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931B1 - Structure of floor board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floor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931B1
KR101762931B1 KR1020160066740A KR20160066740A KR101762931B1 KR 101762931 B1 KR101762931 B1 KR 101762931B1 KR 1020160066740 A KR1020160066740 A KR 1020160066740A KR 20160066740 A KR20160066740 A KR 20160066740A KR 101762931 B1 KR101762931 B1 KR 10176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s
board
bracket
plat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진성
Original Assignee
(주)도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어텍 filed Critical (주)도어텍
Priority to KR102016006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9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built up with profiles of constant elongated shape, e.g. extruded, mechanically interconnected by coupling members, e.g. by clamping, riveting or b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 보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나란하게 적재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슬릿(110)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드(100); 및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화물이 스크류에 걸리는 문제가 없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목재로 이루어진 보드를 사용하더라도 연결부위가 뒤틀릴 염려가 없으며, 만약 연결부위가 부러질 경우, 연결부재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보드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oard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ards (100) mounted side by side on the floor and having insertion slits (1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connection member 200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100 to connect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ccordingly,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argo is caught on the screw,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eat even in the appearance. In addition, even if a board made of wood is used, there is no fear of twisting the connecting portion. If the connecting portion is broken,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board because only the connecting member needs to be replaced.

Description

플로어 보드 구조물 {STRUCTURE OF FLOOR BOARD}{STRUCTURE OF FLOOR BOARD}

본 발명은 플로어 보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다수 개의 보드를 연결시키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oar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board structure having a connection member to connect a plurality of boards.

일반적으로 대형 화물차량이나 덤프트럭 등에는 화물들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이 구비된다. 적재함은 컨테이너 형태, 윙바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화물을 안전하게 보호한다.Generally, a large freight vehicle, a dump truck or the like is provided with a loading box for loading goods. The loading box is made up of various forms such as container type and wingbody type to safely protect the cargo.

이러한 적재함 내의 바닥에는 플로어 보드(FLOOR BOARD)가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 시 흔들림으로 인해 화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적재함 내의 바닥이 손상되고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플로어 보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로어 보드는 양측으로 체결홈(1)과 돌출부(2)가 각각 형성된 보드(3)가 여러 개 구비되어 하나의 보드(3)의 돌출부(2)가 다른 하나의 보드(3)의 체결홈(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네일(4)이 보드(3)를 관통하여 받침부재(5)에 삽입됨으로써 완전히 고정된다.FLOOR BOARD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such a loading box to absorb shock transmitted by the cargo due to shaking when the vehicle is moving, and to prevent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from being damaged and dirty. A conventional floor board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floor board includes boards 3 each having a fastening groove 1 and a protruding portion 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2 of one board 3 is different from the other To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1) of the board (3). And the nail 4 is inserted through the board 3 into the receiving member 5 to be completely fixed.

그러나 종래의 플로어 보드는, 보드(3)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홈(1)과 돌출부(2)의 결합에 의해 보드(3)들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만약 돌출부(2)가 부러질 경우 보드(3)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loor board, since the boards 3 are conne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fastening groove 1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ard 3 and the projecting portion 2, if the projecting portion 2 is broken The entire board 3 needs to be replaced.

또한, 종래의 플로어 보드는, 보드(3)를 받침부재(5)에 완전히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네일(4)이 보드(3)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네일(4)이 보드(3) 상면에 노출되어 사람이 지나다니면서 걸려 넘어질 수도 있고, 화물이 걸려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floor board, the nail 4 must be installed through the board 3 in order to completely fix the board 3 to the supporting member 5.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erson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and hang ov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erson, and the cargo may be caught and damaged.

KR 특2003-0018632 A1 (2003. 03. 06.)KR 2003-0018632 A1 (2003. 03. 0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재함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드 사이에 연결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연결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board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a plurality of boards installed in a loading box.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은 바닥에 나란하게 적재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드; 및 상기 다수 개의 보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수 개의 보드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보드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플레이트;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기 다수 개의 보드와 맞닿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보드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board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ards mounted side by side on a floor and having insertion slit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facing surfaces thereof; And a conne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boards,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comprises: a vertical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A pair of anchor plate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oards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And a base plat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board bottoms.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은 화물이 스크류에 걸리는 문제가 없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목재로 이루어진 보드를 사용하더라도 연결부위가 뒤틀릴 염려가 없으며, 만약 연결부위가 부러질 경우, 연결부재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보드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The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problem that the cargo is caught on the screw, and has a merit in that it is clean even if it is aesthetically pleasing. In addition, even if a board made of wood is used, there is no fear of twisting the connecting portion. If the connecting portion is broken,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board because only the connecting member needs to be replaced.

도 1은 종래의 플로어 보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연결부재의 일부가 절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마감브래킷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의 정면도
도 7은 마감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oor boar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ut.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floor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addition of a finishing bracke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nishing bracket
8 is a front view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플로어 보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board structur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은 바닥에 나란하게 적재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슬릿(110)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드(100); 및 다수 개의 보드(100) 사이에 개재되어 다수 개의 보드(10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결부재(200)는, 다수 개의 보드(1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플레이트(210); 수직플레이트(210)의 다수 개의 보드(100)와 맞닿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삽입슬릿(1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220); 및 수직플레이트(210) 하단에 위치되어 다수 개의 보드(100)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oards 100 mounted side by side on the floor and having insertion slits 110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facing surfaces thereof; And a connecting member 200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100 to connect the plurality of boards 100. The connecting memb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boards 100, A plate 210; A pair of anchor plates 22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210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10; And a base plate 23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21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oards 100.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보드(100)는 차량 등의 적재함 바닥에 깔리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드(100)는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The board 100 is a component to be laid on the floor of a loading box of a vehicle or the like, and has a hexahedron shape that is formed flat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boards 100 are successively installed.

삽입슬릿(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보드(100)의 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다수 개의 보드(100)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삽입슬릿(110)이 형성되고, 마주하는 다수 개의 보드(100) 사이에 후술할 연결부재(200)가 개재됨으로써 다수 개의 보드(100)가 연결된다. The insertion slit 11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ard 100 as shown in FIG. 2, and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side length direction of the board 100. That is, the insertion slit 110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boards 100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boards 100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100 facing each other, .

도 3은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및 도 5는 연결부재의 일부가 절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member,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ut.

연결부재(200)는 다수 개의 보드(100)를 연결시키는 매개체로서,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보드(100)의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플레이트(210); 수직플레이트(210)의 다수 개의 보드(100)와 맞닿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고, 삽입슬릿(1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220); 및 수직플레이트(210) 하단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보드(100)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mber 200 is a medium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oards 100, specifically, a vertical plate 210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 pair of anchor plates 22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210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10; And a base plate 23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21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oards 100.

수직플레이트(2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어 다수 개의 보드(100)의 측면들과 맞닿는다.The vertical plate 210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buts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boards 100.

앵커플레이트(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플레이트(210)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고, 한 쌍이 하나의 수직플레이트(210) 양측으로 설치된다. 수직플레이트(210)를 기준으로 하나의 앵커플레이트(220)가 하나의 보드(100)의 삽입슬릿(110)에 삽입되고, 다른 쪽 앵커플레이트(220)가 인접한 다른 보드(100)의 삽입슬릿(110)에 삽입됨으로써 두 개의 보드(100)를 연결시킨다. The anchor plates 220 are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vertical plate 210 as shown in FIG. 3, and a pai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210. One anchor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10 of one board 100 and the other anchor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10 of another board 100 adjacent to the vertical plate 210 110 so as to connect the two boards 100 together.

쐐기(222)는 앵커플레이트(220)의 외부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WEDGE)와 같이 선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앵커플레이트(220)가 삽입슬릿(110)에 삽입될 시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반대로 앵커플레이트(220)가 삽입슬릿(110)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시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쐐기(222)는 앵커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wedge 2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20 and is inclin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wedge 222 decreases toward the front end like the wedge WEDGE as shown in FIG. The anchor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10 in a natural manner so that the anchor plate 220 does not fall off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nchor plate 220 is pulled out of the insertion slit 110. [ Also, a plurality of wedges 222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nchor plate 220.

베이스플레이트(2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부재(200)의 받침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플레이트(2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230)는 수직플레이트(210) 양측으로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및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외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되, 지면과 맞닿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로 이루어진다.The base plate 2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erves as a support for the connection member 200. The base plate 230 is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210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base plate 230 includes a pair of first base plates 230a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econd base plate 230b which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230a and is bent so as to abut the ground.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플레이트(210) 하부의 양측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0)의 저면을 지지한다.3, the first base plate 230a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te 2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ccordingly, the first base plate 230a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 100 as shown in FIG.

미끄럼방지돌기(232)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상면에 다수 개가 형성되어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상부에 위치된 보드(1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23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230a to prevent the board 100 located on the first base plate 230a from slipping.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외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와는 달리 지면과 맞닿는다. 이를 위해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는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The second base plate 230b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extends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plate 230a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unlike the first base plate 230a. To this end, the second base plate 230b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base plate 230a.

절단홈(234)은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단홈(234)은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의 길이조절이 필요할 시 현장에서 쉽게 자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에 절단홈(234) 한 쌍이 형성된다.The cutting groove 234 is formed in a groove shap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230b. The cutting groove 234 serves to guide the second base plate 230b so that it can be easily cut in the field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base plate 230b needs to be adjusted.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utting grooves 234 is formed in one second base plate 230b.

위와 같은 연결부재(200)로 인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보드(100)를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설치된 적재함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재(200)를 고정시킨 다음 보드(100)를 앵커플레이트(220)에 삽입시킴으로써 설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드(100)를 적재함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드(100)의 상면에 스크류를 체결할 필요가 없어 화물이 스크류에 걸리는 문제가 없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목재로 이루어진 보드(100)를 사용하더라도 연결부위가 뒤틀릴 염려가 없다. 또한, 앵커플레이트(220)가 부러질 경우, 연결부재(200)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보드(100)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member 200,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connect a plurality of boards 100.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00 is fixed to a loading box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screw or the like, and then the board 100 is inserted into the anchor plate 220. Accordingly, it is not necessary to fasten the screw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100 to fix the board 100 to the loading box, so that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load is caught on the screw, and the board is cleaner in appearance. Further, even if the board 100 made of wood is use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twisted. Further, when the anchor plate 220 is broken, only the connecting member 200 needs to be replaced, so that the board 100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도 6은 마감브래킷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의 정면도, 도 7은 마감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of a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inishing bracket is attach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ishing bracket,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Fig.

한편, 본 발명은 마감브래킷(300)이 부가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는데, 마감브래킷(300)은 다수 개의 보드(100) 중 가장 바깥쪽 보드(1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마감브래킷(300)은, 보드(1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수직브래킷(310); 및 수직브래킷(310) 하단에 연결되어 보드(100)의 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브래킷(320)으로 이루어진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ishing bracket 300,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ermost board 100 among the plurality of boards 100. Specifically, the finishing bracket 300 includes: a vertical bracket 310 positioned on a side of the board 100; And a base bracket 3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racket 310 and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 100.

수직브래킷(3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고, 일면이 가장 바깥쪽 보드(100)의 측면과 맞닿고, 타면이 적재함의 벽과 맞닿는다.The vertical bracket 310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6,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outermost board 10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loader.

리미터(312)는 수직브래킷(310)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적재함 내부에 실린 화물이 이동됨으로써 적재함 내부의 벽면과 직접적으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적재함 내부의 벽면이 화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미터(312)는 수직브래킷(310)이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 블록 형태의 바를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limiter 3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racket 310 to prevent direct collision with a wall surface in the loading box due to movement of the load in the loading box.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ll surface inside the loading box from being damaged by the cargo.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er 312 is formed by bending the vertical bracket 310, but the limiter 312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attaching a block-shaped bar if necessary.

절단홈(314)은 수직브래킷(310)에 형성되되, 리미터(312) 보다는 아래에 위치된다. 수직브래킷(310)의 절단홈(314)은 만약 리미터(314)로 인해 적재 공간이 부족할 경우, 현장에서 수직브래킷(310)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상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utting groove 314 is formed in the vertical bracket 310 and is located below the limiter 312. [ The cutting groove 314 of the vertical bracket 310 is a structure for securing the space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vertical bracket 310 in the field when the limiter 314 is insufficient for the mounting space.

베이스브래킷(3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브래킷(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보드(100)의 저면을 지지한다. 베이스브래킷(320)은 연결부재(200)의 베이스플레이트(23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브래킷(310)의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제1 베이스브래킷(320a); 및 제1 베이스브래킷(320a) 외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고, 지면에 맞닿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베이스브래킷(320b)으로 이루어진다.The base bracket 3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racket 31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 100. The base bracket 320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e plate 230 of the connecting member 200. A first base bracket 320a vertical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racket 310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And a second base bracket 320b tha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base bracket 320a and is bent so as to abut the ground surface.

제1 베이스브래킷(320a)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322)가 형성되어 보드(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A slip prevention protrusion 3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bracket 320a to prevent the board 100 from slipping.

제2 베이스브래킷(320b)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홈(324)이 형성되어 제2 베이스브래킷(320b)의 길이를 현장에서 조절할 수 있다.A cutting groove 32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bracket 320b as shown in FIG. 7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econd base bracket 320b in the fiel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보드 구조물이 트럭(T)의 적재함(C)에 설치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보드(100)의 단위 길이는 필요에 따라 짧게하여 여러 개의 보드(10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When the floor boar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ading box C of the truck T, it can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unit length of the board 100 may be shortened as necessary to use the plurality of boards 100, which can be selectively adop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100: 보드 110: 삽입슬릿
200: 연결부재 210: 수직플레이트
220: 앵커플레이트 222: 쐐기
230: 베이스플레이트 230a: 제1 베이스플레이트
230b: 제2 베이스플레이트 232: 미끄럼방지돌기
234: 절단홈 300: 마감브래킷
310: 수직브래킷 312: 리미터
314: 절단홈 320: 베이스브래킷
320a: 제1 베이스브래킷 320b: 제2 베이스브래킷
322: 미끄럼방지돌기 324: 절단홈
100: board 110: insertion slit
200: connecting member 210: vertical plate
220: anchor plate 222: wedge
230: base plate 230a: first base plate
230b: second base plate 232: non-slip projection
234: Cutting groove 300: Finishing bracket
310: Vertical bracket 312: Limiter
314: Cutting groove 320: Base bracket
320a: first base bracket 320b: second base bracket
322: Non-slip projection 324: Cut groove

Claims (7)

바닥에 나란하게 적재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슬릿(110)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드(100) 및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 사이에 개재되는 수직플레이트(210);
상기 수직플레이트(210)의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와 맞닿는 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릿(11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앵커플레이트(220)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210)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 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0)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플레이트(220)의 상하면에 쐐기(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
A plurality of boards 100 mounted side by side on the floor and having insertion slits 1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connection member 200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100 to connect the plurality of boards 100,
The connecting member (200)
A vertical plate (210)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 pair of anchor plates 22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vertical plate 210 contacting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10,
And a base plate 23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late 21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boards 100,
And a wedge (222)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nchor plate (22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0)는 상기 수직플레이트(210) 양측으로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및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 외측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되, 지면과 맞닿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late 230 includes a pair of first base plates 23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210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 second base plate (230b) formed to extend from an out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230a) and bent so as to abut the ground surf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플레이트(230a)의 상면에 다수 개의 미끄럼방지돌기(23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232)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230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플레이트(23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홈(23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utting groove (234)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230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보드(100) 중 가장 바깥쪽 보드(100)에 마감브래킷(300)이 더 설치되고,
상기 마감브래킷(300)은,
상기 보드(1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수직브래킷(310) 및
상기 수직브래킷(310)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드(100)의 저면에 위치되는 베이스브래킷(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nishing bracket 300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utermost board 100 among the plurality of boards 100,
The finishing bracket (300)
A vertical bracket 31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board 100,
And a base bracket (320)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bracket (310) and position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ard (10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브래킷(310) 상부에 리미터(3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 보드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And a limiter (312) is further formed on the vertical bracket (310).
KR1020160066740A 2016-05-30 2016-05-30 Structure of floor board KR101762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40A KR101762931B1 (en) 2016-05-30 2016-05-30 Structure of floor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40A KR101762931B1 (en) 2016-05-30 2016-05-30 Structure of floor 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931B1 true KR101762931B1 (en) 2017-07-28

Family

ID=5942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40A KR101762931B1 (en) 2016-05-30 2016-05-30 Structure of floor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93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53B1 (en) * 2016-02-25 2016-11-16 장석기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execution of works with a de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53B1 (en) * 2016-02-25 2016-11-16 장석기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execution of works with a de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7009B2 (en) Building material panel with mechanical locking system
US20110186533A1 (en) Modular Overhead Storage
CN106029528A (en) Pallet station
US9084485B2 (en) Mounting bracket
KR101697709B1 (en) Hight adjustable book shelf
KR102159975B1 (en) Container
US6053592A (en) Drawer frame
US7104411B2 (en)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KR20090008961U (en) Cable tray
KR101762931B1 (en) Structure of floor board
US3127020A (en) Freestanding shelving apparatus
KR200468202Y1 (en) Shelf for Ship
US2263837A (en) Shelving construction
US2207515A (en) Partition clip
CA2196515C (en) Drawer
US20070090243A1 (en) Shelf shipping clip
JPH0433290Y2 (en)
KR20150003307U (en) Apparatus for connecting of wood block
JP5796226B2 (en) Wall storage device
JP4509738B2 (en) Lower structure of truck bed
JP5849230B2 (en) Entrance storage fixing structure and entrance storage device
JP5897586B2 (en) Transport rail for drawer base
KR101244017B1 (en) A vehicle thing fix block board
JP4811119B2 (en) Shelf board mounting device
KR20210003442A (en) Support of freight to install in cargo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