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67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675B1
KR101767675B1 KR1020100050176A KR20100050176A KR101767675B1 KR 101767675 B1 KR101767675 B1 KR 101767675B1 KR 1020100050176 A KR1020100050176 A KR 1020100050176A KR 20100050176 A KR20100050176 A KR 20100050176A KR 101767675 B1 KR101767675 B1 KR 10176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request
uplink
sequence
preamb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225A (ko
Inventor
천진영
김수남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675B1/ko
Priority to US13/322,426 priority patent/US20120082120A1/en
Priority to PCT/KR2010/003411 priority patent/WO2010137914A2/ko
Publication of KR20100129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단말은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bandwidth request preamble)들을 생성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에 맵핑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을 전송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레인징(ranging)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규격은 2007년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산하의 ITU-R(ITU-Radiocommunication Sector)에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을 위한 여섯 번째 규격으로 'WMAN-OFDMA TDD'라는 이름으로 채택된 바 있다. ITU-R은 IMT-2000 이후의 차세대 4G 이동통신 규격으로 IMT-Advanced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IEEE 802.16 WG(Working Group)은 2006년 말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규격으로 기존 IEEE 802.16e의 수정(amendment) 규격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IEEE 802.16m 프로젝트의 추진을 결정하였다. 상기 목표에서 알 수 있듯이, IEEE 802.16m 규격은 IEEE 802.16e 규격의 수정이라는 과거의 연속성과 차세대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규격이라는 미래의 연속성인 두 가지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IEEE 802.16m 규격은 IEEE 802.16e 규격에 기반한 Mobile WiMAX 시스템과의 호환성(compatibility)을 유지하면서 IMT-Advanced 시스템을 위한 진보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 한정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송수신 기법 및 활용 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낮은 복잡도로 심벌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벌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벌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전송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신단에서의 복잡도가 감소하고 전송되는 심벌의 간격이 길어져 심벌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은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을 통하여 다중 사용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를 얻을 수 있으며, 부반송파에 대한 순열(permutation) 방식에 따라 부반송파를 다양한 형태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이용한 공간 다중화 기법으로 공간 영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802.16m 시스템에서는 펨토 기지국(femto base station)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최근 이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펨토 기지국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사용되는 초소형 이동 통신 기지국을 의미한다. 펨토 기지국은 피코 셀(pico-cell)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펨토 기지국은 피코 셀보다 더욱 진화된 기능을 가진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펨토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낮은 전송 전력을 가지며, 가입자(subscriber) 또는 접속 제공자(access provider)로 구성된 가입자 그룹에 접속을 제공한다. 펨토 기지국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보급되어 있는 IP 네트워크와 연결되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핵심망(core network)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펨토 기지국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의 광대역(broadband) 연결을 통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핵심망에 연결된다. 또한, 펨토 기지국은 상기 펨토 기지국이 씌워진(overlaid) 매크로 기지국과 에어 인터페이스(air-interface)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는 실외에서 기존의 매크로 기지국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 실내에서는 펨토 기지국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기존의 매크로 기지국의 서비스가 건물 내에서 악화되는 점을 보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실내 커버리지(coverage)를 개선하고, 정해진 특정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높은 품질의 음성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차세대 셀룰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작은 크기의 셀을 여러 개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재사용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펨토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에서 제공되지 않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펨토 기지국의 보급으로 유무선 융합(FMC; Fixed-Mobile Convergence)이 가속화되고 산업 기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패스트 피드백 채널(FFBCH; Fast Feedback Channel), HARQ 피드백 채널(HFBCH;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Channel), 레인징 채널(ranging channel),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펨토 셀 또는 피코 셀과 같이 커버리지가 작은 셀이 도입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커버리지가 작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달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bandwidth request preamble)들을 생성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에 맵핑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레인징(ranging) 시퀀스를 포함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위한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요청 시퀀스는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는 상기 레인징 시퀀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은 3개의 분산된 타일(tile)을 포함하며, 상기 각 타일은 6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4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긴급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를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에 맵핑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는 연속한 2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진입 도중 단말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STID(Station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에 따라 대역폭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자원을 할당하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 그랜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대역폭 요청 채널을 전송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들을 생성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에 맵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위한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레인징 시퀀스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은 3개의 분산된 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각 타일은 6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4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에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요청 시퀀스는 대역폭 요청 과정에 따라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될 수 있다.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에 할당된 자원을 레인징 채널(ranging channel)의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상향링크 자원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3단계 대역폭 요청의 과정의 일 예이다.
도 5는 5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의 일 예이다.
도 6은 BRCH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자원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제안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IEEE 802.16m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단말은 하나의 셀에 속하는데, 단말이 속한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이라 한다. 서빙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이라 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이므로,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이 존재한다. 서빙 셀에 인접하는 다른 셀을 인접 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인접 셀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인접 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 셀 및 인접 셀은 단말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이 기술은 하향링크(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향링크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이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슈퍼프레임(SF; Superframe)은 슈퍼프레임 헤더(SFH; Superframe Header)와 4개의 프레임(frame, F0, F1, F2, F3)을 포함한다. 슈퍼프레임 내 각 프레임의 길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각 슈퍼프레임의 크기는 20ms이고, 각 프레임의 크기는 5ms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슈퍼프레임의 길이, 슈퍼프레임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CP(Cyclic Prepix)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 SF0, SF1, SF2, SF3, SF4, SF5, SF6, SF7)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OFDMA 심볼, SC-FDMA 심볼 등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5, 6, 7 또는 9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채널 대역폭, CP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이 포함하는 OFDM 심볼의 수에 따라 서브프레임의 타입(type)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입-1 서브프레임은 6 OFDM 심볼, 타입-2 서브프레임은 7 OFDM 심볼, 타입-3 서브프레임은 5 OFDM 심볼, 타입-4 서브프레임은 9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은 모두 동일한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프레임은 서로 다른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프레임 내 각 서브프레임마다 포함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모두 동일하거나, 각각 다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프레임 내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의 개수는 상기 프레임 내 나머지 서브프레임의 OFDM 심볼의 개수와 다를 수 있다.
프레임에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TDD 방식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시간 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FDD 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이 동일한 시간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즉, FDD 방식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구분된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으로 복수의 물리 자원 유닛(PRU; Physical Resource Unit)을 포함한다. PRU는 자원 할당을 위한 기본 물리적 단위로,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consecutive) 복수의 OFDM 심볼,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복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PRU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PRU 내 OFDM 심볼의 수는 서브프레임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6 OFDM 심볼로 구성될 때, PRU는 18 부반송파 및 6 OFDM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
논리 자원 유닛(LRU; Logical Resource Unit)은 분산적(distributed) 자원 할당 및 연속적(contiguous) 자원 할당을 위한 기본적인 논리 단위이다. LRU는 복수의 OFDM 심볼과 복수의 부반송파로 정의되고, PRU에서 사용되는 파일럿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LRU에서의 적절한 부반송파의 개수는 할당된 파일럿의 수에 의존한다.
분산 논리 자원 유닛(DLRU; Distributed Logical Resource Unit)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DLRU는 하나의 주파수 파티션 내의 자원 영역에 분산된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DLRU의 크기는 PRU의 크기와 같다. DLRU를 형성하는 최소 단위는 타일(tile)일 수 있다.
연속 논리 자원 유닛(CLRU; Contiguous Logical Resource Unit)은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RU는 자원 영역에서 연속한 부반송파 그룹을 포함한다. CLRU의 크기는 PRU의 크기와 같다.
도 3은 상향링크 자원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파티션으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이 2개의 주파수 파티션(FP1, FP2)으로 나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서브프레임 내 주파수 파티션의 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주파수 파티션은 FFR과 같은 다른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 주파수 파티션은 적어도 하나의 PRU로 구성된다. 각 주파수 파티션은 분산된 자원 할당(distributed resource allocation) 및/또는 연속된 자원 할당(contiguous resource allo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된 자원 할당은 DLRU일 수 있으며, 상기 연속된 자원 할당은 CLRU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 파티션(FP2)은 분산된 자원 할당 및 연속된 자원 할당을 포함한다. 'Sc'는 부반송파를 의미한다.
이하, 제어 신호 또는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채널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제어 채널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하향링크 제어 채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1) 제어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은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 이득을 얻기 위해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LRU가 6개의 OFDM 심볼 상의 6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타일을 3개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때, 제어 채널은 3개의 타일을 포함하고 각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는 제어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타일을 포함하고, 타일은 복수의 미니 타일로 구성되어 복수의 미니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니타일은 (OFDM 심볼 × 부반송파) = 6×6, 3×6, 2×6, 1×6, 6×3, 6×2, 6×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EEE 802.16e의 (OFDM 심볼 × 부반송파) = 3×4의 PUSC 구조의 타일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과 미니 타일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이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된다고 가정할 때, 미니 타일은 (OFDM 심볼 × 부반송파) = 6×2, 6×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니 타일을 포함하는 제어 채널만을 고려할 때, 미니 타일은 (OFDM 심볼 × 부반송파) = 6×2, 3×6, 2×6, 1×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고속의 단말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는 최소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350km/h로 이동하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는 3개 이하가 적절하다.
(3) 단말의 심볼당 전송 전력은 한계가 있고, 단말의 심볼당 전송 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2)의 고속의 단말과 (3)의 단말의 심볼당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OFDM 심볼의 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4) 코히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하여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 부반송파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고루 분산되어야 한다. 코히런트 검출은 파일럿을 이용한 채널 추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 데이터를 구하는 방법이다. 파일럿 부반송파의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을 위하여, 제어 채널의 OFDM 심볼 당 파일럿의 수가 동일하여야 심볼당 전송 전력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5) 논-코히런트 검출(non-coherent detection)을 위하여 제어 신호는 직교 코드/시퀀스 또는 준직교(semi-orthogonal) 코드/시퀀스로 구성되거나 스프레딩(spreading)되어야 한다.
상향링크 제어 채널은 패스트 피드백 채널(FFBCH; Fast Feedback Channel), HARQ 피드백 채널(HFBCH;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Channel), 레인징 채널(ranging channel),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FBCH, HFBCH, 레인징 채널, BRCH 등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프레임의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BRCH는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자원을 요청하는 채널이다. BRCH는 단말이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preamble)과 추가적인 긴급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포함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대역폭을 요청할 수 있다. 대역폭 요청 정보는 BRCH을 통해 경쟁 기반(contention based) 임의 접속의 방식으로 전송된다.
대역폭 요청은 일반적으로 3단계 또는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은 보다 신속한 대역폭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5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은 경쟁 기반 대역폭 요청 과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5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신속한 대역폭 요청을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어떤 대역폭 요청 과정을 거쳐 대역폭 요청을 수행할 할 것인지는 기지국 또는 단말이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3단계 대역폭 요청의 과정의 일 예이다.
단계 S5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역폭 요청 지시자 및 긴급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는 단말 어드레싱(addressing), 요청하는 대역폭의 크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보고, QoS(Quality of Service) 식별자(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1에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상기 대역폭 요청 지시자 및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의미의 ACK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2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추가적인 대역폭 요청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5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의 일 예이다.
단계 S60에서 단말은 대역폭 요청 지시자(bandwidth request indicator)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계 S61에서 기지국은 대역폭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스케쥴링하기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상기 대역폭 요청 지시자를 수신했다는 의미의 ACK(Acknowledgement)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2에서 단말은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계 S63에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은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의미의 ACK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4에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추가적인 대역폭 요청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의 5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은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도 3의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대체적인 대역폭 요청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ACK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미리 정해진 주기의 만료 시점까지 기다리다가 대역폭 요청 과정을 다시 처음부터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는 스케쥴링 타입(scheduling type) 또는 우선 순위(priority) 등의 QoS 파라미터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대역폭 요청 과정이 수행되어 대역폭이 즉시 추가로 할당된 경우, 기지국은 따로 ACK을 보낼 필요가 없다.
대역폭 요청 지시자는 복수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시퀀스는 용도에 따라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 및 상기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구분하는 정보 또는 구분된 시퀀스의 인덱스는 미리 지정되거나 브로드캐스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역폭 요청 지시자로 19개의 시퀀스가 주어질 때, 기지국은 17개의 시퀀스는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지정하고 나머지 2개의 시퀀스는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단말에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도 6은 BRCH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자원의 일 예를 나타낸다.
BRCH에 할당되는 상향링크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요청 타일(BR tile)을 포함한다. 대역폭 요청 타일은 BRCH의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할당 단위이다. 대역폭 요청 타일은 물리적 자원 할당 단위일 수 있고, 또는 논리적(logical) 자원 할당 단위일 수 있다. 하나의 대역폭 요청 타일은 시간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벌 상에 주파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대역폭 요청 타일은 복수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또는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반송파에는 제어 신호의 시퀀스가 맵핑되고, 파일럿 부반송파에는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이 맵핑될 수 있다.
대역폭 요청 타일(71, 72, 73)은 6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로 정의된다. 또한, 각 BRCH는 3개의 분산된 대역폭 요청 타일(71, 72, 7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대역폭 요청 타일(71)과 제2 대역폭 요청 타일(72) 사이 및/또는 제2 대역폭 요청 타일(72)과 제3 대역폭 요청 타일(73) 사이에는 다른 타일이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역폭 요청 타일들(71, 72, 73)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얻을 수 있다. 대역폭 요청 타일에 포함되는 시간 영역에서의 OFDM 심벌의 수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부반송파의 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한이 아니다. 대역폭 요청 타일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가 6이라면, 대역폭 요청 타일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6일 수 있다.
OFDM 심벌은 시간 영역에서 구간(duration)을 말하며, 반드시 OFDM/OFDMA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심벌 구간 등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OFDM 심벌이라는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특정 다중 접속 방식(multiple access scheme)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반송파는 주파수 영역에서 할당 단위를 말하며, 여기서는 하나의 부반송파를 단위로 하지만, 부반송파 집합 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각 대역폭 요청 타일(71, 72, 73)은 각각 프리앰블 부분(Pr)과 데이터 부분(M)으로 나뉠 수 있다. 프리앰블 부분(Pr)은 4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앰블 부분(Pr)은 직교(orthogonal)한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도 4 또는 도 5의 대역폭 요청 지시자일 수 있다. 데이터 부분(M)은 2개의 연속한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부분(M)은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에서의 긴급 접속 메시지 또는 STID(Station Identifier)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TID는 네트워크 진입(network entry)와 같은 상황에서 기지국의 영역 내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 할당하는 정보이다. STID는 12비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등록된 각 단말은 할당된 STID를 갖는다. 특정 STID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또는 레인징 등의 용도를 위하여 남겨질 수 있다. 단말은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대역폭 요청 타일의 데이터 부분(M)을 사용하지 않고 남겨둘 수 있다. 즉, 대역폭 요청 타일의 데이터 부분(M)은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레인징 채널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인징 채널은 비동기 단말(non-synchronized MS)와 동기 단말(synchronized MS)을 위한 레인징 채널로 구분될 수 있다. 비동기 단말을 위한 레인징 채널은 초기 네트워크 진입(initial network entry) 및 핸드오버 중 목적 기지국(target base station)에 대한 레인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동기 단말을 위한 레인징 채널이 전송되기로 한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은 다른 어떤 상향링크 버스트(uplink burst) 또는 상향링크 제어 채널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동기 단말을 위한 레인징 채널은 주기적 레인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목적 기지국과 이미 동기화된 단말은 동기 단말을 위한 레인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레인징 채널은 4개의 인접한 CLRU를 포함하는 하나의 서브밴드(subband)에 할당될 수 있다.
일반적인 셀에 비해서 커버리지가 작은 셀이 존재할 수 있다. 펨토 셀, 중계를 위한 중계국 등의 커버리지는 일반적인 매크로 셀이 비해서 작으며, 전송 전력도 비교적 작다. 이와 같이 커버리지가 작은 셀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동기가 어긋날 가능성이 크지 않으며, 동기가 어긋난다 하더라도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매크로 셀과 같이 레인징 채널, 특히 초기 접속 레인징 채널을 많은 자원을 사용하여 강인하게(robust)하게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기존에 경쟁(contention) 기반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레인징 채널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경쟁 기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중 BRCH에 할당된 자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초기 접속 레인징 채널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향링크 제어 채널 중에서 다른 경쟁 기반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할당된 자원의 일부를 레인징 채널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제안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단계 S100에서 단말은 복수의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들을 생성한다. 단계 S110에서 단말은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에 맵핑한다. 단계 S120에서 단말은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을 전송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위한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레인징(ranging) 시퀀스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이 대역폭 요청 채널을 통해 대역폭 요청과 초기 접속 레인징 요청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기지국은 대역폭 요청을 수신할 때 대역폭 요청과 초기 접속 레인징 요청을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펨토 셀과 같이 커버리지가 작은 셀에서는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만으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의 일부는 3단계 대역폭 요청 과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레인징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이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되는 경우, 특히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가 레인징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초기 접속의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TID를 아직 할당 받지 못한 상태이므로, 대역폭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 중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초기 접속 레인징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 레인징 시퀀스의 조합으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 타입에 따라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다양한 용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단말(900)는 프로세서(910; processor) 및 RF부(920; Radio Frequency Unit)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RF부(920)와 연결되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bandwidth request preamble)들을 생성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에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RF부(920)는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을 전송한다.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위한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상향링크 동기화를 위한 레인징(ranging) 시퀀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8의 단말에 의해서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이 전송된 후, 도 4 또는 도 5의 대역폭 요청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bandwidth request preamble)들을 생성하되,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요청 시퀀스 및 상향링크 동기화의 최초 레인징(ranging)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인징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에 맵핑하고, 및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의 서빙 셀이 일반적인 셀 범위 보다 작은 셀 범위를 갖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요청 시퀀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인징 시퀀스를 각각 사용하여 상기 BRCH 채널을 통해 동시에 상기 대역폭 요청 및 상기 최초 레인징을 수행하되,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UE의 서빙 셀이 작은 셀 범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의 첫 번째 수는 오직 상기 상향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의 두 번째 수는 오직 상향링크 동기화의 최초 레인징(ranging) 위해 사용되고, 및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이 상기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상기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되면, 상기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구비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오직 상기 상향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구비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오직 상향링크 동기화의 최초 레인징(ranging) 위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은 3개의 분산된 타일(tile)을 포함하며,
    상기 각 타일은 6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4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에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긴급 접속 메시지(quick access 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를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에 맵핑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는 연속한 2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에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접속 메시지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진입 도중 단말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STID(Station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에 따라 대역폭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자원을 할당하는 대역폭 요청 메시지 그랜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고,
    상기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장치에 있어서,
    대역폭 요청 채널을 전송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bandwidth request preamble)들을 생성하되,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요청 시퀀스 및 상향링크 동기화의 최초 레인징(ranging)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인징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을 대역폭 요청 채널(BRCH; Bandwidth Request Channel)에 맵핑하고, 및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의 서빙 셀이 일반적인 셀 범위 보다 작은 셀 범위를 갖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요청 시퀀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인징 시퀀스를 각각 사용하여 상기 BRCH 채널을 통해 동시에 상기 대역폭 요청 및 상기 최초 레인징을 수행하되,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UE의 서빙 셀이 작은 셀 범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의 첫 번째 수는 오직 상기 상향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의 두 번째 수는 오직 상향링크 동기화의 최초 레인징(ranging) 위해 사용되고, 및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이 상기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와 상기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로 구분되면, 상기 3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구비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오직 상기 상향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5단계 대역폭 요청 시퀀스를 구비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오직 상향링크 동기화의 최초 레인징(ranging) 위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요청 채널은 3개의 분산된 타일(tile)을 포함하며,
    상기 각 타일은 6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요청 프리앰블은 4개의 부반송파와 6개의 OFDM 심벌에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삭제
KR1020100050176A 2009-05-28 2010-05-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6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176A KR101767675B1 (ko) 2009-05-28 2010-05-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13/322,426 US20120082120A1 (en) 2009-05-28 2010-05-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up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0/003411 WO2010137914A2 (ko) 2009-05-28 2010-05-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67309P 2009-05-28 2009-05-28
US61/181,673 2009-05-28
KR1020100050176A KR101767675B1 (ko) 2009-05-28 2010-05-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25A KR20100129225A (ko) 2010-12-08
KR101767675B1 true KR101767675B1 (ko) 2017-08-14

Family

ID=4322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176A KR101767675B1 (ko) 2009-05-28 2010-05-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82120A1 (ko)
KR (1) KR101767675B1 (ko)
WO (1) WO20101379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9325B2 (en) * 2009-09-15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over the air load indicator for wireless scheduling
US8868091B2 (en) * 2010-01-1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via over the air load indicator and relative narrowband transmit power
KR101158222B1 (ko) 2010-12-16 2012-06-1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US9794780B2 (en) * 2014-03-21 2017-10-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station, access node and various methods for implementing an accelerated system access procedure
KR20170097670A (ko) * 2014-12-03 2017-08-28 후아웨이 테크놀로지즈 뒤셀도르프 게엠베하 프리앰블 코딩으로 랜덤 액세스를 우선순위화하는 방법
WO2016117772A1 (en) * 2015-01-23 2016-07-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90363B2 (en) 2018-04-18 2022-11-01 Google Llc User device-initiated bandwidth request
US10609681B2 (en) 2018-04-24 2020-03-31 Google Llc User device-initiated request for resource config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201B1 (ko) * 2002-04-22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레인징 방법
KR100689508B1 (ko) * 2003-09-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20050044219A (ko) * 2003-11-07 2005-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WO2005112566A2 (en) * 2004-05-01 2005-12-01 Neocif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s with variable channel bandwidth
US20060239239A1 (en) * 2005-04-26 2006-10-26 Navini Networks, Inc. Random access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005681B1 (ko) * 2005-10-31 201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
CN100499869C (zh) * 2006-05-24 2009-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接入方法及系统
MX2009004810A (es) * 2006-11-07 2009-08-31 Directv Group Inc Metodologias de formacion de tramas de señalizacion directa aas para soportar enlaces inalambricos de alta capacidad.
US20080165733A1 (en) * 2007-01-10 2008-07-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ynamic and contention-free allocation of communication resources
KR20090038990A (ko) * 2007-10-17 2009-04-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향 링크 트래픽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20090109932A1 (en) * 2007-10-25 2009-04-30 Nokia Siemens Networks Oy Fast urgent services support over 802.16 air interface
US20090161528A1 (en) * 2007-12-21 2009-06-25 Motorola, Inc. Method for extending ranging region in an ofdma system
US8463297B2 (en) * 2007-12-27 2013-06-11 Trueposition, Inc. Subscriber selective, area-based service control
US8830982B2 (en) * 2008-05-05 2014-09-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uplink control
US8085703B2 (en) * 2008-05-19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ccele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KR101019713B1 (ko) * 2008-09-02 2011-03-07 한국과학기술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무선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KR100967657B1 (ko) * 2008-09-19 2010-07-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펨토셀 기지국의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펨토셀 기지국
US8130728B1 (en) * 2008-09-23 2012-03-06 Clearwire Ip Holdings Llc Dynamic transmission of DCD and UCD messages in a WiMAX network
US9143275B2 (en) * 2008-12-16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the accessibility of femto-base sta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WO2010095888A2 (ko) * 2009-02-19 201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과 중간 접속점 사이의 거리 계산을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8442539B2 (en) * 2009-02-27 2013-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iques for supporting low duty cycle mode of base station
KR101666899B1 (ko) * 2009-05-24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KR101599855B1 (ko) * 2009-05-24 2016-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KR101598917B1 (ko) * 2009-07-03 201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팸토 시스템에서 단말의 레인징
US8345535B2 (en) * 2009-07-13 2013-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anging preamble c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301804B (zh) * 2010-01-08 2014-01-08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上行链路同步方法、移动台及基站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802.16m-08/003r8*
IEEE C802.16m-09/0198*
IEEE C802.16m-09/0248*
IEEE C802.16m-09/0905r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225A (ko) 2010-12-08
US20120082120A1 (en) 2012-04-05
WO2010137914A2 (ko) 2010-12-02
WO2010137914A3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6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JP58019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ための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装置
WO2010095896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 워킹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84008B1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요청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10023711A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방법
KR101698604B1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012324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ang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912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400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ang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878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912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331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단말을 위한 레인징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1037375A2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6386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프리앰블 코드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36581B1 (ko)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964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6370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166331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전송 방법
JP535654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信号送信方法及び装置
KR20130039645A (ko) 제어 채널 확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WO2012060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andwidth request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WO2011034368A2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30268A (ko) 중계국의 상향링크 제어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