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436B1 -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 Google Patents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436B1
KR101766436B1 KR1020127031772A KR20127031772A KR101766436B1 KR 101766436 B1 KR101766436 B1 KR 101766436B1 KR 1020127031772 A KR1020127031772 A KR 1020127031772A KR 20127031772 A KR20127031772 A KR 20127031772A KR 101766436 B1 KR101766436 B1 KR 10176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tress cone
insulator
rubber stress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0323A (en
Inventor
구오지 리
노부유키 세마
히사야 타카야스
카즈히사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9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3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68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1Use of solid insulating compounds resistant to the contacting fluid dielectric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e.g. to SF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케이블 절연체의 표면 처리 범위를 줄여, 고무 스트레스 콘 삽입시의 수고의 경감을 도모하고, 조립 공사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부. 케이블 단말(2)에 있어서의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에 고무 스트레스 콘(3)이 외부 반도전층(13')에 걸쳐서 장착된다. 애관(5)은, 케이블 단말(2), 고무 스트레스 콘(3)을 포위하고, 내부에 절연 유체(4)가 충전된다.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L1)와, 이 처리부(L1)의 선단부로부터 케이블 절연체(12)의 선단부에 이르는 제2 처리부(L2)로 구분된다. 처리부(L1)의 외경은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보다 굵고, 처리부(L2)의 외경은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보다 가늘다. 또, 처리부(L2)에 있어서의 케이블 절연체(12)는, 적어도 처리부(L2)의 축방향으로 걸리는 전계 V2(kV/mm)보다 케이블 절연체(12)의 직경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 V1(kV/mm)가 크게 되는 두께를 가진다.A cable termination connection that reduces the surface treatment range of the cable insulator, reduces the labor of inserting rubber stress cones, and simplifies assembly work. The rubber stress cone 3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12 in the cable terminal 2 over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 The cap 5 surrounds the cable terminal 2 and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insulating fluid 4 is filled there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provided with a first processing section L1 on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3 is mounted and a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ocessing section L1 to the distal end of the cable insulator 12 Respectively. The outer diameter of the treatment section L1 is thick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reatment section L2 is thinn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3. The cable insulator 12 in the processing unit (L2), at least processing applied electric field in the axial direction (L2) V 2 (kV / mm) than the field appli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insulation (12) V 1 (kV / mm).

Description

케이블 종단 접속부{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Cable termination connection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본 발명은 케이블 종단 접속부와 관계되며, 특히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에 고무 스트레스 콘(stress-relief cone)이 장착되는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ermination, and in particular to a cable termination for which a stress-relief cone is mounted on the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ion.

종래부터, 275kV 클래스의 고압 CV 케이블(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의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케이블 절연체(100)의 외주에 고무 스트레스 콘(110)을 장착하고, 해당 고무 스트레스 콘(110)을 에폭시 와셔(120)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케이블 절연체(100)와 고무 스트레스 콘(110)의 계면의 절연을 확보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1, a rubber stress cone 110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cable insulator 100 and the rubber stress cone 110 (refer to FIG. 1) is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a 275 kV class high voltage CV cable (crosslinked polyethylene cable) Is pressed toward the epoxy washer 120 to secure insulation between the cable insulator 100 and the rubber stress cone 110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는, 케이블 절연체(100)의 외주부와 고무 스트레스 콘(110)의 내주부 사이에 소정의 면압(面壓)을 가하기 위해서 고무 스트레스 콘(110)의 내경을 케이블 절연체(100)의 외경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고, 또 상기 계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공사 현장에서 케이블 절연체(100)의 외주부를 처리할 필요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반도전층(130)의 선단부부터 케이블 절연체(100)의 선단부에 걸친 구간(이하 '마무리 범위'라고 함) L0를, 예를 들면 글래스페이퍼 또는 샌드페이퍼 등으로 연마함으로써 경면가공할 필요가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In order to apply a predetermined surface pressur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ubber stress cone 110 in 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or 100 and to tre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100 at the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interface. More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mirror-surface processing by polishing a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ishing range") L0 extending from the tip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0 to the tip of the cable insulator 100 with glass paper or sandpaper, for exampl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그렇지만,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는, 마무리 범위(L0)가 예를 들면 2~3m 정도가 되기 때문에, 고무 스트레스 콘(110)의 삽입 스트로크(stroke)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케이블(200)의 단계적 박리처리(step-stripped process) 등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1상(相)당 2~3시간 정도), 또 고무 스트레스 콘(110)의 장착에도 손이 많이 간다는 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finishing range L0 is, for example, about 2 to 3 m, the length of the stroke of the rubber stress cone 110 becomes longer in 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200 and the step-stripped process of the rubber stress cone 110 takes a lot of time (about two to three hours per phase).

또한, 도면 내 부호 210은 고무 스트레스 콘(110)의 가압 장치, 220은 방식층(防蝕層), 300은 애관(碍管), 310은 저부 금구(底部 金具), 320은 하부 금구(下部金具), 400은 절연 유체, 500은 상부 금구(上部 金具), 600은 상부 덮개, 700은 지지 애자를 나타내고 있다.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a pressing device of the rubber stress cone 110. Reference numeral 220 denotes a corrosion layer.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n insulator tube. Reference numeral 310 denotes a bottom metal member. 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a lower metal member. 400 denotes an insulating fluid, 500 denotes an upper metal fitting (upper metal fitting), 600 denotes an upper cover, and 700 denotes a support insulator.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9-26183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9-261832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17271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8-172712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절연체의 표면 처리 범위를 줄임과 동시에 고무 스트레스 콘의 삽입시의 수고를 경감함으로써, 조립 공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종단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which can greatly simplify the assembly work by reducing the surface treatment range of the cable insulator and alleviating the labor of inserting the rubber stress cone.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인 케이블 종단 접속부는, 케이블 단부의 단계적 박리처리(step-stripped process)에 의해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 및 케이블 절연체가 노출되고 해당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의 선단측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외부 반도전층을 가지는 케이블 단말과,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에 외부 반도전층에 걸쳐서 장착되는 고무 스트레스 콘과, 케이블 단말 및 고무 스트레스 콘을 포위하고, 내부에 절연 유체가 충전되는 애관(porcelain bushing)을 구비하고,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는, 고무 스트레스 콘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와, 제1 처리부의 선단부로부터 케이블 절연체의 선단부에 이르는 제2 처리부로 구분되고, 제1 처리부의 외경은 고무 스트레스 콘의 내경보다 굵게 되고, 제2 처리부의 외경은 고무 스트레스 콘의 내경보다 가늘게 되고, 또한 제2 처리부에 있어서의 케이블 절연체는, 적어도 제2 처리부의 축방향으로 걸리는 전계보다 케이블 절연체의 직경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가 커지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The cable termination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ble termination connecting portion in which a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and a cable insulator are exposed by a step-stripped process of a cable end and a predetermined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leading end side of the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A rubber stress cone mounted 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a cable terminal and a rubber stress cone, and a porcela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is divided into a first processing portion on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is mounted and a second process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becomes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The cable insulator in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has a thickness such that at least an electric fiel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insulator is greater than an electric fiel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본 발명의 제2의 형태는, 제1의 형태인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 제1 처리부와 제2 처리부 사이에 제1 처리부 측으로부터 제2 처리부 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In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spect, a tapered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r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treating portion, the diameter of which is reduced from the first treating portion toward the second treating portion .

본 발명의 제3의 형태는, 제2의 형태인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 제1 처리부의 외면에 소정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다.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in 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aspect.

본 발명의 제4의 형태는, 제3의 형태인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 테이퍼부의 외면에 소정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다.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third aspect,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케이블 단부의 단계적 박리처리에 의해 노출된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가, 고무 스트레스 콘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와, 제1 처리부보다 선단측에 위치하여 케이블 절연체의 선단부에 이르는 제2 처리부로 구분되고, 그리고, 제2 처리부의 외경이 고무 스트레스 콘의 내경보다 가늘게 되기 때문에, 제2 처리부에서 고무 스트레스 콘의 삽입이 간단해지고, 나아가서는 고무 스트레스 콘의 장착에 요하는 수고가 종래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보다 대폭 경감된다.Firs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exposed by the stepwise peeling process of the cable end is divided into a first processing portion on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is mounted and a second processing portion located on the tip side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and reaching the tip end of the cable insulato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is made thinn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Therefore, the insertion of the rubber stress cone in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is simplified, and the labor required for mounting the rubber stress cone .

둘째, 제1 처리부의 외면에 소정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 전계가 낮은 제2 처리부에서의 케이블 절연체는, 적어도 제2 처리부의 축방향으로 걸리는 전계보다 케이블 절연체의 직경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가 커지는 두께를 가지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충 깎음으로써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 처리가 완료하여, 그 만큼 종래에 있어서의 샌드페이퍼 등을 이용한 케이블 절연체의 표면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종래 케이블 종단 접속부보다 케이블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Secondly,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reatment section, so that the cable insulator in the second treatment section having a low electric field has a thickness that increases the electric fiel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insulator,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cable insulator using the conventional sandpaper or the like becomes unnecessary, and furthermore,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cable insulator by the cable end treatment is more preferable than the conventional cable end connection portion. The labor required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의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의 처리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고무 스트레스 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고무 스트레스 콘의 케이블 절연체로의 장착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의 전계 해석 도면.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able termina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termin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rocessing state of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a cable insul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rubber stress cone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rubber stress cone to a cable insulato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lectric field analysis diagram of a cable termination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를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형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275kV의 CV 케이블의 기중 종단 접속부(氣中終端接續部; indoor/outdoor termination)에 적합한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의 처리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for a CV termination portion (indoor / outdoor termination) of a 275 kV CV cable.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는, CV 케이블(1)의 단부를 단계적 박리처리한 케이블 단말(2)과,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에 후술하는 외부 반도전층(13')의 선단부(고압측)에 걸쳐서 장착되는 고무 스트레스 콘(3)과, 케이블 단말(2) 및 고무 스트레스 콘(3)을 포위하고 내부에 절연유로 이루어지는 절연 유체(4)가 충전되는 자기성 애관(磁器性 碍管) 등으로 이루어지는 애관(5)를 구비하고 있다.2 and 3, the cable termination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le terminal 2 i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CV cable 1 is stepwise peeled off,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A rubber stress cone 3 mounted on the distal end portion (high pressure side) of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a rubber stress cone 3 surrounding the cable end 2 and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filled with an insulating fluid 4, And an auxiliary pipe 5 made of a porcelain insulator pipe or the like.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The cable termination of this configuration is assembled as follows.

먼저, CV 케이블(1)은, 케이블 도체(11)상에, 차례로 케이블 내부 반도전층(도면표시 없음), 케이블 절연체(12),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 알루미늄 콜 게이트 시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차폐층(14) 및 염화 비닐 시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시스(15)가 마련되어 구성된다. 또한, 케이블 내부 반도전층, 케이블 절연체(12) 및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은, 통상 3층을 함께 압출 피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CV cable 1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ductor 11 by a cable (not shown) inside the cable, a cable insulator 12, a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A shielding layer 14 and a cable sheath 15 made of vinyl chloride sheath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emiconductive layer inside the cable, the cable insulator 12 and the cable semiconductive layer 13 are usually formed by extrusion-coating three layers together.

이러한 구성의 CV 케이블(1)의 단부는, 단계적으로 박리처리함으로써, 차례로, 케이블 차폐층(14),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 케이블 절연체(12) 및 케이블 도체(11)가 노출되어 있다.The cable shielding layer 14, the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the cable insulator 12 and the cable conductor 11 are exposed in this order by the stepwise peeling proc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CV cable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

이와 같이 해서 노출된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장착에 앞서,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후단측(도면에서는 아래쪽)의 제1 처리부(L1)와, 선단측(도면에서는 위쪽)의 제2 처리부(L2)와, 제1 처리부(L1)와 제2 처리부(L2) 사이에 마련되는 테이퍼부(16)로 구분되어 케이블 처리가 행해진다.3,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ion 12 exposed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a first processing portion L1 on the rear end side (lower side in the figure) and a second processing portion L1 on the front end side A cable processing is performed by dividing the first processing unit L1 into a second processing unit L2 and the tapered unit 16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unit L1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L2.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L1)와, 제1 처리부(L1)의 선단부(고압측)로부터 선단측(제2 처리부(L2)측)을 향하여 매끈하게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의 테이퍼부(16)와, 테이퍼부(16)의 선단부(고압측)로부터 케이블 절연체(12)의 선단부(고압측)에 이르는 제2 처리부(L2)로 구분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includes a first processing portion L1 on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3 is mounted and a second processing portion L1 on the distal end sid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side of the tapered portion 16 and a tapered portion 16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tapered portion 16 is smoothly reduced toward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side from the tapered portion 16 to the distal end (high pressure side) L2).

제1 처리부(L1)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에는, '소정의 표면 처리', 즉, '고무 스트레스 콘(3)과 케이블 절연체(12)의 계면에 필요한 전기 특성이 얻어지도록 하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처리부(L1)는 글래스페이퍼 혹은 샌드페이퍼 등으로 연마하는 등에 의해 경면 가공된다. 전압이 낮은 클래스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샌드페이퍼로만 마무리하고 경면 가공이 아니어도 좋다.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so as to obta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necessary for the interface between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cable insulator 12 Surface treatment 'is carried out.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section L1 is mirror-finished by grinding with glass paper or sand paper or the like. In the case of applying to a low-voltage class, it is not necessary to finish mirror-surface processing only with sandpaper, for example.

또, 제1 처리부(L1)의 외경은 후술하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보다 굵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처리부(L1)의 외경과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삽입 구멍의 내경과의 직경차는 적어도 2mm 정도로 되며, 해당 직경차를 적어도 2mm 정도로 함으로써,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와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삽입 구멍의 내주부와의 계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is thick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3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rubber stress cone 3 is at least about 2 mm, and the diameter difference is at least about 2 m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rubber stress cone 3 can be improved.

다음에,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는, 다음과 같이 제1 처리부(L1)보다 전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는, 예를 들면 대충 깎음으로써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보다 가늘게 할 수 있다.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has an electric field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processing section L1 as follows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Can be made thinn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3 by, for example, shaving roughly.

여기서,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직경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를 V1(kV/mm), 제2 처리부의 축방향(연면(沿面)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를 V2(kV/mm)라고 했을 경우, V1>V2의 관계에 있으면,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에 걸리는 전계가 낮기 때문에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외경을 스트레스 콘의 내경보다 가늘게 하여도, 즉, 해당 외경을 규정된 두께보다 얇게 하여도 전기적으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6의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다. 따라서,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를 예를 들면 전용 박리 공구(도면표시 없음)를 이용해서 벗겨냄으로써, 케이블 절연체(12)의 외경을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보다 가늘게 마무리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a field appli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unit (L2), V 1 (kV / mm), the V a field appli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circumferential face (沿面) direc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2 (kV / mm), if the relationship of V 1 > V 2 is satisfied, since the electric field applied to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 2 is low, Even if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12 is made thinn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that is, the outer diameter is made thinner than the prescribed thickness, no problem occurs electrically.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Therefore,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is peeled off, for example, by using a special peeling tool (not shown)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reduced to the inside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3 You can finish finer than.

이 경우,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는, V1>V2의 관계에 있으면, 극단적으로 얇은 두께라도 케이블 도체(11)상에 케이블 절연체(12)가 존재하기만 하면 전기적으로는 충분하다. 따라서,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를 절삭 가공(기계 가공)으로 거칠게 처리된 상태라도, 외면에 요철(凹凸)이 형성된 상태라도, 타원형상이어도 특히 전기적인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는 없다. 이에 의해,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외면은 종래와 같은 표면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In this case, if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is in the relationship of V 1 > V 2 , the cable insulator 12 is present on the cable conductor 11 even at an extremely thin thickness It is electrically sufficient. Therefore, even i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processed roughly by cutting (machining),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even if the outer surface is uneven, There is no fear tha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particularly problematic even in an elliptical shape. As a result,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does not require a surface treatment as in the prior art.

또, 케이블 절연체(12)의 제1 처리부(L1)와 제2 처리부(L2) 사이에는 테이퍼부(16)가 마련되어 있고, 해당 테이퍼부(16)의 외면도 전술한 제1 처리부(L1)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표면 처리', 즉, '고무 스트레스 콘(3)과 케이블 절연체(12)의 계면에 필요한 전기 특성이 얻어지도록 하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A tapered portion 1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and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of the cable insulator 12.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16 is also connected to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In the same way,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that is, a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so that necessary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cable insulator 12.

이에 의해, 고무 스트레스 콘(3)을 케이블 절연체(12)에 삽입할 때, 테이퍼부(16)로부터 제1 처리부(L1)에 걸쳐서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주가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에 밀착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고무 스트레스 콘(3)과 케이블 절연체(12)의 계면으로 미소하게 공기가 말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아가서는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케이블 종단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ner periphery of the rubber stress cone 3 from the tapered portion 16 to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12 when the rubber stress cone 3 is inserted into the cable insulator 12.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from being excessively curl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cable insulator 12, thereby providing a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또,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의 선단측(고압측)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조립에 필요한 외부 반도전층(13')을 형성한다. 즉, '소정의 처리'란, '고무 스트레스 콘(3)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외부 반도전층(13')을 형성하는 처리'이다. 도 2에서는, 소정의 처리로서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과 케이블 절연체(12)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의 선단부(고압측)에, 단계적 박리된 케이블 절연체(12)와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의 선단부에 걸쳐서 반도전성 자기융착성(自己融着性)의 테이프(ACP 테이프 등)를 감아 형성된 몰드 반도전층(17)을 형성함으로써, 고무 스트레스 콘(3)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외부 반도전층(13')을 형성하고 있다. 또, 고무 스트레스 콘의 조립 후에 필요한 전기 특성이 얻어질 때는, 소정의 처리로서 반도전성 자기융착성 테이프를 감아주는 일 없이 단계적 박리된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만으로 외부 반도전층(13')을 형성해도 좋다.In additi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necessary for assembly is form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process on the leading end side (high pressure side) of the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That is, the 'predetermined treatment' is a 'treatment for form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necessary for assembling the rubber stress cone 3 '. 2 shows a stepwise peeled cable insulator 12 on the front end (high pressure side) of the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in order to eliminate steps between the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and the cable insulator 12 as a predetermined process. And a mold half-conducting layer 17 formed by winding a semiconductive self-adhesive tape (such as an ACP tape) over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to form the rubber stress cone 3 Thereby form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necessary for assembly. When the necessary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after the assembly of the rubber stress cone,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is formed only by the stepwise peeled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without winding the semiconductive self- May be formed.

또한, 도면 내 부호18은 케이블 차폐층(14)의 외주에 설치된 좌상(座床), 19는 접지선, 20은 케이블 도체(11)의 선단부에 장착된 도체 단자, 21은 상부 금구, 22는 저부 금구, 23은 저부 금구(22)의 상면에 기밀하게 장착된 원통 형상의 금속제 어댑터, 24는 하부 동관(銅管), 25는 케이블 시스와 하부 동관(24) 사이에 걸쳐서 마련된 방식층, 26은 볼트, 27은 지지 애자, 28은 가설대(架設臺)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Reference numeral 18 in the drawing denotes a seat bed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shielding layer 14, 19 denotes a ground wire, 20 denotes a conductor terminal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the cable conductor 11, 21 denotes an upper bracket, Numeral 23 denotes a cylindrical metal adapter hermetical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tal fitting 22, numeral 24 denotes a lower copper tube, numeral 25 denotes a method layer provided between the cable sheath and the lower copper tube 24, Bolt 27, support bracket 27, and a support stand 28,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일 실시예로서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 도 2 및 도 3과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g.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tal-on-steel stress cone as one embodiment of the rubber stress con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2,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의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은, 케이블 절연체(12)의 제1 처리부(L1)의 외주에 외부 반도전층(13')의 선단부(고압측, 도면에서는 상측)에 걸쳐서 장착되는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스 콘 본체(31)와, 외부 반도전층(13')을 포위하고,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저압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금구(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체로서 원통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전체 길이는 405mm 정도,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외경은 180mm 정도로 되고,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중심에 설치된 삽입 구멍(33)의 내경은 64mm 정도로 되어 있다.2, 3, and 4, the stress-free cone-type steel c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al end portion (high pressure side, in the drawing)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treatment portion L1 of the cable insulator 12 A stress cone body 31 composed of a rubber-like elastic body which is mounted over the upper half of the stress cone body 31 and a metal fitting 32 integrally provided on the low pressure side of the stress cone body 31 to surround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 And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i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tal length of the metal-integrated stress cone is about 405 mm,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body 31 is about 180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33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tress cone body 31 is about 64 mm have.

스트레스 콘 본체(31)는, 후단측(저압측, 도면에서는 하측)에 배치되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반도전체부(34)와, 반도전체부(34)의 선단측(도면에서는 상측)에 후단부(도면에서는 하측)가 반도전체부(34)와 동심원상으로 연장되는 실리콘 고무등의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절연체부(35)와, 절연체부(35)의 후단부에 연설되고 반도전체부(34)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되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상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절연 보호층(36)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반도전체부(34), 절연체부(35) 및 절연 보호층(36)은 후술하는 금구(32)와 함께 몰드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The stress cone body 31 has a cylindrical semi-conductor portion 34 formed of a rubber-like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low pressure side, lower side in the drawing) A cylindrical insulator portion 35 formed of a rubber-like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and extending i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semicircular portion 34 on the rear end (lower side in the drawing) And a cylindrical insulating protection layer 36 made of a rubber-like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and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alf-width portion 34. The insulating half- 35 and the insulating protective layer 36 are integrally molded together with the metal member 32 to be described later.

반도전체부(34)의 선단부에는, 반도전체부(34)의 선단부 근방의 내주부(입상부(立上部; rising part)로부터 절연체부(35)의 선단부의 외주부를 향해 완만하게 직경이 넓어지는 벨 마우스(bell-mouth) 형상으로 만곡된 계면을 가지는 전계 완화부(37)가 설치되어 있고, 또, 후단부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는, 원통형상의 반도전 스커트부(38)가 후단 측을 향하여 반도전체부(34)와 동심원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반도전체부(34)와 반도전 스커트부(38)는 일체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도전체부(34)의 반도전 스커트부(38)를 포함한 축방향의 길이는 180mm 정도, 외경은 156mm 정도로 되어 있고, 그 중 반도전 스커트부(38)의 축방향의 길이는 40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 반도전체부(34)의 입상부 근방에 있어서, 스트레스 콘 본체(31)는 케이블 절연체(12) 및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과의 계면에 충분한 조임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The leading end of the half-conduction solid portion 34 is formed with a gradually increasing diameter from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rising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sulator portion 35) near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mi- conductor portion 34 A cylindrical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and a cylindrical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And is projected concentrically with the semicircular portion 34 toward the upper half 34. The semicircular portion 34 and the semiconducting skirt portion 38 are integrally formed.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ncluding the conductive skirt portion 38 is about 180 mm and the outer diameter is about 156 mm and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is about 40 mm. , The stress cone main body 31 is connected to the cable insulator 12 and the cable external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layer 13 has a thickness capable of applying a sufficient tightening force.

절연체부(35)의 선단부의 외주에는 선단부를 향하여 완만하게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의 외면(39)이 설치되어 있고, 또, 고압측 단부의 내주연부(內周緣部)에는, 고압측 단부 근방으로부터 고압측 단부를 향해 완만하게 직경이 넓어지는 내면을 가진 튤립 형상의 함몰부(40)가 절연체부(35)와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함몰부(40)를 설치함으로써,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선단부에서 절연 유체(4),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절연체부(35), 케이블 절연체(12)의 삼중합점(triple-junction) P의 전계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함몰부(40)의 깊이가 60mm 정도, 함몰부(40)의 소경부의 구경이 80mm 정도, 대경부의 구경이 120mm 정도로 되어 있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sulator section 35 is provided with a cone-shaped outer surface 39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On the inner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high-pressure side end portion, Like depressed portion 40 having an inner surface that gradually widens in diameter toward the high-pressure side end portion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insulator portion 35. By providing such depressions 40, the insulation fluid 4 at the front end of the stress cone body 31, the insulator portion 35 of the stress cone body 31, and the triple junc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 P can be prevented. In this embodiment, the depth of the depressed portion 40 is about 60 mm, the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depression 40 is about 80 mm, and th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about 120 mm.

또, 절연 보호층(36)의 후단부에는, 원통형상의 절연 스커트부(41)가 후단 측을 향하여 절연 보호층(36)과 동심원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절연 보호층(36)과 원통형상의 절연 스커트부(41)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절연 스커트부(41)는 반도전 스커트부(38)의 외주에 일체로 마련되고, 또 절연 스커트부(41)의 후단부는 반도전 스커트부(38)의 후단부보다 더 후단 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연장된 절연 스커트부(41)의 저압측 단부의 내주에는 고리 형상의 돌기(32e)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스커트부(41)의 축방향의 길이는 반도전 스커트부(38)의 2배 정도로 되어 있다. 또, 절연 스커트부(41)의 두께는 반도전 스커트부(38)의 두께의 2배 정도로 되어 있다. 또, 절연 스커트부(41)를 포함하는 절연 보호층(36)을 포함한 절연체부(35)의 외경은 180mm 정도로 되고, 절연 스커트부(41)를 포함하는 절연 보호층(36)을 포함한 축방향의 길이는 370mm 정도로 되어 있다.A cylindrical insulating skirt portion 41 protrudes from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protection layer 36 concentrically with the insulating protection layer 36 toward the rear end side. The insulating protection layer 36 and the cylindrical insulating skirt portion 41 are integrally formed. Here, the insulating skirt portion 41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skirt portion 41 is directed toward the rear end side from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And an annular protrusion 32e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w pressure side end portion of the extended insulation skirt portion 4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insulating skirt portion 41 in the axial direction is twice as much as that of the semi-conducting skirt portion 38.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skirt portion 41 is about twice the thickness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or portion 35 including the insulating protection layer 36 including the insulation skirt portion 41 is about 180 mm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ulator portion 35 including the insulation skirt portion 41 is about 180 mm. Is about 370 mm in length.

금구(32)는, 외주부가 반도전 스커트부(38)의 내주부에 밀착되는 제1 원통부(32a)와, 제1 원통부(32a)의 후단 측에 동심원상으로 연장되어 외주부가 절연 스커트부(41)의 내주부에 밀착되는 제2 원통부(32b)와, 제2 원통부(32b)의 후단 측에 동심원상으로 연장되어 후단부의 외주에 플랜지(32c)를 가지는 제3 원통부(32d)를 구비하고 있고, 제1 원통부(32a), 제2 원통부(32b) 및 제3 원통부(32d)의 내주면은 한 개의 면(面)으로 되어 있다. 또, 제1 원통부(32a)의 외경은 제2 원통부(32b)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고, 제2 원통부(32b)의 후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돌기(32e)와 맞물리는 고리 형상의 오목 홈(32f)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구(32)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플랜지(32c)의 외경은 195mm 정도로 되고, 금구(32)의 내경은 136mm 정도로 되어 있다.The metal fitting 32 has a first cylindrical portion 32a whose outer periphery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an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32b extending in a concentric manner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2a, And a third cylindrical portion 32b extending in a concentric circle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2b and having a flange 32c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2a,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2b and the third cylindrical portion 32d are one surfac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2a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2b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2b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concave groove 32f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metal fitting 32 is made of aluminum, the flange 32c has an outer diameter of about 195 mm, and the metal fitting 32 has an inner diameter of about 136 mm.

이러한 스트레스 콘 본체(31) 및 금구(32)를 구비하는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은,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된다. 우선,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반도전 고무 부분, 즉 반도전체 부분(34) 및 반도전 스커트부(38)를 금형(몰드) 성형하고, 금형(몰드) 성형된 반도전 고무 부분(반도전체부(34) 및 반도전 스커트부(38))을 금구(32)에 끼워넣는다. 이 경우, 반도전 스커트부(38)의 내주부와 제1 원통부(32a)의 외주부를 당접시킨다. 그리고, 일체로 된 반도전 고무 부분(반도전체부(34) 및 반도전 스커트부(38))과 금구(32)를 금형에 세팅하고,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절연 고무 부분, 즉 절연체부(35), 절연 보호층(36) 및 절연 스커트부(41)를 금형(몰드) 성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저압측에 금구(32)가 일체적으로 마련된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금구(32)의 제1 원통부(32a)의 외주부가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반도전 스커트부(38)의 내주부에, 금구(32)의 제2 원통부(32b)의 외주부가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절연 스커트부(41)의 내주부에 각각 당접되어,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절연 스커트부(41)의 돌기(32e)가 금구(32)의 제2 원통부(32b)의 오목 홈(32f)에 끼워진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이 얻어진다.The metal cone type stress cone including the stress cone body 31 and the metal fitting 32 is formed as follows. First, the semiconductive rubber portion of the stress cone body 31, that is, the semiconductive portion 34 and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is molded to form a semiconductive rubber portion (34) and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are inserted into the metal fitting (32). In this case,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2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n, the integrated semiconductive rubber portion (the semitransparent portion 34 and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and the metal fitting 32 are set on the metal mold, and the insulating rubber portion of the stress cone body 31, that is, (35), the insulating protective layer (36), and the insulating skirt portion (41). By doing so, a metal-made one-piece stress cone is obtained in which the metal bar 32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low-pressure side of the stress cone body 31. Specifically,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2a of the metal fitting 32 is fitted to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skirt portion 38 of the stress cone body 31,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2b of the metal fitting 32, The protrusions 32e of the insulation skirt portion 41 of the stress cone body 31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sulation skirt portion 41 of the stress cone body 31, A metal-ball-integrated stress cone fitted to the concave groove 32f of the cylindrical portion 32b is obtained.

다음에, 도 5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무 스트레스 콘(3)으로서의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을 케이블 절연체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도 2, 도 3 및 도 4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method of mounting a metal-integrated stress cone as the rubber stress cone 3 in the cable ins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3, and 4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우선, 케이블 절연체(12)의 제1, 제2 처리부(L1),(L2)의 외표면에 실리콘 오일 등의 윤활제(도면표시 없음)를 도포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케이블 단말(2)의 케이블 시스(15) 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고리 형상의 저부 금구(22)를, 지지 애자(27) 등을 개재하여 고정시킴과 동시에, 케이블 단말(2)의 외부 반도전층(13')의 외주를 포위하도록 배치한 원통형상의 어댑터(23)의 하면측(후단면측)의 플랜지(23a)를 저부 금구(22)의 상면측(선단면측)에 기밀하게 고정시켜 놓는다.First, a lubricant such as silicone oil (not shown)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cessing portions L1 and L2 of the cable insulator 12. 2, the annular bottom metal fitting 22 disposed near the end of the cable sheath 15 of the cable terminal 2 is fixed via the support insulator 27 and the like,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cylindrical adapter 23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3 'of the base metal 2 is formed on the upper face side ).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고무 스트레스 콘(3)으로서의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을, 제2 처리부(L2)로서의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에 케이블 단말(2)의 선단부(고압측)로부터, 해당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금구(32)를 어댑터(23)(도 2 참조) 측을 향하여 삽입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a metal-ball-integrated stress cone as a rubber stress cone 3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12 as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from the front end (high pressure side) , And the metal bracket 32 of the metal-integrated stress cone is inserted toward the adapter 23 (see Fig. 2).

그러면, 케이블 절연체(12)의 제2 처리부(L2)의 외경이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을 구성하는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내경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삽입 시에, 스트레스 콘 본체(31)를 케이블 절연체(12)의 제2 처리부(L2)의 외주부에 마찰 저항 없이 간단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body 31 constituting the one-metal-structure stress cone, when the metal cone- The main body 3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of the cable insulator 12 without friction resistance.

그리고, 스트레스 콘 본체(31)가 앞끝이 가느다란 형상의 테이퍼부(16) 및 제1 처리부(L1)의 선단부(고압측)에 도달하면, 제1 처리부(L1)의 외경이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내경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도달 위치부터 종전의 고무 스트레스 콘의 장착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트레스 콘 본체(31)를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을,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내주부가 제1 처리부(L1)의 외주부에 밀착된 상태로, 즉 제1 처리부(L1)의 외주부와 스트레스 콘 본체(31)의 삽입 구멍(33)(도 4 참조)의 내주부 사이에 소정의 면압이 가해져, 해당 계면의 절연이 확보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When the stress cone body 31 reaches the distal end portion (high pressure side) of the tapered portion 16 and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having a slender front e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body 31, the stress cone body 31 is sli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method of attaching the rubber stress cone from the arrival position. Thus, the metal cone-integrated stress cone is inserted into the stress cone body 31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tress cone body 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A predetermined surface pressure is appli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the insertion hole 33 (see FIG. 4), and the insulation can be secured with the insulation of the interface secured.

이와 같이 해서 장착된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금구(32)의 플랜지(32c)의 하면측은, O링(도면표시 없음)을 개재하여 어댑터(23)의 플랜지(23b)의 상면측에 당접되고, 볼트(도면표시 없음)에 의해 양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씰(sealing)부(기름 누출 방지부)가 형성된다.The lower face side of the flange 32c of the metal fitting 32 of the metal-on-steel type stress cone mounted in this way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face side of the flange 23b of the adapter 23 via an O-ring (not shown) (The oil leakage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by fixing the both by the sealing member (no drawing).

그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케이블 단말(2)의 외주를 애관(5)으로 포위하고, 그 저압측 단부를 저부 금구(22)상에 탑재해 볼트(26)에 의해 양자를 고정시키고, 애관(5)내에 실리콘유 등의 절연 유체(4)를 충전한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terminal 2 is surrounded by the apron 5, and the low-pressure side end portion thereof is placed on the bottom metal fitting 22 and the two are fixed by the bolt 26 , And an insulating fluid (4) such as silicone oil is charged in the air pipe (5).

이에 의해, 애관(5)내 공간의 전기 절연성능이 확보된다. 그 다음에, 애관(5)의 상부에 상부 금구(21)를 장착하고, 케이블 단말(2)측의 도체 단자(20)는, 상부 금구(21)를 관통시켜 상부 도체(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케이블 단말(2)의 후단부에 방식층(25)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종단 접속부의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상부 도체(30)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공선, 인입선 등의 고전압 도체가 접속된다.Thereby, the electric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space in the air duct 5 is ensured. Next, the upper metal fitting 2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erator 5, and the conductor terminal 20 on the cable terminal 2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ductor 30 through the upper metal fitting 21 . By forming the layer 25 at the rear end of the cable terminal 2, the assembly of the cable termination connection is completed. The upper conductor 30 is connected to a high-voltage conductor such as a machining line or a lead-in line, not shown.

도 6은,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있어서의 전계(電界) 강도(전계 스트레스)를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 전계 해석도로서, (A)는 비교예로서 케이블 절연체(12)의 외경(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을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에 맞춘 상태에 서의 전계 해석도, (B)는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를 극단적으로 깎은 상태에서의 전계 해석도 이며,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주부를 극단적으로 깎아낸 상태에서의 전계 해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 (B)에는,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케이블 도체(11), 케이블 절연체(12), 애관(5) 내주면 및 애관 외주면(벽부)의 각각의 윤곽선이 도시되고, 케이블 절연체(12)와 애관(5) 사이에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선단부 근방의 윤곽선이 기재되고, 이러한 윤곽 선상의 전계 강도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A), (B)에 있어서, 화살표는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화살표의 선의 길이가 길수록 전계 강도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n electric field analysis chart show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electric field stress) of 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Fig. 6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insulator 12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B) is an electric field analysis chart in a state where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is extremely shaved as another embodiment, and specifically,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cable insulator ( 12 shows an electric field analysis chart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is extremely scratched. 6A and 6B show contours of the cable conductor 11, the cable insulator 12,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pipe 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all portion) A contour line near the distal end of the rubber stress cone 3 is described between the insulator 12 and the bridge 5 and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on the contour line is indicated by an arrow. 6 (A) and 6 (B), the arrow indicate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he longer the line of the arrow indicates the greater the electric field strength.

도 6의 (A), (B)로부터,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면(부호 12를 나타내고 있는 선의 외측(도 6에서는 우측)의 중심축과 평행한 선) 상의 화살표 선의 길이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이 배치된 부근이 길고, 고무 스트레스 콘(3)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서서히 짧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케이블 절연체(12) 외주면의 전계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이 배치된 부근에 집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절연체(12)의 제2 처리부(L2)에 대응하는 부분은, 극단적으로 얇은 두께라도 전기적으로는 문제없음을 알 수 있다. 단, 전술한 V1>V2의 관계가 아닐 경우, 즉 제2 처리부(L2)의 축방향으로 걸리는 전계 V2가 케이블 절연체의 직경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 이상일 경우는, 케이블 절연체의 직경 방향으로 섬락(閃絡)파괴될 우려가 있어 문제이다. 또, 제2 처리부(L2)에 있어서 케이블 도체(11)가 노출된 경우, 그 만큼 케이블 절연체상의 연면(沿面)거리가 짧아져, 노출 부분의 케이블 도체(11)에 전계가 집중하기 때문에, 케이블 종단 접속부로서 필요한 전기 특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어 문제이다. 따라서, V1>V2의 관계가 되는 케이블 절연체(12)의 두께는 필요하다.6A and 6B, the length of the arrow lin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insulator 12 (the line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outside of the lin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2 (right side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vicinity of the rubber stress cone 3 is long and gradually shortened from the rubber stress cone 3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ic fiel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concentrated near the location where the rubber stress cone 3 is dispos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has no problem even if it is extremely thin.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relationship V 1 > V 2 is not satisfied, that is, when the electric field V 2 across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L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lectric field appli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ble insulator, (Flashing) may be destroyed. When the cable conductor 11 is exposed in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the creepage distance on the cable insulator is reduced by that much, and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cable conductor 11.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required as an end connection portion may 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able insulator 12 having a relation of V 1 > V 2 is requir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을 이용한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ble end connecting portion using the metal-integrated stress con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CV 케이블(1) 단부의 단계적 박리처리에 의해 노출된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가, 고무 스트레스 콘(3)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L1)와, 제1 처리부(L1)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매끈하게 축경하는 앞끝이 가느다란 형상의 테이퍼부(16)와, 테이퍼부(16)의 선단부로부터 케이블 절연체(12)의 선단부에 이르는 제2 처리부(L2)로 구분되고, 그리고 또, 제2 처리부(L2)의 외경이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경보다 좁게 되어있기 때문에, 제2 처리부(L2)에 고무 스트레스 콘(3)을 삽입하는 작업이 극히 간단하게 되고, 나아가서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장착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종래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비해 대폭 경감된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에 있어서는 2~3명의 작업자로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장착을 행하던 것을, 본 발명에 있어서는 1명의 작업자로도 고무 스트레스 콘(3)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exposed by the stepwise peeling process of the end portion of the CV cable 1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on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3 is mounted, And a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tapered section 16 to the distal end of the cable insulator 12, and a second processing section L2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tapered section 16 to the distal end of the cable insulator 12, 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is narrow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3, the work of inserting the rubber stress cone 3 into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is extremely simplified, The labor required for mounting the stress cone 3 is significan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ble termination. More specifically, conventionally, the rubber stress cone 3 is mounted by two to three operators.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perator can also mount the rubber stress cone 3.

둘째, 케이블 절연체(12)의 소정의 표면 처리를 고무 스트레스 콘(3)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L1) 및 바람직하게는 테이퍼부(16)에 대해서만 행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종래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에 비해서 케이블 절연체(12)의 표면 처리 범위를 대폭으로 줄일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단계적 박리처리에 의해 노출된 케이블 절연체(12)의 처리 길이의 80% 정도를, 예를 들면 기계 가공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절연체(12)의 표면 처리 작업으로 매우 긴 시간이 걸리는 케이블 절연체(12)의 소정의 표면 처리의 범위를 20% 정도로 할 수 있다.Secondly, it is sufficient to perform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of the cable insulator 12 only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cessing section L1 and preferably the tapered section 16 to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3 is mounted. Therefore, The surface treatment range of the cable insulator 12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Specifically, since about 80% of the processing length of the cable insulator 12 exposed by the stepwise peeling treatment can be processed by, for example, machining,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very effective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of the cable insulator 12, which takes a long time, can be set to about 20%.

셋째, 제1 처리부(L1)에 소정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고, 제2 처리부(L2)를 예를 들어 기계 가공하면 되기 때문에, 즉 제2 처리부(L2)는 예를 들어 기계 가공한 상태(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를 거칠게 깎은 상태)로 케이블 절연체(12)의 외주부 처리가 완료되기 때문에, 그 만큼 샌드페이퍼 등에 의한 케이블 절연체(12)의 경면 가공 등의 소정 표면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종래의 케이블 종단 접속부보다 케이블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first processing unit L1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L2 is machined, for example, the second processing unit L2 is in a machined stat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12 is completed in a state where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ulator 12 is roughened), so that the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such as the mirror surface processing of the cable insulator 12 by sandpaper or the like becomes unnecessary,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labor required for the cable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ble termination.

넷째, 제1 처리부(L1)와 제2 처리부(L2) 사이에 앞끝이 가느다란 형상의 테이퍼부(16)를 마련치한 경우에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을 케이블 절연체(12)에 삽입할 때에, 해당 테이퍼부(16)의 외주에 고무 스트레스 콘(3)을 틈새 없이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밀착 후의 고무 스트레스 콘(3)과 테이퍼부(16)사이의 보이드(void) 발생을 없앨 수 있다.Fourth, when the tapered portion 16 having a narrow front e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and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when the rubber stress cone 3 is inserted into the cable insulator 12 The rubber stress cone 3 can be sur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pered portion 16 without any clearance and further the occurrence of voids between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tapered portion 16 after adhesion can be prevented .

다섯째, 제1 처리부(L1)와 제2 처리부(L2) 사이의 테이퍼부(16)를 제1 처리부(L1)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표면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에는, 삽입시에 고무 스트레스 콘(3)의 내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고무 스트레스 콘(3)과 케이블 절연체(12) 계면으로 미소하게 공기가 말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아가서는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케이블 종단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다.Fifth, when the tapered portion 16 between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and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L2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surface treat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L1, the rubber stress cone 3,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from being slightly curl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ubber stress cone 3 and the cable insulator 12 and further to provide a cable end connection portion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n do.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낸 특정 실시형태를 가지고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낼 수 있는 한,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

첫째,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무 스트레스 콘(3)으로서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을 사용하고 있지만, 반도전부와 절연체부로 구성되고, 전체의 형상이 방추(紡錘)형상으로 된 통상적인 구성의 고무 스트레스 콘(금구을 가지지 않는 고무 스트레스 콘)을 사용해도 좋다.Firs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metal stress-cone type stress cone is used as the rubber stress cone 3, the rubber stress cone 3 is composed of the semi- conductive portion and the insulator portion and has a spindle- A cone (a rubber stress cone with no metal) may be used.

둘째,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무 스트레스 콘(3)을 실리콘 고무로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해당 고무 스트레스 콘(3)은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Second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ubber stress cone 3 is formed of silicone rubber is described. However, the rubber stress cone 3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ethylene propylene rubber.

셋째,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애관(5)내의 절연 유체(4)로서 절연유를 충전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절연유를 대신하여 SF6 가스 등의 절연 가스를 충전해도 좋다.Third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insulating fluid 4 is charged as the insulating fluid 4 in the air pipe 5 is described. Alternatively, insulating gas such as SF 6 gas may be charged instead of the insulating oil.

넷째,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금구(32)를 어댑터(23)에 장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어댑터(23)를 배치하지 않고, 금구 일체형 스트레스 콘의 금구(32)를 저부 금구(22)에 기밀하게 장착해도 좋다.Fourth,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metal fittings 32 of the metal-integrated stress cone are mounted on the adapter 23 is described. However, the adapter 23 may not be disposed, May be hermetically attached to the bottom metal fitting 22.

다섯째,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중 종단 접속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가스중 종단 접속부 또는 유중(油中) 종단 접속부에 적용해도 좋다.Fifth,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air terminal end connecting portion is expla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gas end connecting portion or the oil (oil) end connecting portion.

여섯째, 전술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격 전압이 275kV인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275kV보다 낮은 전압 또는 이것보다 높은 전압에 적용해도 좋다.Sixth,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is made that the rated voltage is 275 kV, but it may be applied to a voltage lower than 275 kV or a voltage higher than 275 kV.

2010년 6월 7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0-130139호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The disclosures of the specification, drawings and summary includ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0-130139 filed on June 7, 2010 are all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1…CV 케이블(케이블)
2…케이블 단말
3…고무 스트레스 콘
4…절연 유체
5…애관
12…케이블 절연체
13…케이블 외부 반도전층
16…테이퍼부
L1…제1 처리부
L2…제2 처리부
One… CV cable (cable)
2… Cable terminal
3 ... Rubber stress cone
4… Insulating fluid
5 ... Affection
12 ... Cable insulator
13 ... Cable outer half conductor layer
16 ... Taper portion
L1 ... The first processing unit
L2 ... The second processing section

Claims (4)

케이블 단부의 단계적 박리처리에 의해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 및 케이블 절연체가 노출되고 해당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의 선단측에 고무 스트레스 콘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외부 반도전층을 가지는 케이블 단말과, 상기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에 상기 외부 반도전층에 걸쳐서 장착되는 상기 고무 스트레스 콘과, 상기 케이블 단말 및 상기 고무 스트레스 콘을 포위하고, 내부에 절연 유체가 충전되는 애관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절연체의 외주부는, 상기 고무 스트레스 콘이 장착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1 처리부의 선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절연체의 선단부에 이르는 제2 처리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처리부의 외경은 상기 고무 스트레스 콘의 내경보다 굵게 되고,
상기 제2 처리부의 외경은 상기 고무 스트레스 콘의 내경보다 가늘게 되고, 또한 상기 제2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블 절연체는, 적어도 상기 제2 처리부의 축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보다 상기 케이블 절연체의 직경 방향으로 걸리는 전계가 크게 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처리부의 외면에는 상기 고무 스트레스 콘과 상기 케이블 절연체의 계면에 필요한 전기 특성이 얻어지도록 하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케이블 종단 접속부.
A cable terminal having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formed by expos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f the cable and the cable insulator exposed by the stepwise peeling process of the cable end and performing a process necessary for assembling the rubber stress cone at the leading end side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f the cable, A rubber stress cone mounted 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ble insulator; and an aft pipe enclosing the cable terminal and the rubber stress cone and filled with an insulating fluid there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able insulator includes a first processing portion on which the rubber stress cone is mounted, a tapered port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from the tip end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toward the tip end, and a taper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p end of the tapered portion to the tip end of the cable insulator And a second processing unit,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processing portion is thick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stress cone and the cable insulator of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is at least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portion, And has a thickness that increases the electric field,
Wherein a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treatment section so as to obtain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necessary for an interface between the rubber stress cone and the cable insulator,
Cable termin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외면에는 상기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케이블 종단 접속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is subjected to the surface treatment,
Cable term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7031772A 2010-06-07 2011-04-05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KR1017664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0139A JP5220804B2 (en) 2010-06-07 2010-06-07 Cable termination connection
JPJP-P-2010-130139 2010-06-07
PCT/JP2011/002023 WO2011155110A1 (en) 2010-06-07 2011-04-05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323A KR20130090323A (en) 2013-08-13
KR101766436B1 true KR101766436B1 (en) 2017-08-08

Family

ID=4509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772A KR101766436B1 (en) 2010-06-07 2011-04-05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20804B2 (en)
KR (1) KR101766436B1 (en)
CN (1) CN102934307B (en)
TW (1) TWI530041B (en)
WO (1) WO20111551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9104A (en) * 2014-04-02 2014-06-18 上海华普电缆有限公司 Stress ring for partial discharge tests and high-voltage insulation tests on power cable of 10 kV or lower
KR102495310B1 (en) * 2015-12-29 2023-0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Lubricant composition for cable connection box
CN106961091A (en) * 2016-01-11 2017-07-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Power cable terminal
KR101865851B1 (en) * 2016-10-07 2018-06-11 주식회사 평일 Live wire working device
KR20210083056A (en) 2019-12-26 2021-07-06 한국전력공사 Terminal of high voltage power cable Having High voltage wire detecting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453A (en) * 1998-11-12 2000-05-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Power cable end processing method
JP2003092814A (en) * 2001-09-20 2003-03-28 Fujikura Ltd Method of forming termination connection part of cv cable
JP2009100646A (en) * 2007-09-26 2009-05-07 Swcc Showa Cable Systems Co Ltd Stress cone integrated with metal fitting, and cable end connector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5613A (en) * 1981-02-16 1982-08-21 Hitachi Cable Cable terminal connector
JPH0297213A (en) * 1988-09-30 1990-04-09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Cable terminal for voltage degradation test and cable voltage degradation test method
JP5386811B2 (en) * 2007-10-05 2014-01-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Opt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453A (en) * 1998-11-12 2000-05-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Power cable end processing method
JP2003092814A (en) * 2001-09-20 2003-03-28 Fujikura Ltd Method of forming termination connection part of cv cable
JP2009100646A (en) * 2007-09-26 2009-05-07 Swcc Showa Cable Systems Co Ltd Stress cone integrated with metal fitting, and cable end connect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59558A (en) 2011-12-22
KR20130090323A (en) 2013-08-13
TWI530041B (en) 2016-04-11
CN102934307B (en) 2016-06-08
CN102934307A (en) 2013-02-13
WO2011155110A1 (en) 2011-12-15
TW201223047A (en) 2012-06-01
JP5220804B2 (en)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436B1 (en)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TWI425728B (en) A metal fitting integration type stress-relief cone and a cable sealing end using the same
KR20100027138A (en) Polymer bushing insulator and cable terminating connection part using the polymer bushing insulator
EP0209384A2 (en) Electric cable joints
JP6196001B1 (en) Electric field control device for high power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field control device
JP2010136608A (en) Apparatus for connection point between two electrical high-voltage cables
JP4801182B2 (en) Rubber unit and cable connection using the same
US20090071684A1 (en) High voltage power cable termination
KR101423366B1 (en)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JP2008312373A (en) Energized member of electrical apparatus and connecting part of electrical apparatus therewith
US20040102081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power cables and a connection including the connector
JP5825874B2 (en) Termination part of power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ermination part
JP6628245B2 (en) Terminal section of aluminum conductor cable
JP5238016B2 (en) Connection bus
JP7494255B2 (en) Bushing
JP5878099B2 (en) Terminal connection of coaxial cable for power
JP6880536B2 (en) Power cable terminal structure
JP7489433B2 (en) Bushings and Cable Terminations
JPH09289049A (en) Terminal directly connected to equipment
JP2024018333A (en) bushing
JP5229825B2 (en) Insulation bushing and power cable connection using bracket-integrated protective tube
JP2024037099A (en) Power cable connection parts, power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power cable connection method
JP2011250509A (en) Air termination joint
JP2018050402A (en) Cable connection part
JP2009165293A (en) Shield layer edge trim insula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