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310B1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310B1
KR101769310B1 KR1020170069728A KR20170069728A KR101769310B1 KR 101769310 B1 KR101769310 B1 KR 101769310B1 KR 1020170069728 A KR1020170069728 A KR 1020170069728A KR 20170069728 A KR20170069728 A KR 20170069728A KR 101769310 B1 KR101769310 B1 KR 10176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rking
reflected
parking surfa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두영
박용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콘 filed Critical (주)와이즈콘
Priority to KR102017006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3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comprises: a light source part irradiating light o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 camera part photographing the parking surface while light is irradiated to acquire an image; and a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part acquir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image photographed in the camera part, and comparing the acquired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for each parking surface with predetermined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to determine presence of a vehicle.

Description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0001]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ECUTION OF CAR [

본 발명은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면에 광(光)을 조사하고, 광을 조사한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를 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parking surface with light and analyzing brightness of light reflected from a parking surface irradiated with light through a camera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다수의 주차면을 구비한 주차장에서는 이용자에게 양질의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안내해 주는 주차 시스템이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다.In a parking lot having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 parking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used so as to grasp a parking space that can be parked and provide guidance to the user to provide a high quality parking service to the user.

이와 같이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파악하기 위해 종래에는 카메라로 주차면을 촬영한 후, 촬영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유무를 확인하거나, 주차면별로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여 각 주차면의 차량 유무를 확인한다.In the past, in order to find a parking space that can be parked, a parking lot is photographed with a camera. Then, the vehicle license plate is recognized on the photographed image to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present, or an ultrasonic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parking lot, Check.

그러나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데이터 처리부에서의 처리 용량이 많아 처리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유무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주차면별로 초음파 센서를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차량 유무 판별에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vehicle license plat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ha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slow due to the large processing capacity in the data processing unit. In the case of confirming presence of the vehicle using the ultrasonic sensor,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an ultrasonic sensor.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5770호(공개일 2012.11.19.)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25770 (Published Nov. 19, 201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차면에 광을 조사하고, 광을 조사한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를 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iscriminating apparatus capable of discriminating a parking space that can be parked by analyzing the brightness of light reflected on a parking surface irradiated with ligh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udgment system and metho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은, 복수의 주차면에 광(光)을 조사하는 광원부;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차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상기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차량 유무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ystem including: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ark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o acquire an image; And brightness information of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compares the brightness information acquired for each parking surface with preset brightness information, And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유무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preferably analyzes the position of a pixel designated by the user or the YUV value or RGB value of the image area to obtain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유무 판단부는,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compares the posi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of the detected parking faces with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차량 유무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하고, 파악된 반사광의 라인과 기준 라인을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section irradiates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and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ection determines a line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by comparing the detected line of reflected light with the reference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설정된 반사광의 밝기 정보는, 주차면별로 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reflection light is preferably set separately for each parking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li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med therein for passing the light and irradiating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slit member, which passes the light and slits horizontally to form a slit for irradiating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은,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光)을 조사하는 단계;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차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상기 반사광의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illuminating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Capturing an image of the parked surface with a camera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o obtain an image; And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compares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cquired for each parking surface with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reflected ligh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is obtain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of the parked surfaces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of each parking su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res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은,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차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하고, 파악된 반사광의 라인과 기준 라인을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ing method comprising: illuminating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a line form; Capturing an image of the parked surface with a camera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o obtain an image;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by grasping the line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comparing the line of the detected reflected light with the reference line.

본 발명의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은, 주차면에 광을 조사하고, 광을 조사한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를 카메라 영상을 통해 분석하여 주차 가능한 주차면을 판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주차면에 대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lluminate the parking surface and analyz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irradiated with light through the camera image to determine the parking space that can be parked, As shown i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주차면에 광이 조사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원부와 카메라부의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무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유무 판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on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installation state of a light source unit and a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은, 광원부(110), 카메라부(120), 차량 유무 판단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110, a camera unit 120, and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unit 130. As shown in FIG.

광원부(110)는 복수의 주차면 방향으로 광(光)을 조사한다.The light source unit 110 irradiates light in a plurality of parking face directions.

여기서, 주차면은 아파트, 쇼핑몰 등과 같은 건물내 주차장의 주차면일 수도 있고, 야외 또는 도로에 형성된 주차면일 수도 있다.Here, the parking surface may be a parking surface of a parking lot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shopping mall, or a parking surface formed on the road or on the road.

광원부(110)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부(110)는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주차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광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광원과 광을 통과시켜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a), the light source unit 110 can irradiate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respectively. For this,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include the same number of light sources as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to be irradiated with ligh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ts And the slit member may be formed.

또한, 광원부(110)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광원부(110)는 광을 통과시켜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2 (b),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irradiate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To this end,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include a slit member that passes light and slits horizontally to form a plurality of slits for irradiating light o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in the form of a line.

여기서, 복수의 광원 또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을 조사할 때, 비어있는 주차면으로 조사되는 광이 옆의 주차면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도록 광원 또는 슬릿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light is irradia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using a sli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or a plurality of slits, light irradiated on an empty parking surface is intercepted by a vehicle parked on a side parking surface It is preferable to dispose a light source or a slit.

전술한, 광원부(110)는 IR 레이저, IR LED, 가시광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be an IR laser, an IR LED, a visible light source, or the like.

카메라부(120)는 주차면 방향으로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주차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차량 유무 판단부(130)로 전송한다.The camera unit 120 captures an image of the parking surface in the state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plane,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to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전술한 광원부(110)와 카메라부(120)는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로 붙어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되어 따로 떨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camera unit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3 (a) or separately formed as shown in FIG. 3 (b) .

여기서, 카메라부(120)가 복수개로 구현되는 경우, 각각의 카메라부(120)는 획득한 영상을 차량 유무 판단부(130)로 전송할 때, 자신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a plurality of camera units 120 are implemented, each camera unit 120 preferably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to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together with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analyzes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face.

여기서, 주차면별 차량 유무 판단에 사용되는 촬영 영상은,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에 캡쳐된 이미지일 수 있다.Here, the photographed image use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arked may be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

광원부(110)에서 주차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때, 주차면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차면 방향으로 조사된 광은 비어있는 주차면에서 빛 진행 방향으로 반사된다.When light is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light source 110, when the parking surface is empty, light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as shown in Fig. 4 (a) .

이와 같이, 주차면이 비어있는 경우에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을 살펴보면, 주차면 방향으로 조사된 광이 비어있는 주차면에서 빛 진행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카메라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이 거의 없어 반사광의 밝기가 주변과 비슷한 밝기로 보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photographing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is viewed when the parking surface is empty, light 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is reflected in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on the empty parking surface,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reflected light becomes similar to that of the surrounding light.

반면,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차면 방향으로 조사된 광이 주차면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나 물체에 반사되어 카메라 방향으로 되돌아 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a parked surface or there is an object, light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ed surface is reflected by a vehicle or an object parked on the parked surface as shown in Fig. 4 (b) Come back.

따라서,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물체가 있는 경우에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살펴보면, 주차면 방향으로 조사된 광이 주차면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나 물체에 반사되어 카메라 방향으로 되돌아 오므로, 반사광의 밝기가 주변보다 밝게 보이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or there is an object, the light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is reflected by the vehicle or object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reflected light becomes brighter than the surrounding.

이러한 특징에 따라,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예를 들어, 적외선 광)의 밝기 정보를 YUV 값 또는 RGB 값을 통해 획득한다.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for example, infrar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plane from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as a YUV value or an RGB value .

구체적으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을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도록 이미지 영역을 나누고,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영역은 사용자 지정에 의해 나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각 이미지 영역의 좌표 값을 입력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지정하거나,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ivides the image area so that the photographed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corresponds to each parking surface, and calculates the YUV value of the image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surface or By analyzing RGB values,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on each parking surface can be obtained. Here, the image area can be divided by user designation, and the user can input coordinate values of each image area through a user interface (not shown) to designate an image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surface, or drag An image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surface can be designated.

또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각각의 주차면별로 사용자로부터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감지되는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을 지정받고,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position or image area of a pixel on which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by the user is designated for each parking surface, The brightness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received pixel or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image area.

이와 같이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감지되는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을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으면, 차량 유무 판단부(130)에서 분석해야 하는 이미지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sition or the image area of the pixel on which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is detected is designated by the user, the image area to be analyzed by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an be minimized .

이에 따라,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획득하여 차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in a shorter time, thereby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지정받는 반사광이 감지되는 픽셀의 위치는 복수개일 수 있다.Here, the position of the pixel where the reflection light designated by the user is sensed may be plural.

이후,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반사광의 밝기 정보와 차량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기설정되어 있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각 주차면에서의 반사광 밝기가 기설정되어 있는 반사광 밝기보다 밝으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각 주차면에서의 반사광 밝기가 기설정되어 있는 반사광 밝기보다 어두우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Thereafter,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cquired for each parking face with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that is preset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nd the brightness of the reflected light on each parking surface is darker than the preset reflected light brightness so that the vehicle is not park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

여기서, 기설정되는 반사광 밝기 정보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주차 영역의 주위 환경에 맞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set reflected light brightness information is preferab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arking area taken by the camera.

또한, 기설정되는 반사광 밝기 정보는, 주차면별로 따로 설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t reflection light brightness information may be separately set for each parking surfac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부(110)에서 주차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때, 주차면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차면 방향으로 조사된 광은 비어있는 주차면에서 빛 진행 방향으로 반사되고,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차면 방향으로 조사된 광이 주차면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나 물체에 반사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plane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when the parking plane is empty, the light irradiated in the parking plan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or there is an object, the light irradi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as shown in Fig. 4 (b) As shown in FIG.

이를,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을 통해 살펴보면, 동일한 주차면에 차량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반사되는 광의 위치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When looking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the positions of light reflected when there is a vehicle on the same parking plane and in the absence of a vehic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는, 광원부(110)와 카메라부(120)의 중심 위치(시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center positions (viewpoints)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camera unit 1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해당 주차면의 기준 반사광 위치가 서로 다르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해당 주차면의 기준 반사광 위치가 동일하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Thus,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reflected light on each of the parked surfaces and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of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If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and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of the parking surf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If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on the parking surface,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not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여기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을 사용자로부터 기지정받은 값에 의거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도록 이미지 영역을 나누고,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Here,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ivides the image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arking surfaces based on values preliminarily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s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corresponding image area is analyzed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can be grasped.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는 각각의 주차면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광이 반사되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for each parking surface is set to a position where light is reflected in a state in which each parking surface is empty.

한편, 광원부(110)에서 주차면 방향으로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할 때, 주차면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도 5 (a)의 사진에서 몇몇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나, 설명 상에서는 모든 주차면이 비어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 라인이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source unit 110 irradiates light in the form of a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when the parking surface is empty, as shown in Fig. 5A It is assumed that all the parking surfaces are empty in the explanation), the reflected light lines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are in a straight line.

그러나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으면,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있는 부분에서 반사광 라인에 굴곡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f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as shown in Fig. 5 (b), the reflected light line is bent at the portion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이는, 광원부(110)와 카메라부(120)의 중심 위치(시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center positions (viewpoints) of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camera unit 1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하고, 파악된 반사광 라인과 도 5 (a)의 기준 라인을 비교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에서 굴곡이 발생한 부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analyzes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photographed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grasps the line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plane, The reference lines in Fig. 5 (a) are compared and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at the portion where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in the line of the reflected light.

여기서, 기준 라인은 모든 주차면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주차면 방향으로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의 라인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line is set as a line of reflected light by irradiating light in the form of a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surface in a state where all the parking surfaces are empty.

전술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주차 관리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구현될 수도 있고, 차량 유무 판단을 카메라부(120)에서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a parking management server (not shown)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camera unit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resent or absent.

이와 같이, 카메라부(120)에서 차량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현하는 경우, 카메라부(120)는 파악된 차량 유무에 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가 차량 유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camera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present, the camera unit 12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cted vehicle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server can collect vehicle presence information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100 shown in FIG.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judgment system 100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광원부(110)는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光)을 조사한다(S10).First, the light source 110 irradiates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S10).

상기한 단계 S10에서 광원부(110)는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주차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광을 조사할 수도 있고, 슬릿 부재를 이용하여 슬릿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슬릿을 통해 각각의 주차면에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In the step S10,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irradiate light on each parking surface using the same number of light sources as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s to be irradiated with light, Light can be irradiated to each parking surface through a plurality of slits.

상기한 단계 S10을 통해 복수의 주차면에 광이 조사되면, 카메라부(120)는 광이 조사되고 있는 주차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S12).When light is irradiated 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through the step S10, the camera unit 120 photographs a parking surface on which light is irradiated and acquires an image (S12).

이후,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상기한 단계 S12를 통해 획득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한다(S14).Then,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obtains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captur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step S12 (S14).

상기한 단계 S14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을 사용자로부터 기지정받은 값에 의거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도록 이미지 영역을 나누고,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4,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ivides the image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arking planes based on values preliminarily given by the user to the photographed images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urface.

또한, 상기한 단계 S14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각각의 주차면별로 사용자로부터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감지되는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을 지정받고, 촬영 영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4,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esignates the position or the image area of the pixel where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not parked by the user is detected for each parking surface, The brightness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pixel designated by the user or the YUV value or RGB value of the image area in the image.

상기한 단계 S14를 통해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면,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반사광의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한다(S16).When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is obtained through the step S14,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cquired for each parking face with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reflected ligh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for each parking surface (S16).

상기한 단계 S16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반사광의 밝기 정보와 기설정되어 있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각 주차면에서의 반사광 밝기가 기설정되어 있는 반사광 밝기보다 밝으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각 주차면에서의 반사광 밝기가 기설정되어 있는 반사광 밝기보다 어두우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S16,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cquired for each parking surface with the preset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nd outputs the reflected light having the predetermined brightn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if the brightness of the reflected light on each parking surface is darker than the predetermined reflected light brightnes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100 shown in FIG.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judgment system 100 of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광원부(110)는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光)을 조사하고(S20), 카메라부(120)는 광이 조사되고 있는 주차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S22).First, the light source unit 110 irradiates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S20), and the camera unit 120 captures an image of the parking surface irradiated with light (S22).

이후,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상기한 단계 S22를 통해 획득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를 파악한다(S24).Then,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step S22 (S24).

상기한 단계 S24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을 사용자로부터 기지정받은 값에 의거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도록 이미지 영역을 나누고, 각각의 주차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step S24,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divides the image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arking planes based on the values preliminarily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photographed images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urface an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상기한 단계 S24를 통해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를 파악하면,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한다(S26).If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is obtained through the above step S24,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for each parking surface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each of the parked surfaces and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for each parking surface (S26) .

상기한 단계 S26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해당 주차면의 기준 반사광 위치가 서로 다르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위치와 해당 주차면의 기준 반사광 위치가 동일하면 해당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S26,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each of the detected parking faces with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by the parking face,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face and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s not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if the posi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parking surface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of the parking surfac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무 판단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100)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system 100 shown in FIG. 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judgment system 100 of FIG. 1,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우선, 광원부(110)는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한다(S30).First, the light source unit 110 irradiates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S30).

상기한 단계 S30에서 광원부(110)는 슬릿 부재를 이용하여 슬릿 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을 통해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In the step S30, the light source unit 110 may irradiate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through a slit formed horizontally long in the slit member using the slit member.

상기한 단계 S30을 통해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이 조사되면, 카메라부(120)는 광이 조사되고 있는 주차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S32).When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re irradiated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30, the camera unit 120 captures an image of the parking surface irradiated with light and acquires an image (S32).

이후,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상기한 단계 S32를 통해 획득한 촬영 영상으로부터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한다(S34).Thereafter,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grasps the line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plan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step S32 (S34).

상기한 단계 S34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미지)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할 수 있다.In step S34, 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may analyze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photographed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to determine a line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parking surface.

상기한 단계 S34를 통해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하면, 파악된 반사광 라인과 기준 라인을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한다(S36).If the line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on the parking surface is detected through the step S34, the reflected light lin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lin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exists on the parking surface (S36).

상기한 단계 S36에서 차량 유무 판단부(130)는 파악된 반사광 라인과 기준 라인을 비교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에서 굴곡이 발생한 부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vehicle presence determination unit 130 compares the detected reflected light line with the reference line and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parked in a portion where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in the line of the reflected light.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0.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110. 광원부,
120. 카메라부, 130. 차량 유무 판단부
100.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ystem, 110. Light source unit,
120. Camera section, 130.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section

Claims (10)

복수의 주차면에 광(光)을 조사하는 광원부;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차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상기 반사광의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차량 유무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유무 판단부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arking surface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o acquire an image; And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is obtain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and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obtained for each parking surface is compared with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reflected light,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unit,
The vehicle presence /
And obtains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by analyzing a position of a pixel designated by the user or a YUV value or RGB value of the image are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무 판단부는,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presence /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of the parked surfaces and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for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captured image, Judg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차량 유무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으로부터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라인을 파악하고, 파악된 반사광의 라인과 기준 라인을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nd irradiating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The vehicle presence /
Wherein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on a parking surface by identifying a line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a parking surface from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nd comparing the detected line of reflected light with a referenc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반사광의 밝기 정보는,
주차면별로 따로 설정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reflection light may be,
Wherein the vehicle presence / absence determination means is separately set for each park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슬릿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nd a slit member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to pass the light and irradiate light onto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을 통과시켜 상기 복수의 주차면에 라인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유무 판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nd a slit member passing through the light to form a slit for horizontally extending a slit for irradiating the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in the form of a line.
복수의 주차면에 각각 광(光)을 조사하는 단계;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주차면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각각의 주차면별로 획득한 상기 반사광의 밝기 정보와 기설정된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받은 픽셀의 위치 또는 이미지 영역의 YUV 값 또는 RGB 값을 분석하여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밝기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유무 판단 방법.
Irradiating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with light;
Capturing an image of the parked surface with a camera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to obtain an image; And
Obtain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comparing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cquired for each parking surface with predetermined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to determin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 / RTI >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And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is obtained by analyzing the YUV value or the RGB value of the pixel area designated by the user or the image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주차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위치와 주차면별 기준 반사광 위치를 비교하여 주차면별로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유무 판단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parking sur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comparing the position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each of the parked surfaces and the reference reflected light position for each parking surface;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exists.
삭제delete
KR1020170069728A 2017-06-05 2017-06-05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KR101769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28A KR101769310B1 (en) 2017-06-05 2017-06-05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728A KR101769310B1 (en) 2017-06-05 2017-06-05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310B1 true KR101769310B1 (en) 2017-08-18

Family

ID=5975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728A KR101769310B1 (en) 2017-06-05 2017-06-05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3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936A (en) * 2019-03-20 2020-10-05 진주시 Safety Management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and its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895A (en) 1998-07-07 2000-01-21 Nippon Signal Co Ltd:The System for managing parking lot
KR101708917B1 (en) * 2017-01-12 2017-02-22 주식회사 파킹패스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king by moving vehicle trac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895A (en) 1998-07-07 2000-01-21 Nippon Signal Co Ltd:The System for managing parking lot
KR101708917B1 (en) * 2017-01-12 2017-02-22 주식회사 파킹패스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king by moving vehicle track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936A (en) * 2019-03-20 2020-10-05 진주시 Safety Management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and its Method
KR102185100B1 (en) * 2019-03-20 2020-12-01 (주)리얼허브 Safety Management System on a Crosswalk for Pedestrian and it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50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object recognition equipment, device control systems, moving objects,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WO201307713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96390B1 (en) System for Vehicle Number Detection
CN103358993A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parking space line marking for a vehicle
US10165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tereoscopic data
JPWO2008053521A1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light source control method, and light source control program
JP20081657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vehicle side image, vehicle lamp recognition error detection method and prediction method for safe driving
CN108197523A (en) Vehicle detection at night method and system based on image conversion and profile neighborhood difference
JP68069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raised objects present in parking lots
CN1097035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shielded in road traffic
KR1017693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KR1020319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underside of vehicles
KR1017975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existence of car
JP2005156199A (en) Vehicle detection method and vehicle detector
KR101420242B1 (en) vehicle detector and method using stereo camera
KR101875180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vechicle and recognizing vechicle number of the vechicle
US10331977B2 (en) Method for the three-dimensional detection of objects
JP4888290B2 (en) Intruder detection device
US20220375064A1 (en) Vehicle imaging station
KR100844640B1 (en) Method for object recognizing and distance measuring
JP2009193130A (en) Vehicle surrounding monitoring device, vehicle, program for vehicle surrounding monitoring and vehicle surrounding monitoring method
JP4611919B2 (en) Pedestrian recognition device
EP3582180B1 (e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487648B2 (en) Moving object measuring system, moving object measuring apparatus, moving object measuring method and program
JPH0954891A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vehicle type by image processing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