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613B1 -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 Google Patents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613B1
KR101771613B1 KR1020160169037A KR20160169037A KR101771613B1 KR 101771613 B1 KR101771613 B1 KR 101771613B1 KR 1020160169037 A KR1020160169037 A KR 1020160169037A KR 20160169037 A KR20160169037 A KR 20160169037A KR 101771613 B1 KR101771613 B1 KR 10177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frame
finishing
lock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주)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우 filed Critical (주)건우
Priority to KR102016016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6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nerary urn easy for maintenance, including: a liner having an open front face for easy stacking; a sealing cap fastened to the liner opening to seal the inside of the sealing lid; and a door installed on and detach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aling cap.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easily constitute a multi-layer multi-row sealing end. In case of destruction or loss of the cinerary ur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replace the seal by simple operation of the front side.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이 용이한 전면이 개방된 라이너와, 그 라이너 개구부에 체결되어 봉안함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와, 상기 밀폐마개 전면에 설치되어 탈착되는 도어로 구성되는 납골함을 제공함으로써 다층 다열의 봉안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납골함의 파손이나 망실시 전면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봉안함을 교체할 수 있는 봉안단의 적층과 봉안단 형성후 개별적인 납골함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개별적인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ged vessel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particularly to a submerged vessel which is easy to be piled up, a liner which is opened on the front side, an airtight cap which is fastened to the liner opening and seals the inside of the vessel, It is possible to easily construct the multi-layered multi-row barriers by providing the urn barriers which are composed of the door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struct the multi-row multi-row barriers and to change the bar- Provides an easy to maintain individual custody when maintenance is needed.

일반적으로 장례문화에는 시신을 매장하는 방법과 화장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화장보다 매장을 선호하여 묘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funeral culture includes methods of burial and cremation. In Korea, burial is preferred to make-up, and graveyard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이에 한정된 면적의 국토가 묘지로 인해 잠식되거나 황폐화되고, 국토 이용 면적의 감소 및 막대한 매장 소요 비용 등이 발생하였다. 또한, 묘소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비 및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를 소홀히 하여 방치되는 묘소도 발생하였다.This limited area of land was encroached or devastated by graveyards, a decrease in land use area, and a huge burden of burden. In addition, there was a large amount of administrative and temporal and economic costs to maintain the mausoleum, and mausoleums were neglected due to neglect of management.

최근 장묘 제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화장한 후 사체의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특정시설(흔히 "납골당"이라 한다)에 안치하여 보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Recently, as the public opinion to improve the burial system has increased,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cases where the body is buried without cremation, and the ashes of the body are put into the urn and stored in a specific facility (often called the "burial site").

이러한 납골당은 그 내부에 수십 개의 봉안단을 배치하여 유골 및 유품을 집중적으로 보관 관리함으로써, 관리 및 설치비용상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종래 분묘에 의한 매장시의 토지난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권장되고 있다. 상기 봉안단은 화장을 하고 난 후에 발생된 유골과 유품을 안치하여 밀봉하는 수십 개의 납골함을 안치시키는 봉안함을 종과횡으로 여러단 적층한 구조의 단으로 구성한 것을 말한다.Such a crypto unit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cost and burden of the conventional burial by burial by managing dozens of capitals in the inside of the crypts and intensively managing and managing the remains of the remains. have. The cap block refers to a block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which a plurality of shells are placed to house dozens of urns that enclose and seal the ashes and remnants produced after the make-up.

도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안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납골함단 전면 마감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봉안단(10)은 벽체의 전면부에 납골함(30) 수용을 위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종횡으로 배치한 납골함홈(21)을 갖는 콘크리트체(20)와, 납골함홈(21)의 내벽에 부착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소재의 라이너(31)와 라이너(31)의 전방 개구부를 덮는 라이너덮개(32)로 구성되어 납골함홈(21)에 결합되는 납골함(30)과, 콘크리트체(20) 상의 각 납골함(30) 모서리에 고정되는 철물(40)과, 이 철물(40)에 지지되어 각각의 납골함(30)의 외부를 덮도록 탈부착 형태로 결합되는 석판(50)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체(20)는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철근과 철망을 배치하고, 그 벽체 상에는 납골함(30)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납골함홈(21)이 형성되도록 정밀한 몰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로 주조하는 구성을 갖고 있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ont end of a cadaver in FIG. 1, (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material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submerged vessel shell groove (21). The concrete body (20) has a submerged vessel shell groove (21) 31 and a liner lid 32 covering the front opening of the liner 31 and coupled to the lower shell box groove 21 and a metal fitting 30 fixed to the corner of each lower shell box 30 on the concrete body 20, And a slab 50 supported by the hardware 40 and coupled in a detachable form so as to cover the outside of the respective cobblestone casings 30. The concrete body 2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bar and a wire mesh, which are not shown, and cast on concrete using a precise mold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submerged box grooves 21 capable of receiving the urn box 30 on the wall Configuration.

상기 납골함(30)은 화장 처리된 유골 및 유분을 담은 유골단지(60)와 간단한 유품을 안치 밀봉하는 공간으로 콘크리트체(20) 상에 형성된 납골함홈(21)의 내벽에 부착 결합되는 라이너(31)의 전방 개구부를 라이너덮개(32)로 덮어 전면을 폐쇄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상기 라이너(31)와 라이너덮개(32)의 밀착 부위는 실링에 의해 밀봉되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상기 석판(50)은 각 납골함의 외표면을 덮는 표면 마감재로 대리석 등으로 제작하고, 납골함별로 분리 결합되도록 철물(4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체(20) 상에 고정하여 납골함(30)의 노출을 막는 역할을 하였다. 철물(40)은 석판(50)을 탈착 가능하게 콘크리트체(20) 상에 부착하여 납골함단(10)의 외장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상기 철물(4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41)와, 이 본체(41)의 중앙에 직립하여 설치되고 중앙에 나사봉(46)이 형성되며 석판(50)이 밀착되는 석판받침대(42)와, 본체(41)의 중앙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상하 끝단에 관통공(47)이 형성된 고정단(43)과, 석판받침대(42)의 상하에 고정되어 석판(50)을 균일하게 가압 고정하는 절곡스프링(44)과, 석판(50)의 각 모서리를 고정하는 브론즈로젯(45)으로 이루어진다. The ointment box 30 includes an ashtray 60 containing ointment and ointment and a liner 31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ointment box groove 21 formed on the concrete body 20 as a space for enclosing a simple article, Was covered with the liner cover 32 to close the front surface. The liner 31 and the liner lid 32 were tightly sealed by sealing. The slab 50 is made of marble or the like as a surface finishing material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each submarine box and is fixed on the concrete body 20 by using the ironware 40 so as to be separated and joined by the submarine box, . The iron material 40 has a function of attaching the slab 50 on the concrete body 20 in a detachable manner so as to make the exterior of the cobblestone vessel stage 10 look good. The steel material 40 includes a main body 4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lab support 42 installed upright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41 and formed with a screw rod 46 at the center thereof, A fixed end 43 having a through hole 47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41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ab support 42, And a bronze jet 45 for fixing the corners of the slab 50. In this embodiment,

이러한 구성의 철물(40)은 고정단(43)의 관통공(47)을 관통하여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고 석판받침대(42)의 나사봉(46)에 는 브론즈로젯(45)이 나사 결합되어 철물(40)에 접하는 4장의 석판(50) 모서리를 결합하여 석판(50)의 각 모서리를 고정하였다. 이때 절곡스프링(44)은 각 석판(50)에 일정한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브론즈로젯(45)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과 절곡 스프링(44)으로부터의 탄발력의 균형에 의해 석판(50)이 견고하고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한다.The steel wire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fixed by bolts or the like through the through hole 47 of the fixed end 43 and the bronze jet 45 is screwed to the screw rod 46 of the slab support 42 Four corners of the slab 50 we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ron pieces 40 to fix the corners of the slab 50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bending spring 44 causes a constant elastic force to be applied to each slab 50, so that the balance between the pressure acting from the bronze jet 45 and the elastic force from the bending spring 44 makes the slab 50 rigid So as to be uniformly adhered.

이때, 상기 철물과 석판을 이용하여 납골함 전면을 폐쇄하는 경우, 납골함 내에 넣어둔 고인의 유품 또는 유골 및 유분이 담겨진 유골단지를 보기 위해서는 먼저 철물의 브론즈로젯을 풀어 철물에 의해 고정된 석판을 분리하고 라이너덮개를 열어 납골함 전면을 개방해야만 볼 수 있었다.In this case, when the front side of the ointment box is closed by using the iron and the slab, in order to view the ointment containing the remains of the dead or the ashes containing the ointment and oil in the ointment box, firstly, the bronze jet of the iron is loosened, The liner cover was opened and the front of the cask was opened.

또한, 납골함 내부의 유골이나 유품이 습기나 외기 환경에 쉽게 노출됨으로써,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보관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 ashes and remnants of the inside of the cask were easily exposed to moisture or an outside environment, thus causing many problems in stable and long-term storage.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특허등록 제724110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2는 특허등록 제724110호의 납골함 밀폐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납골함(200)의 개구부 밀폐구조는 납골함(200)의 개구부 전방으로 납골함(200)과 나사 결합되고, 가스켓(310)에 의해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착부(300)와, 밀착부(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납골함(200)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납골함(200)은 일측면이 개방되고 마주보는 면이 막힌 육면체 형상의 라이너(210)와, 상기 라이너(210)의 개구부 끝단을 따라 형성된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라이너(210) 내부에는 사용자가 유골이나 유품을 담은 유골단지를 넣을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상기 납골함(200)은 프레임(220)에 의해 다른 납골함과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 되었다. 상기 라이너(210)의 후면에는 프레임(220)과 같은 크기의 외곽선을 갖는 지지판(230)이 더 결합되었다. 여기서, 프레임(220)의 상부와 일측에는 결합돌기(221)가 형성되고, 하부와 타측에는 결합홈부(222)가 형성되며, 결합돌기(221)는 위치상 다른 납골함의 결합홈부(222)에 안착되어 맞물리게 되어 있었다. 그리고 지지판(230)에도 프레임(220)에 대응하여 상부와 일측에는 결합돌기(231)가 형성되고, 하부와 타측에는 결합홈부(232)가 형성되며, 결합돌기(231)는 위치상 다른 납골함의 지지판(230)에 형성된 결합홈부(232)에 안착되어 맞물리게 되어 있었다. 또한, 프레임(220)에는 프레임(220)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공(225)이 관통 형성되어 납골함(20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착부(300)를 결합할 때 사용되었다. 상기 밀착부(300)는 납골함(200)의 프레임(220)을 따라 형성되고 프레임(220)의 체결공(225)을 이용하여 나사 결합되는 밀착틀(320)과, 납골함(200)의 프레임(220)을 따라 형성되고 밀착틀(320)의 후면에 끼움 삽입되어 프레임(220)에 밀착되는 가스켓(310)과, 밀착틀(320)의 전면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턱부(322)에 끼움 삽입되어 납골함(20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착판(34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밀착판(340)은 종래의 라이너 덮개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밀착틀(320)에는 프레임(220)의 체결공(225)에 대응하여 밀착틀(320)을 따라 체결공(325)이 관통 형성되어 나사를 이용해 프레임(220)과 밀착틀(320)을 조립하게 되었다.A patent registration No. 724110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closed.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ructure of a submerged vessel 200 of Patent Registration No. 724110. The closed structure of the openings of the submerged vessel 200 is screwed to the submerged vessel 200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submerged vessel 200, And a finishing unit 400 detachably coupled to the tight fitting unit 300 to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front of the cask 200. The cask 200 has a hexahedral liner 210 with one side open and a confronting surface blocked and a frame 220 formed along the end of the opening of the liner 210. In the liner 210, a user can insert an ashtray containing ashes or remnants. The cask 200 is coupled to another cask by a frame 2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support plate 230 having an outline of the same size as the frame 220 is furthe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ner 210. A coupling protrusion 221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and a side of the frame 220 and a coupling groove 222 is formed on the lower and the other sides of the frame 220. The coupling protrusion 22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2 of the sub- It was seated and engaged. The support plate 230 is also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31 at the top and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rame 220 and a coupling groove 232 at the other sid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1, And is engaged with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32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3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5 are formed in the frame 220 along the frame 220 to connect the tight fitting part 300 to seal the opening of the cradle box 200. The tight contact unit 300 includes a contact frame 320 formed along the frame 220 of the cask 200 and screwed to the frame 220 using a fastening hole 225, A gasket 310 formed along the frame 220 and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320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frame 220 and a latching protrusion 322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320, And a tightening plate 340 that closes an opening of the cask 200. The tightening plate 340 has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conventional liner cover and the fastening hole 325 is formed in the fastening die 320 along the fastening die 320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225 of the frame 220. [ So that the frame 220 and the contact frame 320 are assembled using screws.

상기 밀착틀(320)의 전면에는 밀착틀(320)을 따라 다수 개의 제1결합체(330)가 결합되어 납골함(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부(400)를 결합할 때 사용되었다. 제1결합체(33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31)와, 지지부(331)의 중앙에서 직립하여 돌출되는 끼움돌기(332)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제1결합체(330)는 지지부(331) 양측에 나사공(333)이 형성되고, 나사(335)를 이용해 밀착틀(320)의 전면에 조립하게 외었다. A plurality of first assemblies 330 ar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ct frame 320 along the contact frame 320 to connect the end portions 400 forming the front face of the contact box 200. The first coupling member 330 includes a support portion 33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fitting protrusion 332 protruding upright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331. The first coupling body 330 has a screw hole 33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331 and assemb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ightening frame 320 using screws 335.

마감부(400)는 후면에 형성된 제2결합체(420)에 제1결합체(330)가 억지 끼움 삽입되어 밀착틀(320)의 전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마감틀(410)과, 마감틀(410) 전면에 결합되어 납골함(200)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The finishing unit 400 includes a finishing frame 410 to which the first coupling unit 330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unit 420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oupling frame 320, And a finishing plate 43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sk 200 to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front of the cask 200. [

제2결합체(420)는 제1결합체(330)에 대응하여 마감틀(410)의 후면에 설치되었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421)와, 중앙에서 끼움돌기(332)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 끼움홈(422)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The second coupling body 42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ing frame 4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coupling body 330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42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cessed portion 421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jection 332 at the center. And a fitting groove 422 formed therein.

그러면 제2결합체(420)는 결합부(421)의 양측에 나사공(423)이 형성되어 나사(425)를 이용해 마감틀(410)의 후면에 조립하게 되었고, 상기 마감판(430)과 마감틀(410) 중 어느 하나는 종래의 석판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며, 상기 마감판(430)은 마감틀(410)의 전면에서 본딩에 의해 결합되었다.The second coupling body 420 is formed with screw holes 423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421 and assemb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nishing frame 410 by using screws 425. The finishing plate 430 and the finishing Either one of the frames 410 has the same width as a conventional slab, and the finishing plate 430 is bonded by bonding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frame 410.

그러나, 그러나 상기와 같은 라이너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의 조립고정부가 홈과 돌기 형태의 조립고정부(113,114)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라이너들을 적층하면서 그 조립고정부들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고정설치하는 방식으로 라이너들을 적층하고 있기 때문에 라이너가 손상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the above-mentioned liner is that the assembly fixing parts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re formed with the groove fixing parts 113 and 114 in the form of grooves and projections, Since the liner is laminated by a method of inserting and fixing the liner, there is a problem that partial replacement is not possible when the liner is damaged or contaminated.

또한, BMC등을 이용하여 사출을 할 경우 후면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이 라이너함 본체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사출하기 어렵고, 금형의 고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injection is performed using BMC or the like, the rear frame and the front frame protrude to the outside from the liner main body, which is difficult to inject, and the mold height is complicated.

또한, 라이너(210)와 밀착부(300)을 결합하기 위해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에 다수개의 체결공(225)를 형성하여 볼트 등으로 나사결합하고, 밀착부와 마감부를 탈착하기 위해 제1결합체(330)을 밀폐부(300)의 밀착틀(320)에 다수개 설치하고, 제2결합체를 마감부(400)의 마감틀에 다수개 설치하는 등 상호 결합에 필요한 다수개의 볼트와 결합체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 조립공정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었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5 are formed in the front frame of the liner to fasten the liner 210 and the fastening part 300 and are screwed with bolts or the like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 plurality of bolts and assemblies necessary for mutual coupling are required such that a plurality of bolts and assemblies 330 are installed in the tightening frame 320 of the hermetically sealed part 300 and a plurality of second assemblies are installed in the finishing frame of the finishing part 400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process requires much time because of a large number of parts.

또한, 상기 제1결합체가 금속 돌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금속돌기는 자주 사용될 경우 닯게 되어 제2결합체에 견고히 고정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metal protrusion, and the metal protrusion is broken when it is frequently used, so that the metal protrusion can not be firmly fixed to the second coupling memb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라이너를 전면이 개방되고 통형상의 전면에만 프레임을 형성하고 후면에는 프레임을 형성하지 않아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mold without opening the liner and forming a frame only on the tubular front surface and a frame on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라이너함 후면에 전면 프레임과 대응되는 크기의 전면이 개방되고 낮은 함 형태의 후면함을 제공하여 라이너와 체결되도록 함으써 적층과정 중에 각각의 라이너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라이너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ner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is ope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ner compartment, and a low rear compartment is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liner, so that the load received by each liner is dispersed during laminating, The other purpose is to

또한, 상기 후면함의 연하는 두개면에 튀어나온 요철부를 형성하고, 다른 연하는 두개의 면에 상기 요철부가 삽입되는 함몰부를 형성하여 적층과정에서 상호 끼움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나사결합 없이도 라이너함이 유동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reces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wo sides of the rear case is formed, and a depression for insert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wo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rear case so as to be mutually engaged in the lamination process. So as to stably stack them.

또한,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에 동일한 패턴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들이 인전한부분에 그 패턴에 해당하는 결합편을 나사결함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편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각각의 라이너를 개별적으로 봉안단에서 분리시켜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cave portion of the same pattern on the front frame of the liner and to fasten the engaging piec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o the portion where the depressions protrude by the screw defect to thereby remove the engaging piece, To be separately maintained at the end of the bar.

또한,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에 밀착부를 체결하는 체결나사를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볼트를 사용하고, 상기 볼트의 중아 통공에 체결되는 봉 형태의 체결부를 갖는 잠금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밀착부와 마감부를 결합하는 나사의 수를 줄이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k holder having a fastening screw for fastening a fastening portion to a front frame of a liner, a bol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fastening portion in the form of a rod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bolt, Another purpose is to reduce the number of screws.

또한, 홈과 봉 형태의 체결부를 갖도록 잠금홀더를 구성하되 봉 형태의 체결부 앞단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링형태의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수많은 열고 닫음에도 결합체의 망실없이 밀착부와 마감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lock holder is formed so as to have a groove and a rod-shaped fastening portion, but a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rod-shaped fastening portion and a ring-shaped packing is provided in the groove, so that the close- So that it can be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상의 라이너, 상기 라이너의 개구부 끝단을 따라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납골함의 구조에 있어서,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of a casket for closing an opening of the liner, the cask comprising a liner having a hexahedron shape with a front surface being open and a rear surface being closed, and a frame formed along an opening end of the liner,

상기 라이너는 개구부의 끝단을 따라 형성되고, 각 면에는 다각형 형태로 함몰되고 중앙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된 라이너 결합부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라이너들의 적층시 두개의 라이너 결합부가 합쳐진 형태의 편상의 라이너 체결편을 포함하는 라이너와;The liner is formed along the end of the opening and has a front frame formed with a liner engaging part formed on each side thereof with a polygonal shape and formed with a screw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liner fastener having a liner A liner comprising a piece;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의 크기와 동일한 함 형태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의 후면이 체결고정되며, 연하는 두면에는 튀어나온 요철부가 형성되고, 다른 연하는 두면에는 상기 요철부가 끼움 삽입되는 함볼부가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된 후면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을 제공한다.The liner has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frame of the liner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liner is fastened and fixed. The protrusions are protruded on two sides of the liner, and the depressions At least one of which is formed at least one of which is formed in the rear surface.

본 발명은 라이너를 전면이 개방되고 통형상의 전면에만 프레임을 형성하고 후면에는 프레임을 형성하지 않아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사출 작업이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mold without opening the liner and forming a frame only on the tubular front surface and no frame on the rear surface.

또한, 상기 라이너함 후면에 전면 프레임과 대응되는 크기의 전면이 개방되고 낮은 함 형태의 후면함을 제공하여 라이너와 체결되도록 함으써 적층과정 중에 각각의 라이너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라이너의 적재가 용이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ner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ront frame is ope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ner compartment, and a low rear compartment is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liner to disperse the load received by each liner during the laminating process, to be.

또한, 상기 후면함의 연하는 두개면에 튀어나온 요철부를 형성하고, 다른 연하는 두개의 면에 상기 요철부가 삽입되는 함몰부를 형성하여 적층과정에서 상호 끼움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나사결합 없이도 라이너함이 유동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ss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wo sides of the rear case is formed, and a depression for inserting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wo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rear case so as to be mutually engaged in the lamination process. So that it can be stably stacked.

또한,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에 동일한 패턴의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들이 인전한부분에 그 패턴에 해당하는 결합편을 나사결함에 의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편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각각의 라이너를 개별적으로 봉안단에서 분리시켜 유지보수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oncave portion of the same pattern on the front frame of the liner and to fasten the engaging piece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o the portion where the depressions protrude by the screw defect so as to remove the engaging piece, Can be separately maintained at the sealing end.

또한,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에 밀착부를 체결하는 체결나사를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볼트를 사용하고, 상기 볼트의 중아 통공에 체결되는 봉 형태의 체결부를 갖는 잠금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밀착부와 마감부를 결합하는 나사의 수를 줄일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k holder having a fastening screw for fastening a fastening portion to a front frame of a liner, a bol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fastening portion in the form of a rod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bolt, The number of screws can be reduced.

또한, 홈과 봉 형태의 체결부를 갖는 잠금홀더를 구성하되 봉 형태의 체결부 앞단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링형태의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수많은 열고 닫음에도 결합체의 망실없이 밀착부와 마감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lock holder having a groove and a rod-shape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but a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rod-shaped fastening portion and a ring-shaped packing is provided in the groove, so that the close- So that it can be used.

도1은 종래의 봉안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의 봉안단을 구성하는 납골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단 형성이 용이한 납골함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안단 형성이 용이한 납골함을 구성하는 잠금홀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bar type step.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bmarine vessel which can be easily formed into a sea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ck hole which constitutes a submarine which can be easily formed into a sea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봉안단 구성이 용이한 납골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각각 끼움 삽입 결합되는 후면함(510)과, 상기 후면함(510)에 본드접합이나 나사결합되고 상기 전방이 개방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폭의 전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함 형태의 라이너(520)와; 상기 라이너 전면에 나사결합에 결합에 의해 체결되어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착부(530)와; 상기 밀착부(5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납골함(500) 전방의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4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tamper-evident tamper-evident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mper-evident tamper-evident cylinder 510 includes a rear case 510 and a rear case 510, A liner (520) having an open opening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front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an edge of the opening; A tight fitting portion 530 faste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ner by engagement with a screw connection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And a finishing unit 550 detachably coupled to the close part 540 to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front side of the nail box 500.

상기 후면함(510)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BMC, ABS 등으로 사출성형에 진공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높이가 낮은 전면이 개방된 함형태를 가지며, 각각의 높이가 낮은 면들 중 연하는 두개의 면(일례로 상면과 좌측면)에는 돌출된 요철부(511)가 형성되고, 다른 연하는 두개의 면(일례로 우측면과 밑면)에는 상기 요철부가 끼움 삽입되는 함몰부(5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면함(510)의 크기는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라이너들의 적재가 용이하게 한다. The rear housing 510 is formed by vacuum molding of injection molding with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 BMC, ABS or the like, and has a low-height front surface, The protruding concave portions 511 are formed on two surfaces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and the depressed portions 512 (for example, Is forme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rear case 5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ront frame of the liner and facilitates loading of the liner.

다음에, 상기 라이너(520)는 후면함(510)과 동일한 재질로 사출성형이나 진공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후면은 상기 후면함(510)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고, 전면에는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후면함의 외면적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전면 프레임(521)을 갖는 함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면 프레임의 구면이 만나는 귀퉁이에 각각 하나의 볼트 체결공(522)을 형성한다. 단, 4개의 볼트 체결공(522) 이외에 라이너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 전면 프레임(521)의 각면에 볼트 체결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Next, the liner 52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vacuum molding with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rear case 5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iner 520 is siz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rear case 510, The front frame 521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along the rim of the rear case. At this time, one bolt fastening hole 522 is formed at a corner where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front frame meets each other. However, in addition to the four bolt fastening holes 522, bolt fastening holes may be further 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front frame 52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ner opening.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의 각 면에는 일정한 다각형 패턴(예를 들면 반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전면 함몰부(523)를 각 면의 중간 지점에 형성하고, 그 전면 함몰부(523) 중앙에는 나사 체결공(524)을 형성한다. In addition, a front depressed portion 523 of a predetermined polygonal pattern (e.g., a semi-circle or a square) is formed on each surface of the front frame at an intermediate point of each surface, and at the center of the front depressed portion 523, (524).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나사 체결공(524)는 라이너들이 종과 횡으로 적층될 경우 상호 밀착되어 반원패턴인 경우에는 원형을, 사각형인 경우 폭이 두배가되는 사각형 패턴을 갖게되고, 각각의 함몰된 패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전면 함몰부에 삽입되어 튀어나오지 않는 라이너 체결편(530)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라이너 체결편에는 상기 전면 함몰부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 체결공을 형성하여 라이너간에 나사결합으로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liner is stack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screw fastening holes 524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have a circular pattern in the case of a semicircular pattern and a rectangular pattern in which the width is doubled in the case of a quadrangle, And a liner fastening piece 530 which is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front fastening hole and is not inserted and protruded in the front concave portion is formed separately. The liner fastening piece is screwed in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ront- A ball is formed so that the liner can be firmly fastened by screwing.

상기 라이너에 유골단지를 넣고 전면을 수분이나 오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540)는 카스켓(541)과, 밀착틀(542) 및 밀착판(543)으로 구성된다.The hermetically sealed portion 540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liner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and dirt into the liner is composed of a cask 541 and a contact frame 542 and a contact plate 543 do.

상기 가스켓(541)은 밀착틀(542)과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521)이 맞 닫는 부분과 동일한 크기 및 폭을 갖도록 판상의 사각링 형태로 실시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향상시키거나 양면에 작은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gasket 54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a cone or rubber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ring in the form of a plate so as to have the same size and width as the portion where the contact frame 542 and the front frame 521 of the liner contact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asticity by form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or by forming at least one protrusion small on both sides to improve water tightness.

다음에, 밀착틀(542)은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52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두면이 만나는 네귀퉁이 각각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52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522)과 대응되어 볼트가 삽입되도록 볼트 삽입공(542a)들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밀착판이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밀착판 부착홈이 형성된다. Next, the contact frame 542 has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front frame 521 of the liner. In each of the four corners where the two faces meet, the bolt fastening holes 522 formed in the front frame 521 are formed, Bolt insertion holes 542a are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542a, and a groove for attaching the fastening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o that the fastening plate is fixed by silicone or an adhesive.

다음에, 상기 밀착틀(542)에 부착되는 밀착판(543)은 상기 라이너의 개구부 보다 약각 크게 형성하여 밀착틀(542)에 부착할 경우 라이너의 개구부 전체가 보이도록 형성하며,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라이너 내부에 위치한 유골함을 볼 수 있도록 형성한다.The contact plate 543 attached to the contact frame 54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liner so that the entire opening of the liner is visible when attached to the contact frame 542. The contact plate 543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plastic An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see the ashtray inside the liner.

또한, 상기 카스켓(541)을 사이에 두고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521)에 체결되는 밀착틀(542)은 볼트 밀착틀의 볼트 삽입공(542)를 통해 볼트를 삽입한 후, 상기 전면 프레임(521)의 볼트 체결공(522)에 체결되도록 회전시켜 조임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되는 잠금용 볼트(550)는 끝단은 밀폐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그 입구는 육각이나 사각 렌치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보다 큰 다각형의 모양을 갖는다.The bolt is inserte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542 of the bolt tightening frame and the front frame 521 of the liner is inserted into the front frame 521 of the liner with the cask 541 interposed therebetween. 521 by tightening the bolts 522 by tightening them. At this time, the locking bolt 550 to be fastened has a closed end and a hole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entrance has a polygonal shape larger than a through hole formed to be rotatable by using a hexagonal or square wrench.

상기와 같이 밀착틀(542)에 상기 밀착판(543)을 실리콘이나 접착재를 이용하여 부착한 다음, 전면 프레임(521)과 밀착틀 사이에 가스켓(541)을 대고 밀착틀(542)의 볼트 삽입공(542a)과 전면 프레임(521)의 볼트 체결공(522)를 일치시킨 후 잠금용 볼트(550)을 렌치 등을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라이너 전면 프레임(521)에 밀착판이 부착된 밀착틀을 체결하게 된다.The adhesion plate 543 is attached to the adhesion frame 542 using silicon or an adhesive and then the gasket 541 is sandwiched between the front frame 521 and the adhesion frame and the bolt insertion The bolt fastening hole 522 of the front frame 521 is aligned with the hole 542a and then the locking bolt 550 is fastened by using a wrench or the like so that the fastening frame attached with the fastening plate is fastened to the liner front frame 521 .

다음에, 상기 밀착틀(542)에 탈부착 되는 마감부(560)는 마감틀(561)과 마감판(562)과, 상기 마감틀에 설치되는 잠금홀더(57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nish portion 560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tact frame 542 includes a finishing frame 561, a finishing plate 562, and a lock holder 570 installed in the finishing frame.

상기 마감틀(561)은 상기 밀착틀(542)과 같은 형태와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밀착틀(542)을 라이너 전면 프레임(521)에 고정시키는 잠금용 볼트(550)에 체결되는 잠금홀더(570)을 후면에 설치한다.The finishing frame 56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tightening frame 542. The finishing frame 561 is fixed to the locking bolt 550 for fixing the tightening frame 542 to the liner front frame 521. [ 570) to the rear.

상기 잠금 홀더(570)은 마감틀(561)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도록 ㄱ 자로 절곡된 판상의 양단에 나사 삽입공이 형성된 마감틀 체결부(571)와, 그 마감틀 체결부(571) 중앙에 상기 잠금용 볼트(55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그 구멍의 직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잠금봉(572)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잠금봉(572)의 전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패킹(572a)을 삽입할 수 있는 패킹 삽입홈(572a)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 삽입홈(572a)에는 실리콘이나 고무등으로 형성된 외경이 상기 잠금용 볼트(550)에 형성된 중앙 구멍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패킹(572b)가 삽입체결된다.The locking holder 570 includes a finishing frame fastening part 571 having a screw insertion hole formed at both ends of a plate shape bent in a letter shape so as to be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finishing frame 561, A lock bar 572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le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lock bolt 550. The front end of the lock bar 572 is packed 572a are formed in the packing bolt 550. The packing insertion groove 572a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er hole formed in the locking bolt 550 by silicone or rubber, The packing 572b is inserted.

상기와 같이 잠금 홀더(570)들을 구비한 마감틀(561) 전면에는 석재, 목재, 금속재 등으로 형성된 마감판(562)을 부착한다.As described above, a finishing plate 562 formed of stone, wood, metal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frame 561 having the lock holders 57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마감부(560)은 상기 라이너 전면 프레임(521)에 설치된 밀착틀(542)의 잠금용 볼트(550)에 상기 마감틀(561)에 설치된 잠금홀더(570)의 잠금봉(572b)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강하게 밀어 넣어 체겨하게 된다.The closing part 56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locking bolt 550 of the fastening frame 542 provided on the liner front frame 521 with the locking rod 572b of the lock holder 570 provided on the finishing frame 561 ) In a state in which it is strongly pres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을 종과 횡으로 적재하여 봉안단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후면함(510)에 라이너(520)을 밀착고정킨 후, 상기 후면함(510)의 요철편(511) 인접한 라이너(520)의 장입부(512)에 후면으로부터 장입시키고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맞닫는 전면 프레임(521)의 전면 요철편(523)을 다른 라이너 전면 프레임의 전면 장입홈(524)에 체결하고 전면에서 나사를 체결하녀 라이너들을 적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forming the barb step by stacking the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is performed by first tightly fixing the liner 520 to the rear box 510, The front uneven part 523 of the front frame 521 to be fitted is fixed to the loading part 512 of the adjacent liner 520 from the rear surface and fixed with screws, 524), tighten the screws at the front, and load the liners.

다음에 각각의 라이너(520)에 각각 밀착판(543)이 부칙된 밀착틀(542)을 라이너 전면 프레임(521)사이에 가스켓(54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잠금 볼트(550)을 체결하여 밀착부(540)을 고정시키고, 상기 밀착부(540) 전면에 마감부(560)의 잠금 홀더를 잠금 볼트(550)에 체결하는 것으로 봉안단을 구성하게 된다.Next, the tightening frame 542 with the tightening plate 543 attached to each liner 520 is fastened with the locking bolts 550 in a state where the gasket 541 is positioned between the liner front frames 521, And the lock holder of the finishing portion 560 is fastened to the lock bolts 550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lose portion 540 to constitute the seal end.

상기와 같이 형성된 봉안단은 뒷부분의 하중이 후면함에 걸치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고 다수개의 단으로 적층되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Since the load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r-like end is formed over the rear hull, the bar-shaped end formed as described above can withstand the load even if it is formed of plastic and is stacked with a plurality of stag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을 종과 횡으로 적재하여 봉안단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후면함(510)에 라이너(520)을 밀착고정킨 후, 상기 후면함(510)의 요철부(511) 인접한 라이너(520)의 함몰부(512)에 끼움 삽입되도록 밀어넣은 후, 맞닫는 전면 프레임(521)의 전면 함몰부(523)에 상기 체결편(530)을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라이너들을 적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barrel stage by stacking the barrel sh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the liner 520 is first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box 51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512 of the adjacent liner 520 and then the fastening piece 530 is screwed to the front recessed portion 523 of the front frame 521 to be closed The liners are loaded.

다음에 각각의 라이너(520)에 각각 밀착판(543)이 부칙된 밀착틀(542)을 라이너 전면 프레임(521)사이에 가스켓(54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잠금 볼트(550)을 체결하여 밀착부(540)을 고정시키고, 상기 밀착부(540) 전면에 마감부(560)의 잠금 홀더를 잠금 볼트(550)에 체결하는 것으로 봉안단을 구성하게 된다.Next, the tightening frame 542 with the tightening plate 543 attached to each liner 520 is fastened with the locking bolts 550 in a state where the gasket 541 is positioned between the liner front frames 521, And the lock holder of the finishing portion 560 is fastened to the lock bolts 550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lose portion 540 to constitute the seal end.

상기와 같이 형성된 봉안단은 뒷부분의 하중이 후면함에 걸치기 때문에 플라스틱을 성형되고 다수개의 단으로 적층되더라도 그 하중을 중분히 견딜 수 있으며, 만약 외부의 출경이나 유골함을 안치하는 과정에서, 또는 밀착부를 여러번 체결하는 과정에서 라이너 전면의 잠금 볼트 체결공 들이 망실되어 라이너 함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밀착부를 제거하고, 상기 체결편(530)의 나사를 해체하여 체결편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너 함을 전면으로 잡아당기며 후면에 끼움 삽입된 후면판이 전면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망실된 라이너를 제거한 후 새로운 후면함이 체결된 라이너를 삽입체결하던지, 아니면 후면함을 그대로 사용하고 라이너만을 교체할 수 있다.Since the load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r-like end hangs over the rear hood, the plastic end is able to withstand the load even if i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If the outside hood or the ashes are placed, When the locking bolt fastening hol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ner are lost in the process of fastening, and the liner case needs to be replaced, the fastening piece is removed and the screw of the fastening piece 530 is disassembled to hold the liner case to the front Since the backplane inserted into the backside is leaked to the fron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lost liners and then insert the fastened liner into the new rear case, or replace the liner only by using the rear ca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 납골함단 20: 콘크리트체 21: 납골함홈
30: 납골함 31: 라이너 32: 라이너덮개
40: 철물 41: 본체 42: 석판받침대
43: 고정단 44: 절곡스프링 45: 브론즈로젯
46: 나사봉 47: 관통공 50: 석판
60: 유골단지 100: 납골함단 200: 납골함
210: 라이너 220: 프레임 221: 결합돌기
222: 결합홈부 223: 결합공 225: 체결공
230: 지지판 231: 결합돌기 232: 결합홈부
233: 결합공 300: 밀착부 310: 가스켓
320: 밀착틀 330: 제1결합체 340: 밀착판
400: 마감부 410: 마감틀 420: 제2결합체
440: 마감판 500 : 납골함 510 : 후면함
513 : 요철부 514 : 함몰부 520 : 라이너
521 : 전면 프레임 522 : 잠금 볼트 체결공
524 : 전면 함볼부 530 : 체결편 540 : 밀착부
541 : 가스켓 542 : 밀착틀 542a : 잠금 볼트 삽입공
543 : 밀착판 550 : 잠금볼트 560 : 마감부
561 : 마감틀 562 : 마감판 570 : 잠금 홀더
10: Erection vessel stage 20: Concrete body 21: Erection vessel home
30: Cylinder 31: Liner 32: Liner cover
40: hardware 41: body 42: slab support
43: fixed end 44: bending spring 45: bronze rod
46: Nasawn 47: Through hole 50: Slab
60: Ashes only 100: Caskets only 200: Caskets
210: liner 220: frame 221: engaging projection
222: engaging groove portion 223: engaging hole 225: engaging hole
230: support plate 231: engaging projection 232: engaging groove
233: coupling hole 300: tight contact portion 310: gasket
320: contact frame 330: first connection body 340:
400: finishing portion 410: finishing frame 420: second coupling body
440: Finishing plate 500: Cylinder box 510: Rear box
513: concave / convex portion 514: depression portion 520: liner
521: front frame 522: locking bolt fastening hole
524: front box bowl portion 530: fastening piece 540:
541: Gasket 542: Adhesive frame 542a: Locking bolt insertion hole
543: close plate 550: locking bolt 560:
561: Finishing frame 562: Finishing plate 570: Lock holder

Claims (3)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힌 육면체 형상의 라이너, 상기 라이너의 개구부 끝단을 따라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납골함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개구부의 끝단을 따라 형성되고, 각 면에는 다각형 형태로 함몰되고 중앙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된 라이너 결합부가 형성된 전면 프레임과, 상기 라이너들의 적층시 두개의 라이너 결합부가 합쳐진 형태의 편상의 라이너 체결편을 포함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의 크기와 동일한 함 형태로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의 후면이 체결고정되며, 연하는 두면에는 튀어나온 요철부가 형성되고, 다른 연하는 두면에는 상기 요철부가 끼움 삽입되는 함볼부가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이 형성된 후면함과
상기 라이너의 전면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과 나사 결합되도록 네 귀퉁이를 포함한 다수개의 잠금 볼트 삽입공이 형성는 밀착틀과;
상기 전면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밀착틀의 후면에 끼움 삽입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밀착되는 가스켓과;
상기 밀착틀의 전면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턱부에 일체로 결합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틀의 전면에서 돌출 결합하는 다수 개의 제1결합체을 포함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틀의 잠금볼트 삽입공에 체결되며 끝단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잠금볼트들과
상기 밀착틀 전면에 탈착되며 상기 밀착틀 전면을 감싸면서 결합하는 마감틀과;
상기 마감틀에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납골함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판ㄱ과;
상기 밀착틀의 잠금 볼트에 형성된 중앙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네귀퉁이에 체나사결합되고 잠금볼트의 대웅되는 위치에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잠금봉과, 상기 잠금봉 끝단에 체결되는 패킹으로 구성된 잠금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납골함.
And a frame formed along an end of the opening of the liner, the liner having a hexagonal lid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The liner is formed along the end of the opening and has a front frame formed with a liner engaging part formed on each side thereof with a polygonal shape and formed with a screw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liner fastener having a liner A liner comprising a piece;
The liner has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frame of the liner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liner is fastened and fixed. The protrusions are protruded on two sides of the liner, and the depressions At least one or more rear hinges
A plurality of locking bolt insertion holes formed along a front frame of the liner and including four corners to be screwed with the front frame;
A gasket formed along the fron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rear face of the contact frame to closely contact the front frame;
A tightening plate integrally coupled to the engaging jaw formed at the inner sid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ightening frame;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members project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act frame;
Locking bolts fastened to the locking bolt insertion hole of the tightening frame and having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finishing fram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dhesion frame and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adhesion frame;
A finishing plate integrally joined to the finishing frame to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cask;
And a lock holder having a cylindrical lock bar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ock bolt is screwed and screwed to four corners so as to be inserted into a central hole formed in the lock bolt of the tightening frame, and a lock fastened to the end of the lock bar And the maintenance is eas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69037A 2016-12-12 2016-12-12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KR101771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037A KR101771613B1 (en) 2016-12-12 2016-12-12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037A KR101771613B1 (en) 2016-12-12 2016-12-12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613B1 true KR101771613B1 (en) 2017-08-29

Family

ID=5976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037A KR101771613B1 (en) 2016-12-12 2016-12-12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61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10B1 (en) * 2007-02-08 2007-06-0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Airtightness structure of oashes storage
KR101677155B1 (en) * 2016-08-09 2016-11-17 차재진 Combining module using assembling units type a charnel cabi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10B1 (en) * 2007-02-08 2007-06-04 주식회사 뿌리를 지키는 사람들 Airtightness structure of oashes storage
KR101677155B1 (en) * 2016-08-09 2016-11-17 차재진 Combining module using assembling units type a charnel cabi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7417A (en) Storage system for cremated remains
KR101184682B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liner for a charnel cabinet
KR100724110B1 (en) Airtightness structure of oashes storage
US9080344B2 (en) Modular crypt and modular crypt system with niche side wall
KR101018430B1 (en) Charnel plate with open-type double pack
KR101768176B1 (en) Ashse storage for easy to Charnel Cabinet
KR101677155B1 (en) Combining module using assembling units type a charnel cabinet
KR101771613B1 (en) Ashse storage easy to maintain
US8281466B2 (en) Broken heart shaped urn
KR101646151B1 (en) Glass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liner for a charnel cabinet
US10577821B2 (en) Illuminated niches for strong cinerary urns
KR20100119411A (en) Airtight type ashes to rest storage box charnel house of all
KR101253458B1 (en) Apparatus for storage of encapsulated type urn
KR101351299B1 (en) Assembling type charnel
KR100661080B1 (en) Structure of a cinerary urn receptacle
KR20120051289A (en) A cinerary urn
KR101383329B1 (en) Dual storage structure with charnel plate
KR101836097B1 (en) Cinerary enshrining altar Front door
CA2762740C (en) Modular crypt and modular crypt system with niche side wall
KR101009346B1 (en) Capsule type a cinerary urn for storing cylindrical type liner and a charnelcase using thereof
US20050126058A1 (en) Grave marker with memorabilia compartment
KR200442104Y1 (en) A charnel house
KR20020039400A (en) Apartment type charnel using glass caver
KR200381566Y1 (en) Charnel plate
KR102176137B1 (en) Liner for a charnel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