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719B1 -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719B1
KR101764719B1 KR1020140143533A KR20140143533A KR101764719B1 KR 101764719 B1 KR101764719 B1 KR 101764719B1 KR 1020140143533 A KR1020140143533 A KR 1020140143533A KR 20140143533 A KR20140143533 A KR 20140143533A KR 101764719 B1 KR101764719 B1 KR 10176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band
information
identification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286A (ko
Inventor
이상돈
김민경
최용선
이상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7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2Pliers specially adapted for fixing ear-tags to e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 기록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는 동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수단 및 펼쳐진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방향으로 감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에 부착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ANIMAL IDENTIFYING BAND AND ANIMAL DETECTION AND CATALOGING METHOD}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철새를 비롯한 동물의 생태 연구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관찰과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관찰이 필요한 동물에 표식 장치를 부착하기도 한다.
여러 가지 종류의 표식 장치가 사용되며 그 부착 방법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포유류는 이표(EAR TAG)를 달아주거나 마이크로 칩을 체내에 삽입하고, 조류는 가락지(RING)을 다리에 부착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식을 부착하여 동물의 생태를 연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새와 같은 동물의 이동경로, 번식지 또는 월동지와 같은 정보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0-0005356호는 IC칩을 포함하는 동물용 전자태그 목걸이를 개시한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는 IC칩을 전자태그 목걸이에 삽입하여 동물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부가적인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쉽게 부착할 수 있는 동물 식별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고무부재를 포함하여 부착되는 동물에게 금속과 같은 촉감을 전달하지 않는 동물 식별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동물을 포획하지 않고도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동물 식별 밴드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동물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동물 식별 밴드 및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는 동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수단 및 펼쳐진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방향으로 감기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에 부착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은 상기 탄성밴드 외면에 형성되는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의 일단부와 이어지는 보조식별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단부와 보조식별수단 사이에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보조식별수단은 상기 식별수단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의 일단부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탄성밴드가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 측에서 상기 중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인식부 및상기 중심부의 타 측에서 상기 중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인식부 또는 제 2인식부는 상기 중심부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코팅되는 고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은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방향으로 감기는 동물 식별 밴드를 관찰 대상 동물에 감아서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동물 식별 밴드가 부착된 동물의 정보 및 상기 동물 식별 밴드에 포함되는 식별수단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물 식별 밴드가 부착된 동물이 감지되고, 상기 상기 동물 식별 밴드에 포함된 식별수단을 파악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식별수단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동물의 정보가 파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는 부가적인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는 고무부재를 포함하여 부착되는 동물에게 금속과 같은 촉감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를 사용하여 동물을 포획하지 않고도 정보를 파악 할 수 있으며,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동물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의 측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의 색상 배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를 조류에 부착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의 작동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의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여러 태양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는 탄성밴드(110) 및 식별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밴드(110)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탄성밴드(11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테이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밴드(110)의 단면은 일측으로 만곡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밴드의 길이 방향 측면은 상측으로 만곡된 상태일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밴드(110)의 적어도 일단부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부착할 때, 동물에게 주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동물 식별 밴드(1)의 부착으로 동물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밴드(110)는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거나 감는 대상을 타격하면 만곡된 부분이 평평해 지거나 뒤집어 지면서 감길 수 있다. 탄성밴드(110)의 작동 형태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식별수단(120)은 동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수단(120)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QR CODE) 또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PS 센서 등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동물의 위치 정보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별수단(120)은 동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식별수단(120)는 동물 식별 밴드(1)를 부착한 동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수단(120)은 동물의 종류, 나이, 출생지 또는 부착일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물에 부착된 식별수단(120)이 스캔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식별수단(120)에 기록되는 정보는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식별수단(120)과 상기 동물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식별수단(120)을 인식하여 상기 동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수단(120)은 상기 동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식별수단(120)으로서 바코드를 포함하는 동물 식별 밴드(1)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식별수단(120)은 바코드로 설명되지만 위에서 설명된 다른 식별수단(120)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식별수단(120)은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는 탄성밴드(110)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 대상에 감겨서 부착되면, 바코드가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
바코드는 탄성밴드(1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감은 상태에서 바코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물 식별 밴드(1)는 부착 대상에 감겨서 부착되므로, 바코드가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면 인식방향에 따라 바코드의 일부만 식별될 수 있다. 즉, 바코드 전체를 인식하기 어려워 바코드의 정보를 획득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바코드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면 동물 식별 밴드(1)의 높이방향에 바코드 전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따라서 감겨있는 동물 식별 밴드(1)를 관찰하는 모든 방향에서 바코드 전체가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바코드가 부착된 개체가 발견 되었을 때 원거리에서 사진 촬영을 하여 바코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바코드 스캐너로 인식될 수 있고, 바코드가 포함하는 정보가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을 포획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동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동물 식별 밴드(1)는 보조식별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식별수단(130)은 탄성밴드(110)의 일단부와 이어질 수 있고, 식별수단(120)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밴드(110)와 보조식별수단(130)의 연결부에는 절취선(131)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식별수단(130)은 절취선(131)을 따라 탄성밴드(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부착하고, 보조식별수단(130)을 절취선(131)을 따라 절취하여 보관할 수 있다.
식별수단(120)의 정보는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동물 관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보조식별수단(130)은 식별수단(120)과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식별수단(120)의 정보를 별도로 기록하지 않고도 절취된 보조식별수단(130)를 활용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조식별수단(130)은 동물 식별 밴드(1)를 부착한 동물의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거나, 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탄성밴드(110)의 일측은 접착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140)는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140)는 동물 식별 밴드(1)가 감긴 상태에서 탄성밴드(110)의 일부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물 식별 밴드(1)가 감기면 동물 식별 밴드의 후면 일부가 접착부재(140)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밴드(110)가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동물 식별 밴드가 동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의 측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밴드(110)의 외면은 고무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부재(112)는 고무부재(111)로 코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12)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에 부착시 금속 재질의 질감을 촉감을 전달하여 동물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불편함에 따라 동물이 동물 식별 밴드(1)를 제거하는 것을 유발할 수 있다.
고무부재(111)는 상대적으로 딱딱하지 않은 질감을 전달하므로 동물에게 주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의 색상 배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물 식별 밴드(1)는 복수의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밴드는 중심부(251), 제 1인식부(252) 및 제 2인식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251)는 탄성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심부(251)는 탄성밴드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중심부(251)의 일측에는 제 1인식부(252)가 배치되고, 중심부(251)의 타측에는 제 2인식부(253)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인식부(252)와 제 2인식부(253)는 각각 중심부(251)와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는 중심부(251)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부(251),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는 각각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동물 인식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상기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므로 동물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는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국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국가 또는 관찰지마다 색을 달리 할 수 있으며, 제 1인식부(252) 및 제 2인식부(253)의 색상을 조합하면 어디에서 동물 식별 밴드(1)를 부착하였는지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을 관찰함으로써 어떤 지역을 빠르게 통과하는지 아니면 얼마나 오랫동안 머무는지 알 수 있으며, 월동지나 번식지역 등의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중심부(251),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는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므로 식별수단(120)을 인식하지 않고도 파악될 수 있는 국가 정보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는 동물 식별 밴드(1)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유색 표식(COLOUR MARKERS)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동물에 다수의 표식을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중심부(251),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착 대상 및 부착 목적에 따라 색상 또는 그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인식부(252) 또는 제 2인식부(253)가 반드시 부착된 지역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부착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의 작동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물 식별 밴드(1)는 동물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동물 식별 밴드(1)는 조류의 다리에 부착되는 조류 가락지(BIRD BAND)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4(b)처럼 동물의 뿔 또는 다리 등에 부착되어 동물의 생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보조식별수단을 절취하고,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또는,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 등에 부착하고 보조식별수단을 절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식별수단은 절취되어 동물 식별 밴드(1)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보조식별수단은 별도로 보관 및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동물 식별 밴드(1)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부착부위, 용도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동물 식별 밴드(1)의 작동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5(a)는 동물 식별 밴드(1)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동물 식별 밴드(1)가 감기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5(c)는 동물 식별 밴드(1)가 감긴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동물 식별 밴드(1)는 펼쳐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동물 식별 밴드(1)를 감는 대상에 타격하면 도 5(b)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동물 식별 밴드(1)의 단면은 펼쳐진 상태에서 양 측면에 상부로 만곡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외력을 받으면 만곡된 부분이 평평해 지거나 뒤집어 지면서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물 식별 밴드(1)의 일 단부를 잡고 감는 대상을 타격하므로, 사용자가 잡지 않은 타 단부가 먼저 구부러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잡은 일 단부가 구부러질 수 있다. 동물 식별 밴드(1)가 완전히 감기고 나면 도 5(c)와 같이 원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부착하는데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동물에 부착하고자 하는 부위에 밴드(1)를 타격하여 동물 식별 밴드(1)를 쉽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 식별 밴드(1)의 부착이 편리하며, 부착 과정에서 동물에게 주는 불편감 또는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의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위에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사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차이점을 위주로 서술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1)를 활용하여 동물을 탐지하고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식별수단(120)을 포함하는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부착하여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동물이 포착되면 그 정보를 확인하여 동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은 동물에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S11) 및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물에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는 관찰이 필요한 동물에 동물 식별 밴드(1)를 부착할 수 있다. 동물 인식 밴드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힘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사용자는 동물 식별 밴드(1)를 감고자 하는 부위에 타격함으로써 동물 식별 밴드(1)를 동물에 감을 수 있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S12)에서는,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의 정보 및 동물 식별 밴드(1)에 포함되는 식별수단(120)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수단(120)은 바코드를 포함하고, 바코드는 고유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찰 대상 동물에 동물 식별 밴드(1)를 부착한 후 바코드의 고유 번호와 동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보조식별수단(130)을 절취하여 보관할 수 있다. 절취된 보조식별수단(130)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용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상기 식별수단을 조회하여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물의 정보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물의 종류, 부착위치, 부착 일자 또는 동물의 상태일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제한되지 않는다.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은, 그 이후에 식별수단의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및 동물의 정보가 파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별수단(120)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을 포획하거나, 포획하지 않고도 식별 밴드를 촬영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동물 식별 밴드(1)를 촬영하면 동물 식별 밴드(1)가 부착된 동물을 포획하지 않고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코드는 동물 식별 밴드(1)의 외면에 가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면에서 보아도 바코드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촬영을 통하여 식별수단을(120) 파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원거리에서 식별수단(120)을 촬영하여 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된 정보는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도 동일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동물 식별이 용이할 수 있다.
식별수단(120)의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사용자는 정보를 조회하여 동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S22). 사용자는 획득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정보 입력 단계(S12)에서 입력된 정보들이 획득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웹 상에 구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상기 식별수단(120)을 획득하여 동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동물은 조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면 조류의 이동경로를 추정할 수 있으며, 수명과 같은 조류의 생태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조류 인플루엔자와 같은 질병을 보유한 조류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각종 동물 등에 부착되어 그 동물에 생태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는 부가적인 도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쉽게 부착될 수 있으며, 고무부재를 포함하여 부착되는 동물에게 금속과 같은 촉감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물 식별 밴드를 사용하여 동물을 포획하지 않고도 정보를 파악 할 수 있으며, 동물 탐지기록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동물의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 되었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을 변형 또는 응용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변형 또는 응용도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서 묘사된 특정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1 동물 식별 밴드
110 탄성밴드
120 식별수단
130 보조식별수단
140 접착부재

Claims (10)

  1. 펼쳐진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일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코팅되는 고무부재를 포함하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밴드의 외면에 형성되고, 동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및
    상기 탄성밴드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바코드의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식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펼쳐진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방향으로 감김으로써, 상기 동물에 부착되고,
    상기 보조식별수단 및 상기 탄성밴드의 연결부위에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식별수단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탄성밴드로부터 분리 가능한 동물 식별 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의 일단부는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탄성밴드가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물 식별 밴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일 측에서 상기 중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인식부; 및
    상기 중심부의 타 측에서 상기 중심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인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인식부 또는 제 2인식부는 상기 중심부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동물 식별 밴드.
  8. 삭제
  9. 펼쳐진 상태에서 단면의 형상이, 양 측면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코팅되는 고무부재를 포함하여 힘이 가해지면 길이 방향으로 감기는 동물 식별 밴드를 관찰 대상 동물에 감아서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동물 식별 밴드가 부착된 동물의 정보 및 상기 동물 식별 밴드에 포함되는 식별수단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물 식별 밴드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동물 식별 밴드가 부착된 동물이 감지되고, 상기 상기 동물 식별 밴드에 포함된 식별수단이 파악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식별수단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동물의 정보가 파악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물 식별 밴드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KR1020140143533A 2014-10-22 2014-10-22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KR10176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33A KR101764719B1 (ko) 2014-10-22 2014-10-22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33A KR101764719B1 (ko) 2014-10-22 2014-10-22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86A KR20160047286A (ko) 2016-05-02
KR101764719B1 true KR101764719B1 (ko) 2017-08-07

Family

ID=5602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533A KR101764719B1 (ko) 2014-10-22 2014-10-22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18B1 (ko) * 2019-11-06 2021-03-08 대한민국(산림청장) 수목관리용 IoT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2513A (ja) * 2000-04-06 2001-10-19 Yoshitaka Hirata 簡易着脱式識別バンド
JP2006081495A (ja) * 2004-09-17 2006-03-30 Nakayama Egg:Kk 家禽個体管理システム
JP2006136273A (ja) 2004-11-15 2006-06-01 Jin Trade Co Ltd ダチョウの養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2513A (ja) * 2000-04-06 2001-10-19 Yoshitaka Hirata 簡易着脱式識別バンド
JP2006081495A (ja) * 2004-09-17 2006-03-30 Nakayama Egg:Kk 家禽個体管理システム
JP2006136273A (ja) 2004-11-15 2006-06-01 Jin Trade Co Ltd ダチョウの養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286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6761B (zh) 家畜資訊管理系統、畜舍、家畜資訊管理程式及家畜資訊管理方法
Robertson et al. Kiwi best practice manual
US10045511B1 (en) Cattle and other veterinary monitoring
EP2465344A1 (en) Tag for identifying an animal
Akins et al. In situ tagging technique for fishes provides insight into growth and movement of invasive lionfish
JP2007124966A (ja) 動物の発情情報、出産情報及び/又は生体情報検知装置。
Liu et al. Sex in the half-shell: a review of the functions and evolution of courtship behavior in freshwater turtles
JP2018125031A5 (ko)
US20200296925A1 (en) Device for, system for, method of identifying and capturing information about items (fish tagging)
KR101764719B1 (ko) 동물 식별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동물 탐지기록 관리 방법
US10420634B2 (en) Animal detection systems
Kuma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animal surveillance and conservation
US20200100470A1 (en) Pet Leash Attachment Apparatus
JP5927050B2 (ja) カメラトラップで撮影された動物の任意の部位のサイズの計測方法
KR102196358B1 (ko) 스마트기기로 인식되는 수목관리용 식별띠 및 이를 이용한 수목관리 시스템
KR20100005356U (ko) Ic칩을 포함하는 동물용 전자태그 목걸이
WO2020120516A1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CN106845299A (zh) 可伸缩的电子识读杆
Campión et al. A method for capturing and GPS tracking breeding White-backed Woodpeckers Dendrocopos leucotos
JP6731598B2 (ja) 観賞魚用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観賞魚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観賞魚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AU2016222350A1 (en) Animal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964292B1 (ko) 동물용 이표
KR20190062779A (ko) 반려동물 케어를 위한 멀티모달 센서 장치
ES2958527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gestión de productos fitosanitarios en un campo agrícola
US20210161106A1 (en) Animal individual identification member and animal data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