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68B1 -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 Google Patents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68B1
KR101772568B1 KR1020160116371A KR20160116371A KR101772568B1 KR 101772568 B1 KR101772568 B1 KR 101772568B1 KR 1020160116371 A KR1020160116371 A KR 1020160116371A KR 20160116371 A KR20160116371 A KR 20160116371A KR 101772568 B1 KR101772568 B1 KR 10177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pe
crane
main body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이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준 filed Critical 이동준
Priority to KR102016011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construction device capable of a driving work of driving a pile into the ground and a boring work of excavating a bored hole by replacing a working device such as a boring machine and a driving machine. Specifically, a horizontal bar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front of a crane main body of a crane, and multiple strands of wire ropes are installed between an upper suppor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a boom and the horizontal bar. An ascending and descending unit on which the working device such as the boring machine or the driving machine is mounted is installed in the wire rope to be guided to ascend and descend. So, when the wire rope is expanded as the boom is erect, the expanded wire rope substitutes for a role of an existing pillar (l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constru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crane (1). A lower end of the boom (3) is installed on front of the crane main body (2) by a hinge. An upper support (5) including an upper roller (6)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om (3), and the upper roller (6) hangs down a winch wire (4) as the winch wire (4) is wound thereon by a winch device. A hook (4a)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winch wire (4) hung down by being wound on the upper roller (6).

Description

지반공사장치{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본 발명은 항타기나 천공기와 같은 작업기를 교체 설치하여 지반에 말뚝을 때려 박는 항타작업이나, 지반에 천공홀을 굴착하는 천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공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된 크레인의 크레인본체 전방에 수평대를 수평 설치하고, 붐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지지대와 수평대의 사이에 수개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설치하며, 와이어로프에는 항타기나 천공기와 같은 작업기가 장착되는 승하강대를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함으로써, 붐대를 세워서 와이어로프가 팽팽해지게 하면 팽팽해진 와이어로프가 종래의 지주대(리더)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 piling operation for piling a pile on a ground by replacing a working machine such as a hanger or a perforator or a perforation work for excavat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ground, A horizontal bar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front of the crane main body of the crane and several wire ropes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horizontal ba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om bar. The wire rope is equipped with a work machine such as a hanger or a perforator. So as to allow the wire rope to be tensioned so as to replace the conventional supporting stand (leader) role.

일반적으로 지반에 말뚝을 때려 박는 항타작업이나 천공작업을 실시할 때, 공지된 크레인의 전방에 지주대(리더)를 설치한 뒤에, 그 지주대에 항타작업이나 천공작업에 적합한 작업기를 설치하고, 지반에 필요로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Generally, when piling or punching a pile on the ground, a supporting device (reader) is installed in front of a known crane, and a working machine suitable for piling or drilling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latform, And performed the necessary work on the ground.

이와 같이 항타작업이나 천공작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특허등록 제10-927324호(발명의 명칭 : 크레인에 말뚝 항타용 유압해머를 이용하여 지반을 다지는 공법 및 장치)의 발명을 설명하는 명세서에 포함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크레인의 전방에 대형 지주대를 높게 수직 설치하고, 이 지주대에 항타기가 안내되게 설치되어 목적하는 바대로의 작업을 실시하였다.In the case where the hoeing or perforating work is to be carried out as described above, it i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describing the invention of Patent Registration No. 10-927324 (the inven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ing a crane using a hydraulic hammer for pile driving) As shown in FIG. 2, a large support bar is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ly in front of a conventional crane, and the barrel is guided to the support bar, and the desired operation is performed.

그런데, 상기 지주대는 장비마다 다르지만 일예로 20톤 정도로 무게가 매우 무거우며 30미터 내외로 높게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지주대가 대형이면서 무게가 매우 무거우므로 차량에 적재하여 작업현장으로 이동하는 것부터 설치하는 데까지 많은 어려움과 위험성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설치시간과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support stand varies depending on the equipment, but for example, it is very heavy with a weight of about 20 tons, and it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30 meters because the support stand is large and its weight is very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installa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while including many difficulties and risks.

즉, 상기 지주대를 크레인에 장착하는데 약 일주일정도의 설치시간이 소요되므로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고, 매스컴에서 자주 방송되는 바와 같이 120톤의 천공기가 전도되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되고, 차량 및 주변 시설물이 파손되었다는 내용을 접할 수 있는 것이 그 것이다.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it takes about one week to install the cradle to the crane, and as a result of frequent broadcasting in the media, 120 tons of perforators are conducted to cause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And the surrounding facilities are damaged.

이는 20톤 정도로 무거운 지주대가 지반에 수직하게 30여 미터의 높이로 설치되었을 때, 그 지주대가 설치된 지반의 저면이 견고해야 하므로 철판을 깔고 지주대를 설치하나, 지반이 무르거나 주변 여건에 의해 30여 미터의 높이로 수직 설치된 지주대가 기울여지게 되면, 이 지주대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지주대를 포함한 크레인이 함께 전도되게 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heavy landing platform is installed at a height of 30 meters vertically on the ground of 20 tons, the bottom of the ground where the landing platform is installed must be rigid so that the landing platform is laid over the steel plate. However, When the vertically installed stanchion is tilted at the height of the meter, the weight of the stanchion is tilted to one side and the crane including the stanchion is transferred together.

특허등록 제10-927324호(발명의 명칭 : 크레인에 말뚝 항타용 유압해머를 이용하여 지반을 다지는 공법 및 장치)Patent Registration No. 10-927324 (Title: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ing a crane using a hydraulic hammer for pile driving)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전방에 종래의 지주대 대신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상하로 설치한 뒤에, 지반공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에서 그렇게 팽팽해진 와이어로프에 항타기나 천공기와 같은 작업기가 장착되는 승하강대를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함으로써, 팽팽해진 와이어로프가 종래의 지주대(리더)를 역할을 대신하게 되어 종래의 지주대에 의해 발생되던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rope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of wire rope are vertically installed in front of a crane, The tensioned wire rope is replaced with a conventional support rod (leader), so that the tensioned wire rope can be replaced by a conventional support rod And to be able to completely solve the problem that has occurr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레인본체의 전방측에 붐대의 하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붐대의 상부에는 윈치장치에 의해 윈치와이어가 감겨지며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하는 상부롤러를 구비한 상부지지대가 설치되며, 상부롤러에 감겨져서 하측으로 늘어트려지는 윈치와이어의 단부에는 후크가 설치된 공지된 크레인에 지반공사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반공사장치는 크레인본체의 전방 하측에 수평대가 전방으로 수평 설치되고, 상부지지대의 하부와 수평대의 선단부 상측 사이에는 적어도 2가닥 이상의 와이어로프가 설치되며, 크레인의 소정위치에는 붐대와 수평대의 각도를 벌려서 상부지지대와 수평대의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로프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붐대와 수평대의 사이에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에는 팽팽해진 와이어로프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하강대를 설치하되, 이 승하강대는 승하강대본체의 후방 양측에 와이어로프에 안내되는 한 쌍의 롤러가 좌우로 폭 조절되게 설치되며, 승하강대본체의 전방에는 윈치와이어의 단부에 걸려서 승하강하는 작업기가 설치되는 작업기설치대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대의 내측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핀구멍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크레인본체의 전방에는 수평대의 핀구멍과 동일한 간격으로 핀구멍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으로 핀이 삽탈되는 핀결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승하강대본체에 형성된 장공에 설치되는 롤러축에 설치되며, 장공을 관통한 롤러축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서로 대응되는 롤러의 간격이 조절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ll structure comprising: a lower end portion of a boom frame hinged to a front side of a crane main body; a winch wire woun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om frame by a winch device; Wherein a grounding device is installed on a known crane provided with hooks on an end portion of a winch wire which is wound on an upper roller and is pulled down to the lower roller, At least two wire ropes are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bar and a wi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pport and the horizontal ba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rane, A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stand and the boom stand for tensioning the rope, A pair of rollers guided to the wire rope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ck and bottom of the up / down chain body so as to be laterally width-adjustable, and the up / At least two or more pin holes are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horizontal ba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front of the crane body, Wherein a pair of roller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shaft so as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roller shaft, And a nut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roller shaft passing through the slot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roll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adjusted.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반공사장치는, 소정의 굵기(5㎝ 내외)를 지닌 여러 가닥의 와이어로프를 종래에 크레인의 전방에 설치되던 지주대 대신에 상하로 설치한 뒤에, 지반공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팽팽하게 긴장시킨 상태에서 그렇게 팽팽해진 와이어로프에 항타기나 천공기와 같은 작업기가 장착되는 승하강대를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무겁고 대형인 지주대를 설치할 때 발생되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ground wor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tranded wire rope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bout 5 cm) are vertically installed up and down in place of the strut pile that was installed in front of the crane, The wire rope is tensioned so that the wire rope can be lifted up and down so as to be mounted on a wire rope so that a working machine such as an airplane or a perforator is mounted on the wire rope. It is effective to solve the problem completely.

즉, 본 발명에 포함되는 와이어로프는 종래의 지주대와 비교했을 때, 부피와 무게가 대폭 감축되고, 둥글게 말아질 수 있음에 따라 이동 및 보관, 설치가 간편하고, 지주대를 대신하는 와이어로프를 크레인에 설치하는 시간이 대폭 감축되는 효과와, 그 에 따른 공사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20톤 정도로 무겁고 30미터 정도로 부피가 큰 지주대 대신에 가볍고 무게와 부피가 대폭 감축된 와이어로프에 의해 크레인이 전도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wire rop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stored, and install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upport column, becaus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ire rope can be greatly reduced and rounded,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crane is greatly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greatly reduced. A wire rope having a weight of about 20 tons and a bulky trunk of about 30 meters, which is light in weight and greatly reduced in volu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no occurrence of the crane being turned over by the cra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공사장치가 설치되는 크레인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와이어로프의 상하단부가 상부지지대와 수평대에 설치되는 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승하강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도 3에 도시된 승하강대의 배면도로서, 롤러 간의 간격이 신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가)(나)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와이어로프의 상하단부가 상부지지대와 수평대에 설치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수평대가 접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승하강대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와이어로프의 외부에 보호파이프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crane in which a ground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Fig. 2 (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where upper and lower ends of a wire rope to be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on an upper support and a horizontal stand; Fig.
3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vertical hois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4 (B) is a rear view of the vertical shaft shown in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rollers is expanded and contracted. Fig.
Fig. 5 (a) and Fig. 5 (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r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re rope to be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and the horizontal stand;
6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band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lded.
FIG. 7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removal of a vertical shaf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and 8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pipe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rop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공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ground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공사장치(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지된 크레인(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지된 크레인(1)은 크레인본체(2)의 전방측에 붐대(3)의 하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붐대(3)의 상부에는 윈치장치(미도시)에 의해 윈치와이어(4)가 감겨지며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하는 상부롤러(6)를 구비한 상부지지대(5)가 설치되며, 상부롤러(6)에 감겨져서 하측으로 늘어트려지는 윈치와이어(4)의 단부에 후크(4a)가 설치되어 있다.1, a known crane 1 is installed on a front side of a crane main body 2, and a known crane 1 is installed on a front side of a crane main body 2, The upper part of the float 3 is provided with an upper support 5 with a winch wire 4 wound thereon by a winch device (not shown) and an upper roller 6 extending downward And a hook 4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ch wire 4 which is wound on the upper roller 6 and pulled downward.

크레인(1)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반공사장치(100)는, 크레인본체(2)의 전방 하측에 수평대(10)가 전방으로 수평 설치되는데, 도 1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대(10)의 내측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핀구멍(11)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크레인본체(2)의 전방에는 수평대(10)의 핀구멍(11)과 동일한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핀구멍(8)이 형성된 핀결합부(7)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groun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crane 1 has a horizon 10 installed horizontally forward of the crane main body 2 in front of the crane main body 2. As shown in Figs. 1 and 6, At least two or more pin holes 11 are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stand 10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ne body 2 and spac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pin holes 11 of the horizontal stand 10 (7) formed with at least two or more pin holes (8) protruding forward.

따라서, 이들 핀구멍(8,11)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2개의 핀을 모두 끼웠을 때 수평대(10)가 접히지 않고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고, 1개의 핀을 빼면 도 6의 "A"와 같이 수평대(10)를 상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when the two pins are all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pin holes 8 and 11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horizontal base 10 is unfolded horizontally without being folded. When one pin is pulled out, So that the horizontal base 10 can be folded upward.

그리고, 상부지지대(5)의 하부와 수평대(10)의 선단부 상측에는 도 1,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걸이부(15,12)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와이어걸이부(15,12) 사이에는 와이어로프(13)의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결합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wire hanging parts 15 and 12 are provided respective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5 and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bar 10, and between the wire hanging parts 15 and 12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re rope 13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각각의 와이어걸이부(15,1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이구멍이 있는 러그를 설치할 수 있으나, 러그 대신에 아이(I)볼트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와이어로프(13)는 굵기가 5㎝ 내외의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ug having a hook hole, but an I bolt can be provided instead of a lug, and the wire rope 13 has a thicknes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member having a diameter of about 5 cm.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붐대(3)와 수평대(10)의 각도를 벌려서 상부지지대(5)와 수평대(10)의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로프(13)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로프긴장수단을 설치하는데, 도 1에 도시한 로프긴장수단은 붐대(3)와 수평대(10)의 사이에 실린더(14)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하였다.As shown in Fig. 1, the rope tensioning means (not shown) for tensioning the wire rope 13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pport 5 and the horizontal stand 10 by widening the angle between the boom stand 3 and the horizontal stand 10, The rope tension means shown in Fig. 1 shows the installation of the cylinder 14 between the boom stand 3 and the horizontal stand 10.

상기 로프긴장수단은, 도 1과 같이 붐대(3)와 수평대(10)의 사이에 실린더(14)를 설치하지 않고, 크레인(1)의 종류에 따라 윈치와이어(4)를 감아서 붐대(3)가 뒤로 젖혀지면서 수평대(10)와 붐대(3)의 각도가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붐대(3)의 후방측과 크레인본체(2) 사이에 별도의 실린더(도시생략)를 설치하여 수평대(10)와 붐대(3)의 각도가 벌어지게 해도 무방하다.The rope straining means is constituted by winding the winch wire 4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rane 1 without installing the cylinder 14 between the boom frame 3 and the horizontal frame 10 as shown in Fig. 3 may be turned back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stand 10 and the boom stand 3 is opened or a separate cylinder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boom stand 3 and the crane body 2,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stand 10 and the boom stand 3 can be increased.

도 1 및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13)에는 팽팽해진 와이어로프(13)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하강대(20)가 설치되는데, 이 승하강대(20)는 승하강대본체(21)의 후방 양측에 와이어로프(13)에 안내되는 한 쌍의 롤러(24)가 좌우로 폭 조절되게 설치되며, 승하강대본체(21)의 전방에는 작업기설치대(2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3 and 4, the wire rope 13 is provided with an up-down and down-hoist 20 which is lifted and lowered along a wire rope 13 which is tightened. A pair of rollers 24 guided to the wire rope 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main body 21 and the work machine mounting base 2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main body 21.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롤러(24)는 승하강대본체(21)에 형성된 장공(25)에 설치되는 롤러축(23)에 설치되어 서로 대응하는 롤러(24)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승하강대본체(21)에 장공을 형성하지 않고 "L"자형 브래킷을 승하강대본체(21)에 좌우로 폭 조절되게 설치하고, 그 브래킷에 롤러(24)가 설치된 롤러축을 설치할 수 있다.The pair of rollers 24 are provided on the roller shaft 23 provided in the slot 25 formed in the vertical body 21 and can control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roller 24, Although not shown, an L-shaped bracket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base 21 so as to be laterally and widthwise adjusted without forming a slot in the vertical base 21, and a roller shaft provided with the roller 24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have.

상기 승하강대본체(21)의 전방에 설치된 작업기설치대(22)에 항타기나 천공기와 같은 작업기(26)를 교체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작업기(26)의 상부에는 와이어걸이부(27)가 설치되어 도 1에서와 같이 윈치와이어(4)의 단부에 설치한 후크(4a)를 걸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work machine 26 such as a hanger or a perforator is replaceably installed on a work machine mount table 22 provided in front of the vertical body 21. A wire hanger 27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machine 26 The hook 4a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nch wire 4 can be hooked as shown in Fig.

도 5의 (가)(나)는 와이어로프(13)의 상하단부가 상부지지대(5)와 수평대(10)에 설치되는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상부지지대(5)의 중앙 하부와 수평대(10)의 상부에 힌지브래킷(5a,10a)이 각각 설치되고, 상부지지대(5)의 하방에는 양측 하방에 와이어로프(13)의 상단부를 걸어 설치하는 와이어걸이부(15)가 구비된 와이어설치대(16)가 힌지브래킷(5a)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힌지브래킷(5a) 양측의 상부지지대(5)와 와이어설치대(16) 사이에는 와이어설치대(16)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실린더(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5A and 5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of the wire rope 13 provided on the upper support 5 and the horizontal stand 10, The hanger brackets 5a and 10a ar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ar 10 and the wire hanging portions 15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pport bar 5 to hang the upper ends of the wire ropes 13, And the wire support table 16 is hinged to the hinge bracket 5a so that the wire support table 16 is balanced between the upper support table 5 on both sides of the hinge bracket 5a and the wire support table 16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수평대(10)의 상부에는 하부 중앙이 힌지브래킷(10a)에 힌지 설치되는 와이어설치대(18)가 설치되고, 이 와이어설치대(18)의 상부 양측에는 와이어로프(13)의 하단부를 걸어 설치하는 와이어걸이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측 힌지브래킷(5a)은 와이어설치대(16)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상부힌지(16a)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하부측 힌지브래킷(10a)은 와이어설치대(18)의 하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하부힌지(18a)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A wire assembly 18 hinged to a hinge bracket 10a at a lower center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bar 10 and a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assembly 18 The upper hinge bracket 5a is hinged to the upper hinge 16a provided at the center upper portion of the wire mounting table 16 and the lower hinge bracket 10a Is hingedly provided on the lower hinge 18a provided at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wire mounting table 18.

또한, 도 7에는 승하강대(20)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도 3에 도시된 승하강대(20)의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다른 점은 일실시예에서는 2가닥의 와이어로프(13)가 두 쌍의 롤러(24)에 안내되도록 설치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경우는 3가닥의 와이어로프(13)가 세 쌍의 롤러(24)에 안내되도록 설치한 점이 다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elt 20, which is entirely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ack 20 shown in Fig. 3, except that, in one embodiment, The rope 13 is provided so as to be guided by the two pairs of rollers 24, but in the case shown in Fig. 7, the three ropes 13 are provided so as to be guided by the three pairs of rollers 24.

즉, 도 7에 도시된 승하강대(20)는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대(20)의 승하강대본체(21) 후방에 T형브래킷(28)을 설치한 뒤에, 그 T형브래킷(28)의 후방측에 또 한 쌍의 롤러(24)를 추가로 설치하여 3가닥의 와이어로프(13)에 세 쌍의 롤러(24)가 안내되면서 다른 실시예의 승하강대(20)가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됨을 나타내는 것이다.7, the T-shaped bracket 28 is provided behind the up / down main body 21 of the vertical arm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T-shaped bracket 28, Another pair of rollers 24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ire rope 13 so that three pairs of rollers 24 are guided by the three wire ropes 13 so that the up and down winding rods 20 of the other embodiments are guided up and down Lt; / RTI >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로프(13)의 양단부는 와이어걸이부에 걸을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의 양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로프의 본선에 겹친 뒤에 그 겹쳐진 부분을 금속으로 된 클램프로 압착 고정한 것임을 밝혀두며, 와이어로프 슬링(sling)이라고도 칭하고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wire rope 13 described above are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a wire rope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be able to be hooked on the wire hanging portion and superimposing the wire rope on the main line of the rope and then pressing and fixing the overlapped portion with a metal clamp. Also called a sling.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13)를 2가닥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은 팽팽해져서 쇠막대형태로 세워진 와이어로프에 승하강대(20)를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할 때, 승하강대가 옆으로 돌아가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when two or more of the wire ropes 13 are installed, when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rope 20 is guided up and down on the wire rope formed in the shape of an iron bar, the elevating and lowering rods do not turn sideways, So that the user can ascend and descend.

그리고, 도 1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3)의 외부에는 다수개의 보호파이프(29)를 추가로 끼움 설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8, a plurality of protection pipes 29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utside the wire rope 13.

상기 각각의 보호파이프(29)는 각기 상하부에 형성된 나사부(29a,29b)에 의해 연결되고, 이렇게 길게 연결되는 보호파이프(29)중에서 상측의 보호파이프(29) 상측에 암나사관 형태로 형성된 나사부(29a)가 와이어로프(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체결구(30)에 나사식으로 체결 설치된다.The protective pipes 2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readed portions 29a and 29b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ective pipe 29. Among the protection pipes 29 connected in this way, 29a are screwed and fastened to fasteners 3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rope 13.

상기 와이어로프(13)의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13a) 중에서 상부측 고리부(13a)의 하부를 결속한 결속부(13b) 하부에 체결구(30)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결속부(13b)와 체결구(30)의 외부는 이음쇠(13c)가 감싸게 고정 설치된다.A fastener 3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13b which fastens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ide ring portion 13a among the fastening portions 13a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ire rope 13, (13b) and the fastening hole (30) are fixedly installed so as to enclose a fitting (13c).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하측에 설치되는 보호파이프(29)는 와이어로프(13)의 하단부까지는 끼워지지 않고 와이어로프(13)의 하단부는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다.1,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is not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but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is exposed.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반공사장치(100)가 포함되는 크레인(1)을 이용하여 지반공사를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크레인본체(2)의 전방에 설치된 핀결합부(7)의 핀구멍(8)과 수평대(10)에 형성된 2개씩의 핀구멍 모두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2개의 핀구멍(8,11)에 2개의 핀을 각각 꽂는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ground work is to be carried out using the crane 1 including the ground wor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6, The two pin holes 8 and 11 coinciding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both the pin holes 8 of the pin engaging portion 7 provided at the front and the two pin holes formed at the horizontal stand 10 are aligned, Respectively.

이들 2개씩의 핀구멍(8,11)은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한 그들 핀구멍(8,11)에 핀이 삽입됨에 따라 수평대(10)는 접히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the pins are inserted into the pin holes 8 and 11, which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two pin holes 8 and 11 are spaced apart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the horizontal base 10 is kept horizontal .

그 다음에는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5) 측의 와이어걸이부(15)에 와이어로프(13)의 상단부를 걸어서 고정 결합하고, 수평대(10)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와이어걸이부(12)에 와이어로프(13)의 하단부를 걸어서 고정 결합한다.Next,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upper end of the wire rope 13 is fixedly connected to the wire holding portion 15 on the side of the upper support 5,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wire rope 13 is hooked and fixed to the hook portion 12.

그 뒤에는 도 1 및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하강대(20)를 와이어로프(13)에 승하강 안내되게 설치하는데, 이때는 도 4의 "B"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롤러(24) 사이를 벌리고, 그렇게 벌어진 롤러(24) 사이로 와이어로프(13)를 삽입시킨 뒤에 벌어졌던 한 쌍의 롤러(24)를 내측으로 오므린다.As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4, the lifting and lowering rods 20 are mounted on the wire rope 13 so as to be guided up and down. In this case, And a pair of rollers 24 that have been opened after inserting the wire rope 13 between the rollers 24 that are opened wide are pushed inward.

이때, 상기 롤러축(23)은 승하강대본체(21)에 형성된 장공(25)에 관통되게 설치되어서 롤러축(23)을 장공(25) 내에서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24)의 롤러홈이 와이어로프(13)를 감싸서 양측 롤러홈에서 와이어로프(13)가 이탈하지 않게 하며, 뒤이어 롤러축(23)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너트를 조이면 양측 롤러(24)는 오므린 상태로 와이어로프(13)에 안내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oller shaft 23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slot 25 formed in the vertical body 21 so that the roller shaft 23 can be opened and contracted in the slot 25, The roller grooves of the rollers 24 of the rollers 24 wrap the wire ropes 13 so that the wire ropes 13 do not separate from the roller grooves on both sides and then the nuts provided on the outer ends of the roller shafts 23 are tightened, The wire rope 13 can be guided to the wire rope 13 in a pinch state.

이렇게 승하강대(20)를 와이어로프(13)에 안내되게 설치한 뒤에는 시공조건에 따라 항타기나 천공기와 같은 작업기(26)를 승하강대(20)의 전방에 수평 설치된 작업기설치대(22)에 설치한다. 도 1은 지반에 구멍을 뚫기 위한 천공기를 승하강대(20)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After the elevating and lowering rods 20 are installed so as to be guided to the wire rope 13, a working machine 26 such as an airplane or a perforator is installed on the work machine mounting base 22 horizontally installed in front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rods 20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nditions . 1 shows a case where a perforator for piercing holes in the ground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platform 20.

위와 같이 작업기(26)를 승하강대(20)에 설치한 뒤에는 상부롤러(6)에 감겨져서 하측으로 늘어트려지는 윈치와이어(4)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4a)를 승하강대(20)에 장착된 작업기(26)의 상부측 와이어걸이부(27)에 건다.After the work machine 26 is installed on the hoisting and lowering platform 20 as described above, the hook 4a provided on the end portion of the winch wire 4 wound on the upper roller 6 and pulled downward is mounted on the hoisting and lowering platform 20 To the upper side wire hooking portion 27 of the working machine 26.

이 상태에서 로프긴장수단 중의 하나인 실린더(14)를 동작시켜서 수평대(10)와 붐대(3)의 각도가 벌어지게 되면, 붐대(3) 상측의 상부지지대(5)와 하측의 수평대(10) 사이에 걸어지게 결합 설치된 와이어로프(13)가 팽팽하게 긴장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ylinder 14, which is one of the rope tension means, is operated and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stand 10 and the boom stand 3 becomes wide, the upper support stand 5 on the upper side of the boom stand 3 and the lower stand 10 of the wire rope 13 is tensioned.

이렇게 팽팽하게 긴장되는 2가닥 이상의 와이어로프(13)는 단단한 쇠막대를 수직하게 세운 상태가 되어 종래의 일반적인 지주대역할을 할 수 있게 되며, 수평대(10)와 붐대(3)의 각도가 벌어지게 하는 것은 와이어로프(13)가 쇠막대처럼 팽팽하게 긴장될 때의 압력을 설정하고 설정된 압력만큼만 압력을 가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The wire rope 13 of two or more strands which are tightly tensioned is in a state in which the rigid iron rod is vertically erec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onventional general holding band adjustment and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rod 10 and the wobble rod 3 It is natural to set the pressure when the wire rope 13 is tightly tensioned like an iron rod and to apply the pressure only to the set pressure.

이 상태에서 윈치장치를 구동시켜서 상부롤러(6)에 감긴 뒤에 하측으로 늘어트려지는 윈치와이어(4)를 하측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하측의 후크(4a)에 걸어진 작업기(26)와 이 작업기(26)가 설치된 승하강대(2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되, 승하강대(20)의 후방에는 팽팽하게 긴장된 두꺼운 와이어로프(13)에 승하강대(20)의 롤러(24)가 안내되게 설치되어서 후크(4a)가 하측으로 내려는 만큼 작업기(26)가 장착된 승하강대(20)가 와이어로프(13)에 안내되면서 하강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inch device is driven to lower the winch wire 4 wound down to the lower side after being wound on the upper roller 6, the work machine 26 hooked to the lower hook 4a, 26 are installed on the hoisting and lowering rope 20 so that the rollers 24 of the hoisting and lowering ropes 20 are guided on the thick wire rope 13 which is tightly tensioned behind the hoisting and lowering rope 20, The descending steel strip 20 on which the work machine 26 is mounted descends while being guided by the wire rope 13 as the wire rope 4a descends downward.

이때, 작업기(26)를 동작시키게 되면 천공이나 항타와 같은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고, 윈치장치의 동작으로 윈치와이어(4)의 단부가 상승되게 되면 작업기(26)도 그에 따라 상승하면서 필요로 하는 작업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end of the winch wire 4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winch device, the work machine 26 is raised accordingly, The work will be done.

도 5에 도시된 경우는 상부지지대(5)와 와이어설치대(16) 사이의 양측에 설치된 실린더(17)를 동작시키는 것에 따라 와이어설치대(16)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균형을 유지하여 2가닥의 와이어로프(13)가 안정적으로 평행을 유지하게 되고, 그로인하여 2가닥의 와이어로프(13)에 승하강대(20)가 원활하게 승하강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5, by operating the cylinders 17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support 5 and the wire mounting table 16, the wire mounting table 16 maintains balance around the hinge, The rope 13 is stably and parallelly held so that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sheaves 20 can be guided smoothly up and down on the two strands of the wire rope 13. [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원통관형태로 형성된 대형의 지주대를 대신하여 굵기가 5㎝ 내외로 굵은 와이어로프(13)를 팽팽하게 당겨서 수직기둥 역할을 함에 따라 종래 지주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던 모든 문제를 해소하면서 안전하게 필요로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a large support bar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ntional round tube, a thick wire rope 13 is pulled tightly to a thickness of about 5 cm to serve as a vertical colum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work which is needed safely while solving all the problems that have occurred.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공사장치(100)를 이용한 작업을 완료한 뒤에 수평대(10)를 접어두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는 서로 일치한 2개소의 핀구멍(8,11) 중에서 어느 한 곳의 핀구멍(8,11)에 꽂힌 핀을 빼낸 뒤에 한 곳에 남은 핀을 중심으로 수평대(10)를 접어둘 수 있는 것이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stand 10 is folded after completing the work using the ground wor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wo pin holes 8, 11 , The horizontal base 10 can be folded around the remaining one of the pins after removing the pin inserted into the one of the pin holes 8,11.

그리고, 도 1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3)의 외부에는 다수개의 보호파이프(29)를 추가로 끼움 설치할 수 있는데, 상부측에 설치되는 보호파이프(29)는 와이어로프(13)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리부(13a) 하측의 체결구(30)에 체결 설치되고, 최하측에 설치되는 보호파이프(29)는 와이어로프(13)의 하단부가 노출되게 설치하여 와이어로프(13)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8, a plurality of protection pipes 29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outside the wire rope 13, and the protection pipe 29 provided on the upper side is connected to the wire rope 13, And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is exposed so that the wire rope 13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 ≪ / RTI >

상기 와이어로프(13)의 외부에 보호파이프(29)를 끼움에 따라 와이어로프(13)를 든든하게 보호함은 물론이고, 지반공사장치(100)의 작업기(26)를 천공을 위한 천공기를 설치한 경우에 오거가 회전하면서 지반을 굴착할 때, 보호파이프(29)가 끼워진 와이어로프(13)가 뒤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wire rope 13 is securely protected by fitting the protection pipe 29 to the outside of the wire rope 13 and the work machine 26 of the ground work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perforat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wire rope 13 fitted with the protection pipe 29 when the auger excavates the ground with rotation.

1 : 크레인 2 : 크레인본체 3 : 붐대
4 : 윈치와이어 5 : 상부지지대 6 : 상부롤러
7 : 핀결합부 8 : 핀구멍 10 : 수평대
11 : 핀구멍 12,15 : 와이어걸이부 13 : 와이어로프
14,17 : 실린더 16,18 : 와이어설치대 20 : 승하강대
21 : 승하강대본체 22 : 작업기설치대 23 : 롤러축
24 : 롤러 25 : 장공 26 : 작업기
27 : 와이어걸이부 28 : T형브래킷 29 : 보호파이프
30 : 체결구 100 : 지반공사장치
1: Crane 2: Crane main body 3: Boom bar
4: winch wire 5: upper support 6: upper roller
7: Pin connecting part 8: Pin hole 10: Horizontal
11: pin hole 12,15: wire hook 13: wire rope
14, 17: Cylinders 16, 18: Wire mounting table 20:
21: hoisting and lowering main body 22: work machine mounting base 23: roller shaft
24: roller 25: elongated hole 26: working machine
27: wire hook 28: T-shaped bracket 29: protective pipe
30: fastener 100: ground working device

Claims (3)

크레인본체(2)의 전방측에 붐대(3)의 하단부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붐대(3)의 상부에는 윈치장치에 의해 윈치와이어(4)가 감겨지며 하측으로 늘어트려지게 하는 상부롤러(6)를 구비한 상부지지대(5)가 설치되며, 상부롤러(6)에 감겨져서 하측으로 늘어트려지는 윈치와이어(4)의 단부에는 후크(4a)가 설치된 크레인(1)에 지반공사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반공사장치(100)는 크레인본체(2)의 전방 하측에 수평대(10)가 전방으로 수평 설치되고,
상부지지대(5)의 하부와 수평대(10)의 선단부 상측 사이에는 적어도 2가닥 이상의 와이어로프(13)가 설치되며,
크레인(1)의 소정위치에는 붐대(3)와 수평대(10)의 각도를 벌려서 상부지지대(5)와 수평대(10)의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로프(13)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붐대(3)와 수평대(10)의 사이에 실린더(14)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13)에는 팽팽해진 와이어로프(13)를 따라 승하강하는 승하강대(20)를 설치하되, 이 승하강대(20)는 승하강대본체(21)의 후방 양측에 와이어로프(13)에 안내되는 한 쌍의 롤러(24)가 좌우로 폭 조절되게 설치되며, 승하강대본체(21)의 전방에는 윈치와이어(4)의 단부에 걸려서 승하강하는 작업기(26)가 설치되는 작업기설치대(22)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대(10)의 내측단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핀구멍(11)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크레인본체(2)의 전방에는 수평대(10)의 핀구멍(11)과 동일한 간격으로 핀구멍(8)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11,8)으로 핀이 삽탈되는 핀결합부(7)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24)는 승하강대본체(21)에 형성된 장공(25)에 설치되는 롤러축(23)에 설치되며, 장공(25)을 관통한 롤러축(23)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서로 대응되는 롤러(24)의 간격이 조절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공사장치.
A lower end portion of the float base 3 is hingedly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rane main body 2.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 base 3 is wound with a winch wire 4 by a winch device, A crane 1 provided with a hook 4a is attached to an end of a winch wire 4 which is wound on a lower roller 6 and wound on an upper roller 6, (100) is installed,
In the ground working apparatus 100, a horizontal stand 10 is horizontally installed forwardly below a crane main body 2,
At least two wire ropes 13 are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5 and the upp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0,
A boom rope (3)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rane (1) for stretching the wire rope (13)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pport (5) and the horizontal rods (10) ) And the horizontal stand 10,
The hoisting and lowering rope 20 is provided with a wire rope 13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hoisting main body 21, And a pair of rollers 24 guided by the winch wire 4 are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ist main body 21. A work machine mounting table 22,
At least two or more pin holes 11 are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bar 10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ne main body 2 and the pin holes 11 of the horizontal bar 10 A pin engagement portion 7 in which a pin hole 8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in which a pin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mutually corresponding pin holes 11 and 8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orward,
The pair of rollers 24 are provided on a roller shaft 23 provided in the elongated hole 25 formed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ain body 21 and the roller shaft 23 passing through the elongated hole 25 is provided with a nut And the spacing of the rollers (24)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adjust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5)의 중앙 하부와 수평대(10)의 상부에 힌지브래킷(5a,10a)이 각각 설치되고, 상부지지대(5)의 하방에는 양측 하방에 와이어로프(13)의 상단부를 걸어 설치하는 와이어걸이부(15)가 구비된 와이어설치대(16)가 힌지브래킷(5a)에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힌지브래킷(5a) 양측의 상부지지대(5)와 와이어설치대(16) 사이에는 와이어설치대(16)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실린더(17)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평대(10)의 상부에는 하부 중앙이 힌지브래킷(10a)에 힌지 설치되는 와이어설치대(18)가 설치되고, 이 와이어설치대(18)의 상부 양측에는 와이어로프(13)의 하단부를 걸어 설치하는 와이어걸이부(12)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13)의 외부에는 다수개의 보호파이프(29)를 추가로 끼움 설치하되, 각각의 보호파이프(29)는 각기 상하부에 형성된 나사부(29a,29b)에 의해 연결되고, 상부측의 보호파이프(29) 상측은 와이어로프(13)의 상부측 고리부(13a) 하부에 고정 설치된 체결구(30)에 나사식으로 체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공사장치.
The hinge brack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inge bracket (5a, 10a) is provided at the cent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5) an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tand (10) A wire support 16 provided with a wire hanger 15 for hanging an upper end portion of the hinge bracket 5 is hinged to the hinge bracket 5a and the upper support 5 on both sides of the hinge bracket 5a, And a cylinder 17 for maintaining balance of the wire mounting table 1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6,
A wire assembly 18 hinged to the hinge bracket 10a at its lower center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tand 10 and a lower end of the wire rope 13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ire installation stand 18 A wire hooking portion 12 is provided,
A plurality of protection pipes 29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re rope 13 so that each protection pipe 29 is connected by the threaded portions 29a and 29b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Wherein the upper side of the pipe (29) is screwed into a fastener (3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ide ring (13a) of the wire rope (13).
KR1020160116371A 2016-09-09 2016-09-09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KR101772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71A KR101772568B1 (en) 2016-09-09 2016-09-09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71A KR101772568B1 (en) 2016-09-09 2016-09-09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568B1 true KR101772568B1 (en) 2017-08-29

Family

ID=5975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71A KR101772568B1 (en) 2016-09-09 2016-09-09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6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7008A (en) * 2010-08-30 2012-03-08 Onoda Chemico Co Ltd Ground improv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7008A (en) * 2010-08-30 2012-03-08 Onoda Chemico Co Ltd Ground improve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50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20150152653A1 (en) Platform
KR20180007838A (en)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apparatus of safety net for constructuion
KR20140065124A (en) Lifting gantry for girder erection works of suspension bridges
KR101772568B1 (en) Device for building ground subsidence
JP6567631B2 (en) How to prevent scattering when building is demolished
CN113264458A (en) Tower cran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ttachment rod thereof
CN111549788A (en) Installation method of foundation pit section steel combined support
CN110745683A (en) Hoisting device and method for reinforcement cage of underground continuous wall
GB2469633A (en) Lifting System
JP2012002030A (en) Temporary scaffold for slope fa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JP5535719B2 (en) Simple assembly type derrick
CN114873445A (en) Bridge prefabricated part hoisting tool and hoisting method
JP3947542B2 (en) Steel tower lifting and dismantling method and tower receiving bracket for the method
JP5948828B2 (en) Lifting device used for assembling cargo lift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cargo lift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10150039A (en) Crane girder replacing method and crane girder replacing device
JP3222132U (en) Pile hitting machine leader slide type assembly scaffolding
JP5377361B2 (en) Net extension device for steel pipe support
JP2004263498A (en) Guard fence installation method and guard fence installation device
WO2019220080A1 (en) An extendable scaffolding safety barrier and method
CN212832358U (en) Prefabricated water tank hoist and mount hoisting accessory
CN114784708B (en) Composite cable installation method for newly-built jacket
CN214031478U (en) Manual crane device for hoisting cable blowout prevention system
AU2018413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post
CN220566127U (en) Anchor platform device is moved back to fixed anchor of advanc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