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52B1 -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 Google Patents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52B1
KR101774152B1 KR1020160049301A KR20160049301A KR101774152B1 KR 101774152 B1 KR101774152 B1 KR 101774152B1 KR 1020160049301 A KR1020160049301 A KR 1020160049301A KR 20160049301 A KR20160049301 A KR 20160049301A KR 101774152 B1 KR101774152 B1 KR 101774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high
user
tension member
ca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정환
윤수현
주수빈
심태용
최안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4Accelera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2Posture
    • A61H2230/625Pos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 holding posture, comprising: a foot fixing means; a calf frame; a thigh frame; a saddle means; a detection means; a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a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and a control means. The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 holding posture is light so free movements and walking are possible when a user wears the apparatus, and a holing posture of the user is supported. Also, an operation mode can be easily converted according to intentions of the user without regard to working environments. The composition of the apparatus is simple so the apparatus is easily removable from the user and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are low.

Description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0001]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0002]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가 가벼워 착용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움직임 및 보행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유지를 보조할 수 있으며,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동작모드를 변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탈부착이 쉽고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capable of freely moving and walking in a worn state, assisting the maintenance of the posture of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which can easily change an operation mode and is simple in configuration and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by a user and is low in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기계화율이 낮은 작업, 예를 들어 산업 또는 농업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인력이 투입되어야만 하는 작업은 작업 자세, 예를 들어 쪼그리고 앉는 자세나 무릎을 꿇는 자세 등 좋지 않은 자세로 반복적인 작업이 수행되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 특히 다리 및 무릎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Work that requires low mechanical rate, for example, work that must be input in an industrial or agricultural environment requires repetitive work such as a working posture, for example, a squatting or kneeling attitude, Diseases, especially leg and knee diseases, frequently occur.

이에 각종 의자나 지지대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자세 유지를 보조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두고 이를 통해 자세를 교정하기도 하나, 작업하는 장소마다 의자나 지지대를 들고다니기에도 불편하고, 작업에 따라 자세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잘 사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librate the posture by using a supporting device such as various chairs and supports, which can assist the posture maintenance of the user.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chair or a support for each work place, So that it is not used well.

이에, 근육병 환자를 위한 재활 보조기구로부터 최근에는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근력 보조 역할 및 무거운 군장을 지는 군인용 근력 증폭기, 외과수술환자(개복환자) 및 오랫동안 병원 생활을 한 내과 환자 등의 보행 보조 등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형태의 착용식 로봇인 외골격 근력 보조기가 사용되기도 한다.Recently, a rehabilitation aids for muscular patients have been used for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such as muscular power assistant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rmy cranes for heavy armament, surgical patients (laparotomy patients) and long-term hospital patients And an exoskeletal muscle force augmentor, which is a wearable robot worn by a user, may be used.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외골격 근력 보조기는 동력장치, 예를 들어 모터나 엑추에이터, 실린더 등과 같은 구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지게 되어 노인이나 환자 등과 같이 근력이 크게 저하된 사람에게는 착용 자체도 어렵고, 착용하더라도 보행이나 여러 가지 동작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urrently developed exoskeletal muscle strength aids include components such as power devices, such as motors, actuators, and cylinders, so that they are heavy and bulky, and are worn by those who have significantly reduced strength such as the elderly or patient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walk and various inconveniences are felt even when worn.

또한, 착용식 로봇의 부피가 크면, 사용자가 협소한 장소(예를 들어, 화장실, 팔걸이 의자 등)를 지나가거나 또는 앉는 등의 동작 자체가 주변 사물의 간섭으로 인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the wearable robot has a large volu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itself such as passing or sitting on a narrow place (for example, a toilet, an armchair, etc.) is difficult due to interference of nearby objects.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complement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176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176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게가 가벼워 착용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움직임 및 보행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유지를 보조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capable of freely moving and walking while being light in weight and assisting a user in maintaining posture.

또,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동작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which can easily change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without regard to a working environment.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탈부착이 쉽고,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which is low in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발 또는 신발이 안착되는 발 고정수단; 상기 발 고정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종아리 프레임; 상기 종아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넓적다리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넓적다리 프레임;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볼기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안장수단; 상기 종아리 프레임과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종아리 프레임과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조절하는 제1 회동조절수단;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과 상기 안장수단에 마련되어 상기 안장수단의 회동 동작을 조절하는 제2 회동조절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검출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조절수단과 상기 제2 회동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조절수단은,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종아리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제1 장력부재; 및 상기 종아리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장력부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1 브레이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조절수단은, 상기 안장수단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제2 장력부재;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장력부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2 브레이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장력부재, 상기 제2 장력부재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id object is achieved by a foot fixing means on which a user's foot or shoe is seated; A calf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said foot fastening means and being in contact with or proximate to a user's calf; A thigh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lf frame and being in contact with or proximate to a user's thigh; Saddle mean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high frame and positioned adjacent to or in proximity to a ball of a user; Detecting mean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alf frame and the thigh frame for detecting attitude information of a user; First caliper adjusting means disposed in the calf frame and the thigh frame to adjust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high frame; Second throttle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thigh frame and the saddle means for adjust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addle mean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means and the second rotation adjustment means in accordance with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means, wherein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means comprises: A first tension member,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calf frame; And a first brake member disposed in the calf fram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first tension member, wherein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is fixed to the saddle means, A second tension member located inside or outside; And a second brake member which is disposed on the thigh frame and fixes or disengages the second tension member, wherein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are fixed to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a pair of electromagnets which sandwich a tension member between the pair of electromagne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제1 장력부재와 상기 제2 장력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타이밍밴드, 체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one or both of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is compos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timing band, a chain, and a wire.

여기서, 상기 제1 장력부재 및 상기 제2 장력부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 및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에는, 상기 제1 요철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서로 근접하여 맞물리거나 서로 떨어져 상기 제1 장력부재, 상기 제2 장력부재가 각각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are provided with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or proj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o- The first concavo-convex part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art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are fixed Or may be released.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종아리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종아리 프레임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관성센서;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관성센서; 및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tec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inertial sensor mounted on the calf frame and sensing an operation of the calf frame; A second inertia sensor disposed in the thigh frame to sense motion of the thigh frame; And a pressure sensor provided on the thigh frame for sensing movement of the user's thigh muscles; .

여기서,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은, 사용자의 넓적다리 부근을 감싸는 넓적다리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넓적다리 밴드 중 사용자의 넓적다리 앞쪽에 접하는 부분 및 사용자의 넓적다리 뒷쪽에 접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도록 다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high frame may further include a thigh band surrounding the thigh of the user, and the pressure sensor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thigh ban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thigh of the user and a portion of the thigh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관성센서 또는 상기 제2 관성센서를 통해 상기 종아리 프레임 또는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회동 동작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종아리 프레임 또는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회동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의자모드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를 동작시켜 제1 장력부재와 제2 장력부재를 고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calf frame or the thigh fra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rotation of the calf frame or the thigh frame is sensed through the first inertial sensor or the second inertial sensor If it is not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ir mode is selected, and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are operated to control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to be fixed.

여기서,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관성센서를 통해 상기 종아리 프레임과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동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보행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를 동작시켜 제1 장력부재와 제2 장력부재를 고정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operation of the calf frame and the thigh frame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ertial sensors and the movement of the user's thigh muscl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so as to fix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가 가벼워 착용상태에서도 자유로운 움직임 및 보행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자세유지를 보조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capable of freely moving and walking even when wearing a light weight, and assisting the user in maintaining posture.

또,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동작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ode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ithout regard to the working environment.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자의 탈부착이 쉽고,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user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th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 is 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의 내부 확대도,
도 6과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중 제1 회동조절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사용 순서도,
도 9는 의자 모드시 장력을 계산하기 위한 도,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2,
5 is an internal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4,
6 and 7 (a) and 7 (b)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amo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use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calculating the tension in the chair mode,
10A to 10C are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의 내부 확대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ide of "A"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는 크게 발 고정수단(10)과 종아리 프레임(20), 넓적다리 프레임(30), 안장수단(40), 검출수단(50), 제1 회동조절수단(60), 제2 회동조절수단(70) 및 제어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 fixing unit 10, a calf frame 20, a thigh frame 30, a saddle unit 40, a detection means 50, a first rotation adjustment means 60, a second rotation adjustment means 70, and a control means 80.

발 고정수단(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에서 최하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발 또는 신발이 안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발 고정수단(10)은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이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The foot fixing means 10 is a component that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wearable posture assisting-assi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which a user's foot or shoe is seated. For this purpose, the foot fixing means 10 has a shape in which a user's foot or shoe can be seated and fixed.

종아리 프레임(20)은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힌지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발 고정수단(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발목 움직임에 따라 발 고정수단(10) 또는 종아리 프레임(20)이 회동할 수 있다.The calf frame 20 is a component tha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oot fastening means 10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hinge, as shown in Fig. 3, and is located in contact with or near the user's calf. That is,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fixing means 10 or the calf frame 20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ankle.

이러한 종아리 프레임(20)에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근을 감싸 종아리 프레임(20)이 사용자의 종아리에 접하거나 근접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종아리 밴드(22)가 더 포함된다.The calf frame 20 further includes a calf band 22 surrounding the user's calf so that the calf frame 20 can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or proximate to the user's calf.

넓적다리 프레임(30) 또한 도 3과 같이 힌지 등을 이용하여 종아리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무릎 움직임에 따라 종아리 프레임(20) 또는 넓적다리 프레임(30)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The thigh frame 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lf frame 20 by using a hing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calf frame 20 or the thigh frame 30 can be operated do.

이러한 넓적다리 프레임(30)에도 사용자의 넓적다리 부근을 감싸게 되는 넓적다리 밴드(32)가 포함되어 넓적다리 프레임(30)이 사용자의 넓적다리에 접하거나 근접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The thigh frame 30 also includes a thigh band 32 that surrounds the thigh of the user so that the thigh frame 30 can be positioned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thigh of the user.

안장수단(40) 역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 등을 통해 넓적다리 프레임(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볼기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된다. 안장수단(40)은 사용자가 걸터앉는 의자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처럼 사용자가 앉거나 설 때 사용자의 넓적다리와 볼기 사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넓적다리 프레임(30) 또는 안장수단(40)이 동작하게 된다.The saddle means 40 is also pivotally connected to the thigh frame 30 via a hing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The saddle means 40 serves as a chair for the user to sit on, so that when the user sits or stands up, the thigh frame 30 or the saddle means 40, depending on the angle change between the thigh and the ball, .

이러한 발 고정수단(10), 종아리 프레임(20), 넓적다리 프레임(30) 및 안장수단(40)은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볍고 튼튼한 재질, 예를 들어 티타늄이나 카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oot fixing means 10, the calf frame 20, the thigh frame 30 and the saddle means 40 are made of a light and durable material so that a user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can freely move, But is not limited to, titanium or carbon.

검출수단(50)은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요소이며, 제1 관성센서(52)와 제2 관성센서(54), 그리고 압력센서(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etecting means 50 is a componen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alf frame 20 and the thigh frame 30 to detect the at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ncludes a first inertial sensor 52 and a second inertial sensor 54, , And a pressure sensor (56).

제1 관성센서(52)는 종아리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종아리 프레임(20)의 동작을 감지하게 되고, 제2 관성센서(54)는 넓적다리 프레임(30)에 배치되어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동작을 감지하게 된다. The first inertial sensor 52 is mounted on the calf frame 20 to sense the operation of the calf frame 20 and the second inertial sensor 54 is disposed on the thigh frame 30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thigh frame 30 ). ≪ / RTI >

그리고 압력센서(56)는 넓적다리 프레임(30), 특히 사용자의 넓적다리 부근을 감싸는 넓적다리 밴드(32)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The pressure sensor 56 is provided on the thigh frame 30, in particular, the thigh band 32 surrounding the thigh of the user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thigh muscles of the user.

여기서,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은 걸을 때 쓰는 근육과 앉을 때 쓰는 근육의 위치가 다르거나 위치에 따라 가해지는 힘이 다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넓적다리 밴드(32)에 마련되는 압력센서(56)를 다수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넓적다리 앞쪽에 접하는 부분과 넓적다리 뒷쪽에 접하는 부분에 각각 압력센서(56)를 배치하여 사용하게 된다.Here, the user's thigh muscles have different muscles to be used when walking and different muscles to be used when sitting, and different forces are applied depending on position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56 provided on the thigh band 32 are provided so that the pressure sensor 56 can be divided into a portion contacting the front of the thigh and a portion contacting the back of the thigh, And the like.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제1 회동조절수단(60)은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에 배치되어 넓적다리 프레임(30)의 회동 동작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며, 제1 장력부재(62)와 제1 브레이크부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60 shown in detail in FIG. 5 is a component arranged in the calf frame 20 and the thigh frame 30 to control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high frame 30, (62) and a first brake member (64).

제1 장력부재(62)는 넓적다리 프레임(30)에 고정되고, 일부가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게 되는 일종의 끈으로 타이밍밴드, 체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1 장력부재(62)의 다른쪽이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first tension member 62 is a kind of strap fixed to the thigh frame 30 and partly locat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calf frame 20 and may b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timing band, And the other of the first tension member 62 is positioned inside the calf frame 20 in the present invention.

제1 브레이크부재(64)는 종아리 프레임(20)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 장력부재(62)의 일부가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제1 브레이크부재(64) 또한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제1 장력부재(62)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함으로써 넓적다리 프레임(30)의 회동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disposed in the calf frame 20,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tension member 62 is located inside the calf frame 20.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also located inside the calf frame 20 to control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high frame 30 by fixing or releasing the first tension member 62. [

본 발명에서는 제1 브레이크부재(64)가 제1 장력부재(62)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제1 브레이크부재(64)가 제1 장력부재(62)에 접하거나 떨어지도록 동작되어 제1 장력부재(62)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composed of a pair of electromagnets sandwiching the first tension member 62 and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connected to the first tension member 62 in accordance with the supply of power, So that the first tension member 62 can be fixed or released.

이때, 도 5와 같이 제1 브레이크부재(64)가 제1 장력부재(62)를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장력부재(6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 요철부(B1)가 형성되고, 제1 브레이크부재(64)에는 제1 장력부재(62)의 제1 요철부(B1)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B2)가 형성된다. 5, the first tension member 6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protrus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tension member 62 can be fixed smoothly, And the first braking member 64 is formed with a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 B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B1 of the first tension member 62. [

이에, 제1 브레이크부재(64)가 제1 장력부재(62)에 접하게 되면 제1 요철부(B1)와 제2 요철부(B2)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제1 장력부재(62)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ension member 62,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B1 and the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 B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제2 회동조절수단(70)은 넓적다리 프레임(30)과 안장수단(40)에 마련되어 안장수단(40)의 회동 동작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며,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에 마련되는 제1 회동조절수단(60)과 동일한 구성 즉, 제2 장력부재(72)와 제2 브레이크부재(74)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70 is provided on the hinge frame 30 and the saddle means 40 to control the pivotal movement of the saddle means 40. The calf frame 20 and the thigh frame 30,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and the second brake member 74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means 60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brake cylinders.

제2 장력부재(72)는 제1 장력부재(62)와 마찬가지로 타이밍밴드, 체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제2 장력부재(72)는 안장수단(40)에 고정되고, 일부가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second tension member 72 is compos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timing band, a chain, and a wire similarly to the first tension member 62.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is fixed to the saddle means 40 and a part of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thigh frame 30 and is located inside the thigh frame 30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장력부재(72)의 일부를 사이에 두게 되는 제2 브레이크부재(74)는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1 브레이크부재(64)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브레이크부재(64) 및 제2 브레이크부재(7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는 통상의 배터리나 외부의 콘센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brake member 74, which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igh frame 30 and part of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is disposed inside the thigh frame 30, (64). Here,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brake member 64 and the second brake member 74 may be a conventional battery or an external socket, but this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장력부재(72)와 제2 브레이크부재(74) 또한 제1 요철부(B1)와 이러한 제1 요철부(B1)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B2)가 형성되며, 따라서 제2 브레이크부재(74)가 제2 장력부재(72)에 접했을 때 제1 요철부(B1)와 제2 요철부(B2)가 서로 맞물려 제2 장력부재(72)를 고정하거나 제2 브레이크부재(74)가 제2 장력부재(72)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 장력부재(72)를 고정해제시켜 안장수단(40)의 회동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tension member 72 and the second brake member 74 and also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B1 and the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 B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cave and convex portion B1 are formed,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B1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B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when the second brake member 7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is disengaged from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addle means 40 can be controlled.

제어수단(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며, 특히 검출수단(50)으로부터 전달되는 검출정보, 즉 사용자의 자세와 움직임에 대한 검출정보에 따라 제1 회동조절수단(60)과 제2 회동조절수단(7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means 8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60 and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7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information.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특정 자세, 예를 들어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꿇는 등의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하고자 할 때 해당 자세에서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 안장수단(40)을 고정시켜 사용자가 편안하게 해당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wants to work in an uncomfortable posture such as, for example, squatting or kneeling, the calf frame 20, the thigh frame 30 and the saddle means 40 are fixed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maintain the posture.

이러한 제어수단(8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특정 자세를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제1 및 제2 회동조절수단(60, 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시간 측정이 가능한 타이머가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pecific pos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means 8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60 and 70 A timer that can be time-meas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중 하체, 즉 다리와 볼기측에 착용하여 사용하게 되며,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wearing on the lower body of the user's body, that is, on the legs and the ball side, and is provided with a pai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해주는 장치가 아니라 자세유지를 보조해주는 장치로서, 추가적인 동력장치(모터나 액츄에이터, 실린더 등)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n apparatus for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but an apparatus for assisting posture maintenance and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an actuator, or a cylinder) .

따라서, 무게가 가벼워 착용 및 착용해제가 손쉽고, 착용한 상태에서의 움직임도 편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easy to wear and disassemble because it is light in weight, easy to move in a worn state,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low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Now,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과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중 제1 회동조절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때, 제2 회동조절수단의 경우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이나 동작은 제1 회동조절수단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제2 회동조절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6 and 7 (a) and 7 (b)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on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tation adjustment mean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means,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rotation adjustment means is omitted here.

먼저, 도 6에는 종아리 프레임(20)의 일부와 넓적다리 프레임(30)의 일부, 그리고 제1 회동조절수단(60)이 나타나는데, 도시된 상태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 즉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이 일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6 shows a part of the calf frame 20, a part of the thigh frame 30 and a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60. The state shown in the figur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That is, the calf frame 20 and the thigh frame 30 form a straight line.

넓적다리 프레임(30)은 종아리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회동조절수단(60) 중 제1 장력부재(62)는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말단에 고정되고, 일부가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한다.The thigh frame 3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calf frame 20 and the first tension member 62 of the first tilt adjustment means 60 is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thigh frame 30, And is located inside the calf frame 20.

그리고 제1 브레이크부재(64)는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장력부재(62)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다.And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disposed so as to sandwich the first tension member 62 located inside the calf frame 20.

한편, 제1 장력부재(6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 요철부(B1)가 형성되고, 제1 브레이크부재(64)에는 제1 장력부재의 제1 요철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B2)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nsion member 62 is formed with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B1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or proj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formed with the first concavo-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B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B2 is forme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음을 걷게 되거나, 앉는 자세를 취할 경우 사용자의 무릎 움직임에 따라 도 7의 (a)와 같이 넓적다리 프레임(30)이 종아리 프레임(20)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7 (a), the thigh frame 3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alf frame 2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ser's knees.

이때, 제1 브레이크부재(64)는 제1 장력부재(62)를 고정해제하고 있는 상태이며, 넓적다리 프레임(30)의 회동에 따라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한 제1 장력부재(62)의 일부는 도면상 상측으로 끌어올려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in a state of releasing the first tension member 62, and when the thigh frame 30 is rotated, the first tension member 62 Is pulled upward in the drawing.

계속해서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거나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도 7의 (b)와 같이 넓적다리 프레임(30)이 더 회동하게 되면서 종아리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한 제1 장력부재(62)의 일부 또한 도면상 상측으로 더 끌어올려지게 되며,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제1 브레이크부재(64)가 동작하여 제1 장력부재(62)에 근접하게 되면 제1 요철부(B1)와 제2 요철부(B2)가 맞물리면서 고정되어 넓적다리 프레임(30)이 더 이상 회동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하체에 힘을 주지 않고도 해당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7 (b), the thigh frame 30 further rotates, and the first tension member 62 positioned inside the calf frame 20 is rotated, When the first brake member 64 is operated to come close to the first tension member 6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80,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B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ension member 62,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part B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ixed, so that the thigh frame 30 does not rotate any more, so that the user can maintain the posture without applying force to the lower bod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의 사용 순서도이고, 도 9는 의자 모드시 장력을 계산하기 위한 도이며,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use of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for calculating tension in a chair mode, and FIGS. 10 (a) to 10 (c) Fig.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used.

먼저, 도 8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보행 모드로 설정된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set in a walking mode.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freely move in a state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에 마련된 검출수단(50)은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와 움직임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수단(80)으로 전달하고, 제어수단(80)에서는 사용자의 자세가 고정되는지, 다시 말해서 제1 관성센서(52) 또는 제2 관성센서(54)를 통해 종아리 프레임(20) 또는 넓적다리 프레임(30)의 회동 동작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종아리 프레임(20) 또는 넓적다리 프레임(30)의 회동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지를 파악하여 의자 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 detecting means 50 provided in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detects the posture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supporting assisting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ture and mo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means 80, The rotation of the calf frame 20 or the thigh frame 30 is sensed through the first inertial sensor 52 or the second inertial sensor 54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turning motion of the calf frame 20 or the thigh frame 30 is sen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hair mode is performed.

이러한 판단 결과, 사용자의 자세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가 보행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의자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user's posture is not fixed,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keeps the walking mode, and controls the chair mode when the user's posture is fixed.

즉, 제1 회동조절수단(60)의 제1 브레이크부재(64)와 제2 회동조절수단(70)의 제2 브레이크부재(74)를 동작시켜 각각 제1 장력부재(62)와 제2 장력부재(72)가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하체에 힘을 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편안하게 안장수단(40)에 걸터앉아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어 손쉽게 현재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brake member 64 of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60 and the second brake member 74 of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70 are operated to rotate the first tension member 62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62, The member 72 is fixed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apply force to the lower body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posture but can sit comfortably on the saddle means 40 to support the body weight and easily maintain the current posture.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에서 제어수단(80)이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하여 보행 모드 또는 의자 모드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예와 같이 수행된다. 이때,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의 측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means 80 grasps the posture of the user or whether the chair mode is per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s follows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10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ide view of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ssisting device 100 shown in Fig.

우선 의자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즉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의자 모드를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넓적다리 프레임(30)에 배치된 제2 관성센서(54)를 통해 사용자의 왼쪽 다리와, 오른쪽 다리 모두 동시에 -z축 방향으로 비슷한 가속도, 그리고 시계 방향의 비슷한 각속도를 갖는 것으로 검출된 정보가 제어수단(80)에 전달된다.When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wants to perform the chair mode, the second inertia sensor (not shown) disposed in the hip frame 30 54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80 by detecting both the left leg of the user and the right leg at the same time with a similar acceleration in the -z axis direction and a similar angular velocity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에 따라, 제어수단(80)은 종아리 프레임(20)에 배치된 제1 관성센서(52)와 넓적다리 프레임(30)에 배치된 제2 관성센서(54)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여, 왼쪽과 오른쪽 다리 모두 비슷한 각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에서 특정 각도, 예를 들어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 사이의 각도나 제1 관성센서(52)와 제2 관성센서(54) 사이의 각도가 특정한 각도에 도달한 뒤 움직임이 멈추면, 의자 모드라고 판단하게 된다. 이때, 특정 각도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다.The control means 80 calculate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ertial sensor 52 disposed on the calf frame 20 and the second inertial sensor 54 disposed on the thigh frame 30, The angle between the calf frame 20 and the horseshoe frame 30 or the angle between the first inertial sensor 52 and the second inertial sensor 54 in a state where both the right legs are judged to have a similar angle, If the movement stops after the angle of the chair reaches a certain angle, the chair mode is determined. At this time, the user can set a specific angle.

이처럼 의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제어수단(80)은 제1 브레이크부재(64)를 통해 제1 장력부재(62)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제2 브레이크부재(74)를 통해 제2 장력부재(72)를 고정시키도록 하여 의자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eans 80 causes the first tension member 62 to be fixed via the first brake member 64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So that the chair mode is performed.

이에, 도 10의 (a)나 도 10의 (b) 또는 도 10의 (c)와 같은 상태 등 다양한 자세에서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편안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의자나 지지대 등과 같은 자세보조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의 다리나 무릎, 허리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Thus, the wearer wearing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can maintain the posture comfortably in various postures such as the state shown in Fig. 10 (a), 10 (b) or 10 (c) It is possible to reduce musculoskeletal diseases such as legs, knees and waist of a person who is working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a posture aid such as a chair or a support.

여기서, 의자 모드 수행시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 사이의 각도를 고정, 즉 제1 회동조절수단(60)의 제1 브레이크부재(64)와 제2 회동조절수단(70)의 제2 브레이크부재(74)를 통해 제1 장력부재(62) 및 제2 장력부재(72)를 고정하기 위하여 가하는 장력은 도 9에 나타나는 의자 모드시 장력을 계산하기 위한 도면과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When the chair mode is performed, the angle between the calf frame 20 and the horseshoe frame 30 is fixed,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brake member 64 of the first rotation adjustment means 60 and the second rotation adjustment means 70, The tension applied to fix the first tension member 62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72 through the second brake member 74 of the second brake member 74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 RTI >

Figure 112016038889423-pat00001
Figure 112016038889423-pat00001

도 9에서 "길이(Length) a" 와 "길이(Length) b" 를 측정하는 대상은 넓적다리 프레임(30)이며, 하중(Weight)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의미한다.In FIG. 9, the object to measure "Length a" and "Length b" is the thigh frame 30, and the weight means the weight of the user.

그리고, 수학식 1에서 나타나는 "a" 는 도 9에 나타나는 "길이(Length) a" 이고, "b" 는 도 9에 나타나는 "길이(Length) b" 를 뜻한다."A" shown in Equation 1 means "length a" shown in FIG. 9, and "b" means "length b" shown in FIG.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가 의자 모드를 수행하게 되면, 사용자가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꿇는 등의 자세로 작업을 할 때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 안장수단(40)이 고정되어 사용자가 안장수단(40)에 앉아서 작업을 하는 상태가 되므로 마치 의자에 앉아있는 것처럼 편안하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When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performs the chair mode,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sture such as squatting or kneeling, the calf frame 20, the thigh frame 30, the saddle means 40, The user is seated on the saddle unit 40 and is in a state of working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as if sitting on a chair.

이처럼 의자 모드를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자세를 바꾸는 경우, 예를 들어 작업이 완료되어 쪼그리고 앉아있다가 일어서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수단(80)에서 제1 및 제2 관성센서(52, 54)를 통해 종아리 프레임(20)과 넓적다리 프레임(30)의 동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압력센서(56)를 통해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될 때 보행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If the user changes his / her posture while performing the chair mode, for example, if the operation is completed and he / she is squatting and wants to stand up, the control means 80 controls the calf and the calf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ertial sensors 52 and 54, When the movement of the user's thigh muscl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56 while the motion of the frame 20 and the thigh frame 30 is sensed, a walking mode is performed.

즉, 도 4의 측면도에서, 종아리 프레임(20)에 배치된 제1 관성센서(52)를 통해 +y축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는 것이 검출되고, 넓적다리 프레임(30)에 배치된 제2 관성센서(54)를 통해 +z축 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하는 것이 검출되어 제어수단에 전달된다. That is, in the side view of Fig. 4, it is detected that the acceleration is generated in the + y axis direction through the first inertial sensor 52 disposed in the calf frame 20, It is detected that the acceleration is generated in the + z-axis direction through the sensor 54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eans.

또한, 넓적다리 밴드(32)에 배치된 압력센서(56) 중 도면상 상측에 위치한 압력센서(56), 즉 사용자의 넓적다리 앞쪽에 접하는 압력센서(56)에 압력이 감지되면서, 도면상 하측에 위치한 압력센서(56), 즉 사용자의 넓적다리 뒷쪽에 접하는 압력센서(56)에 감지되는 압력값이 감소하게 되면, 제어수단(80)에서는 이를 보행 모드로 판단하게 된다.The pressure sensor 56 disposed at the upper side of the figure, that is, the pressure sensor 56 contacting the front of the user's thigh, among the pressure sensors 56 disposed in the thigh band 32, The control means 8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walking mode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56 located at the back of the user's thighs decreases.

이에 따라, 제어수단(80)은 제1 요철부(B1)와 제2 요철부(B2)가 맞물려 고정된 상태의 제1 회동조절수단(60)과 제2 회동조절수단(70)을 모두 고정해제되도록 동작시켜 사용자가 자유롭게 걷거나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ontrol means 80 fixes both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60 and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7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cave / convex portion B1 and the second concave and convex portion B2 are engaged and fixed The user can freely walk or mov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100)는 여러가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검출수단(50)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와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파악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두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 등에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작모드를 자유로운 보행이 가능한 보행 모드와,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의자 모드로 손쉽게 변환할 수 있다.Since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osture and the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detection means 50 composed of various sensors to grasp the mode desired by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convert the operation mode into the walking mode capable of walking freely and the chair mode capable of support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발 고정수단 20: 종아리 프레임
22: 종아리 밴드 30: 넓적다리 프레임
32: 넓적다리 밴드 40: 안장수단
50: 검출수단 52: 제1 관성센서
54: 제2 관성센서 56: 압력센서
60: 제1 회동조절수단 62: 제1 장력부재
64: 제1 브레이크부재 70: 제2 회동조절수단
72: 제2 장력부재 74: 제2 브레이크부재
80: 제어수단 100: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B1: 제1 요철부 B2: 제2 요철부
10: foot fixing means 20: calf frame
22: calf band 30: thigh frame
32: thigh band 40: saddle means
50: detecting means 52: first inertia sensor
54: second inertia sensor 56: pressure sensor
60: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62: first tension member
64: first brake member 70: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72: second tension member 74: second brake member
80: Control means 100: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B1: first uneven portion B2: second uneven portion

Claims (10)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 또는 신발이 안착되는 발 고정수단;
상기 발 고정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종아리 프레임;
상기 종아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넓적다리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넓적다리 프레임;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볼기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안장수단;
상기 종아리 프레임과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종아리 프레임과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조절하는 제1 회동조절수단;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과 상기 안장수단에 마련되어 상기 안장수단의 회동 동작을 조절하는 제2 회동조절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검출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회동조절수단과 상기 제2 회동조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조절수단은,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종아리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제1 장력부재; 및 상기 종아리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장력부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1 브레이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조절수단은, 상기 안장수단에 고정되고, 일부가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는 제2 장력부재;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장력부재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2 브레이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장력부재, 상기 제2 장력부재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A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A foot fixing means on which a user's foot or shoe is seated;
A calf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said foot fastening means and being in contact with or proximate to a user's calf;
A thigh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lf frame and being in contact with or proximate to a user's thigh;
Saddle mean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high frame and positioned adjacent to or in proximity to a ball of a user;
Detecting mean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alf frame and the thigh frame for detecting attitude information of a user;
First caliper adjusting means disposed in the calf frame and the thigh frame to adjust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thigh frame;
Second throttle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thigh frame and the saddle means for adjust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addle means; And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and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in accordance with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ing means,
The first rota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first tension member fixed to the thigh frame and a part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calf frame; And a first brake member disposed in the calf frame and fixing or releasing the first tension member,
The second rota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second tension member fixed to the saddle means and a part of which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thigh frame; And a second brake member which is disposed in the thigh frame and fixes or releases the second tension member,
Wherein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electromagnets sandwiching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부재와 상기 제2 장력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타이밍밴드, 체인, 와이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both of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comprises:
A timing belt, a chain, and a wir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부재 및 상기 제2 장력부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 및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에는,
상기 제1 요철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서로 근접하여 맞물리거나 서로 떨어져 상기 제1 장력부재, 상기 제2 장력부재가 각각 고정 또는 고정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are provided with:
A first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or projections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are provided,
A second concavo-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is formed,
And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are fixed or unlock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he first concavo-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o- Device.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종아리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종아리 프레임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1 관성센서;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2 관성센서; 및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6,
Wherein the detecting means comprises:
A first inertial sensor mounted on the calf frame to sense movement of the calf frame;
A second inertia sensor disposed in the thigh frame to sense motion of the thigh frame; And
A pressure sensor provided on the thigh frame and sensing movement of a user's thigh muscle;
Wherein the wearable posture maintaining auxiliary device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은,
사용자의 넓적다리 부근을 감싸는 넓적다리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넓적다리 밴드 중 사용자의 넓적다리 앞쪽에 접하는 부분 및 사용자의 넓적다리 뒷쪽에 접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도록 다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gh fram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thigh band surrounding the thigh of the user,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Wherein a plurality of the torsion springs are arranged to be respectively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thigh ban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thigh of the user and a portion of the thigh of the us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hig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관성센서 또는 상기 제2 관성센서를 통해 상기 종아리 프레임 또는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회동 동작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종아리 프레임 또는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회동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의자모드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를 동작시켜 제1 장력부재와 제2 장력부재를 고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calf frame or the thigh frame is not sen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rotation of the calf frame or the thigh frame is sensed through the first inertial sensor or the second inertial sensor, Judging,
And controls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to be fixed by operating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관성센서를 통해 상기 종아리 프레임과 상기 넓적다리 프레임의 동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넓적다리 근육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보행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제1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제2 브레이크부재를 동작시켜 제1 장력부재와 제2 장력부재를 고정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rein when the motion of the user's thigh muscle is sens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while the operation of the calf frame and the thigh frame is sen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ertial sensor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brake member and the second brake member to release the first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KR1020160049301A 2016-04-22 2016-04-22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KR101774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01A KR101774152B1 (en) 2016-04-22 2016-04-22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01A KR101774152B1 (en) 2016-04-22 2016-04-22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152B1 true KR101774152B1 (en) 2017-09-04

Family

ID=5992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301A KR101774152B1 (en) 2016-04-22 2016-04-22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152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182A (en) 2018-01-30 2019-08-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electric walking aids
KR20200009766A (en) * 2018-07-20 2020-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working assistance apparatus
CN111515931A (en) * 2020-04-21 2020-08-11 西北工业大学 Foldable exoskeleton movable seat
KR102157526B1 (en) * 2019-03-13 2020-09-21 국방과학연구소 Motion assist apparatus
KR102298949B1 (en) 2020-11-27 2021-09-07 (주)에코팜 Control Method of crop lift lower limb muscle assist system
KR102393519B1 (en) 2020-11-27 2022-05-03 (주)에코팜 crop lift lower limb muscle assist system
CN116270055A (en) * 2023-03-16 2023-06-23 深圳作为科技有限公司 Leg fixing device and intelligent walking rob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8344A (en) * 2012-03-30 2013-10-10 Equos Research Co Ltd Walking assistanc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8344A (en) * 2012-03-30 2013-10-10 Equos Research Co Ltd Walking assistance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182A (en) 2018-01-30 2019-08-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electric walking aids
KR20200009766A (en) * 2018-07-20 2020-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wor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095302B1 (en) * 2018-07-20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wor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157526B1 (en) * 2019-03-13 2020-09-21 국방과학연구소 Motion assist apparatus
CN111515931A (en) * 2020-04-21 2020-08-11 西北工业大学 Foldable exoskeleton movable seat
CN111515931B (en) * 2020-04-21 2022-06-21 西北工业大学 Foldable exoskeleton movable seat
KR102298949B1 (en) 2020-11-27 2021-09-07 (주)에코팜 Control Method of crop lift lower limb muscle assist system
KR102393519B1 (en) 2020-11-27 2022-05-03 (주)에코팜 crop lift lower limb muscle assist system
CN116270055A (en) * 2023-03-16 2023-06-23 深圳作为科技有限公司 Leg fixing device and intelligent walking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52B1 (en)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Di Natali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oft assistive lower limb exoskeleton
KR102617942B1 (en) Soft wearable muscle assist device
JP6692551B2 (en) Leg unit for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ance device
Zoss et al. On the mechanical design of the Berkeley Lower Extremity Exoskeleton (BLEEX)
JP4573798B2 (en) Lumbar support device
JP4110203B2 (en) Operation support device
KR100651639B1 (en) Foot pressure sensor of robot for assistant exoskeletal power
US20170181916A1 (en) Exoskeleton suit with hand control to enable walking
US20140213951A1 (en) Robotic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with orthopedic lower body exoskeleton for torque transfer to control rotation of pelvis during gait
KR100651638B1 (en) Muscle fiber expansion sensor of robot for assistant exoskeletal power
Eguchi et al. Standing mobility device with passive lower limb exoskeleton for upright locomotion
WO2007043308A1 (en) Mo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motion
KR20120064410A (en) Exoskeleton apparatus for assistant physical strength
US8968223B2 (en) Motion assist device
US20220218551A1 (en) Ankle-Assisted Exoskeleton Device
Lee et al. Flexible sliding frame for gait enhancing mechatronic system (GEMS)
JP2004261622A (en) Independent walking supporting machine
JP2006075254A (en) Walking assist mounting device
KR20190129188A (en)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a power
KR102207991B1 (en) Flexible Sheet Type Muscular Strength Assisting Suit
KR20160087779A (en) Walking System
KR20190142709A (en) Controlling method of lower body assisting robot
JP2016106955A (en) Bending motion assist device, bending motion assis method, and bending motion assist program
Hasegawa et al. Wearable assistive device for physical load reduction of caregiver-adaptive to caregiver's motion during transferr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