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59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559B1
KR101771559B1 KR1020110000770A KR20110000770A KR101771559B1 KR 101771559 B1 KR101771559 B1 KR 101771559B1 KR 1020110000770 A KR1020110000770 A KR 1020110000770A KR 20110000770 A KR20110000770 A KR 20110000770A KR 101771559 B1 KR101771559 B1 KR 10177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panel
adhesive layer
dispos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542A (ko
Inventor
신동혁
은성진
류인근
김덕수
김경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얇은 두께로도 더 높은 강성을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다른 외장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자세히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및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은 점차 대형화 및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슬림하면서도 대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도 마찬가지로 슬림화 및 대형화가 될 것이 요구된다.
한편으로 상기 프레임은, 패널 및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역할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림형 대형 패널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고강성을 갖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외장부품들이 안정적으로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은 일체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 1 접착층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접착층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접착층은 UV 경화성 재질의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구동부와 중첩(Overlap)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구동부와 중첩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구동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착층과 접촉(Contact)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착층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머리부의 폭은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홈의 개수는 상기 돌출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홈은 서로 이격된 제 1 홈과 제 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얇은 두께로도 더 높은 강성을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다른 외장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방출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유기발광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별 유기발광셀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전술한 유기발광셀의 발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프레임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한 프레임의 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 보강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착층과 보조 프레임 사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 보조 프레임 및 제 2 보조 프레임이 프레임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의 위치에 따른 본 발명의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구동부가 실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Cabinet)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0은 캐비닛의 돌출부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돌출부에 관한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돌출부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돌출부에 관한 여려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및 제1 접착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 전계 방출 표시 패널, 유기발광표시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이 사용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화시에 일정한 강도를 갖는 물질이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프레임(100)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견고한 체결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에 전달하기 위해서 경화성 레진 재질의 접착층(300)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300)에는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금속 재질의 분말 혹은 비드(bea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 중에서 대형화 및 슬림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패널로서 유기발광표시 패널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유기발광표시 패널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이 이러한 유기발광표시 패널에 한정되어 사용된다고 볼 것은 아니다.
이하 유기발광표시 패널의 일반적인 구동 및 구성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특히 유기발광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별 유기발광셀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타이밍구동부(TCN), 표시패널(PNL), 스캔구동부(SDRV) 및 데이터구동부(DDRV)를 포함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외부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데이터신호(RGB)를 공급받는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구동부(DDRV)와 스캔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1 수평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여 프레임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구동부(TCN)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들에는 스캔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D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스캔신호가 발생하는 스캔구동부(SDRV)에 공급된다.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은 스캔구동부(SDRV)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신호로써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스캔구동부(SDRV)의 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이 포함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구동부(DDRV)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되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전송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PNL)은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SP)을 갖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 또는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픽셀들(SP)이 능동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 경우, 이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거나 3T1C, 4T1C, 5T2C 등과 같이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가 더 추가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브 픽셀들(SP)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2T1C 구조를 갖는 서브 픽셀들(SP)의 경우,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1)는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스캔배선(SL1)에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고 데이터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배선(DL1)에 일단이 연결되며 제1노드(A)에 타단이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제1노드(A)에 게이트 전극이 연결되고 제2노드(B)에 일단이 연결되며 저 전위전원이 공급되는 제2전원 배선(VSS)에 연결된 제3노드(C)에 타단이 연결된다. 커패시터(Cst)는 제1노드(A)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3노드(C)에 타단이 연결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고 전위전원이 공급되는 제1전원 배선(VDD)에 애노드 전극이 연결되고 제2노드(B) 및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일단에 캐소드 전극이 연결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서브 픽셀(SP)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들(S1, T1)이 N-Type으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전원 배선(VDD)을 통해 공급되는 고 전위전원은 제2전원 배선(VSS)을 통해 공급되는 저 전위전원보다 높을 수 있으며, 제1전원 배선(VDD) 및 제2전원 배선(VSS)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은 구동방법에 따라 스위칭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서브 픽셀(SP)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스캔배선(SL1)을 통해 스캔신호가 공급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S1)가 턴온된다. 다음, 데이터배선(DL1)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가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1)를 거쳐 제1노드(A)에 공급되면 데이터신호는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된다. 다음, 스캔신호가 차단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S1)가 턴오프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대응하여 구동된다. 다음, 제1전원 배선(VDD)을 통해 공급된 고 전위전원이 제2전원 배선(VSS)을 통해 흐르게 되면 유기 발광다이오드(D)는 빛을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구동방법의 일례에 따른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캔구동부(S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의 트랜지스터들이 동작 가능한 게이트 구동전압의 스윙폭으로 신호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스캔구동부(SDRV)는 스캔라인들(SL1~SLm)을 통해 생성된 스캔신호를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RGB)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할 때,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RGB)를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PNL)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공급한다.
도 4는 전술한 유기발광셀의 발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기발광 셀은 음극(210)과 양극(270) 사이에 전자 주입층(220), 전자 수송층(230), 발광층(240), 정공 수송층(250), 정공 주입층(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210)과 양극(270)에 전압이 걸리게 되면, 계조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음극(210)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 주입층(220) 및 전자 수송층(230)을 통해 발광층(240)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양극(270)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250) 및 정공 수송층(250)을 통해 발광층(240)으로 이동한다.
이때, 발광층(240)에서는 전자 주입층(220)과 전자 수송층(230)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정공 주입층(250)과 정공 수송층(250)으로부터 공급된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의 충돌에 의해 발광층(240)에서 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광층(240)에서 발생하는 광의 휘도는 양극(270)으로 공급되는 계조 전류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여기, 도 4는 유기발광 셀의 구조와 발광 원리의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기발광 셀은 전술한 전자 주입층(220), 전자 수송층(230), 정공 수송층(250), 정공 주입층(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는 프레임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고려한 프레임의 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로변 및 세로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한다. 도 5에 도시된 프레임(100)은 X축방향을 장변방향으로, Y축방향을 장변방향으로 간주하고 설명한다. 특히, 최근 추세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과 단변의 길이 비율이 16:9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비율을 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프레임(1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보다는 면적이 더 넓고, 장변과 단변의 길이 비율이 디스플레이 패널과는 상이할 수 있으나, 그 비율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설명한다. 또한, 슬림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평판형 프레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평판형 프레임에 필요한 강성을 계산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즉, 좌우측 단변을 고정단으로 간주하는 경우, 상하 장변을 고정단으로 간주하는 경우로 구별)에서 자중에 의한 처짐량을 비교하기로 한다.
자중에 의한 양단지지보의 최대 처짐량 dMAX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dMAX = PWL3/(EI)
= WL3/(48 EI)
(dMAX: 중앙 최대 처짐량, P: 보의 중앙 처짐량 계수, W: 중량, L: 보의 길이, E: 보의 영률, I: 단면 2차모멘트)
좌우측 단변을 고정단으로 간주하는 경우와 상하 장변을 고정단으로 간주하는 경우에는, 동일 재질 및 동일 두께의 단일 재질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계산식에서 보의 길이 L만이 차이가 난다.
즉, 좌우측 단면을 고정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보의 길이 L은 도 5에서 장변의 길이LLS가 되고, 상하 장변을 고정단으로 간주하는 경우의 보의 길이 L은 도 5에서 단변의 길이 LSS가 된다.
이 경우 좌우측 단면을 고정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최대 처짐량을 dMAX 1, 상하 단변을 고정단으로 간주하는 경우의 최대 처짐량을 dMAX 2라고 하고 이들간 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dMAX 1 /dMAX 2=(LLS)3/(LSS)3
=(16)3/(9)3
=4096/729
≒5.6
즉, 장변방향은 단변방향보다 약 5.6배 더 큰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그만큼의 강성이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변방향으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혹은 기타 강성 보강물, 즉 보조 프레임을 프레임에 덧붙이는 방식을 사용하여 부족한 강성을 보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성 보강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100)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110, 1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110, 120)은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이하 제1 접착층이라 함.)과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시된 보조 프레임(110, 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10, 120)은 프레임(100)과 별개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에 부착되거나,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은 프레임(100)과 별개로 형성되고,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보조 프레임들(110, 120)이 프레임(100)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들(110, 120)은 그 장변이 프레임(100)의 장변에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보조 프레임(110) 및 그 장변이 프레임(100)의 단변에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보조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프레임(110)은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으로 부족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보조 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단변방향(Y방향)으로 부족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장변방향(X방향)으로 강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제1 보조 프레임(110)의 단변의 폭은 제2 보조 프레임의 단변의 폭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는 제1 보조 프레임(110)과 제2 보조 프레임(120) 사이에 일정한 간극(Gap)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보조 프레임(110, 120)을 프레임(100)에 부착하는 공정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상기 간극이 존재하지 않도록, 즉 제1 보조 프레임(110)과 제2 보조 프레임(120)이 접촉한 상태로 프레임(100)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보조 프레임(110) 및 제2 보조 프레임(120)은 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및 프레임(100)과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130, 140)을 통해서 프레임(100)과 체결된다. 이러한 제2 접착층(130, 140)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간을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1 접착층(도 1의 30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보조 프레임들(110, 120)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목적도 더불어 갖게 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들(110, 120)의 재질은 프레임(10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열전달 목적 및 강성 보강 목적을 고려하여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성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a)은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된 보조 프레임(110, 120)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보조 프레임(110, 120)은 평판형 프레임(10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더 두꺼운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110, 120)은 프레임(10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보조 프레임(110, 120)을 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층이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착층(301 내지 304)과 보조 프레임(110, 120) 사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301 내지 30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301 내지 304)은 보조 프레임들(110, 12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301 내지 304)이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접착층이 분리되지 않은 연속적인 하나의 개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들(110, 120) 및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물들과의 위치관계 및 제조공정을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접착층(301 내지 304)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보조 프레임(110, 120)이 존재하지 않는 프레임(100)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조공정을 고려하여 제1 접착층(301 내지 304)은 보조 프레임(110, 12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는 제1 접착층(110, 120)의 각 변이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 혹은 단변방향(Y방향)에 대체로 나란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다른 형상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보조 프레임(110, 120)이 프레임(100)과 별개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에 부착되는 실시예(도 9(a))와 보조 프레임(110, 120)이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도 9(b))에 따라 각각 제1 접착층(301 내지 302)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에는 제1 접착층(301 내지 304)과 각 보조 프레임(110, 1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도록 도시되어 있고 이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상기 간극은 일정하게 혹은 일정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301)과 제1 보조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은, 제1 접착층(301)과 제2 보조 프레임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혹은 동일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제1 접착층(301)과 보조 프레임(110, 120) 사이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동일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300)과, 상기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110, 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130, 140)과, 상기 보조 프레임(110, 12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층(150)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층(300)의 두께는 상기 보조 프레임(110, 120)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보조 프레임(110, 120)의 위/아래에는 제2 접착층(130, 140) 및 제3 접착층(150)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제1 접착층(300) 및 제2 접착층(130, 140)의 형상 및 배치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110, 12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층(150)이 더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 접착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조 프레임(110, 120)을 서로 결합시키는 목적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보조 프레임(110, 12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3 접착층은 제1 접착층(300) 혹은 제2 접착층(130, 14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제조공정을 고려하여, 제1 접착층(300)이 경화된 이후에 경화될 수 있도록 광경화성 재질, 더 자세히는 UV(Ultra-violet) 경화성 재질의 레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열전달 효율을 고려하여 제3 접착층(150)에는 금속 재질의 분말 혹은 비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된 보조 프레임들(110, 120)은 프레임(100)과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제1 보조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제2 보조 프레임(120)도 분리되지 않은 연속적인 하나의 개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프레임(100)의 단변방향(Y방향)으로 더 높은 강성이 요구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프레임(110)과 제2 보조 프레임(120) 간에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1(b)에는 상기 중첩영역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11(a)에 도시된 평면도에 대해서 A-A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b)을 참조하면, 일체로 형성된 제2 보조 프레임(120)이 제1 보조 프레임(110)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1 프레임(110)을 타고 넘어가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중첩영역에서 제2 보조 프레임(12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 사이의 간격은 다른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조 프레임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다. 따라서 상기 중첩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제2 보조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층(미도시)은 다른 영역에서의 제3 접착층보다 더 두께가 작게 설정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 보조 프레임 및 제 2 보조 프레임이 프레임에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는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 및 단변방향(Y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중심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제1 보조 프레임(110) 및 제2 보조 프레임(1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 으로 더 높은 강성이 요구되거나, 단변방향(Y방향)으로 더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 혹은 이들 모두에 대해서 더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상기의 경우에 대해서 장변방향으로 또는 단변방향으로, 혹은 이들 모두에 대해서 프레임(100)의 강성을 높이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에는 프레임(100)의 단변방향(Y방향)으로 대체로 중심부분에 위치되는 제1 보조 프레임(110)에 대체로 나란하게 그리고 프레임(100)의 장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들(111, 112)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보조 프레임들(111, 112)은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으로 강성을 더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보조 프레임들(111, 112)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 보조 프레임들(111, 112)의 위/아래에는 제1 보조 프레임(110)과 동일하게 접착층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4에는 상기 보조 프레임들(111, 112)외에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으로 대체로 중심부분에 위치되는 제2 보조 프레임(120)에 대체로 나란하게 그리고 프레임(100)의 단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들(121, 122)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보조 프레임(121, 122)은 프레임(100)의 단변방향(Y방향)으로 강성을 더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들 보조 프레임들(121, 122)중에서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제1 보조 프레임(110)에 대체로 나란한 보조 프레임들(111, 112) 및 제2 보조 프레임(120)에 대체로 나란한 보조 프레임들(121, 122)이 모두 포함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보조 프레임(110)에 대체로 나란한 보조 프레임들(111, 112)이 생략된 실시예도 경우에 따라서 필요할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400)의 위치에 따른 본 발명의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400, 점선으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하는 면과 동일한 면 혹은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구동부(400)는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400)의 위치에 따라 구동부(400)와의 중첩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1 접착층들(301 내지 304) 및 보조 프레임들(110, 1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예시적으로 구동부(400)가 프레임(100)의 하단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5와 같이, 제1 접착층 중에서 구동부(4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접착층(303, 304)의 위치는 제1 보조 프레임(110)에 인접하도록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303, 304)과 제1 보조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D2)은 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되는 제1 접착층(301, 302)과 제1 보조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D1)보다 더 좁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6과 같이, 프레임(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303, 304)과 제1 보조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D2)과, 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되는 제1 접착층(301, 302)과 제1 보조 프레임(110) 사이의 간격(D1)과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프레임(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303, 304)의 폭(W303Y)이 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301, 302)의 폭(W301Y)보다 더 작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0)에 구동부(400)가 실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보조 프레임(112)은 상기 구동부(400)와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112)은 상기 구동부(400)가 배치되는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프레임(112)이 존재하는 영역에 구동부(400)를 배치하는 것은, 프레임(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구동부(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구동부(400)가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112)의 재질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면서 일정한 강성을 갖는 금속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400)가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112)의 재질과 다른 보조 프레임(110, 120)의 재질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400)가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112)은 상기 구동부(400)와 중첩하는 제1 영역과 상기 구동부(400)와 중첩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영역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7과 같이 상기 구동부(400)가 배치되는 보조 프레임(112)이 폭이 구동부(400)의 폭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구성물들과의 관계에서 보조 프레임(112)의 폭이 상기 구동부(400)의 폭보다 작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구동부(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효율을 고려하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 상기 보조 프레임(112)이 상기 구동부(400)와 중첩하는 제1 영역의 폭(W112-1)이, 상기 보조 프레임(112)이 상기 구동부(400)와 중첩하지 않는 제2 영역의 폭(W112-2)보다는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캐비닛(Cabinet)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프레임(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캐비닛(500)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50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사이 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5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사이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5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슬림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합한 구조에서는 캐비닛(500)은 베이스부(510) 및 베이스부(510)의 일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20)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프레임(1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520)가 삽입되도록 하여 캐비닛(500)이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프레임(100)과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캐비닛의 돌출부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캐비닛(500)의 베이스부(510)스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들(52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 자세히는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프레임 사이의 제1 접착층(300)이 존재하지 않는 홈에 삽입된다. 도 20(a)에서 돌출부(520)의 일부는 상기 제1 접착층(300)의 홈으로 삽입(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되어 있고, 일부 돌출부(520)는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520)가 삽입되는 홈의 형상은 돌출부(520)의 형상과 대체로 유사한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b)은 삽입이 완료된 상태의 돌출부(520)와 제1 접착층(300)과의 위치관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체결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프레임(10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돌출부(520)는 제1 접착층(300)과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돌출부(520)의 길이방향(X방향) 혹은 돌출부(520)의 폭방향(Y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서 제1 접착층(300)과 중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돌출부에 관한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캐비닛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돌출부(520), 특히 폭이 대체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를 도 21(a)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단일 돌출부(520)로 형성하거나, 도 21(b)와 같이 복수개의 돌출부(520)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21(c)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에 대해서 다시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부들(520)의 형상에 따라 삽입되는 공간의 형상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돌출부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는 돌출부(520)의 길이방향(X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폭이 변화하는 돌출부(520)를 포함하는 캐비닛(50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돌출부(520)의 양 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프레임(미도시)의 장변방향(X방향) 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바이어스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520)가 삽입되는 제1 접착층(300)의 홈(310)도 양측면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는 마찬가지로 프레임(미도시)의 장변방향(X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바이어스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 (520)의 적어도 한 측면이 X방향에 대해서 바이어스되는 각도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홈(310)의 적어도 한 측면이 X방향에 대해서 바이어스되는 각도는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 (520)의 적어도 한 측면이 X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각도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홈(310)의 적어도 한 측면이 X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각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상기 돌출부(520)가 상기 홈(310)에 삽입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520)가 상기 홈(310)에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돌출부(520)의 양측면이 상기 홈(310)의 양측면과 접촉하거나 중첩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22의 하단의 확대도는 상기와 같이, 상기 돌출부 (520)의 적어도 한 측면이 X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각도가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홈(310)의 적어도 한 측면이 X방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되는 각도보다 더 작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돌출부 (520)의 양측면이 상기 홈(310)의 양측면과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삽입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이들 양측면은 적어도 한면에서 접촉하거나 중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23 에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바디부(521) 및 바디부(521)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머리부(522)를 포함하는 돌출부(520)를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프레임의 장변방향(X방향)과 대체로 나란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의 단변방향(Y방향) 또는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바디부(521)의 폭(W1)은 프레임의 단변방향(Y방향) 또는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머리부(522)의 폭(W2)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하는 제1 접착층(300)의 홈(310)은 프레임의 단변방향(Y방향)으로 제1 폭(W10)을 갖는 부분과 제2 폭(W20)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폭 보다 더 클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520)의 머리부(522)의 폭(W2)은 상기 제1 폭(W10)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돌출부(520)의 머리부 돌출부(520)를 제1 접착층(300)의 홈에 X방향으로 삽입하고, Y방향으로 돌출부(520)를 이동시켜 돌출부(5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캐비닛(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체결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3의 하단의 확대도는 돌출부(520)가 제1 접착층(300)의 홈(310)에 삽입된 이후의 돌출부(520)와 홈(310)의 위치관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Y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부(520)의 좌우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홈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거나 중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출부(520)의 상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대응하는 홈(310)의 측면과 밀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부(520)의 베이스부(521)의 상측면과 인접하는 홈(310) 사이의 간격(G1) 및 돌출부(520)의 머리부(522)의 상측면과 인접하는 홈(310) 사이의 간격(G2)는 0에 가까운 값(접촉)을 갖거나, 음의 값(중첩)을 가질 수도 있다. 물론 돌출부(520)의 하측면과 인접하는 홈(310) 사이의 간격(G3)는 상기 G1 및 G2보다 더 큰 값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500)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100)과 체결된 이후에 프레임(100)의 장변방향(X방향)으로의 이탈 및 단변방향(Y방향)으로의 이탈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의 돌출부에 관한 여려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a) 내지 24(d)를 참조하면, 돌출부(520)의 바디부(521)의 폭이 돌출부(520)의 머리부(52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폭은 프레임의 단변방향에 대해서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한 값에 해당한다.
도시된 여러 돌출부(520)의 구조를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500)이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과 체결된 이후에 캐비닛(500)이 프레임(100)의 장변방향으로 이탈되는 현상 및 단변방향으로의 이탈되는 현상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 및 제1 접착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단 체결된 캐비닛(500)을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프레임의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해 다시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분리된 캐비닛(500)을 용이하게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캐비닛(500) 및 제1 접착층(300)의 구조를 제공한다.
먼저, 도 25(a)는 캐비닛(500)의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500)은, 돌출부(520)가 배치되는 베이스부(510)의 일측면에 대해서 돌출부(520)의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일측면을 기준으로 상변까지의 높이(h1) 및 하변까지의 높이(h2)는 대략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520)는 도 25(a)를 기준으로 하단면과 상단면에 대해서 대칭적인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도 25(b)는 디스플레이 패널 혹은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방향에서 캐비닛(500) 및 캐비닛에 배치되는 돌출부(520)를 도시한다. 예시적으로 도 25(b)에는 총 3개의 돌출부(520)를 포함하는 캐비닛(50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돌출부(520)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베이스부(510)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단부에 인접에서 배치되는 돌출부(520-1)까지의 거리(L1)는, 제2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돌출부(520-3)까지의 거리(L2)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베이스부(510)의 양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는 돌출부(520-2)의 경우에, 제1 단부로부터의 거리(L3)와 제2 단부로부터의 거리(L4)는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베이스부(5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심으로부터 대칭적으로 돌출부들을 배치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500)가 제1 접착층의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면, 돌출부(500)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제1 접착층의 홈에 접촉하거나 중첩하게 된다. 따라서 캐비닛(50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1 접착층의 홈의 일측면은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 25(a)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520)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캐비닛(500)의 재결합시에 손상되지 않은 제1 접착층의 홈의 타측면과 돌출부(520)의 일측면이 접촉하거나 중첩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제1 접착층(300)의 홈(310)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홈(310)의 형상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의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바디부 및 제2 방향으로 돌출된 머리부를 포함하는 실시예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제1 접착층(300)의 홈(310)은 "ㄱ" 자 형상을 갖게 되나, 도 26에 도시된 홈(310)의 형상은 "T"자 형상을 갖게 된다. 즉, 도 23의 홈(310)은 도면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단변방향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1개의 홈만을 갖게 되나, 도 26의 홈(310)은 도면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단변방향으로 상하 양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홈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도 캐비닛(50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하 양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홈 중에서 어느 하나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캐비닛(500)의 재결합시에 손상되지 않은 다른 홈(310)에 캐비닛의 돌출부가 접촉하거나 중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500)의 돌출부(520) 및 제1 접착층(300)의 홈(310)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착층(300)의 홈(310, 320)은 서로 이격된 제1 홈(310) 및 제2 홈(320)을 포함하고, 제1 홈(310)은 캐비닛(500)의 돌출부(520)과 대응되고, 제2 홈(320)은 캐비닛(500)의 돌출부(520)과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홈(310)은 프레임의 단변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홈(320)은 상기 어느 한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캐비닛(500)이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에 최초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캐비닛(500)의 돌출부(520)는 제1 홈(310)으로만 삽입되도록 하고 제2 홈(320)으로는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재차 캐비닛(500)이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프레임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캐비닛(500)의 돌출부(520)는 이전에 삽입되지 않았던 제2 홈(320)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캐비닛(500)의 돌출부(520)가 재차 삽입될 때는 도면의 X방향을 중심축으로 대략 180도 회전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홈의 위치는 180도 회전된 상태의 돌출부(520,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홈(320)의 형상 및 위치도 도시된 접착층(300)의 X방향에 해당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접촉하는 보조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보조 프레임이 접촉하지 않는 영역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은 일체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제 1 접착층과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접착층의 두께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접착층은 UV 경화성 재질의 레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되는 열전달 보조 프레임; 그리고,
    상기 열전달 보조 프레임의 전면에 연결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보조 프레임은 상기 구동부와 중첩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구동부와 중첩하지 않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의 폭은 상기 제 2 영역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착층과 접촉(Contact)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착층과 중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베이스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머리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머리부의 폭은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서로 이격된 제 1 홈과 제 2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보다 크기가 작은 보조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접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배치되는 캐비닛;
    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00770A 2011-01-05 2011-01-05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770A KR101771559B1 (ko) 2011-01-05 2011-01-05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770A KR101771559B1 (ko) 2011-01-05 2011-01-0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542A KR20120079542A (ko) 2012-07-13
KR101771559B1 true KR101771559B1 (ko) 2017-08-25

Family

ID=4671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770A KR101771559B1 (ko) 2011-01-05 2011-01-0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6653A (ja) * 2009-04-27 2010-11-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6653A (ja) * 2009-04-27 2010-11-1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542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375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10868104B2 (en) Tiling display device
US88169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9324266B2 (en)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US77822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667075B1 (ko) 주사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US9064455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ower line arrangement for reducing voltage drop
KR101743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57562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070057562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8006187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80147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213937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US10957231B2 (en) Display apparatus
KR10171713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2010493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080043046A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11430413B (zh)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KR101941696B1 (ko) 표시 장치
KR1017715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078066A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8233285A (ja) 表示装置
KR101727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9102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59918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