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179B1 -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179B1
KR101768179B1 KR1020170031039A KR20170031039A KR101768179B1 KR 101768179 B1 KR101768179 B1 KR 101768179B1 KR 1020170031039 A KR1020170031039 A KR 1020170031039A KR 20170031039 A KR20170031039 A KR 20170031039A KR 101768179 B1 KR101768179 B1 KR 101768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d
unit
switching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빈
Original Assignee
태석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석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석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09
    • H05B33/0824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램프에서 플리커(Flicker) 제거를 위한 대용량 콘덴서의 적용시 램프를 턴오프할 경우 소등이 지연됨과 아울러 잔광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LED부의 플리커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대용량 콘덴서를 채용한 LED 램프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와 대용량 콘덴서 사이에 배치되며, 트랜스포머에서 전달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대용량 콘덴서로 인가하는 정류회로부, 상기 LED부의 출력단과 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소정의 구동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현상을 방지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에 병렬 연결되어 입력된 교류신호를 정류 및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와 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다이오드의 출력전압을 충/방전하여 설정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고 출력전압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소용량 콘덴서, 및 상기 소용량 콘덴서의 고전압단과 스위칭소자의 입력단 사이에 직/병렬로 연결되며 소용량 콘덴서의 출력전압을 스위칭소자에서 필요한 스위칭전압으로 감압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저항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NG TURN-OFF DELAY AND AFTERLIGHT OF LED LAMP}
본 발명은 LED 램프에서 플리커(Flicker)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평활회로부에 대용량 콘덴서를 적용할 경우, 램프를 소등하더라도 소등이 지연됨과 아울러 잔광이 발생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LED 기술이 급격히 발전해 왔으며, 그 결과 LED 램프는 차세대 조명 기구로 널리 각광받게 되었다. 그 이유는, LED 램프는 종래의 조명기구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된 상용 교류전원이 직류전원으로 정류되어 LED칩으로 인가됨에 따라 LED 램프가 점등되게 된다.
LED를 조명으로 이용하는 제품에는 AC를 DC로 변환하여 주는 전원장치, 즉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사용된다.
이 SMPS는 AC를 DC로 변환하면서 스위칭 펄스(switching pulse)를 정류하고 이를 완전한 직류로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평활회로를 사용해야 한다. 이 평활회로는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전해콘덴서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최근 LED 조명의 가격도 하향 안정화로 인해 LED 조명은 어디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조명의 일대 전환점을 지나고 있으며, 보급도 그만큼 빨라져 많은 관련 업체들의 가격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 지고 있다.
값싸고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은 기업의 생명줄에 비유해도 결코 지나치지 않다. 간단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전용 LED 드라이버 IC는 고장률도 현저하게 줄고 단가도 매우 저렴하게 구성되지만, 한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름이 아닌 120Hz의 맥류파에 의한 깜박거림(Flicker) 문제이다.
LED 램프의 초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점차적으로 눈의 건강 문제가 이슈화되기 시작하였으며 플리커의 정도도 규제하는 추세에 있다.
플리커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다이오드를 통하여 정류된 파형을 평활회로소자인 전해콘덴서의 용량을 대폭 증가시켜서 리플(ripple)이 거의 없는 완전한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리커의 문제를 개선한 매우 큰 용량의 전해콘덴서는 또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데, 이는 대용량 콘덴서로 인해 LED 램프의 소등(OFF)시 완전히 소등되는 데 다소 긴 시간이 소요되며 불규칙한 소등상태를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제품으로서 가치가 손상되어 국내는 물론 해외 바이어들이 강하게 개선 요청 내지 구매를 철회하고 있는 주요 이유가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잔광 방지를 위한 LED 램프 구동회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684384호의 대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잔광 방지 회로는, 메인 전원부(10), 직류 변환부(20), LED 점등부(30) 및 점등 스위치(SW)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잔광 방지 회로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잔광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배선시 절연이 좋지 않아서 발생되는 잔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점등 스위치(SW)에 의해 제1 리드선(L1)이 단선된 상태에서 전압단(S)과 건축물의 천정등의 접지부(G) 사이에 유도기전된 전압의 미세전류인 유도기전력(Ie)이 LED조명을 따라 흐르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전압단과 접지부 사이에 흐르는 미세전류인 유도기전력에 의해 LED(30)가 낮은 조도로 점등되는 잔광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배선 문제로 인한 유도기전력에 의해 잔광이 발생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도 1의 회로에 의해서도 콘덴서(C1)가 대용량일 경우에 발생되는 잔광 현상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 방법이 없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684384호 한국특허공개 제2015-004712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LED 램프에서 플리커(Flicker)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용량 콘덴서를 적용할 경우 램프 소등이 지연됨과 아울러 잔광이 발생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구성으로 플리커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소등시 순간 소등도 가능하도록 한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는, LED부의 플리커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대용량 콘덴서를 채용한 LED 램프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와 대용량 콘덴서 사이에 배치되며, 트랜스포머에서 전달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대용량 콘덴서로 인가하는 정류회로부; 상기 LED부의 출력단과 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소정의 구동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현상을 방지하는 스위칭소자;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에 병렬 연결되어 입력된 교류신호를 정류 및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와 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다이오드의 출력전압을 충/방전하여 설정된 직류전압으로 출력하고 출력전압의 지연을 최소화하는 소용량 콘덴서; 및 상기 소용량 콘덴서의 고전압단과 스위칭소자의 입력단 사이에 직/병렬로 연결되며 소용량 콘덴서의 출력전압을 스위칭소자에서 필요한 스위칭전압으로 감압하여 제공하는 복수의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용량 콘덴서는 대용량 콘덴서 대비 그 용량이 적어도 100배 내지 1000배 정도 작은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는, 램프의 플리커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대용량 콘덴서를 채용한 LED 램프에 있어서, 복수의 LED칩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된 직류전압에 따라 점등되는 LED부; 상기 LED부와 연결되며 LED부로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대용량 콘덴서를 구비한 평활회로부;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반파 정류하여 상기 평활회로부로 공급하는 제1 정류회로부;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과 LED부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전압에 따라 LED부의 전류통로를 신속하게 온오프하여 LED부의 소등 지연 및 잔광 현상이 방지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정류하여 축적하는 다이오드와 소용량 콘덴서를 구비한 제2 정류회로부; 상기 LED부의 일측과 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구동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LED부의 점/소등을 순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2 정류회로부와 스위칭소자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정류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적절한 전압으로 조절하여 스위칭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D 램프의 플리커 현상을 개선을 위하여 용량이 대폭 증가한 전해콘덴서를 채용할 경우 전등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대용량 콘덴서로 인해 램프가 완전히 소등될 때까지의 시간이 대략 7~9초 정도가 소요된다. 이는, 대형 건물과 같은 장소에 동일 LED 램프의 설치 개수가 많은 경우 각각 다른 소등시간은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하락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LED 램프에 간단한 스위칭제어부를 설치하여 램프 오프시 램프가 즉각적으로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잔광 및 소등 지연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품 차별화로 인해 수출 및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간단한 회로 구현으로 인해 콘덴서의 대용량화에 부담이 없어 플리커 현상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잔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 설계 등이 불필요하여 성능 대비 제품 단가를 인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잔광 방지를 위한 LED 램프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램프 오프시 출력 지연 여부를 비교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LED 램프(100)는 변압부(110), 제1 정류회로부(120), 평활회로부(130), LED부(140) 및 스위칭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압부(110)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필요한 전압으로 강하시키는 트랜스포머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정류회로부(120)는 변압부(110)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반파 정류하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평활회로부(130)는 제1 정류회로부(120)에서 출력된 전압을 충/방전하며, 연결된 LED부(140)로 설정된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대용량 전해콘덴서를 포함한다.
LED부(140)는 복수의 LED칩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평활회로부(130)로부터 인가된 직류전압에 따라 점등된다.
스위칭제어부(150)는 변압부(110)와 LED부(140)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변압부(110)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전압에 따라 LED부(140)의 전류통로를 신속하게 온오프하여 LED부(140)의 잔광 및 소등 지연 현상이 방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스위칭제어부(150)는 제2 정류회로부(151), 감압부(153) 및 스위칭소자(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정류회로부(151)는 변압부(110)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정류하여 축적하고 설정된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정류용 다이오드와 소용량 콘덴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감압부(153)는 제2 정류회로부(151)와 스위칭소자(155)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정류회로부(15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적절한 전압으로 조절하여 스위칭소자(155)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스위칭소자(155)는 LED부(140)와 저전압단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며 감압부(153)의 출력 구동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LED부(140)의 소등을 평활회로부(130)의 상태에 관계없이 순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대용량 콘덴서(C1)는 소용량 콘덴서(C2)에 비해 그 용량이 적어도 500배 정도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활용 콘덴서는 용량이 클수록 좋으나 가격이 비싸지므로 리플의 허용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용량으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잔광 방지 장치를 도 3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변압부(110)는 입력된 교류전압을 필요한 전압으로 강하시키는 트랜스포머(T1)로 이루어져 있어 1차측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은 2차측 코일의 턴수에 따라 필요한 전압으로 강하되어 유도된다.
제1 정류회로부(120)는 변압부(110)의 2차측 코일에 연결되어 변압부(110)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용 제1 다이오드(D1)와, 제1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연결된 보호용 저항소자(R1)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코일의 일측단(Nd1)과 출력 고전압단(Nd2)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며, 저항소자(R1)는 제1 다이오드(D1)의 출력 고전압단(Nd2)과 저전압단(V-)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평활회로부(130)는 제1 정류회로부(120)에서 출력된 맥류 전압을 축적하며 충방전에 의해 후단의 LED부(140)로 설정된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대용량 콘덴서(C1)를 포함한다. 대용량 콘덴서(C1)는 제1 정류회로부(120)의 출력 고전압단(Nd2)과 저전압단(V-) 사이에 연결되어 충전과 방전작용을 통해 제1 정류회로부(120)로부터 전달된 맥류를 평활시켜 LED부(140)로 공급하게 되며, LED부(140)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리플 현상과 점등된 LED부(140)의 플리커(flicker)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전해콘덴서가 사용된다.
LED부(140)는 복수의 LED칩으로 이루어져 제1 정류회로부(120)의 출력 고전압단(Nd2)과 저전압단(V-) 사이에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되며, 대용량 콘덴서(C1)에 의해 인가된 직류전압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된다.
스위칭제어부(150)는 제2 정류회로부(151), 감압부(153) 및 스위칭소자(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칭제어부(150)는 변압부(110)의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코일과 LED부(140)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변압부(110)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전압에 따라 LED부(140)의 전류통로를 신속하게 온오프하여 LED부(140)의 잔광 및 소등 지연 현상이 방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2 정류회로부(151)는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코일의 일측단(Nd1)과 고전압단(Nd3)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변압부(110)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정류하는 제2 다이오드(D2)와, 제2 다이오드(D2)에서 출력된 맥류 전압을 축적하며 충방전에 의해 설정된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소용량 콘덴서(C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소용량 콘덴서(C2)는 제2 다이오드(D2)의 출력 고전압단(Nd2)과 저전압단(V-) 사이에 연결되어 충전과 방전작용을 통해 제2 다이오드(D2)로부터 전달된 맥류를 평활시킨 후 후단으로 설정된 직류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소자(155)는 LED부(140)의 일측과 저전압단(V-)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며 소정의 구동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LED부(140)의 소등을 평활회로부(130)의 상태에 관계없이 순간적으로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될 수 있다. 즉, LED부(140)는 스위칭소자(155)가 온 된 상태에서만 점등되며, 스위칭소자(155)가 오프되면 대용량 콘덴서(C1)의 잔여 전압에 관계없이 LED부(140)의 회로가 즉시 오픈되어 소등된다. 여기서, 스위칭소자(155)는 n채널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일 수 있다.
감압부(153)는 제2 정류회로부(151)의 출력 고전압단(Nd3)과 스위칭소자(155)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2 정류회로부(15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적절한 전압으로 분압하여 스위칭소자(155)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복수의 저항소자(R3, R4, R5)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잔광 방지 회로에서는, 트랜스포머(T1)를 통하여 넘겨진 대략 70kHz 스위칭 전압은 제1 정류회로부(120)의 제1 다이오드(D1)를 통해 반파 정류되며, 이 맥류 전압은 대용량 콘덴서(C1)에 의하여 평활, 즉 완전한 직류전원으로 만들어 지며, 이 직류전압에 의해 LED부(140)가 점등된다.
LED부(140)의 소등은 대용량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이 LED부(140)의 동작전압 이하로 방전될 때 완전히 소등된다. 즉, 대용량 콘덴서(C1)의 LED부(140)의 동작전압 이상의 잔여 전압이 남아있으면, 도 4와 같이 램프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LED부(140)의 잔광이 일정시간 동안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플리커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매우 크게 증가시킨 전해콘덴서(C1)의 용량은 소등시간을 그만큼 길어지게 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며, 도 4에서는 대용량 콘덴서(C1)로 인한 출력 지연 시간이 대략 4.36초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스위칭제어부(150)의 회로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드라이브 전압(DC 8~10V)을 만들기 위하여 제2 정류회로부(151)의 제2 다이오드(D2)에 의해 반파 정류된 맥류전압은 소용량 콘덴서(C2)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변경되고, 직류전압은 분압 저항(R3, R4, R5)을 통하여 필요한 전압으로 분할 및 강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압부(153)에 의해 적절한 전압으로 감압된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입력단, 즉 게이트 단자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1)는 예컨대 N-채널 FET로서, 게이트 단자의 전압 레벨이 “하이”일 경우 온되고, 전압 레벨이 “로우”일 경우 오프 상태가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P채널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부하로 연결된 LED부(140)는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소스 간이 단락(Short) 상태, 즉 트랜지스터(Q1)가 온 될 경우 점등하며 트랜지스터(Q1)의 드레인-소스 간이 오픈(Open) 상태, 즉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될 때 꺼지는 동작을 하게 된다.
스위칭제어부(150)의 평활용 소용량 콘덴서(C2)는 LED 구동용 전원의 대용량 콘덴서(C1)에 비하여 빠른 방전 효과를 갖도록 용량을 설정하고,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압원인 감압부(153; R3, R4, R5)를 구성하여 램프 오프시, 즉시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 드라이브 전압값 이하로 다운시켜 트랜지스터(Q1)를 즉시적으로 강제 오프시켜 LED부(140)의 잔광을 방지하게 된다.
즉, LED 램프의 소등시 대용량 콘덴서(C1)에 충분한 용량의 전력이 남아 있더라도 스위칭제어부(150)의 트랜지스터(Q1)가 즉시 오프 상태가 되어 도 5와 같이 순간 소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순간 소등이 이루어진 후에도 LED부(140)의 결선은 회로가 완전히 끊어진 상태와 같으므로 누설전류가 존재하지 않아 잔광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대용량 콘덴서(C1)가 있더라도 스위칭소자(Q1)에 의해 LED부(140)의 전류통로가 완전히 차단되어 출력 지연 시간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소용량 콘덴서(C2)는 대용량 콘덴서(C1)의 1/1000 내지 1/100 용량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용량 콘덴서(C2)가 대용량 콘덴서(C1) 대비 1/1000보다 적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의 드라이브 전압을 만들기가 어렵고, 1/100보다 클 경우에는 램프 오프시에 트랜지스터(Q1)의 오프 시간이 지연되어 잔광방지 효과가 저하되므로 설정된 범위에서 소용량 콘덴서(C2)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대용량 콘덴서(C1)의 용량은 1,200uF 이상일 수 있고, 소용량 콘덴서(C2)의 용량은 4.7uF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LED 구동용 회로인 트랜스포머 및 정류회로의 변경없이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별도의 회로 블록인 간단한 구조의 스위칭제어부(150)를 추가함으로써, LED 램프의 소등시 램프의 전류통로를 바로 차단하여 램프의 잔광 현상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스위칭제어부의 적용에 따라, 플리커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전해콘덴서의 용량 설계가 자유롭고, 잔광을 제거하기 위한 복잡한 회로설계나 비용 투자를 방지하여 부가적인 램프 성능과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LED 램프 110: 변압부
120: 제1 정류회로부 130: 평활회로부
140: LED부 150: 스위칭제어부
151: 제2 정류회로부 153: 감압부
155: 스위칭소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LED의 플리커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대용량 콘덴서를 채용한 LED 램프에 있어서,
    복수의 LED칩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된 직류전압에 따라 점등되는 LED부;
    상기 LED부와 연결되며 LED부로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대용량 콘덴서를 구비한 평활회로부;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반파 정류하여 상기 평활회로부로 공급하는 제1 정류회로부;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과 LED부 사이에 병렬 연결되며,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전압에 따라 LED부의 전류통로를 신속하게 온오프하여 LED부의 소등 지연 및 잔광 현상이 방지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해 전달된 스위칭 전압을 정류하여 축적하는 다이오드와 소용량 콘덴서를 구비한 제2 정류회로부; 상기 LED부의 일측과 저전압단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구동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LED부의 점/소등을 순간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2 정류회로부와 스위칭소자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정류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조절하여 스위칭소자의 입력단으로 인가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용량 콘덴서는 소용량 콘덴서에 비해 그 용량이 적어도 100배 내지 1000배 정도 큰 것으로 구성되는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KR1020170031039A 2017-03-13 2017-03-13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KR10176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39A KR101768179B1 (ko) 2017-03-13 2017-03-13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039A KR101768179B1 (ko) 2017-03-13 2017-03-13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179B1 true KR101768179B1 (ko) 2017-08-16

Family

ID=5975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039A KR101768179B1 (ko) 2017-03-13 2017-03-13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17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802A (ko) 2018-05-09 2019-11-19 한국전력공사 잔광미발생 조명등용 램프스위치
CN111954338A (zh) * 2019-04-30 2020-11-17 朗德万斯有限责任公司 驱动器电路、灯以及重置照明装置的控制器的方法
KR102197810B1 (ko) 2019-08-01 2021-01-04 (주)에이치비라이팅 서지 보호 및 잔광 제거용 회로 모듈 및 이를 가진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365559B1 (ko)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잔광제거 기능이 향상된 led 조명등의 구동장치 및 백색 led 조명장치
KR102365558B1 (ko)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Led 조명등의 잔광제거 장치와,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의 구동장치 및 led 조명장치
KR102397480B1 (ko) 2021-09-23 2022-05-1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광효율 및 방열 성능이 향상된 led 등기구 전용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의 구동장치 및 led 조명장치
KR102543876B1 (ko) * 2022-08-31 2023-06-20 주식회사 라이팅스케치 빛 떨림 방지용 입력측 llc 공진 회로를 갖는 조명 장치
EP3879934B1 (en) * 2020-03-11 2024-01-03 Leedarson Lighting Co., Ltd. Led drive circuit, led drive device and lam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220A (ja) 2010-12-24 2012-07-19 Mitsubishi Chemicals Corp Led照明システム
KR101653134B1 (ko) * 2016-05-09 2016-09-01 강규리 Led 조명등 구동장치
KR101684384B1 (ko) * 2015-07-28 2016-12-08 (주) 동영 Led 조명 등기구의 잔광 방지회로와,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led 조명 등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8220A (ja) 2010-12-24 2012-07-19 Mitsubishi Chemicals Corp Led照明システム
KR101684384B1 (ko) * 2015-07-28 2016-12-08 (주) 동영 Led 조명 등기구의 잔광 방지회로와,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led 조명 등기구
KR101653134B1 (ko) * 2016-05-09 2016-09-01 강규리 Led 조명등 구동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802A (ko) 2018-05-09 2019-11-19 한국전력공사 잔광미발생 조명등용 램프스위치
CN111954338A (zh) * 2019-04-30 2020-11-17 朗德万斯有限责任公司 驱动器电路、灯以及重置照明装置的控制器的方法
CN111954338B (zh) * 2019-04-30 2024-05-24 朗德万斯有限责任公司 驱动器电路、灯以及重置照明装置的控制器的方法
KR102197810B1 (ko) 2019-08-01 2021-01-04 (주)에이치비라이팅 서지 보호 및 잔광 제거용 회로 모듈 및 이를 가진 엘이디 조명 장치
EP3879934B1 (en) * 2020-03-11 2024-01-03 Leedarson Lighting Co., Ltd. Led drive circuit, led drive device and lamp
KR102365559B1 (ko)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잔광제거 기능이 향상된 led 조명등의 구동장치 및 백색 led 조명장치
KR102365558B1 (ko) 2021-08-18 2022-02-2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Led 조명등의 잔광제거 장치와,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의 구동장치 및 led 조명장치
KR102397480B1 (ko) 2021-09-23 2022-05-1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광효율 및 방열 성능이 향상된 led 등기구 전용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의 구동장치 및 led 조명장치
KR102543876B1 (ko) * 2022-08-31 2023-06-20 주식회사 라이팅스케치 빛 떨림 방지용 입력측 llc 공진 회로를 갖는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179B1 (ko) 엘이디 램프의 소등 지연 및 잔광 방지장치
US9451663B2 (en) Apparatus for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US8816597B2 (en) LED driving circuit
US20110215731A1 (en) Led illumination driving apparatus
US20160234896A1 (en) Lighting control circuit, illuminating lamp using the lighting control circuit,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illuminating lamp
EP2458722A1 (en) LED driving apparatus
JP6403042B2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105144847B (zh) 转换发光二极管的闪光频率的电源供给电路
KR101477158B1 (ko) 2단 디밍 기능을 갖는 led 디밍 컨버터
JP2011054538A (ja) Led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2595694B (zh) Led点亮装置和包括该装置的照明设备
US8803437B2 (en) Switching mode pulsed current supply for driving LEDS
KR101536108B1 (ko)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및 전압 생성 방법
KR20140034065A (ko) 이오나이저
JP2017069180A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5088344A (ja) 停電灯用バックアップ電源及び停電灯ユニット
JP5669447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923158B1 (ko) 벽 스위치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의 다단계 디밍장치
KR20140011242A (ko) 전원공급회로
CN217656779U (zh) 可调节缓启动和缓灭时间恒流控制电路驱动电源
JP6171590B2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11557977B2 (en) Universal input electronic transformer
KR101044963B1 (ko) 엘이디 제어 회로용 전원 공급 장치
JP6829413B2 (ja) 標識灯点灯装置および標識灯システム
US20100013397A1 (en) Power convers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