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10B1 -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10B1
KR101769510B1 KR1020120077874A KR20120077874A KR101769510B1 KR 101769510 B1 KR101769510 B1 KR 101769510B1 KR 1020120077874 A KR1020120077874 A KR 1020120077874A KR 20120077874 A KR20120077874 A KR 20120077874A KR 101769510 B1 KR101769510 B1 KR 10176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bar
web page
uploading
management server
c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124A (ko
Inventor
윤찬호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10B1/ko
Priority to JP2013137825A priority patent/JP5820844B2/ja
Priority to US13/941,901 priority patent/US10156955B2/en
Publication of KR2014001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8Object-orie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 및 서버가 개시된다.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은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툴바를 통해 객체를 선택하여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로그인된 경우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를 객체정보와 함께 툴바를 통해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of Uploading the Object of the Webpage by the Toolbar and the Server thereof}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으로서,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감지하여 업로드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전자장치에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전자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웹페이지의 주소(URL)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웹페이지 상에서 보존하고자 하는 이미지, 동영상, 음악파일과 같은 객체가 있는 경우, 해당 객체를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객체를 데스크톱PC에 직접 저장할 수 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업로드하려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하여 추가적인 로그인 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컨텐츠 제공자는 사용자의 정보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툴바(Toolba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툴바는 웹 브라우저의 소정 영역에서 활성화되어 키워드 입력 창을 비롯한 여러 부가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도구로서, 웹 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검색이 보다 편리하도록 사용자를 보조한다.
다만 종래의 툴바는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직접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바, 툴바가 설치된 웹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 상의 이미지, 동영상, 첨부 파일 등의 객체를 업로드하는데 수행되는 사용자 조작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체 관리 서버에 직접 업로드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함으로써 객체 관리 서버에 직접 업로드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미리 생성한 계정에 로그인하여 업로드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서버에 업로드된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 상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객체를 선택하여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로그인된 경우 상기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를 상기 객체정보와 함께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스크립트 또는 소스코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객체를 선택하여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객체를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로드 영역은 상기 객체를 선택하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로그인된 경우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객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객체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생성된 계정이 없는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는 통신장치, 처리장치 및 처리장치에 의한 실행 시 처리장치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로그인된 경우 상기 툴바를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및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업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에서 상기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는,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선택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객체는 이미지, 동영상, 음원파일 및 기타 첨부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에서 상기 동작들은, 로그인된 경우 저장된 객체에 대한 확인 요청 또는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객체에 대해 처리 요청에 따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에서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생성된 계정이 없는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에서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함으로써 객체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사용자 조작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선택할 때 업로드 영역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조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미리 생성한 계정에 로그인하여 업로드함으로써 업로드된 객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 객체 관리 서버, 웹사이트 서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관리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관리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110), 객체 관리 서버(120), 웹사이트 서버(130)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장치(110)는 툴바가 설치될 수 있는 장치로서, 데스크톱PC, 노트북PC 및 기타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 상의 객체가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미리 생성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가 확인되면 선택된 객체 및 객체정보를 객체 관리 서버(120)로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객체 관리 서버(120)는 전자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로서, 웹페이지 상의 객체 및 객체정보를 업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로그인 요청을 인증하며, 로그인 요청이 인증되는 경우 툴바를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및 객체정보를 업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10)로부터 저장된 객체 및 객체정보에 대한 확인 요청 및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웹사이트 서버(130)는 전자장치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는 웹페이지가 위치하는 서버로서, 사용자는 서버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메인 주소는 도메인 네임 또는 IP주소와 같은 URL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웹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HTML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모든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익스플로러(Explorer), 구글의 크롬(Chrome) 및 모질라의 파이어폭스(Firefox)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220)에서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웹페이지 상의 이미지, 동영상, 음원파일 및 기타 첨부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는 JPG, GIF, PNG 등의 확장자, 동영상은 FLV, SWF, AVI 등의 확장자, 음원파일은 MP3, WAV 등의 확장자를 가지는 객체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는 웹페이지의 스크립트 또는 소스코드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30)에서는 툴바를 통해 객체를 선택하여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선택되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팅은 마우스 클릭(click),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또는 기타 객체를 지시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할 수 있고, 드래그 앤 드롭은 객체를 포인팅한 상태로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여 포인팅을 해제하면 해당 영역에 객체가 드롭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S240)에서는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객체 관리 서버는 계정에 대한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정당한 사용자인 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60)에서는 로그인된 경우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를 객체정보와 함께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객체가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객체 및 객체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툴바의 환경설정에 따라 업로드할 지 여부를 한번 확인하는 절차가 부가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S340)에서는 전자장치가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객체 관리 서버가 전자장치로부터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50)에서는 상술한 로그인 요청을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그인이 요청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인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생성한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전자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360)에서는 로그인 요청이 인증되는 경우, 객체 관리 서버가 툴바를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및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70)에서는 업로드된 객체 및 객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객체 관리 서버의 저장매체에서 전자장치로 로그인한 계정에 할당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전자장치(41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S401 내지 S404 및 S406)은 도 2의 단계들(S210 내지 S240 및 S260)과 동일할 수 있고, 객체 관리 서버(420)에서 수행되는 단계(S405)는 도 3의 단계(S350)와 동일할 수 있다.
단계(S407)에서는 로그인된 경우 전자장치(410)가 객체 관리 서버(420)에 접속하여 저장된 객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거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408)에서는 객체 관리 서버(420)가 확인 요청을 수신한 경우 로그인한 계정으로 서버에 저장된 객체 및 객체정보를 전자장치(410)로 전달할 수 있고, 처리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에 대한 처리 과정은 객체를 별도의 매체에 저장, 객체 관리 서버에서 직접 편집, 인코딩 및 기타 객체에 영향을 주는 모든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툴바(510)를 통해 웹페이지(520) 상의 객체(521)를 업로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객체(521)를 업로드 영역(530)으로 이동시켜서 업로드할 수 있는 바, 업로드 영역은 웹 페이지의 객체를 이동시킬 때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객체가 포인팅되어 선택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웹페이지(520) 상에서 객체(521)는 이미지로서, 사용자에 의해 객체가 드래그되면 웹페이지의 우측에 업로드 영역(530)이 오버랩되면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드래그된 객체가 업로드 영역에 드롭되면 객체 관리 서버로 업로드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환경설정에 따라 객체 관리 서버로 올리기(531)와 같은 버튼을 클릭하여 업로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객체 관리 서버에 미리 생성한 계정이 없는 경우에는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추가로 띄울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관리 서버(62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서 객체 관리 서버는 통신장치(621), 처리장치(622) 및 저장매체(623)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장치(621)는 전자장치로부터 로그인 요청 수신, 객체 확인 요청 수신, 객체 처리 요청 수신 및 기타 일실시예에 따라 툴바를 통해 객체를 업로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장치(622)는 저장매체(62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들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CPU 및 기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미리 생성한 계정에 대한 인증 과정 또는 객체 처리 요청에 따른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매체(623)는 처리장치(622)에 의한 실행 시 처리장치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로서, 상술한 동작들은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로그인 요청을 인증하는 단계, 로그인 요청이 인증되는 경우 툴바를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및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업로드 받는 단계 및 객체 및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객체 및 객체정보를 로그인한 계정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매체(623)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SSD 및 기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 관리 서버(72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객체 관리 서버는 계정 인증부(721), 통신부(722) 및 객체 관리부(723)로 구성될 수 있다.
계정 인증부(721)는 전자장치로부터 미리 생성한 계정에 대한 로그인 요청에 따라 정당한 사용자인 지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생성된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에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띄울 수 있다.
통신부(722)는 도 6의 통신장치(621)과 유사하게 전자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계정 인증부(721) 및 객체 관리부(723)에 객체, 객체정보 및 기타 툴바를 통해 객체를 업로드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객체 관리부(723)는 통신부(722)로부터 제공 받은 객체 및 객체정보를 전자장치가 로그인한 계정 별로 저장함으로써 각 계정에 대해 통합적인 객체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술한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620: 객체 관리 서버
621: 통신장치
622: 처리장치
623: 저장매체

Claims (15)

  1. 툴바가 설치된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 상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객체를 선택하여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로그인된 경우 상기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를 상기 객체정보와 함께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의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스크립트 또는 소스코드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 영역은, 상기 웹페이지 상의 객체가 포인팅(pointing)되어 선택 및 드래그(drag)되면, 상기 웹페이지 상의 특정 영역에 오버랩되면서 생성되고,
    상기 툴바를 통해 상기 객체를 선택하여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선택된 상기 객체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 상기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로그인된 경우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객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객체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생성된 계정이 없는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를 통해 객체 관리 서버에 대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방법.
  9. 서버로서,
    통신장치;
    처리장치; 및
    처리장치에 의한 실행 시 처리장치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로그인된 경우 상기 툴바를 통해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 및 상기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업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객체 및 상기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 영역은, 웹페이지 상의 상기 객체가 포인팅(pointing)되어 선택 및 드래그(drag)되면, 상기 웹페이지 상의 특정 영역에 오버랩되면서 생성되고,
    상기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는,
    상기 웹페이지의 스크립트 또는 소스코드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에서 감지되어,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 상기 업로드 영역으로 이동된 객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이미지, 동영상, 음원파일 및 기타 첨부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로그인된 경우 저장된 객체에 대한 확인 요청 또는 처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객체에 대해 처리 요청에 따른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생성된 계정이 없는 경우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창을 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를 통해 미리 생성된 계정으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하는 객체 관리 서버.
  15. 제1항 또는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120077874A 2012-07-17 2012-07-17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76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74A KR101769510B1 (ko) 2012-07-17 2012-07-17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JP2013137825A JP5820844B2 (ja) 2012-07-17 2013-07-01 ツールバーを用いてウェブサイトで抽出した動画を符号化及び保存する方法、クラウドサービスとツールバーを用いてウェブページ上のオブジェクトをアップロードする方法及びサーバ
US13/941,901 US10156955B2 (en) 2012-07-17 2013-07-15 Method and server for storing, encoding and uploading video or object captured from a webpage using a tool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74A KR101769510B1 (ko) 2012-07-17 2012-07-17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24A KR20140011124A (ko) 2014-01-28
KR101769510B1 true KR101769510B1 (ko) 2017-08-21

Family

ID=5014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74A KR101769510B1 (ko) 2012-07-17 2012-07-17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24A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916B2 (en) Enabling a web application to call at least one native function of a mobile device
US8640037B2 (en) Graphical overlay related to data mining and analytics
US20200412793A1 (en) Link file sharing and synchronization
US20150106723A1 (en) Tools for locating, curating, editing, and using content of an online library
US201200960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chiving media assets
US115162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multiple resources via one identifier
US9641497B2 (en) Multi-browser authentication
JP6143574B2 (ja) ドメインに特化されたツールバーボタンを管理する方法及びサーバ
US20140026050A1 (en) Method and server for storing, encoding and uploading video or object captured from a webpage using a toolbar
JP5753302B1 (ja) ウェブページへのアクセスを警告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769510B1 (ko) 툴바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객체를 업로드 하는 방법 및 서버
US10365789B2 (en) Common run-time design-time environment
US11546430B2 (en) Secure remote workspace
US9098228B2 (en) Determining content rendering capabilities for web browser optimization
KR20210041269A (ko) 지능형 크롤링 시스템 및 지능형 크롤링 방법
US9848000B2 (en) Resource access
KR101748450B1 (ko) 복수의 플랫폼을 연동하여 웹페이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40181103A1 (en) Modifying a user profile
US201902509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 data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