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466B1 -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466B1
KR101767466B1 KR1020150173318A KR20150173318A KR101767466B1 KR 101767466 B1 KR101767466 B1 KR 101767466B1 KR 1020150173318 A KR1020150173318 A KR 1020150173318A KR 20150173318 A KR20150173318 A KR 20150173318A KR 101767466 B1 KR101767466 B1 KR 10176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210A (ko
Inventor
나영석
노태영
임형택
탁종상
Original Assignee
(주)파워보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보이스 filed Critical (주)파워보이스
Priority to KR102015017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4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출력하는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하는 음파 분석부, 및 사운드 코드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음파를 이용한 정보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외부 서버에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손쉽게 추가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eing Controllable by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음파를 이용한 정보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외부 서버에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손쉽게 추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보급에 따라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디바이스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의 등록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디바이스의 AP를 직접 셋팅하고, AP 커넥팅을 직접 설정해야 하는 복잡한 절차를 실행해야 하므로 전문적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추가 및 변경을 통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확장 및 변경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음파를 이용한 정보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외부 서버에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손쉽게 추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출력하는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하는 음파 분석부; 및 상기 사운드 코드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운드 코드에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서버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음파를 이용한 정보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외부 서버에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손쉽게 추가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외부 서버로의 등록 및 외부 서버를 통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앱의 실행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정보에 주파수를 매핑시키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가 사용되는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가 사용되는 동작 환경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 이외에도 이동 단말기(100)와 클라우드 서버 등의 외부 서버(300)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로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를 외부 서버(300)에 등록하고, 이후 이동 단말기(100)의 앱을 통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를 원격 제어한다.
한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가 출력하는 소정의 음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한 후, 추출된 사운드 코드에 대응되는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300)로 디바이스(200) 등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의 사운드 코드는 사운드 큐알(QR) 코드로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정보를 음파의 형태로 인코딩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외부 서버(3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로부터 디바이스(200)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기기 정보를 등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30), 마이크(Mic) 등의 오디오 입력부(250), 및 오디오 코덱 등을 포함하는 음파 분석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로서 외부 서버(300)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며, 제어부(23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오디오 입력부(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음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오디오 코덱 등을 포함하는 음파 분석부(270)는 오디오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된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하고, 사운드 코드에 대응되는 소정의 정보인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외부 서버(300)로의 등록 및 외부 서버(300)를 통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외부 서버(300)로의 등록 및 외부 서버(300)를 통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앱을 자신의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앱스토어, 구글플레이 등의 앱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으며, 해당 앱을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한다(S310).
그 다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을 실행시킨 후에 도 4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외부 서버(300)에 등록할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선택한다(S32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로는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스위치, 스마트 조명등, 스마트 보일러, 스마트 TV, 스마트 카메라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종류를 선택한 경우에 앱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에게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근처로 접근시킬 것을 요청한다.
이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와 자신이 선택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예를 들면, 스마트 스위치)와의 거리가 1m 이하가 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로 접근시킨다(S330).
그 다음, 사용자는 도 5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된 "Register Mode" 버튼을 입력하며, 이에 따라 앱은 도 6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주변 공간에서 감지되는 무선 통신망인 와이파이(WIFI) 망의 목록을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목록들 중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외부 서버(300)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할 무선 통신망을 선택하며 선택한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를 입력한다(S340).
한편, 사용자는 도 7에서와 같이 앱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전술한 S320 단계에서 선택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에 대해 선택한 카테고리 및 이름은 앱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소정의 음파 송출 요청 버튼(Sound QR 버튼)을 입력한다(S350).
그에 따라 앱은 전술한 S3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망의 목록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 및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를 포함하는 사운드 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운드 코드는 사운드 큐알(QR) 코드로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정보를 음파의 형태로 인코딩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앱의 사운드 코드 생성 모듈은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정보(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망의 목록 정보,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코드 음향(또는 음향 파일)을 생성한다.
이 때, 음향은 물체에서 나는 소리와 그 울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향은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의 소리(또는 사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음향의 일례는 음성 또는 음악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전술한 S3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음파 송출 요청 버튼(Sound QR 버튼)을 입력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S3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망의 목록 정보,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 및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코드를 포함하는 음파를 출력하게 되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오디오 입력부(25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입력받게 된다(S360).
한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음파 분석부(270)는 오디오 입력부(250)에 입력된 음파로부터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 및 해당 사운드 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망의 목록 정보,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 및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음파 분석부(270)는 사운드 코드 입력부, 프레임 분할부, 주파수 식별부 및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먼저, 사운드 코드 입력부는 오디오 입력부(250)를 통해 이도 단말기부터 출력된 음파에 포함되어 있는 사운드 코드를 입력받는다.
프레임 분할부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사운드 코드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분할부는 10msec에서 100msec의 시간 간격에 따라 사운드 코드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이 때, 사운드 코드가 10초간 지속되는 음파이고 100msec 시간 간격으로 프레임을 분할한 경우, 사운드 코드는 100개의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주파수 식별부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한다.
이 때, 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소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는 4000 Hz 이상 24000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주파수간의 간격은 50 Hz 에서 200 Hz이며, 사운드 코드는 비가청 주파수를 갖는 음파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식별부(23)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의 피크를 분석함으로써,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주파수 식별부는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 중 제 1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인 15000 Hz를 식별하고, 제 2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인 17000 Hz를 식별할 수 있다.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앱은 전술한 S350 단계에서 비가청 음파 대역 주파수인 15000 Hz 에서 20000 Hz 사이의 총 대역폭 5000 Hz를 200Hz 단위로 분리하면, 25개의 주파수로 구분가능 하고, 구분한 25개의 주파수 각각을 25개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하고, 결정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사운드 코드의 각 프레임에 배열시킬 수 있을 것이다.
주파수 식별부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파수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식별부는 아날로그 사운드 코드, 복수의 프레임 또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의 사운드 신호에 대한 주파수 변환 기법 및 역 주파수 변환 기법을 활용하여,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 기법의 일례는 FFT(Fast Fourier Transform)이고, 역주파수 변환 기법의 일례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이다.
사운드 신호는 소정 주파수를 중심(또는 기본)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 신호는 주파수 15000 Hz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현파 음파 신호는 이산 신호 샘플들이고, 사운드 신호는 코덱을 통해 정현파 음파 신호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정보 생성부는 식별한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부분 정보의 일례는 'ㄱ', 'a'와 같은 문자, '1', '2'와 같은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문자는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일 수 있다.
정보 생성부는 예를 들어, 사운드 코드가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 1 프레임의 주파수가 15000 Hz이고,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15200 Hz이고, 제 3 프레임의 주파수가 17000 Hz인 경우, 15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0', 152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1' 및 17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A' 각각을 생성한다.
정보 생성부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생성부는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0' 제 2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1', 제 3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A'인 경우, 부분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인 '01A'를 디코딩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사운드 코드는 헤더, 바디 및 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에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고, 헤더에는 인코딩 장치의 식별 정보, 디코딩 장치의 식별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사운드 신호(또는 부가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테일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와 같은 오류 정정 코드에 대응하는 오류정정 사운드 신호(또는 오류정정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생성부는 사운드 코드에 포함된 헤더, 바디 및 테일에 기초하여 정보 또는 부분 정보를 디코딩 또는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식별부는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식별하고, 정보 생성부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 1 부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식별부는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를 식별하고, 정보 생성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하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1개의 정보당 2개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은 기존의 1개의 정보당 1개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디코딩시 분류가 용이하도록 정보 표현당 주파수 할당을 200Hz로 할 경우, 비가청 15000 내지 20000 Hz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량은 5000 Hz를 200으로 나눈 25 가지의 정보 표현만이 가능한 반면, 1개의 정보당 2개의 주파수를 할당하여 인코딩하는 경우, 이론상 25와 24의 곱인 600가지의 정보 표현이 가능해진다.
이때, 주파수에 대한 변별력을 고려하여 근접한 주파수를 배제하여도 최소 25와 20의 곱인 500 가지의 안정성 있는 정보 표현이 가능해진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하나의 주파수를 식별하는 것을 퓨어 톤 디코딩 기법이라고 표현하고,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둘 이상의 주파수를 식별하는 것을 멀티 톤 디코딩 기법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멀티 톤 디코딩 기법을 예시하면, 주파수 식별부는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제1 주파수인 15000 Hz과 제 2 주파수인 17000 Hz 각각을 식별하고, 정보 생성부는 제 1 주파수와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 1 부분 정보인 '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프레임의 사운드 신호는 제 1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 및 제 2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는 코덱을 통해 중심 주파수가 제 1 주파수인 제 1 정현파 음파 신호로부터 변환된 것이고, 제 2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는 코덱을 통해 중심 주파수가 제 2 주파수인 제 2 정현파 음파 신호로부터 변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식별부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 m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음파가 출력되는 경우, 오디오 입력부(250)에 수신된 음파의 주파수 스펙트라 스코프는 샤프(Sharp)한 모양을 가진다. 즉, 수신된 음파의 신호대 잡음비(SNR)가 우수하여 음파 분석부(270)의 인식률은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생성부는 제 1 프레임의 주파수와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도, 특정 상황에서 제 1 프레임의 주파수의 부분 정보와 제 2 프레임의 주파수의 부분 정보를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인식 환경에서 실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반향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반향에 의한 주파수 성분은 다음 신호열(또는 부분 정보)의 주파수 성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어, 디코딩 시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부분 정보가 연속될 때, 반향 성분은 다음 부분 정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앱의 인코딩 모듈과 음파 분석부(270)는 동일 부분 정보가 연속될 때, 두 번째 부분 정보의 주파수 대역은 기 정해진 특정 주파수로 결정함으로써, 반향 성분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예시하면, 정보 생성부는 제 1 프레임의 주파수를 15000 Hz로 식별하고, 제 2 프레임의 주파수를 19000 Hz로 식별한 경우,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부분 정보 'α'에 대응하더라도, 이를 'α'로 해석하지 아니하고, 제 1 프레임의 주파수인 15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1'로 해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정보 생성부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정보를 '11'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α'는 '1'과 '1', '2'와 '2' 및 'A'와 'A'와 같은 연속하는 부분 정보가 발생될 때, 사용되는 기 결정된 부분 정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음파 및 사운드 코드에 기초하여, 음파 분석부(270)에 포함된 정보 생성부는 음성에 대한 음성인식 및 사운드 코드의 인식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망의 목록 정보,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 및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음성의 주파수는 100 Hz 이상 8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고, 사운드 코드의 주파수는 4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파 분석부(270)가 추출한 상기 정보(사용자가 선택한 무선 통신망의 목록 정보,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 및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를 통신부(210)에 무선 통신망의 접속 정보로서 제공하며, 통신부(210)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망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300)에 접속하고,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300)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등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70).
이에 외부 서버(3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로부터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등록 요청 신호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통신 ID,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S350 단계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앱에서의 음파 생성시에는 해당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에 무선 통신망의 접속 정보 이외에도,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에 따라 외부 서버(300)에는 전술한 S370 단계에서 등록 요청을 송신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정보[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통신 ID,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 등의 정보]가 등록된다.
이후,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음파를 통해 수신한 통신망 접속 정보 및 외부 서버(300)의 IP ADDRESS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외부 서버(300)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S380).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가 스마트 플러그인 경우에는 플러그-인, 플러그-아웃 정보, 스마트 스위치인 경우에는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 스마트 조명등인 경우에는 조명의 온-오프 정보, 조도 정보, 스마트 보일러인 경우에는 가동 여부 정보, 온도 정보, 스마트 TV 인 경우에는 시청 채널 정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후, 원격에서 상태를 점검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을 도 8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선택하고, 상태 정보 요청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에 외부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 서버(300)는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신하게 된다(S38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외부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한 후, 해당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을 도 8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통해 선택하고, 온-오프, 온도 설정 등의 동작 제어 요청 버튼을 입력한다.
이에 이동 단말기(100)의 앱은 외부 서버(300)에 동작 제어 요청 신호를 송신하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동작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외부 서버(300)는 해당 요청에 포함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카테고리,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이름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요청에 따른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로 송신한다(S39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200: 무선 통신 디바이스,
300: 외부 서버.

Claims (4)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가 출력하는 음파에 포함된 사운드 코드를 추출하는 음파 분석부; 및
    상기 사운드 코드에 대응되는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무선 통신망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코드에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서버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망으로의 접속 패스워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서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20150173318A 2015-12-07 2015-12-07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KR10176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18A KR101767466B1 (ko) 2015-12-07 2015-12-07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18A KR101767466B1 (ko) 2015-12-07 2015-12-07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10A KR20170067210A (ko) 2017-06-16
KR101767466B1 true KR101767466B1 (ko) 2017-08-14

Family

ID=5927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318A KR101767466B1 (ko) 2015-12-07 2015-12-07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442A (ko) * 2019-10-10 202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10A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756B1 (ko)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해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
CN103929767B (zh) 一种基于声波或光波通信的无线网络设置方法
US9544682B2 (e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audio of different programs
AU2014213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on time re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22950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ervice
CN109714782A (zh) 用于智能设备配网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10089347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음성데이터를 학습하는 방법
JP671528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597657B1 (ko)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CN105518645A (zh) 负载平衡的持久连接技术
CN110687815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0469787B1 (en) Learning multi-device controller with personalized voice control
CN105490790B (zh) 载波聚合中辅载波的配置方法和装置
KR20210097469A (ko) IoT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3692091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5049922A (zh) 用upnp对与主显示器在相同房间的候选同伴设备的接近检测
KR101767466B1 (ko)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CN109818723A (zh) 一种进行数据传输的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US20140162715A1 (en)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database server, and channe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EP3827601A1 (en) Throwable microphone lighting with light indication
CN109412908A (zh) 一种语音显示可控制设备的方法和设备
US20150194145A1 (en) Computing system with command-sens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6051563A (zh) 智能照明设备的控制方法及智能照明设备
JP2017535185A5 (ko)
CN115512479A (zh) 管理接待信息的方法以及后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