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718B1 -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718B1
KR101765718B1 KR1020170018606A KR20170018606A KR101765718B1 KR 101765718 B1 KR101765718 B1 KR 101765718B1 KR 1020170018606 A KR1020170018606 A KR 1020170018606A KR 20170018606 A KR20170018606 A KR 20170018606A KR 101765718 B1 KR101765718 B1 KR 10176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voice
voice information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병권
류재원
박현지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7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even in the water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Bluetooth technique, a radio technique, and a wire antenna communication technique, protecting the safety of an underwater worker by providing real-time water depth information to the underwater worker, and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underwater worker by provi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nderwater worker and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of a worker out of the wate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underwater worker and the worker out of the water.

Description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본 발명의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전도 음성정보 전달을 통해 수중에서도 음성정보를 전달받아, 수중 작업자와 수면 위의 작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for receiving underwater voice information through bone conduction voic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underwater worker and a worker on a water surface It is about a headset.

최근 들어, 고막을 통하지 않고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는 골전도 헤드셋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밴드의 양단부에 진동자가 구비된 스피커가 형성되며, 그 중 한쪽의 스피커에서 연장된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이 골전도 헤드셋은 상기의 스피커를 머리뼈 부분에 밀착시키면, 스피커에 구비된 진동자가 귓속의 고막이 아닌 두개골을 직접 진동시켜 이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cently, a variety of bone conduction headsets have been developed to enable audiovisual information to be hear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eardrum. The bone conduction headset includes a speaker having a vibrator at both ends of a head band worn on the head, and a microphone extending from one of the speakers is formed. In this bone conduction headset, when the speak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ead bone, the vibrator provided in the speaker directly vibrates the skull, not the eardrum,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voice information by using the vibration.

그런데,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은 상기 스피커의 사이즈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귀를 덮어서 착용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의 헤드밴드와 커다란 스피커로 인해 일반 헤드셋에 비해 부피가 상당히 커서 보관이 쉽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은 커다란 스피커부가 착용자의 두개골에 밀착되도록 착용되므로, 고막을 통해서는 음성정보를 들을 수 없었다.However, such a bone conduction headset is not generally used since it has a large size and a large weight and is not easy to look at, and is inconvenient to cover the ear of a user. Also, the headband and large speakers of this bone conduction headset are bulky compared to conventional headsets and are not easy to store. In addition, the bone conduction headset is worn so that a large loudspeaker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skull, so that voice information can not be heard through the eardrum.

한편, 휴대용 카세트, CD플레이어, MP3와 같은 오디오 기기 및 MP3 기능이 부가된 휴대폰의 보급으로 인해 말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헤드셋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이러한 헤드셋이 상기의 오디오 기기나 휴대폰과 무선으로 통신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headphones capable of speaking and listening to music are widely used due to the spread of portable cassettes, CD players, audio devices such as MP3s, and mobile phones with MP3 functions. Furthermore, in recent years, a scheme has been developed in which such a headset is wirelessly communicated with the above-described audio device or cellular phon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15720 골전도를 이용한 방수 헤드셋 플레이어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115720 A waterproof headset player using bone conduction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블루투스기술, 라디오기술, 와이어안테나통신기술)을 통해 골전도 음성정보 전달을 통해 수중에서도 음성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voice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underwater through bone conduction voice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technology, radio technology, wire antenna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수중의 작업자에게 실시간 수심을 제공하여 수중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수중작업자와 수면 위의 작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수중 작업자의 상황과 수면 위의 작업자 간의 현재 상황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real-time water depth to the underwater worker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underwater worker and to communicate the situation between the underwater worker and the worker on the water surface by communicating between the underwater worker and the worker on the water surface, The purpose of this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골전도 방식을 이용해 수중에서도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10)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은,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10) capable of listening to voice information in water using the bone con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머리 둘레를 감싸도록 거치되며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머리 둘레에 맞게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헤드거치대(110)를 포함하는 거치수단(100)과,A mounting means (100) including a head mount (110) mounted to surround the head and formed to have a constant elasticity and adapted to be adjusted to fit around the head,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거치대(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200)와,A speaker unit 2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 rest 110 to receive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헤드셋(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중 수심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300)와,A sensor unit 300 for sensing the water depth of the user using the headset 10,

외부의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통신부(400)와,A communication unit 40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mart phone 6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제공받은 음성정보를 스피커부(200) 측으로 제공하거나, 헤드셋(10)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으로 제공하고, 센서부(300)에 의해 센싱되는 수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10)과;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200 or the voice of the user wearing the headset 10 is provided to the smart 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a controller (500) for controlling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the depth information sensed by the controller (300).

무선 근거리통신을 통해 통신부(400)와 연결되도록 하며, 실시간 상황정보를 통신부(400) 측으로 제공하며, 통신부(400)를 통해 송신되는 수중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스마트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mart phone 600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rough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providing real time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receiving underwate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블루투스기술, 라디오기술, 와이어안테나통신기술)을 통해 골전도 음성정보 전달을 통해 수중에서도 잡음이 없는 음성정보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listen to noiseless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of bone conduction voice inform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technology, radio technology, wire antenna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수중의 작업자에게 실시간 수심을 제공하여 수중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수중작업자와 수면 위의 작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수중 작업자의 상황과 수면 위의 작업자 간의 현재 상황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real-time water depth to the underwater worker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underwater worker and to communicate the situation between the underwater worker and the worker on the water surface by communicating between the underwater worker and the worker on the water surface, .

또한, 조난 상황에서도 통신 장비로 활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effects that can be used as communication equipment even in a distress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 수중 골전도 헤드셋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수중 골전도 헤드셋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수중 골전도 헤드셋의 통신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수중 골전도 헤드셋의 센서부의 또다른 타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mmunication state diagram of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the sensor unit of the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골전도 방식을 이용해 수중에서도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10)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은,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10, which enables the user to hear voice information by using the bone con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머리 둘레를 감싸도록 거치되며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머리 둘레에 맞게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헤드거치대(110)를 포함하는 거치수단(100)과,A mounting means (100) including a head mount (110) mounted to surround the head and formed to have a constant elasticity and adapted to be adjusted to fit around the head,

외부의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거치대(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200)와,A speaker unit 2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 rest 110 to receiv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mart phone 600 and provide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헤드셋(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중 수심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300)와,A sensor unit 300 for sensing the water depth of the user using the headset 10,

외부의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통신부(400)와,A communication unit 40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mart phone 6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제공받은 음성정보를 스피커부(200) 측으로 제공하거나, 헤드셋(10)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으로 제공하고, 센서부(300)에 의해 센싱되는 수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10)과;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200 or the voice of the user wearing the headset 10 is provided to the smart 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a controller (500) for controlling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the depth information sensed by the controller (300).

무선 근거리통신을 통해 통신부(400)와 연결되도록 하며, 실시간 상황정보를 통신부(400) 측으로 제공하며, 통신부(400)를 통해 송신되는 수중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스마트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mart phone 600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rough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providing real time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receiving underwate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

상기 거치수단(100)은 헤드셋(10)을 머리 둘레에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에 거치시 착용감을 위해 일정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means 100 is for mounting the headset 10 around the head,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for wearing comfort in the head.

또한, 상기 거치수단(100)은 머리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헤드거치대(110)와 골전도 위치를 눌러 헤드거치대(110)를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음성정보출력부(2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means 100 is formed of a head mount 110 formed to surround the head and a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for fixing the head mount 110 to the head by pressing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

또한, 상기 거치수단(100)은 머리 둘레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ans 100 is formed to be adjustable along the head circumference.

구체적으로, 거치수단(100)은,
조절부재(122)에 의한 음성정보출력부(210) 위치 조절시 탄성판스프링(121) 일측이 삽입 수용되도록 헤드거치대(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대(120)와;
Specifically, the mounting means 100 includes:
A fixing table 120 formed at one side of the head table 110 so as to insert and receive one side of the elastic leaf spring 121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by the adjusting member 122;

조절부재(122)에 의한 음성정보출력부(210) 위치 조절시 상기 고정대(120)에 일측이 삽입 수용되고, 상기 고정대(120)와 조절부재(122)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탄성판스프링(121)과;The elastic plate spring 121 (see FIG. 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table 120 when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mber 122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120, )and;

음성정보출력부(210)의 위치 조절을 위해 탄성스프링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djusting member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spring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

상기 고정대(120)는 헤드거치대(110)의 양측 끝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ars 120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head holder 110 as a pair.

상기 고정대(120) 일측으로 탄성판스프링(121)이 삽입 수용되거나 빠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table 120 so that the elastic leaf spring 121 can be inserted or removed.

상기 탄성판스프링(121)은 고정대(120)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조절부재(122)를 고정대(120) 측으로 밀어 고정대(120) 내부로 탄성판스프링(121)을 삽입 수용시 헤드거치대(110)의 곡선을 따라 삽입 수용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ilient leaf spring 121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a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table 120 so that the resilient leaf spring 121 is inserted into the fixed table 120 by pushing the adjusting member 122 toward the fixed table 120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along the curve of the head rest 110 when the head rest 110 is received.

또한, 음성정보출력부(210)의 위치 조절을 위해 고정대(120) 내부로 삽입 수용되거나 외부로 빠지는 경우 일정 탄성을 갖도록 하여 조절을 통해 발생되는 굽힘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table 120 or accommodated in the fixing table 120 so as to have a certain elasticity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bending caused by the adjustment.

상기 조절부재(122)는 탄성판스프링(121) 일측에 형성되어 타측이 음성정보출력부(210)가 연결되며, 상기 조절부재(122)는 머리 둘레에 따라 고정대(120) 측으로 탄성판스프링(121)이 삽입 수용되도록 밀어주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justment member 12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lastic plate spring 1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The adjustment member 12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late spring 120 121 are inserted and received.

상기 조절부재(122)는 헤드거치대(110)의 양측에 위치되며, 조절부재(122)를 사용하여 머리 둘레에 맞게 음성정보출력부(2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justment member 122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head mount 110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n accordance with the head circumference using the adjustment member 122.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부(2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음성정보를 제공받아 청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피커부(200)는 착용자의 골전도 상에 위치되며, 골전도 위치를 일정 탄성으로 눌러줌으로 스피커부(200)와 연결 형성되는 헤드거치대(110)가 머리 둘레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speaker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receiving and receiving voice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600. The speaker unit 200 is positioned on the bone conduction of the wearer, And a head rest 110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peaker unit 200 by pressing its position with a certain elasticity is formed to be fixed around the head.

구체적으로, 상기 스피커부(2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정보를 착용자의 골전도 측으로 제공하도록 헤드거치대(110)의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는 음성정보출력부(210)와;Specifically, the speaker unit 200 includes a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formed as a pair of right and left head rests 110 to provide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bone conduction side of the wearer;

상기 음성정보출력부(210)의 착용시 골전도 위치에 일정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헤드거치대(110)가 머리에서 빠지지 않도록 음성정보출력부(210)와 헤드거치대(110)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탄성바(220)과;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can be suppressed by a certain pressure on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when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worn, A bar 220;

헤드거치대(110) 착용시 음성정보출력부(210)가 골전도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음성정보출력부(210) 일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패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non-slip pad 230 formed at one side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does not slip at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when the head rest 110 is worn.

상기 음성정보출력부(210)는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제공받은 음성정보를 착용자가 골전도를 통해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거치대(11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 rest 110 so that the wearer can listen to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mart phone 600 through bone condu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do.

상기 음성정보출력부(210)는 탄성바(220)에 의해 헤드거치대(110)와 연결 형성되며, 음성정보출력부(210)가 골전도 위치를 눌러줌으로 헤드거치대(110)가 머리 둘레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head rest 110 by an elastic bar 220 and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presses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so that the head rest 110 is moved around the head And is fixedly formed.

상기 탄성바(220)는 헤드거치대(110)에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음성정보출력부(210)가 골전도 위치를 일정 압력으로 눌러 헤드거치대(110)가 머리 둘레에서 고정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bar 220 is connected to the head rest 110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presses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at a constant pressure to fix the head rest 110 to the head. .

상기 탄성바(220)는 음성정보출력부(210) 반대 측을 내측으로 눌러 음성정보출력부(210)가 후퇴되도록 함과 동시에 골전도에 위치되도록 하고, 누르고 있는 탄성바(220)를 놓아 줌으로 음성정보출력부(210)가 골전도 측으로 전진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bar 220 pushes the opposite side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nward to allow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to be retracted and to be positioned at the bone conduction and release the elastic bar 220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has elasticity so as to advance toward the bone conduction side.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30)는 골전도 위치에 음성정보출력부(210)가 일정 압력으로 눌러 헤드거치대(110)가 머리 둘레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함에도 탄성바(220)의 일정 압력이 부족하거나, 머리카락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음성정보출력부(210) 일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미끄럼방지패드(230)는 음성정보출력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정보가 골전도 측으로 전달시 방해되지 않도록 음성정보출력부(210) 면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slip pad 230 is fixed to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pressed with a certain pressure to prevent the head holder 110 from falling off the head, The non-slip pad 23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bone conduction side And is formed around the surface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so as not to be disturbed.

도 1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부(300)는 헤드셋(10)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가 수중 작업시 수중의 수심을 실시간으로 센싱하기 위해 제어부(50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sensor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earer wearing the headset 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troller 500 to sense the depth of water in real time during underwater work .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300)는 헤드셋(10)을 착용한 착용자가 수중 작업시 실시간으로 수심을 센싱하여 현재 수심정보를 착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헤드거치대(110) 일측에 형성되는 수심센서(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sensor unit 300 includes a water depth sensor 310 (see FIG. 3) formed at one side of the head rest 110 for sensing a depth of water in real time when a wearer wearing the headset 10 wears underwater, ).

상기 수심센서(310)는 실시간으로 수중에 위치한 헤드셋(10)의 수심 즉, 헤드셋(10)을 착요하고 있는 착용자의 수심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심센서(310)를 통해 센싱되는 수심정보는 제어부(500)를 통해 착용자에게 알려주거나, 통신부(400)를 통해 수면 위에 위치한 스마트폰(600) 측으로 수심정보를 전송하여 수중에 위치한 헤드셋(10) 착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수중 작업자가 본인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로부터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pth sensor 310 senses the depth of the headset 10 located in the water in real time, that is, the depth of the wearer who is wearing the headset 10. The depth information sensed by the depth sensor 310 The control unit 500 informs the wearer of the wearer or transmits the depth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600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so as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wearer of the headset 10 located in the water in real tim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user so a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부(400)는 수중에 위치한 헤드셋(10) 착용자와 수면에 위치한 스마트폰(600)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상기 통신부(400)는 헤드셋(10)에 안테나(410)와 안테나(410)를 수면위로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와이어(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and 3, the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earer of the headset 10 located in the water and the smartphone 600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The communication unit 400 includes a headset And an antenna wire 420 for positioning the antenna 410 and the antenna 410 on the water surface.

상기 안테나(410)는 스마트폰(600)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또는 라디오통신기술 중 어느 하나의 통신기술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enna 410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600 through a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or a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400)는 스마트폰(600)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되어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헤드셋(10) 측으로 제공하고, 헤드셋(10)에서 생성되는 음성버튼정보와 수심정보가 스마트폰(600) 측으로 전송되도록 헤드셋(10)과 연결 형성되는 안테나(410)와;The communication unit 400 provides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headset 10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600 and transmits voic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headset 10, An antenna 410 connected to the headset 10 to transmit depth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600;

수면에 위치되는 안테나(410)와 헤드셋(1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안테나와이어(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ntenna wire 420 form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410 positioned at the water surface and the headset 10.

상기 안테나(410)는 헤드셋(10)과 스마트폰(600) 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600)에서 헤드셋(10) 측으로 제공하는 음성정보를 안테나(410)를 통해 헤드셋(10)의 제어부(500) 측으로 전송하며, 헤드셋(10)의 제어부(500)를 통해 생성되는 음성버튼정보와 수심센서(310)를 통해 생성되는 수심정보를 스마트폰(600)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enna 410 is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headset 10 and the smartphone 600 and transmits 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headset 10 via the antenna 410, Voice butt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of the headset 10 and depth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epth sensor 310 ar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600 side .

상기 안테나(410)는 헤드셋(10)이 수면위에 위치하는 경우, 헤드거치대(110)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수중에 위치하는 경우 안테나(410)는 수면위에 위치하고, 헤드거치대(110)와 안테나(410) 간의 안테나와이어(420)를 통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headset 10 is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the antenna 4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rest 110. When the headset 10 is positioned in the water, the antenna 410 is position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antenna wire (420) between the antenna (410).

상기 안테나와이어(420)는 안테나(410)와 헤드셋(10) 간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안테나와이어(42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중 내의 유속이나 수면 위의 파도에 의해 안테나(410)가 유실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enna wire 420 is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410 and the headset 10 and the antenna wire 42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antenna 41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Is formed.

헤드셋(10)이 수면 위에 위치되는 경우 안테나와이어(420)는 헤드거치대(110)에 권취되어 보관되며, 수중 작업시 권취된 안테나와이어(420)가 수중 수심에 따라 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headset 10 is positioned above the water surface, the antenna wire 420 is wound around the head holder 110 and stored, and the wound antenna wire 420 is formed to be loosened according to water depth .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에서 제공받은 음성정보를 음성정보출력부(210) 측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헤드셋(10) 상의 수심센서(310)로부터 제공받은 센싱신호와 음성버튼부(700)를 통해 제공받은 버튼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수심정보와 음성버튼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 측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to provide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e depth information and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are generated using the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depth sensor 310 and the button selection signal provided through the voice button unit 700 and provided to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a control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통신부(400)를 통해 음성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음성정보수신부(510)와;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0 includes a vo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외부의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수신받은 음성 정보와 정보생성부(540)에서 생성한 수심정보를 음성정보출력부(210)를 통해 착용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음성정보송출부(520)와;A vo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20 for transmitting the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smartphone 600 and the depth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to the wearer through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수심센서(310)로부터 제공받은 센싱신호와 음성버튼부(700)를 통해 제공받은 버튼선택신호를 이용해 각각의 수심정보와 음성버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생성부(540)와;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for generating depth information and voice button information by using the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depth sensor 310 and the button selection signal provided through the voice button unit 700;

상기 수심정보와 음성버튼정보를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송신부(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information transmitter 550 for transmitting the depth information and voice butt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

상기 음성정보수신부(510)는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0 receives voice inform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상기 음성정보수신부(510)는 스마트폰(600)에서 통신부(400) 측으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것으로,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은 음성정보정보는 통신부(400)에서 제어부(500) 측으로 안테나와이어(420)를 통해 유선 통신으로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information receiving unit 510 is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e voice inform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00 to the control unit 500 via the antenna wire 500. [ (420) via a wired communication.

상기 음성정보송출부(52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수신받은 음성정보정보를 헤드셋(10) 착용자의 골전도 측으로 음성정보를 송출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20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bone conduction side of the wearer of the headset 10.

상기 음성정보송출부(520)를 통해 송출되는 음성정보는 골전도와 고막을 통해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20 is capable of receiving voice information through bone conduction and eardrum.

상기 버튼선택인식부(530)를 통해 인식되는 단어는 "Yes, No, Danger"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d recognized by the button selection recognition unit 530 recognizes any one of "Yes, No, Danger ".

예를 들어, 음성버튼부(700)를 일정 시간 길게 누르는 경우 Yes, 짧게 누르는 경우 No, 짧게 다수번 누르는 경우 Danger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of time, it is recognized as Yes,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when it is pressed several times.

상기 정보생성부(540)는 수심센서(310)로부터 수심신호를 제공받아 수심정보를 생성하며, 음성버튼부(700)로부터 제공된 버튼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음성버튼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버튼부(700)로부터 제공된 버튼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음성버튼정보는 "Yes, No, Dang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음성버튼부(700)를 일정 시간 길게 누르는 경우의 버튼선택신호에 의해 Yes라는 음성버튼정보가 생성되고, 짧게 누르는 경우의 버튼선택신호에 의해 No라는 음성버튼정보가 생성되고, 짧게 다수 번 누르는 경우의 버튼선택신호에 의해 Danger라는 음성버튼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버튼정보는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된 음성정보에 대한 착용자의 의사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이다.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generates depth information by receiving a depth signal from the depth sensor 310 and generates voice button information using a button sel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voice button unit 700. [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to be generated using the button selec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any one of "Yes, No, Danger".
For example, voice button information of Yes is generated by the button selection signal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voice button information of No is generated by the button selection signal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short time,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called Danger can be generated by the button selection signal in the case of pressing a number of times.
That is,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wearer's intention to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600.

또한, 수심정보는 "수심 2m입니다. 또는 수심 5m 위험단계입니다." 등으로 생성되어 수면 위에 위치한 스마트폰(600) 측으로 제공하며, 음성버튼정보는 "현재상태 Yes 또는 좋음, 현재상태 No 또는 나쁨, 현재상태 Danger 또는 위험" 등의 형식으로 스마트폰(600) 측으로 제공된다.Also, the depth information is "2m depth or 5m depth." And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600 in the form of "current state Yes or good, current state No or bad, current state Danger or danger" do.

상기 정보송신부(550)는 정보생성부(540)를 통해 생성된 수심정보와 음성버튼정보를 통신부(400)를 이용해 스마트폰(600)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50 transmits the depth information and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to the smartphone 6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400.

따라서, 상기 정보송신부(550)에서 통신부(400) 측으로 안테나와이어(420)의 유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며, 이를 안테나(410)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폰(600)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information transmitter 550 transmits the antenna wire 420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transmits the antenna wire 420 to the smartphone 600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600)은 안테나(410)와 무선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수중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작업 지시 또는 현재 상황 등의 음성정보 정보를 전송하고, 수중에 위치한 작업자로부터 현재 작업상태와 수심정보 등을 제공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smartphon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ntenna 410 using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to transmit voice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a work instruction or a current situation to an operator located in the water, And is provided to receive current work status, depth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a worker located there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 골전도 헤드셋(10)은 헤드셋(10) 착용자가 스마트폰(600)에서 제공한 음성정보에 의한 반응과 실시간 착용자의 상태를 스마트폰(60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제어부(500) 일측으로 형성되는 음성버튼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ponse of the wearer of the headset 10 by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600 and a state of the wearer in real time to the smartphone 600 side And a voice button unit 70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500 in order to perform a voice call.

상기 음성버튼부(700)는 헤드셋(10)을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가 수중에서 현재 상태를 수면 위의 관리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착용자는 음성버튼부(700)를 눌러 현재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버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button unit 700 is a means for letting an operator wearing the headset 10 know the current state of the water in the water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wearer. The wearer can press the voice button unit 700 And generates a button selection signal.

예를 들어, 음성버튼부(700)를 일정 시간 길게 누르는 경우 Yes, 짧게 누르는 경우 No, 짧게 다수번 누르는 경우 Danger에 해당하는 버튼선택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of time, the button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Yes is selected,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when the voice button unit 700 is press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헤드셋
100 : 거치수단
110 : 헤드거치대 120 : 고정대
121 : 탄성판스프링 122 : 조절부재
200 : 스피커부
210 : 음성정보출력부(210) 220 : 탄성바
230 : 미끄럼방지패드
300 : 센서부
310 : 수심센서
400 : 통신부
410 : 안테나 420 : 안테나와이어
500 : 제어부
510 : 음성정보수신부 520 : 음성정보송출부
530 : 버튼선택인식부 540 : 정보생성부
550 : 정보송신부
600 : 스마트폰
700 : 음성버튼부
10: Headset
100: mounting means
110: head holder 120: holder
121: elastic plate spring 122: adjusting member
200: speaker unit
210: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220: elastic bar
230: Non-slip pad
300:
310: Depth sensor
400:
410: antenna 420: antenna wire
500:
510: audio information receiving unit 520: audio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30: Button selection recognition unit 540: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0: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600: Smartphone
700: Voice button section

Claims (7)

골전도 방식을 이용해 수중에서도 음성정보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10)을 이용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머리 둘레를 감싸도록 거치되며 일정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머리 둘레에 맞게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헤드거치대(110)를 포함하는 거치수단(100)과,
외부의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거치대(110) 양측으로 형성되는 스피커부(200)와,
헤드셋(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중 수심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300)와,
외부의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받기 위한 통신부(400)와,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제공받은 음성정보를 스피커부(200) 측으로 제공하거나, 헤드셋(10)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음성을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으로 제공하고, 센서부(300)에 의해 센싱되는 수심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헤드셋(10) 착용자가 스마트폰(600)에서 제공한 음성정보에 의한 반응과 실시간 착용자의 상태를 스마트폰(60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버튼선택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음성버튼부(700)를 포함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10)과;
무선 근거리통신을 통해 통신부(400)와 연결되도록 하며, 실시간 상황정보를 통신부(400) 측으로 제공하며, 통신부(400)를 통해 송신되는 수중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스마트폰(6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통신부(400)를 통해 음성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음성정보수신부(510)와;
외부의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수신받은 음성 정보와 정보생성부(540)에서 생성한 수심정보를 음성정보출력부(210)를 통해 착용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음성정보송출부(520)와;
수심센서(310)로부터 제공받은 센싱신호와 음성버튼부(700)를 통해 제공받은 버튼선택신호를 이용해 각각의 수심정보와 음성버튼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생성부(540)와;
상기 수심정보와 음성버튼정보를 통신부(400)를 통해 스마트폰(60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정보송신부(550)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버튼정보는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된 음성정보에 대한 착용자의 의사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10) that allows voice information to be received in the water using a bone conduction system,
A mounting means (100) including a head mount (110) mounted to surround the head and formed to have a constant elasticity and adapted to be adjusted to fit around the head,
A speaker unit 2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 rest 110 to receiv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mart phone 600 and provide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A sensor unit 300 for sensing the water depth of the user using the headset 10,
A communication unit 40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mart phone 6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is provided to the speaker unit 200 or the voice of the user wearing the headset 10 is provided to the smart 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 controller 500 for controlling the user to inform the user of the depth information sensed by the controller 300,
And a voice button unit 700 for providing a control unit with a button selection signal for providing a response of the wearer of the headset 10 by the vo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600 and a state of the wearer of the real time to the smartphone 600 An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10;
And a smartphone 60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rough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providing real time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receiving underwate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e control unit 500,
An audio information receiver 510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 voic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20 for transmitting the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smartphone 600 and the depth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to the wearer through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40 for generating depth information and voice button information by using the sensing signal provided from the depth sensor 310 and the button selection signal provided through the voice button unit 700;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550 for transmitting the depth information and voice butt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Wherein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wearer's intention to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6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100)은,
조절부재(122)에 의한 음성정보출력부(210) 위치 조절시 탄성판스프링(121) 일측이 삽입 수용되도록 헤드거치대(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대(120)와;
조절부재(122)에 의한 음성정보출력부(210) 위치 조절시 상기 고정대(120)에 일측이 삽입 수용되고, 상기 고정대(120)와 조절부재(122)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탄성판스프링(121)과;
음성정보출력부(210)의 위치 조절을 위해 탄성스프링 일측으로 형성되는 조절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means (100)
A fixing table 120 formed at one side of the head table 110 so as to insert and receive one side of the elastic leaf spring 121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by the adjusting member 122;
The elastic plate spring 121 (see FIG. 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table 120 when the posi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member 122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120, )and;
And a control member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spring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200)는,
스마트폰(600)으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정보를 착용자의 골전도 측으로 제공하도록 헤드거치대(110)의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는 음성정보출력부(210)와;
상기 음성정보출력부(210)의 착용시 골전도 위치에 일정 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헤드거치대(110)가 머리에서 빠지지 않도록 음성정보출력부(210)와 헤드거치대(110)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탄성바(220)과;
헤드거치대(110) 착용시 음성정보출력부(210)가 골전도 위치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음성정보출력부(210) 일측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패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aker unit (200)
A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form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head rests 110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bone conduction side of the wearer;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can be suppressed by a certain pressure on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when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worn, A bar 220;
And a non-slip pad (230) formed on one side of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so that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unit (210) does not slip at the bone conduction position when the head base (1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는,
헤드셋(10)을 착용한 착용자가 수중 작업시 실시간으로 수심을 센싱하여 현재 수심정보를 착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헤드거치대(110) 일측에 형성되는 수심센서(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300)
And a water depth sensor (310) formed at one side of the headrest (110) for sensing a depth of water in real time when a wearer wearing the headset (10) underwater and informing the wearer of current depth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heads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400)는,
스마트폰(600)과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되어 스마트폰(600)에서 전송되는 음성정보를 헤드셋(10) 측으로 제공하고, 헤드셋(10)에서 생성되는 음성버튼정보와 수심정보가 스마트폰(600) 측으로 전송되도록 헤드셋(10)과 연결 형성되는 안테나(410)와;
수면에 위치되는 안테나(410)와 헤드셋(1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안테나와이어(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골전도 헤드셋을 이용한 통신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400)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600 to the headset 10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600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voice button information and the depth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headset 10 ar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600 An antenna 410 connected to the headset 10 to be transmitted;
And an antenna wire (420) form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410) positioned at the water surface and the headset (10).


삭제delete
KR1020170018606A 2017-02-10 2017-02-10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KR1017657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06A KR101765718B1 (en) 2017-02-10 2017-02-10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06A KR101765718B1 (en) 2017-02-10 2017-02-10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718B1 true KR101765718B1 (en) 2017-08-07

Family

ID=5965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606A KR101765718B1 (en) 2017-02-10 2017-02-10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71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9868B1 (en) * 2017-03-28 2020-05-19 Amazon Technologies, Inc. Field replaceable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US10747026B1 (en) 2017-03-28 2020-08-18 Amazon Technologies, Inc. Ergonomic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WO2021177712A1 (en) * 2020-03-03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ears of user, and accessory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37B1 (en) * 2006-05-17 2007-06-21 김성호 Bone conduction headset
JP2011114512A (en) * 2009-11-26 2011-06-09 Audio Technica Corp Bone conduction headphone using head holder
KR101050709B1 (en) *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Smart helmet for di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37B1 (en) * 2006-05-17 2007-06-21 김성호 Bone conduction headset
JP2011114512A (en) * 2009-11-26 2011-06-09 Audio Technica Corp Bone conduction headphone using head holder
KR101050709B1 (en) * 2010-11-03 2011-07-20 (주)텔레콤랜드 Smart helmet for di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9868B1 (en) * 2017-03-28 2020-05-19 Amazon Technologies, Inc. Field replaceable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US10747026B1 (en) 2017-03-28 2020-08-18 Amazon Technologies, Inc. Ergonomic spacer for head-mounted wearable device
WO2021177712A1 (en) * 2020-03-03 2021-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ears of user, and accessory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69B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JP5269618B2 (en) Bone conduction microphone built-in headset
US20100223706A1 (en) Welding helmet audio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bone conduction transducers
KR20170119922A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20040105566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KR101765718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JP2010010945A (en) Bone conduction microphone-speaker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2058085A (en) Body-set speaker device
JP3200747U (en) Disaster prevention helmet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KR101366001B1 (en) Vibrating headphones
KR101802799B1 (en) Open Set Intercom Headset
KR20160128086A (en) A wireless headset
US20210084399A1 (en) Hear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KR102345210B1 (en) sound output device
KR102382256B1 (en) sound output device
KR20120000147A (en) The headset with soundproof microphone
JP2021190727A (en) Communication headset
RU2716170C2 (en) Audio listening device
KR20180136167A (en) Bone Conduction Speaker Glass
US11368778B2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KR102583552B1 (en) Earphone device
TW201216730A (en) A wireless headset
KR20040080880A (en) Safety helmet with the bone-conduction receiver
CN215187334U (en) Airport is with wireless headphone of full duplex conver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