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911B1 -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911B1
KR101762911B1 KR1020170011282A KR20170011282A KR101762911B1 KR 101762911 B1 KR101762911 B1 KR 101762911B1 KR 1020170011282 A KR1020170011282 A KR 1020170011282A KR 20170011282 A KR20170011282 A KR 20170011282A KR 101762911 B1 KR101762911 B1 KR 10176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arts
weight
subst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주)새롬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롬전기 filed Critical (주)새롬전기
Priority to KR102017001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8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e.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소에 설치된 변압 계통 설비를 실시간 감시하고, 고장 발생시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부품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의 교체로 재고량 부족시에는 타 변전소의 여유 부품을 검색하여 보충을 요청하며, 고장 패턴을 학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변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of Substation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변전 기술 분야 중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전소에 설치된 변압 계통 설비를 실시간 감시하고, 고장 발생시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부품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의 교체로 재고량 부족시에는 타 변전소의 여유 부품을 검색하여 보충을 요청하며, 고장 패턴을 학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변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 또는 빌딩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 전력을 수송하는 송전선로, 전력을 필요한 크기로 변성하는 변전소 및 각 지역으로 전력을 배분하는 배전선로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 변전소는 변압기, 모선, 선로, 차단기, 감시 센서 등을 포함하며, 변압기는 전압의 크기를 변성하고, 모선은 송전선로를 연결하고, 차단기는 고장시 선로의 전력 흐름을 차단하며, 감시 센서는 각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이하에서 변전용으로 사용되는 변압기, 기기, 장치, 시스템 등에 적용되는 전압은 154 KV 급 이상의 전압인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최근에는 변전소에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를 설치하고 있다.
IED는 변전소 구내에 설치되어 각종 전력설비를 감시,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한 지능형 전자 단말장치이다.
이러한 IED는 IEC61850 국제규격을 따른다. IEC61850은 변전소 내 설치된 이종 IED간의 원활한 통신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안된 국제표준 변전소 자동화 통신 아키텍쳐이다.
따라서 IED에 결함이 발생하면 전력설비를 적절히 감시, 제어 및 보호하기 어려우므로 전력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20923호(2008.04.02.) 'IEC61850 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에서 온라인IED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IED간 정보를 공유하는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IED로 변압 계통 설비를 구성하는 각 장치나 부품을 실시간 감시할 수는 있지만 고장 발생시에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출동하여 교체를 해야 하므로 고장 수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의 변전소는 서로 다른 수용가(공업단지, 주택가 등)에 서로 다른 전력량의 부하를 공급하고, 시간대별로 전력 사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고장 및 교체의 주기나 빈도가 서로 다름에도 변전소 간 협력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장기간 동안 반복되는 고장 패턴을 학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변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97307호(2017.01.11.)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변전소에 설치된 변압 계통 설비를 실시간 감시하고, 고장 발생시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부품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의 교체로 재고량 부족시에는 타 변전소의 여유 부품을 검색하여 보충을 요청하며, 고장 패턴을 학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변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처리부하가 많이 걸려 발열량이 높은 중앙 서버의 함체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되 내부 먼지 비산 등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장된 다수의 처리부 및 검색부 및 감시부 그리고 통신부의 열화를 억제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각의 변전소마다 설치되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phase modifying equipment) 및 센싱 장치를 포함하는 변압 계통 설비(110)와; 상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를 기준으로 분리된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를 독립적으로 감시하는 다수의 지능형 전자장치(120)(IED)와; 상기 지능형 전자장치(120)와 네트워크 통신을 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장치(120)에서 변압 계통 설비(110)를 감시한 결과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오류코드와 함께 이상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이상 판단 장치(130)와; 각각의 변전소에 설치된 상기 이상 판단 장치(1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구간의 관리자를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오류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중앙 서버(14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변전소의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는 각각 메인 장치(110-m)와, 서브 장치(110-s) 및 절환장치(111)를 포함하고, 상기 절환장치(111)는 상기 메인 장치(110-m) 또는 서브 장치(110-s)를 상기 변압 계통 설비(110)에 투입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메인 장치(110-m)의 고장시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고장난 상기 메인 장치(110-m) 대신 상기 서브 장치(110-s)를 투입하는 것으로 하우징(113), 제1스크류(115) 및 제2스크류(117)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3)은 내부에 상기 제1스크류(115)와 상기 제2스크류(117)가 설치될 수 있게 속이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는 절환 명령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스크류(115) 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113a), 상기 하우징(113) 후면에 각각의 상기 서브 장치(110-s)와 개별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되되 각각이 상기 제1스크류(115) 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자(113a)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서브 장치(110-s)로 전송하는 출력단자(1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크류(115)는 상기 하우징(11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면에는 상기 입력단자(11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전극판(115a)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회전에 의해 다수의 상기 출력단자(113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출력전극판(115b)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입력전극판(115a)과 상기 출력전극판(115b)을 서로 연결하는 인가선(115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스크류(117)는 구동모터(119)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스크류(115)와 서로 치(齒)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19)에 의해 상기 제1스크류(115)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서로 치결합하는 상기 제1스크류(115)와 상기 제2스크류(117)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스크류(screw) 형상을 갖도록 서로 치 결합하여 상기 제1스크류(115)의 회전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앙 서버(140)는 각 변전소마다 구비한 여분의 변압 계통 설비(110) 재고 현황을 부품별로 기록하는 부품재고 DB(155)와,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서 상기 서브 장치(110-s)가 투입됨에 따라 변압 계통 설비(110)가 설정된 개수 이하가 된 경우 타 변전소의 변압 계통 설비(110) 재고 현황을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리는 부품 검색부(146)와, 상기 이벤트 발생시의 수용가 부하량을 입력받아 기록하는 부하 감시부(145) 및 상기 수용가 부하량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구간 및 고장난 부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고장 학습부(144)를 포함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140)는 케이스인 함체(213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130)는 사각틀체인 고정프레임(213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134)가 개폐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3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후판(213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판(2138)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하면에는 바닥판(2140)이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2140)과 대향되는 천정에는 상판(2142)이 고정되며, 양쪽 측판(2138)의 사각 슬릿 형태의 공기흡입구멍(2138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멍(2138a)에는 필터(2138b)가 내장되며, 상기 상판(2142)의 상면에는 간접냉각유닛(2150)을 설치하되,
상기 간접냉각유닛(2150)은 상기 상판(2142)을 통해 상기 함체(2130)와 연통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흡입챔버(2152)와, 상기 흡입챔버(2152)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후크 형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송풍관(2154)과, 상기 송풍관(2154)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156)과, 상기 송풍관(2154)의 후크형 수평부(2158)에 형성된 배기공(2160)과, 상기 배기공(2160)과 대등되는 위치상의 흡입챔버(2152)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6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방열핀(217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은 내부에 중공부(2172)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각 외측면에는 상기 중공부(2172)와 연통되는 다수의 개방부(2174)를 더 형성하여 방열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함체(2130)를 구성하는 전면도어(2134), 측판(2138), 바닥판(2140) 및 후판(2136)의 내면에는 내열성 및 잠열성과 정전방지성을 가진 코팅층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수지 80중량%와 메틸펜텐 폴리머수지 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아크릴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규산소다 8중량부와, 옥시카르본산염 2.5중량부와,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 1.5중량부와, 기중현탁피복법(Wurster Method)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 3중량부와, 파라핀왁스 5중량부와, 폴리옥시에틸렌 4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와,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부와, 세피오라이트 3중량부와, 멜라민시아노네이트 2.5중량부와,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2.5중량부 및 마이카(Mica) 1.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50-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전소에 설치된 변압 계통 설비를 실시간 감시하고, 고장 발생시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부품의 교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부품의 교체로 재고량 부족시에는 타 변전소의 여유 부품을 검색하여 보충을 요청하며, 고장 패턴을 학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변전소의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하처리량이 급증하는 중앙서버 함체 내부에 실장된 처리부 및 검색부 및 감시부 그리고 통신부의 열화를 방지하고, 함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의 변압 계통 설비를 나타낸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의 중앙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부품재고 DB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의 절환장치에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의 절환장치에 제1 및 제2스크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앙서버의 외관을 구성하는 함체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적용된 간접냉각기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적용된 측판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697307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시스템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69730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697307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변형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697307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은 각각의 변전소 내에 설치된 변압 계통 설비(110), 지능형 전자장치(120)(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이상 판단 장치(130) 및 절환 명령 장치(130a)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변전소를 통합 관리하는 중앙 서버(140) 및 그와 연동된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를 포함하며, 중앙 서버(1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지역의 변전소에 설치된 이상 판단 장치(130)에 연결된다.
이때 상술한 변압 계통 설비(110)는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phase modifying equipment) 및 센싱 장치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이 하나의 변압 계통 설비(110)에 해당한다.
또한 후술할 메인 장치(110-m) 및 서브 장치(110-s)도 각각 변압 계통 설비(110)를 의미하며, 같은 취지로 자동교체가 가능한 '부품'은 변압기를 제외한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 각각을 의미한다.
한편, 위와 같이 변전소 내 변압 계통 설비(110)를 구성하는 변압기는 1차 및 2차 전압의 크기를 변성하고, 선로 보호기는 모선이나 송전선로 상에 설치된 각종 차단기나 개폐기를 의미한다.
조상 설비는 송배전 계통의 전압이나 전력조류를 제어하는 것으로 기계식 전압 제어장치인 부하탭 절환장치(OLTC:On-Load Tap Charger) 및 병렬 캐패시터(shunt capacitor) 등을 포함하며, 센싱 장치는 각 부의 온도, 습도, 전류(전압) 등을 검출한다.
지능형 전자장치(120)는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를 기준으로 분리된 구간마다 설치되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를 독립적으로 감시 및 제어한다.
즉, 변전소는 변압기 구간, 선로 보호기 구간, 조상 설비 구간 및 센싱 장치 설치 구간으로 구획되며, 각 구간의 지능형 전자장치(120)가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에 연결된다.
또한 지능형 전자장치(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압 계통 설비(110)에 연결되고, 모든 지능형 전자장치(120)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이상 판단 장치(1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이상 판단 장치(130)는 이더넷 스위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능형 전자장치(120)는 변전소 자동화 통신 아키텍쳐인 IEC61850 규격에 따라 이상 판단 장치(130)와 통신을 한다.
이상 판단 장치(130)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변전소 외부의 중앙 서버(140)와 연결된다.
따라서, 지능형 전자장치(120)는 감시, 제어 및 보호의 대상인 변압기, 선로 보호기,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중앙 서버(140)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이들을 제어한다.
특히 종래 기술과 차별적으로 IEC61850 표준 규격의 특징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변전소의 외부에서 중앙 서버(140)가 지능형 전자장치(120) 및 변압 계통 설비(110)의 고장이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판단 장치(130)는 상술한 지능형 전자장치(120)와 네트워크 통신을 하며, 지능형 전자장치(120)에서 변압계통 설비(110)를 감시한 결과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이벤트 발생을 검출한다.
나아가, 이벤트가 검출되면 그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오류코드와 함께 이상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즉, 이상 판단 장치(130)는 각각의 지능형 전자장치(120)와 연결되어 지능형 전자장치(120)를 감시, 제어 및 보호한다.
특히 고장이 발생한 지능형 전자장치(120)가 설치된 구간 정보, 감시 중인 변압 계통 설비(110)의 ID, 오류 코드 및 이상 발생 신호를 중앙 서버(140)로 전송한다.
절환 명령 장치(130a)는 이상 판단 장치(130)와 함께 지능형 전자장치(120)에 연결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자가 상기 오류 코드를 확인 후 최종적으로 명령을 전달하면 고장난 메인 장치(110-m)에서 정상인 서브장치(110-s)로의 절환을 제어한다.
중앙 서버(140)는 여러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변전소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중앙 서버(140)는 통신망을 통해 각각의 변전소에 설치된 이상 판단 장치(130)와 연결되며, 이벤트가 발생한 구간의 관리자를 검색하여 관리자의 단말기로 오류코드를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오류 발생 사실과 함께 오류 코드를 제공받고, 관리자는 이를 확인 후 최종 명령을 중앙 서버(1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앙 서버(140)는 절환 명령 장치(130a)로 절환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중앙 서버(140)는 일종의 맨-머신 인터페이스(MMI:Man-Machine Interface)로서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며, 감시, 제어 및 보호의 대상인 변압기, 선로 보호기,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변압 계통 설비(110) 중 고가이고 대형이며 하중이 큰 무거운 설비(heavy facility)인 변압기를 제외하고, 비교적 가벼운 부품(light parts)인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는 각각 메인 장치(110-m)와, 서브 장치(110-s) 및 절환장치(111)를 포함한다.
예컨대, 선로 보호기는 메인 선로 보호기(110-m)와, 서브 선로 보호기(110-s) 및 선로 보호기용 절환장치(111)를 포함하며, 스위치인 절환장치(111)의 제1 출력단은 메인 선로 보호기(110-m)에 연결되고 제2 출력단은 서브 선로 보호기(110-s)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 선로 보호기(110-m)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리자의 최종 명령이 중앙 서버(140)를 통해 절환 명령 장치(130a)로 전달되고, 절환 명령 장치(130a)의 제어하에 스위칭 절환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장난 메인 장치(110-m) 대신 서브 장치(110-s)가 자동으로 투입된다.
여기서 상기 절환장치(111)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3), 제1스크류(115) 및 제2스크류(11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절환 명령 장치(111)의 제어에 의해 절환한다.
하우징(113)은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에는 절환 명령 장치(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하우징(113) 내측에 구비된 제1스크류(115)의 입력전극판(115a)과 연결된 입력단자(113a)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입력단자(113a)와 동일 형상을 갖되 다수의 서브 장치(110-s)와 각각 개별 연결되는 출력단자(113b)가 다수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3) 후면에 구비된 다수의 출력단자(113b)는 제1스크류(115)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하우징(113) 후면에 다수 형성되되 상기 제1스크류(115)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서브 장치(110-s)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선로 보호기(110-m)가 고장 시에 어느 하나의 서브 장치(110-s)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113) 내부에는 제1 및 제2스크류(115,117)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113c)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입력단자(113a) 또는 출력단자(1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스프링의 완충효과에 의해 볼이 이동하여 입력전극판(115a) 또는 출력전극판(11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다수의 출력단자(113b) 중 어느 하나는 메인 선로 보호기(110-m)와 연결되며, 그 외 나머지 출력단자(113b)는 각각의 서브 장치(110-s)와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스크류(115)는 하우징(11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면에는 입력단자(113a)와 항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링 형상의 입력전극판(115a)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제1스크류(115)가 회전시에 다수의 출력단자(113b)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출력전극판(115b)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스크류(115)는 후술하는 제2스크류(117)와 외면이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제2스크류(1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스크류(115)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제1스크류(115) 내측에는 입력전극판(115a)과 출력전극판(115b)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게 인가선(115c)이 구비된다.
하여, 입력단자(11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전극판(115a)의 신호가 인가선(115c)을 통해 출력전극판(115b)으로 전송되어 상기 출력전극판(11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출력단자(113b)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스크류(117)는 상술한 제1스크류(115)와 서로 치 결합할 수 있도록 하우징(11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제2스크류(117)의 회전축은 절환 명령 장치(130a)로 제어되는 구동모터(119)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19)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스크류(115,11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서로 치결합하는 제1스크류(115)와 제2스크류(117)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스크류(screw) 형상을 갖도록 서로 치결합하여 상기 제1스크류(115)의 회전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리자가 변전소의 고장을 통보받고 직접 현장으로 출동하여 고장 부분을 확인 후 조치를 취하는 종래의 방식을 벗어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장을 해소하고 자동으로 변전소의 재투입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중앙 서버(140)는 이상패턴 처리부(141), 관리자 검색부(142), 관리자 명령 분석부(143), 고장 학습부(144), 부하 감시부(145), 부품 검색부(146), 통신부(147), 제어부(148)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50)는 중앙 서버(140) 내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관리자DB(151), 고장 구간 DB(152), 설비 아이디 DB(153), 히스토리 DB(154), 부품재고 DB(155) 및 변전소 부하 DB(156)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47)는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다수의 변전소와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부(147)는 각 변전소에 구비된 다수의 지능형 전자장치(120)와 연결됨으로써 오류코드 및 이상발생 신호를 전송받는다.
이상패턴 처리부(141)는 통신부(147)를 통해 변전소의 이상 신호가 전송되면 오류코드를 확인하고 아울러 이상발생 신호에 포함된 헤더 파일을 분석하여 고장이 발생한 변전소, 고장 구간 및 고장을 검출한 지능형 전자장치(120)의 ID를 분석한다.
관리자 검색부(142)는 이상패턴 처리부(141)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변전소, 고장 구간 및 고장을 검출한 지능형 전자장치(120)의 ID를 입력받아 그 이상 발생을 처리하는 관리자를 검색한다.
관리자 검색부(142)는 검색시 관리자 DB(151)에 기록된 관리자의 성명 및 관리자 단말기 번호(연락처)를 추출한다.
관리자가 검색되면 제어부(148)는 통신망을 통해 해당 관리자의 단말기(스마트 폰 등)로 고장이 발생한 변전소, 고장 구간 및 고장을 검출한 지능형 전자장치(120)의 ID와 함께 오류코드를 전송한다.
관리자 명령 분석부(143)는 관리자로부터 고장이 발생한 변압 계통 설비(110)의 처리를 위한 명령을 전달받는다.
즉, 관리자는 이상 발생 구간 및 오류 코드 등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스위칭 절환 명령을 전달하고 관리자 명령 분석부(143)는 원격의 절환 명령 장치(130a)를 제어한다.
고장 학습부(144)는 고장이 발생한 시간, 고장이 발생한 구간 및 고장이 발생한 시점의 부하량 등을 기록하고, 반복적으로 수집 및 기록된 데이터를 조합하여 고장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부하 감시부(145)는 각 변전소별로 각 시간대별 부하량을 검출하여 상술한 고장 학습부(144)에 제공한다.
따라서 변압 계통 설비(110)에 고장이 발생한 시점의 부하량을 참조하여 부하 변동과 이상발생 간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을 생략한 제어부(148)는 통신부(147)를 비롯하여 중앙 서버(140)의 구동을 위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서버(150) 중 관리자 DB(151)는 각 지역의 변전소별 관리자 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자 정보는 대표적으로 관리자의 성명 및 관리자 단말기 번호(연락처)가 있으며 각 변전소와 매칭된 관리자 정보를 기록한다.
고장 구간 DB(152)는 이상 발생한 변압 계통 설비(110)가 담당하는 변전소 내 구간 정보를 기록하고, 설비 아이디 DB(153)는 그 이상이 발생한 변압 계통 설비(110)의 ID를 기록한다.
이와 같이 기록된 정보는 상술한 고장 학습부(144)에 제공된다.
또한 히스토리 DB(154)는 고장 학습부(144)에 의해 분석된 이상 발생 시간, 횟수 및 이상 발생 추이 등을 기록하여 챠트나 그래프 형식으로 가공하여 관리자 등에게 제공한다.
도 5와 같이 부품재고 DB(155)는 각 변전소마다 구비한 여분의 변압 계통 설비(110) 재고 현황을 부품별로 기록한다.
바람직하게 부품재고 DB(155)는 각 변전소마다 구비해야할 변압 계통 설비(110) 각각의 개수가 기준값 이하인지 혹은 초과인지 역시 기록한다.
예컨대, 제2 지역에 있는 변전소의 부품 재고량을 기록하는 경우 부품재고 DB(155)는 선로 보호기, 조상설비 및 센싱 장치 각각에 대한 현재 보유수를 기록하되, 지침에 따라 보유하도록 규정된 평균 개수보다 많으면 '+' 적으면 '-'등으로 기록한다.
관리자는 발생한 이상이 부하량 급증에 따른 일시적인 것인지 혹은 교체가 필요한 영구적인 고장인지 등을 분석하여 필요한 명령을 전달하며, 교체가 필요한 영구 고장인 경우에는 부품 교체를 수행하게 된다.
즉, 메인 장치(110-m)에서 서브 장치(110-s)로 스위칭 절환을 하고, 영구 고장인 메인 장치(110-m)를 제거하여 새로운 부품을 끼워넣게 된다.
이후부터 서브 장치(110-s)가 메인 장치(110-m)로 되고, 새로이 끼워넣은 부품은 서브 장치(110-s)가 된다.
그러므로 부품 검색부(146)는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서 서브 장치(110-s)가 투입됨에 따라 변압 계통 설비(110)가 설정된 개수 이하가 된 경우 타 변전소의 변압 계통 설비(110) 재고 현황을 검색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알린다.
관리자는 타 변전소에 연락을 취해 부족분의 변압 계통 설비(110)를 미리 확보한다.
변전소 부하 DB(156)는 부하 감시부(145)에서 감시한 이벤트 발생시의 수용가 부하량을 입력받아 기록한다.
따라서 고장 학습부(144)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구간 및 고장난 부품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시 부하 변동정보 역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특히, 중앙 서버(140)에 실장된 처리부, 검색부, 분석부, 학습부, 감시부, 통신부, 제어부 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간접냉각구조를 특징적인 구성으로 더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중앙 서버(140)를 구성하는 이상패턴 처리부(141), 관리자 검색부(142), 관리자 명령 분석부(143), 고장 학습부(144), 부하 감시부(145), 부품 검색부(146), 통신부(147), 제어부(148)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50)가 동작되면서 방출하는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 서버(140)는 보통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함체(213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130) 내부에는 다수의 설비들, 이를 테면 이상패턴 처리부(141), 관리자 검색부(142), 관리자 명령 분석부(143), 고장 학습부(144), 부하 감시부(145), 부품 검색부(146), 통신부(147), 제어부(148)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50) 등이 실장된다.
이때, 이들은 상기 함체(2130)를 구성하는 후판 혹은 바닥판에 입설된 랙 등의 슬롯에 꽂히는 형태로 실장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서는 상기 함체(2130)를 구성하는 후판(2136)과 바닥판(2140)에는 간접냉각구조가 적용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체(2130)는 사각틀체인 고정프레임(213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134)가 개폐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3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후판(213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판(2138)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하면에는 바닥판(2140)이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2140)과 대향되는 천정에는 상판(2142)이 고정된다.
아울러, 양쪽 측판(2138)의 사각 슬릿 형태의 공기흡입구멍(2138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멍(2138a)에는 필터(2138b)가 내장된다.
따라서, 외기는 필터링된 상태로 함체(213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2142)의 상면에는 간접냉각유닛(2150)이 설치된다.
상기 간접냉각유닛(2150)은 도 10에 확대 도시한 요부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2142)을 통해 상기 함체(2130)와 연통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흡입챔버(2152)와, 상기 흡입챔버(2152)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후크 형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송풍관(2154)과, 상기 송풍관(2154)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156)과, 상기 송풍관(2154)의 후크형 수평부(2158)에 형성된 배기공(2160)과, 상기 배기공(2160)과 대등되는 위치상의 흡입챔버(2152)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팬(2156)이 가동되면 외기가 도입되어 송풍관(2154) 내부로 토출된 후 배기공(2160)과 배출구(2162)를 통해 배출된다.
즉, 도입된 외기는 함체(213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방향전환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그 과정에서 흡입챔버(2152)의 내부, 특히 상기 배출구(2162) 주변에서는 음압이 발생되고, 음압에 의한 흡입압 때문에 일종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 흡입챔버(2152)의 하측 공간에 분포되어 있는 내부공기가 빨려 나가면서 함체(213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빨아 내게 된다.
이에 따라, 함체(2130) 내부는 전체적으로 음압이 형성되고, 필터(2138b)를 거쳐 흡입구멍(2138a)을 통해 신선한 차가운 외기가 함체(2130) 내부로 도입됨으로써 함체(2130) 내부에서는 분진이 일어나거나 비산되지 않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냉각되게 된다.
즉, 일반적인 냉각구조는 송풍팬(2156)을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함체(2130) 내부로 직접 분사시켜 직접 냉각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송풍압에 의한 함체(2130) 내부에서 심한 분진이 발생되고, 그 분진은 각 보드의 주요 단자에 부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전기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되면서 단락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상황을 완전히 배재시킨 간접송풍방식, 다시 말해 간접냉각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함체(2130) 내부에서의 분진 발생없이 냉각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함체(2130)를 구성하는 전면도어(2134), 측판(2138), 바닥판(2140) 및 후판(2136)의 내면에는 내열성은 물론 잠열성을 가진 코팅층이 형성되어 고열 발생시 일부 열을 머금었다가 한랭시에는 열을 내뱉는 잠열기능, 즉 보열기능을 갖추도록 하면 더욱 더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보드의 열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전방지 기능도 함께 갖추도록 하여 단락을 예방하는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코팅층은 아크릴수지 80중량%와 메틸펜텐 폴리머수지 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규산소다 8중량부, 옥시카르본산염 2.5중량부,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 1.5중량부,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 3중량부, 파라핀왁스 5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4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부, 세피오라이트 3중량부, 멜라민시아노네이트 2.5중량부,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2.5중량부, 마이카(Mica) 1.5중량부를 첨가하여 50-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에서, 혼합물을 상기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이유는 유동성을 높이면서 균일한 분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때 상기 아크릴수지는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되며, 메틸펜텐 폴리머수지는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좋아 도포하기 용이하며 특히 융점이 235℃로서 매우 높고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 우수하고 내열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겔화를 유도하여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열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옥시카르본산염은 재료의 수분 함유량을 줄여 공극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은 방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기능 외에 무기계 분말들의 점도 조절 및 배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수지에 보열성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기중현탁피복법(Wurster Method)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파라핀왁스는 20~50℃의 상변화 온도변화대역을 갖는 상변화물질로서, 가열시 잠열을 축열하여 온도를 빼앗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보열 기능을 수행하며, 냉각시에는 잠열을 방출시켜 온열기능도 수행하므로 잠열 이용을 위해 본 발명에서 첨가 사용된다.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은 양이온 촉매를 이용해 산화에틸렌을 중합한 폴리에테르의 일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직물과 종이 등에 사용하여 피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프로필렌글리콜은 흡습성이 있으나 휘발성은 없어 열과 빛에 안정하므로 수지를 녹여 물에 혼합하는 용매로 이용되며, 표면에서 곰팡이 번식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는 투명성을 강화시키면서 코팅층의 안정화를 유도하여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세피오라이트는 둥그런 관모양의 변종인 미어샤움(meerschaum)으로 불리우며 수지 조성물의 분산안정성과 균일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멜라민시아노네이트는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첨가되며,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는 유기화타이타네이트 구조를 갖는 커플링제로서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간의 계면 접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과 내열성 모두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마이카는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0.1-0.2㎛ 크기로 분쇄된 후 체질된 것을 사용하며 경질 특성으로 인해 표면 경도 및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코팅층의 구성에 따라 내열안성성과 잠열 특성을 이용한 보드의 열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코팅층이 잠열특성, 즉 보열성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코팅층이 없는 철판 시료와 코팅층이 있는 철판 시료를 준비한 다음 JIS C 6802-1997에 따라 방열측성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는 46W/m.k였고, 코팅층이 없는 경우에는 58W/m.k로서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 잠열 특성(열 흡수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열 특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안쪽 코팅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방열핀(2170)을 더 형성한다.
즉, 방열핀(2170)을 먼저 형성한 상태에서 코팅액을 스프레이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가공한다.
이때, 상기 방열핀(2170)은 상기 코팅층의 표면 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방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은 내부에 중공부(2172)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각 바깥면에는 상기 중공부(2172)와 연통되는 개방부(2174)가 더 형성되어 중공부(2172)로 전도되어온 열을 대기중으로 신속히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더욱 좋다.
이 경우, 중공부(2172) 외측을 전체적으로 개방하여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나, 이는 외관 품질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10: 변압 계통 설비
120: 지능형 전자장치(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130: 이상 판단 장치 140: 중앙 서버
150: 데이터베이스 서버

Claims (1)

  1. 각각의 변전소마다 설치되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phase modifying equipment) 및 센싱 장치를 포함하는 변압 계통 설비(110)와; 상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를 기준으로 분리된 구간마다 설치되며, 상기 변압기와,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를 독립적으로 감시하는 다수의 지능형 전자장치(120)(IED)와; 상기 지능형 전자장치(120)와 네트워크 통신을 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장치(120)에서 변압 계통 설비(110)를 감시한 결과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오류코드와 함께 이상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이상 판단 장치(130)와; 각각의 변전소에 설치된 상기 이상 판단 장치(1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구간의 관리자를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오류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중앙 서버(140);를 포함하되, 상기 각 변전소의 선로 보호기와, 조상 설비 및 센싱 장치는 각각 메인 장치(110-m)와, 서브 장치(110-s) 및 절환장치(111)를 포함하고, 상기 절환장치(111)는 상기 메인 장치(110-m) 또는 서브 장치(110-s)를 상기 변압 계통 설비(110)에 투입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메인 장치(110-m)의 고장시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고장난 상기 메인 장치(110-m) 대신 상기 서브 장치(110-s)를 투입하는 것으로 하우징(113), 제1스크류(115) 및 제2스크류(117)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3)은 내부에 상기 제1스크류(115)와 상기 제2스크류(117)가 설치될 수 있게 속이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는 절환 명령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스크류(115) 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113a), 상기 하우징(113) 후면에 각각의 상기 서브 장치(110-s)와 개별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 구비되되 각각이 상기 제1스크류(115) 후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단자(113a)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서브 장치(110-s)로 전송하는 출력단자(1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크류(115)는 상기 하우징(11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면에는 상기 입력단자(11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전극판(115a)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회전에 의해 다수의 상기 출력단자(113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출력전극판(115b)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입력전극판(115a)과 상기 출력전극판(115b)을 서로 연결하는 인가선(115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스크류(117)는 구동모터(119)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13)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스크류(115)와 서로 치(齒)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19)에 의해 상기 제1스크류(115)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서로 치결합하는 상기 제1스크류(115)와 상기 제2스크류(117)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스크류(screw) 형상을 갖도록 서로 치 결합하여 상기 제1스크류(115)의 회전을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앙 서버(140)는 각 변전소마다 구비한 여분의 변압 계통 설비(110) 재고 현황을 부품별로 기록하는 부품재고 DB(155)와, 어느 하나의 변전소에서 상기 서브 장치(110-s)가 투입됨에 따라 변압 계통 설비(110)가 설정된 개수 이하가 된 경우 타 변전소의 변압 계통 설비(110) 재고 현황을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알리는 부품 검색부(146)와, 상기 이벤트 발생시의 수용가 부하량을 입력받아 기록하는 부하 감시부(145) 및 상기 수용가 부하량과,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구간 및 고장난 부품의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고장 학습부(144)를 포함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140)는 케이스인 함체(213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130)는 사각틀체인 고정프레임(213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134)가 개폐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3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후판(213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판(2138)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하면에는 바닥판(2140)이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2140)과 대향되는 천정에는 상판(2142)이 고정되며, 양쪽 측판(2138)의 사각 슬릿 형태의 공기흡입구멍(2138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멍(2138a)에는 필터(2138b)가 내장되며, 상기 상판(2142)의 상면에는 간접냉각유닛(2150)을 설치하되,
    상기 간접냉각유닛(2150)은 상기 상판(2142)을 통해 상기 함체(2130)와 연통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흡입챔버(2152)와, 상기 흡입챔버(2152)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후크 형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송풍관(2154)과, 상기 송풍관(2154)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156)과, 상기 송풍관(2154)의 후크형 수평부(2158)에 형성된 배기공(2160)과, 상기 배기공(2160)과 대등되는 위치상의 흡입챔버(2152)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6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방열핀(217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은 내부에 중공부(2172)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각 외측면에는 상기 중공부(2172)와 연통되는 다수의 개방부(2174)를 더 형성하여 방열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함체(2130)를 구성하는 전면도어(2134), 측판(2138), 바닥판(2140) 및 후판(2136)의 내면에는 내열성 및 잠열성과 정전방지성을 가진 코팅층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수지 80중량%와 메틸펜텐 폴리머수지 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아크릴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규산소다 8중량부와, 옥시카르본산염 2.5중량부와,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 1.5중량부와, 기중현탁피복법(Wurster Method)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 3중량부와, 파라핀왁스 5중량부와, 폴리옥시에틸렌 4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와,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부와, 세피오라이트 3중량부와, 멜라민시아노네이트 2.5중량부와,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2.5중량부 및 마이카(Mica) 1.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50-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KR1020170011282A 2017-01-24 2017-01-24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KR10176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82A KR101762911B1 (ko) 2017-01-24 2017-01-24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82A KR101762911B1 (ko) 2017-01-24 2017-01-24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911B1 true KR101762911B1 (ko) 2017-07-28

Family

ID=5942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82A KR101762911B1 (ko) 2017-01-24 2017-01-24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586B1 (ko) 2015-02-10 2015-10-06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KR101697307B1 (ko) * 2016-10-07 2017-01-18 율삼엔지니어링(주) 변전 설비의 보호 및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586B1 (ko) 2015-02-10 2015-10-06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변전 설비 감시 시스템
KR101697307B1 (ko) * 2016-10-07 2017-01-18 율삼엔지니어링(주) 변전 설비의 보호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925B2 (en) Smart electrical outlets and associated networks
US9484738B2 (en) Operating a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US11699898B2 (en) Gateway interface for an enhanced circuit breaker disconnect
US20170308109A1 (en) Communications protocol for intelligent outlets
US20030229423A1 (en)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components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rating
US11916377B2 (en) Premises power usage monitoring system
KR101697307B1 (ko) 변전 설비의 보호 및 제어 시스템
DE112014000608T5 (de) Schaltungsunterbrecher mit Ankündigung oder zum Leistungsverkauf für eine elektrische Last
US20110175453A1 (en) Meter socket transfer switch
KR101762911B1 (ko) 변전설비의 보호장치 제어시스템
Paoletti et al. Monitoring of electrical equipment failure indicators and zero-planned outages: Past, present and future maintenance practices
US20090256427A1 (en) Module for controlling a switch in a high voltage electrical substation
US10855106B2 (en) Enclosure monitoring devices having battery backup
DE112016005447T5 (de) Systeme und Verfahren zum Prüfen von Erdfehlerstromunterbrecher-Trennschaltern innerhalb von Umhausungen
Paoletti et al. Failure contributors of MV electrical equipment and condition assessment program development
WO2007064265A1 (en) Substation
DE102007016635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teilen elektrischer Energie
Blair et al. Networked intelligent motor-control systems
CN207381818U (zh) 一种具备在线测控功能的智能开关柜
Paoletti et al. Striving for zero planned outages: monitoring electrical equipment failure indicators
Raanaa Condition monitoring of power transformers in digital substations
KR101761396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 장치 구조 시스템
Genzel et al. IT-security for smart grids in Germany: Threats, countermeasures and perspectives
Blair et al. Integrating networks into motor control systems
Floyd et al. Maintenance strategies for a new era in electrical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