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798B1 -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798B1
KR101768798B1 KR1020160014128A KR20160014128A KR101768798B1 KR 101768798 B1 KR101768798 B1 KR 101768798B1 KR 1020160014128 A KR1020160014128 A KR 1020160014128A KR 20160014128 A KR20160014128 A KR 20160014128A KR 101768798 B1 KR101768798 B1 KR 10176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ain
light emitting
operation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888A (ko
Inventor
박승환
Original Assignee
박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환 filed Critical 박승환
Priority to KR1020160014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7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2J6/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3/00Other protecto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62J2006/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를 탑승하는 라이더의 등에 착용하는 배낭부(10)와; 배낭부(1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메인발광띠(20)(20'와); 제1,2메인발광띠(20)(2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30)와; 메인콘트롤러(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배터리(40)와; 제1,2메인발광띠(20)(20')의 발광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방향조작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라이더가 선택적으로 착용함으로써 자전거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라이딩 인구(이하 라이더라 함)가 급증함에 따라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야간에는 시안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도로를 주행하는 자전거를 차량이 확인하기가 어렵고, 이에 따라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자전거의 후방측이나 안장 하부측에 별도의 발광장치를 설치하여 후방측 차량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있으나, 이러한 발광장치는 매우 소형이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많은 광량을 발생하는 발광장치를 설치하는 시도가 있기는 하나, 이러한 발광장치는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도난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발광장치를 인지하더라도, 그 자전거가 갑자기 방향을 바꾸는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충돌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후방측에서 자전거를 인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전거의 방향 전환시 이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후방측에서 자전거를 쉽게 인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방향 전환시 이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는, 자전거를 탑승하는 라이더의 등에 착용하는 배낭부(10); 상기 배낭부(1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메인발광띠(20)(20');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30); 상기 메인콘트롤러(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배터리(40); 상기 라이더의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부(50); 상기 헬멧부(5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서브발광띠(60)(60'); 상기 제1,2서브발광띠(60)(6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70); 상기 서브콘트롤러(7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브배터리(80); 및 제1,2메인발광띠(20)(20')와 상기 제1,2서브발광띠(60)(60')의 발광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방향조작부(90);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조작부(90)는, 상기 자전거 핸들(H)에 착탈되는 조작부몸체(91)와; 상기 조작부몸체(91)의 좌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1메인발광띠(20) 및 제1서브발광띠(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좌회전스위치(92)와; 상기 조작부몸체(91)의 우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2메인발광띠(20') 및 제2서브발광띠(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우회전스위치(93)와;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 및 제1,2서브발광띠(60)(60')을 동시에 점멸시키기 위한 제3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비상/정상스위치(94)와; 상기 제1,2,3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95);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몸체(91)를 상기 핸들(H)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핸들(H)에는 제1요철(Ba)이 형성된 베이스몸체(B)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몸체(9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요철(Ba)에 대응되는 제2요철(91a)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몸체(B)에 자석(M)이 내장되고; 상기 조작부몸체(91)에는 상기 자석(M)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하여 상기 방향조작부(90)를 온(ON) 상태가 되도록 조작하는 자석스위치(96)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30)는, 상기 방향조작부(90)에서 송출되는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부(31)와; 상기 조작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메인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1메인발광띠(20) 또는 제2메인발광띠(20')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메인전원분배부(32)와; 상기 메인배터리(40)에서 상기 메인전원분배부(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메인스위치(33);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스위치(33)를 온하면, 상기 메인전원분배부(32)는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로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여 점멸시킨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콘트롤러(70)는, 상기 방향조작부(90)에서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서브수신부(71)와; 상기 조작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서브배터리(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제2서브발광띠(60')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서브전원분배부(72)와; 상기 서브배터리(80)에서 서브전원분배부(7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서브스위치(7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50)의 좌우측에는 제1,2소형스피커(55)(55')가 내장되고; 상기 서브콘트롤러(70)는, 좌측의 상기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우측의 상기 제2서브발광띠(60') 각각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의 상기 제1,2소형스피커(55)(55")에서 소리를 발생하는 방향음성발생부(74)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낭부 및 헬멧부와 방향조작부는 상호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조작을 위하여 별도의 선을 연결하거나 라이딩도중 전선에 의하여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이딩을 하다가 좌측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방향조작부의 좌회전스위치를 조작하면 배낭부 좌측의 제1메인발광띠 및 헬멧부 좌측의 제1서브발광띠가 점멸하고,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우회전스위치를 조작하면 배낭부 우측의 제2메인발광띠 및 헬멧부 우측의 제2서브발광띠)가 점멸하게 되어, 후방측에서 주행중인 차량에게 라이더가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을 정확히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복잡한 장소나 전방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라이더는 비상/정상스위치를 작동시켜 제1,2메인발광띠 및 제1,2서브발광띠를 동시에 점멸시킴으로써, 후방측의 차량은 물론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배낭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헬멧부의 배면도,
도 3은 도 1 및 제2의 안전장치에 적용되는 제1,2메인발광띠 및 제1,2서브발광띠의 단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배낭부에 적용되는 메인콘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헬멧부에 적용되는 서브콘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방향조작부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방향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배낭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헬멧부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 및 제2의 안전장치에 적용되는 제1,2메인발광띠 및 제1,2서브발광띠의 단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배낭부에 적용되는 메인콘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헬멧부에 적용되는 서브콘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는, 자전거를 탑승하는 라이더의 등에 착용하는 배낭부(10)와; 배낭부(1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메인발광띠(20)(20')와; 제1,2메인발광띠(20)(2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30)와; 메인콘트롤러(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배터리(40)와; 라이더의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부(50)와; 헬멧부(5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서브발광띠(60)(60')와; 제1,2서브발광띠(60)(6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70)와; 서브콘트롤러(7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브배터리(80)와; 제1,2메인발광띠(20)(20') 및 제1,2서브발광띠(60)(60')의 발광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방향조작부(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콘트롤러(30) 및 서브콘트롤러(70)는 수미터의 근거리에서 방향조작부(90)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배낭부(10) 및 헬멧부(50)를 전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배낭부(10)는 라이더의 등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음료수나 수건, 간단한 먹거리등이 수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메인배터리(40)는 배낭부(10)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 포켓에 내장되고, 서브배터리(80)는 헬멧부(50)의 소정부에 성형되는 홈에 결합시킨다.
제1,2메인발광띠(20)(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낭부(10)의 후방측에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2메인발광띠(20)(20')는, 배낭부(10)에 봉재되어 부착되는 투명한 재질의 띠몸체(21)와, 띠몸체(21)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체(22)를 포함한다. 이때 발광체(2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전력소모가 작은 발광다이오드나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광하는 면상발광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콘트롤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작부(90)에서 송출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부(31)와; 조작신호에 연동되어 메인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메인발광띠(20) 또는 제2메인발광띠(20')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메인전원분배부(32)와; 메인배터리(40)에서 메인전원분배부(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메인스위치(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한 조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스위치(33)를 온하면, 메인전원분배부(32)는 제1,2메인발광띠(20)(20')로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여 점멸시킨다.
헬멧부(50)는 라이더의 머리에 착용됨으로써 라이더가 넘어지거나 사고발생시 머리를 보호한다. 이러한 헬멧부(50) 내부 좌우측에는 제1,2소형스피커(55)(55')가 내장된다.
제1,2서브발광띠(60)(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부(50)의 후방측에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2서브발광띠(60)(60')는, 헬멧부(50)에 융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투명한 재질의 띠몸체(61)와, 띠몸체(61)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체(62)를 포함하며, 이때 발광체(6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전력소모가 작은 발광다이오드나 고주파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광하는 면상발광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콘트롤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작부(90)에서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서브수신부(71)와; 조작신호에 연동되어 서브배터리(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제2서브발광띠(60')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서브전원분배부(72)와; 서브배터리(80)에서 서브전원분배부(7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서브스위치(73)와; 좌측의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우측의 제2서브발광띠(60') 각각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의 제1,2소형스피커(55)(55')에서 소리를 발생하는 방향음성발생부(74);를 포함한다.
방향음성발생부(74)에 의하여, 좌측의 제1서브발광띠(60)가 점멸할 때 좌측의 제1소형스피커(55)에서 소리를 발생하고, 우측의 제2서브발광띠(60')가 점멸할 때 우측의 제2소형스피커(55')에서 소리를 발생한다.
라이더가 라이딩하는 동안에, 방향지시를 위한 제1서브발광띠(60)나 제2서브발광띠(60')가 발광하더라도, 제1,2서브발광띠(60)(60')는 헬멧부(50)의 후방측에 위치되므로 라이더는 라이딩하는 동안에 발광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방향음성발생부(74)를 채용함으로써, 좌측의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우측의 제2서브발광띠(60')중 어느 하나가 작동할 때 해당 방향의 서브발광띠가 작동함을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라이더 자신이 원하는 방향지시가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서브콘트롤러(70)는. 상기한 조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브스위치(73)를 온하면, 서브전원분배부(72)는 제1,2서브발광띠(60)(60')로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여 점멸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방향조작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방향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향조작부(90)는, 자전거의 핸들(H)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배낭부(10)에 설치되는 제1,2메인발광띠(20)(20') 및 헬멧부(50)에 설치되는 제1,2서브발광띠(60)(60')를 동시에 조작하는 조작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방향조작부(90)는, 자전거 핸들(H)에 착탈되는 조작부몸체(91)와; 조작부몸체(91)의 좌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제1메인발광띠(20) 및 제1서브발광띠(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좌회전스위치(92)와; 조작부몸체(91)의 우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제2메인발광띠(20') 및 제2서브발광띠(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우회전스위치(93)와; 조작부몸체(91)의 중앙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 및 제1,2서브발광띠(60)(60')을 동시에 점멸시키기 위한 제3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비상/정상스위치(94)와; 상기 제1,2,3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95)와;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조작부몸체(91)를 핸들(H)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핸들(H)에는 제1요철(Ba)이 형성된 베이스몸체(B)가 고정되고, 조작부몸체(91)의 가장자리에는 제1요철(Ba)에 대응되는 제2요철(91a)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2,3조작신호로 구성되는 조작신호는 송신부(95)를 통하여 송출된 후 상기한 메인수신부(31) 및 서브수신부(71)에서 수신되는 것이다.
한편 핸들(H)에 고정된 베이스몸체(B)에 자석(M)이 내장되고, 조작부몸체(91)에 자석(M)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자석스위치(96)가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몸체(91)를 베이스몸체(B)에 결합시키면 자석스위치(96)가 작동되어 방향조작부(90)를 온(ON) 상태가 되게 하고, 반대로 조작부몸체(91)를 베이스몸체(B)에서 분리할 때 방향조작부(90)는 오프(OFF) 상태가 되게 한다. 이에 따라 본원의 안전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 방향조작부(90)를 베이스몸체(B)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단순히 조작부몸체(91)를 베이스몸체(B)에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서 방향조작부(9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조작부(90)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좌회전스위치(92) 및 우회전스위치(92)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평소에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가 라이더가 좌측 혹은 우측으로 위치변환시킬 수 있는 토글스위치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배낭부(10) 및 헬멧부(50)와 방향조작부(90)는 상호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조작을 위하여 별도의 선을 연결하거나 라이딩도중 전선에 의하여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이딩을 즐기다가 좌측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방향조작부(90)의 좌회전스위치(92)를 조작하면 배낭부(10) 좌측의 제1메인발광띠(20) 및 헬멧부(50) 좌측의 제1서브발광띠(60)가 점멸하고,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방향조작부(90)의 우회전스위치(93)를 조작하면 배낭부(10) 우측의 제2메인발광띠(20') 및 헬멧부(50) 우측의 제2서브발광띠(60')가 점멸하게 되어, 후방측에서 주행중인 차량에게 라이더가 변경하고자 하는 방향을 정확히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복잡한 장소나 전방에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라이더는 비상/정상스위치(94)를 작동시켜 제1,2메인발광띠(20)(20') 및 제1,2서브발광띠(6)(6')를 동시에 점멸시킴으로써, 후방측의 차량은 물론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배낭부 20, 20' ... 제1,2메인발광띠
21 ... 띠몸체 22 ... 발광체
30 ... 메인콘트롤러 31 ... 메인수신부
32 ... 메인전원분배부 33 ... 메인스위치
40 ... 메인배터리 50 ... 헬멧부
60, 60' ... 제1,2서브발광띠 61 ... 띠몸체
62 ... 발광체 70 ... 서브콘트롤러
71 ... 서브수신부 72 ... 서브전원분배부
73 ... 서브스위치 74 ... 방향음성발생부
80 ... 서브배터리 90 ... 방향조작부
91 ... 조작부몸체 92 ... 좌회전스위치
93 ... 우회전스위치 94 ... 비상/정상스위치
95 ... 송신부 96 ... 자석스위치

Claims (8)

  1. 자전거를 탑승하는 라이더의 등에 착용하는 배낭부(10);
    상기 배낭부(1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메인발광띠(20)(20');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30);
    상기 메인콘트롤러(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배터리(40);
    상기 라이더의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부(50);
    상기 헬멧부(50)의 후방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는 제1,2서브발광띠(60)(60');
    상기 제1,2서브발광띠(60)(6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서브콘트롤러(70);
    상기 서브콘트롤러(7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브배터리(80); 및
    제1,2메인발광띠(20)(20')와 상기 제1,2서브발광띠(60)(60')의 발광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방향조작부(90);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조작부(90)는, 상기 자전거 핸들(H)에 착탈되는 조작부몸체(91)와; 상기 조작부몸체(91)의 좌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1메인발광띠(20) 및 제1서브발광띠(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좌회전스위치(92)와; 상기 조작부몸체(91)의 우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2메인발광띠(20') 및 제2서브발광띠(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우회전스위치(93)와; 눌리어졌을 때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 및 제1,2서브발광띠(60)(60')을 동시에 점멸시키기 위한 제3조작신호를 발생하는 비상/정상스위치(94)와; 상기 제1,2,3조작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95);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몸체(91)를 상기 핸들(H)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핸들(H)에는 제1요철(Ba)이 형성된 베이스몸체(B)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몸체(9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요철(Ba)에 대응되는 제2요철(91a)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몸체(B)에 자석(M)이 내장되고;
    상기 조작부몸체(91)에는 상기 자석(M)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하여 상기 방향조작부(90)를 온(ON) 상태가 되도록 조작하는 자석스위치(96)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콘트롤러(30)는,
    상기 방향조작부(90)에서 송출되는 상기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메인수신부(31)와; 상기 조작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메인배터리(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제1메인발광띠(20) 또는 제2메인발광띠(20')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메인전원분배부(32)와; 상기 메인배터리(40)에서 상기 메인전원분배부(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메인스위치(33);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스위치(33)를 온하면, 상기 메인전원분배부(32)는 상기 제1,2메인발광띠(20)(20')로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여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콘트롤러(70)는,
    상기 방향조작부(90)에서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서브수신부(71)와; 상기 조작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서브배터리(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제2서브발광띠(60')로 독립적으로 공급하는 서브전원분배부(72)와; 상기 서브배터리(80)에서 서브전원분배부(7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서브스위치(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부(50)의 좌우측에는 제1,2소형스피커(55)(55')가 내장되고;
    상기 서브콘트롤러(70)는, 좌측의 상기 제1서브발광띠(60) 또는 우측의 상기 제2서브발광띠(60') 각각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의 상기 제1,2소형스피커(55)(55')에서 소리를 발생하는 방향음성발생부(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14128A 2016-02-04 2016-02-04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KR10176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28A KR101768798B1 (ko) 2016-02-04 2016-02-04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128A KR101768798B1 (ko) 2016-02-04 2016-02-04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88A KR20170092888A (ko) 2017-08-14
KR101768798B1 true KR101768798B1 (ko) 2017-08-17

Family

ID=5975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128A KR101768798B1 (ko) 2016-02-04 2016-02-04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7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377B2 (ja) * 1999-04-28 2000-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ピン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及び端子
KR100910402B1 (ko) *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1262926B1 (ko) * 2012-02-07 2013-05-09 제일모직주식회사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377B2 (ja) * 1999-04-28 2000-12-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ピン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及び端子
KR100910402B1 (ko) *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101262926B1 (ko) * 2012-02-07 2013-05-09 제일모직주식회사 장갑과 가방의 연동형 방향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888A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1474B1 (en) Helmet and helmet system
US20160309827A1 (en) Protective Helmet
US20150250247A1 (en) Motorcycle helmet with increased visibility
US8629766B2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20170257934A1 (en) Wireless signal light systems for vehicles including wireless illuminated gear and clothing
US20160195246A1 (en) Modular unit for a transport device
US10271589B2 (en) Smart safety garment with signal lights
US20160355126A1 (en) Helmet with integrated camera and safety light system including same
US6720870B2 (en) Protective helmet navigation system
US6017049A (en) Interactive safety helmet for bicyclists
US20160185280A1 (en) Hands free bicycle signaling system
US11722871B2 (en) Bluetooth intercom accessory for helmets
US20200094731A1 (en) Vehicle signal and lighting system configurable to various articles and apparel
KR101179994B1 (ko) 자전거 안전 시스템
KR101573033B1 (ko) 다기능 스마트 헬멧
KR101768798B1 (ko) 자전거용 착용식 안전장치
US20170202293A1 (en) ANSI approved rechargeable, lighted, blue tooth hardhat
KR101647351B1 (ko) 멀티 전압출력 가능 엘이디 안전 백팩
US11554713B2 (en) Signaling device with built-in accelerometer carried on the back of a user of a locomotive machine
US20020118532A1 (en) Illuminated helmet with swiveling head lamp
JP2008174886A (ja) ヘルメット用被覆体。
CN210579136U (zh) 一种用于户外活动的发光耳机
WO2020175770A1 (ko) 스트랩 발광기
KR102081515B1 (ko) 개인이동수단용 안전헬멧 제어방법
CN105894766A (zh) 应用于交通工具的声控指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