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065B1 -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065B1
KR101768065B1 KR1020170010626A KR20170010626A KR101768065B1 KR 101768065 B1 KR101768065 B1 KR 101768065B1 KR 1020170010626 A KR1020170010626 A KR 1020170010626A KR 20170010626 A KR20170010626 A KR 20170010626A KR 101768065 B1 KR101768065 B1 KR 10176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ne
sample
modul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재
신수정
이경균
배남호
이문근
이석재
임선영
김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1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1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interfacing components, e.g. fluidic, electrical, optical or mechanical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01N27/3277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being a redox reaction, e.g. detection by cyclic voltam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G01N35/085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3Stretching or orienting elongated molecules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36Integrated biosensor, micro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16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of nucleic acids, e.g. impedance, conductivity or resis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기 위한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하부모듈; 상기 하부모듈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모듈; 상기 하부모듈 및 상기 상부모듈이 설치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본체모듈에 마련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시료와 신호물질이 주입되고,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GENE READ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기 위한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상체의 유전자나 단백질 및 세포 등 나노 단위의 생체분자 거동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는 나노-바이오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나노-바이오 기술은 질병을 진단하거나, 대상체의 종류 등을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최근 적용되는 산업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최근에는 랩온어칩(Lap on a chip)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랩온어칩이란 바이오 칩의 일종으로, 작은 크기의 칩 하나로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랩온어칩은 플라스틱, 유리,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해 나노미터(㎚) 이하의 미세 채널을 만들고, 이를 통해 극미량의 샘플이나 시료만으로 기존의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실험이나 연구 과정을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만든 칩이다. 이러한 실용성으로 인해 랩온어칩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유전자 판별장치는 대형이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며, 유전자를 판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프로브(Probe)타입의 랩온어칩의 경우, 유전자를 판별하려면 판별하고자 하는 유전자와 쌍을 이루는 프로브를 판별부 내의 검출기판에 미리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유전자 판별장치를 휴대하기 어렵고, 유전자를 판별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실용성이 떨어지고, 준비 과정도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21098호 (2014.07.14)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독하기 위한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하부모듈; 상기 하부모듈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모듈; 상기 하부모듈 및 상기 상부모듈이 설치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본체모듈에 마련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시료와 신호물질이 주입되고,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하부모듈본체유닛;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하부히터유닛; 상기 하부히터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방열판유닛; 상기 본체모듈에 마련되는 제1 냉각팬유닛; 및 일단에 상기 하부방열판유닛이 내부에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냉각팬유닛을 향해 절곡 연장되는 냉각유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팬유닛으로부터 유입된 냉각공기는 상기 냉각유로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증폭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하부방열판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히터유닛은, 상기 증폭부에 열을 가하는 하부히터; 및 상기 하부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하부히터의 열이 상기 증폭부에만 가해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은, 상기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은, 본체를 형성하며, 일측에 힌지가 형성된 상부모듈본체유닛;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마련된 시료주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시료이송유닛;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마련된 복수의 신호물질주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신호물질이송유닛;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증폭부에 열을 가하는 상부히터유닛; 상기 상부히터유닛의 양측 및 상부에 마련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본체모듈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전극유닛과 연결되어 전류량을 측정하는 포고핀어레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유닛;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갖는 펌프유닛; 및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는 제1로터리밸브 및 일측이 상기 제2 펌프와 연결되는 제2 로터리밸브를 갖는 로터리밸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터리밸브는 상기 시료이송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로터리밸브는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리밸브는 복수의 상기 시료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로터리밸브는 복수의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2 로터리밸브는 상기 제1 로터리밸브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시료이송유닛과 대응되는 신호물질이송유닛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내부로 냉각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 냉각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전자 판별장치를 이용한 식중독균 판별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전자 판별장치를 이용한 어종 판별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유전자 판별칩을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에 장착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장착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된 시료를 증폭하는 단계; c)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각각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상기 시료주입구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에 주입하는 단계; a2) 상기 유전자 판별칩을 상기 하부모듈에 장착하는 단계; a3) 상기 상부모듈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부모듈의 상부를 덮는 단계; 및 a4)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판별하기 위한 유전자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1 로터리밸브와, 상기 시료이송유닛이 상기 시료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로 이송하는 단계; b2) 상기 밸브유닛이 상기 증폭부의 밸브홀을 가압하여 증폭부 내에 시료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가두는 단계; 및 b3)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하부모듈이 상기 증폭부에 가열 및 냉각을 반복하여 상기 증폭부 내의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1 로터리밸브와, 상기 시료이송유닛이 상기 시료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로 이송하는 단계; c2)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제2 로터리밸브와,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이 상기 신호물질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신호물질을 상기 판별부로 이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판별부로 이동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믹서부를 통과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이 상기 전극유닛에 전압을 거는 단계; d2) 상기 포고핀 어레이유닛이 전압이 걸린 상기 전극유닛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d3) 상기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의 증폭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3) 단계에서, 전류량이 낮을수록 상기 유전자가 더 많이 증폭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유전자 판별칩을 적용한 유전자 판별장치는 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유전자 판별장치에 적용된 유전자 판별칩은 유전자와 대응되는 프로브를 미리 판별부에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전자 판별을 준비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에 마련된 시료이송유닛과 신호물질이송유닛에는 공기배출홀과 밀폐부재가 마련되어 시료와 신호물질이 실험 전에 공기압으로 인해 이동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전자 판별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부히터유닛에는 단열부재가 마련되어 증폭부 외부로 열이 전달되어 유전자 증폭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판별 결과가 정확하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유전자 판별칩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판별칩의 시료와 신호물질은 제1 로터리밸브 및 제2 로터리밸브에 의해 적정 비율로 섞이도록 공기가 주입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믹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의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도 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사시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본체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하부모듈에 유전자 판별칩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하부모듈을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하부모듈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이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 시료이송유닛 및 신호물질이송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 및 상부히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 및 상부히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과 밸브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밸브유닛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밸브유닛의 밸브돌출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포고핀어레이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의 유전자 판별칩의 상부를 덮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의 증폭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의 판별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사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본체모듈의 우측면 내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을 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하부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준비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증폭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판별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유전자 판별칩(1000)는 프레임부(100), 바디부(200), 증폭부(300), 믹서부(400) 및 판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외형을 형성하며, 시료주입구(111) 및 배출구(121)를 갖고, 상부프레임(110) 및 하부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은 상기 바디부(2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시료주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시료주입구(111)는 검출하려는 유전자와 증폭 버퍼(PCR버퍼)가 혼합된 시료가 주입되는 통로이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0)의 타측에는 신호물질주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는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와 결합되는 신호물질이 주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각각 주입되는 시료와 신호물질은 실험을 시작할 때, 피펫에 의해 기설정된 양만큼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에 마련되며, 타측에 상기 배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21)는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를 통과한 이후에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혼합물질은 상기 시료주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신호물질을 혼합한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상기 프레임부(10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 마련되는 상기 바디부(200), 상기 증폭부(300), 상기 믹서부(400) 및 상기 판별부(5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복수의 정렬홀(11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상기 정렬홀(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기둥(122)이 형성된다. 상기 정렬기둥(122)은 상기 정렬홀(11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홀(113)과 상기 정렬기둥(122)은 외곽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형성 위치를 도시된 위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마련된, 정렬홀(113)과 정렬기둥(122)의 효과는 상기 바디부(200)에 마련되는 정렬홀(205)에 대해 설명할 때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0)에는 공기배출구(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은 공기압에 의해 주입된다. 상기 공기배출구(114)는 상기 믹서부(400)에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되어 혼합물질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바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시료주입구(111)를 통해 주입된 상기 시료가 이동 가능하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200)는 바디채널필름(210), 바디상부커버필름(220) 및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은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에는 상기 시료주입구(111)부터 상기 배출구(121)까지 시료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개수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에 형성되는 유로의 형상은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는 시료주입홀(221) 및 시료주입필름(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시료주입홀(221)을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외부로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료가 정해진 유로를 벗어나 외부로 누출될 경우, 상기 시료로 인한 오염 및 외부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누출된 상기 시료는 기계적인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가 감소하여 유전자 판별 검사에 오류가 발생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상기 문제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유전자 판별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소정의 두께를 갖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 CT380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마련된 상기 시료주입필름(222)은 단차를 맞추기 위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인접하게,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상부압력지지필름(223)이 더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상기 시료가 주입될 때,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시료주입홀(221)은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이 휘어지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주입홀(221)과 시료를 주입하는 장치와 어긋나서 시료가 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압력지지필름(223)은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에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시료주입홀(221)에 상기 시료가 주입될 때,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일측에는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되는 위치에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증폭유로(2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폭유로(224)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되며, 상기 시료주입구(111)로 유입된 상기 시료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증폭유로(224)의 양측(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폭 방향)에는 열확산차단홈(2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확산차단홈(225)은 상기 증폭부(300)에 공급되는 열이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된 위치의 나머지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열확산차단홈(225)은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된 위치에서만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증폭부(300)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유동하는 상기 시료는 과도한 열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확산차단홈(225)은 상기 증폭부(300)에 공급된 열이 주위로 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유로(224)의 양측(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길이 방향)에는 복수의 압력조절홀(22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부(300)에서 상기 시료가 증폭될 때,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증폭부(300) 내부의 부피가 팽창하여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홀(226)은 상기 증폭부(300)의 내부에 기체를 배출시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중합효소연쇄반응의 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에는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신호물질주입필름(227)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주입필름(227)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신호물질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물질주입필름(227)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CT380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에는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로부터 유입된 상기 신호물질과 상기 시료가 혼합된 상기 혼합물질에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착필름(228)과 에어필터(229)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착필름(228) 및 상기 에어필터(229)는 후술할 상기 믹서부(400)에 의해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되면서 상기 혼합물질에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29)는 소수성(hydrophobic) 소재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e ethylene, PTF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혼합물질은 단백질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혼합물질은 물에 하나 이상의 친수성 액체가 혼합된 액체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필터(229)는 물과 친수성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기체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필터(229)는 소수성 성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기체만 분리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29)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마련되는 상기 에어필터(229)는 자동으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에 주입되는 것을 멈추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했듯이, 상기 혼합물질은 공기압에 의해서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에어필터(229)의 위치를 모두 통과한 경우에는, 공기압이 모두 에어필터(229)를 통해 빠져나가기 때문에, 공기압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양 이상으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판별부(500)로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은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과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과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00)에는 상기 정렬홀(20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채널필름(210),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 상기 바디하부커버필름(230)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된 상기 정렬홀(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정렬홀(11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기 정렬홀(2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정렬홀(113), 정렬기둥(122) 및 정렬홀(205)은 상호 결합되며, 프레임부(100)와 바디부(200)가 결합시 별도의 정렬을 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바디부(200)에 마련된 필름들이 적층되면서 형성하는 유로가 어긋나지 않도록 정확하고 쉽게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증폭부(300)는 상기 바디부(20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시료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밸브필름(310) 및 더미챔버필름(32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필름(310)은 상기 바디부(200)의 일측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더미챔버필름(320)은 상기 밸브필름(310)의 상부에 부착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필름(310) 및 상기 더미챔버필름(320)은 복수의 필름이 적층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증폭부(300)는 상기 시료주입구(111)로부터 유입된 상기 시료가 통과하면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해 유전자의 수가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필름(310)은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증폭유로(2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증폭유로(224)와 동일한 형상의 증폭유로(313)가 형성된 밸브채널필름(311)을 포함한다. 상기 증폭유로(313)는 상기 시료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증폭유로(313)에는 가열 및 냉각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증폭유로(313)를 통과하는 상기 시료에 중합효소 연쇄반응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의 양측(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의 길이 방향)에는 날개필름(312)이 연장되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날개필름(312)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보다 얇게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날개필름(312)에는 복수의 밸브홀(314,315)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홀(314,315)은 상기 압력조절홀(2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증폭부(300)에 의해 상기 시료가 증폭될 때, 기체를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주입구(111) 측에 위치한 상기 밸브홀(314)을 통해서는 상기 시료가 유입되며, 반대측에 위치한 상기 밸브홀(315)을 통해 증폭이 수행된 상기 시료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채널필름(311)과 상기 날개필름(312)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날개필름(312)의 상부에는 날개필름커버(316)가 부착된다.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는 상기 CT380테이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필름(312)에 형성된 상기 밸브홀(314,315)의 상측을 덮어 액체가 밸브홀(314,315)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는 상기 날개필름(312)에 부착되었을 때, 상면의 높이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두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필름커버(316)의 상측에는 상기 밸브홀(314,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리프트필름(317)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필름(317)은 외부 장비와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를 부착시키며, 상기 외부 장비가 상기 상기 리프트필름(317)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밸브홀(314,315)이 완전히 닫혀 상기 증폭부(3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시료가 일정 시간동안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비가 상승하면, 상기 리프트필름(317)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날개필름커버(316)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밸브홀(314,315)이 개방되고, 상기 시료가 믹서부(4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밸브필름(310)의 상부에는 더미챔버필름(320)이 부착되며, 상기 더미챔버필름(320)은 먼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밸브채널필름(311)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된 증폭챔버필름(321)을 포함한다.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은 상기 밸브채널필름(311)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양측이 상기 날개필름커버(316)를 누르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증폭챔버필름(321)과 상기 날개필름커버(316)의 경계면에서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는 상기 밸브채널필름(311)에 형성된 상기 증폭유로(313)와 대응되는 형상과 위치에 형성되는 증폭유로(322)를 갖는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의 두께는 적정한 용량의 시료가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유로를 넓히기 위해 조절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이 더 적층되어 유로를 넓혀 증폭되는 상기 시료의 양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폭챔버필름(321)의 상부에는 증폭커버필름(323)이 부착된다.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은 상기 증폭유로(224, 313, 322)들을 통과하는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소재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의 상부에는 더미테잎(324)과 더미필름(325)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더미테잎(324)과 상기 더미필름(325)에는 상기 증폭유로(322)와 동일한 형상 및 대응되는 위치에 더미유로(326)가 형성된다. 이처럼 마련된 더미유로(326)는 상기 증폭유로(224, 313, 322)의 내부에 온도 증가로 인해 부피가 팽창할 때,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부풀어오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더미유로(326)는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순간적으로 부피가 팽창하였을 때,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손상되어 상기 시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테잎(324)과 상기 더미필름(325)은 상기 증폭커버필름(323)이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두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추가로 더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하기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실시예로 상기 더미테잎(324)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더미필름(325)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믹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믹서부(400)는 상기 바디부(200)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증폭부(300)에 의해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믹서부(400)는 믹서하부커버필름(410), 제1 믹서채널필름(420), 제2 믹서채널필름(430), 제3 믹서채널필름(440), 제4 믹서채널필름(450), 믹서연결홀필름(460), 믹싱홀필름(470) 및 상부커버필름(480)을 포함한다.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은 상기 바디부(20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은 상기 바디부(200)의 바디하부커버필름(230)과 일체화되어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증폭부(300)와 상기 에어필터(229)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은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에는 유로를 형성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와류 현상에 의해 혼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은 홀의 형상을 변경하면 유로가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믹서채널필름(420, 430, 440, 450)에 형성된 홀의 크기, 길이, 위치, 방향, 모양 등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를 통과하는 시료 및 신호물질의 흐름과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혼합 농도, 또는 혼합량 등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과 일체화되어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의 상면에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은 상기 바디채널필름(210)을 따라 이송된 상기 시료와, 상기 판별부(500)로 이송되는 상기 혼합물질의 유입 및 유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은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과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 사이, 및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과 상기 제3 믹서채널필름(440) 사이에 각각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은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과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과 상기 제3 믹서채널필름(44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과 상기 제2 믹서채널필름(43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은 상기 바디상부커버필름(220)과 일체화되어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믹서채널필름(42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믹싱홀필름(470)은 상기 제3 믹서채널필름(440)과 상기 제4 믹서채널필름(450)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믹싱홀필름(470)은 상기 혼합물질이 혼합되도록 와류를 형성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과 상기 믹싱홀필름(470)에는 서로 다른 모양의 홀 형태의 믹싱홀(461,471)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믹싱홀(461,471)은 서로 다른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믹싱홀(461,471)을 통과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골고루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즉,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필름(480)은 상기 제4 믹서채널필름(450)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하부커버필름(410), 상기 믹서연결홀필름(460), 상기 믹싱홀필름(470), 상기 상부커버필름(48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소재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믹서부(400)는 일측에는 상기 증폭부(300)를 통과한 상기 시료가 유입되는 통로 및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로 주입된 상기 신호물질이 유입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 및 상기 신호물질은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하면서 와류에 의해 혼합되어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의 상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판별부(500)는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별부(500)는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으며, 전극유닛(510), 판별기판유닛(520), 판별필름유닛(530) 및 배출필름유닛(5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유닛(510)은 백금, 금, 카본, 구리, 니켈, 은 등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작업전극(511), 상대전극(512), 기준전극(513)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질은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는 상기 신호물질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유전자의 개수가 상기 신호물질보다 적으면, 상기 신호물질은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못한 상태로 상기 혼합물질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작업전극(511)은 이처럼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신호물질의 전기적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전극(511)이 측정하는 전류량은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신호물질의 양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상대전극(512)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511)과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대전극(512)은 상기 혼합물질의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511)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상대전극(512)과 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전극(513)은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되어야 할 전압의 기준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전극(513)은 각각의 상기 혼합물질에 대한 기준전압을 갖고,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기준전극(513)의 기준전압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작업전극(511)이 상기 혼합물질에 대해 상대적으로 항상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각각의 신호물질에 따라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고유한 전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상기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이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전압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전극(513)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표시전압은 기준전압과 인가전압을 합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전극(513)의 기준전압이 0.2V이고,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되어야 하는 인가전압이 0.5V일 경우, 상기 작업전극(511)의 표시전압은 기준전압 0.2V와 인가전압 0.5V를 합한 값인 0.7V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유닛(510)의 상기 전극들(511, 512, 513)은 상기 혼합물질과 접촉되는 반응부(514), 및 상기 반응부(5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접지되는 접지부(515)로 구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응부(514)는 상기 작업전극(511), 상기 상대전극(512) 및 상기 기준전극(513)이 상기 혼합물질과 접촉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응부(514)의 상부에는 후술할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의 반응챔버(534)가 마련되고, 상기 혼합물질은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하면서 상기 반응부(514)와 접촉하여 상기 전극유닛(510)과 전기 화학적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지부(515)는 상기 전극유닛(510)에 포함된 상기 전극들(511, 512, 513)이 접지되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부(514)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부(515)는 상기 혼합물질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에 의해 상기 반응부(514)와 구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은 상부에 복수의 상기 전극유닛(510)이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소재는 유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전극유닛(51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소재는 유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에 부착되는 전극유닛(510)의 개수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혼합물질이 통과하는 반응챔버(53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마련된 상기 전극유닛(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상기 반응챔버(534)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챔버(534)는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한 혼합물질이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전극유닛(510)과 반응한 뒤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의 폭은 상기 전극유닛(510)의 상기 반응부(514)와 상기 접지부(515)가 구분되어 있어, 상기 접지부(515)와 상기 혼합물질이 접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기판유닛(5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판별필름(531), 상기 제1 판별필름(531)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 판별필름(532), 및 상기 제2 판별필름(532)의 상부 및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3 판별필름(5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필름들(531, 532, 533)은 상기 반응부(5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반응챔버(534)를 갖고, 상기 판별필름들(531, 532, 533)은 상기 반응부(514)와 상기 접지부(515)를 구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판별필름들(531, 532, 533)을 적층함으로써, 상기 반응챔버(534)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별필름유닛(530)은 상기 반응챔버(534)의 부피를 조절하여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하는 상기 혼합물질의 양을 제어할수 있도록, 적층되는 판별필름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판별필름(532)은 상기 CT380테이프 재질로 마련되어,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판별필름(531)과 상기 제3 판별필름(533)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은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배출구(121)에 의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배출홀(543)이 마련된 제1 배출필름(541) 및 제2 배출필름(5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CT380테이프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은 폴리이미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상기 배출구(121)의 상부에 부착되며, 누수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상기 배출구(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혼합물질을 안내하는 상기 배출홀(543)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혼합물질이 상기 배출구(121)가 아닌 틈으로 새어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은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의 상부 및 상기 바디부(20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배출필름(542)에는 상기 제1 배출필름(541)에 마련된 상기 배출홀(543)과 동일한 배출홀(5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은 상기 제1 배출필름(5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의 높이가 상기 반응챔버(534)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필름(541) 및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의 두께는 상기 혼합물질이 누수되지 않고 상기 배출구(121)로 배출되도록 상기 반응챔버(534)의 유로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배출필름(542)의 상부에 제3 배출필름을 적층하여 상기 혼합물질이 배출되는 상기 반응챔버(534)의 유로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은 상기 반응챔버(534)를 통과한 상기 혼합물질이 누수되지 않고, 상기 배출필름유닛(540)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은 소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은 휴대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또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는 유전자와 대응되는 프로브를 미리 상기 판별부(500)에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전자 판별을 준비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신속하게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는 식중독균 판별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가 적용된 식중독균 판별기는 식품 등에서 식중독균을 채취 및 추출한 다음,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주입함으로써, 식중독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를 식중독균 판별기에 적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를 어종 판별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를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의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은 먼저,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에서 분석 대상에 대한 유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식중독균 검사를 실시하려 할 경우, 분석 대상이 되는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유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 이후에는,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가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는 상기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주입할 수 있다. 이처럼 시료주입구(111)에 주입된 상기 시료는 상기 바디부(200)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 이후에는,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가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는, 상기 유전자가 포함된 시료를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하는 단계(S620)에서, 유입된 상기 시료가 상기 증폭부(3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전자의 수를 증폭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유전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전자를 추출하는 단계(S610)에서, 추출되는 상기 유전자의 수는 극소량이기 때문에, 추출한 상기 유전자만으로는 정확한 판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이처럼 상기 유전자를 증폭하여 상기 유전자의 수를 증가시키면 판별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 이후에는, 증폭된 유전자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640)가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된 유전자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640)에서, 상기 증폭부(300)를 통과한 상기 증폭된 유전자 시료는 상기 믹서부(4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신호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유전자와 상기 신호물질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물질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증폭된 유전자 시료와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640) 이후에는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는 작업전극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S651), 상대전극이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S652) 및 작업전극이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S65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작업전극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S651)는,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인가전압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각각의 신호물질에 따라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고유한 전압 값을 의미한다. 즉, 상기 기준전극(513)의 기준전압을 고려하여 상기 작업전극(511)에 인가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에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전극이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S652)에서, 상기 상대전극(512)은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상기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상기 작업전극(511)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대전극이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도출되는 전자를 작업전극과 교환하는 단계(S652)에서,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키는 상기 신호물질은 유전자의 결합되지 못한 신호물질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630)에서 증폭된 유전자의 양에 따라 상기 신호물질의 결합 양이 결정되며,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못한 상기 신호물질은 산화환원반응을 통해 전자가 도출되어 상기 작업전극(511)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전극이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S653)에서, 상기 작업전극(511)은 상기 상대전극(512)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전극이 상대전극과 교환하는 전자량을 통해 전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S653)에서는 상기 유전자와 결합되지 못한 상기 신호물질의 양에 따라 전류량이 변화되는 것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는 인가전압과 기준전극의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표시전압을 보여주는 단계(S6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가전압과 기준전극의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표시전압을 보여주는 단계(S654)는 상기 인가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을 합한 값인 상기 표시전압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전압을 통해, 상기 혼합물질에 포함된 신호물질에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인가전압이 가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S650) 이후에는, 측정된 전류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660)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된 전류량을 분석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660)는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유전자가 기준량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 방법을 적용한 식중독균 판별기의 경우,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 식중독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식품이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 식중독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식품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 방법은 식중독균 판별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 방법은 어종 판별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진이고, 도 11 및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사시도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칩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본체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2000)는 본체모듈(1100), 하부모듈(1200), 상부모듈(1300) 및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시료와 신호물질이 주입되고,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모듈(1100)은 상기 하부모듈(1200) 및 상기 상부모듈(1300)이 설치되며, 본체프레임유닛(1110), 펌프유닛(1120), 로터리밸브유닛(1130), 제2 냉각팬유닛(1140) 및 상부모듈고정유닛(1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은 본체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은 내부에 상기 펌프유닛(1120), 상기 로터리밸브유닛(1130) 및 상기 제2 냉각팬유닛(1140)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하부모듈(1200) 및 상기 상부모듈(1300)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닛(1120)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 펌프(1121) 및 제2 펌프(112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유닛(1120)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프(1121) 및 상기 제2 펌프(1122)는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주입된 시료와 신호물질 각각을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밸브유닛(1130)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 로터리밸브(1131) 및 제2 로터리밸브(113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는 일측이 상기 제1 펌프(1121)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모듈(1300)에 마련된 시료이송유닛(13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터리밸브(1132)는 일측이 상기 제2 펌프(1122)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상부모듈(1300)에 마련된 신호물질이송유닛(133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는 복수의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로터리밸브(1132)는 복수의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1330)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2 로터리밸브(1132)는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시료이송유닛(1320)과 대응되는 신호물질이송유닛(133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가 도시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마련된 복수의 상기 시료주입구(111, 도 1 참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상기 시료주입구(111, 도 1 참조)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 상기 제2 로터리밸브(1132)는 복수의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 도 1 참조) 중 가운데에 위치한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 도 1 참조)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와 상기 제2 로터리밸브(1132)는 증폭된 시료와 신호물질이 상기 믹서부(400, 도 5 참조)에서 기설정된 적정 비율로 섞이도록 공기 주입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팬유닛(1140)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내부로 냉각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냉각팬유닛(1140)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냉각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가 열로 인한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고정유닛(1150)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상측에 마련되며, 특히, 상기 상부모듈(1300)이 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상부모듈(1300)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모듈(1300)이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하부모듈에 유전자 판별칩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하부모듈을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하부모듈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모듈(1200)은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이 장착되며, 하부모듈본체유닛(1210), 하부히터유닛(1220), 하부방열판유닛(1230), 하부팬유닛(1240), 제1 냉각팬유닛(1250) 및 냉각유로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1210)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1210)은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이 장착되는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이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1210)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자 판별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이 정해진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이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정확히 공기가 주입되지 않아 유전자 판별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상기 하부히터유닛(1220)은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1210)에 결합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기 증폭부(30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히터유닛(1220)은 하부히터(1221) 및 단열부재(12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히터(1221)는 상기 증폭부(300)에 열을 가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폭부(300)에 위치한 시료는 온도가 상승 및 하강되는 작업이 반복 수행됨에 따라,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의 양이 증가된다. 상기 하부히터(1221)는 상기 증폭부(300)에 열을 가하여 상기 증폭부(300)에 위치한 시료의 온도를 상승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222)는 상기 하부히터(1221)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단열부재(1222)는 상기 하부히터의 열이 상기 증폭부(300)에만 가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단열부재(1222)는 상기 증폭부(300)에 가해진 열이 상기 증폭부(300)가 아닌 부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유전자 판별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방열판유닛(1230)은 상기 하부히터유닛(12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방열판유닛(1230)은 상기 하부히터유닛(1220)이 상기 증폭부(300)에 열을 가할 때, 상기 하부히터유닛(1220)이 과도한 열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유닛(1240)은 상기 하부방열판유닛(12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팬유닛(1240)은 상기 하부히터유닛(1220)의 열을 식혀 열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냉각팬유닛(1250)의 공기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동시켜 상기 증폭부(300)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팬유닛(1250)은 상기 본체모듈(11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냉각팬유닛(1250)은 상기 제2 냉각팬유닛(114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증폭부(300)의 온도를 하강시키도록 냉각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냉각팬유닛(1250)과 상기 제2 냉각팬유닛(1140)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프레임유닛(111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각유로유닛은 일단에 상기 하부방열판유닛(1230)이 내부에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냉각팬유닛(1250)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유로유닛은 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냉각팬유닛(1250)으로부터 유입된 냉각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냉각유로유닛은 유입된 냉각 공기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동시켜 상기 증폭부(300)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 및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이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모듈(1300)은 상부모듈본체유닛(1310), 시료이송유닛(1320), 신호물질이송유닛(1330), 상부히터유닛(1340), 밸브유닛(1350) 및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2를 포함하여 각 구성을 구체화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이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은 상기 상부모듈(1300)의 본체를 형성하며, 일측에 힌지(1311)가 형성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은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하부모듈(1200)에 장착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의 타측에는 결합부재(13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1312)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이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상부모듈고정유닛(1150)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는 증폭홀(1313) 및 판별홀(131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폭홀(1313)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이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증폭부(300)와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증폭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홀(1313)에는 후술할 시료이송유닛(1320)이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별홀(1314)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이 전방으로 회동시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과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이 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증폭부(300)는 상기 증폭홀(131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은 상기 판별홀(131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별홀(1314)에는 후술할 신호물질이송유닛(1330)이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 시료이송유닛 및 신호물질이송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더 참조하면,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마련된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시료이송몸체(1321), 제1 공기배출홀(1322), 시료이송튜브(1323) 및 제1 밀폐부재(1324)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이송몸체(1321)는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이송몸체(1321)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증폭홀(131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이송몸체(1321)에는 복수의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은 상기 시료이송몸체(132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은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의 타단이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의 타단의 내측면과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의 내측으로 상기 시료주입구(111)가 삽입되어 연결될 때,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외측면과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의 내측면 사이의 공기가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내부에 주입된 시료를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은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와 상기 시료주입구(111)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 시료가 이동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유전자 판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는 일단이 상기 본체모듈(1100)의 제1 로터리밸브(1131)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시료주입구(111)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는 복수로 마련되며, 순차적으로 각각의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시료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밀폐부재(1324)는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후방으로 회동시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을 밀폐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밀폐부재(1324)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밀폐부재(1324)는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이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의 타단의 내측면과 상기 시료주입구(111)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모두 배출하였을 때,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을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밀폐부재(1324)는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가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할 때,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을 통해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1330)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마련된 복수의 신호물질주입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신호물질이송몸체(1331), 제2 공기배출홀(1332), 신호물질이송튜브(1333) 및 제2 밀폐부재(1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이송몸체(1331)는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1330)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물질이송몸체(1331)는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판별홀(1314)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물질이송몸체(1331)에는 복수의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은 상기 신호물질이송몸체(133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은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의 타단이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의 타단의 내측면과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의 내측으로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가 삽입되어 연결될 때,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의 외측면과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의 내측면 사이의 공기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의 내부에 주입된 신호물질을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은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 신호물질이 이동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유전자 판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는 일단이 상기 본체모듈(1100)의 제2 로터리밸브(113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신호물질주입구(112)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는 복수로 마련되며, 순차적으로 각각의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신호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밀폐부재(1334)는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후방으로 회동시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을 밀폐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밀폐부재(1334)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밀폐부재(1334)는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이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의 타단의 내측면과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의 외측면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모두 배출하였을 때,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을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2 밀폐부재(1334)는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공기를 주입할 때,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을 통해 공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 및 상부히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 및 상부히터유닛의 결합 상태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더 참조하면,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증폭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증폭부(300)에 열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은 상부히터몸체(1341), 상부히터(1342), 상부방열판(1343) 및 상부팬(134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히터몸체(1341)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에 결합되되, 상기 증폭부(3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히터몸체(1341)는 상기 증폭홀(131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의 몸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히터몸체(1341)는 내측에 상기 상부히터(1342)가 결합될 수 있는 중공홀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히터(1342)는 상기 상부히터몸체(1341)에 결합되며, 상기 증폭부(300)에 열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히터(1342)는 상기 증폭부(300)에 열을 가하여 상기 증폭부(300)에 위치한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방열판(1343)은 상기 상부히터(134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방열판(1343)은 상기 상부히터(1342)가 과도한 열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히터(1342)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팬(1344)은 상기 상부방열판(134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업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유전자가 증폭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팬(1344)은 상기 증폭부(300)를 향해 냉각 공기를 유입시켜 온도를 하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상부팬(1344)의 프레임 형상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팬(fan)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모듈본체유닛과 밸브유닛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밸브유닛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밸브유닛의 밸브돌출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1 내지 도 33을 더 참조하면, 상기 밸브유닛(1350)은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의 양측 및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밸브유닛(1350)은 밸브지지부재(1351), 밸브가압부재(1352), 밸브돌출부(1353) 및 밸브액추에이터(1354)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지지부재(1351)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밸브유닛(135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지지부재(1351)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되, 하부 내측에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이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증폭부(3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지지부재(1351)는 중앙부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는 상기 밸브지지부재(1351)에 결합되어 마련되며, 상기 증폭부(300)의 상기 밸브홀(314,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는 상기 밸브지지부재(1351)의 중앙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는 상기 증폭부(300)의 상기 밸브홀(314,315)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밸브돌출부(1353)는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밸브홀(314,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밸브돌출부(1353)는 상기 밸브홀(314,315)과 접하였을 때, 상기 밸브홀(314,315)을 가압하여 상기 밸브홀(314,315)을 통해 시료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액추에이터(1354)는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액추에이터(1354)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밸브지지부재(1351)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하부에 밸브가압부재(135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밸브액추에이터(1354)는 연결된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액추에이터(1354)가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를 하강시키면, 상기 밸브돌출부(1353)는 상기 밸브홀(314,315)을 가압하여 상기 증폭부(300) 내에 위치한 시료의 유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닛(1350)은 상기 증폭부(300) 내에 위치한 시료의 유동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증폭부(300) 내의 시료는 상기 하부모듈(1200) 및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에 의해 온도가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가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포고핀어레이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4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전극유닛(510)과 연결되어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은 포고핀어레이몸체(1361),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 및 포고핀(1363)을 포함한다.
상기 포고핀어레이몸체(1361)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의 판별홀(13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고핀어레이몸체(1361)는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이 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판별홀(131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고핀어레이몸체(1361)는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전극유닛(51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는 상기 포고핀어레이몸체(1361)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전극유닛(51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는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포고핀어레이몸체(1361)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의 형태가 도시된 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는 상기 포고핀(1363)과 상기 전극유닛(510)이 접촉되도록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포고핀(1363)은 상기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극유닛(510)과 접촉하여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고핀(1363)은 상기 포고핀어레이승강체(1362)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전극유닛(510)과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고핀(1363)은 상기 전극유닛(510)의 상기 작업전극(511), 상기 상대전극(512) 및 상기 기준전극(513)에 각각 연결되는 세 개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포고핀(1363)은 전술한 유전자 판별방법에 의해 상기 유전자를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유전자 판별이 완료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은 버려지고 새로운 유전자 판별칩(1000)으로 교체하여 다음 유전자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하기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상부모듈(1300)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상부모듈(1300)의 작동방법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을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부를 덮는 단계(S1410),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이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시키는 단계(S1420),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된 상기 시료를 증폭시키는 단계(S1430),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믹서부(400)로 이송시켜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1440) 및 상기 혼합물질을 상기 판별부(500)로 이송시키고,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1450)를 포함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의 유전자 판별칩의 상부를 덮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6을 더 참조하면,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상부모듈(1300)의 작동방법은, 먼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을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부를 덮는 단계(S1410)는 먼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단계(S1411)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은 상기 결합부재(1312)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부모듈고정유닛(115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밀폐부재(1324)와 상기 제2 밀폐부재(1334)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과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과 상기 시료주입구(111)를 연결시키고,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1330)과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를 연결시키는 단계(S1412)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밀폐부재(1324)와 제2 밀폐부재(1334)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 공기배출홀(1322)과 상기 제2 공기배출홀(1332)을 폐쇄하는 단계(S1413)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밀페부재(1324)는 상기 시료이송튜브(1323)와 상기 시료주입구(111) 사이에 공기가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밀폐부재(1334)는 상기 신호물질이송튜브(1333)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 사이에 공기가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상부모듈(1300)의 작동방법은, 먼저,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을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부를 덮는 단계(S1410)는 시료이송유닛(1320)과 신호물질이송윤시(1330)가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시료 및 신호물질이 미리 이동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전자 판별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1310)을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부를 덮는 단계(S1410) 이후에는,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이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시키는 단계(S142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의 증폭시키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이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시키는 단계(S1420)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된 상기 시료를 증폭시키는 단계(S1430)는 먼저, 상기 밸브유닛(1350)이 상기 증폭부(300)의 밸브홀(314,315)을 가압하여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된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300) 내에 가두는 단계(S1431)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유닛(1350)의 밸브가압부재(1352)이 하강되면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의 하단에 형성된 밸브돌출부(1353)가 상기 증폭부(300)의 밸브홀(314,315)을 가압하며, 상기 증폭부(300)내에 시료의 유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폭부(300) 내에 가둔 상기 시료의 유전자를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이 증폭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히터유닛(1340)이 상기 증폭부(300)에 가열 및 냉각을 반복 수행함으로 상기 증폭부(300) 내에 위치한 유전자가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된 상기 시료를 증폭시키는 단계(S1430) 이후에는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믹서부(400)로 이송시켜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144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작동방법의 판별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믹서부(400)로 이송시켜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1440)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혼합물질을 상기 판별부(500)로 이송시키고,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1450)는 먼저,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이 상기 전극유닛(510)에 전압을 거는 단계(S1451)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이 전압이 걸린 상기 전극유닛(510)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1452)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의 증폭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1453)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의 증폭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1453)는 전류량이 낮을수록 상기 유전자가 더 많이 증폭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사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의 상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리고,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본체모듈의 우측면 내부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을 후방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하부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에 마련되며, 특히, 도 3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모듈의 전면에 터치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제어모듈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판별하려는 유전자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작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43을 참조하면,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의 작동방법은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을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에 장착하여 준비하는 단계(S1510), 장착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주입된 시료를 증폭하는 단계(S1520),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1530) 및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15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를 하기 순서도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준비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을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에 장착하여 준비하는 단계(S1510)는 먼저,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각각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상기 시료주입구(111)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주입하는 단계(S1511)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펫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시료는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주입하고, 신호물질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기설정된 양을 주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을 상기 하부모듈(1200)에 장착하는 단계(S1512)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은 상기 하부모듈(1200)의 하부모듈본체유닛(12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모듈(130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부모듈(1200)의 상부를 덮는 단계(S1513)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모듈(1300)이 상기 하부모듈(1200)의 상부를 덮도록 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상부모듈(1300)의 상기 결합부재(1312)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상부모듈고정유닛(115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판별하기 위한 유전자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S1514)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증폭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장착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에 주입된 시료를 증폭하는 단계(S1520)는 먼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제1 펌프(1121) 및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와,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이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하는 단계(S1521)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제1 펌프(1121)가 공기를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에 제공하면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는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은 제공받은 공기를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주입하여 시료주입구(111)에 주입되었던 시료를 상기 증폭부(3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유닛(1350)이 상기 증폭부(300)의 밸브홀(314,315)을 가압하여 상기 증폭부(300) 내에 시료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가두는 단계(S1522)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유닛(1350)의 밸브가압부재(1352)이 하강되면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의 하단에 형성된 밸브돌출부(1353)가 상기 증폭부(300)의 밸브홀(314,315)을 가압하며, 상기 증폭부(300)내에 시료의 유동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모듈(1300) 및 상기 하부모듈(1200)이 상기 증폭부(300)에 가열 및 냉각을 반복하여 상기 증폭부(300) 내의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S1523)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하부모듈(1200)과 상기 상부모듈(1300)이 상기 증폭부(300)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유전자 증폭을 수행하고 난 이후에는, 상기 밸브가압부재(1352)를 상승시켜 시료가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1530)는 먼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제1 펌프(1121) 및 상기 제1 로터리밸브(1131)와, 상기 시료이송유닛(1320)이 상기 시료주입구(111)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판별부(500)로 이송하는 단계(S1531)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제2 펌프(1122) 및 상기 제2 로터리밸브(1132)와,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1330)이 상기 신호물질주입구(112)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신호물질을 상기 판별부(500)로 이송하는 단계(S1532)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판별부(500)로 이동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상기 유전자 판별칩(1000)의 믹서부(400)를 통과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S1533)가 수행될 수 있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의 판별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S1540)는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1360)이 상기 전극유닛(510)에 전압을 거는 단계(S1541)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이 전압이 걸린 상기 전극유닛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1542)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의 증폭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1543)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의 증폭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1543)는 전류량이 낮을수록 상기 유전자가 더 많이 증폭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는 종래의 유전자 판별장치에 비해 소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동이 편리하고, 판별 결과의 정확도가 높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2000)는 식중독균 판별기 또는 어종 판별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유전자 판별칩 100: 프레임부
110: 상부프레임 111: 시료주입구
112: 신호물질주입구 113: 정렬홀
114: 공기배출구 120: 하부프레임
121: 배출구 122: 정렬기둥
200: 바디부 205: 정렬홀
210: 바디채널필름 220: 바디상부커버필름
221: 시료주입홀 222: 시료주입필름
223: 상부압력지지필름 224: 증폭유로
225: 열확산차단홈 226: 압력조절홀
227: 신호물질주입필름 228: 필터부착필름
229: 에어필터 230: 바디하부커버필름
300: 증폭부 310: 밸브필름
311: 밸브채널필름 312: 날개필름
313: 증폭유로 314: 밸브홀
315: 밸브홀 316: 날개필름커버
317: 리프트필름 320: 더미챔버필름
321: 증폭챔버필름 322: 증폭유로
323: 증폭커버필름 324: 더미테잎
325: 더미필름 326: 더미유로
400: 믹서부 410: 믹서하부커버필름
420: 제1 믹서채널필름 430: 제2 믹서채널필름
440: 제3 믹서채널필름 450: 제4 믹서채널필름
460: 믹서연결홀필름 461: 믹싱홀
470: 믹싱홀필름 471: 믹싱홀
480: 상부커버필름 500: 판별부
510: 전극유닛 511: 작업전극
512: 상대전극 513: 기준전극
514: 반응부 515: 접지부
520: 판별기판유닛 530: 판별필름유닛
531: 제1 판별필름 532: 제2 판별필름
533: 제3 판별필름 534: 반응챔버
540: 배출필름유닛 541: 제1 배출필름
542: 제2 배출필름 543: 배출홀
2000: 유전자 판별장치 1100: 본체모듈
1110: 본체프레임유닛 1120: 펌프유닛
1121: 제1 펌프 1122: 제2 펌프
1130: 로터리밸브유닛 1131: 제1 로터리밸브
1132: 제2 로터리밸브 1140: 제2 냉각팬유닛
1150: 상부모듈고정유닛 1200: 하부모듈
1210: 하부모듈본체유닛 1220: 하부히터유닛
1221: 하부히터 1222: 단열부재
1230: 하부방열판유닛 1240: 하부팬유닛
1250: 제1 냉각팬유닛 1300: 상부모듈
1310: 상부모듈본체유닛 1311: 힌지
1312: 결합부재 1313: 증폭홀
1314: 판별홀 1320: 시료이송유닛
1321: 시료이송몸체 1322: 제1 공기배출홀
1323: 시료이송튜브 1324: 제1 밀폐부재
1330: 신호물질이송유닛 1331: 신호물질이송몸체
1332: 제2 공기배출홀 1333: 신호물질이송튜브
1334: 제2 밀폐부재 1340: 상부히터유닛
1341: 상부히터몸체 1342: 상부히터
1343: 상부방열판 1344: 상부팬
1350: 밸브유닛 1351: 밸브지지부재
1352: 밸브가압부재 1353: 밸브돌출부
1354: 밸브액추에이터 1360: 포고핀어레이유닛
1361: 포고핀어레이몸체 1362: 포고핀어레이승강체
1363: 포고핀

Claims (16)

  1.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하부모듈;
    상기 하부모듈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도록 이루어지고, 본체를 형성하는 상부모듈본체유닛 및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마련된 시료주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시료이송유닛을 갖는 상부모듈;
    상기 하부모듈 및 상기 상부모듈이 설치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본체모듈에 마련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시료와 신호물질이 주입되고,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고,
    상기 시료이송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는 시료이송몸체;
    상기 시료이송몸체에 형성되는 제1 공기배출홀;
    일단이 상기 본체모듈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로터리밸브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시료주입구와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시료이송튜브; 및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후방으로 회동시 상기 제1 공기배출홀을 밀폐하도록 고정되는 제1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본체모듈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하부모듈본체유닛;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하부히터유닛;
    상기 하부히터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방열판유닛;
    상기 본체모듈에 마련되는 제1 냉각팬유닛; 및
    일단에 상기 하부방열판유닛이 내부에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제1 냉각팬유닛을 향해 절곡 연장되는 냉각유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팬유닛으로부터 유입된 냉각공기는 상기 냉각유로유닛을 통과하여 상기 증폭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하부방열판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히터유닛은,
    상기 증폭부에 열을 가하는 하부히터; 및
    상기 하부히터의 양측에 마련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하부히터의 열이 상기 증폭부에만 가해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은,
    상기 유전자 판별칩이 장착되는 내측면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모듈본체유닛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은,
    본체를 형성하며, 일측에 힌지가 형성된 상부모듈본체유닛;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마련된 시료주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시료이송유닛;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마련된 복수의 신호물질주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신호물질이송유닛;
    상기 상부모듈본체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증폭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증폭부에 열을 가하는 상부히터유닛;
    상기 상부히터유닛의 양측 및 상부에 마련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본체모듈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전극유닛과 연결되어 전류량을 측정하는 포고핀어레이유닛을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본체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프레임유닛;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제1 펌프 및 제2 펌프를 갖는 펌프유닛; 및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일측이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는 제1로터리밸브 및 일측이 상기 제2 펌프와 연결되는 제2 로터리밸브를 갖는 로터리밸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터리밸브는 상기 시료이송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로터리밸브는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리밸브는 복수의 상기 시료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2 로터리밸브는 복수의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2 로터리밸브는 상기 제1 로터리밸브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시료이송유닛과 대응되는 신호물질이송유닛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유닛의 내부로 냉각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 냉각팬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유전자 판별칩을 상기 유전자 판별장치에 장착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장착된 상기 유전자 판별칩에 주입된 시료를 증폭하는 단계;
    c) 증폭된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질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유전자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을 각각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상기 시료주입구와 상기 신호물질주입구에 주입하는 단계;
    a2) 상기 유전자 판별칩을 상기 하부모듈에 장착하는 단계;
    a3) 상기 상부모듈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하부모듈의 상부를 덮는 단계; 및
    a4)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판별하기 위한 유전자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1 로터리밸브와, 상기 시료이송유닛이 상기 시료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증폭부로 이송하는 단계;
    b2) 상기 밸브유닛이 상기 증폭부의 밸브홀을 가압하여 증폭부 내에 시료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가두는 단계; 및
    b3) 상기 상부모듈 및 상기 하부모듈이 상기 증폭부에 가열 및 냉각을 반복하여 상기 증폭부 내의 시료에 포함된 유전자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1 로터리밸브와, 상기 시료이송유닛이 상기 시료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를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판별부로 이송하는 단계;
    c2)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제2 펌프 및 상기 제2 로터리밸브와, 상기 신호물질이송유닛이 상기 신호물질주입구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신호물질을 상기 판별부로 이송하는 단계; 및
    c3) 상기 판별부로 이동되는 상기 시료와 상기 신호물질이 상기 유전자 판별칩의 믹서부를 통과하면서 혼합되어 혼합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포고핀어레이유닛이 상기 전극유닛에 전압을 거는 단계;
    d2) 상기 포고핀 어레이유닛이 전압이 걸린 상기 전극유닛의 전기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d3) 상기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의 증폭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3) 단계에서, 전류량이 낮을수록 상기 유전자가 더 많이 증폭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판별장치의 작동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를 이용한 식중독균 판별기.
  16.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전자 판별장치를 이용한 어종 판별기.
KR1020170010626A 2017-01-23 2017-01-23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76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26A KR101768065B1 (ko) 2017-01-23 2017-01-23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626A KR101768065B1 (ko) 2017-01-23 2017-01-23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065B1 true KR101768065B1 (ko) 2017-08-30

Family

ID=5976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626A KR101768065B1 (ko) 2017-01-23 2017-01-23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0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282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과학기술원 소수성 필터를 이용한 유체 제어 기술이 구비된 전자동 유전자 증폭기
KR102001172B1 (ko) * 2018-11-26 2019-07-18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휴대용 dna분석장치
KR20200061686A (ko) * 2018-11-26 2020-06-03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분석용 일체형 칩장치
KR20210067951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정량 분주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210083784A (ko) * 2019-12-27 2021-07-07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형 미세 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방법
US11878301B2 (en) 2021-06-07 2024-01-23 Credo Diagnostics Biomedical Pte. Ltd. Analysis cartrid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353B1 (ko) 2012-02-29 2013-09-06 케이맥(주) 유전자 정량 검출 실시간 pcr 및 유전자 분석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자진단 자동분석기기
KR101319492B1 (ko) 2012-02-10 2013-10-17 한국과학기술원 신호물질의 이동현상 조절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원―스탭 핵산 검출 및 정량방법
KR101642785B1 (ko) 2014-03-10 2016-07-28 대한민국 어패류의 종 및 원산지 판별을 위한 전기화학적 검출신호를 비교 분석하는 유전자 판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92B1 (ko) 2012-02-10 2013-10-17 한국과학기술원 신호물질의 이동현상 조절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원―스탭 핵산 검출 및 정량방법
KR101302353B1 (ko) 2012-02-29 2013-09-06 케이맥(주) 유전자 정량 검출 실시간 pcr 및 유전자 분석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자진단 자동분석기기
KR101642785B1 (ko) 2014-03-10 2016-07-28 대한민국 어패류의 종 및 원산지 판별을 위한 전기화학적 검출신호를 비교 분석하는 유전자 판독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282A (ko) * 2017-10-12 2019-04-22 한국과학기술원 소수성 필터를 이용한 유체 제어 기술이 구비된 전자동 유전자 증폭기
KR101992875B1 (ko) * 2017-10-12 2019-09-30 한국과학기술원 소수성 필터를 이용한 유체 제어 기술이 구비된 전자동 유전자 증폭기
KR102001172B1 (ko) * 2018-11-26 2019-07-18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휴대용 dna분석장치
KR20200061686A (ko) * 2018-11-26 2020-06-03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분석용 일체형 칩장치
KR102157380B1 (ko) * 2018-11-26 2020-09-17 바이오뱅크 주식회사 분석용 일체형 칩장치
KR20210067951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정량 분주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2494445B1 (ko) 2019-11-29 2023-02-06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정량 분주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210083784A (ko) * 2019-12-27 2021-07-07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형 미세 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방법
KR102363458B1 (ko) * 2019-12-27 2022-02-15 한국과학기술원 모듈형 미세 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방법
US11878301B2 (en) 2021-06-07 2024-01-23 Credo Diagnostics Biomedical Pte. Ltd. Analysis cart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65B1 (ko) 유전자 판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AU2006200021B2 (en) Ultra high throughput microfluidic analytical systems and methods
US10159972B2 (en) Plurality of reaction chambers in a test cartridge
JP6657262B2 (ja) 指定された反応を行わせるための試料支持体及び分析システム
AU2001249320A1 (en) Ultra high throughput microfluidic analytical systems and methods
EP3932554A1 (en) Multi-channel microfluidic blood coagulation measurement chip
US20220258159A1 (en) Systems and modules for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ing
KR101768062B1 (ko) 유전자 판별장치의 상부모듈 및 이의 작동방법
CN107209197A (zh) 诊断芯片
KR101811026B1 (ko) 유전자 판별칩
KR102001172B1 (ko) 휴대용 dna분석장치
KR101802300B1 (ko) 유전자 판별칩을 이용한 유전자 판별방법
KR20230066162A (ko) 열구동 유체 제어 밸브를 이용한 일체형 분자 진단 장치 및 이의 분자 진단 방법
US20230137860A1 (en) Integrated molecular diagnosis apparatus
CN112770841B (zh) 变温反应器及其加热器和控制电路
CN116943758A (zh) 一种微流控芯片及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