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47B1 -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747B1
KR101773747B1 KR1020170073689A KR20170073689A KR101773747B1 KR 101773747 B1 KR101773747 B1 KR 101773747B1 KR 1020170073689 A KR1020170073689 A KR 1020170073689A KR 20170073689 A KR20170073689 A KR 20170073689A KR 101773747 B1 KR101773747 B1 KR 10177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team
organic waste
partiti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102017007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7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파봉장치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파봉장치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탈수장치에 연결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파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하는 스크류커버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스크류커버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고, 증기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된 증기를 수용하여 상기 증기와 상기 스크류커버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하는 증기제공부 및 상기 증기제공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상기 증기제공부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증기제공부와 외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의 응축 속도를 지연시키는 보온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organic wastes that have been passed through a breaking apparatus to a dewatering apparatus,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reaking apparatu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ewatering apparatus A screw cover part for accommodating the organic waste supplied from the breaker devic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conveying par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 conveying the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steam supplier for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art and accommodating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unit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am, Of the steam accommodating space is surround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accommodating space To avoid the contact of the steam supply unit and the external air heated by maintaining thermal insulation for delaying the condensation rate of the steam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may include a.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0001]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0002]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파봉장치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이 탈수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ring organic waste through a breaker apparatus to a dewatering apparatus.

음식물 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으로는 소각 처리하는 방법과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찌꺼기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가공 처리하여 사료 및 비료로 제조하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Methods for treating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s include a method of incineration and a method of reducing the volume of food waste b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organic wastes. Recently, organic wastes have been processed using an organic waste treatment system Feed and fertilizer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78374호에 『음식쓰레기를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처리하기 위하여, 소각로와 보일러로 장치된 폐기물 소각수단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공급 받도록 된 공지의 음식쓰레기 처리수단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에 연결된 열기공급관에 열교환기를 장치하여 소각로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기가 열교환기에 의하여 조절된 후 건조기와 고속발효기에 각각 공급되도록 장치하며, 상기 보일러에 연결된 증기공급관에 열교환기를 장치하여 보일러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열교환기에 의하여 조절된 후 건조기와 고숙발효기와 후숙발효기에 각각 공급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소각열을 이용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an organic waste disposal syst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278374 discloses a method of treating a food waste to be fermented by a microorganism, in which the heat and steam generated in the incinerator and the boiler- Wherein a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 heat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incinerator so that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in the incinerator is controlled by a heat exchanger and then supplied to a dryer and a high speed fermenter, And the steam is supplied to the dryer, the high-mature fermenter, and the post-fermenter,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waste incinerating heat, It has been published.

상기 기술에서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된 음식쓰레기를 수거하여, 비닐봉지나 경질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파봉장치로부터 재료이송 콘베어를 통해 정량공급 호퍼로 유입되도록 하고, 정량공급호퍼로부터 유입된 음식쓰레기는 저장된 후에 일정량씩 유출되고 유입 콘베어에 의하여 탈수장치로 유입된다.In this technique, food waste generated in a home or a restaurant is collected and introduced into a quantitative feed hopper from a bagging device for removing a plastic bag or a hard solid material through a material feed conveyor, and the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quantitative feed hopper is stored And then flows into the dehydrator by the inflow conveyor.

여기서, 파봉장치로부터 탈수장치로의 음식쓰레기 이송을 위한 콘베어는 단순히 음식쓰레기를 이송하는 단순 컨베이어이다.Here, the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food waste from the breaking device to the dewatering device is simply a simple conveyer for transferring food waste.

겨울철 음식쓰레기는 동결된 상태로 파봉장치에 의해 비닐봉지 등의 고형물이 제거되는데, 동결된 음식쓰레기가 탈수장치로 그대로 이송되면서 탈수장치 기기의 파손을 야기하며, 또한 동결된 음식쓰레기의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음식물의 처리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winter, frozen food waste is frozen and solid objects such as plastic bags are removed by a breaking device. Frozen food waste is transferred to the dehydrator as it is, causing damage to the dehydrator device and dehydration of frozen food waste So tha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food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파봉장치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 스크류에 스팀(증기)을 공급함으로써 겨울철 동결된 폐기물을 녹이고, 부패를 활성화 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organic wastes that have passed through a breaking apparatus to a dewatering apparatus, comprising: an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for dissolving waste frozen in winter by supplying steam to the transferring screw,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는, 파봉장치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파봉장치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탈수장치에 연결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파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하는 스크류커버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스크류커버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고, 증기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된 증기를 수용하여 상기 증기와 상기 스크류커버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하는 증기제공부 및 상기 증기제공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상기 증기제공부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증기제공부와 외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의 응축 속도를 지연시키는 보온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organic wastes that have been passed through a breaking apparatus to a dewatering apparatus, wherei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reaking apparatus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dewatering apparatus A screw cover part for accommodating the organic waste supplied from the breaker devic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a conveying par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 conveying the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steam supplier for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art and accommodating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unit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am, Of the steam accommodating space is surround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accommodating space To avoid the contact of the steam supply unit and the external air heated by maintaining thermal insulation for delaying the condensation rate of the steam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may include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류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부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커버부는, 상기 스크류부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개방된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가 은닉되도록 하는 상부캡을 구비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rotational shaf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Wherein the screw portion is configured to advance the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the rotation shaft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screw cover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formed to roun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and an upper cap connected to an opened upp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to conceal the screw por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증기제공부는,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곡선부에 연결되는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증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상기 증기를 상기 내측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증기주입부 및 상기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의 상기 스크류커버부와의 열교환에 따른 상태 변화로 생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응축수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측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상기 증기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증기이동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eam supplying unit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ace forming unit connected to the curved part while forming the inner space and a partitioning part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pace forming part, A steam injection unit for guiding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supply unit to the inner space, and a condenser water generated by a state change due to heat exchange with the screw cover unit of the steam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the partition wall having a steam transfer hole for allowing the steam to flow from the first space to the second spa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과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2 공간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증기이동홀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증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통로의 크기가 확장되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2 면과의 경계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기의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경로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The partition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opposed to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ed to the second space, A parallel portion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second surface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vapor, Wherein the extension is formed so that the boundary with the second surface is rounded so that the path from the first space to the second space of the steam is extended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평행부는, 상기 제1 면과의 경계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기의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확장부로의 방출 경로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The parallel portion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boundary with the first surface is rounded so that the discharge path from the first space to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steam may be exten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증기이동홀은, 상기 구획부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por transfer holes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partition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uni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구획부는, 하측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유수흐름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수흐름홀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측면 및 상기 구획부 에 의하여 규정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서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partition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ter flow hole formed in a lower region and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orming portion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portion moves from the first space to the second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공간형성부는, 내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홈은, 상기 구획부의 일측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부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구획부의 상기 내측 공간에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space forming part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ssed groove formed by being embedded from an inner side surface thereof and the recessed groov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partitioning part,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in the inner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곡선부와 연결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채, 상기 곡선부와 제1 길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측면부의 폭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구획부는, 일측단은 상기 곡선부와 접촉되며, 타측단은 상기 배치부와 접촉되어 상기 곡선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길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곡선부와 상기 배치부를 매개하여 상기 배치부가 상기 곡선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pace forming unit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curved portion and a placemen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by a first length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Wherein the first length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side part, the one end of the partition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part,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arrangement part so that the curved part and the arrangement part The spacing distance can be maintained, and the arrangement pa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urved part through the curved part and the arrangement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구획부는, 상기 곡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획부, 제2 구획부 및 제3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과 제3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제3 구획부는, 상기 제3 공간과 제4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1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가 상기 제2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가 상기 제3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partment, a second compartment, and a third compartmen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art, And the second space divides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division divides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and the third division divides the third space and the fourth space,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first compartmen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econd compartment and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econd compartmen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third compartment, Can be largely formed.

상기 곡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획부, 제2 구획부 및 제3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과 제3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제3 구획부는, 상기 제3 공간과 제4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4 공간으로 갈수록 공간 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Wherein the first space is divided into a first space, a second space, and a third space, the first space,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art, Wherein the dividing section divides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the third dividing section divides the third space and the fourth space, and the temperature in the spac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space to the fourth space Can be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상기 보온유지부는, 상기 공간형성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위하는 포위부 및 상기 포위부와 상기 곡선부를 연결하여 상기 포위부가 상기 스크류커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holding and holding unit of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rrounding unit that surrounds the space forming unit so that the space forming un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urrounding unit that connects the surrounding unit and the curved unit,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겨울철 동결된 폐기물을 녹이고, 부패를 활성화 하도록 하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organic waste that dissolves the frozen waste in winter and activates the dec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가 장착된 폐기물 처리시설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증기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증기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equipped with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and FIG.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vapor transfer hole of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steam supply unit of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가 장착된 폐기물 처리시설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waste treatment facility equipped with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1)는 음식물 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설비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1 to 3, the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onent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such as food wast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송장치(1)는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중, 유기성 폐기물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화학적/물리적 가공 처리하여 사료 및 비료로 제조하는 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nsfer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acility for producing feed and fertilizer b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organic waste and chemically / physically processing the same, among the methods of treating organic wastes.

이송장치(1)는 파봉장치(2)와 탈수장치(3) 사이에 배치되어, 파봉장치(2)에 의해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3)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The transfer device 1 is a device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breaker device 2 and the dewatering device 3 and transfers the organic waste discharged by the breaker device 2 to the dewatering device 3.

특히, 겨울철 유기성 폐기물은 동결된 상태로 파봉장치에 의해 비닐봉지 등의 고형물이 제거되는데, 동결된 유기성 폐기물이 탈수장치로 그대로 이송되면서 탈수장치 기기의 파손을 야기하며, 또한 동결된 음식쓰레기의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음식물의 처리 효율이 낮아진다.Particularly, winter organic wastes are frozen, and solids such as plastic bags are removed by a breaking device. The frozen organic wastes are transferred to the dehydrator as they are, resulting in breakage of the dehydrator device, The efficiency of food processing is lowered.

본 발명은 파봉장치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내에 스팀(증기)을 공급함으로써 겨울철 동결된 유기성 폐기물을 녹이고, 부패를 활성화 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solves organic wastes frozen in winter by supplying steam (steam) into a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organic wastes through the break-off device to the dewatering device, thereby enabling the decay.

본 발명의 이송장치(1)는 스크류커버부(10), 이송부(20), 증기제공부(30) 및 보온유지부(40)를 포함한다.The convey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w cover portion 10, a conveying portion 20, a steam supplying portion 30, and a heat retaining portion 40.

스크류커버부(10)는 일측이 파봉장치(2)와 연결되고, 타측은 탈수장치(3)에 연결되어 파봉장치(2)에 의해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3)로 이송시키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The screw cover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dripping device 2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dewatering device 3 at the other side to feed the organic waste discharged by the breaking device 2 to the dewatering device 3. [ .

이송부(20)는 스크류커버부(10)의 수용 공간(S1)에 위치하여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일측에서 타측으로의 이송이란 파봉장치(2) 상의 위치에서 탈수 장치 상으로의 위치 이동을 의미한다.The transfer unit 2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S1 of the screw cover unit 10 and transfers the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1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Here, the transf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means a positional shift from the position on the sealing device 2 to the dehydrating device.

구체적으로, 이송부(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1), 구동부(21)와 연결된 채,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2) 및 회전축(2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류부(23)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conveying unit 20 includes a driving unit 21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rotation shaft 22 that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21, And a screw portion (23)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formed in a spiral shape.

스크류부(23)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22)에 의해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이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한다.The screw portion 23 allows the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1 to be advanc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the rotation shaft 22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여기서, 제1 방향이란 회전 날개의 나선형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부(23)에 의해 유기성 폐기물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전진이 유도되어 파봉장치(2)로부터 이탈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piral shape of the rotary vane, and the organic waste is guided forward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the screw part 23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Device.

한편, 스크류커버부(10)는 스크류부(23)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스크류부(23)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는 곡선부(11) 및 곡선부(11)의 개방된 상측에 연결되어 스크류부(23)가 은닉되도록 하는 상부캡(12)을 구비한다.The screw cover portion 10 is formed so as to roun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23 so that the curved portion 11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screw portion 23 and the open And an upper cap 12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crew portion 23 so that the screw portion 23 is concealed.

상부캡(12)은 곡선부(11)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부캡(12)은 곡선부(11)의 상측에 연결되는 경우, 곡선부(11)의 개방된 상측을 폐쇄하고, 곡선부(11)의 상측에서 이탈되는 경우, 곡선부(11)의 개방된 상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The upper cap 1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urved portion 11. When the upper cap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11 and the upper opened side of the curved portion 11 is closed and when the upper cap 12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11, So that the upper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부캡(12)에 의해 수용 공간(S1)은 외부로 노출되며 이 때,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이송부(20)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유기성 폐기물의 이송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부캡(12)을 곡선부(11)로부터 이탈시켜 수용 공간(S1) 내의 이송부(20)를 확인하거나 문제점을 판단하여 해결할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S1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upper cap 12. At this time, the carrying unit 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can remove the upper cap 12 from the curved portion 11 to check the conveyance portion 20 in the accommodation space S1 or determine a problem and solve the problem.

증기제공부(30)는 스크류커버부(10)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고, 증기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된 증기를 수용하여 증기와 스크류커버부(10)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한다.The steam feeder 30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ortion 10 and accommodates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feed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ortion 10 is in contact with the steam .

구체적으로, 증기제공부(30)는 내측 공간(S2)을 형성한 채, 곡선부(11)에 연결되는 공간형성부(31), 공간형성부(31)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S2)을 구획하는 구획부(32), 증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증기를 내측 공간(S2)으로 가이드하는 증기주입부(33) 및 내측 공간(S2)에 수용된 증기의 스크류커버부(10)와의 열교환에 따른 상태 변화로 생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응축수방출부(34)를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steam supplying unit 30 includes an inner space S2 formed by the space forming unit 31 and the space forming unit 31 connected to the curved unit 11 while forming the inner space S2, A steam injection section 33 for guiding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supply device to the inner space S2 and a screw cover section 10 for steam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S2,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34)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공간형성부(31)는 곡선부(11)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한다. 공간형성부(31)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S2)은 곡선부(11) 및 공간형성부(31)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공간 내에 유입된 증기에 의해 곡선부(11)가 가열되도록 하며, 가열된 곡선부(11) 즉, 스크류커버부(10)는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동결된 유기성 폐기물을 녹이거나, 유기성 폐기물의 부패를 활성화 하도록 한다.The space forming portion 31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curved portion 11. The inner space S2 formed by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is formed by the curved portion 11 and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so that the curved portion 11 is heated by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space, The heated curved portion 11, that is, the screw cover portion 10, melts the frozen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1 or enables the decay of the organic waste to be activated.

증기주입부(33)는 공간형성부(31)의 파봉장치(2)와 인접한 일측에 형성되어 파봉장치(2)로부터 유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가열되도록 하며, 응축수방출부(34)는 공간형성부(31)의 탈수장치(3)와 인접한 타측에 형성되어 스크류커버부(10)와의 열교환에 따른 상태 변화로 생성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steam injecting portion 3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adjacent to the sealing device 2 so that the organic waste introduced from the sealing device 2 is hea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dehydrator (3) of the screw cover (31)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state change due to heat exchange with the screw cover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기서, 공간형성부(31)의 내측 공간(S2)의 온도는 증기주입부(33)와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주입부(33)에 의해 최초로 공급된 증기는 높은 열에너지를 갖고 있으나 내측 공간(S2) 내에서 응축수방출부(34)를 향해 이동 중에 상태변화에 사용되어 소모됨으로써, 열에너지의 양이 줄어들므로, 내측 공간(S2)의 온도는 증기주입부(33)로부터 응축수방출부(34)를 향해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S2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may be lowered as the distance from the steam injecting portion 33 increases. Specifically, the steam initially supplied by the steam injector 33 has a high thermal energy, but is consumed and consumed in a state change while moving towar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34 in the inner space S2,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S2 can be gradually lowered from the vapor injection portion 33 towar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34. [

구획부(32)는, 내측 공간(S2)을 제1 공간(V1)과 제2 공간(V2)으로 구획하되,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2 공간(V2)으로의 증기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증기이동홀(323)을 구비한다.The partition 32 divides the inner space S2 into the first space V1 and the second space V2 and allows the steam to move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second space V2 And a steam transfer hole 323 for allowing steam to flow.

증기이동홀(323)은 구획부(32)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eam transfer holes 323 are spaced along the partition 32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s.

보온유지부(40)는, 증기제공부(30)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증기제공부(30) 내측 공간(S2)에 수용된 증기에 의해 가열된 증기제공부(30)와 외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하여 내측 공간(S2)에 수용된 증기의 응축 속도를 지연시킨다.The heat retaining part 40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eam supplying part 30 and is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ing part 30 heated by the steam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2 of the steam supplying part 30, Thereby preventing the contact and preventing the condensation speed of the steam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S2.

구체적으로, 보온유지부(40)는 후술할 공간형성부(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위하는 포위부(41) 및 포위부(41)와 곡선부(11)를 연결하여 포위부(41)가 스크류커버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42)를 구비한다.More specifically, the heat retaining portion 40 includes a surrounding portion 41 surrounding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urrounding portion 41 connecting the surrounding portion 41 and the curved portion 11 (42) for preventing the screw cover (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crew cover (10).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증기이동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의 증기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4 and 5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vapor transfer hole of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schematic cross- Fig.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송장치(1)의 구획부(32)는 제1 공간(V1)과 대향하는 제1 면(321) 및 제2 공간(V2)과 대향하는 제2 면(322)을 구비한다.4 to 7, the partition 32 of the conveying apparatus 1 includes a first surface 321 opposed to the first space V1 and a second surface 321 opposed to the second space V2 322).

증기이동홀(323)은 제1 면(321)과 제2 면(32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면(321)으로부터 제2 면(322)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증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평행부(323a) 및 평행부(323a)로부터 제2 면(322)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통로의 크기가 확장되는 확장부(323b)를 구비한다.The steam transfer hole 323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urface 321 and the second surface 32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am transfer hole 323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first surface 321 toward the second surface 322, A parallel portion 323a for providing a moving path and an extension portion 323b for gradually enlarging the size of the passage from the parallel portion 323a toward the second surface 322. [

평행부(323a)는 제1 공간(V1)에 수용된 증기가 제1 면(321)에 인접하거나 접촉되는 경우, 증기의 이동통로를 제공하여 증기의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2 공간(V2)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The parallel portion 323a provides a passage for the steam when the steam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V1 abuts 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321 so that the steam is supplied from the first space V1 of the steam to the second space V2 ). ≪ / RTI >

또한, 평행부(323a)는 제1 면(321)과의 경계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반응가스의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2 공간(V2)으로의 방출되는 경로가 확장되도록 한다.The parallel portion 323a is formed so that the boundary with the first surface 321 is rounded so that the path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second space V2 of the reactive gas is expanded.

확장부(323b)는 평행부(323a)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면(322)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통로의 크기가 확장되는 구간으로, 통로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확장된다.The extension portion 323b is a secti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parallel portion 323a and gradually enlarging the size of the passage toward the second surface 322. The size of the passage linearly expands.

이 때, 확장부(323b)와 제2 면(322)의 경계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증기의 평행부(323a)로부터 제2 공간(V2)으로의 방출되는 경로가 확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undary between the expansion portion 323b and the second surface 322 is rounded so that the path from the parallel portion 323a of the steam to the second space V2 can be extended.

구획부(32)는 하측 영역에 형성되어 제1 공간(V1)과 제2 공간(V2)을 연통하는 유수흐름홀(324)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artition 32 may further include a water flow hole 324 formed in the lower area to communicate the first space V1 and the second space V2.

유수흐름홀(324)은 구획부(32) 및 공간형성부(31)의 내측면에 의하여 규정되어 제1 공간(V1)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2 공간(V2)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The water flow hole 324 is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32 and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space V1 flows from the first space V1 into the second space V2,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제1 공간(V1)에 수용된 증기는 스크류커버부(10)와의 접촉에 따른 열교환에 따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응축되며, 이 때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화한 응축수는 제1 공간(V1) 내에 체류한다. 제1 공간(V1) 내에 체류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수흐름홀(324)을 통해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2 공간(V2)으로 이동한다.Specifically, the steam contained in the first space V1 condenses into a liquid state in the gas state due to heat exchange with the contact with the screw cover portion 10, and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changed to the liquid state at this time is condensed in the first space V1 ). The condensed water staying in the first space V1 moves downward due to gravity and moves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second space V2 through the water flow hole 324.

여기서, 공간형성부(31)의 내부 하측면은 곡선부(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제1 공간(V1) 내에 체류한 응축수는 공간형성부(31)의 내측면을 따라 최하측면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으며, 유수흐름홀(324)은 공간형성부(31)의 내부 최하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2 공간(V2)으로의 위치 이동이 극대화될 수 있다.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curved portion 11 so that the condensed water staying in the first space V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And the water flow hole 3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most inner side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second space V2 Movement can be maximized.

또한, 공간형성부(31)는, 내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312a)을 구비한다.Further,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has a recessed groove 312a formed by being embedded from the inner side.

함입홈(312a)은 구획부(32)의 일측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획부(32)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구획부(32)의 내측 공간(S2)에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The recessed groove 312a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dividing portion 32 to provide a space into which one end of the dividing portion 32 is inser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viding portion 32 in the inner space S2 .

또한, 함입홈(312a)은 구획부(32)와 공간형성부(31)의 체결 과정에서 구획부(32)의 공간형성부(31)의 체결 위치를 규정하여, 기 제작된 공간형성부(31)와 구획부(32)의 조립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도모한다.The recessed groove 312a defines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of the partitioning portion 32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partitioning portion 32 and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to form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and the partition portion 32 in the assembling process.

함입홈(312a)에 삽입된 구획부(32)의 일측단은 용접 등에 의한 추가작업에 의해 공간형성부(31)에 고정된다.One end of the partition 32 inserted in the recessed groove 312a is fixed to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by an additional operation by welding or the like.

공간형성부(31)는 곡선부(11)와 연결되는 측면부(311) 및 측면부(311)와 연결된 채, 곡선부(11)와 제1 길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치부(312)를 구비한다.The space forming part 31 includes a side part 311 connected to the curved part 11 and a placement part 312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art 11 by a first length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part 311 .

여기서, 제1 길이는 측면부(311)의 폭의 길이와 동일하며, 구획부(32)의 길이 또한 제1 길이이다.Here, the first length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311, and the length of the partition 32 is also the first length.

구획부(32)는 일측단은 곡선부(11)와 접촉되며, 타측단은 배치부(312)와 접촉되어 곡선부(11)와 배치부(312)가 제1 길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며, 곡선부(11)와 배치부(312)를 매개하여 배치부(312)가 곡선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artition 32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acement portion 312 so that the curved portion 11 and the placement portion 312 maintain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length And prevents the arrangement part 312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urved part 11 through the curved part 11 and the arrangement part 312.

구체적으로, 공간형성부(31)는 측면부(311)와 곡선부(11)의 연결에 의하여 스크류커버부(10)에 고정되는데, 이 때 공간형성부(31)의 내측 공간(S2)에 위치한 구획부(32)가 공간형성부(31)와 곡선부(11) 사이에 동시에 연결되어 공간형성부(31)의 스크류커버부(10)에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space forming part 31 is fixed to the screw cover part 10 by connecting the side part 311 and the curved part 11. At this time, the space forming part 31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S2 of the space forming part 31 The partitioning portion 32 is simultaneously connected between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and the curved portion 11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screw cover portion 10 o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can be improved.

만약, 공간형성부(31)가 측면부(311)와 곡선부(11)의 연결에 의하여서만 스크류커버부(10)에 고정되는 경우, 공간형성부(31)에 의한 자중에 의해 측면부(311)와 곡선부(11)의 연결부위가 파손 또는 손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형성부(31)와 곡선부(11)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부(32)가 양자를 매개하여 강성을 보강한다.If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is fixed to the screw cover portion 10 only by the connection of the side portion 311 and the curved portion 11,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urved portion 11 and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may be broken or damaged. Howev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ing portion 32 disposed between the space forming portion 31 and the curved portion 11, Thereby reinforcing the rigidit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의 구획부(32)는 곡선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획부(32a), 제2 구획부(32b) 및 제3 구획부(32c)를 구비한다.8, the partition 32 of the conve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partment 32a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11, A partition 32b and a third compartment 32c.

제1 구획부(32a)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구획부(3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며, 제2 구획부(32b) 및 제3 구획부(32c)는 제1 구획부(32a)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partition 32a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partition 3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the second partition 32b and the third partition 32c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partition And 32a.

제1 구획부(32a)는 제1 공간(V1)과 제2 공간(V2)을 구획하며, 제2 구획부(32b)는 제2 공간(V2)과 제3 공간(V3)을 구획하고, 제3 구획부(32c)는 제3 공간(V3)과 제4 공간(V4)을 구획한다.The first compartment 32a defines a first space V1 and the second compartment V2 and the second compartment 32b defines a second compartment V2 and a third compartment V3, The third partition 32c separates the third space V3 and the fourth space V4.

여기서, 제1 공간(V1)은 증기주입부(33)와 인접한 공간이며, 제4 공간(V4)은 증기주입부(33)와 가장 멀리 있는 공간이다.The first space V1 is a space adjacent to the vapor injection unit 33 and the fourth space V4 is a space farthest from the vapor injection unit 33. [

제1 공간(V1)으로 유입된 증기는, 증기주입부(33)에 의해 최초로 공급된 증기로 높은 열에너지를 갖고 있으나 제2 공간(V2), 제3 공간(V3) 및 제4 공간(V4)으로 이동 중에 상태변화에 사용되어 소모됨으로써, 열에너지의 양이 줄어들므로,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4 공간(V4)으로 갈수록 공간 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진다.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V1 has a high thermal energy due to the steam originally supplied by the steam injecting unit 33. However,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V2, the third space V3, and the fourth space V4, The amount of heat energy is reduced, so that the temperature in the spac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fourth space V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4 공간(V4)으로의 온도 변화율을 낮추기 위하여 즉,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4 공간(V4)으로의 증기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하여 제1 구획부(32a)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는 제2 구획부(32b)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제2 구획부(32b)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는 제3 구획부(32c)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lower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fourth space V4, that is, to efficiently move the vapor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fourth space V4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first compartment 32a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econd compartment 32b and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econd compartment 32b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compartment 32b,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portion 32c.

구체적으로, 제1 공간(V1)으로부터의 제2 공간(V2)으로의 증기의 이동 통로의 크기가 제2 공간(V2)으로부터 제3 공간(V3)으로의 증기의 이동 통로의 크기보다 크게 하여, 증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며, 동일한 이유로 제2 공간(V2)으로부터 제3 공간(V3)으로의 증기의 이동 통로의 크기가 제3 공간(V3)으로부터 제4 공간(V4)으로의 증기의 이동 통로의 크기보다 크게 하여, 증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size of the passage of steam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second space V2 is mad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ssage of steam from the second space V2 to the third space V3 And the size of the passage of the steam from the second space V2 to the third space V3 is equal to the size of the steam from the third space V3 to the fourth space V4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eam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에 따라, 제1 공간(V1)으로부터 제4 공간(V4)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공간 내의 온도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채 이동되는, 동결된 유기성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녹일 수 있다.Thus,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space which is lowered from the first space V1 to the fourth space V4,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elt the frozen organic waste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1.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해 구획부의 개수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는 이송 장치의 설치 위치와 작업 환경에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dividing sections is limit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viding sections may be form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10: 스크류커버부
S1: 수용 공간
30: 증기제공부
S2: 내측 공간
31: 공간형성부
32: 구획부
32a: 제1 구획부
32b: 제2 구획부
32c: 제3 구획부
V1: 제1 공간
V2: 제2 공간
V3: 제3 공간
V4: 제4 공간
33: 증기주입부
34: 응축수방출부
40: 보온유지부
41: 포위부
42: 이탈방지부
1: Organic waste transfer device
10: Screw cover part
S1: accommodation space
30: Steam supply
S2: Inner space
31: space forming part
32:
32a: first compartment
32b: second compartment
32c: a third compartment
V1: first space
V2: Second space
V3: Third space
V4: fourth space
33:
34: Condensate discharge part
40:
41:
42:

Claims (11)

파봉장치를 거친 유기성 폐기물을 탈수장치로 이송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파봉장치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탈수장치에 연결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파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하는 스크류커버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스크류커버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고, 증기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된 증기를 수용하여 상기 증기와 상기 스크류커버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하는 증기제공부; 및
상기 증기제공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상기 증기제공부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에 의해 가열된 상기 증기제공부와 외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의 응축 속도를 지연시키는 보온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 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류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부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상기 일측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전진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류커버부는,
상기 스크류부 외주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개방된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가 은닉되도록 하는 상부캡을 구비하며,
상기 증기제공부는,
상기 내측 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곡선부에 연결되는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증기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상기 증기를 상기 내측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증기주입부 및 상기 내측 공간에 수용된 상기 증기의 상기 스크류커버부와의 열교환에 따른 상태 변화로 생성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응축수방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내측 공간을 제1 공간과 제2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상기 증기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증기이동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An organic waste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ring organic waste having passed through a breaking device to a dewatering device,
A screw cover part connected to the sealing device on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dewatering device on the other side and accommodating the organic waste supplied from the sealing device in the receiving space by forming a receiving space;
A transfer uni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ransferring the organic was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steam supplier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crew cover part to receive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devic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cover pa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eam; A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eam feeder is surrounded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accommodated in the steam supply inner space and the outside air so that the condensation speed of the steam stored in the inner space And a heat retaining portion for retarding the heat retaining portion,
The transfer unit
And a screw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having a rotating shaft rotated by the rotating force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The screw section
The organic waste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advanced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by the rotation ax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screw cover portion
And a top cap which is formed to roun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portion and which is curv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screw portion and connected to an opened upp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so as to conceal the screw portion,
The steam supply unit,
A partition forming part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pace forming part, and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steam supplied by the steam supplying device to the inner space, And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e to a state change due to heat exchange between the steam cover portion and the screw cover portion of the steam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0028]
And a vapor transfer hole for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into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enabling the movement of the vapor from the first space to the second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과 대향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2 공간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증기이동홀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증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통로의 크기가 확장되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2 면과의 경계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기의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의 경로가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0028]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space,
The steam transfer hole
A parallel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size from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second surface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vapor; And an enlarged portion in which the size of the passage is gradually expanded toward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expanding portion comprises:
And the boundary with the second surface is rounded so that the path from the first space to the second space of the steam is extend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는, 상기 제1 면과의 경계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증기의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확장부로의 방출 경로가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rallel portion is formed so that a boundary with the first surface is rounded so that a discharge path from the first space to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steam is exten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이동홀은,
상기 구획부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am transfer hole
Wherein the plurality of organic waste conveying uni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artition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하측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통하는 유수흐름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유수흐름홀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측면 및 상기 구획부 에 의하여 규정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서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제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0028]
And a flow-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region for communica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flow-
An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space is defin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forming unit and the partitioning unit, from the first space to the second sp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내측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함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홈은,
상기 구획부의 일측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부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구획부의 상기 내측 공간에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ace-
And a recessed groove formed by being embedded from the inner side,
The recessed groove
Wherein the parti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partition and is provided with a space into which one end of the partition is insert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artition in the inner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는,
상기 곡선부와 연결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채, 상기 곡선부와 제1 길이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측면부의 폭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구획부는,
일측단은 상기 곡선부와 접촉되며, 타측단은 상기 배치부와 접촉되어 상기 곡선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길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곡선부와 상기 배치부를 매개하여 상기 배치부가 상기 곡선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curved portion and a position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portion by a first length,
The first length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0028]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rrangement portion so that the curved portion and the arrangement portion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length, Thereby preventing the organic wast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urved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곡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구획부, 제2 구획부 및 제3 구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획부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2 구획부는, 상기 제2 공간과 제3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제3 구획부는, 상기 제3 공간과 제4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제1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가 상기 제2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가 상기 제3 구획부에 형성된 증기이동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0028]
A first compartment, a second compartment, and a third compartment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art,
Wherein the first partition partitions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second partition partitions the second space and the third space,
The third partition partitions the third space and the fourth space,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first compartmen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vapor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econd compartment,
Wherein a size of the steam transfer hole formed in the second partition is larger than a size of the steam transfer hole formed in the third part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유지부는,
상기 공간형성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위하는 포위부 및 상기 포위부와 상기 곡선부를 연결하여 상기 포위부가 상기 스크류커버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 이송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eat-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surrounding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to prevent the surround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crew cover portion.
KR1020170073689A 2017-06-13 2017-06-13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KR101773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89A KR101773747B1 (en) 2017-06-13 2017-06-13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689A KR101773747B1 (en) 2017-06-13 2017-06-13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747B1 true KR101773747B1 (en) 2017-08-31

Family

ID=597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689A KR101773747B1 (en) 2017-06-13 2017-06-13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74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4124U1 (en) * 2018-07-30 2018-10-16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Шинкарев SCREW CONVEYOR
WO2019099385A1 (en) * 2017-11-15 2019-05-23 Sanivation LLC Continuous flow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human waste
RU191210U1 (en) * 2019-04-03 2019-07-29 Андрей Викторович Маховиков SCREW CONVEY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842A (en) 2001-09-20 2003-03-25 Fuji Heavy Ind Ltd Combustible waste separation method
JP2008264756A (en) 2007-03-23 2008-11-06 Kunitomo Kankyo Plant:Kk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and organic material obtained by the treatment method
JP5177770B2 (en) 2010-12-16 2013-04-10 有限会社国友環境プラント Organic waste treatment equipment
KR101270644B1 (en) * 2013-01-15 2013-06-03 정홍철 Crusher for waste and sludge disposal apparatus
CN104709652A (en) 2015-03-17 2015-06-17 扬州市金威机械有限公司 System for heating frozen garbage
KR101734153B1 (en) 2016-10-27 2017-05-11 이근섭 Waste treatment system using steam disk dry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842A (en) 2001-09-20 2003-03-25 Fuji Heavy Ind Ltd Combustible waste separation method
JP2008264756A (en) 2007-03-23 2008-11-06 Kunitomo Kankyo Plant:Kk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and organic material obtained by the treatment method
JP5177770B2 (en) 2010-12-16 2013-04-10 有限会社国友環境プラント Organic waste treatment equipment
KR101270644B1 (en) * 2013-01-15 2013-06-03 정홍철 Crusher for waste and sludge disposal apparatus
CN104709652A (en) 2015-03-17 2015-06-17 扬州市金威机械有限公司 System for heating frozen garbage
KR101734153B1 (en) 2016-10-27 2017-05-11 이근섭 Waste treatment system using steam disk dry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9385A1 (en) * 2017-11-15 2019-05-23 Sanivation LLC Continuous flow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human waste
US10836652B2 (en) 2017-11-15 2020-11-17 Sanivation LLC Continuous flow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human waste
RU184124U1 (en) * 2018-07-30 2018-10-16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Шинкарев SCREW CONVEYOR
RU191210U1 (en) * 2019-04-03 2019-07-29 Андрей Викторович Маховиков SCREW CONVEY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747B1 (en) Apparatus for feeding organic waste
DK3210680T3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material and process for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liquid material
KR20100065662A (en) Device of drying sludge
CN102628642B (en) Indirect heating type dryer
CN101870548A (en) Sludge stirring and granulating rotary drying device
KR101830270B1 (en) A disposal system for waste foods and combustible rubbish using in heat source
CN102372328B (en) Horizontal evaporative concentration system
KR101346593B1 (en) A conveyor screw module and a food disposer including it
KR200284019Y1 (en) Equipment for dryer to waste and extracting an oil from the plastic waste that is linked to waste incinerator
KR20010108528A (en) Pyrolysis apparatus for polymeric wastes
KR100903744B1 (en) Drying apparatus of discharge device and food processor equipped with the same
KR100987573B1 (en) Disc dryer having no spilling steam
KR20110005982U (en) Apparatus for drying sludge
JP3808315B2 (en) Vertical dryer and drying device
KR200453864Y1 (en) Sludge Dryer
KR102038682B1 (en) Apparatus for drying sludge
JP2000176399A (e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KR100925265B1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20030072873A (en) An organic waste drying system
AU766575B2 (en) Batch sludge dehydrator
JP2010203675A (en) Drying volume reduction device of treated object and drying volume reduction method of treated object
KR20140115857A (en) Apparatus for drying waste materials including moisture
KR20200012232A (en) Sludge drying apparatus
JP2012047373A (en) Horizontal continuous conduction heat transfer type dryer
KR101471908B1 (en)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Having Exhaust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6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5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0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