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18B1 -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 Google Patents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18B1
KR101769518B1 KR1020100080306A KR20100080306A KR101769518B1 KR 101769518 B1 KR101769518 B1 KR 101769518B1 KR 1020100080306 A KR1020100080306 A KR 1020100080306A KR 20100080306 A KR20100080306 A KR 20100080306A KR 101769518 B1 KR101769518 B1 KR 10176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solar cell
pack shee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847A (ko
Inventor
박승한
이창근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8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3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 A61F2007/0084Details of power supply using a solar cell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박막의 태양광 전지판을 시트 위에 라미네이팅(점착)시킨 후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겔을 코팅하여 제조한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이용시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열감 및/또는 진동을 부여하여, 마스크팩 시트 한장으로 미용액의 피부 침투를 돕는 미용기기의 효능까지 부여한다.

Description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Mask pack sheet for providing thermal and/or vibrational effects}
본 발명은 태양광 전지판을 시트에 점착시켜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발열 및/또는 진동을 가능하게 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침투를 높인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팩(Pack)이란 원래 ‘감싸다’라는 의미로 작용물질을 얼굴에 감싸 모공의 더러움을 깨끗이 제거하고 수분과 미용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공급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피부 생리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기능성 화장품의 일종이다. 팩은 다양한 영양성분을 피부에 매우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용성분들에 의한 보습, 진정, 노화, 각질 및 노폐물 제거, 지친 피부 회복, 탄력증진 및 미백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손상된 피부로부터 노폐물을 제거하거나, 미백, 주름완화, 피부보습, 영양공급 등을 위하여 한방 추출물, 오이, 감귤, 알로에, 당근, 쑥, 해조, 인삼, 홍삼, 감자, 선인장, 매실 등의 천연재료를 이용한 마사지용 크림, 영양 팩, 클린싱 팩, 미백 팩 등의 팩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손쉽게 마사지 하기 위하여 피부 노폐물 제거, 주름제거, 미백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을 부직포, 미용필름 등에 함침시켜서 마사지할 얼굴 부위에 덮어 씌울 수 있도록 원형이나 얼굴 모양으로 절단하여 포장한 여러가지 종류의 마스크팩들이 이미 상품화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마스크팩은 간편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함침타입의 마스크팩은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하지만, 0.1mm~1mm 사이의 부직포에 함침된 가용화 혹은 유화상태의 미용액을 피부에 부착하여 피부의 팽윤에 의한 유효성분의 침투를 자발적으로 유도하므로, 피부로의 유효성분의 흡수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용기기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자극(압력, 이온, 열,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피부로의 유효성분의 흡수를 높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미용기기는 별도의 전원부가 필요하게 되며,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실제 사용시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심미적인 부분도 떨어지게 되어 외관의 개선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천연재료인 면, 합성고분자 또는 고분자 필름을 지지체로 하고 태양전지의 집열판과 발열부 및/또는 진동부를 지지체에 라미네이팅(점착)시킨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전원부 없이 열감 및/또는 진동을 부여하여 유효성분의 피부로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마스크팩 시트를 각종 피부활성성분을 지닌 하이드로겔 혹은 실리콘 겔로 코팅함으로써 피부트러블과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보다 우수한 주름개선, 미백, 보습, 각질개선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하는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부착시킨 태양전지; 태양전지 집열판; 및 발열부 및 진동부 중 하나 이상;을 지지체에 점착시키고, 태양전지와 발열부 및 진동부는 도선으로 연결하여 열감 및 진동감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는 별도의 전원부와 부가적인 미용기기의 사용없이 마스크팩 시트의 사용만으로 유효성분의 피부로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주름개선, 미백, 보습, 각질개선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연성인쇄회로기판 기판을 마스크팩 시트에 부착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그림이다. 여기에서 노란 부분은 발열 도선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발열부와 이를 연결한 도선을 적용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겔로 부직포를 코팅한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의 층상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장입 및 예열, 박막증착, 불순물 이식공정, 박막열처리 공정으로 거쳐서 제조된 태양전지 집열판; 및 발열부 및/또는 진동부를 지지체에 라미네이팅시키고 해당 지지체를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겔로 코팅한 것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유효물질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는 마스크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의 태양전지는 별도의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충전시 햇빛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햇빛이 없는 경우에는 형광등 하에서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며, 그 전력원을 이용하여 열감 및/또는 진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햇빛 및 형광등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가정내에서 한가한 오후시간을 이용하여 피부관리를 하기에 용이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의 예시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발열부를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 (-)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태양전지를 나타내는 부분이고, 노란색 표시 부분이 발열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위에서 볼 때 노란색 부분 전체를 덮고 있는 마스크 모양 전체가 태양전지의 집열판에 해당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부분에서 가장 먼쪽의 전체 면에 집열판이 위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이므로 본 발명에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발열 도선의 위치, 크기 및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스크팩 시트는 하기의 구성요소를 가진다:
- 마스크팩 시트의 지지체;
- 연성인쇄회로기판;
- 태양전지;
- 태양전지 집열판; 및
- 발열부 및 진동부 중 하나 이상.
본 발명의 마스크팩 시트는 지지체로서 천연재료인 면, 합성고분자 또는 고분자 필름 등을 지지체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한 종류로서, 인쇄회로기판은 인쇄회로 원판에 전기배선의 회로설계에 따라 각종 전자부품을 연결하거나 부품을 지지해주는 핵심부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에폭시 또는 페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시트에 동박을 적층한 경성인쇄회로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과는 달리 얇고 자유로운 굴곡성과 함께 무게가 매우 가벼운 특성을 가지므로 마스크팩 시트에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채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태양전지 집열판, 발열부 및 진동부를 연결하여 마스크팩 시트의 지지체에 점착한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 (-)극은 태양전지의 전원부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의 역할을 하며, 연성인쇄회로기판 위에 원하는 형태로 패터닝된 태양전지와의 연결에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크기는 유동적이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용할 경우에는 부착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크기로 여러 개를 연결한 후에 도선으로 연결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사용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체인 폴리이미드 필름과 동박(구리선)을 이용하여 회로를 형성하며, 발열부 및 진동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위 동박(구리선)의 도선부가 중첩된 부분에 적용된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가 도 3에 나타나 있다. 도 3에서는 도선이 적용된 부분 이외의 부분에도 폴리이미드 필름이 있으나,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용 부위는 동박(구리선)이 있는 부분만으로 한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연성인쇄회로기판에 (+), (-)를 연결하고 태양전지를 연결하는데, 이 때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폴리이미드 필름과 태양전지의 기판이 겹쳐지게 되면, 겹친 부분의 유연도는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이를 적용한 마스크팩을 피부에 도포시 겔 점착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스크팩의 유연도를 고려하여 태양전지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중첩될 수도 있고,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 마스크 전체 크기는 15 X 15cm2, 태양전지는 15mm X 20mm으로 적용하고, 연성인쇄회로기판과 태양전지 기판이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여 지지체에 최대한의 유연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태양전지는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태양전지로서 실리콘 박막형, 비정질형, 다결정형 또는 유/무기 염료 감응형, 고분자형 그리고 적층 박막형, GaAs/Ge형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박막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비정질형 실리콘 기판은 캐리어의 확산거리가 단결정이나 다결정 실리콘 기판에 비해 매우 낮아 pn 구조로 제조될 경우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정공쌍(electron-hole pairs)의 수집효율이 낮은 특징이 있다.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는 단결정과 다결정 실리콘의 경계물질로서 수십 nm에서 수백 nm의 결정 크기를 가지며 결정 사이의 결정경계에는 흔히 비정질상이 존재하여 높은 결함밀도로 열화현상이 없는 특징을 가진다. 적층형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는 단일 접합 박막 태양전지가 가지기 힘든 높은 광 변환 효율을 기대 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직렬연결함으로서 개방 전압(open circuit voltage)을 높일 수 있고 입사광에 대한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적층형 박막 태양전지의 종류로는 크게 탠덤(tandem)(pin/pin)형과 트리플(triple)(pin/pin/pin)형으로 나눌 수 있다.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는 유리나 금속판에 투명전극 및 실리콘 박막을 차례로 증착한 후 레이저 패터닝을 하여 일정한 폭을 갖는 태양전지를 직렬 연결하는 구조로 제조된다.
이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기판위에 전면 투명 전도막을 증착하여 1차 레이저 패터닝을 한 후 pin 실리콘 박막을 증착한다. 이후 실리콘 박막만은 2차 패터닝 한다. 마지막으로 3차 패터닝을 통하여 후면 전극을 형성한 후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라미네이션을 수행하면 하나의 모듈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에 있어서, 태양전지의 두께는 10μm 내지 400μm로 포함될 수 있다. 태양전지의 두께가 400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크팩 시트의 사용감 및 부착성에 영향을 주고, 사용 후 피부에 이물감이 심하게 나타나게 되며, 10μm 미만의 경우에는 태양전지의 적층량이 미미하여 원하는 온열감을 지속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태양전지 집열판으로는 적층형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두형태 탠덤(tandem)(pin/pin)형과 트리플(triple)(pin/pin/pin)형을 사용한다. 시트에 부착하는 집열판의 개수는 요구하는 용량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10 X 10cm2으로 빛을 받으면 약 0.6볼트의 전압이 생기고, 1.5와트(W)의 용량을 갖게 되며, 마스크의 면적은 보통 10 X 10cm2 ~ 15 X 15cm2로 지정되므로 사용되는 용량의 범위는 1.5W ~ 2.5W로 한정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태양전지 집열판의 개수는 개당 면적에 따라 한정된다. 또한 집열판의 적용 면적은 마스크팩 전체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데, 최대한 빛을 많이 모으기 위해서는 적용 면적이 넓은 것이 좋지만 적용 면적이 넓을수록 마스크의 유연성(flexibility)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의 면적을 특히 15 X 15cm2로 하므로, 사용되는 집열판은 얼굴 모양의 부직포 크기의 절반에 해당하는 10 X 10cm2의 넓이에 선택적으로 부직포의 유연성(flexibility)를 침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마스크팩 시트를 피부에 도포한 후, 외부의 빛에 의하여 집광 및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원부에 연결된 발열부 또는 진동부에서 열감 또는 진동감을 부여하여 피부로의 유효성분의 침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스크팩 시트에 적용된 집열판에서 빛을 모으고, 이를 태양전지에서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되면, 태양전지로부터 받은 전력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 (-) 단자를 통해 발열부 또는 진동부로 전해지게 되고, 발열부에서 발열이 나거나 진동부에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피부로 열감 또는 진동이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전해지게 되어 피부에 도포된 유효성분의 효과적인 흡수를 도와주게 된다.
발열부 적용시 발열 온도 범위는 35~50℃ 사이로 한정한다. 이는 35℃ 미만에서는 온열감을 느끼기 힘들고, 50℃ 초과에서는 지속적인 발열로 인하여 화상을 유발 하기 때문에 겔 적용후의 발열온도가 35~50℃의 범위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 시트는 지지체를 코팅하는 겔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겔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점착된 지지체 면의 반대면을 코팅하여 피부에 직접 닿는다. 이의 대략적인 구조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겔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겔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겔은 각종 피부활성성분을 함유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 미용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는 피부 미용, 피부진정 및 피부결 보호를 위한 핫팩,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실리콘겔 마스크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마스크팩 시트 제형의 조성 및 물성, 제조방법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 공지된 사실에 따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형은 마스크의 지지체에 태양전지와 발열 도선(또는 진동부)으로 코팅할 수 있다. 태양전지와 발열부(또는 진동부)가 점착된 부직포를 지지체로 사용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중화제를 사용하여 중화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과 아가(agar) 고분자를 물에 혼합하여100℃까지 가온하여 끓이고 교반하는 단계;
2) 상기 1)을 70℃까지 냉각시키고 유연제인 오일(oil)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3) 50℃ 이하에서 상기 2)에 유효성분을 배합, 분산하는 단계;
4) 코팅기 위에서 상기 3)에서 배합된 재료들을 압출방식으로 흘려보내 태양전지와 발열부(또는 진동부)가 점착된 부직포(지지체) 위에 로딩시키는 단계;
5) 상기 4)에서 배합 재료들이 로딩되면 챔버를 통과하면서 건조시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6) 상기 5)에서 형성된 하이드로겔을 40℃에서 2~3일간 숙성 후 커팅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겔 마스크팩 제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1) 가교사이트를 포함하는 실리콘(비스-비닐디메치콘(Bis-Vinyldimethicone) 및 하이드로젠디메치콘(Hydrogen Dimethicone)) 파트에 피부활성성분을 배합하는 단계;
2) 가교촉매를 포함하는 실리콘(비스-비닐디메치콘(Bis-Vinyldimethicone 및 플래티늄 디비닐디실록산(Platinum Divinyldisiloxane)) 파트를 별도로 준비하여, 상기 1)의 용액과 교반하여, 코팅기로 이송하거나, 연속적인 고정식 혼합기(Static Mixer)를 사용하여 믹싱하며 코팅기로 흘려보내주는 단계;
3) 코팅기에 콤마방식으로 상기 2)에서 배합된 원액을 흘려보내 배킹 필름(Backing Film) 위에 로딩시키는 단계;
4) 상기 3)에서 내용물이 로딩되면 히팅기를 통과하면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4)에서 형성된 실리콘패치를 숙성실에서 숙성 후 커팅하여 포장하는 단계.
이 때 상기 1)액을 조성시 코팅시의 흐름방지나 제조된 패치 물성 조절 등을 위해서 점도 조절용 실리콘(각종 점도의 디메치콘류)을 교반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는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및 폴리에톡실엘티드레틴아마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주름개선 성분; 알부틴, 닥나무추출물, 감초, 에틸아스코빌이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및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미백 성분; 치마버섯다당체, 니아신아마이드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보습 성분; 아이비 추출물, 초두구 추출물, 팬시추출물, 카모마일 및 대추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피부트러블 및 각질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성분 중 주름고시원료인 아데노신은 마스크팩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0.04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0.04%가 식약청 주름고시 함량으로 결정되어 있고 효능이 인정되는 함량이기 때문이다. 식약청 주름고시원료인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엘티드레틴아마이드 등도 고시한계함량범위 내에서 리포좀 등 안정화된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형으로 가교형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겔에 함유될 수 있다.
유효성분 중 미백고시원료인 알부틴은 마스크팩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중량%로, 닥나무추출물은 0.01~0.3중량%, 감초추출물은0.01~0.05중량%, 에틸아스코빌이서는 0.01~2.0중량%,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는 0.01~2.0중량%,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는 0.01~3.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미백고시한계함량범위 내에서 수용성액상 혹은 수분산제형으로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후 가교형 하이드로겔에 함유될 수 있다. 감초는 별도의 공정에 의해 분산 안정화한 형태로 함침될 수 있다.
유효성분 중, 보습 및 피부트러블, 각질 개선 성분인 치마버섯다당체는 마스크팩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 니아신아마이드는 0.01~5.0중량%,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0.01~5.0중량%, 대추 추출물은 0.01∼5.0중량%, 아이비 추출물은 0.01∼5.0중량%, 초두구 추출물은 0.01~ 5.0중량%, 팬시추출물은 0.01∼5.0중량%으로 가교형 하이드로겔에 함유될 수 있다. 0.01중량% 미만은 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시에는 수용액상에 분산이 어렵고 석출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드로겔과 실리콘겔의 바람직한 코팅 두께는 이물감을 느끼지 않으며,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담지할 수 있는 두께인 0.4mm ~ 2.5mm로 한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제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발열 마스크팩 시트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하여 하기 기재한 방법으로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중화제를 사용하여 중화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과 아가(agar) 고분자를 물에 혼합하여100℃까지 가온하여 끓이고 교반하였다. 이 때 사용한 중화제는 NaoH이며, 중화제 투입후 교반 속도를 3600RPM으로 하여 5~20분정도 교반하였다. 이를 70℃까지 냉각시키고 유연제인 오일(oil) 성분(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글리세린(GLYCERIN) 사용함)을 첨가한 후, 50℃ 이하에서 유효성분을 배합, 분산하였다. 박막 태양전지와 발열부가 점착된 부직포 위에 로딩시켜서 태양전지와 발열부가 점착된 부직포를 롤(roll) 형태로 준비하고, 롤을 챔버에 통과시켜 일정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며, 상기 유효성분이 배합된 아가 수용액을 흘려주었다. 이때 사용한 태양전지 및 발열부는 ㈜푸로맥스에서 의뢰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부착한 FPCB 기판은 마스크의 크기와 동일한 10 X 10 cm2 사이즈이며, 발열 도선의 개수는 온열감의 목적에 따라 10~30회로 인쇄되었다. 상기 아가 수용액이 도포된 부직포를 가변콤마코팅기(일본 IKEDA 社)를 이용해 1mm 두께로 코팅하고 실온까지 냉각건조시켜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스크는 40℃에서 2~3일간 숙성한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합 아가 수용액을 동일한 부직포를 사용하여 동일 방법으로 2.3mm 두께로 코팅하고 실온까지 냉각 건조시켜 실시예 2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박막 태양전지와 발열부가 점착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대신 일반 면 부직포를 사용하여, 비교예 1의 두께 1mm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있어서, 박막 태양전지와 발열부가 점착된 부직포를 사용하는 대신 일반 면 부직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두께 2.3mm의 하이드로겔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비교예
1 2 1 2
아가 1.8 1.8 1.8 1.8
타타릭애씨드 0.12 0.12 0.12 0.12
부틸렌글라이콜 8 8 8 8
캐럽콩검 2.2 2.2 2.2 2.2
방부제 0.35 0.35 0.35 0.35
향료 0.1 0.1 0.1 0.1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겔코팅(유효성분함유) 두께 1mm 2.3mm 1mm 2.3mm
부직포 타입 박막 태양전지와 발열부 점착 박막 태양전지와 발열부 점착 일반 면 부직포 일반 면 부직포
[시험예1] 제품 사용시 온열효과 강도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실시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선이 분포된 부분에 대한 시간별 온도 변화 추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Figure 112010053461486-pat00001
상기 시험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을 사용한 실시예 1~2의 경우 일반 부직포를 사용한 비교예 1~2 대비 50% 이상의 열감 부여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코팅되는 겔 두께가 1mm인 실시예 1의 경우 겔 두께가 2.3mm인 실시예 2 보다 피부로의 열감 전달이 20%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2] 제품 사용후 온열 효과 지속성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실시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30분간 발열을 시킨 후 열원을 제거 하였을 때 온도 지속성을 측정하여 그 각각의 평균값을 제품 사용 후 온열 효과 지속성 시험 결과로 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마 부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열감 제거 직후 36.8 31.5 27.1 25.3
5분 경과 35.4 31 25.2 24.9
10분 경과 33.2 30 24 24.1
20분 경과 31.2 27.2 23.3 23.1
상기 표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의 경우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온열지속감이 더 길며, 특히 실시예 1의 경우는 비교예 1보다 온열지속감이 55% 이상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3)

  1. 지지체; 연성인쇄회로기판; 발열부 및 진동부 중 하나 이상;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집열판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로서,
    상기 태양전지 집열판은 마스크팩의 가장 상단에 적용되고 집열판의 적용 면적은 마스크팩 전체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부직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지지체에 점착되어 있고, 폴리이미드 필름과 동박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 및 진동부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동박의 도선부가 중첩된 부분에 적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며,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게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 발열부 및 진동부;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집열판은 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열감 및 진동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실리콘 박막형, 비정질형, 다결정형 또는 유/무기 염료 감응형, 고분자형, 적층 박막형, GaAs/Ge 및 이들의 복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두께는 10μm 내지 4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마스크팩 시트는 지지체를 코팅하는 겔을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피부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점착된 지지체 면의 반대면을 코팅하여 피부에 직접 닿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0.4~2mm의 두께로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20100080306A 2010-08-19 2010-08-19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KR10176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06A KR101769518B1 (ko) 2010-08-19 2010-08-19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306A KR101769518B1 (ko) 2010-08-19 2010-08-19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847A KR20120021847A (ko) 2012-03-09
KR101769518B1 true KR101769518B1 (ko) 2017-08-21

Family

ID=4613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306A KR101769518B1 (ko) 2010-08-19 2010-08-19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053Y1 (ko) * 2014-11-03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길이 변형부재를 갖는 마스크팩
KR20160107037A (ko) 2015-03-03 2016-09-13 이상철 진동 마스크 팩
KR101697994B1 (ko) 2015-07-01 2017-01-19 곽채혁 열선 인서팅 타입 마스크팩 가드
KR102025131B1 (ko) * 2019-01-17 2019-09-25 김유곤 미세전류 및 진동 마스크
KR102047871B1 (ko) * 2019-03-06 2019-11-22 스킨트리(주)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 시트
KR200492966Y1 (ko) * 2020-05-21 2021-01-11 주식회사 큐젠드 휴대용 미용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11B1 (ko) * 1998-09-16 2001-06-01 전병헌 미용마사지마스크
KR200332096Y1 (ko) * 2003-06-17 2003-11-10 (주)바이오피아 이온도입기능을 하는 초음파 진동자 및 이를 채용하는피부미용기기
CN201451469U (zh) * 2009-05-26 2010-05-12 无锡市新区梅村镇同春太阳能光伏农业种植园 薄膜太阳能电池应用在口罩上的防流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11B1 (ko) * 1998-09-16 2001-06-01 전병헌 미용마사지마스크
KR200332096Y1 (ko) * 2003-06-17 2003-11-10 (주)바이오피아 이온도입기능을 하는 초음파 진동자 및 이를 채용하는피부미용기기
CN201451469U (zh) * 2009-05-26 2010-05-12 无锡市新区梅村镇同春太阳能光伏农业种植园 薄膜太阳能电池应用在口罩上的防流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847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518B1 (ko) 열감 및/또는 진동을 제공하는 마스크팩 시트
EP3518864B1 (en) Kit and method for topical delivery of benefits
CN210472144U (zh) 一种导电水凝胶电刺激贴片
KR101774342B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4187B1 (ko) 한지를 이용한 한방 발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ES2692323T3 (es) Compresa de calor
EP3102280A1 (fr) Masque électrique comprenant au moins deux compartiments
KR101978700B1 (ko) 피부미용용 발열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용 온열장치
EP3191170B1 (en) Patch able to produce microcurrents
KR101783220B1 (ko) 온열감을 이용한 시트 마스크팩
CN113939256A (zh) 皮肤美容用发热贴片
CN107049801B (zh) 一种构筑式凝胶填充美容贴膜
KR20140143938A (ko) 저주파 치료용 패치
CN101982205A (zh) 一种电气石保健品的制作方法及其应用
CN105919728A (zh) 一种温灸中药外敷膏贴
KR101404970B1 (ko) 한지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07334698A (zh) 一种抗氧化保湿面膜的制备方法
CN101862505A (zh) 自电渗水凝胶贴膜
CN111991259A (zh) 一种促进植物雌激素吸收的驻极体面膜及其制备方法
US8470478B2 (en) Solid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element
KR20140119428A (ko) 미용용 온열 페이스 마스크팩 시트
JP6358540B2 (ja) 貼付剤の製造方法、及び、貼付剤
CN109481422B (zh) 一种氧化石墨烯电热膜透皮贴剂
CN106943669B (zh) 一种纳米银颗粒有机硅体表贴片电极及其制作方法
CN218338816U (zh) 乳晕保养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