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550B1 -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 Google Patents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550B1
KR101773550B1 KR1020160107608A KR20160107608A KR101773550B1 KR 101773550 B1 KR101773550 B1 KR 101773550B1 KR 1020160107608 A KR1020160107608 A KR 1020160107608A KR 20160107608 A KR20160107608 A KR 20160107608A KR 101773550 B1 KR101773550 B1 KR 10177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zone
module
wat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흠
정미경
황종원
정만영
Original Assignee
윤정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흠 filed Critical 윤정흠
Priority to KR102016010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5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Abstract

An air purifier comprises: an accommodation member which accommodates water; an electrolysis module which generates hydrogen and ozone by electrolyz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member and then provides hydrogen to water in the accommodation member, and stores ozone in an inner space; a fan which receives air; an ozone providing modul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through fluid and provides ozone to inserted air; and an axis member which has a rotation axis of the fan formed on an upper portion and a hollow hole and a discharge hole formed on a lower portion, and is rotated as the fan is rotated by a driving motor subsequently to enable hydrogen water containing hydrogen to be inserted through the hollow hole, to flow along the hollow hole, and to be spray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to air having reacted to ozon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which can perform a sterilization function and a reduc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 방법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적으로 생상한 오존 및 수소를 이용하여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an air clean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and an air cleaning method for purifying air using internally generated ozone and hydrogen.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시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를 갖는 공기 청정기의 본체 내부에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장치와, 이 송풍장치의 동작에 의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필터 장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걸러 낼 수는 있지만, 실내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을 살균시키거나 냄새를 탈취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오존 또는 치아염소산 등이 사용되어 실내 공기에 대하여 살균 처리를 수행한다(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872호 참조).Background Art [2] Generally, an air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indoor air by filtering dust in indoor air. Such an air cleaner includes an air blowing device that sucks indoor air into the main body of an air cleaner having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nd forcibly blows air, and dust contained in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is filter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er And a filter device. Although such a filter device can filter dust contained in the room air, there is a limitation in sterilizing the bacteria contained in the room air or deodorizing the odor. To solve this problem, ozone or hypochlorous acid is used in the room Air is sterilized (see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28872).

그러나, 살균에 사용되는 오존은 강력한 산화력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화합물로 분류되어 있고, 환경부에서는 대기 중 0.12ppm 이상의 오존이 존재할 때는 오존 주의보를, 0.3ppm 이상일 때는 오존 경보를 발령하는 등 오존은 인체 건강에 해로운 성분이기도 하므로, 공기 청정기 내에서 사용된 오존을 방출하거나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후처리 없이 그대로 방출하는 것은 인체에 해로울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 내에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환원시킬 환원 물질 제공 장치가 존재하여 공기를 환원시킬 필요가 있다.However, the ozone used for sterilization is classified as harmful to the human body due to its strong oxidizing power. In the environment, ozone warning is issued when ozone is present in the air in the presence of 0.12 ppm or more, It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to emit ozone used in the air cleaner or to release the air reacted with ozone without treatment. Therefore, there is a reducing material supply device for reducing the air reacted with ozone in the air cleaner, so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ir.

또한, 좁은 공간에 사용되는 공기 청정기의 경우 부피가 작기 때문에 내부에 오존 제공 장치와 별도로 환원 물질 제공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환원 물질 제공 장치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제조비 상승, 제조 상의 어려움 등으로 시장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olume of the air purifier used in a narrow space is small,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reducing material supplying device separately from the ozone supplying device in the inside thereof. Even if a reducing material supplying device is installed, There is concern that competitiveness will weake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살균 작용을 하는 오존 및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환원하는 환원성 물질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장치 내지 방법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n air purifier and an air cleaning method having an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generating a reducing substance for reducing air reacted with ozone and a sterilizing action.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공기 청정기 내의 단일 구성 및 작용을 통해 살균 작용을 하는 오존 및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환원하는 환원성 물질을 동시에 생성하여, 단순한 구성으로도 공기에 대한 살균 작용과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공기에 대한 환원 작용을 함께 수행하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ultaneously generate ozone that performs a sterilizing action and a reducing material that reduces air reacted with ozone through a single constitution and action in the air purifi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 purifier and an air cleaning method that perform a reducing action on harmful air togeth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 수용 부재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한 후, 수소는 수용 부재 내의 물로 제공하고, 오존은 내부 공간에서 저장하는 전기 분해 모듈, 공기를 유입하는 팬,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 되어 있어, 유입된 공기에 오존을 제공하는 오존 제공 모듈 및 상부에는 팬의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중공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축부재로서, 구동 모터에 의해 팬이 회전함에 따라 축부재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가 중공으로 유입되어 중공을 따라 유동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오존과 반응한 공기로 분사되는 것인 축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leaner comprising: a housing member for housing water; a housing accommodating the housing member; An ozone supply module for supplying ozone to the introduced air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and an ozone supply module for supplying ozone to the ozone supply module, And the shaft member also rotates as the fan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s a result, hydrogen water, which is water containing hydrogen, flows into the hollow and flows along the hollow, And is injected into the air that has reacted with ozone through the shaft memb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방법은, 전기 분해 모듈에서 수용 부재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 오존 제공 모듈을 통해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오존을 제공하는 단계, 팬의 회전축이 존재하는 축부재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오존과 반응한 공기에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를 분사하는 단계 및 오존 및 수소수와 차례대로 반응한 공기를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leaning method comprising: electrolyzing water in a housing member of an electrolytic module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Which is water containing hydrogen, into the air reacted with the ozone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haft member in which the rotary shaft of the fan is present, and the step of discharging the air reacted sequentially with ozone and hydrogen water to the air outlet .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 내의 단일 구성 및 작용을 통해 살균 작용을 하는 오존 및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환원하는 환원성 물질을 동시에 생성하여, 단순한 구성으로도 공기에 대한 살균 작용과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공기에 대한 환원 작용을 함께 수행하는 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zone having a sterilizing action and a reducing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air reacted with ozone are generated at the same time through a single constitution and action in the air purifier, so that even a simple constitution can be sterilized against air and harmful to human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cleaner and an air cleaning method that together perform a reducing action on ai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전기 분해 모듈 내에서 수행되는 전기 분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 내에서 공기가 청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공기 배출구가 배출구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ysis process performed in an electrolysis module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air in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air outlet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by an outlet cov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n air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operations.

도 1 내지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전기 분해 모듈 내에서 수행되는 전기 분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 내에서 공기가 청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공기 배출구가 배출구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to 5,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ysis process performed in an electrolysis module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purifying air in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air outlet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closed by an outlet cover.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200)는 수용 부재(180), 전기 분해 모듈(50), 공기 출입 프레임, 오존 제공 모듈을 포함한다.1 to 5, an air purifi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member 180, an electrolysis module 50, an air inlet frame, and an ozone supply module.

수용 부재(180)는 공기 청정기(200)의 골격을 형성하면서 공기 청정에 사용될 수소 및 오존을 전기 분해로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부재이다. 즉, 수용 부재(180)는 물을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물은 후술할 전기 분해 모듈(50)에 의해 전기 분해되어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housing member 180 is a member for storing water necessary for electrolytically generating hydrogen and ozone to be used for air cleaning while forming the skeleton of the air cleaner 200. That is, the housing member 180 stores water, and the stored water can be electrolyzed by the electrolysis module 50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전기 분해 모듈(50)은 수용 부재(18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전기 분해 모듈(50)은 수용 부재(18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수용 부재(180)의 저면을 형성함에 따라 공기 청정기(200) 내의 물은 수용 부재(180)와 전기 분해 모듈(50)에 의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은 전기 분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분해 모듈(50)의 상면에는 실질적으로 전기 분해를 담당하는 전기 분해 유닛(20)이 설치되는 설치 자리(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설치 자리(15)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고 이 오목부에 전기 분해 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The electrolysis module 50 electrolyzes the water contained in the housing member 180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The electrolytic module 50 is positioned below the housing member 180 and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180 so that the water in the air cleaner 2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member 180 and the electrolytic module 50 ), And the stored water can be used for electrolysis. An installation site 15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to provide an electrolysis unit 20 that is substantially electrolytic. The installation site 15 may have a concave shape And the electrolytic unit 20 may be installed in the recess.

전기 분해 유닛(20)은 (+) 전극 및 (-) 전극 그리고 (+) 전극과 (-) 전극 사이에 위치한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전극들 및 멤브레인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내에서 (-) 전극은 상부, 즉 수용 부재(180) 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 전극은 하부, 즉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 쪽에 위치할 수 있는 바, 전기 분해 유닛(20)에 의한 전기 분해의 결과로 (-) 전극에서는 수소(H2)가 생성되어 수용 부재(180)의 내부 공간(160)으로 이동할 수 있고, (+) 전극에서는 오존(O3)이 생성되어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으로 이동할 수 있다.Electrolysis unit 20 may include a membrane located between the (+) and (-) electrodes and the (+) and (-) electrodes and may also include a housing for receiving the electrodes and membrane have. (-) electrode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i.e., on the side of the housing member 180, and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i.e., the inner space 55 sid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As a result of the electrolysis by the decomposition unit 20, hydrogen (H 2 ) is generated in the (-) electrode and can move to the internal space 160 of the housing member 180, and ozone (O 3 Can be generated and moved to the internal space 55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

도 3 을 통해, 전기 분해 모듈(50)의 형상을 살펴보면, 전기 분해 모듈(50)의 외형, 즉 모듈 하우징(10)은 내부 공간을 지닌 통 형상일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 모듈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는 일체형 형상이거나, 덮개인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에 덮이는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outer shap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that is, the outer shape of the module housing 10, may be a tubular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more specifically, a module housing 10 May be an integral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or may be an upper housing, which is a cover, and a lower housing, which covers the upper housing.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면에는 오목 형상의 전기 분해 유닛(20)의 설치 자리(15)가 있고, 설치 자리(15)의 저면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 전극은 수용 부재(180)의 물과 접촉하고, (+) 전극은 전기 분해 모듈(50) 내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mounting seat 15 of the electrolytic unit 20 having a concave shape on the upper surface, and a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eat 15. (-)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e housing member 180, and the (+) electrode can be ensured in contact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또한, 전기 분해 모듈(50)의 상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된 돌출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출관은 수용 부재(180)의 내부 공간(160)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 돌출관(40) 및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부 돌출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돌출관(40)은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과 유체 연통 되어 있는 바 상부 돌출관(40)을 통해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에서 외부로 오존이 배출되고, 하부 돌출관(30)은 수용 부재(180)의 내부 공간(160)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바 오존이 배출되어 발생된 빈공간만큼 하부 돌출관(30)을 통해 수용 부재(180)의 물이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오존의 빈자리가 자동적으로 수용 부재(180)의 물로 채워짐으로써 전기 분해에 사용될 물이 부족하게 되지 않으며 그 결과 지속적인 전기 분해를 보장하게 된다.A protruding tube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may be formed and the protruding tube may include an upper protruding tube 40 protruded into the inner space 160 of the housing member 180, And a lower protruding pipe 30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55 of the decomposition module 50. The upper protrusion pipe 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through the upper protrusion pipe 4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55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And the lower protruding pipe 30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160 of the receiving member 180 through the lower protruding pipe 30 by the empty space generated by discharging the ozone which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160 of the receiving member 180, Water may be provided to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 The filling of the vacant space of the ozone by the water of the housing member 180 automatically does not cause a shortage of water to be used for electrolysis, thereby ensuring continuous electrolysis.

한편, 도 3 을 통해, 전기 분해의 결과로 생성된 오존이 전기 분해 모듈(50) 내부로 이동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전기 분해 유닛(20)의 설치 자리(15)의 하면은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의 저면과 접촉하여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는데, 다만 설치 자리(15)의 하면 일부에 오존 통과 경로(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로(25)를 통해 생성된 오존이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오존 통과 경로(25)로 전기 분해 모듈(50) 내의 물이 이동하여 설치 자리(15)의 구멍을 통해 (+) 전극과 접촉하여 전기 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오존 통과 경로가 존재하거나, 또는 설치 자리의 하면과 전기 분해 모듈(50)의 저면은 맞닿아 있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3, the ozon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electrolysis is moved into the electrolysis module 50.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ite 15 of the electrolysis unit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sis module 50 The ozone passage 25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eat 15 and the ozone passage 25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pace 15, The ozone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lytic module 50 can be moved to the internal space 55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In addition, the water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may move to the ozone passage 25 and may be contacted with the (+) electrode through the hole of the installation site 15 to cause electrolysis. Of course,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ozone passage paths may exist as another embodiment,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렇게, 전기 분해 모듈(50)이라는 단일 구성을 통해 단순한 방식으로 살균 작용에 사용될 오존 및 오존과 반응한 공기의 환원에 사용될 수소를 동시에 생성함에 따라, 공기 청정기(200)의 부피가 작아져서 운반이 수월하고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제조비가 절감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여 시장성도 확보하게 된다.By simultaneously generating hydrogen to be used for the reduction of the ozone to be used for the sterilizing action and the air reacted with the ozone through the singl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in a simple manner, the volume of the air purifier 200 becomes small, It is easy to install and is not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place.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maintenance and repair are easy, and marketability is secured.

공기 출입 프레임은 외부의 공기(A)를 유입하고, 유입된 후 정화된 공기(C)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공기 출입 프레임은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60) 및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60)에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A)가 공기 청정기(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60)은 오존 배출 부재와 연결되어 있어 전기 분해 모듈(50)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 배출 부재를 통해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60)의 공기 유입구로 배출될 수 있고, 그 결과 외부 공기(A)는 오존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The air inlet / outlet frame is a member for introducing the outside air (A), and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C) after it has been introduced. The air inlet frame may include an upper air inlet frame 60 and a lower air inlet frame 70. An air inlet is formed in the upper air inlet frame 60 so that air A is supplied to the air cleaner 200 The upper air inlet frame 60 is connected to the ozone discharge member so that the ozone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flows through the ozone discharge member into the air inlet / And as a result, the outside air (A) can be sterilized by ozone.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70)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팬(90) 및 팬(90)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80)가 설치되는 자리를 지닐 수 있으며, 팬(90)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80)는 팬(9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구동축을 통해 팬(9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70)에는 공기 배출 경로(140) 및 공기 배출구(1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 배출구(150)는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7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기 배출구(150)와 유체 연통되어 있는 공기 배출 경로(140)는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70)에 형성되어 있는 바, 정화된 후 수용 부재(180) 내에 있는 공기(C)는 공기 배출 경로(140)를 따라 공기 배출구(150)로 이동한 후에 공기 배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lower air inlet and outlet frame 70 may include a fan 90 for allowing air to flow in and a driving motor 80 for driving the fan 90. The driving motor 80 80 may be connected to the fan 90 through a drive shaft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90. The lower air inlet frame 70 may have an air discharge path 140 and an air discharge port 150. The air discharge port 15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air inlet / And an air discharge path 14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ir discharge port 150 is formed in the lower air access frame 70 so that the air C in the cleaned storage member 180 is discharged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50 after moving to the air outlet 150 along the path 140.

한편, 도 4 에서 K 방향으로 공기 배출구(150)를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 5 를 보면, 공기 배출구(150)는 배출구 커버(170)를 통해 개폐가 이루어지며, 배출구 커버(17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공기 배출구(150)의 개폐 정도(S)를 조절함으로써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 커버(170)에는 배출구 구멍(175)이 형성되어 있어 배출구 커버(170)가 공기 배출구(150)를 전부 폐쇄할 시에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5, the air outlet 150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outlet cover 170, and the outlet cover 170 is opened and cl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mount of air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pening / closing degree S of the air discharge opening 150 while sliding. The outlet cover 170 is formed with an outlet hole 175 so that the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outlet cover 170 completely closes the air outlet 150.

추가적으로, 도 4 를 보면, 팬(90)과 연결된 부재로서 축부재가 있을 수 있으며, 축부재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축부재(100) 및 상부 축부재(100)와 결합되어 있으며 중공 및 토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축부재(11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구동 모터(80)에 의해 팬(90)이 회전함에 따라 축부재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 전기 분해로 생성된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H)가 하부 축부재(1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중공을 따라 유동하면서 토출구(120)를 통해 오존과 반응한 공기(B)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수소수(H)는 오존과 반응한 공기(B)를 환원시키고 또한 공기(B) 내의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4, the shaft member may be a member connected to the fan 90, and the shaft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haft member 100 and the upper shaft member 100 in which the rotation shaft is formed, And a lower shaft member 110 on which the lower shaft member 120 is formed. In this connection, as the fan 90 rotates by the drive motor 80, the shaft member also rotates so that hydrogen water H, which is water containing hydrogen generated by electrolysis, flows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lower shaft member 110 And may be injected into the air B reacting with ozon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while flowing along the hollow. On the other hand, the hydrogen (H) reduces the air (B) reacted with ozone and removes the dust in the air (B) to purify the air.

이러한 축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축부재(100)와 하부 축부재(11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부 축부재와 하부 축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하부에 중공 및 토출구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토출구는 하부 부분 내지 하부 축부재에 형성되는 대신에 상부 부분 내지 상부 축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오존과 반응한 공기에 수소수를 분사할 수만 있다면 토출구의 형성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shaft member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shaft member 100 and the lower shaft member 11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haft member and the lower shaft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A hollow and a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o the upper shaft member instead of being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o the lower shaft member,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as long as it can spray hydrogen water to the air reacted with ozone .

오존 제공 모듈은 전기 분해 모듈(50)에서 생성된 오존을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제공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오존 제공 모듈은 전기 분해 모듈(50)에 형성된 상부 돌출관(40)과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60)의 공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오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 분해 모듈(50)에서 생성된 오존은 내부 공간(55)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부 돌출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오존은 오존 공급관을 따라 이동하여 공기 유입구로 배출되어 공기(A)를 살균하게 된다.The ozone providing module is a module for supplying the ozone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to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ozone providing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zone supply pipe connecting the upper protrusion pipe 40 form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and the air inlet of the upper air inlet frame 60. That is, the ozone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55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projecting pipe 40. The discharged ozone moves along the ozone supply pipe and is discharged to the air inlet Thereby sterilizing air (A).

도 4 를 통해, 오존 제공 모듈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오존 제공 모듈은 제 1 오존 공급관(130) 및 제 2 오존 공급관(135)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오존 공급관(130)은 전기 분해 모듈(50)의 상부 돌출관(40)과 연결되고 수용 부재(180)의 높이 방향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으면서 공기 출입 프레임에 형성된 연결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제 2 오존 공급관(135)은 공기 출입 프레임에 형성된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60)의 공기 유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오존의 이동 경로를 보면, 오존은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 전기 분해 모듈(50)의 상부 돌출관(40), 제 1 오존 공급관(130), 공기 출입 프레임의 연결관 및 제 2 오존 공급관(135)을 따라 이동하여 유입되는 공기로 배출될 수 있다.4, the ozone supply module may include a first ozone supply pipe 130 and a second ozone supply pipe 135, and the first ozone supply pipe 130 may include a first ozone supply pipe The second ozone supply pipe 135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rotrusion pipe 40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and to the connection pipe formed in the air inlet frame while being position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member 180, And can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ipe formed in the air inlet frame and to an air inlet of the upper air inlet frame 60. In view of the ozone movement path under such a configuration, the ozone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55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the upper projecting pipe 40 of the electrolysis module 50, the first ozone supply pipe 130, The second ozone supply pipe 135, and the second ozone supply pipe 135,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inflow air.

추가적으로, 도 2 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200)의 구성을 더 살펴보면, 상부 덮개(125)는 공기 청정기(200)의 상부를 덮는 부재로서 이 상부 덮개(125)의 중앙에는 구멍이 존재하여, 이 구멍을 통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 출입 프레임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외부 하우징(190, 195)은 공기 청정기(200)의 측면을 감싸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이 외부 하우징(190, 195)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중 한 외부 하우징(195)에는 전술한 배출구 커버(170)의 슬라이딩을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2, the air clean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op cover 125 covering the top of the air cleaner 200, There is a hole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and moves to the air inlet frame. The outer housings 190 and 195 may be housings enclosing a side surface of the air cleaner 200. The outer housings 190 and 195 may be formed of two different housings, 195 may be formed with a guide for sliding the outlet cover 170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 및 7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도이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7 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3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200)와 동일하게, 상부 덮개(270), 공기 출입 프레임(250), 팬(230), 축부재(240, 245), 전기 분해 유닛(220), 전기 분해 모듈(210) 및 외부 하우징(260, 2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팬(230)에 의해 공기 출입 프레임(25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전기 분해 모듈(210)에서 생성한 수소 및 오존과 반응하여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6 and 7, an air clean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ver 270, an air inlet / An electrolytic unit 220, an electrolysis module 210, and an outer housing 260, 265. The fan unit 230 may include a fan unit 250, a fan 230, shaft members 240 and 245, In this configuration,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 outlet frame 250 by the fan 230, and the introduced air is purified by reacting with hydrogen and ozone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210,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300)는 별도의 배출구 커버가 없이 외부 하우징(260, 265)에 공기 배출을 위한 구멍(263)이 형성되어 배출 기능을 수행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구 커버가 존재하고, 이 배출구 커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air clean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ole 263 formed in the outer housings 260 and 265 without a separate outlet cover to perform the discharging function, There is a discharge cover, and a hole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cover.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방법의 흐름도이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air purif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s a flowchart of an air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방법은, 전기 분해 모듈에서 수용 부재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 오존 제공 모듈을 통해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오존을 제공하는 단계(S20), 팬의 회전축이 존재하는 축부재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오존과 반응한 공기에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를 분사하는 단계(S30) 및 오존 및 수소수와 차례대로 반응한 공기를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an air clea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electrolyzing water in a housing member in an electrolysis module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S10) (S30) spraying hydrogen-containing water, which is a water containing hydrogen, into the air reacted with the ozone through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haft member in which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is present (S30), and supplying ozone to the air And discharging the air that has reacted in turn through the air outlet (S40).

전기 분해 모듈에서 수용 부재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는, 전기 분해 모듈(50)은 공기 정화에 사용될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하기 위해 수용 부재(18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전기 분해 유닛(20)을 이용하여 전기 분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분해의 결과로서 수소 및 오존이 생성되고, 생성된 수소는 수용 부재(180)의 물로 제공되어 수용 부재 내에는 수소수(H)가 존재하게 되고, 오존은 전기 분해 모듈(50)의 내부 공간(55)으로 제공되어 저장된다.In the electrolysis module, step (S10) of electrolyzing water in the housing member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the electrolysis module 5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member 180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to be used for air purification The electrolytic water can be electrolyzed using the electrolytic unit 20. As a result of such electrolysis, hydrogen and ozone are produced, and the generated hydrogen is supplied by the water of the housing member 180, and hydrogen water (H) is present in the housing member, and ozone is generated in the electrolysis module 50 Space 55 and stored.

오존 제공 모듈을 통해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오존을 제공하는 단계(S20)는, 유입된 공기(A)에 살균 처리를 하기 위해 전기 분해 모듈(50) 내에 저장된 오존은 오존 제공 모듈을 통해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70)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오존은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A)로 제공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존은 공기(A)를 살균하게 된다.The step (S20) of supplying ozone to the air introduced by the fan through the ozone providing module is performed by supplying ozone to the upper part of the ozone supplying module through the ozone supplying module to sterilize the inflow air (A) Moves to the air inlet frame 70, and the moved ozone is supplied to the air (A)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Through this process, the ozone sterilizes air (A).

팬의 회전축이 존재하는 축부재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오존과 반응한 공기에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를 분사하는 단계(S30)는, 팬(90)과 회전축을 통해 결합한 축부재(100, 110) 내부는 중공이 존재하며 또한 축부재(100, 110)의 표면에는 중공과 유체 연통되어 있는 토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팬(90)의 회전으로 축부재(100, 110)도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수용 부재(180) 내의 수소수(H)는 중공으로 유입되면서 중공을 따라 이동하다가 토출구(120)를 통해 오존과 반응한 공기(B)로 분사될 수 있다. 이렇게 오존과 반응한 공기(B)에 수소수(H)가 분사됨에 따라 공기는 환원되고 먼지도 제거될 수 있다.The step (S30) of injecting hydrogen-containing water, which is water containing hydrogen, into the air reacted with ozone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shaft member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fan exists is performed by the shaft members 100 and 110, And a discharge port 120, which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may b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shaft members 100 and 110. [ The shaft members 100 and 110 are also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90. As a result, the hydrogen water H in the housing member 180 moves in the hollow while flowing along the hollow, Can be injected into the reacted air (B). As the hydrogen (H) is injected into the air (B) reacted with ozone in this way, the air can be reduced and dust can be removed.

오존 및 수소수와 차례대로 반응한 공기를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S40)는, 외부로부터 공기 청정기(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A)는 차례대로 오존 및 수소수와 반응하게 되면서 살균이 되고 먼지가 제거되면서 정화된다. 이렇게 정화된 공기(C)는 공기 배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 청정기(200)가 설치된 공간은 청정 공기로 채워질 수 있다.In step S40 of discharging the air reacted in order with the ozone and the hydrogen water through the air outlet,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er 200 from the outside reacts sequentially with ozone and hydrogen water, And the dust is removed and purified. The purified air C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50, and the space provided with the air purifier 200 can be filled with clean ai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모듈 하우징 20, 220: 전기 분해 유닛
30: 하부 돌출관 40: 상부 돌출관
50, 210: 전기 분해 모듈 55: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
60: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 70: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
80: 구동 모터 90, 230: 팬
100, 240: 상부 축부재 110, 245: 하부 축부재
120: 토출구 125, 270: 상부 덮개
130: 제 1 오존 공급관 135: 제 2 오존 공급관
140: 공기 배출 경로 150: 공기 배출구
160: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 170: 배출구 커버
175, 263: 배출구 구멍 180: 수용 부재
190, 195, 260, 265: 외부 하우징 200, 300: 공기 청정기
10: module housing 20, 220: electrolysis unit
30: Lower projecting tube 40: Upper projecting tube
50, 210: electrolysis module 55: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60: upper air inlet frame 70: lower air inlet frame
80: drive motor 90, 230: fan
100, 240: upper shaft member 110, 245: lower shaft member
120: Outlet port 125, 270: Upper cover
130: first ozone supply pipe 135: second ozone supply pipe
140: Air discharge path 150: Air discharge port
160: inner space of the housing member 170: outlet cover
175, 263: Outlet hole 180: Housing member
190, 195, 260, 265: outer housing 200, 300: air cleaner

Claims (16)

물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한 후, 상기 수소는 상기 수용 부재 내의 물로 제공하고, 상기 오존은 내부 공간에서 저장하는 전기 분해 모듈;
공기를 유입하는 팬;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 되어 있어, 상기 유입된 공기에 상기 오존을 제공하는 오존 제공 모듈; 및
상부에는 상기 팬의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중공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축부재로서,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팬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부재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가 상기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중공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오존과 반응한 공기로 분사되는 것인 축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A housing member for containing water;
An electrolysis module for electrolyzing water contained in the housing member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and then supplying the hydrogen to water in the housing member and storing the ozone in an internal space;
A fan for introducing air;
An ozone supply modu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terio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to provide the ozone to the incoming air; And
Wherein the shaft is also rotated as the fan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hydrogen water as the water containing the hydrogen And a shaft member which is injected into the hollow and flows along the hollow while being jett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with air reacted with the oz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상면에는 전기 분해에 사용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 전기 분해 유닛이 설치되는 설치 자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lectrolytic unit including an electrode for electrolysis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ctrolytic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자리의 하면에 오존 통과 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존은 상기 오존 통과 경로를 통해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 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ozone passag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ozone moves to an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through the ozone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은 상기 수용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수용 부재의 저면을 구성하며,
상기 전기 분해 모듈에는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 돌출관 및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부 돌출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돌출관은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 되어 있어 상기 상부 돌출관을 통해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의 오존은 배출되고,
상기 하부 돌출관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되어 있어 상기 오존이 배출되어 발생된 빈공간만큼 상기 하부 돌출관을 통해 상기 수용 부재의 물이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lytic modul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and constitutes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Wherein the electrolytic module is formed with an upper protruding pipe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member and a lower protruding pipe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tic module,
Wherein the upper projection tube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so that ozone in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rojection tube,
Wherein the lower protruding pipe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so that the water of the accommodating member is provided to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tic module through the lower protruding tube by an empty space generated by discharging the ozone,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제공 모듈은 상기 상부 돌출관과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오존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zone suppl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zone supply pipe connecting the upper protruding pipe and an air inlet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축부재 및 상기 상부 축부재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축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ft member includes an upper shaft member having the rotation shaft formed therein and a lower shaft member coupled to the upper shaft member and having the hollow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배출 부재에 의해 상기 오존을 제공받으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상부 공기 출입 프레임, 및 상기 팬이 설치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오존 및 수소수와 반응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 경로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공기 출입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 출입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air inlet frame provided with the ozone provided by the ozone exhaust member and forming an air inlet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and a place where the fan is installed, and the air reacted with the ozone and hydrogen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air outlet frame including a lower air inlet frame in which an air outlet path and an air outlet port ar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let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air outlet,
And the outlet cover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opening / closing degre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커버에는 배출구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출구 커버가 상기 공기 배출구를 전부 폐쇄할 시에도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청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utlet cover is formed with an outlet hole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even when the outlet cover completely closes the air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은 상기 공기에 대해 살균 작용을 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zone has a sterilizing action against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는 상기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환원시키고 또한 상기 공기 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ydrogen water reduces the air reacted with the ozone and removes dust in the air.
제 1 항에 기재된 공기 청정기를 사용한 공기 청정 방법으로서,
전기 분해 모듈에서 수용 부재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수소 및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
오존 제공 모듈을 통해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상기 오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팬의 회전축이 존재하는 축부재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상기 오존과 반응한 상기 공기에 상기 수소를 포함한 물인 수소수를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오존 및 수소수와 차례대로 반응한 상기 공기를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방법.
An ai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Electrolyzing water in the housing member in the electrolysis module to generate hydrogen and ozone;
Providing the ozone to the air introduced by the fan through the ozone providing module;
Spraying hydrogen-containing water into the air that has reacted with the ozone through a discharge port formed in a shaft member in which the rotation axis of the fan is present; And
And discharging the air, which has reacted with the ozone and the hydrogen water in order, through the air outle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 모듈에는 상기 수용 부재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 돌출관 및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부 돌출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돌출관은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 되어 있어 상기 상부 돌출관을 통해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의 오존은 배출되고,
상기 하부 돌출관은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되어 있어 상기 오존이 배출되어 발생된 빈공간만큼 상기 하부 돌출관을 통해 상기 수용 부재의 물이 상기 전기 분해 모듈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는 공기 청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lectrolytic module includes an upper protruding tube protruding into the space of the housing member and a lower protruding tube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tic module,
Wherein the upper projection tube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so that ozone in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sis module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rojection tube,
Wherein the lower protruding pipe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member so that the water of the housing member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electrolytic module through the lower protruding tube by an empty space generated by discharging the ozone, Wa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 제공 모듈은 상기 상부 돌출관과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오존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zone suppl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zone supply pipe connecting the upper protrusion pipe and a space into which the air is introduc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outlet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air outlet,
Wherein the outlet cover slides in a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an opening / closing degre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는 상기 오존과 반응한 공기를 환원시키고 또한 상기 공기 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hydrogen water reduces air reacted with the ozone and removes dust in the air.
KR1020160107608A 2016-08-24 2016-08-24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KR101773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608A KR101773550B1 (en) 2016-08-24 2016-08-24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608A KR101773550B1 (en) 2016-08-24 2016-08-24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550B1 true KR101773550B1 (en) 2017-08-31

Family

ID=5976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608A KR101773550B1 (en) 2016-08-24 2016-08-24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5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96B1 (en) * 2021-11-29 2022-05-23 주식회사 한새 Steriliz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351A (en) 2005-02-08 2006-08-24 Seiko Epson Corp Ozonolysis method, ozonolysis apparatus and treatment apparatus
JP4617927B2 (en) 2005-03-01 2011-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from ventilation device
JP5268226B2 (en) 2005-11-22 2013-08-21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Ozone deodorization apparatus and ozone deodoriz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8351A (en) 2005-02-08 2006-08-24 Seiko Epson Corp Ozonolysis method, ozonolysis apparatus and treatment apparatus
JP4617927B2 (en) 2005-03-01 2011-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from ventilation device
JP5268226B2 (en) 2005-11-22 2013-08-21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Ozone deodorization apparatus and ozone deodoriza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96B1 (en) * 2021-11-29 2022-05-23 주식회사 한새 Steriliz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8581B2 (en) Deodorization, sterilization, sterilization, and mold prevention equipment
KR100939791B1 (en) Air cleaner
JP3214558U (en) air purifier
JP2006097311A (en) Flush toilet and deodorizing method of flush toilet
JP2006271449A (en) Slight acidic water sprayer with washing function
JP5591637B2 (en) Oral cleaning device
KR20080039260A (en) Air sterilizing device
KR10223780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Combined with Denture Cleaning Device
KR101773550B1 (en) An air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air
KR101404402B1 (en) High-capacity water purifying apparatus with function air sterilizing and cleaning
KR20120065887A (en) Ultrasonic wave humidiator
CN213189365U (en) Disinfection robot
JP2007014888A (en) Sterilizing device
CN215517019U (en) Integrated filtering device with swimming water spraying function
JP2004357804A (en) Air purifier
CN102018984A (en) Air dynamic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vehicle
CN213913114U (en) Garbage room ventil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CN113368620A (en) Medical air purification engineering system
KR20110098073A (en) Air cleaning and air sterilizing device
KR200452461Y1 (en) humidifier
CN114294766B (en) Air purifier
CN215082706U (en) Animal doctor is with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ure device that disappears convenient to operation
CN210974258U (en) Sewage treatment is barrier degassing unit in coordination
CN219580225U (en) Gaseous deodorization device that kills in dirty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CN212216365U (en) Sterilization device for animal husbandry colony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