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275B1 -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275B1
KR101763275B1 KR1020160166898A KR20160166898A KR101763275B1 KR 101763275 B1 KR101763275 B1 KR 101763275B1 KR 1020160166898 A KR1020160166898 A KR 1020160166898A KR 20160166898 A KR20160166898 A KR 20160166898A KR 101763275 B1 KR101763275 B1 KR 10176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authentication
server
qu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디드
Priority to KR102016016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3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combining multiple encryption tools for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 요청 고객에게 적합한 질문을 제시하고 답변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인증이 이뤄지도록 하는 본인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CB(Credit Bereau)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서버(10)에서 이뤄지는 본인 인증 방법으로, a) 고객의 본인 여부에 대해 사전 인증하는 단계; b) CB 서버(20)로 고객 CB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CB 서버(20)로부터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고객 질문을 고객 단말(30)에 제공하는 단계; f) 고객 단말(30)로부터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g)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입력받은 답변의 정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The method for customer certification using credit bereau information, the system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execu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2차례의 인증을 통해 고객을 인증하되, 2차 인증시 신용평가회사(Credit Bereau, CB)에서 제공받은 CB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고객에 적합한 고객 질문을 생성하고 이에 대한 고객의 답변을 통해 인증 신청한 고객이 해당 고객이 맞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명의 도용을 방지하고 해당 고객 여부를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과 함께 다양한 금융 활동이 이뤄지면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도록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고객이 금융사를 직접 방문하지 않는, 이른바 '비대면 채널'을 이용한 금융 활동을 통해, 고객은 물론 금융사에서도 시간 및 경제적으로 많은 절감이 이뤄질 수 있으며, 신속한 금융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대면 채널을 이용한 금융 활동은 금융사가 고객임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고객의 인증이 매우 중요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한 본인 인증 방법은 심사 절차의 신속성 및 증빙 서류의 간소화로 인하여 고객의 명의가 도용되기 쉬워 금융사기가 빈발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본인 인증 방법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 대출을 받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82393호의 '인터넷을 통한 금융 대출 서비스 방법'이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회원로그인하고 금융 대출을 신청 의뢰하면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자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대출 과정이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회원 로그인을 통해 금융사에 접속하게 되면 기본적인 회원 인증이 이뤄지므로, 회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통해 접속시 대출이 이뤄질 수 있어 금융 사기자에 의한 회원정보 탈취시 고객이 원치 않는 금융 대출을 포함한 금융사기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또한, 종래 본인 인증을 위해 많이 이용되는 휴대폰 등을 이용한 OTP(One time password) 인증도 휴대폰 도난이나 파싱(Parsing) 등을 통해 인증을 위한 문자를 도중에 갈취함으로써 금융사기 피해에 노출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정확한 인증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추가적인 인증을 하는 경우, 인증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신청자의 인증 절차가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출 등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을 인증하되, 고객의 유형에 맞는 적절한 질문을 제시하고 고객 자신이 알 수 있는 적절한 답변을 하여야 인증되도록 함으로써, 금융사에서 고객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서도 명의도용을 방지하고 신속히 고객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본인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금융사에서도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을 정확하게 인증할 수 있도록 하는 본인 인증 방법 및 본인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CB(Credit Bereau)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서버에서 이뤄지는 본인 인증 방법으로, a) 고객의 본인 여부에 대해 사전 인증하는 단계; b) CB 서버로 고객 CB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CB 서버로부터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고객 질문을 고객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f) 고객 단말로부터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g)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입력받은 답변의 정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d-1) 고객 CB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패턴 매트릭스에서 고객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결정된 고객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 매트릭스 풀에서 고객 질문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 매트릭스는 CB 정보들을 복수의 군으로 분류한 변수 클러스터와 고객 유형을 복수의 군으로 분류한 고객 클러스터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수 클러스터는 CB 거래개설정보, CB 거래실적정보, CB 연체정보 및 개인회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클러스터는 대출활성화 고객정보, 신용카드 다수 보유 고객정보, 연체경험 보유 고객정보, 보증이력 보유 고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1) 고객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실명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명 인증 단계는, a-11) 고객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12) 입력받은 고객 식별 정보를 CB 서버로 전달하고, 고객의 실명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a-13) CB 서버로부터 고객의 실명 확인 여부를 수신하여 실명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실명 인증을 통해 확인된 실명 정보를 기초로 신용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용 인증은 고객 단말을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또는 고객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 인증 중 어느 하나의 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객 CB 정보는 고객의 CB 거래개설정보, 고객의 CB 거래실적정보, 고객의 CB 연체정보 및 고객의 개인회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f 단계에서, 답변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입력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고객 질문의 표시를 종료하고, 고객 단말에 새로 생성된 고객 질문을 표시하여 답변을 선택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g 단계의 인증 성공 여부는 상기 판단된 정답률이 미리 설정된 인증 수락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고객 단말에 본인 인증 성공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B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인 인증 방법이 이뤄지는 본인 인증 서버; 상기 본인 인증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본인 인증 서버로 고객 CB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CB 서버; 및 상기 본인 인증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고객 질문의 표시를 위한 표시장치와, 고객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고객 단말;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이 제공된다.
아울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인 인증 방법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부정 탐지(Fraud detection)가 가능하므로, 금융사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대출 등의 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한 본인 인증이 본인 인증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된 고객 단말을 통해 명의 도용의 염려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각의 고객에게 적합한 질문을 생성, 표시하고 답변하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답변 가능한 적은 갯수의 질문으로도 본인 인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신규 고객이 유입되어도 고객의 CB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고객에 적합한 적절한 질문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기존 정보를 활용하므로 적은 비용으로도 인증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이 가능하며, 신청자(고객)의 본인 인증 절차가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질문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답률에 따른 인증 성공 여부 판단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1)은, 본인 인증이 이뤄지는 본인 인증 서버(10), 대출 등의 금융 서비스 이용 신청자(고객)의 고객 단말(30) 및 CB 서버(2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CB 정보는 신용평가회사(Credit Bereau)가 제공하는 신용 정보로서, 후술하는 고객 CB 정보는 신용평가회사가 제공하는 해당 고객의 신용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인 인증 시스템(1)은, 고객의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CB 서버(20)로부터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고객 질문을 고객 단말(30)에 표시하며, 고객 단말(30)로부터 입력되는 질문에 대한 답을 판단하여 고객을 인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 고객 단말(30) 및 CB 서버(20)는 네트워크 연결되어 유,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례로 상기 네트워크는 LTE, WIFI, LAN 등의 공지의 유,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서버의 구성도이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CB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인 인증 방법이 이뤄진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일례로, 금융사마다 구비된 금융사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금융사마다 각각 구비되어 상기 CB 서버(20)로부터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금융사별로 자체적으로 보유한 고객의 금융 정보 및 상기 수신된 고객 CB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별도의 또는 자체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저장하고,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가 이를 각각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전반의 관리 및 운영을 위한 운영 모듈, 실명 인증을 포함하여 사전 인증을 관리하는 사전 인증 모듈,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패턴 매트릭스 관리 모듈, 상기 패턴 매트릭스를 통해 결정된 고객의 유형에 해당하는 질문을 생성 및 관리하는 질문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정보 관리를 위해 본인 인증 서버(1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관리되는 본인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예,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패턴 매트릭스 데이터베이스, 질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인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본인 인증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별도로 관리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여러 금융사가 통합하여 구축한 인증 서버일 수 있으며, 여러 금융사가 보유한 고객의 금융 정보가 공유될 수도 있다.
상기 CB 서버(20)는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로 고객 CB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한다.
상기 CB 서버(20)는 공지의 신용평가회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용평가회사에 각각 구비된 서버일 수 있으며, 여러 신용평가회사가 고객 CB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서버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고객 단말(30)은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고객 질문의 표시를 위한 표시장치와, 고객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단말(30)은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고객이 보유한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본인 인증 서버(10)와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본인 인증 방법이 실행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본인 인증 전 미리 설치되어 인증 횟수와 무관하게 고객 단말(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웹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본인 인증시에 일시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중심으로, CB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서버(10)에서 이뤄지는 본인 인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은, 금융 서비스(예, 대출 요청)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본인 여부에 대해 사전 인증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전 인증 단계는 실명 인증 단계와 신용 인증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실명 인증 단계는 고객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실명 인증하는 단계(a-1 단계)로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본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이뤄진다.
일례로, 상기 실명 인증 단계는, 고객에 의해 입력된 고객 식별 정보를 CB 서버(20)로 전달하고 CB 서버(2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일 정보의 검색 및 비교를 통해 고객의 실명 여부가 확인된다.
상기 실명 인증 단계는, 고객 단말(30)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a-11 단계), 입력받은 고객 식별 정보를 CB 서버(20)로 전달하고, 고객의 실명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a-12 단계) 및 CB 서버(20)로부터 고객의 실명 확인 여부를 수신하여 실명 인증하는 단계(a-1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단말(30)로부터 입력받는 식별 정보는 고객의 이름, 생년월일 및 성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명 인증 단계를 거쳐 고객의 실명이 인증되면 다음 단계로 고객의 본인 여부에 대한 신용 인증이 이뤄진다(a-2 단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용 인증은, 고객 단말(30)을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또는 고객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 인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고객 단말(30)을 이용한 인증시, 고객의 이름 및 생년월일 등은 상기 실명 인증을 위하여 고객이 입력한 식별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한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자동으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추가적으로 고객이 보유한 스마트폰 등에서 통신사와 스마트폰 번호 등을 입력하여 OTP(One Time Password)를 요청하고, 고객 스마트폰에서 OTP를 수신하여 고객 단말(30)에 입력함으로써 신용 인증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 단말(30)은 고객이 보유한 스마트폰과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고객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인증 시, 고객의 이름 및 생년월일 등은 상기 실명 인증을 위하여 고객이 입력한 식별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한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자동으로 수신된 식별 정보에 추가적으로 고객이 보유한 신용카드의 카드 종류,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비밀 번호 중 적어도 일부를 고객 단말(30)을 통해 입력하면, 본인 인증 서버(10) 자체적으로 또는 고객의 신용카드 정보를 보유한 별도의 서버로부터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본인 인증 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신용 인증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신용 인증은, 상기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이나 신용 인증 이외에도 고객의 이메일(e-mail)을 이용한 이메일 인증, 아이핀(i-pin) 발급기관에서 미리 발급받은 아이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아이핀 인증 및 공인인증서 인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신용 인증은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와 고객 단말(30) 사이에서만 이뤄질 수도 있고, 별도의 외부 인증 서버(미도시)와 연계되어 본인 인증 서버(10), 고객 단말(30) 및 외부 인증 서버를 통해서 인증이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신용 인증 단계(a-2 단계)는 실명 인증 단계(a-1 단계)와 함께 이뤄질 수 있으며, 일례로, 별도의 실명 인증 단계 없이, 신용 인증 단계에서 고객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고객 단말(30)을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또는 고객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 인증시 실명 인증이 함께 이뤄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은, 고객의 본인 여부에 대한 사전 인증이 이뤄지면, CB 서버(20)로 고객 CB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전 인증이 이뤄지면, CB 서버(20)에 고객 CB 정보를 요청하여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는데, 이를 위해 고객으로부터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겠다는 정보 활용 동의가 함께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CB 정보는 신용평가회사에서 보유한 각각의 개인의 신용 정보로서, 일례로, 고객의 CB 거래개설정보, 고객의 CB 거래실적정보, 고객의 CB 연체정보 및 고객의 개인회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상기 고객 CB 정보는 대출 등의 금융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고객의 신용 정보이며, 이를 통해 대출 한도, 대출 금리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CB 정보는 후술하는 고객 질문 생성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CB 서버(20)에서는 본인 인증 서버(10)의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된 고객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CB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고객 CB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인 인증 서버(10)로 전달되며,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CB 서버(20)로부터 고객 질문 생성의 기초가 되는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c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질문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수신된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질문을 생성한다(d 단계).
상기 고객 질문은 인증 요청한 고객이 해당 고객이 맞는 지를 인증하기 위해 인증 요청한 고객에게 제공되어 답변을 요청하는 것이며, 인증 요청 고객이 고객 질문에 답변하게 되면 해당 고객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많은 CB 정보 중 무작위로 추출하여 질문을 생성하게 되면, 인증 요청한 고객 뿐 아니라 다른 고객도 동일한 답변을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A와 B 고객이 모두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A 고객이 인증을 요청한 경우, A 고객에게 카드 사용이 전제로 된 질문만을 제시하게 되면 B 고객과 전혀 구분할 수 없게 되고, 질문의 변별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객 질문은 모든 CB 정보에서 무작위로 질문을 추출하지 않고, 인증 요청 고객의 유형을 파악하여 해당 유형에 적합한 질문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고객 CB 정보와 후술하는 패턴 매트릭스를 통해 인증 요청한 고객이 어떤 유형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맞게 상기 고객 질문이 수많은 CB 정보 중 고객과 관련성 있는 간단한 질문(예, CB 거래개설여부)으로 이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만이 쉽게 답변할 수 있는 질문으로 상기 고객 질문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적은 개수의 질문에 쉽고 빠르게 답변하면서도 진짜 고객을 가장한 이른바 참칭(僭稱) 고객을 구분해낼 수 있어 질문에 대한 변별력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한 일례로, 상기 고객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CB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패턴 매트릭스에서 고객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d-1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고객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 매트릭스 풀에서 고객 질문을 추출하는 단계(d-2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패턴 매트릭스는 CB 정보들을 복수의 군으로 분류한 변수 클러스터와 고객 유형을 복수의 군으로 분류한 고객 클러스터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표 1은 상기 패턴 매트릭스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x 축이 변수 클러스터, y 축이 고객 클러스터로 이뤄진다.
A B C D
1 0 0 0
0 1 1 0
1 0 1 1
상기 변수 클러스터는 신용평가회사에서 보유한 수많은 CB 정보를 정보원천 및 요약 항목 코드를 활용하여 수 개(예, 4개)의 요인(key factor)으로 분류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각각의 요인은 수십내지 수백개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변수 클러스터는 CB 거래개설정보, CB 거래실적정보, CB 연체정보 및 개인회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변수 클러스터의 각각의 정보(예, CB 거래개설정보, CB 거래실적정보, CB 연체정보 및 개인회생정보)는 각각 A, B, C, D로 그룹화(grouping)될 수 있다.
상기 고객 클러스터는 고객의 유형을 CB 정보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일례로, K-평균 알고리즘 해석법(K-means Algorithm Analysis) 등의 비계층 분류법에 의해 분류가 이뤄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K-평균 알고리즘 해석법은 n 개의 객체를 임의의 K 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의 평균을 산정하고 각각의 객체와 모든 그룹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장 거리가 짧은 그룹에 그 객체를 재분류하는 방법으로, 공지의 알고리즘 해석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례로, 상기 CB 정보의 특성에 따라 분류한 고객 클러스터는 대출활성화 고객정보, 신용카드 다수 보유 고객정보, 연체경험 보유 고객정보, 보증이력 보유 고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 클러스터의 '고객정보'는 '고객그룹' 또는 '고객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일례로, 대출활성화 고객정보는 대출 관련 정보가 많이 축적된 고객그룹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고객 클러스터는 해당 고객이 어느 하나의 고객그룹 또는 각각의 고객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로 매트릭스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고객 클러스터의 일부의 정보(예, 대출활성화 고객정보, 신용카드 다수 보유 고객정보, 보증이력 보유 고객정보)는 각각 가, 나, 다로 그룹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고객 CB 정보를 통해, 인증 요청 고객이 CB 거래개설을 하고, 대출금액이 1000만원 이상 존재하는 상태인 경우, 'A-가' 영역에 해당되는 패턴 매트릭스 풀에서 고객 질문이 추출(생성)되는 층화추출(stratified sampling)이 이뤄지게 된다.
다른 예로, 상기 고객 클러스터는 CB 정보 특성 외에 각각의 금융사가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체적인 고객 분류 정책에 따라 고객 유형을 분류할 수도 있다.
상기 패턴 매트릭스 풀은 상기 패턴 매트릭스의 각각의 영역에 해당되는 다수의 질문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 질문은 상기 패턴 매트릭스 풀에 미리 저장된 다수의 질문 중 무작위로 추출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질문을 포함한다.
상기 고객 질문은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인증 처리를 위해 답변이 용이하도록 10개 내외의 평이한 질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는 상기 층화추출에 의해 인증 요청 고객의 유형에 적합한 고객 질문이 생성된 예를 나타낸다.
1 현재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는가? Yes No
2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는가?
3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는가?
4 현금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가?
5 연체 경험이 있는가?
6 은행을 제외한 비은행업권에서 대출을 받은 적이 있는가?
7 최근 3개월 내에 새로 대출을 받은 경험이 있는가?
8 최근 6개월 내에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한 적이 있는가?
9 보증인 자격으로 대출을 신청한 경험이 있는가?
10 자동차 구매를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적이 있는가?
상기 변수 클러스터의 그룹화는 신용평가회사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신용평가회사에서 5개의 요인(CB 정보)으로 그룹화하였다면 상기 x 축이 5개의 변수 클러스터로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객 클러스터의 그룹화는 각각의 금융사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대출 요청한 해당 금융사에서 4개의 요인(고객 유형)으로 그룹화한 경우 상기 y 축이 4개의 고객 클러스터로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해당 금융사의 정책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변수 클러스터와 고객 클러스터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패턴 매트릭스는 새로 유입되는 신규 고객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신규 고객의 유형을 결정하고, 고객의 유형별로 요인(key factor) 항목이 정해지면, 이 항목들을 층화추출(stratified sampling)하여 고객 질문을 생성하게 된다.
고객 질문이 생성되면,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생성된 고객 질문을 고객 단말(30)에 제공한다(e 단계).
상기 고객 단말(30)에 구비된 표시장치는 상기 고객 질문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면서 상기 고객 질문을 표시하며, 상기 고객 질문은 하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뤄지면 다음 질문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동시에 모든 질문이 표시되어 고객이 빠르게 답변 가능한 질문을 선택하여 먼저 답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고객 단말(30)에 구비된 입력장치(예, 터치 입력, 마우스, 키보드 등)에 의한 고객의 답변 입력에 따라,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고객 단말(30)로부터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받는다(f 단계).
이때, 인증 요청한 고객이 해당 고객이 아닌 경우 해당 고객의 정보를 확인한 후 답변하는 등 답변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답변 입력시 미리 설정된 입력 시간을 초과하여 답변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답변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입력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고객 질문의 표시를 종료하고, 고객 단말(30)에 새로 생성된 고객 질문을 표시하여 새롭게 답변을 선택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시간 초과가 미리 설정된 횟수(예, 2회) 이상 이뤄지는 경우 인증 요청을 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답률에 따른 인증 성공 여부 판단의 순서도이다.
고객 단말(30)로부터 답변의 선택 입력이 이뤄지면,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입력받은 답변의 정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한다(g 단계).
상기 고객에 의한 답변은 100% 정답인 경우에만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고객의 착각 또는 실수를 고려하여 일정 정답률 이상인 경우에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변의 정답 여부를 판단하고(g-1 단계), 상기 판단된 정답률이 미리 설정된 인증 수락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g-2 단계) 인증 성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인증 수락 범위가 정답률 80 내지 100%인 경우, 정답률이 80% 미만이면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80% 이상이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g 단계는, 다른 예로, 정답률에 따라 추가 인증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인증 수락 범위가 정답률 80 내지 100%인 경우, 정답률이 50% 미만인 경우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정답률이 50 내지 80%인 경우 정밀(추가) 인증 대상으로 설정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을 재수행하거나 별도의 인증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는 이러한 인증의 성공 여부 판단 결과를 상기 고객 단말(30)에 제공할 수 있으며(h 단계), 인증 성공시 해당 금융사에서 대출 등의 다음 단계의 금융 서비스 제공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매체, CD나 DVD 등의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등의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쉬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거나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어 코드 또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본인 인증 서버
20 : CB 서버
30 : 고객 단말

Claims (12)

  1. CB(Credit Bereau)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서버(10)에서 이뤄지는 본인 인증 방법으로,
    a) 고객의 본인 여부에 대해 사전 인증하는 단계;
    b) CB 서버(20)로 고객 CB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CB 서버(20)로부터 고객 CB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생성된 고객 질문을 고객 단말(30)에 제공하는 단계;
    f) 고객 단말(30)로부터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g) 상기 고객 CB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입력받은 답변의 정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d-1) 고객 CB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패턴 매트릭스에서 고객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d-2) 상기 결정된 고객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된 패턴 매트릭스 풀에서 고객 질문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매트릭스는 CB 정보들을 정보원천과 요약 항목 코드에 따라 복수의 요인(key factor)으로 분류한 변수 클러스터와 고객 유형을 CB 정보의 특성에 따라 복수의 군으로 분류한 고객 클러스터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어 상기 d-2) 단계에서 고객 클러스터의 결정된 고객 유형별로 이에 해당하는 변수 클러스터의 요인(key factor) 항목이 정해지면, 상기 요인 항목에서 층화추출하여 고객 질문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변수 클러스터는 CB 거래개설정보, CB 거래실적정보, CB 연체정보 및 개인회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클러스터는 대출활성화 고객정보, 신용카드 다수 보유 고객정보, 연체경험 보유 고객정보, 보증이력 보유 고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a 단계는,
    a-1) 고객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실명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명 인증 단계는,
    a-11) 고객 단말(30)로부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a-12) 입력받은 고객 식별 정보를 CB 서버(20)로 전달하고, 고객의 실명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a-13) CB 서버(20)로부터 고객의 실명 확인 여부를 수신하여 실명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a 단계는,
    a-2) 상기 실명 인증을 통해 확인된 실명 정보를 기초로 신용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용 인증은 고객 단말(30)을 이용한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또는 고객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한 신용 인증 중 어느 하나의 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고객 CB 정보는 고객의 CB 거래개설정보, 고객의 CB 거래실적정보, 고객의 CB 연체정보 및 고객의 개인회생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f 단계에서,
    답변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입력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고객 질문의 표시를 종료하고, 고객 단말(30)에 새로 생성된 고객 질문을 표시하여 답변을 선택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g 단계의 인증 성공 여부는 상기 판단된 정답률이 미리 설정된 인증 수락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g 단계 이후,
    h) 상기 고객 단말(30)에 본인 인증 성공 여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11. 상기 CB 정보를 이용하여,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본인 인증 방법이 이뤄지는 본인 인증 서버(10);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본인 인증 서버(10)로 고객 CB 정보를 포함하여 전달하는 CB 서버(20); 및
    상기 본인 인증 서버(10)와 네트워크 연결되며, 상기 고객 질문의 표시를 위한 표시장치와, 고객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고객 단말(30);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66898A 2016-12-08 2016-12-08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63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98A KR101763275B1 (ko) 2016-12-08 2016-12-08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898A KR101763275B1 (ko) 2016-12-08 2016-12-08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275B1 true KR101763275B1 (ko) 2017-08-14

Family

ID=6014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898A KR101763275B1 (ko) 2016-12-08 2016-12-08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2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70B1 (ko) * 2017-09-29 2019-02-18 주식회사 머니브레인 보안성을 강화한 사용자 문맥 기반 인증 방법,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19066132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머니브레인 보안성을 강화한 사용자 문맥 기반 인증 방법,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90133806A (ko) * 2018-04-30 2019-12-04 주식회사 핀업 개인 부가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5073A (ko) * 2018-08-29 2020-03-10 (주)페르소나시스템 사기거래 탐지를 위한 본인확인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78B1 (ko) 2005-07-27 2007-12-17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 행동 분석 정보를 이용한 식별주체 검증 장치 및 시스템
JP2015170227A (ja) 2014-03-07 2015-09-2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本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現金出納システム
JP2016099684A (ja) * 2014-11-18 2016-05-30 インターマン株式会社 ライフログを利用した本人確認方法および本人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78B1 (ko) 2005-07-27 2007-12-17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 행동 분석 정보를 이용한 식별주체 검증 장치 및 시스템
JP2015170227A (ja) 2014-03-07 2015-09-2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本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現金出納システム
JP2016099684A (ja) * 2014-11-18 2016-05-30 インターマン株式会社 ライフログを利用した本人確認方法および本人確認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70B1 (ko) * 2017-09-29 2019-02-18 주식회사 머니브레인 보안성을 강화한 사용자 문맥 기반 인증 방법,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19066132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머니브레인 보안성을 강화한 사용자 문맥 기반 인증 방법,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90133806A (ko) * 2018-04-30 2019-12-04 주식회사 핀업 개인 부가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063993B1 (ko) 2018-04-30 2020-01-08 주식회사 핀업 개인 부가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5073A (ko) * 2018-08-29 2020-03-10 (주)페르소나시스템 사기거래 탐지를 위한 본인확인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43181B1 (ko) * 2018-08-29 2020-08-10 (주)페르소나에이아이 사기거래 탐지를 위한 본인확인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797B2 (en) Online user authentication
US9536107B2 (en) System and method enabling multiparty and multi level authorizations for accessing confidential information
US105153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800754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ng at an ATM Using a Mobile Device
US201402794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ternative logins for mobile banking
US116014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user identity
US20150294313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authentication
US10911455B2 (en) Using third party information to improve predictive strength for authentications
KR101763275B1 (ko) Cb 정보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2036890B (zh) 客户身份认证方法及装置
US10970376B2 (en) Method and system to validate identity without putting privacy at risk
Sarma et al. Internet banking: Risk analysis and applicability of biometric technology for authentication
US20130152155A1 (en) Providing user attributes to complete an online transaction
Krishnaprasad et al. A Study on Enhancing Mobile Banking Services using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US10440020B1 (en) Biometric one touch system
US119563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visioning credentials
CN117275138A (zh) 基于自动取款机的身份认证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003464B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11893570B1 (en) Token based demand and remand system
CN112785410A (zh) 依赖方风险调整指示符系统和方法
US11995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emporary virtual payment card
US20230368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mporary virtual payment card
JP201911748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認証システム
US202001755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acting at a local financial service provider device by online credentials
Lapėnas Development of biometrics based payment confirmation model in consumer to business mobile payments in Lithu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