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027B1 -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027B1
KR101774027B1 KR1020160009988A KR20160009988A KR101774027B1 KR 101774027 B1 KR101774027 B1 KR 101774027B1 KR 1020160009988 A KR1020160009988 A KR 1020160009988A KR 20160009988 A KR20160009988 A KR 20160009988A KR 101774027 B1 KR101774027 B1 KR 10177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saving
power
authentication number
transm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593A (ko
Inventor
이혁
정준희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0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정영역에 사전 인증사용자가 다수 위치하고 있을 때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의 온(On) 또는 오프(Off)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콘센트에 꽂혀 있는 전기기구의 전력을 원활하게 선택 공급을 제어하는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Power Saving Electrical Socket and Power Saving Socket Control System}
본 실시예는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멀티콘센트 과부하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 멀티콘센트 자체에 부하되는 부하 전류량을 표시하는 멀티콘센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각각의 소켓 별로 정격용량 대비 부하 전류량을 표시하여 멀티콘센트에 흐르는 부하 전류량을 정격용량에 대비하여 바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변류기, 제어부 및 정격용량에 대비하여 부하 전류량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부하전류량 표시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멀티콘센트의 전력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일정영역에 사용자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의 온(On) 또는 오프(Off)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멀티콘센트에 꽂혀 있는 전기기구의 전력을 원활하게 선택 공급을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공개번호 KR 2015-0103801 A에는 블록형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일정영역에 사전 인증사용자가 위치하고 있을 때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의 온(On) 또는 오프(Off)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절전 콘센트에 꽂혀 있는 전기기구의 전력을 원활하게 선택 공급을 제어하는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소켓부;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전송부; 및 상기 제어전송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소켓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절전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부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소켓부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소켓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절전 콘센트; 및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페어링 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절전 콘센트로 송출하는 절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절전 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일 먼저 사용자가 절전 콘센트를 인증하고, 일정 구역범위에 사용자의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면 절전 콘센트와 단말기가 페어링되면서 콘센트의 각각의 전원소켓부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각각 단말기를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를 인증하도록 하며, 단말기와 절전 콘센트의 인증시 별도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인증 사용자가 일정 영역안에 같이 있을 경우 가장 먼저 도착한 사용자의 단말기가 절전 콘센트와 페어링되면서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며, 이 사용자가 영역을 벗어나면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하여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모든 사용자가 영역을 벗어나 일정시간 동안 단말기와 페어링이 되지 않으면 절전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절전 콘센트의 전원소켓부는 개별 제어 또는 그룹 제어를 단말기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시 전원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한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 절전 콘센트는 단말기와 상기 연결되고 단말기와 무선통신 통해 서버가 연결되어 원격에서 절전 콘센트 각각의 전원 소켓부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제어 또는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 시스템(2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관리서버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관리서버와 원격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 시스템(100)은 절전 콘센트(110)와 단말기(120) 및 네트워크(130)을 포함한다.
절전 콘센트(110)는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120)로 인증번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스위칭 제어신호는 전원을 차단(오프)하거나 전원을 유지(온)하는 제어신호를 의미한다. 절전 콘센트(110)는 인증번호를 저장하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와 저장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절전 콘센트(11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소켓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킨다. 이때,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예컨대, 15분동안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다가 오프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절전 콘센트(110)는 페어링된 단말기(120) 정보를 저장하고, 페어링이 유지되다 해제된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페어링의 그 해제시간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페어링이 유지되었던 단말기(120)가 페어링 해제된 후 1시간 이내에 다시 해당 구역에 진입하여 페어링 신호가 잡히는 경우 그 단말기(120)에 대해 인증번호 요청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절전 콘센트(110)는 특정 단말기(120)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다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인증번호를 전송한 다른 단말기(미도시)와 페어링을 시도하며, 그 다른 단말기와 페어링 연결되면 그 전원 연결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콘센트(110)는 인증번호를 전송한 모든 단말기가 구역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면서 다른 단말기가 있는지 검색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해도 다른 단말기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킨다.
한편, 절전 콘센트(110)는 복수의 소켓을 포함하며,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120)로부터 복수의 소켓 각각에 대한 외부 전원과의 전원 연결에 대한 선택(제어신호)을 입력받아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구역범위 안에 위치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동안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20)에 설치된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타이머와 매뉴얼 방식 등으로 외부 전원과의 전원 연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제어에 따라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로부터 그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그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즉, 사용자가 구역범위 안에 위치하지만 특정 시간을 설정 예컨대, 잠자는 새벽시간에 매일 또는 원하는 시간 마다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전원과의 전원 연결에 대한 제어신호(예컨대, 오프(off)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절전 콘센트(110)와 단말기(120) 사이의 통신은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Z-wave,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기(120)는 절전 콘센트(110)로부터 인증번호 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절전 콘센트(110)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유지되는데, 여기서,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단말기(12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12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이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자 서버로부터 다운받거나 단말기(120) 제조시에 이미 인스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기(120)에 탑재된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110)와 인증절차를 통해 페어링되며, 절전 콘센트(110)의 복수의 전원소켓부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2G, 3G, 4G, 5G,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인트라넷 네트워크 및 위성통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30)는 절전 콘센트(110)와 단말기(120)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110)는 전원연결부(112), 전원소켓부(114), 제어전송부(116) 및 제어 스위치부(118)를 포함한다.
전원연결부(112)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원연결부(112)는 절전 콘센트(110)의 일단에 위치하며, 외부전원 소켓에 연결되기 위한 전원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소켓부(114)는 다른 기기장치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전원소켓부(114)는 복수의 기기 예컨대, 선풍기, 온열기, 충전기, 청소기 등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다. 전원소켓부(114)는 복수의 소켓을 포함하며, 제어전송부(116)는 복수의 소켓 각각에 대한 외부 전원과의 전원 연결에 대한 선택을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입력받아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제어전송부(116)는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120)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제어전송부(116)는 페어링된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페어링이 유지되다 해제된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전송부(116)는 설정시간 내에 다시 해당 구역범위에 진입하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인증절차를 또 거치는 것을 생략하고 페어링되며,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제어전송부(116)는 단말기(120)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다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인증번호를 전송한 다른 단말기와 페어링된다. 제어전송부(116)는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진입하는 복수의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인증번호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인증번호를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전송부(116)는 복수의 단말기 중 가장 먼저 페어링된 단말기(120)와 페어링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다른 단말기와 페어링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단말기는 기 설정된 선별기준 예컨대, 통신신호의 강도에 따라 통신신호가 가장 강한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부(118)는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제어전송부(116)로부터 송출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전원과 전원소켓부(11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킨다. 제어 스위치부(118)는 제어전송부(116)로부터 송출된 그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전원과 전원소켓부(11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 시스템(2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 시스템은 절전 콘센트(210), 단말기(220), 절전 관리서버(23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절전 콘센트(21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부(310)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소켓부(320)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전원과 전원소켓부(3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어 스위치부(330)와, 절전 관리서버(230)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340)를 포함한다.
절전 콘센트(210)의 송수신부(340)는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Z-wave,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220) 또는 절전 관리서버(230)와 통신한다.
단말기(220)는 절전 콘센트(210)로부터 인증번호 요청신호를 전송받아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절전 콘센트(210)와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기(22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단말기(22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기(22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이란 사용자가 단말기(220)에서 다운받거나 단말기(220)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단말기(220)에 탑재된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절전 관리서버(230)와 인증절차를 통해 페어링되며, 절전 콘센트(210)의 복수의 전원소켓부의 전원을 오 또는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단말기(220)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단말기(220)와 페어링 되고, 스위칭 제어신호를 절전 콘센트(210)로 송출한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단말기(2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절전 콘센트(210)와의 페어링이 해제됨에 따라 절전 콘센트(210)로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라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절전 관리서버(230)는 페어링된 단말기(220) 정보를 저장하고, 페어링이 유지되다 해제된 단말기(220)가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절전 콘센트(210)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절전 관리서버(230)는 단말기(220)와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인증번호를 전송한 다른 단말기를 선별하여 페어링 연결한다.
한편, 절전 관리서버(230)는 구역범위를 벗어난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신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신청정보에 대응되는 원격 인증번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절전 콘센트(220)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가한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 단말기가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절전 콘센트(210)의 전원소켓부(320)를 개별 또는 그룹으로 제어하도록 허가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30)는 마찬가지로 2G, 3G, 4G, 5G, 무선랜 네트워크, 인터넷 네트워크, 인트라넷 네트워크 및 위성통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130)는 절전 콘센트(210), 단말기(220) 및 절전 관리서버(230)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4는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에서 다운받거나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탑재된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 또는 절전 콘센트(210)와 인증절차를 통해 페어링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인증번호 입력란(410)에 제1 실시예의 절전 콘센트(110) 또는 제2 실시예의 절전 관리서버(230)로부터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증번호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인증번호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탑재된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이름 입력란(420)에 절전 콘센트(110, 210)의 복수의 전원소켓부에 연결된 전기기구에 각각에 대해 명칭을 부여하여 식별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탑재된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전원제어 스위치(430)를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콘센트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절전 콘센트(110)는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120)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510). 여기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은 절전 콘센트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절전 콘센트(11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S520).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을 온으로 유지한다(S530).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예컨대 20분 동안 전원을 온으로 유지한 후 오프시킨다.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가 다시 구역범위로 진입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40).
단계 S540의 확인결과,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가 다시 구역범위로 진입하는 경우,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S550).
단계 S540의 확인결과, 절전 콘센트(110)는 단말기(120)가 다시 구역범위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 인증번호를 전송한 다른 단말기와 페어링되며, 전원 연결을 온으로 유지한다(S560).
도 5에서는 단계 S510 내지 단계 S5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510 내지 단계 S5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관리서버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복수의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10).
절전 관리서버(23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복수의 단말기(220)로부터 전송받고 하나의 단말기(220)와 페어링 되고, 스위칭 제어신호를 절전 콘센트로 송출한다(S620). 여기서, 하나의 단말기(220)는 복수의 단말기 중 통신신호가 가장 강한 단말기일 수 있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단말기(220)가 구역범위를 벗어나 절전 콘센트(210)와의 페어링이 해제됨에 따라 절전 콘센트(210)로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라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S630).
절전 관리서버(230)는 단말기(220)가 다시 구역범위로 진입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40).
단계 S640의 확인결과, 절전 관리서버(230)는 페어링이 유지되다 해제된 단말기(220)가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 기 저장된 페어링된 단말기(220) 정보에 따라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절전 콘센트(210)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한다(S650).
단계 S640의 확인결과, 절전 관리서버(230)는 단말기(220)가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220)와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인증번호를 전송한 다른 복수의 단말기 중 통신신호가 가장 강한 단말기를 선별하여 페어링 연결한다(S660).
도 6에서는 단계 S610 내지 단계 S6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610 내지 단계 S66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절전 관리서버와 원격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구역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신청정보를 수신한다(S710). 여기서, 원격 단말기는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단말기(220)를 의미한다. 또한, 원격신청정보는 기 설정된 구역범위를 벗어난 곳에서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절전 콘센트(2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절전 관리서버(230)는 원격신청정보에 대응되는 원격 인증번호 요청신호를 원격 단말기로 전송한다(S720).
절전 관리서버(230)는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절전 콘센트(210)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가한다(S730). 여기서, 원격 단말기는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절전 콘센트(210)의 동작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절전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개별 또는 그룹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단계 S710 내지 단계 S73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710 내지 단계 S73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절전 콘센트 시스템
110, 210: 절전 콘센트
112, 310: 전원연결부
114, 320: 전원소켓부
116: 제어전송부
118, 330: 제어 스위치부
120, 220: 단말기
130: 네트워크
200: 제2 절전 콘센트 시스템
230: 절전 관리서버
340: 송수신부
410: 인증번호 입력란
420: 전자기기 이름 입력란
430: 전자기기 전원제어 스위치

Claims (10)

  1.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소켓부;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복수의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기 저장된 인증번호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한 제2 단말기와 페어링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기가 상기 구역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면서 다른 단말기가 있는지 검색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해도 상기 다른 단말기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는 제어전송부; 및
    상기 제어전송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소켓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어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절전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송부는,
    상기 제1 단말기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 스위치부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구역범위를 벗어나 상기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소켓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콘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송부는,
    페어링된 제1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페어링이 유지되다 해제된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콘센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소켓부는,
    복수의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전송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소켓 각각에 대한 외부 전원과의 전원 연결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콘센트.
  6.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전원연결부와,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전원소켓부와,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전원과 상기 전원소켓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스위칭하는 제어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절전 콘센트; 및
    기 설정된 구역범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무선 통신 가능한 복수의 단말기로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인증번호를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기 저장된 인증번호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페어링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페어링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한 제2 단말기와 페어링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페어링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기가 상기 구역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면서 다른 단말기가 있는지 검색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해도 상기 다른 단말기가 검색되지 않으면 외부전원과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는 절전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관리서버는,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구역범위를 벗어나 상기 절전 콘센트와의 상기 페어링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절전 콘센트로 상기 전기적 연결을 오프시키라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관리서버는,
    페어링된 제1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페어링이 유지되다 해제된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구역범위로 다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증번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절전 콘센트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관리서버는,
    상기 구역범위를 벗어난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신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원격신청정보에 대응되는 원격 인증번호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원격 단말기로부터 원격 인증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절전 콘센트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허가하는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KR1020160009988A 2016-01-27 2016-01-27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KR10177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88A KR101774027B1 (ko) 2016-01-27 2016-01-27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88A KR101774027B1 (ko) 2016-01-27 2016-01-27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93A KR20170089593A (ko) 2017-08-04
KR101774027B1 true KR101774027B1 (ko) 2017-09-01

Family

ID=5965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988A KR101774027B1 (ko) 2016-01-27 2016-01-27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569B1 (ko) * 2019-05-14 2020-12-31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산업 전기에너지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에너지 관리방법
CN112164938B (zh) * 2020-09-28 2022-01-18 广州科通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WiFi远程控制的智能开关插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97B1 (ko)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897B1 (ko) * 2013-11-12 2014-04-29 (주)성진엠케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93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37841B (zh) 基于智能插座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AU2014233175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capable power distribution unit and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therewith
US9814084B2 (en) Location and pairing of devices on a local area network using a unique identifier
US20120331156A1 (en) Wireless control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CN102938729B (zh) 智能网关、智能家居系统及家电设备的远程控制方法
CN204464648U (zh) 一种智能远程控制插座及具有该插座的云插座系统
CN103973522B (zh) 智能家居系统及其监控方法
US9331524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measuring power usage
US20160323826A1 (en) Multimode and power-saving method of multimedia transmission and system thereof
JP2015524177A (ja) モジュール無線の電力、照明および自動操作制御
CN105338472B (zh) 无线路由设备、无线路由系统、通信方法
CN101815159A (zh) 一种智能家居电视控制系统
CN102591281A (zh) 一种开关、插座和摄像头的手机远程监控方法
CN105069875A (zh) 电子钥匙、电子设备及电子设备组网/配对方法
US20110077788A1 (en) Wireless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
KR101774027B1 (ko) 절전 콘센트 및 절전 콘센트 관리 시스템
CN108594731A (zh) 一种基于nfc的智能电器设备控制方法
CN104883724A (zh) 一种Wi-Fi物联网设备通信方法及Wi-Fi物联网系统
CN204721613U (zh) 一种Wi-Fi物联网系统及Wi-Fi物联网设备
CN111385611B (zh) 一种智能电视的账户登录方法、智能电视及终端设备
CN113573289B (zh) 基于蓝牙的客户端添加设备的方法和系统
KR101573785B1 (ko) Z-Wave 네트워크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기기 연결 방법
KR101479659B1 (ko)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멀티탭을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개별 제어 및 그룹 제어 되는 멀티탭
KR20070105689A (ko) 무선 제어 전원 장치
KR20160100043A (ko) 이종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콘센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