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800B1 -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800B1
KR101771800B1 KR1020150123825A KR20150123825A KR101771800B1 KR 101771800 B1 KR101771800 B1 KR 101771800B1 KR 1020150123825 A KR1020150123825 A KR 1020150123825A KR 20150123825 A KR20150123825 A KR 20150123825A KR 101771800 B1 KR101771800 B1 KR 10177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uxiliary
wireless charging
space
auxilia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463A (ko
Inventor
현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41,14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69325B2/en
Publication of KR2016014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기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내부 커버,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축소하여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의 외부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지 않은 여분의 상기 보조 커버들이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무선 통신 기기들은 충전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최근 등장하는 휴대용 기기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유선 커넥터를 가진다.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연결방식과, 단자연결방식으로 유선 충전하는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무선 충전 방식이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자기 공명을 이용한 방식과 자기 유도형 방식이 주도적이며 이 중 자기 유도 방식을 적용하여 무접점 무선 충전 기술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 주행시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을 거치하여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33557호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기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내부 커버,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축소하여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력 수신 기기를 지지하는 내부 커버,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전력 수신 기기가 상기 외부 커버의 일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 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수신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 홀더 커버에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안전하게 고정 거치시킬 수 있어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두께에 상관 없이,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조 커버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커버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전력 수신 기기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며,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휴대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 장치는 그 이외의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도시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납 유닛(1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 유닛(10)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이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수납 유닛(10)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21)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유닛(10)은 컵이 수납되는 컵 홀더 유닛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유닛(10)은 수납부(20) 및 커버(3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는 수납 유닛(10)의 커버(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닛(10)의 커버(30) 자체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00)로 이해될 수 있다.
수납 유닛(10)은 차량 내부 구조물에 장착된다. 여기서, 차량 내부 구조물은 차량의 센터페시아,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이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수납부(20)는 컵과 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21)을 구비한다.
커버(30)는 수납 공간(21)의 입구 부분에서 수납부(20)에 결합된다. 커버(30)는 수납 공간(21)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납부(2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커버(30)는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수납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30)는 힌지(도 4의 34)를 회전축(P)으로 하여 회전되며 이에 따라 수납 공간(21)의 입구가 개폐된다.
커버(30)는 수동 조작을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 등의 구동 유닛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30)는 외부 커버(31)와 내부 커버(35),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31)는 커버(30)가 수납부(20)에 닫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커버(31)는 커버(3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판일 수 있다.
외부 커버(31)는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도 7의 6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60)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1)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60)은 외부 커버(31)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60)은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도록 외부 커버(31)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60)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66)을 포함하는 코일부(65)와, 코일부(65)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62)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65)는 회로부(62)의 제어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며 무선 전력을 대기 중으로 방사한다. 이를 위해 코일부(65)는 기판(67) 상에 하나 또는 다수의 코일(66)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66)은 와이어 형태의 코일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체 패턴 형태로 기판 상에 형성되거나, 평각선으로 형성된 코일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회로부(62)는 회로 기판(63) 상에 다수의 전자 소자(61)가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코일부(65)는 회로부(62)의 제어에 따라 전력을 방사하며 휴대 단말기에 전력을 전송한다.
회로부(62)는 연결부(68)에 의해 코일부(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68)는 와이어 형태의 도선으로 형성되거나, 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60)은 회로부(62)와 코일부(65)가 각각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적층되어 포개진 상태로 외부 커버(31)에 매립된다. 이때, 무선 충전 모듈(60)은 코일부(65)의 코일(66)이 외부 커버(31)의 내부면 측 즉, 삽입 공간(40) 측에 배치되도록 외부 커버(31)에 매립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모듈(60)의 전체적인 면적은 회로부(62)나 코일부(65)의 면적에 대응하며, 두께는 회로부(62)와 코일부(65)의 전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부(62)와 코일부(65)를 포개진 상태로 외부 커버(31)에 매립함에 따라, 종래의 컵 홀더 유닛 커버의 면적 확장 없이 무선 충전 모듈(60)을 외부 커버(31) 내에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모듈(60)의 두께로 인해, 외부 커버(31)의 두께도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코일부(65)를 박막 코일로 형성하는 등 무선 충전 모듈(60)의 두께를 최소화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내부 커버(35)는 외부 커버(31)의 내측에 배치되며, 커버(30)가 수납부(20)에 닫히는 경우, 수납 공간(21) 내에 배치된다.
내부 커버(35)는 외부 커버(31)와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로 제조하여 외부 커버(31)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커버(35)와 외부 커버(31) 사이에는 휴대 단말기(1)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삽입 공간(40)이 형성된다.
이때, 내부 커버(35)와 외부 커버(31) 사이의 거리는 삽입 공간(40)에 삽입되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1)의 최대 두께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내부 커버(35)는 외부 커버(3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부(35a)와, 판부(35a)의 양측에서 외부 커버(31)를 향해 연장되어 외부 커버(31)에 연결되는 측부(35b)를 포함한다.
보조 커버(50)는 내부 커버(35)와 외부 커버(31) 사이에 형성된 삽입 공간(40)에 삽입되어 내부 커버(35)와 외부 커버(31) 사이의 거리를 축소한다.
따라서 보조 커버(50)는 삽입 공간(40)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 커버(35)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 공간(40)에 삽입되어 삽입 공간(40)을 축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커버(50)는 제1 보조 커버(51)와 제2 보조 커버(52)를 포함하며, 각각의 보조 커버들(51, 52)은 서로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조 커버(52)는 제1 보조 커버(5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제1 보조 커버(51)의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커버(52)의 외부면은 제1 보조 커버(51)의 내부면과 전체적으로 면접촉하도록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보조 커버들(51, 52)은 동시에 모두 삽입 공간(40)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조 커버들(51, 52)만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보조 커버(52)의 내측 공간에 결합되는 제3, 제4 보조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 커버(50)는 휴대 단말기(1)의 두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매우 두꺼운 휴대 단말기를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b)는 (a)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c)는 (b)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보다 더 얇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가 매우 두꺼운 경우, 휴대 단말기(1)는 보조 커버(50) 없이 삽입 공간에 삽입된다.
그러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두께가 다소 얇은 경우, 제1 보조 커버(51)를 삽입 공간(40)에 삽입하여 삽입 공간(40)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 제2 보조 커버(52)를 제1 보조 커버(51)와 함께 삽입 공간(40)에 삽입하여 삽입 공간(40)을 더 축소할 수 있다. 이에 휴대 단말기(1)의 얇은 두께로 인해, 휴대 단말기(1)가 삽입 공간(40) 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거나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커버(50)가 이용되지 않을 경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커버(50)는 내부 커버(35)의 커버 결합부(37)에 결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결합부(37)는 내부 커버(35)의 외부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커버(50)는 자력을 이용하여 내부 커버(35)에 부착된다. 따라서 커버 결합부(37)는 보조 커버(50)의 접촉면을 따라 자석이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결합부(37)에 면접촉되는 보조 커버(50)의 접촉면에는 자석이나 금속과 같은 접착 부재(51a)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보조 커버(50)는 자력에 의해 내부 커버(35)의 커버 결합부(37)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내부 커버(3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삽입 공간(40)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결합부(37)에 자석을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 결합부(37)에 금속을 배치하고, 보조 커버(50)의 접착 부재를 자석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31), 내부 커버(35), 보조 커버(50)의 내부면에 완충 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보조 커버(51)의 내부면만 도시하고 있으나, 외부 커버(31)나 제1 보조 커버(31), 내부 커버(35)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완충 부재(70)는 외부 커버(31)나 내부 커버(35), 보조 커버(50)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휴대 단말기(1)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휴대 단말기(1)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완충 부재(70)는 고무 재질이나 스폰지 재질의 패드나 블록, 띠 형태로 형성되어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부 커버(35)나 보조 커버(50)는 내부면에 자성부(80)가 배치된다. 자성부(80)는 페라이트와 같이 자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자성체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얇은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커버(35)나 보조 커버(50)의 내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커버(35)나 보조 커버(50)의 내부면이란 휴대 단말기가 삽입 공간(도 2의 40)에 삽입될 때,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거나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면들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자성부(80)는 휴대 단말기(1)와 면접촉하며 자로를 제공하여 누설 자속을 최소화한다.
한편, 도 5에서는 내부 커버(35)나 보조 커버(50)의 내부면에 자성부(80)가 배치되고, 자성부(80)가 상에 완충 부재(70)가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부 커버(35)나 보조 커버(50)의 내부면에 자성부(80)나 완충 부재(70) 중 어느 하나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자성부(80)의 일면을 완충 부재로 형성하거나, 자성부(80)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 내에 완충 부재(7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대부분의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컵 홀더 커버에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삽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두께에 상관 없이,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보조 커버(51, 52)가 내부 커버(35)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내부 커버(35)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7)가 형성된다. 결합부(37)는 제2 보조 커버(52)의 결합 블록(55)이 삽입되는 삽입 홈(38)이 내부 커버(35)의 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2 보조 커버(52)에는 삽입 홈(38)에 삽입되는 결합 블록(55)이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 블록(55)은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 개의 블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보조 커버(52)에도 삽입 홈(56)이 형성된다. 제2 보조 커버(52)에도 삽입 홈(56)은 내부 커버(35)의 삽입 홈(38)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1 보조 커버(51)에는 제2 보조 커버(52)의 삽입 홈(56)에 삽입되는 결합 블록(57)이 측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보조 커버(51)는 제2 보조 커버(52)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제2 보조 커버(52)는 내부 커버(35)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보조 커버 결합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조 커버(50)에 돌기나 고리를 형성하고, 내부 커버(35)에 구멍이나 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수납 유닛
20: 수납부
30: 커버
31: 외부 커버
35: 내부 커버
37: 커버 결합부
40: 삽입 공간
50: 보조 커버
60: 무선 충전 모듈
62: 회로부
63: 회로 기판
65: 코일부
66: 코일
67: 기판
67: 연결부

Claims (14)

  1. 회전 가능하도록 차량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며, 상기 무선 충전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 기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내부 커버;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축소하여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의 외부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지 않은 여분의 상기 보조 커버들이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형성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전력 수신 기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다수개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에는 자석 또는 금속이 상기 보조 커버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조 커버는 자력에 의해 상기 커버 결합부에 부착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커버 결합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자석 또는 금속이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내부 커버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보조 커버; 및
    상기 제1 보조 커버의 내측 공간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제2 보조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커버는,
    내측 공간에 상기 제2 보조 커버가 수용될 때, 내부면이 상기 제2 보조 커버의 외부면과 면접촉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는,
    내부면에 완충 부재가 배치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커버 또는 상기 보조 커버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페라이트 시트로 형성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회로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와 회로부는,
    각각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포개진 상태로 상기 외부 커버 내에 매립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내부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4. 수납 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력 수신 기기를 지지하는 내부 커버;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전력 수신 기기가 상기 외부 커버의 일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전력 수신 기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커버; 및
    상기 외부 커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 수신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커버의 외부면에는,
    상기 내부 커버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되지 않은 여분의 상기 보조 커버들이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가 형성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20150123825A 2015-06-12 2015-09-01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7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41,146 US10069325B2 (en) 2015-06-12 2016-02-11 Receiver wireless charging and suppo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468 2015-06-12
KR20150083468 2015-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63A KR20160146463A (ko) 2016-12-21
KR101771800B1 true KR101771800B1 (ko) 2017-08-25

Family

ID=57735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825A KR101771800B1 (ko) 2015-06-12 2015-09-01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8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9129A (ja) * 2012-02-17 2013-08-29 Hitachi Maxell Ltd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4230026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682B1 (ko) 2009-06-12 2012-05-24 정춘길 차량용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9129A (ja) * 2012-02-17 2013-08-29 Hitachi Maxell Ltd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4230026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63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054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160146478A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US20160336789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US8310200B2 (en) Inductive chargers and inductive charging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096177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a wireless battery charging apparatus of a vehicle
EP2748909B1 (en) A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7639832B2 (en) Headphones
US20160365744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CN112424024B (zh) 可无线充电的汽车用杯座
US20210320528A1 (en) Vehicle cup holder allowing wireless charging
US1134934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P2793359A1 (en) Wireless charger capable of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and charging method using same
EP3061175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60043199A (ko) 블루투스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8531156B2 (en) Battery charger with retractable contacts
JP2023510335A (ja) ワイヤレス充電伝送器及び方法
KR101709869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US9735611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KR101771800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200484841Y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709868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KR102126135B1 (ko) 무선 충전기
KR20060107144A (ko) 와이어리스 충전용 배터리 및 이를 충전할 수 있는유니버설 무선 충전기
KR20170122969A (ko) 무선충전기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