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428B1 -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428B1
KR101763428B1 KR1020100127591A KR20100127591A KR101763428B1 KR 101763428 B1 KR101763428 B1 KR 101763428B1 KR 1020100127591 A KR1020100127591 A KR 1020100127591A KR 20100127591 A KR20100127591 A KR 20100127591A KR 101763428 B1 KR101763428 B1 KR 10176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message
state
form request
cpe
transmiss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902A (ko
Inventor
황두일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6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 : CPE)의 통신 방법은,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자동 설정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ACS로부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SERVER AND CUSTOMER PREMISE EQUIPMENT THROUGH NETWORK BASED ON INTERNET}
본 발명은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 : CPE)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일반 가정 내의 정보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정 내 정보 가전 기기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사업자 망의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런 네트워크 기술이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제공되기 위해서는 정보보호 기술이 채용되어야 하고, 신뢰/호환/상호 연동성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장치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술의 표준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술의 표준화를 위한 단체들로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포럼,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포럼 등이 있으며, 이중 DSL 포럼이 대표적인 단체이다. 상기 DSL 포럼은 표준화된 프로토콜로서 TR-069을 제안하였다.
TR-069는 원격 제어 서버인 자동 구성 서버(Automatic Configuration Server: ACS)을 통해 댁내에 존재하는 DSL 모뎀, 인터넷 게이트웨이 디바이스(Internet Gateway Device), 셋-탑 박스(Set-Top Box : STB)등과 같은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를 종합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구현하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외부에 있는 원격 장치를 통해 CPE들을 제어하기 위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데이터 구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각 사업자마다 다르고, 보안 측면이 다소 취약하기에 TR-069 기술로 빠르게 기술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 여러 사업자들이 TR-069 기술을 필수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 인폼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 댁내 장치의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 댁내 장치의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 댁내 장치의 전력 대기 상태에서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 : CPE)의 통신 방법은,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자동 설정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ACS로부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설정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 ACS)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는,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전면 패널부와, 상기 전면 패널부에 의해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ACS로부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와 통신을 수행하는 자동 구성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의 통신 방법은,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부터 인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폼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가 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상태 정보가 전력 대기 상태이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구성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장치는, 가입자 댁내 장치로부터 인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전력 대기 상태인 경우에만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와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폼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ACS와 CPE는 CPE의 전력 대기 상태에 관계 없이 인폼 메시지를 안정적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업자와 CPE 사용자 모두 CPE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ACS는 CPE의 전력 대기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CPE의 업그레이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CPE를 사용하지 않는 CPE의 전력 대기 상태에서 업그레이드가 수행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TR-069 기술에 따른 CPE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ACS간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ACS와 통신을 수행하는 CPE 동작의 개념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ACS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댁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PE에서의 통신 방법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CS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CS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PE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해 ACS와 CPE 사이의 시그널링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정보가 포함된 인폼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TR-069 기술에 따른 CPE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ACS간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우선, ACS(100)는 TR-069 표준에 따라 IP 기반의 네트워크(102)를 통해 CPE(104a, 104b, 104c) 등을 관리한다. ACS(100)는 TR-069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CPE(104a, 104b, 104c)의 정보를 조회하고, 제어하기 위해 인폼 요청/응답(Inform Request/Response) 메시지를 CPE(104a, 104b, 104c)와 교환한다. TR-069에 정의된 인폼 요청/응답 메시지는 ACS(100)와 CPE(104a, 104b, 104c)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교환되어야 하는 중요한 메시지들 중 하나이다. 도 1에 도시된 CPE(104a, 104b, 104c)는 각 가정에 1개씩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ACS(100)와 CPE(104a, 104b, 104c)는 통신을 시작할 때 반드시 인폼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폼 메시지 교환은 ACS(100)와 CPE(104a, 104b, 104c)가 인폼 요청 메시지와 인폼 응답 메시지를 주고 받는 과정을 의미한다. CPE(104a, 104b, 104c)와 인폼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교환되면, ACS(100)는 소프트웨어(Software) 업그레이드를 위한 정보(예컨대 업그레이드 시작 알림), CPE 정보 요청, 문제가 발생한 CPE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 제공 등과 같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메시지 교환 및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는 ACS(100)가 각 CPE에 원격으로 설정하고, 각 CPE는 설정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STB와 같은 CPE(104a, 104b, 104c)는 일반적으로 댁내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며, 항상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계속적인 전원 공급은 전력 낭비를 초래하므로, CPE(104a, 104b, 104c)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인폼 요청/응답 메시지는 CPE(104a, 104b, 104c)의 전력 대기 상태와 같이 전원이 오프(off)되어 있으면, 전송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업자들은 실시간으로 가입자 CPE를 조회하기를 원하므로, 최소 하루에 1번 이상 인폼 요청/응답 메시지를 교환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CPE(104a, 104b, 104c)의 전원을 항상 온(On)시킬 경우 전력 소모가 커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CPE는 가정 내에 설치된 댁내 장치로서 셋탑 박스, DSL 모뎀 등과 같은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인터넷(Internet)을 통해 CPE와 ACS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할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CPE의 전력 대기 상태를 활용하여 TR-069 프로토콜에 따른 인폼 메시지가 CPE의 상태에 상관없이 전송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과 CPE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ACS와 통신을 수행하는 CPE 동작의 개념 흐름도이다.
먼저, 200단계에서 전력 대기 상태인 CPE는 205단계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가 도래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5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가 도래했다면, CPE는 210단계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하고, 215단계에서 ACS와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다. 여기서, 인폼 메시지 교환은 CPE가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CPE가 ACS로부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CPE는 220단계에서 ACS로부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구가 수신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검사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ACS로부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구가 수신되었다면, CPE는 225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ACS로부터 CPE가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수신함으로써 수행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CPE는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갱신한 후, 235단계에서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ACS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댁내 장치(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제어부(304), 메모리부(306), 송수신부(30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ACS와의 통신을 통해 인폼 메시지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처리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므로, 통신 제어부(310)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에서는 CPE(300)의 동작 상태를 활성(active) 상태와 전력 대기(Stand-by) 상태로 구분한다. 활성 상태에서의 CPE(300)는 ACS(100)와 메시지들을 교환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상태를 의미하고, 전력 대기 상태의 CPE(300)는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 패널부(302)를 제외한 다른 블록들에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며, 제어부(304)에도 최소한의 전력만 공급을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는 전면 패널부(302)에만 동작 전원이 공급된다.
전면 패널(Front panel)부(30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 시각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04)로 전달한다. 또한, 전면 패널부(3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304)에 의해 획득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계수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만큼 계수하면, 제어부(304)로 인폼 메시지가 교환되어야 함을 알리기 위한 소정 신호를 전송한다. 즉, 전면 패널부(302)는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계수하면, 제어부(304)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시점을 알려주고, 제어부(304)는 송수신부(308)를 통해 ACS(100)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ACS(100)와 인폼 메시지의 교환을 수행한다.
만약, CPE(300)가 활성 상태라면, 제어부(304)는 전면 패널부(302)가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계수할 때마다 인폼 요청 메시지를 ACS로 전송할 것이다. 반면, CPE(300)가 전력 대기 상태일 경우에는 전면 패널부(302)가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의 계수를 만료하면, 전면 패널부(302)는 제어부(204)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되었음을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알리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4)는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CPE(300)를 활성 상태로 천이시킨다.
그리고, 전면 패널부(302)는 도시되지 않은 적외선 인터페이스 부를 통해 사용자의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304)로 전달한다.
제어부(304)는 CPE(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ACS가 원격 호출 방법을 통해 전송하는 요청을 송수신부(308)를 통해 수신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 결과를 송수신부(308)를 통해 다시 ACS로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304)는 송수신부(308)를 통해 ACS와 인폼 요청/응답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인폼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고, ACS로부터 수신된 인폼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각종 요청 정보 또는 제어 정보 등을 메모리부(306)에 저장한다. 상기 송수신부(308)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의 보안을 강화한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를 사용하여 ACS와 인폼 요청/응답 메시지를 교환한다.
그리고, 제어부(304)는 송수신부(308)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30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인폼 요청 메시지를 ACS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어부(304)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서의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300)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이면, 전력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인폼 요청 메시지를 상기 ACS로 전송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서의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300)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이면,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인폼 요청 메시지를 상기 ACS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는 CPE(3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어부(304)는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ACS로부터 다운로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300)의 제조업체에 의해 미리 정의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는 전력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포함된 인폼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ACS로부터 전송된다. 예컨대, 제어부(304)는 ACS로부터 다운로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ACS로부터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수신한 후에, 메모리부(306)에 상기 수신한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오버라이트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4)는 ACS와 인폼 메시지의 교환이 완료되고,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이후, ACS가 설정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와 현재 CPE(300)의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306)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함으로써 생성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부(308)를 통해 ACS로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304)는 상기 인폼 메시지 교환 이후에, 상기 ACS가 HTTP 또는 HTTPS를 통해 전송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의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ACS는 SetParameterValue 값을 통해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06)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로 구현되어 상기 CPE(30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저장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PE(300)에서의 통신 방법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하나의 도면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도면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400단계에서 CPE(300)는 활성 상태인지 판단한다. 활성 상태라면, CPE(300)는 4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청 받았는지 판단하고, 전력 대기 상태로의 천이 요청을 받지 않았다면, 404단계에서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402단계의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의 천이 요청은 사용자가 리모컨에 구비된 소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청할 시, 전면 패널부(302)는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된 전력 대기 상태 천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304)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304)는 사용자가 CPE(300)를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청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404단계의 해당 동작이란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즉, STB라면, IP 망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등이 될 것이다. 반면, 상기 402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할 것을 요청 받았다면, 406단계에서 CPE(300)는 CPE(3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전력 대기 상태로 설정하여 저장하고, 현재 시간과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다음 번 인폼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시간의 차인 시간 차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408단계에서 CPE(300)는 상기 시간 차 정보를 설정 한 후 440단계의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인폼 요청 메시지의 전송은 ACS에 의해 설정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마다 발생되므로, 상기 시간 차 정보는 현재 시간부터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다음 번 인폼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시간 까지가 상기 시간 차 정보가 될 것이다.
상기 408단계의 CPE(300)가 시간 차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PE(300)의 제어부(304)는 활성 상태에서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하기 이전에 상기 시간 차 정보를 전면 패널부(302)로 전달하고, 전면 패널부(302)는 상기 제어부(304)가 전달한 시간 차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계수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302)이 상기 설정된 시간을 계수하는 방식은 "0"부터 상기 설정된 시간까지 카운트하는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시간부터 "0"까지 역 카운트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400단계의 활성 상태가 아니라면, CPE(300)는 412단계에서 전원을 온(On) 시킬 것을 요청 받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412단계에서 제어부(304)는 전면 패널부(302)가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만큼을 계수한 경우 전송하는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로 전력 대기 상태에서 전원 온 시킬 것을 요청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PE(300)는 상기 412단계에서 전원을 온 시킬 것을 요청 받았다면, 414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이란 이전 활성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차 정보로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다음 번 인폼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할 시간이 된다.
상기 414단계에서 CPE(300)의 제어부(304)는 전면 패널부(302)가 이전 활성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차 정보 만큼 시간을 카운트하는 경우에 전송하는 소정 신호에 의해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414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원을 온(on) 시킬 것이 요청된 것이 아니므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되어 전원을 온 시킬 것이 요청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414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CPE(300)는 416단계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하고, 418단계에서 ACS와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다. 즉, 418단계에서 CPE(300)는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ACS로부터 그에 응답하여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416단계에서 제어부(304)가 각 모듈로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함으로써 CPE(300)는 활성 상태로 천이된다.
420단계에서 CPE(300)는 상기 418단계에서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 후, ACS로부터 요청 사항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ACS로부터의 요청은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 또는 기타 서비스 관련 변경 사항에 따라 소정 정보들에 대하여 변경할 것에 대한 요청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420단계에서 상기 ACS로부터 요청 사항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CPE(300)는 432단계에서 CPE(300)는 ACS로부터 SetParameter Value 값을 수신하고, 434단계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갱신한다. 상기 434단계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갱신하는 이유는 ACS가 CPE(300)와 인폼 메시지의 교환이 수행된 이후 상기 SetParameter와 같은 소정 파라미터들을 통해 다음 번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조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420단계의 검사결과, ACS로부터 요청 사항이 수신되고, 422단계에서 그 요청이 업그레이드 요청이라면, CPE(300)는 426단계에서 제조 회사에서 미리 정의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428단계에서 CPE(300)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430단계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성공했는지 또는 실패했는지를 트랜스퍼완료(TransferComplete) 메시지를 통해 ACS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퍼완료(TransferComplete) 메시지는 TR-069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메시지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트랜스퍼완료 메시지의 포맷(format)은 TR-069 문서 "TECHNICAL REPORT DSL Forum TR-069 CPE WAN Management Protocol"에 기술되어 있다. 반면, 상기 422단계에서 ACS의 요청 사항이 업그레이드 요청 사항이 아니라면, CPE(300)는 424단계에서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4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30단계에서 상기 트랜스퍼완료 메시지를 전송한 CPE(300)는 432단계에서 SetParameter 값(value)을 수신하고, 43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SetParameter 값으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갱신한다.
그리고, CPE(300)는 436단계에서 상기 434단계에서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설정한다. 상기 436단계에서 상기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36단계에서 CPE(300)의 제어부(304)가 전면 패널부(302)에 상기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설정함으로써, 전면 패널부(302)가 상기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계수(count)하게 한다. 그리고, 438단계에서 CPE(300)는 현재 상태 정보를 전력 대기 상태로 저장한다.
상기 438단계에서 현재 상태를 전력 대기 상태로 저장한 CPE(300)는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메시지 교환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해 416단계 내지 438단계에서 일시적으로 활성 상태가 된 것이므로 440단계의 전력 대기 상태로 다시 천이한다.
반면, 상기 414단계에서 CPE(300)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사용자에 의해 전원을 온(on) 시킬 것이 요청된 것이므로, 일반적인 활성 상태의 CPE(300)의 동작과 같이 442단계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한 뒤, 444단계에서 ACS와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다. 그리고, 446단계에서 CPE(300)는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상기 444단계에서의 인폼 메시지의 교환 뒤에 ACS가 설정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로 갱신하고, 448단계에서 현재 상태 정보를 활성 상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450단계에서 CPE(300)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TR-069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댁내 장치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댁내 장치 중 활성(active) 상태와 전력 대기 상태(Stand-by) 상태와 같이 동작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CPE라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CS(500)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502)는 ACS(5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메시지 전송부 (504)와 메시지 수신부(208)를 통해 CPE(300)와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다. 즉, 제어부(502)는 메시지 수신부(508)를 통해 인폼 요청 메시지를 CPE(300)로부터 수신하면,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인폼 응답 메시지를 메시지 전송부(504)를 통해 상기 CPE(30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502)는 상기 수신한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CPE(300)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일 경우,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제어부(502)는 CPE(300)가 활성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더라도,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어, 네트워크 트래픽이 집중되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반면, 제어부(502)는 상기 CPE(300)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라면, CPE(300)가 전력 대기 상태에서 깨어나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PE(300)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네트워크 트래픽도 집중되는 상태가 아니므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절차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2)는 CPE(300)로부터 전송된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CPE(300)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을 통해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02)는 상기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면, 다운로드 메시지를 메시지 전송부(504)를 통해 CPE(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02)는 메시지 수신부(508)를 통해 CPE(300)로부터 Transfer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SetParameter Value를 사용하여 CPE(300)로 알려준다.
상기 메시지 전송부(504)와 메시지 수신부(508)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또는 HTTP의 보안을 강화한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를 사용하여 CPE(300)와 인폼 요청/응답 메시지를 교환하고, 메시지 전송부(504)는 다운로드 메시지를 송신한다.
메모리(506)는 ACS(5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파라미터와 같은 정보들이 저장되며,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CPE(300)의 S/W 버전과 같은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며, CPE(300)의 상태 정보도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506)는 CPE(300)를 제어부(502)가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CS(500)의 동작 흐름도이다.
600단계에서 ACS(500)는 CPE(300)로부터 인폼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면, 그에 대한 응답으로 601단계에서 인폼 응답 메시지를 CPE(300)로 송신하고, 602단계에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CPE(3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604단계에서 상기 CPE(300)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였다면, ACS(500)는 CPE(300)가 활성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음을 판단하고, 606단계로 진행하여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614단계에서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알려주기 위해 SetParameter Value를 CPE(300)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604단계에서 상기 CPE(300)의 상태가 활성 상태가 아니였다면, ACS(500)는 CPE(300)가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전력 대기 상태에서 깨어나 활성 상태로 천이한 것임을 판단하고, 608단계에서 상기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를 검사한다. 상기 60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면, ACS(500)는 610단계에서 상기 CPE(300)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612단계에서 CPE(300)로부터 상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Transfer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 ACS(500)는 614단계에서 SetParameter Value 값을 CPE(300)로 전송하여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알려준다. 이때 상기 TransferComplete 메시지는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성공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ACS(500)는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성공 여부에 상관없이 SetParameter Value를 CPE(300)로 전송한다.
그럼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CS(500)와 CPE(300)간의 시그널링 흐름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PE(300)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해 ACS(500)와 CPE(300) 사이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먼저, 702단계에서 CPE(300)는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만료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는 ACS(500)가 CPE(300)에 설정하며, 사업자들이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거나, CPE(300)가 재부팅 되거나,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만료되어 인폼 메시지를 교환할 때 새로운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ACS(500)가 CPE(300)에 설정한다. 도 7에서는 후술할 732단계에서 전송되는 SetParameter Value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702단계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였다면, CPE(300)는 704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란,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 시점에서의 CPE(3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한 시점에서의 CPE(300)의 상태가 활성 상태였는지 또는 전력 대기 상태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된다.
예컨대,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CPE(300)의 상태가 활성 상태였다면, 상기 상태 정보는 활성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고, CPE(300)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였다면, 상기 상태 정보는 전력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상기 704단계에서 CPE(300)가 상기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이유는,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여,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CPE(300)가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되었는지 또는 상기 CPE(300)가 계속 활성 상태에서 동작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라 CPE(300)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에 있다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더라도, ACS(500)가 CPE(300)로 업그레이드를 위한 다운로드(Download)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CPE(300)가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활성 상태로 천이된다면, 상기 상태 정보는 전력 대기 상태일 것이다. 이러한 경우 CPE(300)가 서비스를 제공중인 상태가 아니므로, 본 발명에서는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필요 여부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704단계에서 상기 CPE(300)는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706단계에서 상기 CPE(300)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가 아니라면, 708단계에서 CPE(300)는 활성 상태로 천이한다. 그리고, 710단계에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 따라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704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인폼 요청 메시지에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시키는 예는 후술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706단계에서 상기 CPE(300)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라면, CPE(300)는 바로 710단계로 진행하여 인폼 요청 메시지를 ACS(500)로 전송한다.
상기 710단계에서 상기 CPE(300)로부터 인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ACS(50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712단계에서 인폼 응답 메시지를 CPE(300)로 송신한다. 그리고, 714단계에서 ACS(500)는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CPE(3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716단계에서 ACS(500)는 상기 CPE(300)의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라면, 718단계에서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720단계에서 해당 동작을 종료한다. 왜냐하면, ACS(500)는 CPE(300)가 활성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더라도,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이 집중되는 상태이므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716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CPE(300)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라면, ACS(500)는 722단계에서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722단계에서 ACS(500)는 상기 CPE(300)가 전송한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CPE(300)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을 통해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ACS(500)는 자신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와 CPE(300)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가 상이할 경우, CPE(300)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722단계에서 상기 CPE(300)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면, ACS(500)는 724단계에서 다운로드 메시지를 CPE(300)로 전송하고,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지 않다면, 72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722단계에서 ACS(500)는 CPE(300)가 전력 대기 상태에서 깨어나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했음을 판단할 수 있고, CPE(30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면 현재 CPE(300)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724단계에서 다운로드 메시지를 CPE(300)로 전송한다.
상기 724단계에서 다운로드 메시지를 수신한 CPE(300)는 726단계에서 제조사에서 미리 정의한 절차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728단계에서 업그레이드 수행이 완료되었다면, 730단계에서 CPE(300)는 ACS(500)로 Transfer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한다. 732단계에서 ACS(500)는 갱신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알려주기 위해 CPE(300)로 SetParameter Value를 전송한다.
상기 SetParameter Value를 수신한 CPE(300)는 734단계에서 상기 SetParameter Value에 정의된 값으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를 갱신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자신이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되었음을 알기 때문에 736단계에서 다시 전력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태 정보가 포함된 인폼 요청 메시지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802 내지 812는 "TECHNICAL REPORT DSL Forum TR-069 CPE WAN Management Protocol"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폼 요청 메시지(800)에 상기 802 내지 812의 정보 외에 상태 정보(StateInfo)(814)를 추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CPE(300)는 상태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814)를 설정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은 TR-069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댁내 장치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댁내 장치 중 활성(active) 상태와 전력 대기 상태(Stand-by) 상태와 같이 동작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CPE라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23)

  1.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 : CPE)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자동 구성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ACS로부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는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할 시에 갱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의 갱신은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의 수신 이후에 상기 ACS로부터 제공된 값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서의 상기 CPE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라면,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CPE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서의 상기 CPE의 상태가 활성 상태라면, 상기 CPE의 상태가 활성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활성 상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자동 구성 서버와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 후 상기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ACS로부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이 수신된다면, 상기 가입자 댁내장치의 제조업체에 의해 미리 정의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은, 상기 상태 정보가 전력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인폼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자동 구성 서버로부터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는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에 현재 설치된 운영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에 대한 검사는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도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전면 패널부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댁내 장치에서의 통신 방법.
  10. 자동 구성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 ACS)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전력 대기 상태에서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면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전면 패널부와,
    상기 전면 패널부에 의해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ACS로 인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ACS로부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는 상기 활성 상태에서 상기 전력 대기 상태로 전환할 시에 갱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의 갱신은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의 수신 이후에 상기 ACS로부터 제공된 값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서의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라면, 활성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가 전력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에서의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가 활성 상태라면,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가 활성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가 도래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활성 상태로의 전환이 요청되면, 상기 전력 대기 상태에서 상기 활성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자동 구성 서버와 인폼 메시지를 교환한 후 상기 통신 장치를 상기 활성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ACS로부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이 수신된다면, 상기 통신 장치의 제조업체에 의해 미리 정의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절차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요청은, 상기 상태 정보가 전력 대기 상태임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인폼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자동 구성 서버로부터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는 상기 통신 장치에 현재 설치된 운영 프로그램의 버전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와 통신을 수행하는 자동 구성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부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의 도래 여부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인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폼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가 활성 상태이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상태 정보가 전력 대기 상태이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자동 구성 서버에서의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에 의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자동 구성 서버에서의 통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전송 주기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한 인폼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자동 구성 서버에서의 통신 방법.
  21. 자동 구성 서버(Auto Configuration Server) 장치에 있어서,
    가입자 댁내 장치로부터 인폼 요청 메시지 전송 주기의 도래 여부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인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전력 대기 상태인 경우에만 다운로드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와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폼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자동 구성 서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에 의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의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구성 서버.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폼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상기 인폼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전송 주기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한 인폼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를 상기 메시지 전송부를 통해 상기 가입자 댁내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구성 서버.
KR1020100127591A 2009-12-15 2010-12-14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763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4738 2009-12-15
KR20090124864 2009-12-15
KR1020090124738 2009-12-15
KR1020090124864 200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02A KR20110068902A (ko) 2011-06-22
KR101763428B1 true KR101763428B1 (ko) 2017-07-31

Family

ID=4382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91A KR101763428B1 (ko) 2009-12-15 2010-12-14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80918B2 (ko)
EP (1) EP2337264B1 (ko)
KR (1) KR101763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8461B2 (en) * 2011-03-03 2014-11-25 Lenovo (Singapore) Pte. Ltd. Batter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678905B2 (en) 2011-03-18 2020-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Process for controlling battery authentication
KR101942335B1 (ko) * 2011-09-30 2019-01-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들의 유지 보수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WO2013082817A1 (zh) * 2011-12-09 2013-06-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识别移动终端的方法及装置
CN102546331B (zh) * 2012-03-13 2015-07-08 华为终端有限公司 业务信息的发送方法与装置
CN104065519A (zh) * 2014-07-14 2014-09-24 北京星网锐捷网络技术有限公司 提升会话交互性能的方法及自动配置服务器
CN104468202B (zh) * 2014-11-26 2018-03-27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端设备的管理方法及装置
CN105790983A (zh) * 2014-12-22 2016-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配置方法、装置及系统
WO2018086039A1 (zh) * 2016-11-10 2018-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线方法及用户驻地设备
CN110138579B (zh) * 2018-02-09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侧设备的配置方法和相关装置
US10200733B1 (en) 2018-03-09 2019-02-05 Krishna Adusumilli Automatic input selection
US10951426B2 (en) 2018-04-26 2021-03-16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aintenance in DOCSIS 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devices
CN108881210A (zh) * 2018-06-11 2018-11-23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Tr069协议远程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1477072B2 (en) * 2019-09-17 2022-10-18 OpenVaul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ptive diagnostics and optimization of client networks
CN111224828A (zh) * 2020-01-16 2020-06-02 四川九州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cpe设备的网络管理方法
CN111343264B (zh) * 2020-02-21 2021-02-26 孟子云 一种基于大数据的物联网设备节能系统
CN111371897B (zh) * 2020-03-12 2022-10-04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组网系统的反向连接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5269A1 (en) 2003-12-22 2005-06-23 Ylian Saint-Hilaire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private network
WO2006035404A1 (en) 2004-09-30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ction of new software image for download for digital/hybird tv during play mod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630A (en) * 1977-04-01 1978-08-29 Hendel Frank J Wave powered electric generator
US7587746B1 (en) * 2001-05-02 2009-09-08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cable modem receiver circuitry
FR2876751B1 (fr) * 2004-10-15 2007-01-19 Centre Nat Rech Scient Cnrse Appareil pour convertir l'energie des vagues en energie electrique
KR101276462B1 (ko) * 2006-09-27 201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PoC 사용자 미디어 전송 권리 요청과 부여를 위한 방법및 시스템
US7453165B2 (en) * 2006-10-24 2008-11-18 Seadyne Energy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ocean wave energy into electricity
US7737569B2 (en) * 2006-10-24 2010-06-15 Seadyne Energy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ocean wave energy into electricity
US7759813B2 (en) * 2007-08-23 2010-07-20 Tetsuhiko Fujisato Gravity wave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8198745B2 (en) * 2009-08-20 2012-06-12 Huntington Ingalls Incorporated Tuned rolling wave energy extra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5269A1 (en) 2003-12-22 2005-06-23 Ylian Saint-Hilaire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virtual private network
WO2006035404A1 (en) 2004-09-30 2006-04-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ction of new software image for download for digital/hybird tv during play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7264B1 (en) 2015-12-09
KR20110068902A (ko) 2011-06-22
EP2337264A1 (en) 2011-06-22
US20110145608A1 (en) 2011-06-16
US8880918B2 (en)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428B1 (ko)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가입자 댁내 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0391291C (zh) 一种数据备份和恢复方法及其系统
KR100999307B1 (ko) 통신 단말기 장치 관리 방법,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101481443B1 (ko) 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45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software in customer premise equipment
KR101024435B1 (ko) 장치 관리에서 스케쥴링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7009368A1 (fr) Méthode et système de gestion de données reposant sur le protocole simple de gestion de réseau, snmp
US20090177332A1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ontrol terminal,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050080504A (ko) 인터넷 영상 전화 단말기의 펌웨어 자동 업그레이드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102055608A (zh) Cpe升级方法、装置和系统
US20110145294A1 (en) Device description framework information reporting and upda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973665B2 (en) Technique for remote administration of a device by an administration server
CN101699905A (zh) 无线智能终端、网管平台及其对无线智能终端的管理方法
CN101902762B (zh) 下载控制方法及其系统,以及相关设备
KR100912537B1 (ko) Iptv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0124567A1 (zh) 大对象传输方法、服务器
KR100449916B1 (ko) 왑폰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망관리 시스템
KR20080001146A (ko) 이중 원격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101361024B1 (ko) Ip기반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22170B1 (ko) 공중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KR100939130B1 (ko) 업그레이드 프로토콜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3400A (ko) 전자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0504B1 (ko) 소규모 VoIP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통화 방법
KR100615591B1 (ko)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선로 다중화장치의 데이터 관리 방법
JP2005025379A (ja) 通信装置、電気器具、および機器制御情報の取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