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689B1 -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689B1
KR101766689B1 KR1020170062935A KR20170062935A KR101766689B1 KR 101766689 B1 KR101766689 B1 KR 101766689B1 KR 1020170062935 A KR1020170062935 A KR 1020170062935A KR 20170062935 A KR20170062935 A KR 20170062935A KR 101766689 B1 KR101766689 B1 KR 10176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pipe
air
liquid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17006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5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being fluid actu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에서 생장하는 농작물에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내에서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사공 외측으로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 분사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농약 또는 물로 된 액체가 이동되는 이송관(12) 상에 접속 연결되도록 내측 유입공(21)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 상에 상기 이송관(12)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대(14)에 연결 고정되는 체결고리(23)가 형성되는 연결관(20);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 양측에 경사진 각도로 대향지게 각각 설치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는 한쌍의 공급관(30); 상기 공급관(30)의 내측에 관 형태로 삽입되어지되, 외측단부에 공급관(30)의 외측 테두리부에 밀착걸림되는 확장단턱부(41)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 축소단턱부(43)가 형성되며, 상기 축소단턱부(43)의 내측에 축소단턱부(4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단부에 여과망(47)이 형성되는 스페이서관(40); 상기 스페이서관(4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공급관(30)으로 전달되는 액체압에 의해 연통공(45)을 통과하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재(50);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에 탄성스프링(59)으로 연결되는 막음판(61)과, 상기 막음판(61)의 외측으로 막음판(61)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 형성되어 잠류공간(s)을 형성하는 연결봉(63)과, 상기 연결봉(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꼭지부가 절개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경사형와류홈(66)이 형성되는 와류형성체(65)와,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측단부에 와류형성체(65)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형성되는 와류유지용 노즐팁(67)으로 된 와류생성부재(60); 상기 와류생성부재(60)를 수용하면서 내주연에 공급관(30)의 수나사부(3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71)를 갖는 수용관(7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72)의 단부에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면이 선택 밀착되도록 외향소폭의 경사관(74)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관(74)의 단부에 상기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용되면서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의 외주연과 이격거리가 유지되는 액체분사공(7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63)이 위치되는 수용관(72) 상에 외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78)이 형성되는 분사노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Nozzle for swirling air of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에서 생장하는 농작물에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내에서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사공 외측으로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 분사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 생장하는 비닐하우스에는 물이나 농약 등을 농작물에게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분사노즐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노즐의 구조는 공급관에 접속되고 외측에 고정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유입공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된 한 쌍의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나사체결되고 내부에 분사장치가 설치된 노즐캡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장치의 구조는, 분사관과 노즐캡 간의 수밀을 위한 오링과, 분사되는 물이나 농약 등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물이나 농약 등을 가늘게 통과시키는 분사내관과, 유출되는 물이나 농약 등에 와류를 일으키도록 와류홈이 형성된 노즐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공급관의 내부에서 빠르게 흐르는 물이나 농약 등의 연결관을 통해 분사관으로 공급되면, 분사관의 내부에 설치된 분사장치의 분사내관과 노즐팁에 의해 분무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분사노즐의 분사장치에서 노즐팁에 와류를 일으키도록 와류홈이 형성되는데, 종래 구조에서는 상기 와류홈에 의해서만 와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와류홈을 통과하는 액체의 분사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와류 형성이 힘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먼 거리 분사가 힘들기 때문에 그 만큼의 설치개수를 늘려야 하는 설치부담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분사노즐의 노즐팁은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와류홈이 매끈하지 못하고 거칠기 때문에, 와류를 일으키기에 다소 정밀함이 떨어지고 가공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890547호를 통해 공급관에 접속되고 외측에 고정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유입공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된 한 쌍의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직경이 축소되는 분사내관과, 상기 분사내관의 단부에 내입되어 토출공이 형성된 노즐팁이 설치되며, 선단에 분사공이 천공된 노즐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여과망은 분사관의 외측 끝단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되어 분사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페이서관에 의해 연결관의 내측 끝단부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된 고정관의 내부에 설치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관의 단턱의 저면과 상기 노즐캡의 분사공의 내면에는 각각 분사관과 노즐팁을 압지하여 수밀시키는 압착돌기가 돌설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0950830호를 통해 공급관에 접속되고 외측에 고정구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유입공이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대칭되는 각도로 설치된 한 쌍의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나사 체결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과 직경이 축소되는 분사내관과 상기 분사내관의 단부에 내입되어 토출공이 형성된 노즐팁이 설치된 노즐캡과; 상기 분사관의 내측에 설치되어 여과망이 분사관의 내측 끝단부에 설치되도록 단턱이 끝단부에 돌설된 스페이서관;으로 구성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관의 내부에는 분사압이 일정 이상일 때 분사관을 개방시킴으로써 여과망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이 쉽게 제거되면서 분사공으로 분사되는 액체가 안개 형태로 분무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을 개시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0890547호 등록특허 제10-095083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에서 생장하는 농작물에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내에서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사공 외측으로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 분사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농약 또는 물로 된 액체가 이동되는 이송관(12) 상에 접속 연결되도록 내측 유입공(21)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 상에 상기 이송관(12)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대(14)에 연결 고정되는 체결고리(23)가 형성되는 연결관(20);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 양측에 경사진 각도로 대향지게 각각 설치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는 한쌍의 공급관(30); 상기 공급관(30)의 내측에 관 형태로 삽입되어지되, 외측단부에 공급관(30)의 외측 테두리부에 밀착걸림되는 확장단턱부(41)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 축소단턱부(43)가 형성되며, 상기 축소단턱부(43)의 내측에 축소단턱부(4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단부에 여과망(47)이 형성되는 스페이서관(40); 상기 스페이서관(4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공급관(30)으로 전달되는 액체압에 의해 연통공(45)을 통과하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재(50);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에 탄성스프링(59)으로 연결되는 막음판(61)과, 상기 막음판(61)의 외측으로 막음판(61)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 형성되어 잠류공간(s)을 형성하는 연결봉(63)과, 상기 연결봉(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꼭지부가 절개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경사형와류홈(66)이 형성되는 와류형성체(65)와,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측단부에 와류형성체(65)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형성되는 와류유지용 노즐팁(67)으로 된 와류생성부재(60); 상기 와류생성부재(60)를 수용하면서 내주연에 공급관(30)의 수나사부(3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71)를 갖는 수용관(7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72)의 단부에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면이 선택 밀착되도록 외향소폭의 경사관(74)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관(74)의 단부에 상기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용되면서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의 외주연과 이격거리가 유지되는 액체분사공(7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63)이 위치되는 수용관(72) 상에 외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78)이 형성되는 분사노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여과망(47)은 축소단턱부(43)의 외측으로 밀착 끼움되는 고정캡(48)의 테두리부(49) 내측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테두리 단부와 고정캡(48)의 테두리부(49) 내측 사이에 여과망(47)이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는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액체압에 의한 탄성스프링(59)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원뿔형 조절편(52)이 구비되고, 상기 원뿔형 조절편(52)에 연장되는 원기둥체의 외주연 상에 액체의 유속이 증대되도록 이동홈부(5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형와류홈(66)은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관(78)은 수용관(72)의 내부 일측벽 외주연 라인을 따라 연결되도록 편심되게 형성하여 에어의 회전속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봉(63)은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63)과, 상기 회전축(1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에어에 의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연속돌부(164)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봉(63)은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의 유속을 증대시키도록 연결봉(63)의 외주연에 나선형홈부(26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0)에 형성된 체결고리(23)의 양측에 각각 줄 또는 철사가 걸림되도록 단턱진 형태를 갖는 고정돌편(2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하우스에서 생장하는 농작물에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내에서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사공 외측으로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 분사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이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의 일부 분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는 단면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서 생장하는 농작물에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내에서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사공 외측으로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 분사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연결관(20), 공급관(30), 스페이서관(40), 배출량조절부재(50), 와류생성부재(60) 및 분사노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연결관(2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농약 또는 물로 된 액체가 이동되는 이송관(12) 상에 접속 연결되도록 내측 유입공(21)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 상에 상기 이송관(12)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대(14)에 연결 고정되는 체결고리(23)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21)은 이송관(12) 내에서 유동되는 농약 또는 물로 된 액체가 연속 이동되기 위한 공간이며, 체결고리(23)는 도 1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1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대(14) 또는 다른 위치의 고정대에 줄 또는 철사에 의해 연결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고리(23)의 사용이 불안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조건에서 고정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20)에 형성된 체결고리(23)의 양측에 각각 줄 또는 철사가 걸림되도록 단턱진 형태를 갖는 고정돌편(2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 양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한쌍의 공급관(3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30)은 비닐하우스(10) 내의 농작물에 농약 또는 물 등으로 된 액체를 가능한 넓은 지역에 골고루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결관(20)의 양측에 경사진 각도로 대향지게 각각 설치되도록 하며, 후술되는 분사노즐(70)의 결합을 위해 외주연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관(30)의 내측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관 형태의 스페이서관(40)이 삽입된다. 상기 스페이서관(40)은 외측단부에 공급관(30)의 외측 테두리부에 밀착걸림되는 확장단턱부(41)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 축소단턱부(43)가 형성되며, 상기 축소단턱부(43)의 내측에 축소단턱부(4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공(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단부에는 공급관(30)으로 유입 이동되는 액체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47)이 구비된다. 이때 여과망(47)은 축소단턱부(43)의 외측단부에 고정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망(47)은 축소단턱부(43)의 외측으로 밀착 끼움되는 고정캡(48)의 테두리부(49) 내측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테두리 단부와 고정캡(48)의 테두리부(49) 내측 사이에 여과망(47)이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관(40)의 내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배출량조절부재(50)가 삽입된다.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는 상기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공급관(30)으로 전달되는 액체압에 의해 연통공(45)을 통과하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는 도 3에서와 같이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액체압에 의한 탄성스프링(59)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원뿔형 조절편(52)이 구비되고, 상기 원뿔형 조절편(52)에 연장되는 원기둥체의 외주연 상에 액체의 유속이 증대되도록 이동홈부(54)가 형성되어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탄성스프링(59)에 의해 와류생성부재(60)와 연결 구성되는데, 상기 와류생성부재(60)는 탄성스프링(59)으로 연결되는 원판 형태의 막음판(61)과, 상기 막음판(61)의 외측으로 막음판(61)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봉(63)과, 상기 연결봉(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꼭지부가 절개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경사형와류홈(66)이 형성되는 와류형성체(65)와,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측단부에 와류형성체(65)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형성되는 와류유지용 노즐팁(67)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막음판(61)의 외측으로 막음판(61)의 직경보다 작게 연결봉(63)이 형성되고, 연결봉(63)의 단부측에 연결봉(63)의 직경보다 크게 와류형성체(65)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에서 막음판(61)과 와류형성체(65) 사이에 구비된 연결봉(63) 과의 사이공간이 형성된다. 이 사이공간은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잠류공간(s)이 된다. 상기 잠류공간(s) 내에서 후술되는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가 배출되기 전 잠시 머무르면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형와류홈(66)은 나선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관(78)에는 호스(79)가 연결되어 에어가 전달되도록 하고, 호스(79)가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걸림 유지되도록 에어공급관(78)의 외주연 상에 테두리돌턱부(78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류생성부재(60)를 수용하면서 공급관(30)에 체결되어 액체를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노즐(70)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7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와류생성부재(60)를 수용하면서 내주연에 공급관(30)의 수나사부(3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71)를 갖는 수용관(7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72)의 단부에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면이 선택 밀착되도록 외향소폭의 경사관(74)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관(74)의 단부에 상기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용되면서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의 외주연과 이격거리가 유지되는 액체분사공(7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63)이 위치되는 수용관(72) 상에 외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78)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70)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의 이동상태는 도 4의 (a),(b)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상기한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의 외주연과 이격거리가 유지되는 액체분사공(76)의 구조에 의해 도 4의 (b)에서와 같이 분사되는 액체가 회전되면서 분사되므로 안정적인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관(78)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관(78)은 수용관(72)의 내부 일측벽 외주연 라인을 따라 연결되도록 편심되게 형성하여 에어의 회전속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류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봉(63)은 도 6의 (a)에서와 같이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63)과, 상기 회전축(1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에어에 의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연속돌부(164)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의 (b)에서와 같이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의 유속을 증대시키도록 연결봉(63)의 외주연에 나선형홈부(263)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에 의하면 비닐하우스에서 생장하는 농작물에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내에서 액체 이동시 와류를 발생시킴에 있어, 액체의 와류 형성 초기시점에 에어를 공급분사하여 고압이면서도 안정적인 회전력을 갖는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사공 외측으로 농약이나 물 등의 액체 분사가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비닐하우스 12 : 이송관
14 : 고정대 20 : 연결관
21 : 유입공 23 : 체결고리
30 : 공급관 32 : 수나사부
40 : 스페이서관 41 : 확장단턱부
43 : 축소단턱부 45 : 연통공
47 : 여과망 50 : 배출량조절부재
60 : 와류생성부재 61 : 막음판
63 : 연결봉 65 : 와류형성체
67 : 노즐팁 70 : 분사노즐
71 : 암나사부 72 : 수용관
74 : 경사관 76 : 액체분사공
78 : 에어공급관

Claims (8)

  1. 비닐하우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농약 또는 물로 된 액체가 이동되는 이송관(12) 상에 접속 연결되도록 내측 유입공(21)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연 상에 상기 이송관(12)과 평행하게 설치된 고정대(14)에 연결 고정되는 체결고리(23)가 형성되는 연결관(20);
    상기 연결관(20)의 외주면 양측에 경사진 각도로 대향지게 각각 설치되며, 외주연에 수나사부(32)가 형성되는 한쌍의 공급관(30);
    상기 공급관(30)의 내측에 관 형태로 삽입되어지되, 외측단부에 공급관(30)의 외측 테두리부에 밀착걸림되는 확장단턱부(41)가 형성되고, 내측단부에 축소단턱부(43)가 형성되며, 상기 축소단턱부(43)의 내측에 축소단턱부(4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통공(45)이 형성되고,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단부에 여과망(47)이 형성되는 스페이서관(40);
    상기 스페이서관(40)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공급관(30)으로 전달되는 액체압에 의해 연통공(45)을 통과하는 액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조절부재(50);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에 탄성스프링(59)으로 연결되는 막음판(61)과, 상기 막음판(61)의 외측으로 막음판(61)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 형성되어 잠류공간(s)을 형성하는 연결봉(63)과, 상기 연결봉(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꼭지부가 절개된 원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다수의 경사형와류홈(66)이 형성되는 와류형성체(65)와,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측단부에 와류형성체(65)의 직경보다 작게 연장형성되는 와류유지용 노즐팁(67)으로 된 와류생성부재(60);
    상기 와류생성부재(60)를 수용하면서 내주연에 공급관(30)의 수나사부(3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71)를 갖는 수용관(7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72)의 단부에 상기 와류형성체(65)의 외면이 선택 밀착되도록 외향소폭의 경사관(74)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관(74)의 단부에 상기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수용되면서 와류유지용 노즐팁(67)의 외주연과 이격거리가 유지되는 액체분사공(7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63)이 위치되는 수용관(72) 상에 외부 연통되는 에어공급관(78)이 형성되는 분사노즐(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47)은 축소단턱부(43)의 외측으로 밀착 끼움되는 고정캡(48)의 테두리부(49) 내측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축소단턱부(43)의 외측테두리 단부와 고정캡(48)의 테두리부(49) 내측 사이에 여과망(47)이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재(50)는 연통공(45)에 일부가 삽입되어 액체압에 의한 탄성스프링(59)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원뿔형 조절편(52)이 구비되고, 상기 원뿔형 조절편(52)에 연장되는 원기둥체의 외주연 상에 액체의 유속이 증대되도록 이동홈부(54)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와류홈(66)은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78)은 수용관(72)의 내부 일측벽 외주연 라인을 따라 연결되도록 편심되게 형성하여 에어의 회전속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63)은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63)과, 상기 회전축(16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에어에 의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연속돌부(164)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63)은 에어공급관(78)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의 유속을 증대시키도록 연결봉(63)의 외주연에 나선형홈부(26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에 형성된 체결고리(23)의 양측에 각각 줄 또는 철사가 걸림되도록 단턱진 형태를 갖는 고정돌편(2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20170062935A 2017-05-22 2017-05-22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176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935A KR101766689B1 (ko) 2017-05-22 2017-05-22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935A KR101766689B1 (ko) 2017-05-22 2017-05-22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689B1 true KR101766689B1 (ko) 2017-08-09

Family

ID=5965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935A KR101766689B1 (ko) 2017-05-22 2017-05-22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68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211B1 (ko) * 2017-09-29 2018-05-08 이주형 협소 공간내의 다단 관체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1855213B1 (ko) * 2017-09-29 2018-05-08 이주형 비닐하우스용 선회 분무형 분사노즐
KR101897469B1 (ko) * 2018-02-22 2018-10-31 이주형 포도나무 비닐하우스용 확장 분무형 분사노즐
CN108722703A (zh) * 2018-07-12 2018-11-02 中国石油大学(北京) 逆喷式洗涤喷嘴
KR101917984B1 (ko) 2018-05-04 2018-11-12 손영수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KR101926438B1 (ko) * 2018-02-14 2018-12-07 이주형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20190063161A (ko) * 2017-11-29 2019-06-07 (주)파워레인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2387144B1 (ko) 2021-11-01 2022-04-14 이주형 집중분사 구조를 갖는 원예용 및 농업용 다목적 노즐장치
KR102657763B1 (ko) * 2023-09-22 2024-04-16 김종환 작물용 분사노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47B1 (ko) 2008-06-05 2009-03-27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1232340B1 (ko) 2012-08-13 2013-02-13 이영오 에어포그 발생장치
KR101334708B1 (ko) 2011-03-14 2013-11-29 이길세 농업용 액체분사장치의 막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47B1 (ko) 2008-06-05 2009-03-27 이종표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1334708B1 (ko) 2011-03-14 2013-11-29 이길세 농업용 액체분사장치의 막힘방지장치
KR101232340B1 (ko) 2012-08-13 2013-02-13 이영오 에어포그 발생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211B1 (ko) * 2017-09-29 2018-05-08 이주형 협소 공간내의 다단 관체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1855213B1 (ko) * 2017-09-29 2018-05-08 이주형 비닐하우스용 선회 분무형 분사노즐
KR20190063161A (ko) * 2017-11-29 2019-06-07 (주)파워레인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2017888B1 (ko) * 2017-11-29 2019-09-03 (주)파워레인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1926438B1 (ko) * 2018-02-14 2018-12-07 이주형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1897469B1 (ko) * 2018-02-22 2018-10-31 이주형 포도나무 비닐하우스용 확장 분무형 분사노즐
KR101917984B1 (ko) 2018-05-04 2018-11-12 손영수 농업용 액체 분무 노즐
CN108722703A (zh) * 2018-07-12 2018-11-02 中国石油大学(北京) 逆喷式洗涤喷嘴
CN108722703B (zh) * 2018-07-12 2024-01-26 中国石油大学(北京) 逆喷式洗涤喷嘴
KR102387144B1 (ko) 2021-11-01 2022-04-14 이주형 집중분사 구조를 갖는 원예용 및 농업용 다목적 노즐장치
KR102657763B1 (ko) * 2023-09-22 2024-04-16 김종환 작물용 분사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689B1 (ko)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KR101855211B1 (ko) 협소 공간내의 다단 관체부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US8496193B2 (en) Fluid control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drip irrigation emitters
US7597276B2 (en) Ultra low flow spray head
CA2878717C (en) Supporter for connecting and positioning irrigation device
KR101926438B1 (ko) 비닐하우스용 에어와류형 분사노즐
US20110147489A1 (en) Pop-up irrigation device for use with low-pressure irrigation systems
KR101897469B1 (ko) 포도나무 비닐하우스용 확장 분무형 분사노즐
KR101855213B1 (ko) 비닐하우스용 선회 분무형 분사노즐
KR100950830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0890547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2091926B1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US4193545A (en) Pressure compensating emitter
KR101749940B1 (ko) 농업용 회전 분무기
KR100866703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200195036Y1 (ko) 비닐하우스용 액체 분사노즐
US3034733A (en) Irrigator
CN210226442U (zh) 一种新型雨效洒水器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RU2435103C1 (ru) Золоуловитель с вихревыми форсунками
US6772967B1 (en) Misting nozzle
KR102646882B1 (ko) 농업용 스프링쿨러
CN108770650A (zh) 一种农田灌溉系统
US3272438A (en) Irrigation system
WO1987001619A1 (en) Water sprink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