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60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603B1
KR101763603B1 KR1020167016140A KR20167016140A KR101763603B1 KR 101763603 B1 KR101763603 B1 KR 101763603B1 KR 1020167016140 A KR1020167016140 A KR 1020167016140A KR 20167016140 A KR20167016140 A KR 20167016140A KR 101763603 B1 KR101763603 B1 KR 10176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
service discovery
frame
discovery fram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323A (ko
Inventor
김동철
이병주
박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9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NAN 단말이 DW(Discovery Window)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ime that a packe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부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카운트 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완료되면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W에서 상기 NAN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은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어야만 전송 가능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BY WHICH NAN TERMINAL TRANSMITS NAN SERVICE DISCOVERY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단말이 하나의 디스커버리 윈도 내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과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전송 우선순위의 결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NAN 단말이 DW(Discovery Window)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ime that a packe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부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카운트 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완료되면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W에서 상기 NAN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은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어야만 전송 가능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NAN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전송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ime that a packe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부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카운트 다운을 시작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완료되면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DW에서 상기 NAN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은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어야만 전송 가능한, NAN 단말 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다음 사항들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패킷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은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 완료 시점 이후일 수 있다.
상기 NAN 단말이 복수개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두 번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은 첫 번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 완료 이후일 수 있다.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TStartDW+HC*40*aSlotTime 에서 시작되며, 상기 TStartDW는 상기 DW의 시작점, 상기 HC는 홉 카운터, 상기 aSlotTime은 상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MAC value일 수 있다.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HC가 0이면 [0, 제2 값] 구간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값이며, HC가 0보다 크면 [0, 31]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값일 수 있다.
상기 NAN 단말이 상기 DW에서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TStartDW+(HCmax+1)*40*aSlotTime에서 시작되며, 상기 TStartDW는 상기 DW의 시작점, 상기 HCmax는 상기 NAN 단말이 속한 클러스터에서 가장 큰 홉 카운터, aSlotTime은 상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MAC value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의 홉 카운터가 0보다 큰 경우,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A+(HC-1)*B+HC*C, A+(HC*B)+(HC+1)*C]에서 시작되며, A는 HC가 0인경우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 설정을 위한 구간 최대값 또는 최대값+1 로 설정된 값이며, B는 상기 HC별로 설정되는 구간 크기 값, C는 각 구간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을 위한 구간 확보를 위한 변수일 수 있다.
상기 HC별로 설정되는 구간 크기 값은, 등간격으로 설정된 것 또는 HC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가 카운트 다운되는 동안 카운트 다운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면 카운트 다운은 재개될 수 있다.
상기 NAN 단말은 마스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원 사용의 효율성과 홉 카운터 사용의 자유도를 모두 보장해 줌과 동시에 NAN 클러스터 전체의 안정성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3은 NAN 클러스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는 NAN 단말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6에는 NAN 컴포넌트들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NAN 단말은 상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디스커버리 윈도 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IEEE 802.11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WLAN 시스템의 구조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1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IEEE 802.11 구조는 복수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위계층에 대해 트랜스패런트한 STA 이동성을 지원하는 WLAN이 제공될 수 있다.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는 IEEE 802.11 WLAN에서의 기본적인 구성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2 개의 BSS(BSS1 및 BSS2)가 존재하고 각각의 BSS의 멤버로서 2 개의 STA이 포함되는 것(STA1 및 STA2 는 BSS1에 포함되고, STA3 및 STA4는 BSS2에 포함됨)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에서 BSS를 나타내는 타원은 해당 BSS에 포함된 STA들이 통신을 유지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영역을 BSA(Basic Service Area)라고 칭할 수 있다. STA이 BSA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 BSA 내의 다른 STA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게 된다.
IEEE 802.11 WLAN에서 가장 기본적인 타입의 BSS는 독립적인 BSS(Independent BSS; IBSS)이다. 예를 들어, IBSS는 2 개의 STA만으로 구성된 최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장 단순한 형태이고 다른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있는 도 1 의 BSS(BSS1 또는 BSS2)가 IBSS의 대표적인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STA들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WLAN은 미리 계획되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WLAN이 필요한 경우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애드-혹(ad-hoc) 네트워크라고 칭할 수도 있다.
STA의 켜지거나 꺼짐, STA이 BSS 영역에 들어오거나 나감 등에 의해서, BSS에서의 STA의 멤버십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BSS의 멤버가 되기 위해서는, STA은 동기화 과정을 이용하여 BSS에 조인할 수 있다. BSS 기반구조의 모든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STA은 BSS에 연관(associated)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관(association)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분배시스템서비스(Distribution System Service; DSS)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에서는 분배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분배시스템매체(Distribution System Medium; DS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시한다.
WLAN에서 직접적인 스테이션-대-스테이션의 거리는 PHY 성능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이러한 거리의 한계가 충분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보다 먼 거리의 스테이션 간의 통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확장된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해서 분배시스템(DS)이 구성될 수 있다.
DS는 BSS들이 상호연결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 과 같이 BSS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대신에, 복수개의 BSS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의 확장된 형태의 구성요소로서 BSS가 존재할 수도 있다.
DS는 논리적인 개념이며 분배시스템매체(DSM)의 특성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EEE 802.11 표준에서는 무선 매체(Wireless Medium; WM)와 분배시스템매체(DSM)을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각각의 논리적 매체는 상이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며, 상이한 구성요소에 의해서 사용된다. IEEE 802.11 표준의 정의에서는 이러한 매체들이 동일한 것으로 제한하지도 않고 상이한 것으로 제한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매체들이 논리적으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IEEE 802.11 WLAN 구조(DS 구조 또는 다른 네트워크 구조)의 유연성이 설명될 수 있다. 즉, IEEE 802.11 WLAN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현예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WLAN 구조가 특정될 수 있다.
DS는 복수개의 BSS들의 끊김 없는(seamless) 통합을 제공하고 목적지로의 어드레스를 다루는 데에 필요한 논리적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AP 는, 연관된 STA들에 대해서 WM을 통해서 DS 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STA 기능성을 가지는 엔티티(entity)를 의미한다. AP를 통해서 BSS 및 DS 간의 데이터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 도시하는 STA2 및 STA3 은 STA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연관된 STA들(STA1 및 STA4)가 DS로 액세스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모든 AP는 기본적으로 STA에 해당하므로, 모든 AP는 어드레스 가능한 엔티티이다. WM 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AP 에 의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와 DSM 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AP 에 의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AP에 연관된 STA들 중의 하나로부터 그 AP의 STA 어드레스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항상 비제어 포트(uncontrolled port)에서 수신되고 IEEE 802.1X 포트 액세스 엔티티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포트(controlled port)가 인증되면 송신 데이터(또는 프레임)는 DS로 전달될 수 있다.
계층 구조
무선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STA의 동작은 계층(layer) 구조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장치 구성의 측면에서 계층 구조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STA는 복수개의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802.11 표준문서에서 다루는 계층 구조는 주로 DLL(Data Link Layer) 상의 MAC 서브계층(sublayer) 및 물리(PHY) 계층이다. PHY은 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개체,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개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AC 서브계층 및 PHY은 각각 MLME(MAC sublayer Management Entity) 및 PLME((Physical Layer Management Entity)라고 칭하여지는 관리 개체들을 개념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개체들은 계층 관리 기능이 작동하는 계층 관리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정확한 MAC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서, SME(Station Management Entity) 가 각각의 STA 내에 존재한다. SME는, 별도의 관리 플레인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따로 떨어져(off to the side)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계층 독립적인 개체이다. SME의 정확한 기능들은 본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양한 계층 관리 개체(LME)들로부터 계층-종속적인 상태를 수집하고, 계층-특정 파라미터들의 값을 유사하게 설정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SME는 일반적으로 일반 시스템 관리 개체를 대표하여(on behalf of)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표준 관리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개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개체들 간에는 GET/SET 프리머티브(primitive)들을 교환(exchange)함으로써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리머티브는 특정 목적에 관련된 요소(element)나 파라미터들의 세트를 의미한다. XX-GET.request 프리머티브는 주어진 MIB attribute(관리 정보 기반 속성 정보)의 값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XX-GET.confirm 프리머티브는, Status가 "성공"인 경우에는 적절한 MIB 속성 정보 값을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Status 필드에서 에러 지시를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XX-SET.request 프리머티브는 지시된 MIB 속성이 주어진 값으로 설정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MIB 속성이 특정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 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XX-SET.confirm 프리머티브는 status가 "성공"인 경우에 지시된 MIB 속성이 요청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확인하여 주고, 그렇지 않으면 status 필드에 에러 조건을 리턴하기 위해 사용된다. MIB 속성이 특정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 이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여 준다.
또한, MLME 및 SME는 다양한 MLME_GET/SET 프리머티브들을 MLME_SAP(Service Access Point)을 통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PLME_GET/SET 프리머티브들이, PLME_SAP을 통해서 PLME와 SME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고, MLME-PLME_SAP을 통해서 MLME와 PLME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NAN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토폴로지
NAN 네트워크는 동일한 NAN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연속된 디스커버리 윈도 사이의 시간 구간, 디스커버리 윈도의 구간, 비콘 인터벌 또는 NAN 채널 등)의 집합을 사용하는 NAN 단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NAN 단말들은 NAN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NAN 클러스터는 동일한 NAN 파라미터들의 집합을 사용하며, 동일한 디스커버리 윈도 스케줄에 동기화되어 있는 NAN 단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2에는 NAN 클러스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NAN 클러스터에 속한 NAN 단말은 멀티캐스트/유니캐스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디스커버리 윈도의 범위 내에서, 다른 NAN 단말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N 클러스터에는 하나 이상의 NAN 마스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 NAN 마스터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NAN 마스터는 동기 비콘 프레임과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모두 전송할 수 있다.
NAN Device Architecture
도 4에는 NAN 단말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AN 단말은 802.11의 물리 계층을 기반으로 하며, NAN 디스커버리 엔진(NAN Discovery Engine), NAN MAC (Medium Access Control), 각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1, Application 2, … , Application N )으로의 NAN API들이 주요 컴포넌트이다.
도 5 내지 도 6에는 NAN 컴포넌트들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요청 및 응답은 NAN 디스커버리 엔진을 통해 처리되며, NAN MAC은 NAN 비콘 프레임들과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처리한다. NAN 디스커버리 엔진은 서브스크라이브(Subscribe), 퍼블리시(Publish) 및 팔로우-업(Follow-up)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리시/서브스크라이브 기능은 서비스/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작한다. 퍼블리시/서브스크라이브 명령이 실행되면 퍼블리시/서브스크라이브 기능의 인스턴스(instance)가 생성된다. 각 인스턴스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구현에 따라 동시에 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구동될 수도 있다. 팔로우-업 기능은 서비스 특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수단이다.
NAN 단말의 역할 및 상태
앞서 잠시 언급된 바와 같이, NAN 단말은 마스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한 이는 변경될 수 있다. 즉, NAN 단말은 여러 역할 및 상태(Role and State)를 천이할 수 있으며, 도 7에는 그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NAN 단말이 가질 수 있는 역할 및 상태는, 마스터(이하, 마스터는 Master role and sync. State임.), 논-마스터 싱크(Non-Master Sync), 논-마스터 논-싱크(Non-Master Non-Sync) 등이 있을 수 있다. 각 역할과 상태에 따라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 및/또는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 가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Role and State Discovery Beacon Synchronization Beacon
Master 전송가능 전송가능
Non-Master Sync 전송불가 전송가능
Non-Master Non-Sync 전송불가 전송불가
NAN 단말의 상태는 마스터 랭크(Master Rank)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마스터 랭크는 NAN 마스터로써 동작하려는 NAN 단말의 의지를 나타낸다. 즉, 큰 값은 NAN 마스터에 대한 큰 선호도를 나타낸다. NAN MR는 Master Preference, Random Factor, Device MAC address 에 의해,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058068402-pct00001
상기 Master Preference, Random Factor, Device MAC address은 NAN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마스터 인디케이션 어트리뷰트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마스터 인디케이션 어트르뷰트는 다음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Field Name Size (Octets) Value Description
Attribute ID 1 0x00 Identifies the type of NAN attribute.
Length 2 2 Length of the following field in the attribute.
Master Preference 1 0 -255 Information that is used to indicate a NAN Device s preference to serve as the role of Master, with a larger value indicating a higher preference.
Random Factor 1 0 -255 A random number selected by the sending NAN Device.
상기 MR과 관련하여, NAN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NAN 클러스터를 시작하는 NAN 단말은 Master Preference, Random Factor를 모두 0으로 설정하고, NANWarmUp를 리셋한다. NAN 단말은 NANWarmUp가 만료될 때까지, 마스터 인디케이션 어트리뷰트 내 Master Preference 필드 값을 0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여야 하고, 마스터 인디케이션 어트리뷰트 내 Random Factor 값을 새로운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앵커 마스터의 Master Preference 가 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 NAN 클러스터에 조인한 NAN 단말은, NANWarmUp가 만료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Master Preference를 0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고, Random Factor를 새로운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NAN 단말은 MR 값에 따라 NAN 클러스터의 앵커마스터(Anchor Master)가 될 수도 있다. 즉, 모든 NAN 단말은 앵커 마스터로써 동작할 수 있는 능력(capability)가 있다. 앵커마스터는 NAN 클러스터에서 가장 큰 MR을 가지며 HC(Hop count to the Anchor Master)값이 0이며 AMBTT(Anchor Master Beacon Transmit Time)값이 가장 작은 장치를 의미한다. NAN 클러스터에는 일시적으로 두 개의 앵커 마스터가 존재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앵커 마스터가 있는 것이 원칙이다. 이미 존재하던 NAN 클러스터에서 앵커 마스터가 된 NAN 단말은, 이미 존재하던 NAN 클러스터에서 사용된 TSF를 그대로 사용한다.
NAN 단말은 다음 경우, 앵커 마스터가 될 수 있다. 새로운 NAN 클러스터를 시작하거나, 마스터 랭크 변경(다른 NAN 단말의 MR 값이 변경되거나 또는 앵커 마스터 자신의 MR이 변경되는 경우)에 따라, 또는 현재 앵커 마스터의 비콘 프레임이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NAN 단말은 앵커 마스터가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NAN 단말의 MR 값이 변경되거나 또는 앵커 마스터 자신의 MR이 변경되는 경우, NAN 단말은 앵커 마스터의 지위를 상실할 수 있다. 앵커 마스터는 아래의 설명과 같은 앵커 마스터 선택(Anchor Master Selection)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앵커 마스터 선택은 어떤 NAN 단말이 NAN 클러스터의 앵커 마스터인지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며, 각 NAN 단말은 NAN 클러스터에 참여할 때 앵커 마스터 선택 알고리즘을 구동한다.
NAN 단말이 새로운 NAN 클러스터를 시작하는 경우, 그 NAN 단말은 새로운 NAN 클러스터의 앵커 마스터가 된다. 임계치를 초과하는 홉 카운터를 갖는 NAN 동기 비콘 프레임은 NAN 단말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NAN 동기 비콘 프레임은, NAN 클러스터의 앵커 마스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홉 카운터를 갖는 NAN 동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면, NAN 단말은 저장된 앵커 마스터 랭크 값과 비콘 프레임 내 앵커 마스터 랭크 값을 비교한다. 만약 저장된 앵커 마스터 랭크 값이 비콘 프레임 내 앵커 마스터 값보다 큰 경우, NAN 단말은 비콘 프레임 내 앵커 마스터 값을 버린다. 만약 저장된 앵커 마스터 랭크 값이 비콘 프레임 내 앵커 마스터 값보다 작은 경우, NAN 단말은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앵커 마스터 랭크와 홉 카운터에서 1씩 증가한 값 그리고, 비콘 프레임 내 AMBTT 값을 새로이 저장한다. 또한, 만약 저장된 앵커 마스터 랭크 값이 비콘 프레임 내 앵커 마스터 값과 동일한 경우, 홉 카운터를 비교한다. 비콘 프레임의 홉 카운터 값이 저장된 값보다 큰 경우, NAN 단말은 수신한 비콘 프레임을 무시한다. 비콘 프레임의 홉 카운터 값이 (저장된 값 1)과 동일하고, AMBTT 값이 저장된 값보다 큰 경우, NAN 단말은 비콘 프레임의 AMBTT 값을 새로이 저장한다. 비콘 프레임의 홉 카운터 값이 (저장된 값 1)보다 작은 경우, NAN 단말은 비콘 프레임의 홉 카운터 값을 1 증가시킨다. 저장된 AMBTT 값은 다음과 규칙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만약, 수신된 비콘 프레임이 앵커 마스터에 의해 전송된 경우, AMBTT 값은 비콘에 포함된 타임 스탬프의 가장 낮은 4 옥텟 값으로 설정된다. 만약, 수신된 비콘 프레임이 NAN 마스터 또는 마스터 싱크가 아닌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AMBTT 값은 수신된 비콘의 NAN 클러스터 어트리뷰트에 포함된 값으로 설정된다.
한편, NAN 단말의 TSF 타이머가 저장된 AMBTT 값을 16*512 TUs (예를 들어, 16 DW periods) 이상 초과한 경우, NAN 단말은 자신을 앵커 마스터로 가정하고, 앵커 마스터 레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MR에 포함된 요소(Master Preference, Random Factor, MAC Address) 중 어느 하나에라도 변경이 있으면, 앵커 마스터가 아닌 NAN 단말은 변경된 MR을 저장된 값과 비교한다. 만약 NAN 단말의 변경된 MR 값이 저장된 값보다 큰 경우, NAN 단말은 자신을 앵커 마스터로 가정하고 앵커 마스터 레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NAN 단말은, 앵커 마스터가 AMBTT 값을 상응하는 비콘 전송의 TSF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NAN 동기 및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 내 클러스터 어트리뷰트의 앵커 마스터 필드를 앵커 마스터 레코드에 있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NAN 동기 또는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NAN 단말은 비콘 프레임의 TSF가 클러스터 어트리뷰트에 포함된 동일한 앵커 마스터로부터 유도될 것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NAN 단말은 i) NAN 비콘이 NAN 단말의 앵커 마스터 레코드보다 큰 값의 앵커 마스터 랭크를 지시하는 경우, ii) NAN 비콘이 NAN 단말의 앵커 마스터 레코드와 동일한 값의 앵커 마스터 랭크를 지시하고, NAN 비콘 프레임의 홉 카운터 값과 AMBTT 값이 앵커 마스터 레코드보다 큰 값을 지시하는 경우, 동일한 클러스터 ID로 수신된 NAN 비콘 내 TSF 타이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NAN 동기 (NAN synchronization)
동일한 NAN 클러스터에 참여하는 NAN 단말은 공통의 클럭에 동기화될 수 있다. NAN 클러스터의 TSF는 모든 NAN 단말에서 수행되어야만 하는 분산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NAN 클러스터에 참여하는 각 NAN 단말은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NAN 동기화 비콘 프레임(NAN Sync. Beacon frames)을 전송할 수 있다. 장치는 디스커버리 윈도(DW) 동안 자신의 클럭을 동기화할 수 있다. DW의 길이는 16 TUs이다. DW 동안, 하나 이상의 NAN 단말은 NAN 클러스터 내 모든 NAN 단말이 자신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동기화 비콘 프레임(Synchronization Beacon frames)을 전송할 수 있다.
NAN 비콘 전송은 분산적이다. NAN 비콘 프레임의 전송 시점은 512 TU마다 존재하는 DW구간이 된다. 모든 NAN 단말은 장치의 역할과 상태에 따라 NAN 비콘 생성 및 전송에 참여할 수 있다. 각 NAN 단말은 NAN 비콘 주기 타이밍에 사용되는 자신만의 TSF 타이머를 유지하여야 한다. NAN 동기 비콘 구간은 NAN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NAN 단말에 의해 수립될 수 있다. 동기화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DW구간은 정확히 512 TU만큼 떨어지도록 일련의 TBTT가 정의된다. 0인 시간은 첫 번째 TBTT로 정의되며, 디스커버리 윈도는 각 TBTT에서 시작된다.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는 각 NAN 단말은 NAN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을 NAN 디스커버리 윈도 밖에서 전송한다. 평균적으로, 마스터 역할의 NAN 단말은 매 100 TUs 마다 NAN 디스커버리 비콘을 전송한다. 동일한 NAN 단말에서 전송되는 연속된 NAN 디스커버리 비콘 사이의 시간은 200 TUs 이하이다. 예정된 전송 시간이, NAN 단말이 참여하고 있는 NAN 클러스터의 NAN 디스커버리 윈도와 오버랩되는 경우, 마스터 역할의 NAN 단말은 NAN 디스커버리 비콘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NAN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을 전송을 위한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스터 역할의 NAN 단말은 AC_VO (WMM Access Category - Voice) 컨텐션 세팅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NAN 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 NAN 동기/디스커버리 비콘 프레임의 전송과 디스커버리 윈도의 관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2.4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NAN 단말의 NAN 디스커버리 비콘 및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을 나타내며, 도 8(b)는 2.4 GHz 및 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NAN 단말의 NAN 디스커버리 비콘 및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및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및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NAN 단말은 DW 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및/또는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즉, NAN 단말은 DW의 시작(TStartDW) 시점과 DW의 종료 시점(TEndDW) 사이에서 경쟁 기반으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및/또는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우선,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NAN 단말은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ime that a packet (p)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Tpkt(p))을 결정하고,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c_dw)에 따라 카운트 다운을 시작한다. 여기서 카운터 다운의 구체적인 내용과 관련해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된 바를 제외하고는 802.11에 정의된 바에 따른다. 카운트 다운이 완료되면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은 전송될 수 있다.
만약, NAN 단말이 마스터 상태 혹은 논-마스터 싱크 상태에 있는 경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과 동기 비콘 프레임을 동일한 DW 내에서 모두 전송하여야 한다. 이 경우, 어떤 것을 먼저 전송할지 우선순위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만약 DW에서 NAN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은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어야만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동일한 DW 내에서 동기 비콘 프레임이 서비스 프레임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가 카운트 다운되는 동안 카운트 다운이 중지되고,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면 카운트 다운은 재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혹은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이 완료 되면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Tpkt(p)는 동기 비콘 프레임의 완료 시점이 되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이때부터 카운트 다운이 시작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종래 NAN에서 동기 비콘 프레임과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하나의 DW 내에서 경쟁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한 NAN 시스템에서, 동기 비콘 프레임보다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이 먼저 전송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유지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NAN 시스템에서는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위해 동기 비콘 프레임과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동일한 DW 내에서 경쟁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정의하였다.
만약 동기 비콘 프레임과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서로 다른 DW에서 전송하도록 하면 DW의 길이를 짧게 설정해야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이 너무 지연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pkt(p))은 TStartDW+HC*40*aSlotTime 이므로, 홉 카운터가 큰 단말의 경우 Tpkt(p)가 큰 값을 가질 수 밖에 없으므로, DW를 작게 설정하기는 어렵다. 큰 홉 카운터까지 수용 가능하도록 DW의 길이를 산정해야 하는데, 만약 동기 비콘을 전송하는 단말의 수가 적다면 자원의 낭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사용의 효율성 및 홉 카운터 사용의 자유도를 보장하기 위해, 동기 비콘 프레임과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동일한 DW 내에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설정에서는, 동기 비콘 프레임보다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이 먼저 전송될 수 있다.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홉 카운터가 0이면 [0, 제1 값] 구간에서 랜덤하게 선택되고, 홉 카운터가 0보다 크면 [0, 31]에서 랜덤하게 선택된다. 그리고,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c_dwb)는 홉 카운터가 0이면 [0, 제2 값] 구간에서 랜덤하게 선택되고, 홉 카운터가 0보다 크면 [0, 31]에서 랜덤하게 선택된다. 여기서, 제1 값은 511이고, 제2 값은 15일 수 있으므로, 랜덤 값 선택에 따라 동기 비콘 프레임보다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이 먼저 전송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동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NAN 단말이 (동기가 틀린 상태로) 서비스 디스커버리 비콘을 전송함으로 인해 NAN 클러스터 전체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와 같이, 동기 비콘 프레임과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자원 사용의 효율성과 홉 카운터 사용의 자유도를 모두 보장해 줌과 동시에 NAN 클러스터 전체의 안정성도 보장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첫 번째 Tpkt(p)은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 완료 시점부터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복수 개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해야 하는 경우, 두 번째 Tpkt(p)은 첫 번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 완료 시점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백오프 카운터도 패킷 별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백오프 카운터 값이 패킷 순서에 따라 커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는 그 범위의 시작을 첫 번째 백오프 카운터+1 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패킷들을 DW 구간 내에서 전송하지 못한 경우, 백오프 카운터 값들은 다음 번 DW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백오프 카운터 값이 DW가 변경되더라도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즉 서비스 디스커버리만 전송하는 경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TStartDW+(HCmax+1)*40*aSlotTime에서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TStartDW는 상기 DW의 시작점, 상기 HCmax는 상기 NAN 단말이 속한 클러스터에서 가장 큰 홉 카운터(앵커 마스터에 의해 전달될 수 있음), aSlotTime은 상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MAC value일 수 있다. 이는 클러스터 내에서 모든 단말의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 우선 순위를 보장하기 위해서다. 또는, 홉 카운터 값은 자신의 홉 카운터 값을 적용하거나, 자신의 홉 카운터에 미리 정의한 값을 더하는 형태(예를 들어, 단말의 현재 홉카운터+1)도 가능하다. 동기 비콘 프레임 또는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에 자신의 홉 카운터 값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들은 앵커 마스터 선택 또는 마스터 선택시에 그 최대값을 기록하고, 다음 DW 구간에서 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자신의 홉 카운터 값보다 큰 경우만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홉 카운터가 0이면 [0, 제1 값] 구간에서 랜덤하게 선택되고, 홉 카운터가 0보다 크면 [0, 31]에서 랜덤하게 선택된다. 그리고,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c_dwb)는 홉 카운터가 0이면 [0, 제2 값] 구간에서 랜덤하게 선택되고, 홉 카운터가 0보다 크면 [0, 31]에서 랜덤하게 선택된다. 이와 같이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를 설정하게 되면, 홉 카운터 별로 유휴한 구간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을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홉 카운터가 0인 경우 위 방법에 따르되, 홉 카운터가 0보다 큰 경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A+(HC-1)*B+HC*C, A+(HC*B)+(HC+1)*C]에서 시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HC가 0인경우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 설정을 위한 구간 최대값 또는 최대값+1 로 설정된 값이며, B는 상기 HC별로 설정되는 구간 크기 값, C는 각 구간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을 위한 구간 확보를 위한 변수이다. 상기 HC별로 설정되는 구간 크기 값은, 등간격으로 설정된 것 또는 HC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를 설정하는 경우 Tpkt(p)는 TStartDW+ c_dwb*aSlotTime 일 수 있다. 상기 홉 카운터가 0보다 큰 경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 수식에서 C 값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해당 홉 카운터별 구간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용 백오프 카운터 값을 취할 수 있다. 또는, 홉 카운터가 0보다 큰 경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 수식과 같은 형태로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를 설정하고,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기존의 방법대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장치(10)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송수신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송수신기(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계층 및/또는 MAC 계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는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ASP 계층 중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AP/STA로 동작하는 장치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12)는 프로세서(11)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1)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1)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의 무선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IEEE 802.11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NAN 단말이 DW(Discovery Window)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ime that a packe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부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카운트 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완료되면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W에서 상기 NAN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가 카운트 다운되는 동안 카운트 다운이 중지되는,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패킷 별로 생성되는,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은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전송 완료 시점 이후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AN 단말이 복수개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두 번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은 첫 번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전송 완료 이후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TStartDW+HC*40*aSlotTime 에서 시작되며,
    상기 TStartDW는 상기 DW의 시작점, 상기 HC는 홉 카운터, 상기 aSlotTime은 상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MAC 값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HC가 0이면 [0, 제2 값] 구간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값이며, HC가 0보다 크면 [0, 31]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값이고,
    상기 제2 값은 31보다 작은 값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N 단말이 상기 DW에서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TStartDW+(HCmax+1)*40*aSlotTime에서 시작되며,
    상기 TStartDW는 상기 DW의 시작점, 상기 HCmax는 상기 NAN 단말이 속한 클러스터에서 가장 큰 홉 카운터, aSlotTime은 상기 단말에 의해 설정되는 MAC value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AN 단말의 홉 카운터가 0보다 큰 경우,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A+(HC-1)*B+HC*C, A+(HC*B)+(HC+1)*C]에서 시작되며,
    상기 A는 HC가 0인경우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 설정을 위한 구간 최대값 또는 최대값+1 로 설정된 값이며,
    상기 B는 상기 HC별로 설정되는 구간 크기 값,
    상기 C는 각 구간에서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을 위한 구간 확보를 위한 변수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HC별로 설정되는 구간 크기 값은,
    등간격으로 설정된 것 또는 HC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인,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면 카운트 다운은 재개되는,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AN 단말은 마스터 상태에 있는,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DW(Discovery Window)에서 NAN(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는 NAN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전송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Time that a packe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을 결정하고, 상기 전송을 위해 패킷이 가능한 시간부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에 따라 카운트 다운을 시작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완료되면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전송하며,
    상기 DW에서 상기 NAN 단말이 동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는 상기 동기 비콘 프레임의 백오프 카운터가 카운트 다운되는 동안 카운트 다운이 중지되는, NAN 단말 장치.
KR1020167016140A 2014-01-29 201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63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2813P 2014-01-29 2014-01-29
US61/932,813 2014-01-29
PCT/KR2015/000970 WO2015115829A1 (ko) 2014-01-29 201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323A KR20160090323A (ko) 2016-07-29
KR101763603B1 true KR101763603B1 (ko) 2017-08-14

Family

ID=5375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140A KR101763603B1 (ko) 2014-01-29 2015-01-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4539B2 (ko)
KR (1) KR101763603B1 (ko)
WO (1) WO2015115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2234B2 (en) * 2015-02-12 2018-01-16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in an awareness cluster
JP6702671B2 (ja) * 2015-08-31 2020-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039379A1 (ko) * 2015-09-03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웃 인식 네트워크의 데이터 링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
WO2017043905A1 (ko) * 2015-09-12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
WO2017052214A1 (ko) * 2015-09-22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웃 인식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탐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
US10298461B2 (en) * 2016-05-10 2019-05-21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aster device in a neighborhood aware network
US10257666B2 (en) * 2016-05-18 2019-04-09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terminating a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NAN) path
KR102501760B1 (ko) 2018-04-23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120683B (zh) * 2018-08-01 2021-06-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0253A (zh) * 2013-04-17 2013-08-21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发送消息帧的方法及通信终端
US20130235770A1 (en) * 2011-09-02 2013-09-12 Qualcomn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medium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87381B (zh) 2009-08-14 2013-02-21 Ind Tech Res Inst 基於鄰近覺察之同時傳輸的媒介存取控制協定裝置與方法
KR101238577B1 (ko) 2011-01-05 2013-02-28 한국과학기술원 복수 개의 릴레이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 네트워크에서 백오프 카운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8947257B2 (en) 2011-03-09 2015-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ducing network congestion in a smart utility meter system
KR101340913B1 (ko) 2012-01-30 2013-12-13 한국과학기술원 데이터 전송의 연결성을 갖기 위한 패킷 전송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9137766B2 (en) * 2012-10-26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wireless devices in a peer-to-peer network
US9055513B2 (en) * 2013-02-2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discovery in contention-based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US9338798B2 (en) * 2013-04-03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management in a neighborhood aware network
US9485708B2 (en) * 2013-09-10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service discovery and minimum spanning tree formation for service deliv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5770A1 (en) * 2011-09-02 2013-09-12 Qualcomn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power medium access
CN103260253A (zh) * 2013-04-17 2013-08-21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发送消息帧的方法及通信终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i. A, et. al., "Awareness networking in wireless environments", in Journal of IEEE Vehicular Technology Magazine, vol.4, no. 3, pp.48-54, (2009.08.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5829A1 (ko) 2015-08-06
US20170006562A1 (en) 2017-01-05
KR20160090323A (ko) 2016-07-29
US10264539B2 (en)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6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nan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856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8567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상태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17856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149232B2 (en) Method for participating in nan clus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3892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nan端末の信号受信方法及び装置
US99616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multicast address for NA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7443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nanプロキシサーバーに登録する方法及び装置
CN107743718B (zh) 经由nan代理服务器提供代理服务的方法和装置
JP6538152B2 (ja) Nanのための無線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2016013897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n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8523354A (ja) チャネル効率の高い分散方式のピアステーション間のデータ伝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0779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multi-chann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06513B2 (en) Method for performing pag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US100980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ifting state of NA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429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receiving signals through NA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1396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n terminal transitioning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939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703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awake period of discovery wind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599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exchange by NA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38333A (ko) 페이징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80035567A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