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883B1 -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 Google Patents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883B1
KR101771883B1 KR1020170089365A KR20170089365A KR101771883B1 KR 101771883 B1 KR101771883 B1 KR 101771883B1 KR 1020170089365 A KR1020170089365 A KR 1020170089365A KR 20170089365 A KR20170089365 A KR 20170089365A KR 101771883 B1 KR101771883 B1 KR 10177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guide shaft
drill
shape
re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규
Original Assignee
이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규 filed Critical 이호규
Priority to KR102017008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츄어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스크류체를 이용하지 않으며, 간단하게 시술이 가능하면서도, 치조골의 광범위한 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간편한 픽스츄어 리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중심축, 드릴관 및 드릴관 하측에 형성된 채취톱니를 갖는 트레파인 드릴 및 트레파인 드릴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있어서, 트레파인 드릴관의 내측 중앙부에 드릴관 상측면에 대해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신축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신축 가이드부의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Fixture Remover with fixing aticl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의 픽스츄어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픽스츄어를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통상적으로 티타늄 재질의 인공 치근인 픽스츄어를 식립하여 일정 기간 동안 뼈와 유착되도록 한 후,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연결장치인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고, 어버트먼트 상부에 가공 치아인 크라운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정확하게 식립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골 융합의 실패, 골 재생술의 실패, 픽스츄어 주변의 염증 등으로 인한 골 손실, 픽스츄어 제거시에 발생하는 스크류의 손실 등, 픽스츄어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가 다양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기구가 픽스츄어 리무버이다.
선행기술의 픽스츄어 리무버로서, 등록특허공보 721603호에는, 드라이버와 제거기를 구비하여, 잘못 식립된 픽스츄어를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493509호에는,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체결나사, 제거 드라이버 및 암나사 부재를 구비하여, 픽스츄어를 회전시키면서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246265호에는, 리무버 스크류 및 리무버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픽스츄어를 회전시키면서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특허 문헌들에 기재된 종래의 픽스츄어 리무버들은, 픽스츄어의 내부에 형성된 픽스츄어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스크류체를 삽입하여, 스크류체와 결합된 픽스츄어를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스크류체가 깨지는 경우 등에는 픽스츄어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결국, 상기 특허 문헌 들에 기재된 종래의 픽스츄어 리무버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픽스츄어 내부에 형성된 픽스츄어 암나사부의 나사선이 모두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 둘째, 픽스츄어 상부의 막힘이 없어야 한다는 점, 셋째, 픽스츄어 상부의 형상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 등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픽스츄어를 제거하는 경우는,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곧바로 제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이나, 스크류체를 이용하여 픽스츄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이나, 픽스츄어 주변 치조골의 염증 등 다양한 경우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스크류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트레파인 드릴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트레파인 드릴을 이용하여 픽스츄어 주변의 치조골을 제거하는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픽스츄어 주변의 치조골을 광범위하게 제거하여야 하므로, 픽스츄어 제거에 따른 추가적인 골 이식 등이 필요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립된 픽스츄어 상부측에 트레파인 드릴을 고정시키고 회전시킴으로서 픽스츄어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을 함께 제거하여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픽스츄어보다 반경 2mm 이상의 치조골이 제거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픽스츄어와 트레파인 드릴은 중심점을 찾기 어려워서 픽스츄어의 제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중심의 불일치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치조골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공보 721603호 특허문헌 2 : 등록특허공보 1493509호 특허문헌 3 : 등록특허공보 12462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픽스츄어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스크류체를 이용하지 않으며, 간단하게 시술이 가능하면서도, 치조골의 광범위한 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간편한 픽스츄어 리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트레파인 드릴을 사용함에 있어서, 치조골 제거를 최소한으로 줄이며, 안전하고 신속하게 픽스츄어를 제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본 발명은 중심축, 드릴관 및 드릴관 하측에 형성된 채취톱니를 갖는 트레파인 드릴 및 트레파인 드릴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있어서, 트레파인 드릴관의 내측 중앙부에 드릴관 상측면에 대해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신축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신축 가이드부의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2] 본 발명은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부는, 제1 스프링과 가이드 축으로 이루어지며, 신축 가이드부의 외측에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제1 중공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중공체는 드릴관 내측 중앙부에 중심축과 동심원 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중공체의 내부 상측에서 드릴관 내측 중앙에 고정되며, 제1 중공체의 내부 하측에서 가이드 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축의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3] 본 발명은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부는, 상부 가이드 축, 하부 가이드 축, 부싱 및 제2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상부 가이드 축은, 드릴관 내부 상측 중앙에 중심축과 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축은, 상기 상부 가이드 축과 별개로 상부 가이드 축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축과 상기 하부 가이드 축은 부싱을 통해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하부 가이드축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부싱과 하부 가이드 축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측은 부싱의 외측에 고정되고, 하측은 픽스츄어 고정구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 축의 하측과 상기 제2 스프링의 하측이 모두 픽스츄어 고정구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4]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 고정구의 형상은 다각형의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픽스츄어 고정구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상측은 상기 다각형의 오목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 리무버에 의하면, 픽스츄어를 제거함에 있어서, 종래 스크류체 등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간단하면서도, 쉽게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치조골의 훼손도 극히 적게되어 임플란트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픽스츄어 고정구로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를 수직 방향의 힘으로 눌러 고정시키므로, 픽스츄어를 정확하게 고정하면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스프링을 이용하므로, 픽스츄어 고정을 위한 수직 방향으로의 신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픽스츄어를 고정하기 위한 픽스츄어 고정구를 하부 가이드축에만 형성하므로,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하부 가이드 축만의 교체로 다양한 형상의 픽스츄어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픽스츄어를 제거함에 있어서, 픽스츄어 고정구의 하부 형상을 픽스츄어 상부 형상과 맞물리도록 하여, 픽스츄어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수직으로 식립된 경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경사지게 식립된 경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 내부에 이물질이 남아 있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수직으로 식립된 경우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경사지게 식립된 경우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 내부에 이물질이 남아 있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식립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의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리무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개략도이며, 도 4a 내지 도 5c는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수직으로 식립된 경우,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경사지게 식립된 경우 및 픽스츄어 내부에 잘못해서 이물질이 남아 있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식립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의 도면이다.
도 6은 통상적인 임플란트 픽스츄어(10)를 나타내는 것으로, 치조골(20)에 식립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픽스츄어 수나사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어버트먼트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픽스츄어 암나사부(1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30)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트레파인 드릴(30)은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에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파인 드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레파인 드릴(30)은 상측으로 중심축(31)을 형성하고 이 축은 모터 등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중심축(31) 아래쪽으로는 드릴관(32)이 형성되며, 드릴관(32) 하측에는 채취 톱니(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파인 드릴(30)은 픽스츄어(10)를 제거하기 위해서 픽스츄어(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트레파인 드릴(30)로 회전시키면서 치조골(20)을 파내면서 제거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30)은 픽스츄어(10) 주변의 치조골(20)이 광범위하게 제거되므로, 픽스츄어(10) 제거에 따른 추가적인 골 이식 등이 필요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30)은 픽스츄어(10)가 수직 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치조골(20)에 식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픽스츄어(10)에 트레파인 드릴(30)을 고정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픽스츄어(10)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 개량된 트레파인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서 실시예 1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중심축(31), 드릴관(32) 및 드릴관(32) 하측에 형성된 채취톱니(33)를 갖는 트레파인 드릴(30) 및 트레파인 드릴(30)을 구동하는 모터(M)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1)에 있어서,
드릴관(32)의 내측 중앙부에 드릴관(32) 상측면에 대해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신축 가이드부(100)를 더 형성하며, 신축 가이드부(100)의 하측에는 픽스츄어(10)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축 가이드부(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축 가이드부(100) 하측에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의 중심에 정확하게 맞물려 고정시키기 위한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갖는 것이라면 어떤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2에 실시예 2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실시예 1의 신축 가이드부(100)를 구체적으로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신축 가이드부(200)는, 제1 스프링(201), 가이드 축(202) 및 제1 스프링(201)과 가이드 축(202)의 외측에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제1 중공체(203)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중공체(203)는 드릴관(32) 내측 중앙부에 중심축과 동심원 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스프링(201)은 제1 중공체(203)의 내부 상측에서 드릴관(32) 내측 중앙에 고정되며, 제1 중공체(203)의 내부 하측에서 가이드 축(202)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축(202)의 하측에는 픽스츄어(10)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50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중공체(203)의 직경은 픽스츄어 고정구(500)의 상부 직경보다 작게 하여, 픽스츄어 고정구(500)가 제1 중공체(203)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성에 의해 픽스츄어(10)를 제거하는 시술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의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치조골(20)에 식립된 불량 픽스츄어(10)의 중심부에 맞대어 픽스츄어(10)에 맞물리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픽스츄어 고정구(500)의 하측이 픽스츄어(10) 상부 내측과 맞물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 상측으로 누르게 되면, 제1 스프링(201) 및 가이드 축(202)에 의하여 픽스츄어 리무버(1)는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픽스츄어(10)를 정확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픽스츄어 리무버(1)가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가 확인되면, 트레파인 드릴을 회전시킴으로서 치조골과 함께 픽스츄어(10)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픽스츄어(10)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30)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픽스츄어(10)를 제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제거도 픽스츄어(10) 외측으로 반경 1mm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10) 주변의 골 조직의 훼손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구체적인 시술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10)가 정상적으로 수직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등의 결합시에 불량으로 인하여, 또는 치조골 주위의 이상 발생으로 어쩔 수 없이 픽스츄어(10)를 제거해야만 하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의 가이드 축(202)의 하측에 형성된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픽스츄어(10)의 상부 내측과 맞추어 픽스츄어(10)에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 맞물리도록 하는 구성은 서로의 형상을 암수 형태로 하여 단순히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픽스츄어 고정구(500)의 하측을 3각, 4각 등 다각형의 볼록체로 구성하고, 픽스츄어(10)의 상측을 3각, 4각 등 다각형의 오목체로 구성하므로써 맞물림이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 상측으로 누르게 되면, 픽스츄어 리무버(1)에 의하여 픽스츄어(10)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면,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저절로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인 자세를 갖게 되며,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쪽으로 누르면서 트레파인 드릴을 회전시키면 픽스츄어(10)를 주변 치조골과 함께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10)가 식립된 상태에서 치조골 손상 등 다른 영향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픽스츄어(10)가 경사지게 식립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앞서 도 4a에서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의 가이드 축(202)의 하측에 형성된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픽스츄어(10) 상부 내측과 맞추어 픽스츄어(10)에 맞물리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저절로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인 자세를 갖게 되며,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쪽으로 누르면서 트레파인 드릴을 회전시키면 픽스츄어(10)를 주변 치조골과 함께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 내부에 어버트먼트를 삽입하거나, 픽스츄어 제거를 위한 스크류체를 삽입하는 과정 등에서 어버트먼트나 스크류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로 픽스츄어(10) 내부에 이물질이 남아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도 4a, 도 4b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하여, 픽스츄어(1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3에 실시예 3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실시예 1의 신축 가이드부(100)의 구체적으로 한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신축 가이드부(300)는 상부 가이드 축(301), 하부 가이드 축(302), 부싱(303) 및 제2 스프링(304)을 가지며, 상기 상부 가이드 축(301)은, 드릴관(32) 내부 상측 중앙에 중심축과 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축(302)은, 상기 상부 가이드 축(301)과 별개로 상부 가이드 축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축(301)과 상기 하부 가이드 축(302)은 부싱을 통해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하부 가이드 축(302)이 부싱 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304)은, 부싱과(303)과 하부 가이드 축(302)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측은 부싱(303)의 외측에 고정되고, 하부는 픽스츄어 고정구(500) 상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 축(302)의 하부에도 픽스츄어(10)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500)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하부 가이드 축(302)의 하측이 픽스츄어 고정구(500)의 중심과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2 스프링(304)의 하측이 픽스츄어 고정구(500)의 상부 가장자리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 가이드 축(301)을 드릴관(32) 내부 상측에 중심축(31)과 동축 상에 형성하는 방법은 중심축(31)에의 삽입, 나사 결합, 일체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성에 의해 픽스츄어(10)를 제거하는 시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의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치조골(20)에 식립된 불량 픽스츄어(10)의 중심부에 맞대어 픽스츄어(10)를 맞물리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픽스츄어 고정구(500)가 픽스츄어(10) 상부 내측과 맞물려,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가 픽스츄어(10)에 맞물리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 상측으로 누르게 되면, 하부 가이드 축(302)이 부싱(303)을 통해서 상부 가이드 축(30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스프링(304)도 드릴관(32)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픽스츄어 리무버(1)는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픽스츄어(10)를 정확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픽스츄어 리무버(1)가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가 확인되면, 트레파인 드릴을 회전시킴으로서 치조골과 함께 픽스츄어(10)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픽스츄어(10)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트레파인 드릴(30)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픽스츄어(10)를 제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제거도 픽스츄어(10) 외측으로 반경 1mm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10) 주변의 골 조직의 훼손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구체적인 시술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10)가 정상적으로 수직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등의 결합시에 불량으로 인하여, 또는 치조골 주위의 이상 발생으로 어쩔 수 없이 픽스츄어(10)를 제거해야만 하는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의 하부 가이드 축(302)의 하측에 형성된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픽스츄어(10) 상부 내측과 맞추어 픽스츄어(10)에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여기서 고정시키는 구성은 서로의 형상을 암수 형태로 하여 단순히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맞물리게 되면,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저절로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인 자세를 갖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픽스츄어 리무버(1)를 픽스츄어(10)쪽으로 누르면서 트레파인 드릴을 회전시켜 픽스츄어(10)를 주변 치조골과 함께 쉽게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10)가 식립된 상태에서 치조골 손실 등 다른 영향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경사지게 식립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5a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의 하부 가이드 축(302)의 하측에 형성된 픽스츄어 고정구(500)를 픽스츄어(10) 상부 내측과 맞추는 것으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 리무버(1)는 저절로 픽스츄어(10)에 대해서 수직인 자세를 갖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픽스츄어 리무버를 픽스츄어(10)쪽으로 누르면서 트레파인 드릴을 회전시키면 픽스츄어(10)를 주변 치조골과 함께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 내부에 어버트먼트를 삽입하거나, 픽스츄어 제거를 위한 스크류체를 삽입하는 과정 등에서 어버트먼트나 스크류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로 픽스츄어(10) 내부에 이물질이 남아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도 5a, 도 5b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하여, 픽스츄어(1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상기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청구범위 및 균등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픽스츄어 리무버
10 : 픽스츄어
11 : 픽스츄어 수나사부
12 : 픽스츄어 암나사부
20 : 치조골
30 : 트레파인 드릴
31 : 중심축
32 : 드릴관
33 : 채취 톱니
100, 200, 300 : 신축 가이드부
201 : 제1 스프링
202 : 가이드 축
203 : 제1 중공체
301 : 상부 가이드 축
302 : 하부 가이드 축
303 : 부싱
304 : 제2 스프링
400 : 제2 중공체
500 : 픽스츄어 고정구

Claims (4)

  1. 중심축, 드릴관 및 드릴관 하측에 형성된 채취톱니를 갖는 트레파인 드릴 및 트레파인 드릴을 구동하는 모터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에 있어서,
    트레파인 드릴관의 내측 중앙부에 드릴관 상측면에 대해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신축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신축 가이드부의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부는, 제1 스프링과 가이드 축으로 이루어지며, 신축 가이드부의 외측에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제1 중공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중공체는 드릴관 내측 중앙부에 중심축과 동심원 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제1 중공체의 내부 상측에서 드릴관 내측 중앙에 고정되며, 제1 중공체의 내부 하측에서 가이드 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축의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부는, 상부 가이드 축, 하부 가이드 축, 부싱 및 제2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상부 가이드 축은, 드릴관 내부 상측 중앙에 중심축과 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축은, 상기 상부 가이드 축과 별개로 상부 가이드 축과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축과 상기 하부 가이드 축은 부싱을 통해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하부 가이드축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하측에는 픽스츄어의 상부 형상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픽스츄어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프링은, 부싱과 하부 가이드 축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측은 부싱의 외측에 고정되고, 하측은 픽스츄어 고정구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 축의 하측과 상기 제2 스프링의 하측이 모두 픽스츄어 고정구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 고정구의 형상은 다각형의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픽스츄어 고정구에 대응하는 픽스츄어의 상측은 상기 다각형의 오목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KR1020170089365A 2017-07-14 2017-07-14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KR10177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65A KR101771883B1 (ko) 2017-07-14 2017-07-14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65A KR101771883B1 (ko) 2017-07-14 2017-07-14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883B1 true KR101771883B1 (ko) 2017-08-25

Family

ID=5976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365A KR101771883B1 (ko) 2017-07-14 2017-07-14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8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16B1 (ko) * 2018-03-07 2019-03-04 이호규 픽스츄어 리무버용 핸드피스
KR20190072157A (ko) 2017-12-15 2019-06-2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20190072156A (ko) 2017-12-15 2019-06-2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트레파인 가이드
KR20200084507A (ko) * 2019-01-03 2020-07-13 박전진 임플란트 픽스쳐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스쳐 제거 방법
KR20200091228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추출 보조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40Y1 (ko) 2006-05-23 2006-08-29 주식회사 조인원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JP2010051708A (ja) 2008-08-29 2010-03-11 Gojo Shika Iin インプラント植込み用治具
JP2012010758A (ja) 2010-06-29 2012-01-19 Japan Medical Materials Corp 穿孔ドリル及び穿孔ドリルシステム
JP5501361B2 (ja) 2008-07-29 2014-05-21 メガジェン インプラ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用の穿孔ドリル
US20170143351A1 (en) 2015-11-23 2017-05-25 Nelorussi Corporatio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40Y1 (ko) 2006-05-23 2006-08-29 주식회사 조인원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JP5501361B2 (ja) 2008-07-29 2014-05-21 メガジェン インプラ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用の穿孔ドリル
JP2010051708A (ja) 2008-08-29 2010-03-11 Gojo Shika Iin インプラント植込み用治具
JP2012010758A (ja) 2010-06-29 2012-01-19 Japan Medical Materials Corp 穿孔ドリル及び穿孔ドリルシステム
US20170143351A1 (en) 2015-11-23 2017-05-25 Nelorussi Corporatio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57A (ko) 2017-12-15 2019-06-2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20190072156A (ko) 2017-12-15 2019-06-2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트레파인 가이드
KR101954016B1 (ko) * 2018-03-07 2019-03-04 이호규 픽스츄어 리무버용 핸드피스
KR20200084507A (ko) * 2019-01-03 2020-07-13 박전진 임플란트 픽스쳐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픽스쳐 제거 방법
KR102350993B1 (ko) 2019-01-03 2022-01-12 박전진 임플란트 픽스쳐 제거 장치
KR20200091228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추출 보조기구
KR102225465B1 (ko) * 2019-01-22 2021-03-10 주식회사 한마음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추출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883B1 (ko) 픽스츄어 고정구를 갖는 픽스츄어 리무버
US10952826B2 (en) System and method of dental implant and interface to abutment for restoration
KR101718464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EP2526893B1 (en) Abutment for implant
KR101257157B1 (ko) 수술대에 부속품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70020573A1 (en) Pedicle screw tulip assembly with multi-segmented member
KR101367278B1 (ko) 오링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170102831A (ko)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JP2006043453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5465981B2 (ja) シーミングスピンドルからのスリーブ取り外し装置
KR101493509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KR102332598B1 (ko) 내부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101301694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KR20170086885A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CN110897738A (zh) 牙科种植体系统的基台取出工具和取出组件
KR20180078396A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KR200386076Y1 (ko) 픽스처 드라이버
EP3622916B1 (en) Forceps for removing dental implant fixture
KR102250959B1 (ko) 맞춤형 오버덴쳐용 보철물 부착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KR102374641B1 (ko) 어버트먼트용 환봉 고정을 위한 체결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환봉 가공장치
WO2015158820A1 (en) Floating connection for a tool and a boring device
KR100988306B1 (ko) 픽스쳐 식립시술용 드라이버
KR102342340B1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535255B1 (ko) 임플란트 고정체 제거장치
KR101952087B1 (ko)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