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277B1 - 항공기용 착륙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착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277B1
KR101772277B1 KR1020150124096A KR20150124096A KR101772277B1 KR 101772277 B1 KR101772277 B1 KR 101772277B1 KR 1020150124096 A KR1020150124096 A KR 1020150124096A KR 20150124096 A KR20150124096 A KR 20150124096A KR 101772277 B1 KR101772277 B1 KR 10177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ube
diameter
assembly
torqu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462A (ko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2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8Operating mechanisms
    • B64C25/24Operating mechanisms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40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향시스템의 변경을 통해 중량이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된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의하면 조향모터를 이용하여 착륙장치의 피스톤조립체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의하면 조향시스템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의하면 외부에 있던 조향시스템 구성품들을 착륙장치의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착륙장치 접힘 시 조향시스템 구성품에 의한 간섭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기용 착륙장치{Landing device for air plane}
본 발명은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향시스템의 변경을 통해 중량이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된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하부에는 착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착륙장치가 설치된다.
항공기가 지상에 착륙한 이후에 지상에서 항공기의 기체를 지지하고 있던 착륙장치는, 항공기가 지상으로부터 이륙하는 경우에 빠른 속도로 비행을 하게 됨에 따라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항공기의 내부로 수납된다.
항공기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유압 혹은 전기를 발생시켜서 이를 작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착륙장치를 펼치거나 접게 되는데, 중대형 항공기의 경우 중량 구조물인 착륙장치의 신뢰성있는 작동을 위해 유압을 사용하고 있으며, 소형 경량 항공기의 경우에는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유압식 완충기 타입의 항공기 착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린더조립체(11)와 피스톤조립체(14)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조립체(11)는 항공기 동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구성품이고, 상기 피스톤조립체(14)는 상기 실린더조립체(11)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자유도 및 축방향 회전 자유도가 존재하는 구성품이다.
항공기 착륙장치 조향은 일반적으로 상기 피스톤조립체(11)를 외부 동력을 이용해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조향작동기(12), 커프(13) 및 토크링크(15)로 구성된 조향시스템이 상기 실린더조립체(11)와 상기 피스톤조립체(14) 사이에 구비된다.
착륙장치의 조향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조향작동기(12)가 상기 커프(13)를 회전시키고, 상기 커프(13)의 회전운동을 어퍼 및 로워 토크링크(15)가 상기 피스톤조립체(14)에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작동기(12) 구동원은 유압 또는 전기로서 항공기 구동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중량 항공기에는 유압식 조향작동기가, 경량 항공기에는 전기식 조향작동기가 적용된다.
항공기 중량은 항공기 운용비용과 직결되는 설계 인자이기 때문에 중량은 착륙장치의 설계 요구사항 중 가장 우선 시 되는 사항이다. 종래 조향시스템 경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위 구성품의 종류 및 수량이 많음으로 인하여 착륙장치 총 중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 단순화를 통한 항공기 중량 절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항공기의 타 구성품에 비해 조향시스템 구성품은 다소 과설계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상기 실린더조립체(11)와 상기 피스톤조립체(14)를 연결해야 하는 기본 구조 상 주요 구성품의 형상 및 크기 변화에 제한이 있어 형상 최적화에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조향 하중이 큰 폭으로 감소하더라도 물리적인 크기는 크게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과설계는 조향 하중이 작은 착륙장치 일수록 정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1801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모터를 이용하여 착륙장치의 피스톤조립체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향시스템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 있던 조향시스템 구성품들을 착륙장치의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착륙장치 접힘 시 조향시스템 구성품에 의한 간섭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공기 동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조립체; a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외부토크튜브와, b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된 내부토크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부에 구비되는 토크튜브조립체; 상기 실린더조립체 상부면과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향모터;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대상물이 연결되는 피스톤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b직경은 상기 a직경보다 작고,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가상기 외부토크튜브의 내경부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토크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하부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결합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슬롯들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들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길이방향의 슬롯들과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들을 각각 연결하는 선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조향모터와 상기 외부토크튜브를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조립체의 상부에 고정된 댐핑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는 상기 댐핑밸브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조립체는 토크전달을 수행하며, 상기 피스톤조립체는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에서 회전운동 및 상하방향운동을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항공기 동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조립체; a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외부토크튜브;와, 제1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제1토크튜브와, 제2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제2토크튜브가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토크튜브;와, b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된 내부토크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튜브조립체; 상기 실린더조립체 상부면과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향모터;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대상물이 연결되는 피스톤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a직경, 상기 제1직경, 상기 제2직경 및 상기 b직경 순으로 직경의 크기는 크고, 상기 제1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제1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제2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 제2토크튜브 및 제1토크튜브는 상기 제2토크튜브, 상기 제1토크튜브 및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내경부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토크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하부, 상기 제1토크튜브의 상하부, 상기 제2토크튜브의 상하부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플랜지결합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슬롯들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들도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상기 길이방향의 슬롯들과 상기 길이방향의 돌기들을 각각 연결하는 선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조향모터와 상기 외부토크튜브를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조립체의 상부에 고정된 댐핑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는 상기 댐핑밸브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조립체는 토크전달을 수행하며, 상기 피스톤조립체는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에서 회전운동 및 상하방향운동을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의하면 조향모터를 이용하여 착륙장치의 피스톤조립체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의하면 조향시스템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용 착륙장치에 의하면 외부에 있던 조향시스템 구성품들을 착륙장치의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착륙장치 접힘 시 조향시스템 구성품에 의한 간섭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의 조향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의 조향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의 조향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100)는 크게 실린더조립체(130)와, 조향시스템을 구성하는 토크튜브조립체(110) 및 조향모터(120)과, 피스톤조립체(140), 어댑터(160) 및 댐핑배브(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조립체(130)는 항공기 동체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구성품이며,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 및 상기 피스톤조립체(140)가 모두 상기 실린더조립체(130)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는 외부토크튜브(111)와 내부토크튜브(1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와 내부토크튜브(112) 사이에 복수개의 중간토크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향모터(120)는 상기 외부토크튜브(111)를 연결하는 상기 어댑터(120) 상에 샤프트를 통해 체결됨과 함께, 상기 실린더조립체(130)의 상부면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조향모터(120)로서 정역 회전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댐핑밸브(150)는 상기 피스톤조립체(140)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이와 함께 상기 내부토크튜브(112)의 하부와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조립체(140)는 상부에 상기 댐핑밸브(150)가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조향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조립체(140)는 상기 실린더조립체(130) 내부에서 회전운동 및 상하방향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로써 대상물을 조향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조립체(130) 내부에는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와 상기 피스톤조립체(140) 등의 구성품이 위치하게 되는데, 구성품을 포함한 빈 공간에는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는 토크전달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조향모터(120)에 의한 회전토크 전달 및 상하방향(축방향) 병진 자유도를 위해 슬롯(slot) 형식을 적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슬롯은 토크를 전달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는 기본적으로 외부토크튜브(111)와 내부토크튜브(112)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와 내부토크튜브(112) 사이에 필요한 수만큼의 중간토크튜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토크튜브(111)는 a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롯(117)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의 내경부에 2개의 슬롯(117)을 형성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슬롯(117)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180도)에 구비되는 것이 토크전달을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토크튜브는 제1토크튜브(113)과 제2토크튜브(114)가 쌍을 이루고 있으며, 필요한 수만큼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토크튜브(113)는 제1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는 길이방향의 돌기(118-1)들이 형성되고, 내경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롯(117-1)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외경부에 2개의 돌기(118-1)를 형성하였고, 내경부에는 2개의 슬롯(117-1)을 형성하였으며, 이들 각각의 돌기(118-1)와 슬롯(117-1)은 서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180도)에 구비되는 것이 토크전달을 위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제2 돌기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제1 슬롯과 상기 제1 토크튜브(113)의 제2 슬롯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토크튜브(114)는 제2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토크튜브(113)와 마찬가지로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한 쌍의 돌기(118-1)들이 형성되고,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한 쌍의 슬롯(117-1)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제1 돌기와 상기 제1토크튜브의 제2 돌기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제1 돌기와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제2 돌기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제1 슬롯과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제2 슬롯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제1 슬롯과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제2 슬롯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서로 직각을 이룬다.
상기 a직경과, 상기 제1직경과, 상기 제2직경 및 상기 b직경의 크기는 이 순서대로 큰 값을 가지는데, 서로의 직경 안으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삭제
한편,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의 하부와,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상부 및 하부,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상부 및 하부 그리고 상기 내부토크튜브(112)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플랜지결합을 이루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토크튜브에 형성된 돌기는 이웃하는 토크튜브에 형성된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돌기(118-1)들은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의 슬롯(117)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돌기(118-1)들은 상기 제1토크튜브(113)의 슬롯(117-1)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부토크튜브(112)의 돌기(118)들은 상기 제2토크튜브(114)의 슬롯(118-1)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에 상기 피스톤조립체(140)에 의한 힘이 전달되게 되면, 상기 내부토크튜브(112), 제2토크튜브(114) 및 제1토크튜브(113) 각각은 서로 인접하여 플랜지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토크튜브(114), 상기 제1토크튜브(113) 및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의 내경부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토크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는 상기 조향모터(120)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토크를 상기 피스톤조립체(140)에 전달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대상물은 조향된다.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를 구성하는 토크튜브의 길이 및 수량은 대상 착륙장치의 스트로크(Stroke)와 상기 댐핑밸브(14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착륙장치(100)가 완전히 압축된 경우에는 내부토크튜브(112)와 중간토크튜브들은 모두 외부토크튜브(111)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외부토크튜브(111)는 상기 댐핑밸브(1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외부토크튜브(111)는 상기 댐핑밸브(140) 내부 공간에 따라 그 길이 및 외경이 결정되게 되며, 상기 외부토크튜브(111)의 형상에 따라 나머지 중간토크튜브들 및 내부토크튜브의 형상이 결정된다. 그리고, 토크튜브의 길이가 결정되게 되면, 착륙장치(100)가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 토크튜브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토크튜브의 수량을 결정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의 조향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착륙장치(100)의 스트로크 별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착륙장치(100)가 팽창된 상태임을 알 수 있는데,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를 구성하고 있는 토크튜브들이 서로 삽입되어 있지 않고 외부로 나와 있는 상태로 토크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착륙장치(100)가 완전히 압축된 상태임을 알 수 있는데, 상기 토크튜브조립체(110)를 구성하고 있는 토크튜브들이 서로의 토크튜브 내부로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착륙장치(100)는 상기 조향모터(120)를 이용하여 착륙장치의 피스톤조립체(140)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하였으며, 조향시스템의 단순화를 통해 중량을 절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있던 조향시스템 구성품들을 착륙장치의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착륙장치 접힘 시 조향시스템 구성품에 의한 간섭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항공기용 착륙장치 110: 토크튜브조립체
120 : 조향모터 130 : 실린더조립체
140 : 피스톤조립체 150 : 댐핑밸브
160 : 어댑터 111 : 외부토크튜브
112 : 내부토크튜브 117 : 슬롯
118 : 돌기

Claims (12)

  1. 항공기 동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조립체;
    a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외부토크튜브와, b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된 내부토크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부에 구비되는 토크튜브조립체;
    상기 실린더조립체 상부면과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향모터;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대상물이 연결되는 피스톤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b직경은 상기 a직경보다 작고,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가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내경부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토크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하부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모터와 상기 외부토크튜브를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조립체의 상부에 고정된 댐핑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는 상기 댐핑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조립체는 토크전달을 수행하며, 상기 피스톤조립체는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에서 회전운동 및 상하방향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7. 항공기 동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조립체;
    a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외부토크튜브;와, 제1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제1토크튜브와, 제2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되고 내경부에 길이방향의 슬롯들이 형성된 제2토크튜브가 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토크튜브;와, b직경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부에 길이방향의 돌기들이 형성된 내부토크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토크튜브조립체;
    상기 실린더조립체 상부면과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상부에 체결되는 조향모터;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대상물이 연결되는 피스톤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a직경, 상기 제1직경, 상기 제2직경 및 상기 b직경 순으로 직경의 크기는 크고, 상기 제1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제1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돌기들은 상기 제2토크튜브의 슬롯에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 제2토크튜브 및 제1토크튜브는 상기 제2토크튜브, 상기 제1토크튜브 및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내경부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토크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토크튜브의 하부, 상기 제1토크튜브의 상하부, 상기 제2토크튜브의 상하부 및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플랜지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9. 삭제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모터와 상기 외부토크튜브를 연결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조립체의 상부에 고정된 댐핑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토크튜브의 하부는 상기 댐핑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튜브조립체는 토크전달을 수행하며, 상기 피스톤조립체는 상기 실린더조립체 내에서 회전운동 및 상하방향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착륙장치.
KR1020150124096A 2015-09-02 2015-09-02 항공기용 착륙장치 KR10177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96A KR101772277B1 (ko) 2015-09-02 2015-09-02 항공기용 착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96A KR101772277B1 (ko) 2015-09-02 2015-09-02 항공기용 착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62A KR20170027462A (ko) 2017-03-10
KR101772277B1 true KR101772277B1 (ko) 2017-08-28

Family

ID=5841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96A KR101772277B1 (ko) 2015-09-02 2015-09-02 항공기용 착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2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0357A (zh) 2010-06-23 2010-10-27 南京航空航天大学 半环形作动筒前轮转弯操纵机构
KR101473586B1 (ko) 2013-10-30 2014-12-16 현대위아 주식회사 항공기용 착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9407B1 (fr) 2008-12-05 2011-02-11 Messier Dowty Sa Dispositif de raccourcissement d'un atterisseur d'aerone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0357A (zh) 2010-06-23 2010-10-27 南京航空航天大学 半环形作动筒前轮转弯操纵机构
KR101473586B1 (ko) 2013-10-30 2014-12-16 현대위아 주식회사 항공기용 착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462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3102B1 (en) Spherical coordinates manipulating mechanism
CN106428528B (zh) 供飞机增升装置使用的扭矩管组件
US8307732B2 (en) Parallel link robot
JP5815200B2 (ja) 航空機着陸装置用操向システム
EP3301326B1 (en) Linear actuator with multi-degree of freedom mounting structure
US20130105621A1 (en) Pylon mounting system with vibration isolation
US20160325441A1 (en) Balancer device
CN101537979A (zh) 一种锁定销插拨装置及带有该锁定销插拨装置的起重机
CN106986006A (zh) 可重复使用的变角度变长度自适应缓冲着陆机构
CN104743139A (zh) 一种能够稳定抓捕的空间机械臂结构
US20140260715A1 (en) Linear/rotary motion transforming device
KR101772277B1 (ko) 항공기용 착륙장치
EP2873889A2 (en) Cam-operated Bi-directional shock absorber damper
EP3659246B1 (en) Magnetic coupling device
EP3055206B1 (en) Active vibration control actuator
CN104229136B (zh) 传动机构和多旋翼飞行器
KR10135473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KR102314277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JP6498467B2 (ja) 回転慣性制振装置、及び構造物の振動抑制装置
WO2020115247A1 (en) A movement simulator
CN113716024B (zh) 一种便于展开调节的无人机起落架
RU2733031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шарнир
CN208181436U (zh) 一种油动直驱多旋翼无人机
US10393218B2 (en) Viscous damper
CN104121272B (zh) 车辆及其发动机和曲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