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84B1 -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84B1
KR101764884B1 KR1020150061959A KR20150061959A KR101764884B1 KR 101764884 B1 KR101764884 B1 KR 101764884B1 KR 1020150061959 A KR1020150061959 A KR 1020150061959A KR 20150061959 A KR20150061959 A KR 20150061959A KR 101764884 B1 KR101764884 B1 KR 10176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ower
power generating
mounting groove
sound absorbing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590A (ko
Inventor
김근호
지정호
Original Assignee
코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원(주) filed Critical 코원(주)
Priority to KR102015006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음부와, 흡음부와 이격되어 흡음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부와, 흡음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흡음부와 연통된 연결공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구비하며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SOUNDPROOF EQUIPMENT WITH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와 흡음부 사이에 공기가 배기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달리는 도로 또는 열차가 달리는 레일의 양측에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나 레일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주기 위한 방음벽이 설치된다.
종래의 방음벽은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끼워지는 방음패널을 포함한다. 방음패널의 종류에는 음파를 흡수하는 흡음형, 음파를 반사하는 반사형, 입사되는 음파와 반사되는 음파가 섞여 감쇄되는 간섭형 및 방음판에 구멍이 뚫려 있고 내부에 공동이 있어 음파가 공명에 의해 감쇄되는 공명형 등이 있다.
종래에는 방음벽의 주변에 가로등과 같은 전기시설을 설치할 경우, 별도의 전기 공급장치를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0487호(2012.08.17 공개, 발명의 명칭: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방음벽)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벽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전기를 발전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와 흡음부 사이에 공기가 배기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음부와, 흡음부와 이격되어 흡음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부와, 흡음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흡음부와 연통된 연결공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구비하며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태양광발전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판부재 및 기판부재의 전면에 복수 개가 고정되며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키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프레임부는, 흡음부가 삽입되는 제1장착홈부와, 제1장착홈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태양광발전부가 삽입되는 제2장착홈부와, 제1장착홈부와 제2장착홈부를 연결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공을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프레임부는, 제1장착홈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고정브라켓이 삽입되는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장착홈부와 제2장착홈부는 같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며, 연결부재의 폭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에 구비된 유로공은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프레임부는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의 상하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므로 흡음부와 태양광발전부와 플레이트부와 고정프레임부는 하나의 발전방음모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방음모듈의 양측을 가이드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발전방음모듈은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례로 적층되며, 상하측으로 적층된 발전방음모듈의 유로공은 서로 연통되어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는, 흡음부에서 외부 소음을 흡수하여 방음벽의 기능을 수행하며, 태양광발전부에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할 때 열이 발생되며, 태양전지와 흡음부 사이에 공기가 배기되는 공간과 홀을 구비하여 태양광발전부의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내측이 과열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내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방음모듈이 지지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방음모듈이 지지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에서 발전방음모듈의 내측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방음모듈이 지지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방음모듈이 지지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음부(10)와, 흡음부(10)와 이격되어 흡음부(10)의 전면에 위치하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부(20)와, 흡음부(10)의 후면에 위치하며 흡음부(10)와 연통된 연결공(32)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부(30) 및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구비하며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40)를 포함한다.
흡음부(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태양광발전부(20)와 플레이트부(30)의 사이에 위치한다.
태양광발전부(20)는 흡음부(10)와 이격되어 흡음부(10)의 전면(도 1기준 좌측)에 위치하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발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부(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판부재(22)와, 기판부재(22)의 전면에 복수 개가 고정되며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키는 태양전지(2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재(22)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판부재(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24)는 기판부재(22) 보다 작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태양전지(24)는 기판부재(22)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일부의 태양전지(24)가 고장난 경우, 문제가 발생된 태양전지(24)만 교체하면 되므로 태양광발전부(20) 전체를 교체하는 것보다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30)는 흡음부(10)의 후면(도 1기준 우측)에 위치하며, 흡음부(10)와 연통된 연결공(32)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30)는 플레이트몸체(31)와 연결공(32)과 제1가이드편(34)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몸체(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프레임부(40)에 고정된다. 플레이트몸체(31)는 단순한 평판 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굴곡을 형성하여 플레이트몸체(31)의 외측으로 전달된 소음을 1차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플레이트몸체(31)에는 복수의 연결공(32)이 구비되며, 연결공(32)의 외측(도 9기준 좌측)으로 플레이트몸체(31)의 일측이 굽혀져서 제1가이드편(3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의 빗물은 제1가이드편(34)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며, 발전방음모듈 외측의 소음은 제1가이드편(34)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소음이 1차로 저감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공(32)의 내측으로 제2가이드편(36)이 굽혀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연결공(32)의 하측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편(36)은 플레이트몸체(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공(32)의 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의 빗물은 제2가이드편(36)을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리며, 발전방음모듈 외측의 소음은 연결공(32)을 통해 제2가이드편(36)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소음이 1차로 저감된다.
도 5와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부(40)는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구비하며,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40)는, 흡음부(10)가 삽입되는 제1장착홈부(42)와, 제1장착홈부(42)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태양광발전부(20)가 삽입되는 제2장착홈부(44)와, 제1장착홈부(42)와 제2장착홈부(44)를 연결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공(47)을 구비하는 연결부재(46)와, 제1장착홈부(42)에 연이어 설치되며 고정브라켓이 삽입되는 고정홈부(49)를 포함한다.
제1장착홈부(42)는 흡음부(1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음부(10)가 제1장착홈부(42)에 삽입되면 흡음부(10)의 이동이 구속된다. 제2장착홈부(44)도 태양광발전부(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태양광발전부(20)가 제2장착홈부(44)에 삽입되면 흡음부(10)와 이격된 상태에서 태양광발전부(20)의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제1장착홈부(42)와 제2장착홈부(44)는 같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며, 연결부재(46)의 폭만큼 이격된다. 제1장착홈부(42)와 제2장착홈부(44)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연결부재(46)의 폭(도 6기준 좌우방향)을 조절한다. 제1장착홈부(42)와 제2장착홈부(44)에는 공기가 순환되기 위한 통로가 연결부재(46)의 폭 만큼 형성되므로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태양광발전부(20)와 흡음부(10)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태양광발전부(20)의 발전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장착홈부(42)와 제2장착홈부(44)를 연결부재(46)의 폭만큼 이격시켜 공기가 순환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제1장착홈부(42)와 제2장착홈부(44)는 같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므로, 태양광발전부(20)와 흡음부(10)가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홈부(49)는 제1장착홈부(42)의 하측에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며, 고정프레임부(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부(40)가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될 때, "ㄱ"자로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이웃한 고정프레임의 고정홈부(49)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고정프레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6)에 구비된 유로공(47)은 연결부재(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다. 유로공(47)은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며 2열로 설치되므로 유로공(47)을 통과하는 공기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한 유로공(47)은 서로 마주하며 설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어 각 유로공(47)을 통과한 공기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이동되므로 공기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태양광발전부(20)의 하측에 위치한 유로공(47)을 통해 태양광발전부(20)와 흡음부(10)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태양광발전부(20)의 상측에 위치한 유로공(47)을 통해 태양광발전부(20)와 흡음부(10)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고정프레임부(40)에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가 각각 삽입되므로,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사이에는 열대류에 의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는 열배출공간부(50)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프레임부(40)는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상하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므로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와 플레이트부(30)와 고정프레임부(40)는 하나의 발전방음모듈(60)을 형성한다. 발전방음모듈(60)은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1)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복수의 발전방음모듈(6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1)는 발전방음모듈(60)의 양측을 가이드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70)을 포함한다. 발전방음모듈(60)은 지지프레임(70)을 따라 차례로 적층되며, 상하측으로 적층된 발전방음모듈(60)의 유로공(47)은 서로 연통되어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1)의 크기에 따라 발전방음모듈(60)의 설치 개수와 형상 등이 변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프레임부(40)의 제1장착홈부(42)에 흡음부(10)가 삽입되며, 제2장착홈부(44)에 태양광발전부(20)가 삽입되므로, 흡음부(10)와 태양광발전부(20)의 사이에는 열배출공간부(50)가 형성된다. 고정프레임부(40)는 태양광발전부(20)와 흡음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및 좌우 양측에 설치되므로, 발전방음모듈(6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발전방음모듈(60)은 적층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발전방음모듈(60)이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방음벽을 형성할 경우,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적층된 발전방음모듈(60)의 유로공(47)은 연통된다. 따라서 열배출공간부(50)에 있는 더운 공기는 유로공(47)을 통해 외측으로 배기되므로 태양광발전부(20)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0)의 연결공(32)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은 흡음부(10)에 접하면서 흡수되므로 차음벽의 역활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부(10)에서 외부 소음을 흡수하여 방음벽의 기능을 수행하며, 태양광발전부(20)에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므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할 때 열이 발생되며, 태양전지(24)와 흡음부(10) 사이에 공기가 배기되는 공간과 홀을 구비하여 태양광발전부(20)의 전기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내측이 과열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방음과 발전을 하기 위한 다른 장소에도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10: 흡음부 20: 태양광발전부
22: 기판부재 24: 태양전지
30: 플레이트부 31: 플레이트몸체
32: 연결공 34: 제1가이드편
36: 제2가이드편 40: 고정프레임부
42: 제1장착홈부 44: 제2장착홈부
46: 연결부재 47: 유로공
49: 고정홈부 50: 열배출공간부
60: 발전방음모듈 70: 지지프레임

Claims (10)

  1.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흡음부;
    상기 흡음부와 이격되어 상기 흡음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발전부;
    상기 흡음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흡음부와 연통된 연결공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태양광발전부가 삽입되는 홈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판부재; 및
    상기 기판부재의 전면에 복수 개가 고정되며,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키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상기 흡음부가 삽입되는 제1장착홈부;
    상기 제1장착홈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가 삽입되는 제2장착홈부;
    상기 제1장착홈부와 상기 제2장착홈부를 연결하며,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공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장착홈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고정브라켓이 삽입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홈부와 상기 제2장착홈부는 같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폭만큼 이격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된 상기 유로공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상하측과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하나의 발전방음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전방음모듈의 양측을 가이드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방음모듈은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차례로 적층되며, 상하측으로 적층된 상기 발전방음모듈의 상기 유로공은 서로 연통되어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유로공을 통해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상기 흡음부의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유로공을 통해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상기 흡음부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열대류에 의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흡음부와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사이에는 열배출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열배출공간부에 있는 더운 공기는 상기 유로공을 통해 외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연결공의 내측으로 굽혀진 형상의 제2가이드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편을 따라 외부의 빗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며, 상기 발전방음모듈 외측의 소음은 연결공을 통해 상기 제2가이드편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소음이 1차로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장착홈부는 상기 흡음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음부가 상기 제1장착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흡음부의 이동이 구속되며,
    상기 제2장착홈부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태양광발전부가 상기 제2장착홈부에 삽입되면 상기 흡음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광발전부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음부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부재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기판부재 보다 작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판부재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굴곡을 형성하며 외측으로 전달된 소음을 1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홈부는 상기 제1장착홈부의 하측에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재에 구비된 유로공은 2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전방음모듈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61959A 2015-04-30 2015-04-30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KR10176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59A KR101764884B1 (ko) 2015-04-30 2015-04-30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959A KR101764884B1 (ko) 2015-04-30 2015-04-30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90A KR20160129590A (ko) 2016-11-09
KR101764884B1 true KR101764884B1 (ko) 2017-08-14

Family

ID=5752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959A KR101764884B1 (ko) 2015-04-30 2015-04-30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57B1 (ko) * 2020-04-08 2020-09-04 (주)원광엔지니어링 발전효율이 향상된 태양전지판 고정시스템
KR102280416B1 (ko) * 2020-02-05 2021-07-23 (주)화랑월드 흡음형 태양광 모듈 또는 흡음형 투명 모듈을 이용한 흡음형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60B1 (ko) * 2018-05-31 2019-09-05 주식회사 해승이엔씨 스마트쏠라방음판
KR102033482B1 (ko) * 2018-11-19 2019-10-17 주식회사 태평양 소음저감패널이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KR102285414B1 (ko) 2019-09-25 2021-08-03 매크로드 주식회사 복합 음파 발생수단이 구비된 태양광 방음벽
KR20220050323A (ko) 2020-10-16 2022-04-25 코원(주) 태양광 패널 설치장치
KR102399719B1 (ko) * 2021-04-30 2022-05-20 주식회사 젠픽스 입체형 개구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천장재
KR102428811B1 (ko) * 2021-09-10 2022-08-04 주식회사 비케이오름 친환경 태양광 발전 흡음형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및 이의 유지보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21A (ja) * 1999-08-31 2001-03-13 Sekisui Jushi Co Ltd 大気浄化防音パネル
KR200313145Y1 (ko) * 2003-01-27 2003-05-16 주식회사 케이.알 양면 흡음형 방음판
JP2011149185A (ja) * 2010-01-21 2011-08-04 Sekisui Jushi Co Ltd 吸音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921A (ja) * 1999-08-31 2001-03-13 Sekisui Jushi Co Ltd 大気浄化防音パネル
KR200313145Y1 (ko) * 2003-01-27 2003-05-16 주식회사 케이.알 양면 흡음형 방음판
JP2011149185A (ja) * 2010-01-21 2011-08-04 Sekisui Jushi Co Ltd 吸音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416B1 (ko) * 2020-02-05 2021-07-23 (주)화랑월드 흡음형 태양광 모듈 또는 흡음형 투명 모듈을 이용한 흡음형 벽체
KR102151957B1 (ko) * 2020-04-08 2020-09-04 (주)원광엔지니어링 발전효율이 향상된 태양전지판 고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90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884B1 (ko) 태양광 발전 기능을 구비한 방음장치
KR101764703B1 (ko) 중간흡배기모듈이 구비되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지붕
KR101681208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및 그 시공 방법
KR101903482B1 (ko) 쏠라셀을 구비한 흡음패널 및 흡음벽체
EP2704247A2 (en) Battery cooling system and battery rack applied thereto
KR101623351B1 (ko) 공기식 태양광열 복합시스템
KR101248597B1 (ko) 태양광발전모듈의 적층시스템
JP6716846B2 (ja) 建物一体型太陽光発電屋根
KR101669884B1 (ko) 발열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모듈
US20110030762A1 (en) Energy concentration device of united reflection with multilevel solar cell array
CN202772807U (zh) 光伏逆变器及光伏逆变器机柜
KR102046409B1 (ko) 태양광 발전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외장재
CN103828153A (zh) 控制盘
KR20090113458A (ko)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KR101776867B1 (ko) 태양광 발전 방음벽
CN202524318U (zh) 一种逆变器
JP5520060B2 (ja) 吸音パネル
KR101154729B1 (ko) 방열효율이 우수한 태양광모듈
CN201774472U (zh) 逆变器功率单元
KR20160111698A (ko) 핀과 홀 구조를 이용하여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킨 흡음형 태양광 발전 방음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흡음형 태양광 발전 방음벽
KR101265204B1 (ko)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신선 외기 난방시스템
JP6040654B2 (ja) 屋外設置型発電装置
KR20090013337A (ko) 태양발전 겸용 방음벽
CN210405220U (zh) 太阳能热电联产装置
JP5894211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