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390B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6390B1 KR101766390B1 KR1020160007657A KR20160007657A KR101766390B1 KR 101766390 B1 KR101766390 B1 KR 101766390B1 KR 1020160007657 A KR1020160007657 A KR 1020160007657A KR 20160007657 A KR20160007657 A KR 20160007657A KR 101766390 B1 KR101766390 B1 KR 1017663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band
- isolation
- pattern
- terminal
- mobi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복수 개로 분절된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로서,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일부이고, 제1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제1 파트,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다른 일부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제2 파트, 및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1 파트에 연결되어 제1 파트와 제2 파트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성분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격리도 개선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케이스 프레임에 금속 테두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의 금속 테두리를 복수 개로 분절하여 각각 안테나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분절된 금속 테두리를 각각 안테나로 활용하는 경우, 금속 테두리들 간에 상호 인접한 관계로 안테나의 성능이 저하되며, 패턴 튜닝을 하여도 개선폭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테두리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복수 개로 분절된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로서, 상기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일부이고, 제1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제1 파트; 상기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다른 일부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제2 파트;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성분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격리도 개선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1 파트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대응되며,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상기 제1 파트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상기 제2 파트의 주파수 성분 중 상기 제1 파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생 주파수 성분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은, 제1 분절부 및 상기 제1 분절부와 이격되는 제2 분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분절부와 상기 제2 분절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구조물의 내부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제1 파트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1 파트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1 급전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급전 단자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급전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파트 측으로 형성되는 제1 격리도 개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급전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또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2 격리도 개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 격리도 개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되고 논 그라운드 영역을 이루며, 일부가 상기 제1 분절부 및 상기 제2 분절부에 삽입되어 마련되는 사출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상기 사출 구조물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리도 개선 패턴을 통해 안테나로 사용되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 간의 격리도를 개선함으로써, 테두리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격리도 개선 패턴을 통해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제1 파트와 제2 파트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성분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파트와 제2 파트 간의 격리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제2 파트의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격리도 개선 패턴이 없는 경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격리도 개선 패턴이 있는 경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격리도 개선 패턴이 없는 경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격리도 개선 패턴이 있는 경우, 제1 파트와 제2 파트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일측", "타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 그라운드 플레이트(104), 사출 구조물(106), 및 격리도 개선 패턴(108)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엠피쓰리(MP3) 플레이어, 내비게이션, 스마트 카메라, 전자 사전,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프레임 케이스(미도시)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예를 들어, 금속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복수 개로 분절(分節)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제1 분절부(111) 및 제2 분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절부(111) 및 제2 분절부(113)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일단부 측에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절부(111) 및 제2 분절부(113)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분절된 곳이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제1 분절부(111) 및 제2 분절부(113)에 의해 세 개의 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은 제1 파트(102-1), 제2 파트(102-2), 및 제3 파트(10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02-1)는 제1 분절부(111)와 제2 분절부(113)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부분일 수 있다. 제2 파트(102-2)는 제1 파트(102-1)의 일측(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부분일 수 있다. 제3 파트(102-3)는 제1 파트(102-1)의 타측(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분절부(111) 및 제2 분절부(113)에 해당되는 공간에는 사출 구조물(106)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트(102-1), 제2 파트(102-2), 및 제3 파트(102-3)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파트(102-1)는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700 ~ 900 MHz 대역)의 제1 안테나로 사용되고, 제2 파트(102-2)는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2.4 GHz 대역)의 제2 안테나로 사용되며, 제3 파트(102-3)는 제3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710 ~ 2,690 MHz 대역)의 제3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102-1)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이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파트(102-1)는 제1 그라운드 단자(121) 및 제1 급전 단자(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단자(121) 및 제1 급전 단자(123)는 각각 제1 파트(102-1)와 연결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그라운드 단자(121)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그라운드(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메인 보드에 형성되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전 단자(123)로는 급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제2 파트(102-2)는 제2 그라운드 단자(131) 및 제2 급전 단자(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단자(131) 및 제2 급전 단자(133)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일단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그라운드 플레이트(104)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그라운드 단자(131) 및 제2 급전 단자(133)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일단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파트(102-3)는 제3 그라운드 단자(141) 및 제3 급전 단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라운드 단자(141) 및 제3 급전 단자(143)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일단부의 타측 모서리에서 그라운드 플레이트(104)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그라운드 단자(141) 및 제3 급전 단자(143)는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102)의 일단부의 타측 모서리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104)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그라운드 플레이트(104)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메인 보드(미도시)에 형성되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104)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구조물들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104)는 제2 파트(102-2) 및 제3 파트(102-3)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사출 구조물(106)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사출 구조물(106)은 수지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출 구조물(106)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에서 모바일 단말기(100)의 일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사출 구조물(106)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내부 일단부에서 논 그라운드(Non Ground) 영역을 이룰 수 있다. 사출 구조물(106)의 일부는 제1 분절부(111) 및 제2 분절부(113)에 해당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가 제1 분절부(111)의 공간에 삽입된 사출 구조물(106)에 의해 절연되고, 제1 파트(102-1)와 제3 파트(102-3)가 제2 분절부(113)의 공간에 삽입된 사출 구조물(106)에 의해 절연된다.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제1 안테나인 제1 파트(102-1)와 제2 안테나인 제2 파트(102-2) 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즉, 격리도)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성분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격리도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제1 파트(102-1)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을 제2 안테나인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제2 파트(102-2)의 주파수 성분 중 제1 파트(102-1)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파수 성분(이하, 기생 주파수 대역이라 지칭할 수 있음)을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아이솔레이션을 개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파트들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1 파트(102-1)와 제3 파트(102-3) 간의 아이솔레이션을 개선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사출 구조물(10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일단부가 제1 파트(102-1)의 제1 급전 단자(12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파트(102-2) 측으로 형성되는 제1 격리도 개선 패턴(108a), 일단부가 제1 파트(102-1)의 제1 그라운드 단자(1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급전 단자(123)에 연결되는 제2 격리도 개선 패턴(108b), 및 일단부가 그라운드 플레이트(10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그라운드 단자(121)에 연결되는 제3 격리도 개선 패턴(108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제1 격리도 개선 패턴(108a), 제2 격리도 개선 패턴(108b), 및 제3 격리도 개선 패턴(108c)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리도 개선 패턴(108)은 제1 격리도 개선 패턴(108a)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격리도 개선 패턴(108a)과 제2 격리도 개선 패턴(108b) 또는 제3 격리도 개선 패턴(108c)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제2 격리도 개선 패턴(108b)이 제1 그라운드 단자(121)와 제1 급전 단자(123)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격리도 개선 패턴(108b)은 일단부가 제1 급전 단자(12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그라운드 플레이트(10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3 격리도 개선 패턴(108c)이 제1 그라운드 단자(121)와 그라운드 플레이트(104)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격리도 개선 패턴(108c)은 제1 그라운드 단자(121)와 제3 그라운드 단자(141)를 연결하며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리도 개선 패턴(108)을 통해 제1 파트(102-1)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을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고, 제2 파트(102-2)의 주파수 성분 중 제1 파트(102-1)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파수 성분을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아이솔레이션을 개선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2 파트(102-2)의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없는 경우,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없는 경우, 제1 파트(102-1)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의 (b)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없는 경우,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의 (c)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없는 경우,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격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파트(102-1)의 공진 주파수는 860 ~ 960 MHz 대역이고,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는 2.4 ~ 2.5 GHz 대역인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격리도는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즉, 2.4 ~ 2.5 GHz 대역)에서 약 -11dB인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트(102-1)의 체배 공진 주파수가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와 대응되는 바,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간섭이 크게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2 파트(102-2)의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도 3은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있는 경우,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의 S 파라미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있는 경우, 제1 파트(102-1)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의 (b)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있는 경우,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의 (c)는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있는 경우,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격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격리도 개선 패턴(108)으로 인해 제1 파트(102-1)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이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인 1.57 ~ 1.8 GHz 대역으로 이동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격리도 개선 패턴(108)으로 인해 제2 파트(102-2)의 기생 주파수 대역이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인 1.57 ~ 1.8 GHz 대역으로 이동된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격리도는 제2 파트(102-2)의 공진 주파수 대역(즉, 2.4 ~ 2.5 GHz 대역)에서 약 -14 ~ 15dB로, 격리도 개선 패턴(108)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 3 ~ 4dB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리도 개선 패턴(108)을 통해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성분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파트(102-1)와 제2 파트(102-2) 간의 격리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제2 파트(102-2)의 안테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모바일 단말기
102 :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
102-1 : 제1 파트
102-2 : 제2 파트
102-3 : 제3 파트
104 :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 사출 구조물
108 : 격리도 개선 패턴
108a : 제1 격리도 개선 패턴
108b : 제2 격리도 개선 패턴
108c : 제3 격리도 개선 패턴
111 : 제1 분절부
113 : 제2 분절부
121 : 제1 그라운드 단자
123 : 제1 급전 단자
131 : 제2 그라운드 단자
133 : 제2 급전 단자
141 : 제3 그라운드 단자
143 : 제3 급전 단자
102 :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
102-1 : 제1 파트
102-2 : 제2 파트
102-3 : 제3 파트
104 : 그라운드 플레이트
106 : 사출 구조물
108 : 격리도 개선 패턴
108a : 제1 격리도 개선 패턴
108b : 제2 격리도 개선 패턴
108c : 제3 격리도 개선 패턴
111 : 제1 분절부
113 : 제2 분절부
121 : 제1 그라운드 단자
123 : 제1 급전 단자
131 : 제2 그라운드 단자
133 : 제2 급전 단자
141 : 제3 그라운드 단자
143 : 제3 급전 단자
Claims (10)
- 복수 개로 분절된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을 구비하고, 내부에 그라운드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로서,
상기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일부이고, 제1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제1 파트;
상기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의 다른 일부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는 제2 파트;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파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성분을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격리도 개선 패턴;
상기 제1 파트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1 파트와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1 급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급전 단자에 연결된 것인,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1 파트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대응되며,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상기 제1 파트의 체배 공진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안테나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상기 제2 파트의 주파수 성분 중 상기 제1 파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기생 주파수 성분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테두리 구조물은, 제1 분절부 및 상기 제1 분절부와 이격되는 제2 분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분절부와 상기 제2 분절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인, 안테나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급전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파트 측으로 형성되는 제1 격리도 개선 패턴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급전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또는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2 격리도 개선 패턴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일단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 격리도 개선 패턴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마련되고 논 그라운드 영역을 이루며, 일부가 상기 제1 분절부 및 상기 제2 분절부에 삽입되어 마련되는 사출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도 개선 패턴은, 상기 사출 구조물 상에 마련되는, 안테나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및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657A KR101766390B1 (ko) | 2016-01-21 | 2016-01-2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7657A KR101766390B1 (ko) | 2016-01-21 | 2016-01-2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722A KR20170087722A (ko) | 2017-07-31 |
KR101766390B1 true KR101766390B1 (ko) | 2017-08-08 |
Family
ID=5941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7657A KR101766390B1 (ko) | 2016-01-21 | 2016-01-2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63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8553B1 (ko) * | 2019-07-03 | 2024-02-19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메탈 프레임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
-
2016
- 2016-01-21 KR KR1020160007657A patent/KR10176639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7722A (ko) | 2017-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74287B2 (en) | Antenna system with full metal back cover | |
EP3179554B1 (en) | Terminal casing and terminal | |
JP6234566B2 (ja) |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 |
US10559871B2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 |
US10276934B2 (en) | Antenna structure | |
US9240627B2 (en) | Handheld device and planar antenna thereof | |
US9184494B1 (en) | Switchable Pi shape antenna | |
US9343801B2 (en) | Electronic device | |
KR102272966B1 (ko) | 용량성 결합된 격리기 조립체 | |
EP3273532B1 (en) |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 |
US10038249B2 (en) | Mobile device | |
US10498032B2 (en) | Antenna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60093949A1 (en) | Antenna System | |
US10594022B2 (en) | Triband antenna | |
US20170104261A1 (en) | Communication device | |
US20160190676A1 (en) |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
WO2022068799A1 (zh) | 穿戴式电子设备、天线控制方法和存储介质 | |
US985960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CN103138052A (zh) | 可携式通讯装置的多频天线 | |
KR101766390B1 (ko)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
KR20170061295A (ko) | 안테나 구조체 | |
KR101608438B1 (ko) | 메탈 케이싱을 갖는 휴대용 단말 장치 | |
CN110459860B (zh) | 后壳组件及电子设备 | |
KR101607396B1 (ko) | 격리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 장치 | |
KR102244602B1 (ko)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