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19B1 -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19B1
KR101764819B1 KR1020160062053A KR20160062053A KR101764819B1 KR 101764819 B1 KR101764819 B1 KR 101764819B1 KR 1020160062053 A KR1020160062053 A KR 1020160062053A KR 20160062053 A KR20160062053 A KR 20160062053A KR 101764819 B1 KR101764819 B1 KR 10176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tate
current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7424A (en
Inventor
신동환
이영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6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19B1/en
Publication of KR2016013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4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플러그 삽입구, 전자 제품이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스위칭부, 그리고 콘센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콘센트 제어부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for a standby current of a socket by plug insertion, comprising a plug inserting port, a plug inserting detecting unit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ng detect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And a receptacle including a current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current sensing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an amount of current consumed, a switching unit, and a socket control unit, wherein the socket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ng unit when the product is not inserted, Using the sensing signal, It determines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measured by measuring the current consumption value of the current consumed by the insertion port to the standby current to the plug opening.

Figure R1020160062053
Figure R1020160062053

Description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 standby current of an outlet by plug insertion, an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INSERTION SENSOR}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a socket outlet by plug insertion,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일반적으로 콘센트(concent) 즉, 소켓(socket)과 같은 전원 연결장치는 각종 전자 제품의 플러그(plug)가 삽입되어 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한다.Generally, a power connection device such as a socket, such as a socket, is inserted with a plug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이러한 전원 연결장치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만을 구비하여 하나의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어 각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탭(multi-tap) 형태를 갖고 있다.Such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is provided with only one plug insertion port to supply power to on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as well as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ports, so that a multi-tap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on port (multi-tap) type.

전원 연결 장치의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자 제품을 구동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 전자 제품의 동작 준비를 위해 소비되는 대기 전력(standby power)이 발생한다. When an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of the power connector, standby power is consumed for prepa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driven.

이러한 대기 전력의 크기는 실제 전자 제품이 구동 중일 때 발생하는 소비 전력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갖고 있지만, 대기 전력을 소비하는 전제 제품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소비되는 전력의 크기 역시 증가한다.The size of the standby power is much smaller than the power consumed when the actual electronic product is running, but as the number of standby products consuming standby power increas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also increases.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대기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일일이 해당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에서 탈거하거나 전원 연결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공급 스위치를 오프시켜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the user has to remove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from the plug inserting hole or turn off the power supply switch installed in the power connecting device when not using the electronic product, Inconvenience occurred.

또한, 대기 전력 소모 방지 기능을 갖는 전원 연결 장치일 경우, 사용자는 제공되는 사용 설명서를 숙지한 후 수동 동작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를 입력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원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 입력 동작이 매우 복잡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Also, in case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having a standby power consumption prevention function, the user must know the provided instruction manual and input the size of th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to be used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operation of inputting the size of the standby power of the desired electronic product is very complicated, it is often not readily available to general users.

더욱이,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이 변경될 때마다 매번 사용자는 대기 전력의 크기 입력 동작을 행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유발되어 이용률이 크게 감소한다.Furthermore, each time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s changed, the user has to input the size of the standby power every time, so that the user is troublesome and the utilization is greatly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플러그 삽입시 콘센트의 대기 전류를 자동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shut off the standby current of the socket when inserting the plu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센트의 각 플러그 삽입 시 대기 전력 자동 셋팅과 자동 제어 및 모니터링 동작 상태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or an administrator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standby power automatic setting, the automatic control and the monitoring operation state at the time of inserting each plug of the outlet.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상기 플러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품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여 측정된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of a standby current of an outlet by plug insertion, comprising: a plug insertion port into which a plug of an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A plug inserting portion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ng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 current det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ion, for outputting a current sensing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an amount of current consumed at the plug inserting portion, And a socke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sensing unit, the current sens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wherein the socket control unit include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a previous state by the call,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connected state, And a controller for measuring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ng port by using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and outputting the measured current consumed current value to the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port .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킬 수 있다.Wherein the plug insertion sens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opening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opening of the plug insertion opening and movably positioned therebetween,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and having a changeable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portion,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when the contact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The moving unit may rotate, horizontally move, or vertically move linearly by a force applied as a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 to expose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includes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is changed as the moving unit moves, a contact which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s the contact plate by movement of the moving unit, and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determining contact with the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int and the contact point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상기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may be one or two.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g insertion sens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port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of the plug insertion port and movably positioned therebetween,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and having a changeable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portion, And an operating pi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in, the contact state of which is changed by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pin, and the corresponding Lt; RTI ID = 0.0 > plug < / RTI > insertion detection signal.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contact plate located under the operation pin and whos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 contact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ing the contact plate by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contact with the inpu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may be one or two.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socket by the insertion of the plug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The operation state display section can be operated.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값과 상이한 경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할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peration state display section for a set time and to determine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port.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is determined not to be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by the plug inserting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ng sensing unit, the outlet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non-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ng portion is cut off.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socket use switch connected to the socket control unit, When the electronic appliance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by the sig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let use switch is operated by using a signal from the outlet use swit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ng unit and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to be consumed in the plug inserting unit Current consumption And when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s maintained in the connected state. If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통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값,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및 소비 전류값,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control unit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 current value,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a current consumption value, and whether the switching unit is operat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including a moving part located between a top insertion port and an intermediate insertion port of a plug insertion port and movabl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changing its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And a switch which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moving unit and changes the contact state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d outputs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the corresponding state.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moving unit may rotate, horizontally move, or vertically move linearly by a force applied as a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 to expose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includes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is changed as the moving unit moves, a contact which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s the contact plate by movement of the moving unit, and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determining contact with the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oint and the contact point and outputting an output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상기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may be one or two.

본 발명의 따른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plug inser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insert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port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of the plug insertion port and movably positioned therebetween,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portion, An operation pin which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rough an upper plate and an intermediate plate of the socket and which is lowered by a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contact plate located under the operation pin and whos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 contact which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plate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by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nd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n output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contact with the input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may be one or two.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콘센트 제어부가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제어부는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콘센트 제어부는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automatic setting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by the insertion of the plug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control unit read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the previous state bu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the current state, The socket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connected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ng unit. The socket control unit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A measure of the value The socket control section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opening.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operating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socket control unit while the socket control unit measures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standby current of the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mparing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with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slot, Wherein the socket control unit operates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for a set time when the standby currents of the plug insertion por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ocket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slot .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standby current of the socket by the plug insertion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the plug socket inserting unit output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disconnected state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er is cut off.

상기 특징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콘센트 제어부가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콘센트 플러그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standby current of the socket by the insertion of the plug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 the socket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outlet use switch is operated by us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outlet use switc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er, the receptacle controller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Side The outlet control unit maintain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in a connected state when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and when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plug, And controlling the negative state to a disconnected state.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연결될 때마다 연결된 전자 제품에 대한 대기 전류가 자동 셋팅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Each time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the standby current for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is automatically set using the plug inserting uni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전류값과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를 비교하여,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이 비동작 상태인 경우, 전자 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비동작 상태의 전자 제품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를 방지한다.When the electronic applianc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is in the non-operating stat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appliance is measured by comparing the consumed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plug inserting port with the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port. Thereby preventing the standby current consumed by the non-operating electronic product.

더욱이, 전자 제품에 연결되지 않은 플러그 삽입구로 인가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플러그 삽입구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Further, since the power applied to the plug inserting opening no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is automatically cut off, the standby current consumed by the plug inserting opening is prevented from being consumed.

가정 내의 기존 전원선과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자제품의 소비 전류값과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어하고 모니터링 한다.Current consumption and standby current values of electronic products are measured, controlled and monitored by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existing power lines and outlets in the home.

또한 보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전류값을 전송하고, 소비자가 전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콘센트 상태 모니터링 및 이를 바탕으로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자발적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curren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unit by using the security algorithm, the state of the outlet can be monitored so that the consumer can determine the power, and the control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monitoring.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감시 시스템에 사용된 플러그 삽입 감지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콘센트 제어부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의 전송 제어부에 대한 동작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used in the outle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an outlet control unit of a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control unit of 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n outlet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ndby current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of a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 structure of a standby current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of a socket by plug inse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은 상용 전원과 같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0),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즉, 전원 연결장치(20), 콘센트(20)와 연결되어 있는 전송 장치(30), 통신망(60)을 통해 전송 장치(30)와 연결되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 그리고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50)를 구비한다.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shown in FIG. 1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10 for supplying power such as commercial power, an outle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A transmission device 30 connected to the outlet 20, an outlet monitoring device 40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device 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60, and an outlet monitoring device 40 connected to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And a storage unit 50.

전원 공급선(10)은 220V의 상용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원 등과 같은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line 10 supplies power such as an AC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of 220 V or the like.

콘센트(2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제품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연결된 전자 제품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ceptacle 2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product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이러한 콘센트(20)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전원 공급선(10)과 각 플러그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복수의 릴레이(즉, 복수의 스위칭부)(RY1-RYn),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각 릴레이(RY1-RYn)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 및 복수의 릴레이(RY1-RYn)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제어부(24),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있는 저장부(25),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 그리고 콘센트 제어부(24)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27)를 구비한다.The receptacle 20 includes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holes 211-21n into which plugs of electronic products are respectively inserted, a plurality of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portions 221-22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lugs 211-21n, a plurality of relay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plug 10 and each plug plug inserting plug 211-21n ) RY1-RYn and a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portions 231-23n connected between the respectiv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and respective relays RY1-RYn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A plurality of receptacle use switches SW21 to SW2n,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sensing portions 221 to 22n, a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portions 231 to 23n, and a plurality of relays RY1 to RYn, 24, a storage section 25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a plurality of operation phases 24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A display unit 261-26n, and a communication unit 27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각 해당 릴레이(RY1-RYn)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10)과 연결되어 자신에게 삽입되어 있는 전자 제품으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한다.The plurality of plug inserting ports 211-21n ar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supply line 10 through the respective relays RY1-RYn and ar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0 .

본 예에서 콘센트(20)는 복수 개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를 구비하고 있지만, 한 개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플러그 삽입 감지부, 전류 감지부 릴레이 및 콘센트 사용 스위치 각각의 개수 역시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되게 한 개가 된다.In this example, the receptacle 20 has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holes 211 - 21n, but may have only one plug inserting hole 211 - 21n. In this case, the number of each of the plug insertion sensing portion, the current sensing portion relay, and the receptacle use switch is also one corresponding to one plug inserting opening.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는 해당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를 동작시켜 해당 상태의 신호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 The plurality of outlet use switches SW21 to SW2n are switches operated by the user to use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and before the user uses the electronic appliance, SW21-SW2n to output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 상태인지 판단한다.Therefore, the outlet control unit 24 judges whether or not the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are in the operating state by using the state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 상태로 판단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대응되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릴레이(RY1-RYn)를 동작시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outlet control unit 24 operates the relays RY1 to RY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ports 211 to 21n so that the corresponding plugs SW21 to SW2n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are opera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insertion ports 211-21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can be performed.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s 221-22n have the same structure and detect whether or no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plug inserting hole 211-21n and output the detection signal A1-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따라서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콘센트(20)에 설치되어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s 221-22n are provided in the receptacle 20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면 전자 제품의 삽입 동작에 의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상태가 변하여 각 출력 단자(OUT1, OUT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변해 해당 상태[예, OUT1= 1', OUT2 ='0'(제1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unit 221-22n, the state of the plug inserting unit 221-22n is changed by the insert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OUT1 and OUT2 are changed and the detection signals A1 to An of the corresponding states (e.g., OUT1 = 1 'and OUT2 =' 0 '(first state)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반대로 플러그 삽입부(211-21n)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뽑히게 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변하여 제1 상태와는 다른 상태[예, OUT1= '0', OUT2 ='1'(제2 상태)]의 감지 신호(A1-An)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section 211-21n is pulled out from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the state of the plug inserting detecting section 221-22n is changed to the initial state,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A1-An of another state (e.g., OUT1 = '0' and OUT2 = '1' (second state))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through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이로 인해, 콘센트 제어부(24)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A1-An)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inserts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using the state of the detection signal A1-An input from each plug inserting unit 221-22n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다양한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Various structures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 내지 도 5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FIGS. 2 to 5, par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면, 콘센트(20)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가 형성된 플러그 본체(100)가 삽입되는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과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가 1차로 삽입되는 상부 삽입구(TH)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1a), 상판(1a)아래에 위치하고 상부 삽입구(TH)에 대응되게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와 중간 삽입구(MH)가 위치하는 중간판(1b), 그리고 중간판(1b)에 하부에 위치하고 중간 삽입구(MH)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전원공급선(10)이 위치하는 하부 삽입구(BH)를 구비한 하판(1c)을 구비한다.2, the receptacle 20 includes a plug body insertion slot H11 into which the plug body 100 having the plug 110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and a plug 110 of the electronic product, An upper plate 1a on which an upper insertion port TH is formed and a middle insertion port MH on which the plug insertion sensing portion 221-22n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ar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d a lower plate 1c having a lower insertion port BH and a lower insertion port BH located below the intermediate plate 1b and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and in which the power supply line 10 is located.

따라서 서로 대응하는 소켓(20)의 상부 삽입구(TH), 중간 삽입구(MH) 및 하부 삽입구(BH)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를 형성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110)는 상부 삽입구(TH), 중간 삽입구(MH) 및 하부 삽입구(BH)를 차례로 관통하여 하부 삽입구(BH)에 위치한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된다.The upper insertion port TH,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and the lower insertion port BH of the socket 20 form one plug insertion port 211-21n and the plug 110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o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and a lower insertion port (BH),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10) located at a lower insertion port (BH).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하나의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중간판(1b)에 위치한 안착홈(H12)에 장착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s 221-22n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one plug inserting hole 211-21n. As shown in FIG. 2, the plug inserting detecting portions 221-22n are formed in the mounting recesses H12 located in the middle plate 1b Respectively.

도 2를 참고로 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부 삽입구(TH)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회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21), 이동부(21)에 연결되어 있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예, 회전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2,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is connected to a moving unit 21 and a moving unit 21 which are positioned below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d are movably (rotatably) positioned An elastic member 22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for example, the rotation state) of the movement section 21 and a switch 23 whose contact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of the movement section 21. [

이동부(21)는 안착홈(H12)에 돌출되는 돌출부(P11)에 삽입되는 삽입홀(21a), 삽입홀(21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막음판(21b)을 구비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21 has an insertion hole 21a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P11 protruding into the seating groove H12 and a pair of blocking plates 21b located opposite to each other around the insertion hole 21a .

돌출부(P11)에는 핀(pin)(도시하지 않음) 등이 삽입되어 돌출부(P11)에 삽입된 이동부(2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A pin (not shown)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P11 to prevent the moving portion 21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P11 from being detached.

한 쌍의 막음판(21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하부에 위치한 중간 삽입구(MH)를 각각 막고 있다.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block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located at the bottom.

탄성 부재(22)는 한 쌍의 막음판(21b) 중 하나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막음판(21b)의 회전 여부에 따라 압축되거나 압축 상태가 해제된다.The elastic member 22 is positioned between on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nd the mounting groove H12 and is compressed or released depending on whether the blocking plate 21b is rotated or not.

스위치(23)는 한 쌍의 막음판(21b)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고, 한 쌍의 막음판(21b)의 회전 상태에 따라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위치가 변하는 판 스프링(plate spring)과 같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접촉판(23a), 접촉판(23a)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접촉판(23a)의 위치 상태에 따라 접촉판(23a)과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접점(23b), 해당 크기의 전압(예, 5V)이 인가되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연결 상태가 변하는 공통 단자(COM), 그리고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공통 단자(COM)와 접촉하거나 접촉 상태가 해제되는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구비한다.The switch 23 is located adjacent to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nd is provided with a plate spring whose position is changed by a physical forc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ng stat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A contact 23a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contact 23b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23a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contact plate 23a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late 23a, A common terminal COM to which a voltage (for example, 5 V) of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is applied and the connection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And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which are in contact with or released from the common terminal COM.

이때, 공통 단자(COM)는 콘센트 제어부(24)와 연결되거나 별도의 전원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on terminal COM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or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power terminal.

예를 들어,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삽입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촉하고 제2 출력 단자(OUT2)와는 비접촉되며, 반대로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부터 제거되면 접촉판(23a)과 접점(23b)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공통 단자(COM)는 제2 출력 단자(OUT2)와 접촉하는 대신 제1 출력 단자(OUT1)와는 비접촉하게 되어, 해당 상태(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신호를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the common terminal CO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when the contact plate 23a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23b, Whe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is released when the plug is removed from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the common terminal COM is disconnected from the output terminal OUT2,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are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are not in contact with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갑지부(221-22n)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lug insertion portion 221-22n is as follows.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로 삽입되면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한 쌍의 막음판(21b)의 표면에 접하게 된다.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 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sertion port TH is contacted with the surfac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이런 상태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계속 삽입되면,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b)의 각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탄성 부재(22)의 상태는 초기 상태에서 압축 상태로 변하게 되어 한 쌍의 막음판(21)은 돌출부(P11)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 부재(22)가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예, A 방향).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tinuously inserted in this state,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applies a physical force to each inclined fac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which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this physical force, The state of the elastic member 22 is changed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compressed state so that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22 is formed with the protrusion P11 as the center.

이로 인해,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한 쌍의 막음판(21b)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막음판(21b)을 해당 방향(A)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막음판(21b)에 의해 각각 막혀 있는 중간 삽입구(MH)를 노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는 노출된 중간 삽입구(MH)로 삽입된 후 관통하여 하부 삽입구(BH)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moved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while moving the blocking plate 21b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 and blocked by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Thereby exposing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Therefore,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exposed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and then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port BH.

이러한 전자 제품의 플러그 삽입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막음판(21b)의 회전 상태가 최대가 되면 즉,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중간 삽입구(MH)에 완전히 삽입되면, 회전하는 막음판(21b)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이 접점(23b) 쪽으로 밀리게 되어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When the rotation state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is maximized by the plug insertio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that is,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is pushed toward the contact 23b so that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23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이 접촉하게 되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와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1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When the contact plate 23a contacts the contact point 23b, the common terminal CO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the state of the signal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ecomes the first state And is output as the detection signal A1-An in the corresponding state.

이런 상태에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 해제되므로 탄성 부재(22)의 압축 상태는 해제되어 탄성 부재(22)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고, 이러한 탄성 부재(22)의 복원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막음판(21b)이 위치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중간 삽입구(MH)를 막게 된다.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pulled out from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in this state, the physical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22 is released, so that the compressed state of the elastic member 22 is released, The restoring operation of the elastic member 22 restores the position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to the initial state and blocks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이렇게 한 쌍의 막음판(21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면, 막음판(21b)에 의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 역시 해제되어 접촉판(23a)의 상태 역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은 해제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the physical force applied to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is also released by the blocking plate 21b, The state also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nd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is released.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해제에 의해 공통 단자(COM)은 제1 출력 단자(OUT1)에서 제2 출력 단자(OUT2)과 접하게 되어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는 제2 상태로 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n)로서 출력된다.The common terminal COM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put terminal OUT2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OUT1 and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y the release of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The state of the signal becomes the second state and is outputted as the detection signal A1-An of the corresponding state.

이러한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는 도 3과 같다.Another example of the structure of each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is shown in FIG.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3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역시 중간판(1b)의 해당 장착홈(H12)에 위치하고, 상부 삽입구(TH)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예, 직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21x), 이동부(21x)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부(21x)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3,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shown in FIG. 3 is also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mounting groove H12 of the intermediate plate 1b and is located below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d is movable An elastic member 22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moving part 21x and the mounting groove H12 and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21x, And a switch 23 whose contact stat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part 21.

이동부(21x)는 안착홈(H12)에 돌출되는 돌출부(P12)에 삽입되는 삽입홀(21xa), 삽입홀(21xa)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고 반대편에 위치하고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 삽입구(MH)를 각각 막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xb)을 구비한다.The moving part 21x has an insertion hole 21xa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P12 protruding into the seating groove H12 and a middle insertion opening MH located at the lower side and facing the insertion hole 21xa, And a pair of blocking plates 21xb which block the respective blocking plates 21xb.

도 2에 도시한 이동부(21)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이동부(21x)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의 삽입 동작에 의해 회전 방향(A)이 아닌 직선 방향[예, 좌우 방향(B)]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막음판(21xb)의 경사진 표면의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즉, 스위치(23)가 위치한 쪽의 반대 방향]이 된다.The moving part 21x shown in Fig. 3 is different from the moving part 21 shown in Fig. 2 in the linear direction (e.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 So that the oblique direc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xb are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switch 23 is located).

또한, 도 2의 경우 삽입홀(21a)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반면 도 3의 삽입홀(21xa)은 이동하는 직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대략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게 된다.2, the insertion hole 21a has a circular planar shape, while the insertion hole 21xa of FIG. 3 has a substantially elliptical planar shape that is long in a moving linear direction.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이동부(21x)의 막음판(21xb)의 경사면에 닿게 되고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부(21x)는 스위치(23) 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힘을 가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킨다.Therefore,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passes through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21xb of the moving part 21x and a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the moving part 21x is moved toward the switch 23 The contact plate 23a is moved linearly to apply a force to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to bring the contact plate 23a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23b.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막음판(21x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접촉판(23a)과 접점(23b)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The position of the blocking plate 21xb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is released.

또한,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 역시 도 2 및 도 3과 유사하게 상부 삽입구(TH)에 하부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한 이동부(21y), 이동부(21y)와 장착홈(H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부(21y)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22), 그리고 이동부(21y)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는 스위치(23)를 구비한다.2 and 3,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 221-22n shown in FIG. 4 also includes a moving portion 21y, a moving portion 21y, An elastic member 22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movable member 21 and the movable member 21 and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able member 21y and a switch 23 whose contact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able member 21y.

이때, 이동부(21y)의 이동 방향 역시 회전 방향이 아닌 직선 방향이다.At this tim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21y is also a linear direction, not a rotational direction.

하지만,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의 이동부(21y)의 이동 방향은 도 3의 이동 방향(B)과 교차하는 직선 방향[예, 전후 방향(C)]이 된다.Howev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portion 21y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 221-22n shown in FIG. 4 is a linear direction (for example, a back and forth direction C) that intersects the moving direction B of FIG. 3 .

이를 위해, 이동부(21y)는 탄성 부재(22)와 접해있는 중심부(21ya)와 중심부(21ya)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삽입구(TH)와 중간 삽입구(MH)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중간 삽입구(MH)를 막고 있는 한 쌍의 막음판(21yb)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moving part 21y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center part 21ya and the central part 21y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22, and the upper and lower insertion holes TH and MH And a pair of blocking plates 21yb which ar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s MH and which block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한 쌍의 막음판(21yb)의 표면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고,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 즉, 스위치(23)가 위치한 쪽의 반대 방향이 된다. The surfaces of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yb also have inclined surfaces that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oblique directions are the same as each other, that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switch 23 is located.

따라서,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부 삽입구(TH)를 관통하여 이동부(21y)의 막음판(21yb)의 경사면에 접하여 경사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이동부(21y)는 스위치(23) 쪽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어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힘을 가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키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빠지게 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막음판(21yb)의 위치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접촉판(23a)과 접점(23b)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passes through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d a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21yb of the moving portion 21y, the moving portion 21y is linearly moved toward the switch 23 The contact plate 23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23b by applying a force to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an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released, 21yb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n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is released.

이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달리, 이동부(21x, 21y)의 이동 방향과 이동부(21x, 21y)의 이동을 위한 막음판(21xb, 21yb)의 표면의 경사면의 경사 방향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동작한다.2 and 3, the plug insertion sensing portion 221-22n shown in FIGS. 3 and 4 is configured to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portions 21x and 21y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portions 21x and 21y Except that the oblique faces of the surfaces of the blocking plates (21xb, 21y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5에 도시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중간판(1b)에 위치하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 이동부(21), 탄성부재(22) 및 스위치(23)를 구비하고 있다.The plug inserting portion 221-22n shown in Fig. 5 includes a moving portion 21, an elastic member 22 and a switch 23 (see Fig. 2) which are located on the intermediate plate 1b and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as shown in Fig. .

따라서 이동부(21)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쌍의 막음판(21b)을 구비하고 있고, 안착홈(H12)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P11)에 삽입되어 돌출부(P11)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D)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moving part 21 is provided with a pair of blocking plates 21b inclin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e moving part 21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art P1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H12, And the rotation is perform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D).

이로 인해, 플러그 본체(100)의 플러그(110)가 상부 삽입구(TH)에 삽입되어 한 쌍의 막음판(21b)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돌출핀(P11)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방향(D)으로 회전하게 되어 막음판(21b) 하부에 위치한 중간 삽입구(MH)를 개방해, 개방된 중간 삽입구(MH)로 플러그(110)가 삽입되어 하부 삽입구(BH)로 차례로 삽이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lug 110 of the plug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 TH and a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pair of blocking plates 21b, D so that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located below the blocking plate 21b is opened and the insertion of the plug 110 into the opened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causes the insertion operation to be sequentially performed to the lower insertion port BH .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플러그(110)가 상부 삽입구(TH)로부터 탈거되면 탄성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21)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중간 삽입구(MH)를 막게 된다.2, when the plug 110 is detached from the upper insertion port TH,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restores the moving part 21 to the initial position and blocks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MH .

하지만, 도 2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예의 경우, 스위치(23)는 이동부(21)의 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대신 이동부(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However, unlike FIG. 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switch 23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portion 21 instead of being located at the side portion of the moving portion 21.

따라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는 상판(1a)의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내에 형성된 관통구(H21)와 중간판(1b)의 장착홈(H12) 내에 형성된 관통구(H22)에 삽입되는 동작핀(MP11)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동작핀(MP11)의 중간에는 탄성 부재(MS11)가 위치한다.The plug inserting portion 221-22n includes a through hole H21 formed in the plug body insertion hole H11 of the upper plate 1a and a through hole H22 formed in the mounting hole H12 of the intermediate plate 1b. And an operation pin MP11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pin MP11. An elastic member MS11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pin MP11.

이 동작핀(MP11)은 관통구(H21)를 통과해, 즉 상판(1a)을 관통해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하며, 관통구(H22)를 통과해, 즉 중간판(1b)을 통과해 하부에 위치한 스위치(23)의 접촉판(23a)에 인접하게 위치한다.The operation pin MP11 is positioned to protrude out of the plug body insertion groove H11 through the through hole H21, that is, through the top plate 1a,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22,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contact hole 1b.

따라서, 플러그 본체 삽입홈(H11)의 상부 삽입구(TH) 속으로 플러그(111)가 삽입되면 관통구(H21)를 통과한 동작핀(MP11)의 상부는 플러그 본체(100)에 접하게 되고, 플러그 본체(100)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의해 동작핀(MP11) 자체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plug 111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opening TH of the plug body insertion groove H11, the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pin MP1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H2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ug body 100, The operation pin MP11 itself moves downward by the force applied by the main body 100. [

이러한 동작핀(MP11)의 하강 동작에 의해, 동작핀(MP11)의 하부는 그 밑에 위치한 스위치(23)의 접촉판(23a)을 누르게 되어 접촉판(23a)을 접점(23b)에 접촉시킨다.Due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MP11,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in MP11 presses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located thereunder, so that the contact plate 23a contacts the contact point 23b.

이러한 접촉판(23a)과 접점(23b)간의 접촉 상태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되어, 플러그(110)의 삽입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And i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of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contact plate 23a and the contact point 23b so that the state of insertion of the plug 110 can be recognized .

하지만, 반대로, 플러그(110)가 빠지게 되면, 탄성부재(MS11)의 복원력에 의해 동작핀(MP11)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상부 삽입구(TH)로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접점(23b)과 접촉 상태인 스위치(23)의 접촉판(23a) 역시 초기 위치로 복원되어 접점(23b)과의 접촉 상태는 해제되어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 단자(OUT1, OUT2)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ug 110 is pulled out, the state of the operation pin MP11 is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MS11, and the protruded state is maintained by the upper insertion port TH, The contact plate 23a of the switch 23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23b is also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contact state with the contact point 23b is canceled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is outputted to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

이러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을 구비하고 있는 중간판(1b)는 삽입구(H31)를 상판(1a)에 위치한 삽입핀(CP11)에 삽입하여, 상판(1a)과 하판(1c)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The insertion plate H31 having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221-22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in CP11 located on the upper plate 1a and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1a and the lower plate 1c As shown in FIG.

본 예에서, 스위치(23)는 하나의 입력 단자(COM)와 두 개의 출력 단자(OUT1, OUT2)를 갖는 3단자 스위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입력 단자와 하나의 출력 단자를 갖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switch 23 is a three-terminal switch having one input terminal COM and two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switch having one input terminal and one output terminal Other types of switches can be used.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의 양에 해당하는 신호(B1-Bn)를 콘센트 제어부(24)로 출력한다,The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portions 231-23n ar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lugs 211-21n and sens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plug inserting plugs 211-21n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he sensed current B1-Bn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이로 인해, 콘센트 제어부(24)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B1-Bn)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Thus,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measur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at each plug inserting port 211-21n by using the sensing signals B1-Bn a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units 231-23n .

복수의 릴레이(RY1-RYn)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콘센트 제어부(24)와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241-24n) 사이에 위치한다.The plurality of relays RY1 to RYn all have the same structure and are located between the receptacle control section 24 and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ports 241 to 24n.

각 릴레이(RY1-RYn)는 콘센트 제어부(24)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즉, 전원 공급선(1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Each of the relays RY1 to RYn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receptacle controller 24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to each of the plug inserting plugs 211 to 21n (i.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ource supply line 10) .

이러한 릴레이(RY1-RYn)는 각각 콘센트 제어부(24)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코일(L11)과 전원 공급선(10)에 각각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타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11, SW12)를 구비한다.Each of the relays RY1 to RYn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ocket control unit 24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ed coil L11 and the power supply line 10, And the switches SW11 and SW12 to which the other terminals are respectively connected.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릴레이(RY1-RYn)의 코일(L11)을 자화시키거나 자화 상태를 해제하여 스위치(SW11, SW12)가 온되는 연결 상태가 되면, 해당 릴레이(RY1-RYn)에 연결된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coil L11 of each of the relays RY1 to RYn is magnetized or the magnetized state is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and the switches SW11 and SW12 are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connected to the relays RY1-RYn.

따라서, 해당 릴레이(RY1-RYn)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고 있는 플러그 삽입구(241-24n)에 플러그를 이용하여 연결된 가전 제품, 서버 또는 전원 공급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각 해당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refore, power to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household appliance, a server, or a power supply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41-24n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ource supply line 10 through the relay RY1-RYn is plugged Supply is made so that each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콘센트 제어부(24)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A1-An)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감지 신호(B1-Bn)를 이용하여 소비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력의 크기를 판정한다.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using the sense signal A1-An applied from the plug inserting portion 221-22n, (B1-Bn)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portions 231-23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to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sensing signals B1- And judges the size.

그런 다음, 해당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값과 판정된 대기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판정하고, 전자 제품 사용 중일 경우 해당 릴레이(RY1-RY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하고,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일 경우 전원 공급선(10)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product is used by using the current value consumed in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and the determined size of the standby current. I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 use, RY1 to RYn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hole 211-21n. When the connected electronic product is not in use, the plug inserting hole 211- 21n.

저장부(25)는 메모리(memory)로서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대기 전류의 크기를 저장하고,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해당 콘센트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 stores the magnitude of the standby current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ng port 211-21n as a memory and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outlet.

이러한 저장부(25)는 도 1과는 달리 콘센트 제어부(2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let control unit 22, unlike FIG.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콘센트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상태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The plurality of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and are operated for a set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receptacle controlling unit 24 to change the state of each plug inserting hole 211-21n It informs the external user.

이러한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각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는 콘센트 제어부(24)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다른 빛(예,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등)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1, LED2)를 구비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has the same structure and each of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s 261-26n is connected between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and the ground and has different light , Green (G), blue (B), and so on).

제1 발광 다이오드(261)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를 측정하는 상태임을 표시(예: 녹색)할 수 있고, 제2 발광 다이오드(26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표시(예: 청색)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261 can indicate that the electronic device inserted in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in a state of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262 can display (For example, blue) in which the power is appli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so that an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or 211-21n can be used.

그 외에 제3 발광 다이오드를 더 구비하여, 대기전류를 차단한 상태 등을 표시(예: 적색)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light emitting diode may further be provided to display a state (e.g., red) in which the standby current is cut off.

통신부(27)는 전송 장치(3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전송 장치(3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7 control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30 a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30. [

본 예에서, 통신부(27)는 전송 장치(30)와의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제어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유선 종류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7 control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with the transmission device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control other wired type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전송 장치(30)는 콘센트(2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1), 통신부(31)와 연결된 전송 제어부(32) 및 전송 제어부(32)와 연결된 저장부(33)를 구비한다.The transmission apparatus 3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 for communication with the receptacle 20, a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31, and a storage unit 33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통신부(31)는 콘센트(20)의 통신부(27)와 같이 PLC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The communication unit 31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PLC, like the communication unit 27 of the receptacle 20.

전송 제어부(32)는 통신부(31)를 통해 전송되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 릴레이(RY1-RYn) 및 전류 감지부(231-23n)의 동작 상태인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33)에 저장하고, 정해진 시간 주기마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하거나, 플러그 삽입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 또는 전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전류 감지 신호가 변경될 때 마다 해당 정보를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stores the receptacle state data in the operating states of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the relays RY1-RYn and the current sensing units 231-23n, which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outlet monitoring device 40 every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ever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or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detected from the current detection unit is changed, To the device (40).

저장부(33)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도 1과 달리 전송 제어부(3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 is a memory for storing the socket state data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located inside the transfer control unit 32, unlike FIG.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는 모니터링 제어부(41), 모니터링 제어부(41)와 연결된 데이터 출력부(42)를 구비한다.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includes a monitoring control unit 41 and a data output unit 42 connected to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이러한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서버(server), 노트북(notebook)이나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은 컴퓨터 등일 수 있다. 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may be a smart phone, a server, a computer such as a notebook or a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 장치(30)를 통해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센트(20)의 동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ceptacle 20 by using the receptacle stat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device 30. [

콘센트 상태 데이터는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및 소비 전류값 그리고 릴레이(RY1-RYn)의 동작 여부 등을 구비하므로,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와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 outlet status data includes the standby current for each plug inserting port 211-21n,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the consumption current value, and the operation of the relays RY1-RYn, State data to the data output unit 42 so that the state of each plug inserting port 211-21n and the relays RY1-RYn can be determined.

데이터 출력부(42)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로 이루어져 있고, 모니터링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해 해당 콘센트(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The data output unit 42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tate.

저장부(50)는 메모리(memory)나 데이터베이스(database)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메모리로 이루어질 경우, 저장부(50)는 모니터링 제어부(41) 내에 내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50 may be a memory or a database. When the storage unit 50 is a memory, the storage unit 50 may be embedded i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이러한 구조를 갖는 콘센트의 대기전류 자동 인식 및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도 6a 내지 도 8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The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receptacle having such a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8. Fig.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고로 하여, 콘센트(20)의 콘센트 제어부(24)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해당 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 여부를 감시하여 차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6A and 6B, a standby current of an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automatically measured by the outlet control section 24 of the outlet 20, The operation of monitoring and cutting off the standby current consump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콘센트 제어부(24)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어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이 시작된다(S10).Firs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24, and the operation of the outlet control unit 24 is started (S10).

콘센트 제어부(24)는 전원 공급선(10)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이용해 콘센트(2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직류(DC, direct current) 전원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The outlet control unit 2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 and uses a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supply at least one direct current (DC) And receives drive power from a supply unit (not shown).

이처럼, 콘센트 제어부(24)의 동작이 시작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먼저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221-22n)로부터 입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n)를 판독하여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n)의 상태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의 전자 제품 연결 상태를 판정하고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전자 제품 연결 여부에 대한 결과를 플러그 상태 데이터로서 저장부(25)에 저장한다(S11). When the outlet control unit 24 starts operating, the outlet control unit 24 first reads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s A1-An input from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221-22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g inserting openings 211-21n by using the states of the plug inserting openings A1-An and the plug inserting openings 211-21, 211-21n in the storage unit 25 as plug status data (S11).

판정된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상태가 전자 제품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S12), 콘센트 제어부(22)는 판정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상태인 현재 플러그 삽입구 상태(즉, 전자 제품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저장부(25)에 이전 플러그 삽입구 상태로 저장한다(S13).When the determined state of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the state in which no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S12), the receptacle control section 22 determines the current plug inserting port stat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in the state of the previous plug insertion opening (S13).

다음, 콘센트 제어부(2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즉, 스위치(SW11, SW12)가 턴오프 상태]가 되도록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한다(S14).Next, the outlet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coil L11 (R11) so that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 RY1-RY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disconnected (that is, the switches SW11 and SW12 are turned off) (Step S14).

판정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현재 플러그 삽입구 상태(즉 현재 상태)가 전자 제품과 연결된 상태인 경우(S15), 콘센트 제어부(22)는 판정된 플러그 삽입구 상태(즉, 전자 제품과 연결된 상태)가 저장부(25)에 저장된 이전 플러그 삽입구 상태(즉, 이전 상태)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16).If the current plug insertion port state (i.e., current state) of the determined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S15), the receptacle controlling unit 22 determines that the plug plug inserting state (I.e., the previous sta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S16).

단계(S15)에서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구 상태가 저장부(25)와 저장된 이전 플러그 상태와 상이한 경우,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이전 단계에서는 전자 제품이 연결되지 않았다가 현재 단계에서 전자 제품이 연결된 상태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구 상태를 이전 상태로 저장부(25)에 저장한 후(S17), 새롭게 연결된 전자 제품에 의해 소비되는 대기 전류를 자동으로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current plug inserting state determined in step S15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state of the plug 25 and the previously stored plug state, that is, the electronic plug is no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in the previous step, When the product is in the connected state, the outlet control unit 24 stores the determined current state of the plug insertion port in the storage unit 25 as the previous state (S17), and then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standby current consumed by the newly connected electronic product .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즉, 스위치(SW11, SW12)가 턴온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릴레이(RY1-RYn)의 동작 상태 역시 콘센트 상태 데이터로서 저장부(25)에 저장된다(S18). Therefore,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stat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L11 of the relays RY1-RY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to connect the states of the relays RY1-RYn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relays RY1 to RYn are also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as the socket state data (S18).

이러한 해당 릴레이(RY1-RYn)의 연결 상태로 인해, 새롭게 전자 제품이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Due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lays RY1 to RY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to which a new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그런 다음, 콘센트 제어부(24)는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 중에서 새로운 전자 제품이 연결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의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를 점등시킨다(S19).Then,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s (not shown) of the operation state indicating units 261-26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holes 211-21n to which the new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ng state indicating units 261-26n LED1) is turned on (S19).

이러한 제1 발광 다이오드(LED1)의 점등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콘센트 제어부(24)가 새롭게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중임을 알게 되어 제1 발광 다이오드(LED1)가 소등될 때까지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을 자제하게 된다.By the lighting operation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LED1,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outlet control unit 24 is performing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value of the newly connected electronic product, so that the first light emitting diode LED1 is turned off The use of the electronic product will be refrained until that time.

다음,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n)를 설정 시간 동안 판독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전류값(즉, 소비 전류)을 측정한다(S110, S111).Next,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s B1-Bn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s 231-23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for a set time, 211-21n) (S110, S111).

콘센트 제어부(24)는 측정된 소비 전류값을 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S112).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is the same as the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S112).

측정된 현재의 소비 전류값이 해당하는 대기 전류와 동일한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이전 단계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되었다가 탈거되었던 전자 제품이 다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한다.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is equal to the corresponding standby current, the outlet control unit 24 inserts the plug in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in the previous step, and then the removed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hole 211-21n As shown in Fig.

따라서, 이런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저장되어 있는 대기 전류를 변경하지 않고 해당 전자 제품의 동작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115)로 넘어간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product is operated without changing the standby current stored in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S115 ).

하지만, 측정된 현재의 소비 전류값이 해당하는 대기 전류와 상이한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이전 단계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되었던 전자 제품과 현재 단계에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서로 상이한 상태(즉, 서로 다른 대기 전류를 갖는 상태)로 판단한다.However,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differs from the corresponding standby current,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plug insertion port 211- 21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a state having different standby currents).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의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설정 시간 동안 점등시킨다(S113).Therefore, the outlet control unit 24 turns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LED2 of the operation state indicating unit 261-26n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during the set time (S113).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해당 동작 상태 표시부(261-26n)의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점등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되는 전자 제품의 종류가 변경되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가 변경되었음을 알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ange the type of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by using the lighting state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diode (LED2)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tate indicating part 261-26n, 0.0 > 211-21n < / RTI > is changed.

이처럼,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이 변경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측정된 소비 전류값을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로 저장한 후(S114) 단계(S115)로 넘어간다. 이때, 저장부(25)에 저장된 대가 전류 역시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일부가 된다.When the electronic applianc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changed, the outlet control unit 24 stores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S114) (S115). At this time, the overcurr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is also part of the outlet status data.

이처럼, 변경된 전자 제품에 대한 대기 전류를 자동 판정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단계(S115)로 넘어가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의 동작 여부에 따른 전원 인가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When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standby current for the changed electronic product is completed,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proceeds to step S115 and controls the power supply contr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Perform the operation.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설정 시간 동안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류 감지부(231-23n)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n)를 판독하여 소비되는 전류값인 소비 전류를 판정한다(S115, S116).Accordingly, the outlet control unit 24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s B1-Bn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s 231-23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during the set time, (S115, S116).

다음, 콘센트 제어부(24)는 저장부(2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 시간 동안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17).Next, the outlet control unit 24 use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umption current value measured during the set tim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hole 211-21n (S117).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한 대기 전류 이상인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설정 시간 내에 동작 스위치 등의 조작에 의해 해당 전자 제품이 현재 동작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the receptacle controlling section 24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not oper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currently operating.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릴레이(RY1-RYn)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전원 공급이 행해져 정상적으로 전자 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18). 이 경우, 측정된 해당 콘센트 플러그(211-21n)에 대한 소비 전류값은 콘센트 상태 데이터의 일부로 저장된다. Therefore,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connects the states of the relays RY1 to RYn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holes 211 to 21n as power source supply lines 10 by using the control signals applied to the relays RY1 to RYn, Power supply is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normally performed (S118). In this case,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for the corresponding outlet plug 211-21n is stored as part of the outlet status data.

하지만,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판정된 해당 대기 전류보다 작으면,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제품이 설정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은 미동작 상태로서 대기 전류만 소비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However, if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is smaller than the determined standby current, the outlet control unit 24 determines that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in an unoperated state, It is judged that it is consuming only.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S29),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비동작 상태의 전자 제품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자 제품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state of the relays RY1-RY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to the disconnected state (S29), and switches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o the no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at the standby current consumption in the electronic product is prevented.

다시 단계(S16)로 넘어가, 단계(S15)에서 판정된 현재 플러그 삽입구 상태가 저장부(25)와 저장된 이전 플러그 상태와 동일한 경우, 즉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이전 단계에서부터 현재 단계까지 전자 제품이 계속 연결되어 있는 경우,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대응되는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로부터 인가되는 콘센트 사용 판단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온 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S121).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w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urrent plug inserting port state determined in step S15 is the same as the stored old plug state stored in the storage part 25, that is,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from the previous step to the current step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tinuously connected, the outlet control unit 24 reads the outlet use judgment signal from the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corresponding to the plug inlet 211-21n, -SW2n is turned on (S120, S121).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온된 상태로 판단되면,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이해 콘센트 사용 스위치(SW21-SW2n)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are turned on, the socket outlet control section 24 switches the understand socket outlet use switches SW21-SW2n to the user in order to operate the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t is judged to be in the operated state.

따라서, 콘센트 제어부(24)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연결된 해당 릴레이(RY1-RYn)의 코일(L11)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어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 인가되도록 한다(S122). 이로 인해, 해당 전자 제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해당 전자 제품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outlet control unit 24 controls the state of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L11 of the relays RY1-RYn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holes 211-21n to connect the states of the relays RY1-RYn So that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is appli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S122). As a resul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so that the electronic product becomes operable.

다음, 콘센트 제어부(24)는 단계(S25) 내지 단계(S29)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해당 전류 감지부(231-23n)에서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과 해당하는 대기 전류를 비교하여, 해당 릴레이(RY1-RYn)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Next, the receptacle control unit 24 use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31-23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teps S25 to S29, 21n, and compares the measured consumption current value with the corresponding standby current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s RY1-RYn.

따라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동작 상태인 경우,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in the operating state, the state of the relays RY1-RYn is contro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hole 211-21n from the power source supply line 10,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반대로,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비동작 상태이면, 해당 릴레이(RY1-RYn)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10)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211-21n)에서의 대기 전류 소비를 방지하여 대기 전력 소모로 인한 전력 낭비가 방지된다.On the contrary, if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in the non-operating state,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lays RY1-RYn is controlled to be disconnect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line 10 The consumption of the standby current at the plug inserting port 211-21n is prevented, and waste of power due to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다음, 콘센트(20)로부터 전송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전송 받은 전송 장치(30)의 동작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device 30, which has received the socket state data transmitted from the socke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고로 하여 전송 장치(30)의 동작이 시작되어 전송 제어부(30)의 동작 역시 시작되면, 통신부(31)를 통해 콘센트(20)로부터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21).7, when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device 30 is started and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0 is star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let status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outlet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S21) .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콘센트(20)로부터 전송되면 전송 제어부(32)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33)에 저장한 후 정해진 시간마다 저장부(33)에 저장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통신망(60)을 거쳐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한다(S23-S25).When the outlet status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outlet 20,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2 stores the outlet status data in the storage unit 33 and transmits the outlet statu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6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S23-S25).

도 7의 경우, 정해진 시간마다 저장부(33)에 저장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읽어와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하지만, 이와는 달리 콘센트(20)로부터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될 때마다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7, the outlet statu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lternatively, each time the outlet status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outlet 20, 40).

다음, 도 8을 참고로 하여, 전송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센트(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let 20 using the outlet state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40)의 동작이 시작되어 모니터링 제어부(41)가 동작되면(S30),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 장치(30)의 통신부(31)를 통해 전송 장치(30)로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When the operation of the outlet monitoring apparatus 40 is started and the monitoring control section 41 is operated at S30, the monitoring control section 41 transmits the outlet status data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30 via the communication section 31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30. [ Is transmitted (S31).

콘센트 상태 데이터가 전송되면,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저장부(50)로 저장한다(S32).When the outlet status data is transmitted, the monitoring control section 41 stores the received outlet status data in the storage section 50 (S32).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41)는 전송된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하여(S33), 콘센트(20)의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동작 상태가 데이터 출력부(42)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monitoring control unit 41 outputs the received socket state data to the data output unit 42 (S33), and the operation state of each plug inserting slot 211-21n of the socket 20 is outputted to the data output unit 42 ). ≪ / RTI >

이로 인해, 관리자는 데이터 출력부(42)로 출력되는 콘센트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211-21n)의 대기 전류, 소비 전류값, 전자 제품 연결 여부, 릴레이 동작 여부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한다.Therefore, the administrator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standby current, the current consumption value,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whether or not the relay is operated, and the like, using the outlet state data output to the data output unit 42 I understan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전원 공급선 20: 콘센트
211-21n: 플러그 삽입구 221-22n: 플러그 삽입 감지부
231-23n: 전류 감지부 24: 콘센트 제어부
25, 33, 50: 저장부 RY1-RYn: 릴레이
SW21-SW2n: 콘센트 사용 스위치
30: 전송 장치 31: 전송 제어부
40: 콘센트 모니터링 장치 41: 모니터링 제어부
42: 데이터 출력부 60: 통신망
10: Power supply line 20: Outlet
211-21n: Plug insertion port 221-22n: Plug insertion detection part
231-23n: current sensing unit 24: outlet control unit
25, 33, 50: storage unit RY1-RYn: relay
SW21-SW2n: outlet switch
30: Transmission device 31: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40: outlet monitoring device 41: monitoring control part
42: data output unit 6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25)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상기 플러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제품이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각각에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전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상기 각 플러그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복수의 전류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 각각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각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중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이전 상태에서는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이전 상태에서는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해당 스위칭부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설정 시간 동안 판독하여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와 상이하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던 전자 제품과 현재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서로 상이한 상태로 판단하여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를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저장하고,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와 동일하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다가 탈거되었던 전자 제품이 현재 상태에서 다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대기 전류를 변경하지 않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openings into which plugs of electronic appliances are inserted,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s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whether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ports using the plug,
A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unit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ng ports to output a current sensing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ccording to an amount of current consumed at each plug inserting port,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a plurality of switching units positioned between the plug insertion openings, and
A plurality of plug sensing portions, a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portions, and a plurality of switch portions,
And an outlet,
The outlet-
A plug inserting unit for inserting an electronic product into each plug inserting port by a plug inserting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ng detecting uni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of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ng hol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in the plug inserting hole in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 I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the previous stat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inserted in the current state,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port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ng unit,
A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current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port is read for a preset time period to measure a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ng port,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differs from the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on por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 the plug insertion port in the previous state and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 the plug insertion port in the current state And stores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port,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is equal to the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on por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electronic product, which has been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ort in the previous state and has been removed, The standby curren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outlet by plug insertion.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 각각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ng portions comprises:
A mo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opening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opening of the plug insertion opening,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and changing the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d
A switch which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moving unit and changes a contact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d outputs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the corresponding state,
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outlet by the plug insertion including the plug.
제2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which rotates by a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 moves in a left or right linear direction or vertically linearly to expose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Surveillance system.
제3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제어부로부터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contact plate whose position changes as the moving unit moves,
A contact which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s the contact plate by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part, and
At least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receptacl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input terminal for determining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point, Output terminal
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outlet by the plug insertion including the plug.
제3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is one or two plugs, and wherei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제1항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comprises:
A mo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opening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opening of the plug insertion opening,
An elastic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and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 operation pin which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upper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of the socket respectively and descends by a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opening,
A switch which is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in and changes the contact state by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operation pin and outputs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the corresponding state,
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outlet by the plug insertion including the plug.
제6항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제어부로부터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contact plate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in and whos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 contact which is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s the contact plate by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t least one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eptacle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receptacl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input terminal for determining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point, Output terminal
The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the outlet of the outlet by the plug insertion including the plug.
제7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인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t least one output terminal is one or two plugs, and wherei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켜 연결된 전자 제품의 대기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작이 수행중임을 표시하고, 측정된 현재의 소비 전류값이 해당하는 대기 전류와 상이한 경우,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켜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가 변경되었음을 표시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erein the socket control unit operates the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while measuring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to indicate that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standby current value of the connected electronic product is being performed, And automatically sets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by inserting a plug to indicate that the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ng port is chang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연결된 전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임을 상기 동작 상태 표시부에 표시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operation state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displays on the operation status display unit that the plug inserting port is powered on so that the electronic appliance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can be used.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해당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해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electronic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opening by the plug inserting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each plug inserting portion, the plug socket inserting portion detects that the electronic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opening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switch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the disconnected state and to disconnec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ng unit determined to be not inserted with the electronic product Standby current automatic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surveillance system of outlet.
제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복수의 콘센트 사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해당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해당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outlet use switches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section,
The outlet-
If it is determined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that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outlet use switch is operated by using a signal applied from a corresponding socket us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determined in a state where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outlet use switch is operated,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determined as the inserted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is controlled as a connected state, Both of the state and the current state are such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plug inserter determined to be inserted with the electronic product,
Reading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determined as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measuring the consumption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ng opening,
Wherein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n a connected state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exceeds a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ng port and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is determined as a standby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port, Controlling in a disconnected state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outlet by plug insertion.
제1항에서,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 제어부와 통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각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 전자 제품 연결 여부, 소비 전류값 및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 여부를 상기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control unit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he receptacle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transmission device a standby current for each plug insertion port,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product is connected, a consumption current value, and whether the switching unit is operating
Standby current setting and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of outlet by plug insertion.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 그리고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간의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A mo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opening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opening of the plug insertion opening and movabl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and changing the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d
An input terminal to which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and an input terminal which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late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by movement of the moving unit,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d the correspond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state A switch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An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제14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상부 삽입구에 삽입됨에 따라 인가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거나, 좌우 직선 이동하거나 수직 직선 이동하여 상기 중간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oving unit is rotated by a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 or is moved in a leftward / rightward linear movement or a vertical linear movement to expose the intermediate insertion port.
삭제delete 제14항에서,
상기 입력 단자는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제어부로부터 정해진 크기의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인 플러그 삽입 감지부.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cket control unit and receives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socket control unit, and 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is one or two.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 삽입구와 중간 삽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탄성 부재,
콘센트의 상판과 중간판을 각각 관통하게 위치하고, 전자 제품의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핀, 그리고
상기 동작핀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접촉판과 접하는 접점, 정해진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 그리고 상기 접촉판과 상기 접점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단자와의 접촉이 정해져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동작핀의 하강 동작에 의해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간의 접촉 상태가 변하여 해당 상태의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A mo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ertion opening and the intermediate insertion opening of the plug insertion opening and movable,
An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the elastic member changing its state according to a moving state of the moving unit,
An operation pin which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upper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of the socket respectively and descends by a force applied when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opening,
A contact plate which is located below the operation pin and whose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lowe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 contact which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plate and contacts with the contact plate by a down operation of the operation pin, And an output terminal for determining a contact with the inpu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act plate and the contac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nd a switch for outputting a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in a corresponding state,
An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삭제delete 제18항에서,
상기 입력 단자는 콘센트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콘센트 제어부로부터 정해진 크기의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출력 단자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인 플러그 삽입 감지부.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ocket control unit and receives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rom the socket control unit, and the number of the output terminals is one or two.
콘센트 제어부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각각에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중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이전 상태에서는 전자 제품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가 현재 상태에서 삽입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전자 제품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았다가 현재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복수의 스위칭부 중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복수의 전류 감지부 중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가 상이하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던 전자 제품과 현재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전자 제품이 서로 상이한 상태로 판단하여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를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대기 전류와 동일하면 이전 상태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었다가 탈거되었던 전자 제품이 현재 상태에서 다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대기 전류를 변경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The socket control unit may read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and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on slots,
When the electronic appliance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opening of the plug inserting opening of the plurality of plug inserting openings, the electronic appliance is not inserted in the plug inserting opening into which the electronic appliance is inserted,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a state,
Wherein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a previous state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determin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the current state, So that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port,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reads a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unit among the plurality of current sensing units and measures a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ng unit,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compares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with a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on sl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measured and the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por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lug socket is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ng port Storing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 judging the inserted electronic product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is the same as the standby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on sl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plug is inserted in the plug inserting port and not changing the standby curr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콘센트 제어부에 연결된 해당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operat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state indicator connected to the outlet control unit while measuring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과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설정 시간 동안 복수의 동작 상태 표시부 중에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동작 상태 표시부를 동작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상기 현재 소비 전류값을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한 대기 전류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compares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with a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on port,
When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and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ng po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ceptacle controller operates the corresponding operating status indicator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port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ng status indicators during the set time,
Wherein the outlet control section determines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value as a standby current for the plug insertion port
The automatic setting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스위칭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해당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에서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plug receptacle detec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opening determined by the plug inserting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each plug inserting unit,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be in a disconnected state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unit determined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inserted is cut off from the power supply line Automatic setting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down monitoring system.
제21항에서,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에 의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정되면,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콘센트 사용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해당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모두 상기 전자 제품이 삽입된 상태로 판단된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전류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콘센트 제어부는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를 초과하면 상기 해당 스위칭부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값이 상기 해당 플러그 삽입구의 대기 전류로 판정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상태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삽입에 의한 콘센트의 대기 전류 자동 셋팅 및 자동 차단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ng port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by the plug inserting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each plug inserting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socket use switch is operated using a signal applied from a corresponding socket us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determined to be in a state of being plugged,
If the socket outlet use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the operated state, the socket outlet control unit control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determined as the inserted state of the electronic product in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Supply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er determined to b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Wherein the outlet control unit reads the current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plug inserting hole determined as a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 both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state and measures the consumption current value consumed at the plug inserting opening And
Wherein the socket control unit maintain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n a connected state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exceeds the standby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ng port, and when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value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current of the plug inserting port, The step of controlling the negative state to the disconnected state
The automatic setting of the standby current of the outlet by plug insertion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shut-off monitoring system.
KR1020160062053A 2016-05-20 2016-05-20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KR101764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53A KR101764819B1 (en) 2016-05-20 2016-05-20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053A KR101764819B1 (en) 2016-05-20 2016-05-20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026 Division 2015-05-22 201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24A KR20160137424A (en) 2016-11-30
KR101764819B1 true KR101764819B1 (en) 2017-08-14

Family

ID=5770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053A KR101764819B1 (en) 2016-05-20 2016-05-20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860B1 (en) * 2020-07-31 2021-07-06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Socke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30B1 (en) 2009-09-11 2010-07-28 김창호 Receptacle for cutting off stan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ceptacle
KR101069430B1 (en)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Smart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receptacle
KR101372891B1 (en)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Electric outlet apparatus embodied with function of alarm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30B1 (en) 2009-09-11 2010-07-28 김창호 Receptacle for cutting off stanby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ceptacle
KR101069430B1 (en) * 2011-01-14 2011-09-30 주식회사 담솔 Smart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receptacle
KR101372891B1 (en)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Electric outlet apparatus embodied with function of ala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24A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87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KR101266047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Electric Power Using the Smart Consent
KR101877913B1 (en) Electric outlet detecting electr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ing thereof
EP2555004B1 (en) Power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 remote access
US8138626B2 (en) Power node for energy management
RU2565047C2 (en) Power supply module
KR101843820B1 (en) Smart multitap and smart multitap system using thereof
US20150048679A1 (e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KR101764819B1 (en)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nd plus insertion sensor
WO2017131371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type electric outlet having automatic standby power cut-off and restoration functions
KR100909790B1 (en) The socket outlet having a stand by power choice
KR101807766B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ying of concent and mehtod for driving the same
KR2021005314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istribute
KR101362777B1 (en) Concent rf communication
GB2475565A (en) Identifying an appliance by data on the earth pin of its plug
KR20170113921A (en) Controlling method of system for monitoring concent state
KR20170113855A (en) System for monitoring concent state
KR20170078226A (en) Flush mounted socket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13172599A (en) Leakage detection automatic restoration system
KR101672368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20190083402A (en) Spark protection device for socket-outlet and socket-outlet having the same
CN205900959U (en) Wiring board
KR20170054616A (en) Automatic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with automatic setup of standby power
KR101900147B1 (en) Biorhythm Multi-Plug
KR101022586B1 (en) Multi-tab with apparatus for cutting standby power 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