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324B1 -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324B1
KR101771324B1 KR1020150151052A KR20150151052A KR101771324B1 KR 101771324 B1 KR101771324 B1 KR 101771324B1 KR 1020150151052 A KR1020150151052 A KR 1020150151052A KR 20150151052 A KR20150151052 A KR 20150151052A KR 101771324 B1 KR101771324 B1 KR 10177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ms
database
energy
data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589A (ko
Inventor
최해룡
조근철
전정수
권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3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칙에 따라 명명된 데이터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고, 공개데이터베이스와 보안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ECURITY DATABASE AND PUBLIC DATABASE}
본 발명은 에너지관리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난화 및 화석 에너지의 고갈이 사회 문제가 되면서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효율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술 분야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에너지 효율을 제고시키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는 과속을 방지하고 경제속도를 유도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가전 제품의 경우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정이나 빌딩 내에서도 이러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내용들이 논의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 사람들의 의지에 의해 수동으로 실현되는 사회 운동, 에너지 절약 정책 등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플러그 뽑기 운동, 실내 온도 1도 올리기 운동 등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은 그 행위 주체인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그 효과가 작고 또한 유행에 따라 그 성과가 크게 차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특정 에너지 집합체(예를 들어, 공장, 빌딩 등)에서의 각 설비들에 대한 에너지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렇게 모니터링된 각각의 설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낭비 요소를 제거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한 기술이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주체의 개입없이 각 설비 및 중앙관제서버의 기계적인 정보 교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현재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은 공장, 빌딩과 같이 다양한 에너지장치(예를 들어, 공조기, 조명, 전동기, 전열기 등)를 포함하는 에너지 집합체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집합체는 무수히 많은 에너지장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소비가 많은 측면도 있지만 운영 관리자가 모든 에너지장치의 상태를 일일이 파악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운영 관리자가 그러한 많은 에너지장치의 최적 운전점을 쉽게 계산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의 구축 효과가 더욱 잘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집합체에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을 관장하는 중앙관제서버와 개별 에너지장치 사이의 데이터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 집합체에는 무수히 많은 에너지장치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각각의 에너지장치들은 서로 다른 통신규약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시스템 구축자는 각각의 에너지장치에 따라 별도의 통신 프로세서를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이 구축되는 사이트마다 에너지장치의 종류 및 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자는 사이트마다 별도의 구축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5210호에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해당 문헌에 제시된 기술에 의하더라도 여전히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에너지장치에 따라 별도의 통신 프로세서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규칙에 따라 명명된 데이터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블록에 대한 공개에 따라 발생하는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데이터베이스와 보안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Energy Management System)에 있어서, EMS 기초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 상기 EMS 기초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으로서 상기 데이터생성장치 각각에 대응되면서 미리 설정된 명명규칙에 따라 그 블록의 명칭이 결정되는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명명규칙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블록에 대응되는 데이터생성장치를 파악하는 제1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각각의 데이터생성장치의 특성에 따라 상기 EMS 기초데이터를 재가공하여 EMS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배치프로세서; 상기 EMS 분석데이터를 저장하며 인증절차에 따라 접근이 가능한 제2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EMS 분석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EMS 표시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어 대상 에너지장치로 EMS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EMS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규칙에 따라 명명된 데이터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 때문에 서버 프로그램의 변경없이 신규 에너지장치를 추가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 프로그램의 변경없이 서로 다른 통신 규약을 가지는 에너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개데이터베이스와 보안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여 관리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공개에 따라 발생하는 보안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에너지관리시스템에 데이터생성장치가 추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명명규칙에 따른 데이터블록의 생성과 파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데이터블록 명칭 구조의 제1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데이터블록 명칭 구조의 제2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데이터블록 명칭 구조의 제3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데이터생성장치의 장치군 분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EMS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이 API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너지관리시스템(100)은 EMS제어부(110), 보안데이터베이스(120), 배치프로세서(130), 공개데이터베이스(140) 및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EMS 기초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EMS 기초데이터는 EMS제어부(110)가 관리대상이 되는 에너지장치(FA)들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이러한 에너지장치(FA)들의 최적의 운전점을 계산하는 등의 EMS 프로세서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EMS 기초데이터는 에너지장치(FA)의 순간적력량, 누적전력량, 전류값, 전압값, 온도값, 발전량 등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EMS 기초데이터는 에너지장치(FA)로부터 유래되지 않은 데이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공간에 출입한 사람의 수, 특정 공간의 실내 온도, 날씨 데이터로서 외기 온도, 일사량, 풍량 등도 EMS 기초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EMS 기초데이터는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에서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에너지장치(FA)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1데이터생성장치(S1), 제2데이터생성장치(S2) 및 제3데이터생성장치(S3)는 에너지장치(FA)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1데이터생성장치(S1) 및 제2데이터생성장치(S2)와 같이 하나의 에너지장치(FA)에 여러 개의 데이터생성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제3데이터생성장치(S3)와 같이 하나의 에너지장치(FA)에 하나의 데이터생성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제N데이터생성장치(Sn)와 같이 에너지장치(FA)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EMS 기초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센서 혹은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전류센서, 전압센서, 온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전력량계, 풍량계, 일사량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데이터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획득된 데이터를 재가공하여 EMS 기초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일사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러한 일사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기의 발전량에 대한 EMS 기초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장치(FA)는 에너지를 소비하거나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에너지의 흐름을 만들거나 에너지와 관련된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등 에너지와 관련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장치(FA)는 공조기, 전열기, 조명 등 에너지를 소비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에너지장치(FA)는 태양광발전기, 디젤발전기 등 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에너지장치(FA)는 에너지변환장치, 전력변환장치 등 에너지의 흐름을 만드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에너지장치(FA)는 전력용 스위치, 차단기 등 에너지와 관련된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에너지장치(FA)는 접속단자, 콘센트 등 에너지와 관련된 기타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장치(FA)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에서 생성되는 EMS 기초데이터는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될 수 있다.
공개데이터베이스(140)는 EMS 기초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으로서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데이터블록(D1, D2, D3, ..., D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데이터블록(D1, D2, D3, ..., Dn) 각각은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 각각에 대응되는데, 예를 들어, 제1데이터블록(D1)은 제1데이터생성장치(S1)에 대응되고, 제2데이터블록(D2)은 제2데이터생성장치(S2)에 대응되며, 제3데이터블록(D3)은 제3데이터생성장치(S3)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N데이터블록(Dn)은 제N데이터생성장치(Sn)에 대응될 수 있다-여기서, N은 자연수.
데이터블록(D1, D2, D3, ..., Dn)은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위치하는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공개데이터베이스(140)는 하나의 물리적장치로 국한되지 않고 둘 이상의 물리적장치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클라우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블록(D1, D2, D3, ..., Dn) 또한, 다수의 물리적장치에 산재되어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블록(D1, D2, D3, ..., Dn)은 테이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테이블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혹은 플랫 파일 데이터베이스에서 세로줄과 가로줄의 모델을 이용하여 정렬된 데이터 집합의 모임일 수 있다.
배치프로세서(130)는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EMS 기초데이터를 재가공하여 EMS 분석데이터를 생성한다.
EMS 기초데이터는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저장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반해, EMS 분석데이터는 일정한 목적에 따라 EMS 기초데이터를 통합하거나 통계처리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MS 분석데이터는 날짜별 데이터 혹은 일정 기간별 데이터와 같이 일정 기간의 EMS 기초데이터를 통합한 데이터일 수 있고, 최대치 데이터, 최소치 데이터, 평균치 데이터와 같이 통계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외에도 EMS 분석데이터는 같은 종류의 데이터생성장치에서 생성된 EMS 기초데이터-예를 들어, 발전전력량에 대한 센서에 생성된 발전량 데이터-를 통합한 데이터일 수 있고, 같은 위치에 있는 데이터생성장치에서 생성된 EMS 기초데이터-예를 들어, 빌딩에서 같은 층에서 생성된 EMS 기초데이터-를 통합한 데이터일 수 있다.
배치프로세서(130)는 주기적으로 EMS 기초데이터 중 일정 데이터를 재가공하여 이러한 EMS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배치프로세서(130)의 재가공 주기는 EMS 기초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생성되는 EMS 분석데이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배치프로세서(130)에 의해 생성된 EMS 분석데이터는 보안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다.
EMS 분석데이터는 보안데이터베이스(120)에서 미리 정해진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EMS 제어부(110)는 이러한 미리 정해진 테이블을 읽어들여 EMS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EMS 제어부(110)는 EMS 분석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EMS 표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EMS 분석데이터에는 EMS와 관련된 통계데이터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사용자단말로부터 이러한 통계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수신될 때, EMS 제어부(110)는 EMS 분석데이터를 바탕으로 EMS 표시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EMS 표시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EMS 제어부(110)는 EMS 분석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이 되는 에너지장치(FA)의 상태를 파악하고 제어 대상이 되는 에너지장치로 EMS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EMS 제어명령은 예를 들어, 부하의 전력사용을 중단시키는 제어명령 혹은 전력사용을 줄이게 하는 제어명령일 수 있다. 혹은 EMS 제어명령은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명령 혹은 발전을 중단시키는 제어명령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100)에서 공개데이터베이스(140)는 인증절차없이 접근이 가능하거나 공개된 키(Key)에 의해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인증절차없이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접근하여 EMS 기초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관리시스템(100)은 내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망에 위치하는 장치는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접근할 수 없도록 게이트웨이에 보안인증절차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는 미리 알려진 단일한 혹은 복수의 공개된 키에 의해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공개데이터베이스(140)와 달리 보안데이터베이스(120)는 인증절차에 따라 접근이 가능하다. 공개데이터베이스(140)가 접근의 용이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라면 보안데이터베이스(120)는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보안데이터베이스(120)는 배치프로세서(130)와 EMS 제어부(110)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보안데이터베이스(120)는 배치프로세서(130)에 부여된 특정 아이디에 의해서만 데이터 쓰기 기능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혹은 보안데이터베이스(120)는 EMS 제어부(110)에 부여된 특정 아이디에 의해서만 데이터 읽기 기능이 가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보안데이터베이스(120)는 암호화된 키인증 방법에 의해서만 인증이 될 수 있다. 보안데이터베이스(120), 배치프로세서(130) 및 EMS 제어부(110)는 서로 간에 미리 협의된 혹은 미리 설정된 암호 규칙에 따라 키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방법으로 상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시스템(100)은 공개데이터베이스(140) 및 보안데이터베이스(120)를 별도로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의 추가, 삭제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EMS 제어부(11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는 보안성을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에너지관리시스템(100)은 다른 부분들의 수정없이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의 추가, 삭제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한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D1, D2, D3, ..., Dn)의 명칭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이 생성되고 각각의 데이터블록에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지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에너지관리시스템에 데이터생성장치가 추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새롭게 추가되는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에 대응하여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제(N+1)데이터블록(Dn+1)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제(N+1)데이터블록(Dn+1)은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의 제어명령에 따라 공개데이터베이스(140)가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소,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는 데이터블록 생성명령을 공개데이터베이스(140)로 전송할 수 있고, 공개데이터베이스(140)는 이러한 데이터블록 생성명령에 따라 제(N+1)데이터블록(Dn+1)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블록 생성명령에는 데이터블록의 명칭과 필드명칭, 필드타입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배치프로세서(130)는 새롭게 생성된 제(N+1)데이터블록(Dn+1)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제(N+1)데이터블록(Dn+1)을 통해 획득되는 EMS 기초데이터를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에 대응되는 EMS 기초데이터를 재가공하여 EMS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배치프로세서(130)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블록(도 2에서 Dn+1)의 명칭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블록(도 2에서 Dn+1)에 대응되는 데이터생성장치(도 2에서 Sn+1)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시스템(100)은 특정한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의 명칭을 결정할 수 있는데, 배치프로세서(130)는 이러한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에 대응되는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명명규칙에 따른 데이터블록의 생성과 파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치프로세서(130)는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1디지털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에너지관리시스템(100)에 추가되는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는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2디지털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디지털코드는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도 3의 Dn+1)을 생성하는 디지털코드이고 제1디지털코드는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도 3의 Dn+1)을 파악하는 디지털코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는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2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2디지털코드의 실행을 통해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치프로세서(130)는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1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1디지털코드의 실행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에 대응되는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되는 데이터생성장치(도 3의 Sn+1)에 대응되는 제(N+1)데이터블록(Dn+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키보드 혹은 마우스를 이용한 사용자 조작을 수행하여 제(N+1)데이터블록(Dn+1)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는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2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제2디지털코드의 실행을 통해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위치하는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의 명칭을 파악하고, 이러한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의 명칭을 포함하는 데이터쿼리명령을 공개데이터베이스(140)로 전송함으로써 EMS 기초데이터를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에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는 자신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N+1)데이터블록(Dn+1)에 EMS 기초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배치프로세서(130)는 이러한 제(N+1)데이터블록(Dn+1)이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에 대응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 제(N+1)데이터생성장치(Sn+1)에 포함되는 제2디지털코드는 명명규칙에 따라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서 자신에 대응되는 데이터블록(도 3의 Dn+1)을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데이터블록 명칭 구조의 제1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트블록 명칭은 복수의 지시자(ID_1, ID_2, ID_3, ..., ID_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지시자는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 혹은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가 생성하는 EMS 기초데이터의 EMS 특성을 나타내는 지시자일 수 있다.
EMS 특성은 EMS 제어부(110)가 산출하는 결과값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EMS 제어부(110)가 사용하는 EMS 변수 혹은 EMS 프로세서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EMS 제어부(110)가 위치별로 에너지소비형태를 표시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장치(FA)의 위치가 EMS 특성 값이다. 다른 예로서, EMS 제어부(110)가 에너지원별로 제어를 다르게 수행하는 경우, EMS 기초데이터에 대응되는 에너지원(전력, 가스 등)이 EMS 특성 값이다. 또 다른 예로서, EMS 제어부(110)가 공조기를 제어하는 경우, 공조기 제어와의 관련성(실내 온도, 실내 습도 등)이 EMS 특성 값이다.
도 5는 데이터블록 명칭 구조의 제2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데이터블록 명칭 구조의 제3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트블록 명칭은 위치지시자(ID_PO), 장치종류지시자(ID_CA), 장치일련번호(ID_SN), 장치세부블록지시자(ID_SU), 관제점지시자(ID_SD), 데이터타입지시자(ID_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지시자(ID_PO)는 데이터생성장치(D1, D2, D3, ..., Dn+1)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생성장치(D1, D2, D3, ..., Dn+1)가 위치한 건물을 나타내는 지시자, 구역을 나타내는 지시자 및 층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종류지시자(ID_CA)는 데이터생성장치(D1, D2, D3, ..., Dn+1)가 포함된 에너지장치(FA)의 종류를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도 6을 참조하면, 계통(공조계통, 열원계통 등)지시자, 설비종류지시자(공조기, 보일러, 태양광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일련번호(ID_SN)는 동일한 장치종류지시자(ID_CA)에 해당되는 장치들에 대해 붙여지는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이때, 에너지관리시스템(100)에는 장치일련번호 관리장치가 더 포함되고 이러한 장치일련번호 관리장치가 새롭게 추가되는 장치에 새로운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장치세부블록지시자(ID_SU)는 에너지장치(FA) 내에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S1, S2, S3, ..., Sn+1)의 종류를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장치(FA)가 공조장치인 경우, 급기팬과 환기팬이 포함될 수 있는데, 장치세부블록지시자(ID_SU)에 급기팬 혹은 환기팬에 대응되는 지시자가 기입될 수 있다.
관제점지시자(ID_SD)는 관제 혹은 감시되는 특정 값의 종류를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예를 들어, 순시전력, 누적전략량, 온도, 습도 등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이러한 관제점지시자(ID_SD)에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타입지시자(ID_SC)는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교환되는 데이터가 아날로그 데이터인지 디지털 데이터인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는 복수의 장치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데이터생성장치의 종류-예를 들어, 센서의 종류(온도센서, 전류센서, 전압센서 등)-에 따른 분류일 수도 있으나, 용도에 따른 분류일 수도 있다. 데이터생성장치는 공조기, 보일러, 냉동기, 냉각탑 등 적용되는 에너지장치(FA)에 따라 장치군이 분류될 수 있다.
도 7은 데이터생성장치의 장치군 분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생성장치는 복수의 장치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조기, 보일러, 냉동기,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력장치, 조명장치, 펌프장치, 팬장치, 발전장치, 신재생에너지장치 등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각각의 장치군에는 고유 코드가 매칭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공조기에는 VAXX, 보일러에는 BOXX 등이 매칭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장치군별로 데이터블록의 명칭을 결정하는 명명규칙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기에 대한 장치군으로 분류된 데이터생성장치에 대한 명명규칙과 보일러에 대한 장치군으로 분류된 데이터생성장치에 대한 명명규칙이 상이할 수 있다.
명명규칙에는 장치군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예를 들어, 데이터블록의 첫번째 부분에 장치군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데이터블록을 읽어들이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배치프로세서(130)-는 이러한 장치군코드를 통해 각각의 데이터블록에 대응되는 명명규칙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배치프로세서(130)는 먼저, 데이터블록 명칭의 일정 부분을 읽어들여 장치군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장치군코드에 대응되는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블록 명칭의 다른 부분을 읽어들일 수 있다.
공개데이터베이스(140)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은 통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필드일 수도 있고 테이블일 수도 있다.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이 필드인 경우, 필드 명칭에 전술한 명명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블록(D1, D2, D3, ..., Dn+1)이 테이블인 경우, 테이블 명칭에 전술한 명명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블록은 미리 설정된 필드생성규칙 혹은 전술한 명명규칙에 따르는 복수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장치군으로 분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생성장치는 이러한 필드생성규칙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과 EMS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코드에 따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 8은 EMS 제어부와 사용자 단말이 API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800)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800)은 인자(ARG)가 삽입된 API코드를 실행시켜 EMS 제어부(110)로 EMS 표시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API는 EMS 분석데이터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EMS 제어부(110)는 인자(ARG)가 삽입된 API에 해당되는 EMS 분석데이터를 검색한 후 검색된 EMS 분석데이터를 EMS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800)로 리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변경없이 명명규칙에 따라 데이터생성장치를 손쉽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공개데이터베이스와 별도로 된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베이스를 이중화함과 동시에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관리시스템에 의하면,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 프로그램밍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에너지관리시스템(EMS : Energy Management System)에 있어서,
    EMS 기초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
    상기 데이터생성장치에 의해 상기 EMS 기초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으로서 상기 데이터생성장치 각각에 대응되면서 미리 설정된 명명규칙에 따라 그 블록의 명칭이 결정되는 복수의 데이터블록을 포함하는 제1데이터베이스;
    상기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1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디지털코드를 실행시켜 각각의 데이터블록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생성장치를 파악하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EMS 기초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생성장치 각각의 특성에 따라 재가공하여 EMS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배치프로세서;
    인증절차에 따라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배치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EMS 분석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EMS 분석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상기 EMS 분석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EMS 표시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어 대상 에너지장치로 EMS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EMS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 및 상기 배치프로세서에 의해 접근되고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는 인증절차에 따라 상기 배치프로세서 및 상기 EMS 제어부에 의해 접근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의 각각의 데이터블록은 미리 설정된 필드생성규칙에 따르는 복수의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는,
    복수의 장치군으로 분류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장치군은 상기 필드생성규칙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블록의 명명규칙에 상기 장치군을 나타내는 장치군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는 인증절차없이 접근이 가능하거나 공개된 키(Key)로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생성장치는,
    상기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2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2디지털코드의 실행을 통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데이터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생성장치는,
    상기 명명규칙에 대응되는 제2디지털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상기 제2디지털코드의 실행을 통해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자신과 매칭되는 데이터블록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EMS 분석데이터에 대응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EMS 제어부는,
    상기 API코드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EMS 분석데이터에 대응되는 상기 EMS 표시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생성장치는,
    복수의 장치군으로 분류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장치군은 상기 명명규칙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명명규칙에는 장치군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배치프로세서는 상기 장치군코드를 통해 각각의 데이터블록에 대응되는 명명규칙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KR1020150151052A 2015-10-29 2015-10-29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KR10177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52A KR101771324B1 (ko) 2015-10-29 2015-10-29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052A KR101771324B1 (ko) 2015-10-29 2015-10-29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89A KR20170051589A (ko) 2017-05-12
KR101771324B1 true KR101771324B1 (ko) 2017-08-25

Family

ID=5874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052A KR101771324B1 (ko) 2015-10-29 2015-10-29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61B1 (ko) 2020-07-29 2021-05-14 윤성민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47703A (ko) 2022-10-05 2024-04-12 한국전력공사 토폴로지를 이용한 자동 객체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855A (ja) * 1998-10-13 2000-04-28 Ntt Data Corp データ名称付与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KR101435626B1 (ko) * 2013-08-19 2014-08-28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에너지 정보 수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855A (ja) * 1998-10-13 2000-04-28 Ntt Data Corp データ名称付与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KR101435626B1 (ko) * 2013-08-19 2014-08-28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에너지 정보 수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861B1 (ko) 2020-07-29 2021-05-14 윤성민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14804A (ko) 2020-07-29 2022-02-07 윤성민 데이터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47703A (ko) 2022-10-05 2024-04-12 한국전력공사 토폴로지를 이용한 자동 객체 식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589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nan et al. A review of internet of energy based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Issues and recommendations
KR101872557B1 (ko) 에너지 소비 관리
Zhao et al.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using a multi-agent decision-making control methodology
Lee et al. Joint energy management system of electric supply and demand in houses and buildings
CN102193527B (zh) 基于云计算的电子信息系统机房能源管理控制系统及方法
Lu et al. Energy savings of retrofitting residential buildings with variable air volume systems across different climates
US20130090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nergy apparatus using energy modeling technique
JP2006331372A (ja) エージェント装置、管理マネージャ装置および環境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US117969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CN106950936A (zh) 一种多分布式能源站的无中心协同控制系统及方法
Allerding et al. Customizable energy management in smart buildings using evolutionary algorithms
Fütterer et al. A multifunctional demonstration bench for advanced control research in buildings—Monitoring, control, and interface system
Perez et al. Integrated smart appliance scheduling and HVAC control for peak residential load management
Shamshiri et al. IoT-based electricity energy monitoring system at Universiti Teknikal Malaysia Melaka
KR101771324B1 (ko) 공개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Al-Hadban et al. Implementation of Energy Efficiency Strategies in Cooling Towers—A Techno-Economic Analysis
CN202870163U (zh) 空调耗电处理装置及系统
CN103855807A (zh) 一种可实现家庭智能电网管理的系统、方法及执行模块
CN109283900A (zh) 楼宇分质供水并助力供水节能减排标准化系统及控制方法
Arya et al. Energy Saving in Distribution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n Smart Grid environment.
Yuan et al. A study towards applying thermal inertia for energy conservation in rooms
KR20160097071A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hen et al. A residential load scheduling approach based on load behavior analysis
US201201592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equipment i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network
Iwayemi et al. Energy management for intelligent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