system do.

다음으로, 피부 영역이 특정되면, 제어부(150)는 S130 단계에서 피부 영역, 즉, 손 영역에서 손의 윤곽점(40)을 추출한다. Next, when the skin region is specified, the controller 150 extracts the contour point 40 of the hand from the skin region, i.e., the hand region, in step S130.

이러한 화면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점(40)은 손 영역의 외곽을 이루는 복수의 점들이다. 제어부(150)는 손의 윤곽점(40)을 추출할 수 있다.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contour point 40 is a plurality of points that form the periphery of the hand region. The control unit 150 can extract the contour point 40 of the hand.

제어부(130)는 피부 영역, 즉, 손 영역에 존재하는 임의의 어느 한 점에서 시작하여 8방의 외곽에 위치한 점을 찾는 방식으로 점차 범위를 늘려가며 손 영역을 벗어나기 바로 이전까지 외곽점을 찾는 것을 반복하여, 윤곽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피부 영역(손 영역)의 어느 한 점(픽셀)에서 시작하여 그 점의 8방의 외곽에 위치한 점(픽셀)을 추출하고, 다시, 추출된 점으로부터 8방의 외곽에 위치한 점을 추출한다. 이런 식으로 전체 피부 영역에서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점을 추출할 때까지 외곽의 점을 추출하는 것을 반복한 후, 피부 영역에서 가장 외곽에 존재하는 점을 윤곽점으로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130 gradually increases the range starting from any one point existing in the skin region, i.e., the hand region, and locates a point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eight rooms, and finds the outer point immediately before leaving the hand region Repeatedly, contour points can be obtained.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a point (pixel)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ight points of the point starting from one point (pixel) of the skin region (hand region) Points are extracted. In this way, the extraction of the outermost point is repeated until the outermost point in the entire skin area is extracted, and then the outermost point in the skin area is determined as the contour point.

이러한 윤곽점 도출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손 이미지의 일부를 픽셀 단위로 표현한 것이며, 픽셀 좌표 (701, 678)부터 (709, 686)까지의 픽셀을 도시하였다. P1 내지 P7로 표시된 픽셀은 피부 영역, 즉, 손 영역의 픽셀을 나타내며, E로 표시된 부분은 배경 영역의 픽셀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피부 영역, 즉, 손 영역에 존재하는 임의의 어느 한 점(픽셀) P1부터 시작하여, 배경 영역의 픽셀(E)이 나오기 이전까지 외곽점을 찾아 점차 범위를 늘려간다. 예컨대, P1의 외곽 8방에 있는 P2를 찾은 후, 다시 8개의 P2 각각의 8방에 위치하는 P3를 찾는 식으로, P1→P2→P3→P4→P5→P6→P7 순서로 점차 범위를 늘려가다가 배경 영역의 점(픽셀)이 나오면, 배경 영역이 나오기 바로 이전의 픽셀을 윤곽점으로 결정한다. The contour point deriv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5 shows a part of a hand image in pixel units, and shows pixels from pixel coordinates 701 and 678 to 709 and 686. FIG. The pixels denoted by P1 to P7 denote pixels of the skin region, i.e., a hand region, and portions denoted by E denote pixels of the background region. The control unit 130 searches for an outer edge point and increases the gradual range until a pixel E of the background area starts from any one point (pixel) P1 existing in the skin area, i.e., the hand area. For example, after P2 in the outer 8 room of P1 is found, the range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order of P1 → P2 → P3 → P4 → P5 → P6 → P7 by finding P3 located in 8 rooms of each of the 8 P2 When a point (pixel) of the background area comes out, the pixel immediately before the background area is determined as the contour point.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S140 단계에서 손가락 끝에 위치하는 점, 즉, 손가락 끝 점인 제1 특징점을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먼저, 앞서 구한 윤곽점(40) 중 복수의 점을 선택하여 선택된 복수의 점을 연결하는 다각형이 최대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을 구하고, 구해진 다각형의 꼭지점을 도출한다. 윤곽점(40)을 연결하여 형성된 다각형이 최대 면적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각형 내에 윤곽점(40)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control unit 150 extracts a first feature point that is a point located on the fingertip, that is, a fingertip point in step S140. To this end, the controller 150 first obtains a polygon having a maximum area of a polygon connecting a plurality of selected points by selecting a plurality of points out of the previously obtained contour points 40, and derives the vertices of the obtained polygon. In order for the polygon formed by connecting the contour points 40 to have the maximum area, all of the contour points 40 must be included in the polygo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i) 도 6의 (l), (m) 및 (n)에 보인 바와 같이, 윤곽점(40) 중 복수의 점을 선택하여 선택된 복수의 점을 연결하는 다각형을 형성한다. (i) As shown in (l), (m) and (n) of FIG. 6, a plurality of points out of the contour points 40 are selected to form a polygon connecting the selected plurality of points.

(ii) 도 6의 (l), (m) 및 (n)에 보인 바와 같이, 형성된 다각형의 면적을 구한다. (ii) As shown in Figs. 6 (1), 6 (m) and 6 (n), the area of the formed polygon is found.

(iii) 도 6의 (l), (m) 및 (n)에 보인 바와 같이, 다각형의 면적이 최대가 될 때까지 복수의 점의 선택을 변경하여 전술한 (i) 및 (ii) 과정을 반복한다. (iii) As shown in FIGS. 6 (1), 6 (m) and 6 (n), the selection of a plurality of points is changed until the area of the polygon becomes the maximum, Repeat.

(iv) 도 6의 (n)과 같이, 면적이 최대가 되는 다각형을 구하면, 그 다각형의 꼭지점 및 그 꼭지점의 좌표를 도출한다. (iv) As shown in FIG. 6 (n), when the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is obtained, the vertex of the polyg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vertex are derived.

이어서, 제어부(150)는 앞서 구해진 다각형의 꼭지점 좌표(즉, 다각형의 꼭지점의 픽셀 좌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다각형의 꼭지점 중 하나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하나의 꼭지점을 선택하여 손가락 끝 점, 즉, 제1 특징점을 도출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n, the control unit 150 selects one vertex corresponding to one of the vertexes of the polygon according to a preset rule us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polygon (i.e.,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vertex of the polygon) That is, a first feature poin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가) 먼저, 제어부(150)는 손가락이 손 이미지의 위쪽을 향하는 것을 가정했을 때, 다각형의 꼭지점의 좌표(X, Y)의 Y값이 소정값(y1) 미만을 가지는 복수의 꼭지점을 구한다. 손가락이 손 이미지의 위쪽을 향하는 것을 가정했을 때, 손가락 끝에 위치한 꼭지점들은 나머지 꼭지점에 비해 그 좌표값의 Y값이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먼저, 꼭지점 좌표(X, Y)의 Y값(즉, 소정값=y1)을 기준으로 복수의 꼭지점 중 일부를 선택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8의 (j)에 도시하였다. 도 8의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꼭지점의 좌표(X, Y)의 Y값이 소정값(y1) 미만을 가지는 복수의 꼭지점으로 꼭지점 A, B, C, D, E, F, G, H, I, J 및 K가 도출되었다. (A) First, the control unit 150 obtains a plurality of vertexes having a Y value of the coordinates (X, Y) of the vertexes of the polygon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y1, assuming that the finger is directed upward of the hand image . Assuming that the finger is pointing upward of the hand image, the vertices positioned at the fingertip will have a smaller Y value than the rest vertices.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first selects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based on the Y value of the vertex coordinates (X, Y) (i.e., the predetermined value = y1).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8 (j). B, C, D, E, F (x, y) of the vertexes of the vertices of the polygon having the Y value of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y1 as shown in Fig. 8 (j) , G, H, I, J and K were derived.

(나)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도출된 꼭지점, 즉, 꼭지점 A, B, C, D, E, F, G, H, I, J 및 K 중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하나의 꼭지점을 손가락 끝 점으로 선택하여, 제1 특징점을 추출한다. (B) Next, the control unit 150 assigns one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of the derived vertexes, that is, vertices A, B, C, D, E, F, G, H, I, End point, and extracts the first feature point.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대응하여 손가락 끝 점이 될 수 있는 꼭지점들은 상호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이 된다. 예컨대, 도 7의 (j)에 보인 바와 같이, 검지의 손가락 끝 점이 될 수 있는 꼭지점은 D와 E이며, 꼭지점 D와 E는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즉, 2cm 미만 이격된다. 하지만, 나머지 꼭지점들은 꼭지점 D 혹은 E와 2cm 이상 이격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꼭지점의 좌표(X, Y)의 Y값이 소정값(y1) 미만을 가지는 복수의 꼭지점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꼭지점 혹은 가장 오른쪽에 있는 꼭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꼭지점 간의 거리를 구하여 구해진 꼭지점 간의 거리에 따라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을 도출한다. 예컨대, 도 7의 (j)를 참조하면, 가장 왼쪽에 있는 꼭지점 A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웃하는 꼭지점 간의 거리를 구하여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을 도출할 수 있다. 즉, 꼭지점 A와 B는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으며, 반면, 꼭지점 B와 C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었으며, 또한, 꼭지점 C와 D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다. 따라서 꼭지점 B, C가 엄지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꼭지점 C와 D는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으며, 반면, 꼭지점 D와 E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었으며, 또한, 꼭지점 E와 F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다. 따라서 꼭지점 D, E가 검지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꼭지점 E와 F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고, 꼭지점 F와 G 또한 상호 간의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꼭지점 F가 중지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꼭지점 F와 G는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으며, 반면, 꼭지점 G와 H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었으며, 또한, 꼭지점 H와 I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다. 따라서 꼭지점 G, H가 검지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꼭지점 H와 I는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으며, 반면, 꼭지점 I와 J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었으며, 또한, 꼭지점 J와 K는 상호 간의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었다. 따라서 꼭지점 I, J가 소지에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꼭지점 B, C는 엄지에 대응하며, 꼭지점 D, E는 검지에 대응하고, 꼭지점 F는 중지에 대응하며, 꼭지점 G, H는 약지에 대응하고, 꼭지점 I, J는 소지에 대응한다. The vertexes that can be fingertip points corresponding to any one finger are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j), the vertices that can be fingertip points of the index are D and E, and the vertexes D and 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less than 2 cm. However, the remaining vertices are separated by more than 2 cm from vertex D or E. Therefore,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vertex of the vertex has a Y value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y1 from the leftmost vertex or the rightmost vertex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is deriv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vertexe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j), a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can be derived by obtaining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vertexes sequenti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leftmost vertex A. That is, the vertexes A and 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 vertices B and 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vertexes C and 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es B and C correspond to the thumb. Similarly, the vertexes C and D we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 vertices D and E we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vertexes E and F we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ertexes D and E correspond to the index finger. 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vertexes E and 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vertexes F and 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ertex F corresponds to the stop. The vertexes F and 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 vertices G and 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the vertices H and I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es G and H correspond to the index finger. Finally, vertexes H and I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vertices I and J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vertexes J and K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es I and J correspond to the possession. Summarizing, the vertices B and C correspond to the thumb, the vertices D and E correspond to the detection, the vertex F corresponds to the stop, the vertices G and H correspond to the ring finger, and the vertices I and J correspond to the hand .

꼭지점 간의 거리에 따라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을 도출한 후,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손가락 끝 점, 즉, 제1 특징점으로 선택한다. 즉, 제어부(150)는 도 7의 (k)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하나의 꼭지점을 선택하고, 나머지 꼭지점은 소거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규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이 1개인 경우, 해당 꼭지점을 손가락 끝 점, 즉, 제1 특징점으로 선택한다. 예컨대, 도 7의 (j)에 따르면, 중지에 대응하는 꼭지점은 꼭지점 F이기 때문에 꼭지점 F가 제1 특징점이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꼭지점 중 꼭지점 좌표의 Y값이 가장 작은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꼭지점 B, C 중 C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꼭지점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꼭지점 중 중앙에 위치한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꼭지점의 수가 홀수이면, 중앙에 위치한 꼭지점은 하나이기 때문에 해당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꼭지점이 3개인 경우, 2번째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꼭지점이 짝수인 경우, 복수의 꼭지점 중 중앙에 위치한 꼭지점은 2개이다. 이러한 경우, 중지와 가까운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꼭지점 D, E 중 E를 선택하며, 꼭지점 G, H 중 G를 선택할 수 있다. After deriving at least one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vertices, the controller 150 selects one of the vertices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as a fingertip, that is, a first feature point do. That is, as shown in (k) of FIG. 7, the controller 150 selects one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and erases the remaining vertices. In this way, the controller 150 selects a rule for selecting one of the vertices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If there is one vertex corresponding to one of the fingers, the controller 150 selects the vertex as the fingertip, i.e., the first feature point. For example, according to (j) of FIG. 7, since the vertex corresponding to the stop is the vertex F, the vertex F becomes the first feature poi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ertices corresponding to one finger, the controller 150 can select a vertex having the smallest Y value of vertex coordinates among a plurality of vertices. For example, C of the vertices B and C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vertices corresponding to one finger are plural, the controller 150 can select a vertex located at the center among the plurality of vertices.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vertexes is odd, since the vertex located at the center is one, the vertex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f there are three vertices, the second vertex can be sel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vertexes are even, the vertexe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re two. In this case, you can select a vertex close to the stop. For example, E of the vertexes D and E can be selected, and G of the vertexes G and H can be selected.

(다) 이와 같이,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하나의 꼭지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꼭지점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손가락 끝 점, 즉, 제1 특징점 T1, T2, T3, T4 및 T5가 된다. (C) If one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finger is selected, the selected vertex becomes the fingertip point, i.e., the first feature points T1, T2, T3, T4 and T5,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S150 단계에서 손가락 끝 점, 즉, 제1 특징점을 기초로 손가락 사이점인 제2 특징점을 추출한다. 손가락 사이점은 서로 이웃하는 손가락 사이의 골자기에 위치하는 점이며, 도 9의 V2와 같다. 이때, 제어부(150)는 먼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특징점과 2개의 제1 특징점 사이의 윤곽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점과 2개의 제1 특징점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면적이 최대가 되는 다각형을 구한다. 이때, 다각형의 면적이 최대가 되려면 그 다각형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특징점과 2개의 제1 특징점 사이의 윤곽점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면적인 최대인 다격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 특징점으로 추출한다. Next, in step S150, the controller 150 extracts a second feature point that is a fingertip point, that is, a point between fingers based on the first feature point. The point between the fingers is a point located in the bone between adjacent fingers, and is the same as V2 in Fig.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firstly selects at least one point out of contour points between two neighboring first feature points and two first feature points, and calculates the area of the polygon connecting the selected point and the two first feature points Obtain the polygon that becomes the maximum. At this time, in order to maximize the area of the polygon, the polygon should include both contour points between two neighboring first feature points and two first feature points. Then, the controller 150 selects one of the vertexes of the largest polyhedron, and extracts the selected vertexes as the second feature point.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 도 9의 (x)에 보인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손가락 끝 점(제1 특징점), 예컨대, T2, T3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피부 영역을 관통하도록 하는 2개의 직선을 형성하고, T2, T3에서 수직으로 내린 2개의 수직선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손가락 끝 점(예컨대, T2, T3)을 연결하는 직선, 및 픽셀 좌표의 Y값이 소정값(=y2)을 가지는 직선으로 구역을 제한한다. (i) As shown in FIG. 9 (x), two straight lines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skin reg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wo neighboring fingertip points (first characteristic points), for example, T2 and T3, T2, and T3, a straight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fingertip points (e.g., T2, T3),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adjacent fingertip points (e.g., T2, T3) .

(ii) 도 9의 (x), (y) 및 (z)에 보인 바와 같이, 제한된 구역 내의 윤곽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손가락 끝 점(제1 특징점) 및 선택된 점을 연결하는 다각형을 형성한다. (ii) As shown in (x), (y), and (z) in FIG. 9, at least one of the contour points in the limited area is selected and two adjacent fingertip points (first feature point) Forming a connecting polygon.

(iii) 도 9의 (x), (y) 및 (z)에 보인 바와 같이, 형성된 다각형의 면적을 구한다. (iii) As shown in (x), (y) and (z) in FIG. 9, the area of the formed polygon is found.

(iii) 도 9의 (x), (y) 및 (z)에 보인 바와 같이, 다각형의 면적이 최대가 될 때까지 점의 선택을 변경하여 전술한 (ii) 및 (iii) 과정을 반복한다. (iii) As shown in (x), (y) and (z) in FIG. 9, the above-described steps (ii) and (iii) are repeated by changing the selection of the point until the area of the polygon becomes the maximum .

(iv) 도 9의 (z)과 같이, 면적이 최대가 되는 다각형을 구하면, 그 다각형의 꼭지점 및 그 꼭지점의 좌표를 도출한다. (iv) When a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is obtained as shown in (z) of FIG. 9, the vertex of the polyg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vertex are derived.

이어서, 제어부(150)는 앞서 구해진 다각형의 꼭지점 좌표(즉, 다각형의 꼭지점의 픽셀 좌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다각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을 선택하여 손가락 사이 점, 즉, 제2 특징점을 도출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n, the controller 150 selects one of the vertexes of the polygon according to a predefined rule using the vertex coordinates of the polygon (i.e., the pixel coordinates of the vertex of the polygon) Derive minutiae point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가) 먼저, 손가락 끝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손가락 사이점을 위해 구해진 다각형이 아래로 볼록한 형상임을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다각형의 꼭지점의 좌표(X, Y)의 Y값이 소정값(y3) 이상인 복수의 꼭지점을 구한다. (A) First, assume that the polygon obtained for the point between the fingers is convex downward because the fingertip faces upwar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obtains a plurality of vertexes whose Y values of the coordinates (X, Y) of the vertexes of the polygon ar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y3.

손가락 사이점을 구하기 위한 다각형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구하고자 하는 손가락 사이점이 될 수 있는 꼭지점들은 다른 꼭지점들에 비해 그 좌표값의 Y값이 클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먼저, 꼭지점 좌표(X, Y)의 Y값(즉, 소정값=y3)을 기준으로 복수의 꼭지점 중 일부를 선택한다. Since the polygon for obtaining the point between the fingers has a convex shape downward, the vertexes which can be the points between the fingers to be sought will have a larger Y value than the other vertices.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first selects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based on the Y value (i.e., the predetermined value = y3) of the vertex coordinates (X, Y).

(나)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선택된 꼭지점 중 하나의 꼭지점을 손가락 사이점으로 선택하여, 제2 특징점을 추출한다. (B) Next, the controller 150 selects a vertex of one of the selected vertices as a point between fingers, and extracts the second feature poi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꼭지점의 좌표(X, Y)의 Y값이 소정값(y3) 이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 중 픽셀 좌표의 Y값이 가장 큰 꼭지점을 손가락 사이점, 즉, 제2 특징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may set the vertex having the largest Y value of the pixel coordinates among the at least one vertex having the Y value of the vertex coordinates (X, Y) That is, the second feature point can be selected.

한편, 전술한 손가락 끝 점을 구할 때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사이점이 될 수 있는 꼭지점들이 복수인 경우 손가락 사이의 형상으로 인해 상호간에 소정 거리 미만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따라서 제어부(150)는 꼭지점의 좌표(X, Y)의 Y값이 소정값(y3) 이상을 가지는 복수의 꼭지점에서 이웃하는 꼭지점 간의 거리를 구한 후,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이 복수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제2 특징점으로 선택하고, 나머지 꼭지점은 소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case of obtaining the aforementioned fingertip poi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ertexes that can be points between fingers,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due to the shape between the fingers. Theref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may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vertexes at a plurality of vertices having a Y value of the coordinates (X, Y) of the vertex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y3 or more, Can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ertexe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the second feature point and erase the remaining vertexes.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이 복수의 꼭지점 중 중앙에 위치한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꼭지점의 수가 홀수이면, 중앙에 위치한 꼭지점은 하나이기 때문에 해당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꼭지점이 3개인 경우, 2번째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꼭지점이 짝수인 경우, 복수의 꼭지점 중 중앙에 위치한 꼭지점은 2개이다. 이러한 경우, 중지와 먼쪽에 위치한 꼭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can select a vertex located at a center of a plurality of vertex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vertexes is odd, since the vertex located at the center is one, the vertex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f there are three vertices, the second vertex can be sele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rality of vertexes are even, the vertexe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re two. In this case, you can select the stop and the vertex located on the far side.

(다) 제어부(150)는 전술한 방법을 반복하여, 엄지와 검지 사이, 검지와 중지 사이, 중지와 약지 사이 그리고 약지와 소지 사이의 점인 제2 특징점을 도출할 수 있다. (C) The control unit 150 may repeat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derive a second feature point, which is a point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between the index and the stop, between the stop and the finger, and between the finger and the finger.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S160 단계에서 손목 주름의 양끝 점, 즉, 제3 특징점을 추출한다. Next, in step S160, the controller 150 extracts both end points of the wrist wrinkles, that is, the third minutiae points.

제어부(150)는 먼저,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피부 영역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피부 영역을 가로지는 수평선의 길이를 순차로 측정하여 길이의 변화율이 소정값 미만이 유지되는 소정의 구간(A1)을 구한다. 손의 형상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손목 부분 이전까지는 피부 영역을 가로지는 수평선의 길이의 변화율이 증가하다가 손목부분에서부터 그 변화율이 감소한다. 예컨대, L1의 길이와 L2의 길이의 변화율에 비해 L3와 L4의 길이의 변화율은 작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수평선의 길이의 변화율이 소정값 미만이 유지되는 소정 구간(A1)을 구할 수 있다. 10, the controller 150 sequentially measures the length of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skin reg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kin region, and determines a predetermined section A1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he length is kept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line across the skin area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wrist, and then the rate of change decreases from the wrist. For example, the rate of change of the lengths of L3 and L4 is smaller than the rate of change of the length of L1 and the length of L2.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can obtain a predetermined section A1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line is kept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다음으로,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소정 구간(A1) 내에서 피부 영역의 폭을 구하여 피부 영역의 폭이 가장 좁은 위치를 손목 주름으로 결정하고, 그 손목 주름에서 양 끝 점을 제3 특징점(W1, W2)으로 추출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소정 구간(A1) 내에서 피부 영역의 오른쪽 혹은 왼쪽 어느 한 측을 정하고, 어느 한 측의 윤곽점(40) 각각에 대해 피부 영역의 폭을 구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ler 150 obtains the width of the skin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section A1, determines the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skin area is the narrowest as the wrinkles of the wrist, To the third feature points W1 and W2.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a right side or left side of the skin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section A1, and obtains the width of the skin area with respect to each of the contour points 40 on either side.

피부 영역의 오른쪽의 어느 하나의 윤곽점 C1을 예로 들면, 제어부(150)는 C1으로부터 다른 측(왼쪽)의 윤곽점, 예컨대, 예컨대, D1, D2, D3, D4 등에 피부 영역을 가로지는 선분을 그었을 때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는 선분을 해당 윤곽점 C1에서 피부 영역의 폭이라고 결정한다. 여기서, C1의 경우, C1과 D2를 연결하는 선분이 윤곽점 C1에서 가장 짧은 선분으로 C1과 D2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가 C1에서 피부 영역의 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피부 영역의 폭은 수평선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C2의 경우, C2와 D4를 연결하는 선분이 윤곽점 C2에서 가장 짧은 선분이 되며, C2와 D4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가 C2에서 피부 영역의 폭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소정 구간(A1) 내에서 왼쪽 및 오른쪽 어느 한측의 윤곽점 각각의 피부 영역의 폭을 구하며, 구해진 피부 영역의 폭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는 선분을 손목 주름으로 결정하고, 그 손목 주름에서 양 끝 점을 제3 특징점(W1, W2)으로 추출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our point C1 on the right side of the skin region is taken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a line segment that crosses the skin region from C1 to contour points on the other side (left side), for example, D1, D2, D3, The line segment having the shortest length is determined as the width of the skin region at the contour point C1. Here, in the case of C1, the line segment connecting C1 and D2 is the shortest line segment at the contour point C1, and the length of the segment connecting C1 and D2 may be the width of the skin region at C1.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idth of the skin region is not a horizontal line. Similarly, in the case of C2, the line segment connecting C2 and D4 is the shortest line segment at the contour point C2, and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connecting C2 and D4 may be the width of the skin region at C2. In this manner, the controller 150 obtains the widths of the skin regions of the contour points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predetermined section A1, determines the line segment having the shortest length among the widths of the obtained skin regions as the wrinkles of the wrist , And extracts the two end points from the wrist creases as the third feature points W1 and W2.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S170 단계에서 손가락 양측점, 즉, 제4 특징점을 추출한다.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이, 손가락 양측점(S0, S1)은 검지의 외곽과 손바닥이 만나는 위치(S0)와 소지의 외곽과 손바닥이 만나는 위치(S1)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손가락 사이점(제2 특징점) 중 검지와 중지의 사이의 점(V2)와 중지와 약지 사이의 점(V3)을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를 손가락의 폭이라고 결정한다. Next, in step S170, the controller 150 extracts both sides of the finger, that is, the fourth feature point. As shown in FIG. 12, the two points S0 and S1 of the finger indicate the position S0 where the outer edge of the index finger meets the palm, and the position S1 where the outer edge of the pad and the palm me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0 sets the length of a line connecting the point V2 between the detection and the stopping and the point V3 between the stop and the ring finger in the fingertip point (second characteristic point) Is determined as the width of

그리고 제어부(150)는 검지와 중지의 사이의 특징점 V2에서 검지 방향으로 결정된 손가락 폭(혹은 손가락 폭 보다 소정 길이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수평선을 그린다. 여기서, 수평선은 손 이미지 상에서 수평선이거나, 손목 주름의 양끝 점인 제3 특징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평행한 선이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특징점 V2를 회전축(특징점 V2에서 손바닥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 함)으로 수평선을 아랫방향(손목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직선을 그린다. 예컨대, 특징점 V2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선을 아랫방향으로 5도 만큼 회전시킨 직선을 그린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아랫방향으로 5도 만큼 회전시킨 직선과 윤곽점이 만나는 점을 손가락 양측점 중 하나(S0)로 결정한다. Then, the control unit 150 draws a horizontal line having the length of the finger (or a predetermined length longer than the finger width) determined in the detection direction at the feature point V2 between the detection and the stop. Here, the horizontal line may be a horizontal line on the hand image or a line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third characteristic points, which are both ends of the wrinkles of the wrist. Then, the control unit 150 draws a straight line obtained by rotating the horizontal line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wnward direction (wrist direction) to the rotation axis (the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palm of the hand at the characteristic point V2 as the rotation axis). For example, a straight line is drawn in which the horizontal line is rotated by 5 degrees in the downward dir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 point V2 as the rotation axi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one point S0 of both sides of the finger where a straight line rotated by 5 degrees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contour point meet.

마찬가지로, 약지와 소지 사이의 특징점 V4에서 소지 방향으로 손가락 폭(혹은 손가락 폭 보다 소정 길이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수평선을 그린다. 여기서, 수평선은 손 이미지 상에서 수평선이거나, 손목 주름의 양끝 점인 제3 특징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평행한 선이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특징점 V4를 회전축(특징점 V4에서 손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회전축으로 한다)으로 수평선을 아랫방향으로 소정 각도, 예컨대, 도 5 만큼 회전시킨 직선을 그린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그 직선과 윤곽점이 만나는 점을 손가락 양측점 중 하나(S1)로 결정한다. Likewise, a horizontal line having a finger width (or a predetermined length longer than the finger width) is drawn from the feature point V4 between the fingerprint and the base in the base direction. Here, the horizontal line may be a horizontal line on the hand image or a line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third characteristic points, which are both ends of the wrinkles of the wrist. Then, the control unit 150 draws a straight line in which the horizontal line is rotat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e.g., Fig. 5, on the rotation axis (the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hand at the feature point V4 is the rotation axis). Then,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one of the points S1 and S2 at which the straight line and the contour point meet.

도 13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추출된 제1 내지 제4 특징점(T1 내지 T5, V1 내지 V4, W1, W2, S0, S1)이 도시되었다. 제어부(150)는 S180 단계에서 손의 이미지에서 손이 왼손 부분인지 혹은 오른손 부분인지 여부, 그리고 손등 부분인지 혹은 손바닥 부분인지 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앞서 추출된 제1 내지 제4 특징점을 기준으로 어떤 부분의 손인지 여부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손이 어떤 부분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입력부(120) 혹은 표시부(130)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손바닥 손등을 포함하는 손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간의 유사도에 따라 판별할 수도 있고, 손가락의 길이 및 손톱의 존재 여부를 이미지 식별하여 판별할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feature points (T1 to T5, V1 to V4, W1, W2, S0, S1) extract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Fig. 13 are shown. In step S180,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hand is the left hand part or the right hand part, whether the hand is the hand part or the palm part in the image of the hand,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 is the left hand part or the right hand part based on the extracted first to fourth feature point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acupoi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hand of the part is handed and predetermined rules. Here, whether the hand is a part may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20 or the display unit 130, 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images using a hand image including a previously stored palm-shaped hand, The length of the nail and the presence of the nail can be identified and identified.

그러면, 제1 내지 제4 특징점을 기준으로 경혈점을 검출하는 규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이러한 경혈점을 검출하는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rules for detecting the acupoint at the first to fourth feature points will be described below. Figs. 14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ules for detecting such acupoint.

도 14를 참조하면, 왼손 손바닥에 위치한 경혈점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검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acupoint at the left hand palm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s.

1. 중충(PC9) : T3 지점1. Insect (PC9): T3 point

2. 노궁(PC8) : V2와 대릉(6)사이를 잇는 직선의 1/3 지점2. Vigor (PC8): 1/3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V2 and Daeungung (6)

3. 소부(HT8) : V4 와 신문(7)사이를 잇는 직선의 1/3 지점3. Baking (HT8): 1/3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V4 and newspaper (7)

4. 어제(LU10) : T1과 태연(5)사이를 잇는 직선의 2/3 지점4. Yesterday (LU10): 2/3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1 and Taeyeon (5)

5. 태연(LU9) : 손목 주름 직선의 1/6 지점5. Taeyeon (LU9): 1/6 point of wrist straight line

6. 대릉(PC7) : 손목 주름 직선의 중앙 지점6. Daeungung (PC7): central point of wrist straight line

7. 신문(HT7) : 손목 주름 직선의 5/6 지점 7. Newspaper (HT7): 5/6 point of wrist straight line

도 15를 참조하면, 오른손 손등에 위치하는 경혈점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검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acupoint at the right hand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

1. 삼간(LI3) : S0와 양계(3)를 잇는 직선의 2/9 지점1. Triplet (LI3): 2/9 point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S0 and poultry (3)

2. 합곡(LI4) : S0와 양계(3)를 잇는 직선의 5/9 지점2. Song (LI4): 5/9 point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S0 and poultry (3)

3. 양계(LI5) : 손목 주름 직선의 1/6 지점3. Poultry (LI5): 1/6 point of wrist straight line

도 16을 참조하면, 오른손 손등에 위치하는 경혈점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검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acupoint at the right hand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

1. 상양(LI1) : T2와 S0 사이를 잇는 직선의 1/6 지점 1. Orient (LI1): 1/6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2 and S0

2. 관충(TE1) : T4와 V4 사이를 잇는 직선의 1/5 지점2. Fungus (TE1): 1/5 point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4 and V4

3. 소택(SI1) : T5와 V4 사이를 잇는 직선의 1/4 지점3. Housing (SI1): 1/4 point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5 and V4

4. 소충(HT9) : T5와 S1 사이를 잇는 직선의 1/5 지점4. Fowl (HT9): 1/5 point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5 and S1

5. 이간(LI2) : S0 지점5. Interval (LI2): Point S0

6. 액문(TE2) : V4 지점6. Flowmeter (TE2): V4 point

7. 전곡(SI2) : S1 지점7. Whole song (SI2): S1 point

8. 양지(TE4) : 손목 주름 직선의 2/3 지점8. Sunny (TE4): 2/3 point of wrist straight line

도 17을 참조하면, 오른손 손등에 위치하는 경혈점은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검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acupoint at the right hand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rule.

1. 중저(TE3) : V4와 양곡(4)사이를 잇는 직선의 3/10 지점1. Middle (TE3): 3/10 point of straight line connecting between V4 and grain (4)

2. 후계(SI3) : S1과 양곡(4)사이를 잇는 직선의 2/7 지점2. Succession (SI3): 2/7 point of straight line connecting S1 and grain (4)

3. 완골(SI4) : V4과 양곡(4)사이를 잇는 직선의 9/10 지점3. Leg bone (SI4): 9/10 point of straight line connecting V4 and grain (4)

4. 양곡(SI5) : 손목 주름 직선의 7/8 지점 4. Grain (SI5): 7/8 point of wrinkled straight li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의 이미지를 통해 경혈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혈점을 통해 사용자는 정확한 경혈점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100)가 스마트폰이라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손을 촬영하면, 제어부(150)는 촬영된 손의 이미지에 겹쳐지게 경혈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정확한 경혈점의 위치를 알고 스스로 수지침을 놓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image of the hand. Through these acupoints, the user can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acupoint and can utilize i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user device 100 is a smart phone, the user can photograph the hand using the user device 100, and the control unit 150 can display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at the overlapping image of the hand have. Then, the user can know the position of the accurate acupoint and utilize it to place the hand.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program readable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or a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wir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wires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사용자 장치
110: 카메라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00: User device
110:
120: Input unit
130:
140:
150:

Claims (7)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손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손을 촬영한 손 이미지로부터 윤곽점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윤곽점으로부터 상기 손의 손가락 끝 점인 제1 특징점, 상기 손의 손가락 사이 점인 제2 특징점, 상기 손의 손목 주름의 양끝 점인 제3 특징점 및 상기 손의 손가락 양측점인 제4 특징점을 검출하고,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특징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meridian point,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 hand; And
Wherein the camera unit derives a contour point from a hand image of the hand,
A second feature point being a point between the fingers of the hand, a third feature point being both ends of the wrist fold of the hand, and a fourth feature point being both sides of the finger of the hand are detected from the derived contour point and,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the acupressure 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eature poi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 이미지로부터 피부 영역과 배경 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피부 영역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픽셀을 윤곽점으로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dentifying a skin region and a background region from the hand image,
Wherein a pixel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specified skin area is derived as a contour poi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윤곽점을 모두 포함하면서 최대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을 구하고,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중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는 꼭지점을 상기 제1 특징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 polygon having a maximum area including all of the contour points is obtained, and a vertex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rtices of the polygon is detected as the first feature poi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특징점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제1 특징점과 상기 2개의 제1 특징점 사이의 윤곽점을 모두 포함하면서 면적이 최대인 다각형을 구하고, 상기 면적인 최대인 다격형의 꼭지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 특징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 polygon having the largest area including both contour points between two neighboring first feature points and the two first feature points among the first feature points is obtained and one of vertexes of the multi- And detecting the second characteristic point as a second characteristic poi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부 영역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피부 영역을 가로지는 수평선의 길이를 순차로 측정하여 길이의 변화율이 소정값 미만이 유지되는 소정의 구간을 구하고,
상기 소정의 구간 내에서 피부 영역의 폭을 구하여 피부 영역의 폭이 가장 좁은 위치를 손목 주름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손목 주름에서 양 끝 점을 제3 특징점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The length of a horizontal line passing through the skin reg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kin region is measured in order to obta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length is kept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a width of the skin region is determined within the predetermined section to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width of the skin region is the narrowest as the wrinkles of the wrist, and both ends of the wrist wrinkle are detected as the third feature point. Device.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손을 촬영한 손 이미지의 피부 영역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픽셀을 윤곽점으로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윤곽점으로부터 상기 손의 손가락 끝 점인 제1 특징점, 상기 손의 손가락 사이 점인 제2 특징점, 상기 손의 손목 주름의 양끝 점인 제3 특징점 및 상기 손의 손가락 양측점인 제4 특징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특징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경혈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
1. A method for recognizing an acupuncture point,
Deriving a pixel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a skin region of a hand image of a hand as a contour point;
A second feature point being a point between the fingers of the hand, a third feature point being both ends of the wrist fold of the hand, and a fourth feature point being both sides of the finger of the hand are detected from the derived contour point ; And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acupoi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bas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feature points.
제6항에 따른 경혈점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recognizing the acupuncture point according to claim 6 is recorded.
KR1020160081042A 2016-06-28 2016-06-28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1774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42A KR101774549B1 (en) 2016-06-28 2016-06-28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42A KR101774549B1 (en) 2016-06-28 2016-06-28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549B1 true KR101774549B1 (en) 2017-09-21

Family

ID=6003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42A KR101774549B1 (en) 2016-06-28 2016-06-28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5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8355A (en) * 2019-03-07 2019-05-17 西安伊蔓蒂电子科技有限公司 One kind is based on the processing of human acupoint two dimensional image and 3 D stereo localization method
CN112052747A (en) * 2020-08-11 2020-12-08 深圳市欧森隆健康科技有限公司 Palm recognition method, health report generation method, health detection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975150A (en) * 2021-12-28 2022-01-28 杭州大力神医疗器械有限公司 Percutaneous acupoint therapeutic instrument
CN116407093A (en) * 2023-03-23 2023-07-11 北京鹰之眼智能健康科技有限公司 Automatic acquisition system for infrared image tempera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3B1 (en)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 acupuncture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509651A (en) 2006-11-02 2010-03-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12738B1 (en) 2014-12-24 2016-04-15 해성옵틱스(주) Method for detecting finger count using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93B1 (en) 2005-09-30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orting hand acupuncture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509651A (en) 2006-11-02 2010-03-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12738B1 (en) 2014-12-24 2016-04-15 해성옵틱스(주) Method for detecting finger count using camer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8355A (en) * 2019-03-07 2019-05-17 西安伊蔓蒂电子科技有限公司 One kind is based on the processing of human acupoint two dimensional image and 3 D stereo localization method
CN109758355B (en) * 2019-03-07 2021-11-19 西安伊蔓蒂电子科技有限公司 Two-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nd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method based on human acupuncture points
CN112052747A (en) * 2020-08-11 2020-12-08 深圳市欧森隆健康科技有限公司 Palm recognition method, health report generation method, health detection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975150A (en) * 2021-12-28 2022-01-28 杭州大力神医疗器械有限公司 Percutaneous acupoint therapeutic instrument
CN116407093A (en) * 2023-03-23 2023-07-11 北京鹰之眼智能健康科技有限公司 Automatic acquisition system for infrared image temperature
CN116407093B (en) * 2023-03-23 2023-11-10 北京鹰之眼智能健康科技有限公司 Automatic acquisition system for infrared image temper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549B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US20220083880A1 (en) Interactions with virtual objects for machine control
US2023020515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stural interaction in a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
US11036844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light field camera
JP6968154B2 (en) Control systems and control processing methods and equipment
US10929668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7602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US113801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ouchless palm print acquisition
CN108664783A (en) The electronic equipment of recognition methods and support this method based on iris recognition
KR20100123021A (en) Non contacting finger vein image capturing device and portable mobile having the same
US878116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extracating a characteristic point from an image
CN109240582A (en) A kind of put reads control method and smart machine
KR20130099317A (en) System for implementing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the same
US11170198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894849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bject recognition, and method for acquiring depth information of an object
US10607069B2 (en) Determining a pointing vector for gestures performed before a depth camera
CN106095421B (en)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virtual reality device
JP2004078977A (en) Interface device
CN104766354B (en) The method and mobile terminal that a kind of augmented reality is drawn
TW20163952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8255292A (en) Air imaging interaction systems, method,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80001920A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menstrual blood poin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EP35075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program
CN108921815A (en) It takes pictures exchange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CN112089589B (en) Control method of neck massager, neck massager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