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962B1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2962B1 KR101772962B1 KR1020170055453A KR20170055453A KR101772962B1 KR 101772962 B1 KR101772962 B1 KR 101772962B1 KR 1020170055453 A KR1020170055453 A KR 1020170055453A KR 20170055453 A KR20170055453 A KR 20170055453A KR 101772962 B1 KR101772962 B1 KR 101772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plate
- unit
- elastic
- plate
- st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상호간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housing and a stator assembling apparatus for more easily coupling the motor housing and the stator.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써 공작기계, 가공기계를 포함하여 대다수의 기계장치에 사용되며, 사용처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스테이터는 전기모터 내에 내장되며 로터와 달리 회전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부재로, 다수 회 감기는 권선의 간격과 감긴 패턴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내부에는 로터가 위치할 중공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케이싱에 감겨지는 권선들을 포함한다. 이렇게 조립된 스테이터는 대략 원통인 모터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데, 이때 스테이터의 권선에서 나오는 여러 가닥의 전기선은 모터하우징의 외부로 빼내야하므로 스테이터와 모터하우징 간의 올바른 결합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스테이터의 제 조립위치에 맞추어 모터하우징을 위치 맞춤하면서, 스테이터를 모터하우징 내에 수작업으로 삽입하여왔다. 스테이터는 모터하우징의 내벽면에 접하면서 삽입되는 것이기에 오조립시에 스테이터를 하우징에서 빼내기가 쉽지 않아 한 번에 올바르게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스테이터에서 나온 권선들은 스테이터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 중에 위치가 변형되기 쉬워 취급에 주의가 요구된다. 만일 권선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며 모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립 불량이 된다.Motors are used in most machine tools, including machine tools and machining machines, by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rotary power, and various types have been develop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pplication. The stator is a member which is built in an electric motor and which is fixed in position without rotating unlike a rotor. The multi-turn winder includes a casing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to allow a winding interval and a winding pattern to be maintained, And windings wound around the casing to form a hollow space to be formed. The assembled stator is mounted insid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otor housing, in which the multiple strands of power from the windings of the stator must be drawn out of the motor housing, so that proper coupling between the stator and the motor housing is critical. Conventionally, the stator has been manually inserted into the motor housing while aligning the motor housing in accordance with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stator. Since the stator is inse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tor housing, it is not easy to pull the stator out of the housing at the time of erroneous assembly, so it is important to insert it correctly at once. Also, the windings from the stator are susceptible to deformation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ator into the housing, requiring careful handling. If the position of the windings is shifted and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affected, the assembling is defective.
본 발명은,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상호간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embling apparatus for more easily assembling a motor housing and a stator.
본 발명은, 조립테이블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립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권선에서 나오는 전기선이 놓이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테이터가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안치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 장착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전선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결정부;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승강시켜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스테이터로 내리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파지된 전선홀과 상기 절개홈은 같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되는 조립모듈을 포함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jig provided on the assembly table and having a cutout groove in which electric wires coming from the windings of the stator are placed so that the stator is positioned in one direction; A gripper positioned above the jig and temporarily mounting the motor housing; A positioning unit inserted into a wire hole formed in the motor housing mounted on the grip unit to fix an assembly position of the motor housing; And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grip part and the positioning part up and down the motor housing to the stator, wherein the electric wire hole gripped by the positioning part and the cut groove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n assembling module coupled to the stator.
본 발명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에 의하면,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 시 스테이터의 전기선과 모터하우징의 전선홀을 맞추어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여 조립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motor housing and the s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ssemble the electric wire of the stator and the electric wire hole of the motor housing during assembly of the motor housing and the st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주요구성의 작용을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결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모터 하우징의 제조 장치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초기 가공장치의 머시닝센터용 공구 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9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센터용 공구 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센터용 공구 툴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시닝센터용 공구 툴 모듈의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초기 가공장치의 절삭유 냉각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ssembly system of a motor housing and a s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ing device of the motor housing and the stator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 isola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figuration adop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FIG.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ositioning unit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tor housing and stator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arrangements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otor housing according to FIG.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buffering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7.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ing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most stiffener,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stiffeners, and the lowermost stiffener of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unit among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7. FIG.
FIGS. 13 to 15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FIG.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unit among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7. FIG.
FIG.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7. FIG.
FIG.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unit among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7.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l tool module for a machining center of the initial machining apparatus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0 to 2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to 2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tool tool module for a machining ce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ol tool module for a machining ce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tool tool module for a machining ce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 view showing a coolant cooling unit of the initial machining apparatus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 조립시스템은 본 가공장치(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 본 가공장치(2)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tor housing and stator assembly system includes the present processing device (2). Hereinafter, the
<본 가공장치 1><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 가공 장치(2)는 조립테이블(11)을 구비하는 본체(10), 지그부(20), 파지부(30), 위치결정부(40) 및 구동부(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이르는 조립테이블(11)을 구비한다. 조립테이블(11)에는 스테이터가 안착되는 지그부(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립테이블(11)에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12)과, 그 기둥들(12) 상부에 결합하는 천장부(13)에는 구동부(50)가 결합된다. 구동부(50)의 하부에는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가 구비된다. 구동부(50)는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실시예에서 구동부(50)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체의 천장부(13)에서 지그부(20)에 이르기까지 수직으로 파지부(30) 등을 상하 이동시키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래크 기어와 회전모터, 공압 액추에이터, 스핀들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체(10)의 천장부(13)에는 구동부(50)가 파지부(30) 등을 수직 방향으로 온전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는 천장부(13)를 관통하는 슬라이딩 바(141)를 복수로 설치하고, 슬라이딩 바의 상단과 하단에는 플레이트(142)를 결합한 것이다. 천장부(13)에는 구동부(50)의 몸체가 고정되어 있고, 구동부(50)에서 신장되는 피스톤은 하부의 플레이트(142)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부(5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바들(141)이 천장부(13)를 수직으로 통과하면서, 파지부(30) 등이 수직으로 이동된다. 지그부(20)의 상부 형상은 스테이터의 하단에 대응하여, 지그부(20)에 스테이터를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지그부(20)는 조립테이블(11)에 볼트와 너트 등의 분리 가능한 고정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들 볼트와 너트를 풀어 지그부(20)를 조립테이블(11) 상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그부(20)가 조립테이블(11)에서 분리됨에 따라 조립하려는 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스테이터에 맞춘 전용 지그부(20)를 교체해가며 조립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파지부(30)는 지그부(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모터하우징을 임시로 장착하는 부재이다. 도 3에는 지그부와 파지부 및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지그부(20)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 하단이 오르는 링 형태의 지지단부(21)를 구비하고, 지지단부(21)의 내측은 케이싱(310)의 하부로 돌출되게 감긴 권선(330)과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함몰된 수용홈(22)을 형성하고 있다. 지그부(20)의 일측(도면에서는 정면 방향)에는 스테이터(300)에서 인출된 전기선(340)이 놓이는 절개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홈(23) 안에 스테이터의 권선들에서 연장된 전기선(340)을 넣어 둠으로써, 지그부(20)에 스테이터(300)를 올려 놓을 때에 전기선(340)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전기선(340)을 절개홈(23)에 맞추어 넣는 것으로도 스테이터(300)의 조립 방향을 맞출 수 있지만, 보다 확실히 스테이터(300)의 조립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그부(20)의 지지단부(21)에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320)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위치결정돌기(211)가 구비된다. 이 위치결정돌기(211)는 특정 종류의 스테이터(300)에 형성된 결합홀(320)에 대응하는 것으로, 각 위치결정돌기(211)가 스테이터의 케이싱에 난 결합홀(320)이 삽입되면서 지그부(20)에 스테이터(30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300)의 전기선(340)은 자연히 절개홈(23)에 위치하게 되며, 스테이터(300)의 중심은 지그부(20)의 중심과 일치되어, 양자가 동심으로 맞추어진다. 이러한 위치결정돌기(211)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320) 중 적어도 둘 이상과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동부(50)에 연결된 하부의 플레이트(142) 아래에는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 (40)가 구비되어,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가 함께 승강하게 된다. 파지부(30)는 대략 원통형인 모터하우징을 임시로 파지하는 것으로, 파지부(30)의 중심은 아래에 놓이는 지그부(2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맞추어져 있다. 파지부(30)는 플레이트(142)의 하부에 결합되는 뭉치(143)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판(31)과, 연결판(31)의 하부로 연장되어 모터하우징(200)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끼움바디(32)를 포함한다. 끼움바디(32)는 모터하우징(200)의 원형 단면에 대응하는 사이즈와 단면형상을 가짐으로써, 끼움바디(32)에 모터하우징(200)을 결합하면 모터하우징(200)의 단면 중심과 지그부(20)에 올린 스테이터(300)의 중심이 수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끼움바디(32)에 결합한 모터하우징(200)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바디(32)와 결합한 모터하우징(200)을 임시 고정하고자 모터하우징(200)의 단부가 접하는 위치에 모터하우징에 들러붙는 자석(도시 생략)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은 일정 수준의 자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석은 모터하우징과 접촉하는 연결판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장착바디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석을 이용하여 파지부에 장착한 모터하우징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파지부를 이탈하여 낙하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모터하우징의 스테이터에 결합한 이후에는 파지부가 재상승하더라도 결합된 스테이터와의 마찰과 스테이터의 무게로 인하여, 상승하는 파지부와 함께 재상승하지는 않는다. 한편 위치결정부(40)는 파지부(30)와 함께 승강하면서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에 형성된 전선홀(210)에 삽입되어 모터하우징(200)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모터하우징(200)에는 스테이터(300)와 연결된 전기선(340)을 모터하우징(200) 외측으로 빼내는 전선홀(210)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하우징(200)에 스테이터(300)를 조립한 이후 전기선(340)은 전선홀(210)을 통해 모터하우징(200) 외부로 인출되며, 이후 모터하우징(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도시 생략) 내의 회로판과 전기 연결된다.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은 지그부(20)의 스테이터(300)와 동심이 맞추어지지만 전기선(340)이 놓이는 방향과,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이 같은 방향으로 맞추어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치결정부(40)를 통하여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이 스테이터(300)의 전기선(지그의 절개홈)에 수직되게 맞춘다. 위치결정부(40)는 파지부로부터 이격되게 하부로 내려오는 이동바(41), 이동바(41)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거치봉(42) 및 거치봉(42)을 탄성있게 파지하는 스프링(43)을 포함한다. 이때, 거치봉은 지그부의 절개홈이 형성된 방향(도면의 정면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거치봉은 절개홈이 형성된 방향과 같은 방향(도면의 정면 방향)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 이동바(41)는 뭉치에 연결되어 파지부(30)와는 이격된 상태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막대의 형상이다. 나아가 이동바(41)는 엘엠가이드(45)로 뭉치(143)와 연결되어 있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 엘엠가이드(45)는 생략될 수 있다. 이동바(41)의 하단부에는 파지부(30)를 향하는 거치봉(42)이 구비된다. 파지부(30)를 향하는 거치봉(42)의 선단부에는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에 대응하는 테이퍼진 누름돌기(421)가 구비되어 있다. 거치봉(42)은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바(41)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43)은 일단부가 거치봉(42)의 누름돌기(421)를 지지하고, 타단부가 이동바(41)를 지지함으로써 거치봉(42)의 누름돌기(421)가 항시 파지부(3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거치봉(42)을 탄성 있게 지지한다. 이동바(41)를 통과한 거치봉(42)의 후단에는 작동레버(44)가 결합되어 있다. 작동레버(44)는 거치봉(42)과 힌지 결합되어 있고, 이동바(41)의 배면과 접하는 단부가 캠(441)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작동레버(44)를 세운 상태에는 캠(441)의 반경이 작은 부분이 이동바(41)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써, 스프링(43)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봉(42)의 단부가 파지부(30)를 향하여 길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작동레버(44)를 수평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캠(441)의 반경이 크 부분이 이동바(41)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써, 작동레버(44)가 거치봉(42)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고 그 결과 거치봉(42)의 선단부가 파지부(30)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된다. 거치봉과 지그부의 절개홈이 같은 방향(도면의 정면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름돌기(421)가 모터하우징의 전선홀(210)에 삽입되면, 파지부(30)에 장착된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은 지그부(20)에 장착된 스테이터(300)의 전기선(340)과 방향이 일치하게 된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이동바(41)에는 모터하우징(200)의 외측면에 접촉도록 오목한 곡면홈(461)을 가지는 지지블록(46)이 결합되어 있다. 이 지지블록(46)은 모터하우징(200)의 외주면을 파지함으로써, 하부 길게 연장된 이동바(41)의 하단부에서 거치봉(42)의 탄성있게 모터하우징(200)의 전선홀(210)을 찾아들어가는 과정 중에서 이동바(4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위치결정부(40)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모터하우징(200)의 방향이 더욱 올바르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모터하우징(200)의 종류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뭉치(143)로부터 전선홀(210)까지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이동바(41)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전선홀(210)의 높이와 거치봉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세부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조립대상인 스테이터(300)를 지그부(20)에 올려 놓는다. 이때 지그부의 위치결정돌기(211)가 스테이터의 케이싱 하단에 형성된 결합홀에 들어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지그부(20)와 스테이터(300)의 동심을 맞추면서, 절개홈(23)에 스테이터(300)의 전기선(340)이 놓이도록 한다. 다음 파지부(30)에 모터하우징(200)을 결합한다. 작동레버(44)를 수평되게 회전시켜 거치봉(42)을 후퇴시킨다. 이렇게 거치봉(42)의 간섭을 배제한 후에, 파지부(30)의 끼움바디(32)가 모터하우징(200)의 개구된 상부에 들어가도록 모터하우징(200)을 파지부(30)에 결합한다. 이후 작동레버(44)를 수직되게 세워 거치봉(42)의 단부에 구비된 누름돌기(421)가 모터하우징(200)의 측면과 접촉케 하고 모터하우징(200)을 회전시켜 전선홀(210)에 누름돌기(421)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구동부(50)를 작동하여 파지부(30)를 하강시킨다. 구동부(50)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는 모터하우징(200)이 스테이터(300)에 삽입되기 시작하면, 작동레버(44)를 수평되게 회전시켜 거치봉(42)이 모터하우징(200)과 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레버(44)의 조작에 따라 후퇴한 거치봉(42)의 누름돌기(421)는 전선홀(210)에서 빠져나감으로써 모터하우징(200)의 내측벽을 타고 상승하는 스테이터(300)의 케이싱(310) 상단과 간섭하지 않게 된다. 모터하우징(200)이 충분히 하강한 이후에는 구동부(50)가 역으로 작동하여 파지부(30)와 위치결정부(40)를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킨다. 모터하우징(200)은 스테이터(300)에 결합된 상태로 지그부(20)에 놓이며, 작업자는 스테이터(300)가 결합된 모터하우징(200)을 지그부(20)에서 꺼내 조립을 완료한다. 지그부의 절개홈과 위치결정부의 작용으로, 전기선과 전선홀의 위치가 어긋나게 결합되는 조립 불량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조립장치로부터 분리되는 지그부, 파지부, 지지블록 및 높낮이가 가능한 위치결정부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조립할 수 있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한 종류의 전기 모터만 조립하려는 경우에, 지그부, 파지부는 본체에 고정될 수 있고, 지지블록은 이동바에 고정될 수 있다. 위치결정부의 이동바 또한 뭉치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1 to 6, the
<본 가공장치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7은 도 1에 따른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테이터 조립장치의 본체 저면부 상에 소정의 완충모듈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완충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otor housing and stator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Referring to FIG. 7, a predetermined buffer modul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of the stator assembling apparatus. Hereinafter, the buffer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완충모듈Buffer module
도 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모듈(381)은 바닥면과 접하는 하부유닛(3812)과, 상기 하부유닛(3812)의 상방에서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와 접하는 유닛(3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유닛(3811)은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유닛(3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3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3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3811c, 3811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3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3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어지며, 상기 탄성충진재(3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완충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완충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3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3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3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보강판(3811f)과 상기 최하단보강판(3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체(3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부(T2)와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보강판(3811f), 상기 중단 보강체(3811h)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3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부(T2)와 상기 하면돌기부(T1)가 상기 완충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돌기부(T2)와 상기 하면돌기부(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arrangements according to FIG. 7. FIG. 8, the
도 9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판(3811a)은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3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3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 상기 최상단보강판(3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3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3811b)은 상기 하부유닛(3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3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3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3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3811b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충진재(3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에 대한 완충을 위한 완충구(3811i)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구(3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3811i1)과 하판(3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3811i1)과 상기 하판(3811i2)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3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ffer module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10; FIG. 9, the
도 10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최상단보강판(3811f)은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3811f1)과, 상기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3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상단하판(3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된다. 상기 중단 보강체(3811h)은 상기 완충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상단 하판(3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3811h1)과, 상기 중단상판(3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3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상판(3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단보강판(3811g)은 상기 완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단하판(3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3811g1)과, 상기 최하단상판(3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3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단상판(3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된다.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most stiffener, the plurality of stopped stiffeners, and the lowermost stiffener of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10, the
도 1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38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판(3811a2)은 상기 제1고정판(3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3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판(3811b2)은 상기 제3고정판(3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3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3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UT) 및 상기 제1고정판(3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상기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3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DT) 및 상기 제4고정판(3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완충유닛(3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기 상부고정판(3811a), 상기 하부고정판(3811b), 상기 탄성하우징(3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381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완충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완충구(3811i) 역시 상기 탄성하우징(3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 완충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최상단보강판(3811f), 최하단보강판(3811g), 중단 보강체(3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충진체(3811e) 상에서 상기 완충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완충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보강판(3811f), 최하단보강판(3811g), 중단 보강체(3811h)은 상기 상면돌기부(T2)와 상기 하면돌기부(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완충유닛(3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11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완충모듈(381)은, 바닥면과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와 접하는 완충유닛(3811)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3811)은,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3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3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3811c, 3811d)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3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3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3811c, 3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 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완충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완충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3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체(3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돌기부(T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3811a) 상에는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1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고정판(3811b) 상에는 상기 하부고정판(3811b)과 상기 하부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2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2 가압힘 측정센서(S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완충공간(H1)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탄성충진재(3811e) 상에는 제2 완충공간(H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3811b) 사이에는 소정 형상의 지지유닛(3191)이 구비된다. 상기 각 중단 보강체(3811h)은 상기 제2 완충공간(H3) 상에 위치된 채, 상기 지지유닛(3191) 상에 결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3191) 상에는 구동수단(3190)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각 중단 보강체(3811h)은 상기 구동수단(3190)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상기 각 중단 보강체(3811h)은, 상기 구동수단(3190)을 통하여 상기 제2 완충공간(H3) 상에서 길이방향 상의 일측과 타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완충유닛(38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에 기반하여, 상기 중단 보강체(3811h)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각 중단 보강체(3811h)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중단 보강체(3811h)을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수단(3190)은 상기 지지유닛(3191) 상에서 일정 범위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3190)을 통해 상기 중단 보강체(3811h)의 높이를 조정하되, 상기 제1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3190)들 중 상방 일부의 구동수단(3190)을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3190)들 중 하방 일부의 구동수단(3190)을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한다.12 to 14 are views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unit among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12 to 14,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3190)은 상기 지지유닛(3191) 상에 장착되어 토오크를 발생시키되 상기 지지유닛(3191) 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구동부(3191)와, 상기 구동부(3191) 상기 중단 보강체(3811h) 상호간을 연동시키는 실린더(3193)와 피스톤(319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 보강체(3811h)은 상기 구동부(3191)의 유동 또는 상기 실린더(3193)와 상기 피스톤(3194)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하 좌우 등으로 유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중단 보강체(3811h)는, 높이방향 상에서 홀수열에 구비되는 홀수열 중단 보강체(3811h)와, 짝수열에 구비되는 짝수열 중단 보강체(3811h)를 포함하며, 높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홀수열 중단 보강체(3811h)는 상기 중심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짝수열 중단 보강체(3811h)는 상기 중심축의 전후에 각각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도 1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판(3811a) 및 상기 하부 고정판(3811b) 사이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3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3811b) 상호간에 탄성력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모듈(200)과, 상기 상부 고정판(3811a) 및 상기 하부 고정판(3811b)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모듈(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 3은 상기 탄성모듈(200)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3811a) 및 상기 하부 고정판(3811b)을 상호간에 가압되도록 클램핑시킨다. 상기 탄성모듈(200)은, 상기 상부 고정판(3811a)과 마주 접하는 제1지지구(3201)와, 상기 하부 고정판(3811b)과 마주 접하는 제2지지구(3202)와, 상기 제1지지구(3201)와 상기 제2지지구(3202) 상호간에 결속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구(3201)와 마주 접하는 상기 상부 고정판(3811a)의 제1영역 상에는 제1탄성력 감지센서(S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3202)와 마주 접하는 상기 하부 고정판(3811b)의 제2영역 상에는 제2탄성력 감지센서(S4)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탄성력 감지센서(S3) 및 상기 제2탄성력 감지센서(S4)에 기반하여 상기 도 3의 클램핑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도 3은, 소정의 중앙본체(3301)와, 상기 중앙본체(3301) 일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동체(3302)와, 상기 중앙본체(3301) 타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동체(33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구(3201)는 상기 제1유동체(3302)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3202)는 상기 제2유동체(3303)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유동체(3302) 상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3811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구(3201)와 대향하는 제3지지구(3304)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동체(3303) 상에는 상기 하부 고정판(3811b)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지지구(3202)와 대향하는 제4지지구(3305)가 구비된다. 상기 제3지지구(3304)는 상기 제1유동체(330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지지구(3305)는 상기 제2유동체(3303)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는 상기 도 3 및 상기 탄성모듈의 일련의 동작을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도 3과 상기 탄성모듈 상호 간에 유기적인 동작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unit among the structures according to FIG.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15, an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고정판(3811a)과 하부 고정판(3811b) 사이에 제1 완충부재(34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3401)는 상기 탄성하우징(3811c)과 이웃하여 형합되도록 구비되는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쇄되는 경질 유리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완충부재(3401)는 복수의 열로 구비되며 복수의 열로 구비된 상기 제1 완충부재(3401)들 사이에는 경질 유리 재질인 제2 완충부재(340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완충부재(3402)는 상기 제1 완충부재(3401)는 상이한 강도를 가진다. 상기 제1 완충부재(3401) 및 상기 제2 완충부재(3402)는 각각 경질 유리 재질인 제3 완충부재(34011, 34021)가 내장되며, 상기 제3 완충부재(3401)는 상기 제1 완충부재(3401) 및 상기 제2 완충부재(3402)와 상이한 강도를 가진다. 상기 탄성모듈(200)과 상기 탄성하우징(3811c) 사이에는 소정의 구획판(308)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308)과 상기 탄성하우징(3811c) 사이에는 제4 완충부재(3403) 및 제5 완충부재(3404)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완충부재(3403)는 상기 탄성하우징(3811c)과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 완충부재(3404)는 상기 구획판(308)과 상기 제4 완충부재(3403) 사이에 구비된다.FIG.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7. FIG. 17, a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판(3811a)은, 상기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제1 상부 고정판(381ac)과, 상기 제1 상부 고정판(381ac)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 저면과 마주접하는 제2 상부 고정판(381a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 고정판(381ac) 상에는 소정의 제1 가이드부(39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는 상기 제1 가이드부(392) 상에서 좌측, 우측, 상측, 하측으로 각각 유동되도록 구비된다. FIG.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among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7. FIG. 17, the
상기 제2 상부 고정판(381ab) 상에는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 저면을 흡착하는 흡착부(39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상부 고정판(381ab) 상에는 소정의 제2 가이드부(393)가 구비되며, 상기 흡착부(391)는 상기 제2 가이드부(393) 상에서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유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흡착부(391)는 상기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와 마주하여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다.On the second upper fixing plate 381ab, a
상기 흡착부(391)는, 흡착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3911)와 상기 흡착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의 상방에 플랜지부(39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와 대응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3922)를 통해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와 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와 상기 흡착부(391)를 상호 대응하도록 유동시키되, 상기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는 상기 흡착부(391)를 통해 상기 제1 가압힘을 측정한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은 상기 하부 고정판(3811b)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한편,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들에 추가설명하면, 상기 하부유닛(3812)과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의 저면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LU)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유닛(3811)은 상기 하부유닛(3812)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된다. 상기 완충유닛(3811)은, 상기 하부유닛(3812)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상기 각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하부유닛(3812)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수단(LU)을 통하여 상기 하부유닛(3812)과 상기 제1 프레스 유닛 및 제2 프레스 유닛(B)의 저면부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완충유닛(3811)을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리프팅수단(LU)은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완충유닛(3811) 사이에 구비되는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 상기 완충유닛(381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제2리프팅수단(LU2)과,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완충유닛(3811) 사이에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제3리프팅수단(LU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3리프팅수단(LU3)을 1차적으로 구동시키며, 2차적으로 상기 완충유닛(3811)을 제1모드로 동작시키며, 3차적으로 상기 제2리프팅 수단을 구동시킨다.7 to 8,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조립장치 10 : 본체
11 : 조립테이블 12 : 기둥
13 : 천장부 141 : 슬라이딩 바
142 : 플레이트 143 : 뭉치
20 : 지그부 21 : 지지단부
211 : 위치결정돌기 22 : 수용홈
23 : 절개홈 30 : 파지부
31 : 연결판 32 : 끼움바디
40 : 위치결정부 41 : 이동바
42 : 거치봉 421 : 누름돌기
43 : 스프링 44 : 작동레버
441 : 캠 45 : 엘엠가이드
46 : 지지블록 461 : 곡면홈
50 : 구동부 200 : 모터하우징
210 : 전선홀 300 : 스테이터
310 : 케이싱 320 : 결합홀
330 : 권선 340 : 전기선100: Assembly device 10:
11: Assembly table 12: Column
13: ceiling part 141: sliding bar
142: plate 143: bundle
20: jig 21: support end
211: positioning projection 22: receiving groove
23: incision groove 30:
31: connecting plate 32: fitting body
40: Positioning part 41: Moving bar
42: fixing rod 421: pressing projection
43: spring 44: operating lever
441: Cam 45: LM Guide
46: Support block 461: Curved groove
50: driving part 200: motor housing
210: electric wire hole 300: stator
310: casing 320: engaging hole
330: Winding 340: Electric wire
Claims (10)
조립테이블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립테이블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권선에서 나오는 전기선이 놓이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테이터가 일방향으로 정렬되게 안치되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하우징을 임시 장착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모터하우징에 형성된 전선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의 조립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결정부; 및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위치결정부를 승강시켜 상기 모터하우징을 상기 스테이터로 내리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부에 의해 파지된 전선홀과 상기 절개홈은 같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되는 본 가공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저면부 상에 소정의 완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본체와 접하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본체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는 상기 탄성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 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공간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완충공간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체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부와 하면돌기부가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 상에는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1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1 가압힘 측정센서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고정판 상에는 상기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2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2 가압힘 측정센서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As an apparatus for coupling a stator and a motor housing,
A body having an assembly table; A jig provided on the assembly table and having a cutout groove in which electric wires coming from the windings of the stator are placed so that the stator is positioned in one direction; A gripper positioned above the jig and temporarily mounting the motor housing; A positioning unit inserted into a wire hole formed in the motor housing mounted on the grip unit to fix an assembly position of the motor housing; And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grip part and the positioning part up and down the motor housing to the stator, wherein the electric wire hole gripped by the positioning part and the cutting groove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amping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buffer module includes:
And a shock absorbing uni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at a position above the lower unit, wherein the shock absorbing unit comprises: an upper fixed plat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 lower fixed plate facing the lower unit; And an elastic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Wherein the elastic housing is formed in a zigzag shape on an outer side thereof, the elastic housing is filled with an elastic filler, the elastic filler is fill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lastic housing, and the elastic filler has a plurality of A buffer space is formed in the buffer space, and an inner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buffer spaces. The buffer space is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is formed with a bottom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facing the lower fixing plate has a top surface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shap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interrupted reinforcement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s ar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Additional formed,
A first pressing for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first pressing force generat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fixing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 the lower fixing plate, And a second pressing for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second pressing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pressing force measuring sensor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essing force measuring sensor.
상기 완충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공간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탄성충진재 상에는 제2 완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는 소정 형상의 지지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는 상기 제2 완충공간 상에 위치된 채, 상기 지지유닛 상에 결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 상에는 구동수단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는 상기 구동수단에 연동되어 동작되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제거유닛. 상기 각 중단 보강체는, 상기 구동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2 완충공간 상에서 길이방향 상의 일측과 타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에 기반하여, 상기 중단 보강체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중단 보강체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유닛 상에서 일정 범위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중단 보강체의 높이를 조정하되, 상기 제1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들 중 상방 일부의 구동수단을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들 중 하방 일부의 구동수단을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er unit,
A second buffer space is formed on the elastic filling material located between the buffer spaces, and a support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And a plurality of driv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supporting unit, and each of the intermittent reinforcing members is provided on the supporting unit in such a manner as to be removable from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unit unit. Wherein each of the interrupted reinforcing members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low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econd buffer space through the driving mean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reinforcement based on the measured first pressing force and the second pressing force, wherein when the first pressing force and the second pressing force exceed a predetermined value, Rotating the intermittent reinforcement member at a high speed, and rotating the intermittent reinforcement member at a low speed when the intermittent reinforcement member i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support unit, and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height of the interrupted reinforcing member through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first pressing forc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 motor for causing a part of the driving means of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means to flow upward and a part of the driving means of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means to flow downward when the second pressing forc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pparatus for assembling housing and stator.
상기 최상단 보강판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부와 상기 하면돌기부가 상기 완충공간를 경유하여 상기 중단 보강체에 접촉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의 상기 상면돌기부와 상기 하면돌기부는, 상기 중단 보강체의 돌기부와 상호 대응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은, 상기 본체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은 상기 제1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은 상기 제3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방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 및 상기 제1고정판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며, 상기 하방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 및 상기 제4고정판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며,
상기 중단 보강체는,
높이방향 상에서 홀수열에 구비되는 홀수열 중단 보강체와, 짝수열에 구비되는 짝수열 중단 보강체를 포함하며, 높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홀수열 중단 보강체는 상기 중심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짝수열 중단 보강체는 상기 중심축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uppermost stiffening plate and the lowermost stiffening plate includes:
When the vibration based on an external impact is generated, the upper surface projection part and the lower surface projection part are in contact with the intermittent reinforcement body via the buffer space,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and the lower surface projection of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and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f the interrupted reinforcing body,
The upper fixing plate includes a first fixing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fixing plate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housing and the uppermost reinforcing plate. ≪ / RTI &
The lower fixing plate,
And a fourth fix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fixing plate so as to be sli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elastic housing and the lowermost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second fixing plate extends at least outwardly beyond the area of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upper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outer sides of the second fixing plate so as to extend upwardly, And a third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upward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out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fourth fixing plate,
Wherein the upper projecting portion and the first fixing plate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elastic means to impart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roject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ourth fixing plate, Wherein the lower protrusion and the fourth fixing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elastic means to gi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rein the break-
Numbered column interrupter provided in an odd-numbered column in a height direction and an even-numbered column interrupter provided in an even-numbered column, wherein the odd column interrupter is located on the central axis And the even-numbered row interruption reinforc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central axis.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 상호간에 탄성력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모듈과,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력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력 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의 양측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탄성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을 상호간에 가압되도록 클램핑시키며,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상부 고정판과 마주 접하는 제1지지구와, 상기 하부 고정판과 마주 접하는 제2지지구와, 상기 제1지지구와 상기 제2지지구 상호간에 결속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구와 마주 접하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제1영역 상에는 제1탄성력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와 마주 접하는 상기 하부 고정판의 제2영역 상에는 제2탄성력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탄성력 감지센서 및 상기 제2탄성력 감지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클램핑부재의 클램핑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4,
An elastic module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restoring force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and a clamping member for clamping the ends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Further,
Wherein the pressing forc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Wherein the clamping member clamps the upper and lower fixing plates so as to b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ased on the elastic module,
The elastic module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ixing plate, a second support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fixing plat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 first elastic forc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n a first region of the upper fixed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second elastic forc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n a second region of the lower fixed plat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member, Wherein the clamping member is configured to clamp the clamping member based on the first elastic force sensor and the second elastic force sensor.
상기 클램핑부재는,
소정의 중앙본체와, 상기 중앙본체 일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중앙본체 타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구는 상기 제1유동체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는 상기 제2유동체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유동체 상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구와 대향하는 제3지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유동체 상에는 상기 하부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지지구와 대향하는 제4지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구는 상기 제1유동체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지지구는 상기 제2유동체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clamping member
A first fluid body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rom one side of the central body, and a second fluid body that is movable up and down from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body,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fluid member so that the second support member can independently move up and down,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by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fourth support member oppos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with the lower support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third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second fluid memb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luid member And the fourth support member is vertically and externally project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luid, Assembly devices of the motor housing and a stator which is provided to enable.
상기 상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 사이에 제1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탄성하우징과 이웃하여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쇄되는 경질 유리 재질이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복수의 열로 구비되며 복수의 열로 구비된 상기 제1 완충부재들 사이에는 경질 유리 재질인 제2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이한 강도를 가지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cushion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plate and the lower fixing plate, the first cushioning member is made of a hard glass material which is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elastic housing and is collapsed by an external impact, Wherein the first buffer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and a second buffer member made of a hard glass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uffer membe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ws, And a stator assembly device.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는 각각 경질 유리 재질인 제3 완충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3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와 상이한 강도를 가지며,
상기 탄성모듈과 상기 탄성하우징 사이에는 소정의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과 상기 탄성하우징 사이에는 제4 완충부재 및 제5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완충부재는 상기 탄성하우징과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 완충부재는 상기 구획판과 상기 제4 완충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ushioning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each include a third cushioning member made of a hard glass material,
The third buffering member has a str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uffering member and the second buffering member,
A predetermined partition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module and the elastic housing,
A fourth buffer member and a fifth buffer member are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 and the elastic housing,
The fourth cushioning member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housing,
And the fifth buff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plate and the fourth buffer member.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본체 저면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하부유닛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하부유닛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상기 각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하부유닛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되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8,
A lifting means for adjust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uni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herein the buffer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ffer units capable of flowing within a certain range on the lower unit,
The buffer unit includes:
A motor housing configured to operate in a first mode positioned on each corner of the lower unit and a second mode flowing simultaneously or non-synchronously from each corner toward a virtual center of the lower uni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수단을 통하여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본체의 저면부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완충유닛을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동작시키는 모터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조립 장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the buffer unit is operated in the first mode or the second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uni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ifting mean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5453A KR101772962B1 (en) | 2017-04-28 | 2017-04-28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5453A KR101772962B1 (en) | 2017-04-28 | 2017-04-28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7112A Division KR101815816B1 (en) | 2017-08-24 | 2017-08-24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KR1020170107111A Division KR101808004B1 (en) | 2017-08-24 | 2017-08-24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KR1020170107115A Division KR101815817B1 (en) | 2017-08-24 | 2017-08-24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KR1020170107117A Division KR101815818B1 (en) | 2017-08-24 | 2017-08-24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KR1020170107110A Division KR101808003B1 (en) | 2017-08-24 | 2017-08-24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2962B1 true KR101772962B1 (en) | 2017-08-30 |
Family
ID=5976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5453A KR101772962B1 (en) | 2017-04-28 | 2017-04-28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296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507B1 (en) | 2017-11-20 | 2018-04-23 | 이상선 | Methods for manufacturing plastic pumps by vacuum deposition |
KR20220051649A (en) * | 2020-10-19 | 2022-04-26 | 주식회사 뉴로메카 | Assembly jig for robot drive system comprising harmonic drive |
KR20220051648A (en) * | 2020-10-19 | 2022-04-26 | 주식회사 뉴로메카 | Assembly jig for robot drive system comprising harmonic driv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875B1 (en) | 2005-03-02 | 2007-06-12 | (주)엠피기술산업 | A form memory bearing apparatus for structure |
KR101484298B1 (en) * | 2014-06-04 | 2015-01-21 | (주)천우정밀산업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KR101521774B1 (en) | 2015-04-03 | 2015-05-21 | 주식회사 문창 | water tank with earthquake-proof device |
-
2017
- 2017-04-28 KR KR1020170055453A patent/KR10177296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875B1 (en) | 2005-03-02 | 2007-06-12 | (주)엠피기술산업 | A form memory bearing apparatus for structure |
KR101484298B1 (en) * | 2014-06-04 | 2015-01-21 | (주)천우정밀산업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KR101521774B1 (en) | 2015-04-03 | 2015-05-21 | 주식회사 문창 | water tank with earthquake-proof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507B1 (en) | 2017-11-20 | 2018-04-23 | 이상선 | Methods for manufacturing plastic pumps by vacuum deposition |
KR20220051649A (en) * | 2020-10-19 | 2022-04-26 | 주식회사 뉴로메카 | Assembly jig for robot drive system comprising harmonic drive |
KR20220051648A (en) * | 2020-10-19 | 2022-04-26 | 주식회사 뉴로메카 | Assembly jig for robot drive system comprising harmonic drive |
KR102449599B1 (en) | 2020-10-19 | 2022-10-04 | 주식회사 뉴로메카 | Assembly jig for robot drive system comprising harmonic drive |
KR102449604B1 (en) | 2020-10-19 | 2022-10-04 | 주식회사 뉴로메카 | Assembly jig for robot drive system comprising harmonic driv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2962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KR101484298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KR101737795B1 (en) |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magnetic steel | |
CN106451940B (en) | Rotor together equipment in the assembly of new energy motor | |
KR101773438B1 (en) | System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US2005024688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nd affixing magnets on a magnetic yoke member of a motor | |
CN109128643A (en) | A kind of motor vehicle components frock clamp | |
CN103846708A (en) | Magnetic adsorption device | |
KR20210071576A (en) | Welding part widing device of segment type stator coil | |
EP3758202B1 (en) | Motor hairpin type conducting bar winding device | |
CN102294697A (en) | Hand handling mechanism of workpiece conveying device | |
KR101815817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KR101815818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KR101815816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KR101808004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KR101808003B1 (en) | Apparatus for installation stator with motor housing | |
JP2007295702A (en) | Linear motor, and stage drive device | |
US20140338496A1 (en) | Telescopic-cover fixture | |
KR101092035B1 (en) | Apparatus for asssembling motor | |
KR20220162291A (en) | Widing device of hair pin type stator coil | |
JP5146583B1 (en) | Rotor separator | |
KR102690278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of motor | |
CN210707544U (en) | PLC electromechanical device removes auxiliary device | |
CN211565703U (en) | Mechanical clamping mechanism | |
CN214919402U (en) | Damping device for ben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